KR102052906B1 - Play apparatus for exercise of hand - Google Patents
Play apparatus for exercise of han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52906B1 KR102052906B1 KR1020180032936A KR20180032936A KR102052906B1 KR 102052906 B1 KR102052906 B1 KR 102052906B1 KR 1020180032936 A KR1020180032936 A KR 1020180032936A KR 20180032936 A KR20180032936 A KR 20180032936A KR 102052906 B1 KR102052906 B1 KR 1020529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nd
- passing
- ball
- hole
- passa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0000000386 athlet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3930 cognitive abilit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2688 persistenc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3925 brain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1953 sens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920 cognitive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1282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06010012289 Dementia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152 sensory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8698 Cognitive impairm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334 Spandex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596 appetite lo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0877 cognitiv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245 forear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71 impai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45 las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266 loss of appeti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19017 loss of appetit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087 memory 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036 nerv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245 play 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59 spande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for hands or finger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1—Games or toys connected to, or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bjects with a second use as a toy or game
- A63F2009/0049—Objects with a second use as toy or game
- A63F2009/0064—Items relating to health or medical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 운동용 놀이 기구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손으로 잡은 공부재, 상기 공부재를 잡은 손을 통과시킬 수 있는 복수의 손 통과구멍이 형성된 베이스 놀이판부재, 상기 베이스 놀이판부재에 연결되어 위치되고, 손 통과구멍과 연결되어 상기 공부재를 잡은 손이 통과되는 손통로가 길이 방향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신축성있는 재질로 제조된 손통과부재를 포함하여 손의 힘을 이용하여 공을 지정된 위치로 보내는 놀이를 통해 손의 근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몸의 전체적인 근육들의 운동과 균형 감각을 향상시키며, 사용자의 소근육 활동을 통해 눈과 손의 협응력과 양손 협응력, 인지적 능력, 지구력, 지남력과 실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 exercise play equipment is located in connection with the base play plate member, the base play plate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hand passing holes through which the user can hold the study material, the hand holding the study material. Is connected to the hand through hole, the hand passage through which the hand holding the study material is passed through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cluding a hand passage member made of elastic material to send the ball to the designated position using the power of the hand Play can improve the strength of the hand, improve the movement and balance of the whole muscles of the body, and through the user's small muscle activity, the coordination of the eyes and hands and the two-handed coordination, cognitive ability, endurance, persistence and execution Can improve.
Description
본 발명은 손 운동용 놀이 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 exercise play equipment.
일반적으로 노인 대상자의 45 ~ 80%가 하루 중 다양한 강도의 통증을 경험하고 있으며, 치매 환자의 경우는 인지적인 손상과 더불어 언어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이 손상된 경우가 많다.In general, 45 to 80% of elderly subjects experience varying intensity of pain during the day, and dementia patients often suffer from cognitive impairment and impaired ability to express verbally.
치매 증상은 통증에 대한 표현의 제한뿐만 아니라 그로 인한 신체기능 감소, 식욕의 감퇴 등 심각한 결과를 낳을 수 있다.Dementia symptoms can have serious consequences, including limited expression of pain as well as decreased physical function and loss of appetite.
이러한 치매 환자뿐만 아니라 노인들은 젊은이들에 비해 인지기능 및 감각기능이 하락되며 손의 조작 능력 또한 감소된 상태를 갖는 경우가 많다.In addition to the dementia patients, the elderly have a lower cognitive function and sensory function than the younger people, and the hand manipulation ability is often reduced.
의료기관에서는 인지 및 감각 기능, 손의 조작 능력 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의료 기술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있으나, 이 정도만으로 모든 치료가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Medical institutions have developed and applied various medical technologies to improve cognitive and sensory functions, hand manipulation, etc., but the reality is that not all treatments are easy.
또한, 만 1세에서 만 6세의 유아 시기에 유아의 손운동이 뇌의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인지 기능 및 손의 조작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t the age of 1 to 6 years old infants hand movements can activate the brain function, improve cognitive function and hand manipulation ability.
따라서, 환자 또는 노인들, 유아가 손쉽게 사용 가능하면서도 인지 기능 및 손의 조작 능력 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간단한 놀이 기구 개념으로서 환자들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보조 도구의 개발이 요구된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help the patient or the elderly and infants to easily use, but also to improve the cognitive function and hand manipulation ability, and to develop an auxiliary tool that can induce the interest of the patient as a simple play equipment concept. .
본 발명과 관련 특허로 한국특허등록 제0915993호 '오자미 놀이 운동기구'가 제안된 바 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915993 “Ozami Play Athletic Equipment” has been proposed as a pat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한국특허등록 제 0915993 호 '오자미 놀이 운동기구'는 오자미를 던져 기능성 원판에 붙이는 방식의 놀이 기구로써 손이나 팔의 근력을 회복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나, 인지 기능 및 손의 조작 능력 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915993 'Ozami Play Exercise Equipment' is a type of play equipment that throws Ozami and attaches it to a functional disc, which can help to restore muscle strength of the hand or arm, but improves cognitive function and hand operation ability. There was a problem that did not help.
