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0229B1 - 근접 센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근접 센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50229B1 KR102050229B1 KR1020130069025A KR20130069025A KR102050229B1 KR 102050229 B1 KR102050229 B1 KR 102050229B1 KR 1020130069025 A KR1020130069025 A KR 1020130069025A KR 20130069025 A KR20130069025 A KR 20130069025A KR 102050229 B1 KR102050229 B1 KR 1020502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light
- intensity
- reflected light
- resistance valu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8/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optical means
- G01V8/1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형 전자 장치의 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형 전자 장치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접 센서 장치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접 센서 장치의 회로 구현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 검출부의 수동소자 회로의 저항에 따른 근접 감지 거리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접 센싱 방법에 대한 흐름도
Claims (18)
- 구동 신호에 기반하여 광신호를 출력하는 광 출력부;
주변광에 의한 조도의 세기에 따라 저항값을 조절하고, 상기 출력된 광신호가 오브젝트에 의해 반사되는 반사광을 검출하는 광 검출부; 및
상기 광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반사광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반사광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산출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구동 신호와 제1 위상차를 가지는 제1 신호와 상기 검출된 반사광 신호를 기반으로 제1 검출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구동 신호와 제2 위상차를 가지는 제2 신호와 상기 검출된 반사광 신호를 기반으로 제2 검출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제1 검출 신호 및 상기 제2 검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반사광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센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신호는 적외선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센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검출부는 조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상기 주변광에 의한 조도의 세기를 수신하는 근접 센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검출부는 상기 검출된 반사광의 직류값을 이용하여 상기 주변 광의 조도의 세기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센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주변광의 조도의 세기와 상기 저항값과 상기 반사광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이용하여 상기 근접 센서 장치로부터 상기 오브젝트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센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출력부는,
광신호를 방출하는 LED; 및
상기 구동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상기 LED를 구동시켜 상기 LED를 통해 주기적인 광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LED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센서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 검출부는,
반사광에 의해 유입되는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반사광 신호를 검출하는 PD; 및
상기 PD의 포화 정도와 수신 감도를 조절하는 수동소자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센서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소자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주변광의 조도의 세기가 미리 정해진 세기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항의 저항값을 증가시키고, 상기 주변광의 조도의 세기가 미리 정해진 세기보다 큰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항의 저항값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센서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소자 회로는,
상기 PD와 병렬 연결된 제1 저항과 상기 PD와 직렬 연결된 제2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주변광의 조도의 세기가 미리 정해진 세기보다 크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저항의 제1 저항값보다 작은 제2 저항값을 가지는 상기 제2 저항의 상기 제2 저항값을 증가시키고, 상기 주변광의 조도의 세기가 미리 정해진 세기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저항의 상기 제2 저항값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센서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구동 신호와 동일한 기준 신호를 수신하여 위상차가 0도인 정현파 형태의 상기 제1 신호와 위상차가 90도인 정현파 형태의 상기 제2 신호를 출력하는 PLL 모듈;
검출된 반사광 신호와 상기 제1 신호를 곱하여 상기 제1 검출 신호를 출력하고, 검출된 반사광 신호와 상기 제2 신호를 곱하여 상기 제2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제1 곱셈기 모듈 및 제2 곱셈기 모듈;
상기 제1 곱셈기 모듈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1 검출 신호 및 제2 곱셈기 모듈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2 검출 신호 각각에서 높은 주파수 대역의 노이즈를 제거하고, 낮은 주파수 대역의 상기 제1 검출 신호 및 상기 제2 검출 신호를 통과시키는 제1 LPF 및 제2 LPF; 및
상기 제1 LPF 를 통과한 제1 검출 신호 및 상기 제2 LPF 를 통과한 제2 검출 신호의 크기(Magnitude)와 위상(Phase)값을 산출하고, 상기 주변광의 조도 세기, 상기 수동소자 회로의 저항값, 상기 제1 LPF 를 통과한 제1 검출 신호 및 상기 제2 LPF 를 통과한 제2 검출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이용하여 상기 오브젝트와 상기 근접 센서 장치간의 거리를 계산하는 연산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센서 장치.