본 발명과 관련 특허로 한국특허등록 제1 405706호 '수동, 능동 훈련이 가능한 바이오피드백 상지 기능적 전기자극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As a pat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 405706 'Biofeedback functional electric stimulation device capable of passive and active training' has been proposed.
본 발명과 관련 특허로 한국특허등록 한국특허등록 제1 405706호 '수동, 능동 훈련이 가능한 바이오피드백 상지 기능적 전기자극 장치'는 전기 자극을 통해 사용자의 손의 근육 및 신경을 활성화하기 위한 것으로 인지 기능 및 손의 조작 능력 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Registered Korean patent as a pat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 405706 'Biofeedback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capable of passive and active training' is to activate the muscles and nerves of the user's hand through electrical stimulation And there was a problem that does not help to improve the ability to operate the han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사용자의 소근육 활동을 통해 눈과 손의 협응력과 양손 협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chnique that can improve the coordination of the eyes and hands and coordination of both hands through the small muscle activity of the user to solve.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사용자에게 다양한 질감을 제공하여 감각능력을 증진시키고, 몸 감각을 통합한 감각 자극을 통해 뇌기능 활성화를 통해 뇌기능 활성화를 도모하여 인지적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In addition, to solve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ariety of texture to the user to enhance the sensory ability, through the sensory stimulation integrated the body sense through the brain function activation to promote the brain function activation technology to improve the cognitive ability to provide.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손 운동용 놀이 기구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은 공부재, 상기 공부재를 잡은 손을 통과시킬 수 있는 복수의 손 통과구멍이 형성된 베이스 놀이판부재, 상기 베이스 놀이판부재에 연결되어 위치되고, 손 통과구멍과 연결되어 상기 공부재를 잡은 손이 통과되는 손통로가 길이 방향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신축성있는 재질로 제조된 손통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and exercise play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e play plate member formed with a plurality of hand passing holes through which the user can hold the study material, the hand holding the study material, connected to the base play plate member It is positioned and connected to the hand passage hole, the hand passage through which the hand holding the study material is passed through the longitudinal di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and passage member made of an elastic material.
본 발명에서 상기 손통과부재는 천재질로 제조되거나, 접힐 수 있는 주름이 연속되게 형성된 자바라 형태로 제조되거나, 천재질의 원통형 본체와 원통형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되는 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 passing member may be made of a genius, or may be manufactured in a bellows form in which foldable folds are continuously formed, or may include a ring member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body and the cylindrical body of the genius.
본 발명에서 상기 링부재는 신축 가능한 탄성 밴드로 상기 원통형 본체의 직경을 줄이고, 손이 통과될 때 탄성적으로 벌어질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ing member is a stretchable elastic band to reduce the diameter of the cylindrical body, it can be elastically opened when the hand passes.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손 운동용 놀이 기구는 상기 손통과부재를 통과한 볼이 통과될 수 있는 복수의 볼 통과구멍이 위치된 보조 놀이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Hand exercise play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play plate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ball passing holes through which the ball passed through the hand passing member can be passed.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손 운동용 놀이 기구는 상기 베이스 놀이판부재와 상기 보조 놀이판부재를 연결하는 지지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Hand exercise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member for connecting the base play plate member and the auxiliary play plate member.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대부재는 길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member may be adjustable in length.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손 운동용 놀이 기구는 상기 베이스 놀이판부재에 위치되어 각 상기 손 통과구멍을 구분할 수 있게 표시하는 복수의 제1 구멍표시부재 및 상기 보조 놀이판부재에 위치되어 각 상기 볼 통과구멍을 구분할 수 있게 표시하는 복수의 제2 구멍표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Hand exercise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n the base play plate member and a plurality of first hole display member and the auxiliary play plate member located in the plurality of first hole display member to display each of the hand passing holes so that each ball The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hole display members for distinguishing the through holes.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구멍표시부재는 베이스 놀이판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제2 구멍표시부재는 보조 놀이판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hole display member may be detachably positioned at the base play plate member, and the second hole display member may be detachably located at the auxiliary play plate member.
본 발명에서 상기 공부재의 표면에는 구분된 복수의 상기 손 통과구멍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손통과표시, 구분된 복수의 상기 볼 통과구멍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볼통과표시가 각각 표시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ace of the study material may be displayed a hand passage display for displaying any one of the plurality of divided hand passage holes, a ball passage display for displaying any one of the plurality of divided ball through holes.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손 운동용 놀이 기구는 상부에 상기 보조 놀이판부재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복수의 상기 볼 통과구멍을 통과한 상기 공부재가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된 공수거함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Hand exercise play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ll having a space in which the auxiliary play plate member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the study material is passed through a plurality of the ball through hole therein is located therein It may further include a collection box member.
본 발명에서 상기 공수거함부재는 복수의 볼 통과구멍에 대응되는 복수의 볼수거공간이 복수의 구획판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llast bin member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ball collecting space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ball passing holes by a plurality of partition plates.
본 발명에서 상기 공수거함부재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내부를 확인할 수 있어 각 볼수거공간에 공부재가 수거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collecting box member can check the inside of the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material, it is possible to check the state that the study material is collected in each ball collection space.
본 발명에서 상기 공수거함부재는 상면이 개방된 함체 형상을 가지고, 상부 측에 상기 보조 놀이판부재가 각각 결합될 수 있는 슬라이드홈이 서로 마주보고 위치되고, 상기 슬라이드홈은 적어도 일측으로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collecting box member has an open shape having an upper surface, a slide groove to which the auxiliary play plate member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is positioned facing each other, and the slide groove is open to at least one side. Can have.
본 발명에서 상기 베이스 놀이판부재는 손 통과구멍이 위치되고 상기 손통과부재가 하부면에 연결되어 위치된 복수의 손통과판부재 및 상기 손통과판부재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부가 이격되게 위치되는 베이스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play plate member is located so that the hand passing hole is spaced apart from the plurality of hand passing plate member and the hand passing plate member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hand passing member is located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It may include a base plate member located.
본 발명에서 상기 손통과판부재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걸림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결합부 내에는 상기 손통과판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부재가 위치되고, 상기 결합부의 내주면에는 상부로 개방되고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상, 하 이동되는 제1 결합용 슬릿, 상기 제1 결합용 슬릿의 하단부에서 제1 결합용 슬릿과 연결되고 상기 결합부의 내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좌, 우 이동되는 제2 결합용 슬릿, 상기 제2 결합용 슬릿의 단부 측에서 상부 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이 위치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protrud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and passing plate member, and a spring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hand passing plate member is positioned in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is opened upward and vertically. It is formed and the engaging projection is inserted, the first coupling slit is moved up and down, is connected to the first coupling slit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upling slit and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left The second coupling slit, which is moved right,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an end side of the second coupling slit to an upper side so that the locking groove into which the locking protrusion is inserted may be position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손의 힘을 이용하여 공을 지정된 위치로 보내는 놀이를 통해 손의 근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몸의 전체적인 근육들의 운동과 균형 감각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strength of the hand through the play to send the ball to the designated position using the power of the hand,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movement and balance of the overall muscles of the body .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소근육 활동을 통해 눈과 손의 협응력과 양손 협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can improve the coordination of the eyes and hands and the coordination of both hands through the muscle activity of the us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다양한 질감을 제공하여 감각능력을 증진시키고, 몸 감각을 통합한 감각 자극을 통해 뇌기능 활성화를 통해 뇌기능 활성화를 도모하여 인지적 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ariety of texture to the user to enhance the sensory ability, through the sensory stimulation integrated body sensation through the brain function activation by promoting the brain function through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ognitive ability hav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행시간동안 집중해서 지정된 위치로 공부재를 보내야 하므로 지구력을 향상시키고, 공부재를 보낼 위치를 찾는 과정에서 지남력과 실행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ecessary to send the study material to the designated location to concentrate during the execution time, thereby improving endurance and improving the lasting power and execution ability in the process of finding a location to send the study materi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손 운동용 놀이 기구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손 운동용 놀이 기구의 다른 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손 운동용 놀이 기구의 다른 한 실시예에서 손통과 