- 구동 신호에 기반하여 광신호를 출력하는 동작;
주변광에 의한 조도의 세기에 따라 광 검출부의 저항값을 조절하는 동작;
오브젝트에 의해 반사되는 반사광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과,
상기 구동 신호와 제1 위상차를 가지는 제1 신호와 상기 검출된 반사광 신호를 기반으로 제1 검출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구동 신호와 제2 위상차를 가지는 제2 신호와 상기 검출된 반사광 신호를 기반으로 제2 검출 신호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제1 검출 신호 및 상기 제2 검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반사광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산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센싱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신호는 적외선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센싱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광의 조도의 세기와 상기 저항값과 상기 반사광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이용하여 근접 센서 장치로부터 상기 오브젝트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센싱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 검출부의 저항값을 조절하는 동작은,
상기 주변광의 조도의 세기가 미리 정해진 세기보다 크지 않은 경우 상기 광 검출부의 저항값을 증가시키고, 상기 주변광의 조도의 세기가 미리 정해진 세기보다 큰 경우, 상기 광 검출부의 저항값을 감소시키는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센싱 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69025A KR102050229B1 (ko) | 2013-06-17 | 2013-06-17 | 근접 센서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69025A KR102050229B1 (ko) | 2013-06-17 | 2013-06-17 | 근접 센서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46393A KR20140146393A (ko) | 2014-12-26 |
KR102050229B1 true KR102050229B1 (ko) | 2020-01-08 |
Family
ID=52675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69025A Expired - Fee Related KR102050229B1 (ko) | 2013-06-17 | 2013-06-17 | 근접 센서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50229B1 (ko)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30129A (ja) * | 1993-02-02 | 1994-08-19 | Sokkia Co Ltd | 光波距離計 |
JPH098740A (ja) * | 1995-06-16 | 1997-01-10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受光回路装置 |
US8030914B2 (en) * | 2008-12-29 | 2011-10-04 | Motorola Mobility, Inc. |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self-calibrating proximity sensors |
US8692200B2 (en) * | 2010-01-06 | 2014-04-08 |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 Optical proximity sensor with improved dynamic range and sensitivity |
-
2013
- 2013-06-17 KR KR1020130069025A patent/KR102050229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46393A (ko) | 2014-12-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81817B1 (ko) | 디지타이저 모드 전환 방법 | |
KR102051908B1 (ko) |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 장치 및 방법 | |
KR102067019B1 (ko) | 휴대 단말기의 충전 경로 제어 장치 및 방법 | |
KR102051418B1 (ko) | 영상에 포함된 객체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그리고 영상 입력 장치 | |
KR102141155B1 (ko) | 모바일 장치의 상태에 대응하는 변경된 숏컷 아이콘을 제공하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KR101990567B1 (ko) | 외부 입력 장치와 결합된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AU2019246927A1 (en) |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hovering input effect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102072016B1 (ko) |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40076261A (ko) | 펜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단말 및 방법 | |
AU2014287980B2 (en) | Portable device for providing combined UI componen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KR20140137848A (ko) | 배터리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과 사용자 단말 | |
AU2014201875B2 (en) | Method of controlling touch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 |
KR20150004123A (ko) |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멀티윈도우 제어방법 | |
KR20140147647A (ko) |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에서 그립 센싱을 이용한 제어 방법 | |
KR20150008277A (ko) | 전자문서를 공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들 | |
CN103823609A (zh) | 通过接近触摸输入提供用户接口的方法和设备 | |
US20140281962A1 (en) | Mobile device of executing action in display unchecking mod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KR102186815B1 (ko) | 컨텐츠 스크랩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 |
KR20140143052A (ko) | 멀티 레벨 드라이버를 구비한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기기 | |
KR20150008948A (ko) | 휴대형 전자 장치 및 휴대형 전자 장치에서 배터리 잔량 정보 제공 방법 | |
KR102091710B1 (ko) | 좌표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KR102115727B1 (ko) | 하이브리드 위젯을 제공하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US20140348334A1 (en) |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detecting earphone connection | |
KR102050229B1 (ko) | 근접 센서 장치 및 방법 | |
US20150102670A1 (en) | Method for operating booting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1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5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6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4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1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11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