판부재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a hand exercise play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hand exercise play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hand barrel and the plate member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hand exercise play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 parts are designated by lik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손 운동용 놀이 기구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손 운동용 놀이 기구의 한 실시예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공부재(100)를 포함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hand exercise play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1 an embodiment of a hand exercise play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udy material that can be held by the
공부재(10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크기를 가지고, 공 형상을 가지는 공지의 공으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공부재(10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은 후 베이스 놀이판부재(200)의 손 통과구멍(200a)을 통해 손통과부재(300)의 손통로를 통과하여 손통과부재(300)의 단부 측으로 배출되게 된다.The
베이스 놀이판부재(200)는 공부재(100)를 잡은 손이 통과될 수 있는 복수의 손 통과구멍(200a)이 위치된다.The base
복수의 손 통과구멍(200a)은 손통과부재(300)의 손통로와 연결되고, 손통과부재(300)는 신축성있는 재질로 제조된 원통 형상으로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손통로가 내부에 위치된다.The plurality of
손통로는 손통과부재(300)의 일단부 측에서 개방되어 손 통과구멍(200a)과 연결되고, 손통과부재(300)의 타단부 측에서 개방되어 손 통과구멍(200a)을 통해 내부로 삽입된 손이 통과되어 나갈 수 있게 된다.The hand passage is opened at one end side of the
손통과부재(300)는 스판덱스 등의 신축성 있는 천재질로 제조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For example, the
손통과부재(300)는 접힐 수 있는 주름이 연속되게 형성된 자바라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고, 천재질의 원통형 본체와 원통형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되는 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링부재는 신축 가능한 탄성 밴드로 손통과부재(300)의 직경을 줄이고, 손이 통과될 때 탄성적으로 벌어지면서 손이 통과될 때 힘이 필요하도록 할 수 있다.The ring member may reduce the diameter of the
손통과부재(300)는 사용자의 팔뚝 길이와 유사한 길이로 형성되어 공을 잡은 손이 통과되어 외측으로 나올 수 있는 길이를 가지는 것을 일 예로 한다.The
손통과부재(300)는 베이스 놀이판부재(200)의 하부면에 손 통과구멍(200a)의 외측 둘레로 장착되어 고정되어 손통로가 손 통과구멍(200a)의 하부 측에 위치될 수 있다.The
즉, 사용자는 공부재(100)를 손으로 잡은 후 복수의 손 통과구멍(200a)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손을 손 통과구멍(200a)과 손통과부재(300)를 통과시킴으로써 놀이할 수 있다.That is, the user can play by holding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손 운동용 놀이 기구는 손통과부재(300)를 통과한 볼이 통과될 수 있는 복수의 볼 통과구멍(400a)이 위치된 보조 놀이판부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and exercise play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보조 놀이판부재(40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손통과부재(300)를 통과한 볼이 통과되는 복수의 볼 통과구멍(400a)이 구비된 것으로, 사용자는 손통과부재(300)의 출구로 나온 손에서 볼을 놓음으로써 볼 통과구멍(400a)을 통해 볼을 통과시킬 수 있게 된다.The auxiliary
보조 놀이판부재(400)는 지지대부재(500)로 베이스 놀이판부재(200)에 연결된다.The auxiliary
지지대부재(500)는 일단부가 베이스 놀이판부재(200)의 하부면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보조 놀이판부재(400)의 상면에 고정되어 베이스 놀이판부재(200)와 보조 놀이판부재(400)를 연결한다.One end of the
지지대부재(50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베이스 놀이판부재(200)와 보조 놀이판부재(400)의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The
지지대부재(500)는 베이스 놀이판부재(200)와 보조 놀이판부재(400)의 양 측에 각각 위치되어 베이스 놀이판부재(200)와 보조 놀이판부재(400)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The
지지대부재(500)는 베이스 놀이판부재(200)와 보조 놀이판부재(400) 중 어느 한 측에 고정되는 제1 지지부(510), 베이스 놀이판부재(200)와 보조 놀이판부재(400) 중 다른 한 측에 고정되며 제1 지지부(5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지지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지지대부재(500)는 제2 지지부(520)의 위치를 고정하고, 제2 지지부(520)가 이동 가능하도록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위치 고정구(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제1 지지부(510)는 제2 지지부(520)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동 삽입부가 위치되고, 위치 고정구(530)는 제1 지지부(510)에 체결되어 이동 삽입부 내에서 제2 지지부(520)를 가압하여 제2 지지부(52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세트 스크류인 것을 일 예로 한다.The
지지대부재(500)는 세트 스크류를 풀고 제2 지지부(520)를 이동시켜 베이스 놀이판부재(200)와 보조 놀이판부재(400)의 사이 간격을 조절한 뒤 세트 스크류를 조여 제2 지지부(520)의 위치를 고정시킴으로 조절된 간격으로 베이스 놀이판부재(200)와 보조 놀이판부재(400)가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The
사용자는 공부재(100)를 손으로 잡은 후 복수의 손 통과구멍(200a)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손을 손 통과구멍(200a)과 손통과부재(300)를 통과시킨 다음 복수의 볼 통과구멍(400a) 중 하나를 선택하여 볼을 놓아 선택한 볼 통과구멍(400a)으로 통과시킴으로써 놀이할 수 있다.The user grabs th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손 운동용 놀이 기구의 다른 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손 운동용 놀이 기구의 다른 한 실시예에서 손통과 판부재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hand exercise play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 coupling structure of the hand barrel and the plate member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hand exercise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enlarged cross section.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손 운동용 놀이 기구는 베이스 놀이판부재(200)에 위치되어 각 손 통과구멍(200a)을 구분할 수 있게 표시하는 복수의 제1 구멍표시부재(600), 보조 놀이판부재(400)에 위치되어 각 볼 통과구멍(400a)을 구분할 수 있게 표시하는 복수의 제2 구멍표시부재(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and 3, the hand exercise play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n the base
제1 구멍표시부재(600)와 제2 구멍표시부재(700)는 숫자로 손 통과구멍(200a)과 볼 통과구멍(400a)을 구분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For example, the first
또한, 볼 통과구멍(400a)은 손 통과구멍(200a)보다 많은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ll through
일 예로, 도 2에서 손 통과구멍(200a)이 5개이고, 볼 통과구멍(400a)이 8개로 구비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고, 이에 5개의 손 통과구멍(200a)은 1 ~ 5의 숫자가 각각 표시된 5개의 제1 구멍표시부재(600)로 구분하고, 볼 통과구멍(400a)은 1 ~ 8의 숫자가 표시된 제2 구멍표시부재(700)로 구분할 수 있다.For example, FIG. 2 illustrates that five hand through
사용자는 번호로 구분된 손 통과구멍(200a) 중 하나의 번호를 선택하고, 번호로 구분된 볼 통과구멍(400a) 중 하나의 번호를 선택하여 선택한 번호의 손 통과구멍(200a)을 통해 공부재(100)를 잡은 손을 통과시키고, 선택한 번호의 볼 통과구멍(400a)으로 공부재(100)를 통과시킬 수 있다.The user selects the number of one of the
또한, 놀이 치료를 안내하는 치료 안내사가 손 통과구멍(200a) 중 하나의 번호를 지정하고, 볼 통과구멍(400a) 중 하나의 번호를 선택하여 지정할 수 있고, 사용자는 치료 안내사가 지정한 번호의 손 통과구멍(200a)으로 공부재(100)를 잡은 손을 통과시키고, 치료 안내사가 지정한 번호의 볼 통과구멍(400a)으로 공부재(100)를 통과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treatment guide for guiding play therapy may designate a number of one of the hand passage holes 200a and select one of the ball through
공부재(100)의 표면에는 구분된 복수의 손 통과구멍(200a)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손통과표시(110), 구분된 복수의 볼 통과구멍(400a)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볼통과표시(120)가 각각 표시될 수 있다.On the surface of the
일 예로 공부재(100)의 표면에 1 ~ 5의 숫자 중 어느 하나의 숫자 및 1 ~ 8의 숫자 중 어느 하나의 숫자가 표시될 수 있고, 1-1, 1-2, 1-3, 1??4, 1??5, 1??6, 1-7, 1-8, 2-1, 2-2, 2-3, 2??4, 2??5, 2??6, 2-7, 2-8, 3-1, 3-2, 3-3, 3??4, 3??5, 3??6, 3-7, 3-8, 4-1, 4-2, 4-3, 4??4, 4??5, 4??6, 4-7, 4-8, 5-1, 5-2, 5-3, 5??4, 5??5, 5??6, 5-7, 5-8 등으로 표시되는 다수의 공부재(100)가 준비될 수 있다.For example, any one of the numbers of 1 to 5 and any number of the numbers of 1 to 8 may be displayed on the surface of the
사용자는 공부재(100)의 표면에 표시된 손통과표시(110)에 대응되는 손 통과구멍(200a)으로 공부재(100)를 잡은 손을 통과시킨 후 공부재(100)의 표면에 표시된 볼통과표시(120)에 대응되는 볼 통과구멍(400a)으로 공부재(100)를 통과시킬 수 있다.The user passes the hand holding the
제1 구멍표시부재(600)는 베이스 놀이판부재(200)에 분리 가능하게 위치되고, 제2 구멍표시부재(700)는 보조 놀이판부재(400)에 분리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다.The first
베이스 놀이판부재(200)에는 제1 구멍표시부재(60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복수의 표시 삽입부(200b)가 위치될 수 있고, 제1 구멍표시부재(600)는 표시 삽입부(200b)에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베이스 놀이판부재(200)에 분리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다.The base
표시 삽입부(200b)의 양쪽 내측면에는 끼움홈부(200c)가 각각 위치되고, 제1 구멍표시부재(600)의 양측면에는 끼움홈부(200c)에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돌기(610)가 각각 위치될 수 있다.The
표시 삽입부(200b)는 베이스 놀이판부재(200)의 일측으로 개방되는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고, 제1 구멍표시부재(600)는 표시 삽입부(200b)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The
이 때 끼움돌기(610)부가 끼움홈부(200c)에 끼워져 결합되면서 제1 구멍표시부재(600)가 표시 삽입부(200b) 내에 고정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또한, 보조 놀이판부재(400)의 상면에는 제2 구멍표시부재(700)를 자력으로 부착시킬 수 있는 자석부(410)가 위치될 수 있고, 제2 구멍표시부재(700)는 자석부(410)에 자력으로 부착될 수 있는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자성체는 자석부(410)에 자력으로 부착될 수 있는 자석 또는 금속 재질인 것을 일 예로 한다.For example, the magnetic material may be a magnet or a metal material that may be magnetically attached to the
즉, 제2 구멍표시부재(700)는 자력으로 보조 놀이판부재(400)에 분리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다.That is, the second
제1 구멍표시부재(600)는 베이스 놀이판부재(200)에서 분리되어 복수의 손 통과구멍(200a)에 대한 표시를 변경하여 베이스 놀이판부재(200)에 결합될 수 있고, 제2 구멍표시부재(700)는 복수의 볼 통과구멍(400a)에 대한 표시를 변경하여 보조 놀이판부재(400)에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즉, 본 발명에 따른 손 운동용 놀이 기구는 복수의 손 통과구멍(200a)을 구분하는 표시를 변경하고, 복수의 볼 통과구멍(400a)을 구분하는 표시를 변경함으로써 더 다양한 놀이를 가능하게 하고, 인지 능력과 기억 능력을 향상시키는 치료에 대한 효과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That is, the hand exercise play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a more diverse play by changing the display for distinguishing the plurality of hand passage holes (200a), and the display for distinguishing the plurality of ball through holes (400a). In addition, the effects on treatments that improve cognitive and memory abilities can be further enhanc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손 운동용 놀이 기구는 상부에 보조 놀이판부재(40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복수의 볼 통과구멍(400a)을 통과한 공부재(100)가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된 공수거함부재(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and exercise play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공수거함부재(800)는 복수의 볼 통과구멍(400a)에 대응되는 복수의 볼수거공간이 복수의 구획판(810)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In the
각 볼 통과구멍(400a)을 통과한 공부재(100)는 복수의 구획판(810)에 의해 구분된 각 볼수거공간에 구분되어 수거될 수 있다.The
일 예로, 볼 통과구멍(400a)이 8개인 경우 공수거함부재(800)의 내부에는 복수의 구획판(810)에 의해 8개의 볼수거공간이 구분되어 위치되어 각 볼 통과구멍(400a)에 각 볼수거공간이 대응되게 위치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re are eight ball through
공수거함부재(800)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내부를 확인할 수 있어 각 볼수거공간에 공부재(100)가 수거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공수거함부재(800)는 상면이 개방된 함체 형상을 가지고, 상부 측에 보조 놀이판부재(400)가 각각 결합될 수 있는 슬라이드홈(820)이 서로 마주보고 위치되고, 슬라이드홈(820)은 적어도 일측으로 개방된 형태를 가진다.
즉, 보조 놀이판부재(400)는 공수거함부재(800)의 상부 측에 위치된 슬라이드홈(820)으로 결합시켜 공수거함부재(800)의 개방된 상부를 덮게 되고, 복수의 볼 통과구멍(400a)이 각 볼수거공간에 대응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That is, the auxiliary
베이스 놀이판부재(200)는 손 통과구멍(200a)이 위치되고 손통과부재(300)가 하부면에 연결되어 위치된 복수의 손통과판부재(210), 손통과판부재(21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부(221)가 이격되게 위치되는 베이스판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se
손통과판부재(210)는 베이스판부재(220)에서 분리되어 사용자의 손 크기에 맞는 것으로 교체될 수 있고, 손통과부재(300)가 손상된 경우 교체되어 교체되어 간단하게 수리할 수 있다.The hand passing
결합부(221) 내에는 손통과판부재(210)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부재(222)가 위치될 수 있다.In the
또한, 손통과판부재(210)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걸림돌기(211)가 돌출되고, 결합부(221)의 내주면에는 상부로 개방되고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걸림돌기(211)가 삽입되어 상, 하 이동되는 제1 결합용 슬릿(221a), 제1 결합용 슬릿(221a)의 하단부에서 제1 결합용 슬릿(221a)과 연결되고 결합부(221)의 내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걸림돌기(211)가 삽입되어 좌, 우 이동되는 제2 결합용 슬릿(221b), 제2 결합용 슬릿(221b)의 단부 측에서 상부 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걸림돌기(211)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221c)이 위치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locking
또한, 손통과판부재(210)의 상부면에는 회전용 돌기부(212)가 돌출되거나 회전용 홈부가 형성되어 작업자가 도구 등을 이용하여 손통과판부재(21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hand passing
손통과판부재(210)는 걸림돌기(211)를 제1 결합용 슬릿(221a)에 위치시킨 후 하강되고, 회전되어 걸림돌기(211)가 걸림홈(221c)에 위치됨으로써 베이스판부재(220)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된다.The hand passing
이 때 손통과판부재(210)는 스프링부재(222)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상부면이 베이스판부재(220)의 상부면에 일치되게 위치되고, 걸림돌기(211)가 걸림홈(221c)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된다.At this time, the hand passing
손통과판부재(210)를 하강시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걸림돌기(211)를 제2 결합용 슬릿(221b)을 통해 제1 결합용 슬릿(221a)으로 위치시키면 손통과판부재(210)는 스프링부재(22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승강되면서 결합부(221)의 상부 측으로 일부분 돌출되게 위치된다.The hand passing
즉, 사용자 또는 치료 안내사는 손통과판부재(210)를 용이하게 분리하고, 다시 결합시킬 수 있다.That is, the user or therapist can easily separate and recombine the han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손의 힘을 이용하여 공을 지정된 위치로 보내는 놀이를 통해 손의 근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몸의 전체적인 근육들의 운동과 균형 감각을 향상시킨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strength of the hand through the play to send the ball to the designated position by using the power of the hand, and improve the movement and balance of the overall muscles of the bod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소근육 활동을 통해 눈과 손의 협응력과 양손 협응력을 향상시킨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eye-hand coordination and two-hand coordination through the small muscle activity of the us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다양한 질감을 제공하여 감각능력을 증진시키고, 몸 감각을 통합한 감각 자극을 통해 뇌기능 활성화를 통해 뇌기능 활성화를 도모하여 인지적 능력을 향상시킨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ariety of texture to the user to enhance the sensory ability, through the sensory stimulation integrated the body senses through the brain function activation to promote the brain function to improve the cognitive abilit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행시간동안 집중해서 지정된 위치로 공부재(100)를 보내야 하므로 지구력을 향상시키고, 공부재(100)를 보낼 위치를 찾는 과정에서 지남력과 실행능력을 향상시킨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100: 공부재 110: 손통과표시
120: 볼통과표시 200: 베이스 놀이판부재
200a: 손 통과구멍 200b: 표시 삽입부
200c: 끼움홈부 210: 손통과판부재
211: 걸림돌기 220: 베이스판부재
221: 결합부 221a: 제1 결합용 슬릿
221b: 제2 결합용 슬릿 221c: 걸림홈
222: 스프링부재 300: 손통과부재
400: 보조 놀이판부재 400a: 볼 통과구멍
410: 자석부 500: 지지대부재
510: 제1 지지부 520: 제2 지지부
530: 위치 고정구 600: 제1 구멍표시부재
610: 끼움돌기 700: 제2 구멍표시부재
800: 공수거함부재 810: 구획판
820: 슬라이드홈100: study material 110: hand passage
120: ball pass indication 200: base play board member
200a:
200c: fitting groove 210: hand passing plate member
211: engaging projection 220: base plate member
221:
221b:
222: spring member 300: hand passing member
400: auxiliary
410: magnet portion 500: support member
510: first support portion 520: second support portion
530: position fixing tool 600: first hole display member
610: fitting protrusion 700: second hole display member
800: air collection box member 810: partition plate
820: slide groove
Claims (9)
상기 공부재를 잡은 손을 통과시킬 수 있는 복수의 손 통과구멍이 형성된 베이스 놀이판부재 및
상기 베이스 놀이판부재에 연결되어 위치되고, 손 통과구멍과 연결되어 상기 공부재를 잡은 손이 통과되는 손통로가 길이 방향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신축성있는 재질로 제조된 손통과부재
를 포함하는 손 운동용 놀이 기구.Study materials held by users,
A base play board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hand passing holes through which a hand holding the study material can be passed;
The hand passage member, which is connected to the base play board member and is connected to the hand passage hole and is connected to the hand passage hole, through which the hand holding the study material passes, is formed through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Hand exercise equipment including.
상기 손통과부재를 통과한 볼이 통과될 수 있는 복수의 볼 통과구멍이 위치된 보조 놀이판부재를 더 포함하는 손 운동용 놀이 기구.In claim 1,
And an auxiliary play plate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ball passing holes through which the ball passing through the hand passing member can pass.
상기 베이스 놀이판부재와 상기 보조 놀이판부재를 연결하는 지지대부재를 더 포함하는 손 운동용 놀이 기구.In claim 2,
And a support member for connecting the base play board member and the auxiliary play board member.
상기 베이스 놀이판부재에 위치되어 각 상기 손 통과구멍을 구분할 수 있게 표시하는 복수의 제1 구멍표시부재 및
상기 보조 놀이판부재에 위치되어 각 상기 볼 통과구멍을 구분할 수 있게 표시하는 복수의 제2 구멍표시부재
를 더 포함하는 손 운동용 놀이 기구.In claim 2,
A plurality of first hole display members positioned in the base play board member to display each of the hand passing holes so as to be distinguishable;
A plurality of second hole display members positioned in the auxiliary play board member to display each ball through hole so as to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Hand exercise equipment including more.
상기 공부재의 표면에는 구분된 복수의 상기 손 통과구멍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손통과표시, 구분된 복수의 상기 볼 통과구멍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볼통과표시가 각각 표시되는 손 운동용 놀이 기구.In claim 2,
And a hand passage display for displaying any one of the plurality of hand passage holes, and a ball passage display for displaying one of the plurality of divided ball passage holes, respectively, on the surface of the study material.
상부에 상기 보조 놀이판부재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복수의 상기 볼 통과구멍을 통과한 상기 공부재가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된 공수거함부재를 더 포함하는 손 운동용 놀이 기구.In claim 2,
And an air collecting box member having a space in which the auxiliary play board member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and a space in which the study material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ball through holes is located.
상기 공수거함부재는, 상면이 개방된 함체 형상을 가지고, 상부 측에 상기 보조 놀이판부재가 각각 결합될 수 있는 슬라이드홈이 서로 마주보고 위치되고, 상기 슬라이드홈은 적어도 일측으로 개방된 형태를 가지는 손 운동용 놀이 기구.In claim 6,
The air collecting box member has an open shape having an upper surface, a slide groove to which the auxiliary play plate member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is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and the slide groove has a shape having an open shape to at least one side. Athletic rides.
상기 베이스 놀이판부재는 손 통과구멍이 위치되고 상기 손통과부재가 하부면에 연결되어 위치된 복수의 손통과판부재 및
상기 손통과판부재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부가 이격되게 위치되는 베이스판부재를 포함하는 손 운동용 놀이 기구.In claim 1,
The base play board member includes a plurality of hand passing plate members having a hand passing hole and the hand passing member connected to a lower surface thereof.
And a base plate member spaced apart from the plurality of coupling parts to which the hand passing plate member is detachably coupled.
상기 손통과판부재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걸림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결합부 내에는 상기 손통과판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부재가 위치되고,
상기 결합부의 내주면에는 상부로 개방되고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상, 하 이동되는 제1 결합용 슬릿, 상기 제1 결합용 슬릿의 하단부에서 제1 결합용 슬릿과 연결되고 상기 결합부의 내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좌, 우 이동되는 제2 결합용 슬릿, 상기 제2 결합용 슬릿의 단부 측에서 상부 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이 위치되는 손 운동용 놀이 기구.In claim 8,
A plurality of locking projections protrud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and passing plate member,
A spring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hand passing plate member is located in the coupling porti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is opened upwardly and i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engag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slit,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coupling slit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upling slit, a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oupling portion The second movement slit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insert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move left and right, protruding from the end side of the second coupling slit to the upper side is a hand movement in which the locking groove is inserted Dragon rid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2936A KR102052906B1 (en) | 2018-03-21 | 2018-03-21 | Play apparatus for exercise of han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2936A KR102052906B1 (en) | 2018-03-21 | 2018-03-21 | Play apparatus for exercise of han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10907A KR20190110907A (en) | 2019-10-01 |
KR102052906B1 true KR102052906B1 (en) | 2019-12-06 |
Family
ID=68208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32936A Active KR102052906B1 (en) | 2018-03-21 | 2018-03-21 | Play apparatus for exercise of han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52906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50026430A (en) | 2023-08-17 | 2025-02-25 |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 Total Line Drawing Kit For Improving Fine Motor By Developmental Stag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12024B1 (en) | 1999-03-19 | 2001-11-03 | 이명종 | room of jade fomentation |
KR101097514B1 (en) | 2011-09-20 | 2011-12-22 | 문현재 | Footrest for prefabricated play bench for childre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15993B1 (en) | 2007-10-02 | 2009-09-10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Functional Ozami amusement exercise equipment |
KR20120113418A (en) * | 2011-04-05 | 2012-10-15 | 서정수 | Child ball insertion the play panel |
KR101405706B1 (en) | 2012-06-27 | 2014-06-10 |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 Passive and Active Exercise-trainable Biofeedback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of Upper Limb |
-
2018
- 2018-03-21 KR KR1020180032936A patent/KR10205290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12024B1 (en) | 1999-03-19 | 2001-11-03 | 이명종 | room of jade fomentation |
KR101097514B1 (en) | 2011-09-20 | 2011-12-22 | 문현재 | Footrest for prefabricated play bench for childre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50026430A (en) | 2023-08-17 | 2025-02-25 |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 Total Line Drawing Kit For Improving Fine Motor By Developmental Stag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10907A (en) | 2019-10-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292889B1 (en) | Compliant bimanual rehabilitation device and method of use thereof | |
JP3174809U (en) | Multipurpose exercise equipment | |
US20090111660A1 (en) | Rehabilitation and exercise apparatus | |
KR200484175Y1 (en) | Rehabilitation exercise equipment | |
US5454774A (en) | Goal oriented learning device | |
KR102052906B1 (en) | Play apparatus for exercise of hand | |
US20090111657A1 (en) | Rehabilitation and exercise apparatus | |
Oh et al. | TEACHING FUNCTIONAL FITNESS TO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
KR100869178B1 (en) | Pelvic Muscle Strengthening Equipment | |
KR20170001582U (en) | Exercise apparatus for Core muscle's strength and stretching | |
CN106139534A (en) | A kind of rehabilitation training is excellent and includes the device for healing and training that this rehabilitation training is excellent | |
CN106730621B (en) | A kind of portable whole body chest expander | |
WO2017095130A2 (en) | Equipment for muscle stimulation and strength development for elderly person's health | |
KR101419187B1 (en) | Arm exercising apparatus for rotator cuff | |
TW202303541A (en) | Mixed-reality guided exercise training system | |
KR200276266Y1 (en) | Exercise Apparatus of Strengthening Pelvic muscles for Curing and Protecting Urinary incontinence | |
US20240316396A1 (en) | Multi-purpose exercise apparatus for group therapy | |
CN216571416U (en) | Shank exerciser is used in track and field events training | |
CN216798639U (en) | Dizzy trainer is prevented in dance | |
TWM539928U (en) | Hand rehabilitation structure | |
EP4353215A1 (en) | Anti-stress and/or hand rehabilitation device | |
CN221692720U (en) | A special finger training device for ICU postoperative patients | |
RU189167U1 (en) | Simulator-bits for classes on the development of motor functions of the hands in patients of the neurological clinic | |
CN115054880A (en) | Leg pressing device for aerobics exercises | |
KR101556230B1 (en) | rehabilitation device combined with game fun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5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0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2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12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