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49763B1 - 척추 수술용 최소침습 시술기구 - Google Patents

척추 수술용 최소침습 시술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9763B1
KR102049763B1 KR1020180131002A KR20180131002A KR102049763B1 KR 102049763 B1 KR102049763 B1 KR 102049763B1 KR 1020180131002 A KR1020180131002 A KR 1020180131002A KR 20180131002 A KR20180131002 A KR 20180131002A KR 102049763 B1 KR102049763 B1 KR 102049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tip
support
rotary button
rotat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1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헌
김낙환
오세준
김인범
Original Assignee
유앤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앤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앤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1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97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76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or setting implements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e.g.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74Tools specially adapted for spinal fixation operations other than for bone removal or filler handling
    • A61B17/7083Tools for guidance or insertion of tethers, rod-to-anchor connectors, rod-to-rod connectors, or longitudinal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holding wounds open, e.g. retractors; Tractors
    • A61B17/02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holding wounds open, e.g. retractors; Tractor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3Steerable
    • A61B2017/00318Steer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holding wounds open, e.g. retractors; Tractors
    • A61B17/025Joint distractors
    • A61B2017/0256Joint distractors for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2017/3454Details of ti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Pathology (AREA)
  • Prosthe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 길이의 중공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탄성 재질의 제1와이어가 내설되며, 일측 단부가 경사진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일측 단부 전방에 상기 지지부와 일직선으로 배치되고, 전단이 뾰족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와이어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의 일측 단부와 대향하는 면이 상기 일측 단부와 대응되게 경사진 팁부; 상기 지지부와 팁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와 팁부를 힌지 결합시키는 힌지부; 상기 지지부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와이어의 타단이 고정되며,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1와이어가 감기고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1와이어가 풀리도록 이루어진 회전식 버튼; 및 상기 지지부, 팁부의 뾰족한 전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 힌지부의 외측 및 회전식 버튼의 일부를 감싸도록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식 버튼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팁부가 소정 각도로 회동하고, 상기 회전식 버튼을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팁부가 원상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수술용 최소침습 시술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척추 수술용 최소침습 시술기구{MINIMALLY INVASIVE INSTRUMENT FOR SPINE SURGERY}
본 발명은 척추 수술용 최소침습 시술기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실시간으로 기구의 끝범위(end-range)의 움직임을 해부학적 위치에 따라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정밀한 디스크 주변의 치료를 가능하게 하는 척추 수술용 최소침습 시술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척추는 천추골을 제외하고 통상 24개의 뼈로 이루어져 각각의 뼈 사이에는 디스크라 불리는 관절에 의해 연결되어 척추를 지지하며 완충작용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를 통하여 척추는 인간의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도와줄 뿐만 아니라, 운동의 토대가 되며 내장 기관을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비정상적인 자세가 오랫동안 유지되거나, 노화에 따른 퇴행성 질환 또는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게 되면 척추 뼈 마디의 디스크가 손상되어 척추 디스크 질환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척추 디스크 질환은 척추 뼈마디를 통해 인체의 각 부분에 연결되는 신경이 압박되어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척추 디스크 환자는 척추 뼈의 손상된 부분이 눌리거나 압박되지 않도록 손상된 부위의 디스크를 제거하고, 중공형의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인공 보조물(케이지)에 뼈 조각을 채워 디스크를 제거한 부위에 삽입한 다음, 손상된 디스크 상하부위의 척추 뼈에 척추경 나사못을 삽입 고정한 후, 척추경 나사못에 로드를 연결하여 척추 뼈 사이의 거리를 확보함으로써 골 유합(fusion)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식이 시행되고 있다.
이러한 척추 수술은 손상된 척추 부위의 피부를 절개하고, 손상된 디스크를 제거하거나 그대로 둔 다음, 척추경 나사못을 손상된 디스크 상하부의 척추뼈에 삽입 고정한 후, 로드를 연결한 다음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 디스크를 척추경 나사못에 결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술 방식은 수술시간을 줄일 수 있으면서 수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반면에, 침습 부위가 커서 환자의 회복을 지연시키고 상처로 인한 수술 만족도가 낮기 때문에 최근에는 척추 수술 시 침습 부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최소 침습 수술(Minimally invasive surgery) 기법들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최소 침습 수술은 손상된 디스크의 상하 부위의 척추 뼈에 척추경 나사못을 삽입할 때 환자의 피부를 절개하지 않고, 환자의 피부에 캐뉼라(canula)를 꽂은 다음 캐뉼라 내부로 척추경 나사못을 삽입하여 척추 뼈에 삽입 고정하고, 캐뉼라를 통해 로드를 삽입한 후 볼트를 헤드부로 삽입하여 고정하는 방법 등으로 수행되고 있으며, 여기에서 사용되는 로드는 바(bar)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캐뉼라를 통해 로드를 삽입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로드의 형상을 변경시키거나 또는 로드를 삽입하기 위한 다양한 수술 기구를 개발함으로써 로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최소 침습적 척추 시술 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척추뼈에 삽입된 척추경 나사못(10)에 홀딩 조립체(20)를 연결하여 로드(40)가 삽입될 수 있는 경로를 형성한 다음, 로드 홀더(30)의 일단에 로드(40)를 파지하여 홀딩 조립체(20)에 의해 형성된 경로를 통해 로드(40)를 삽입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서는 의사가 로드 홀더(30)를 쥐고 수술부위로 로드(40)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척추경 나사못(10)에 연결된 홀딩 조립체(20)가 흔들리거나, 또는 의사의 자세가 흔들리는 경우에는 로드(40)의 삽입 방향을 정확하게 제어하기 어려워 척추경 나사못(10)에 로드(40)를 정확하게 안착시키기 어렵고, 이에 따라 로드(40)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조직이나 주변 신경을 손상시키거나 상처를 입혀 수술 후 환자에게 큰 고통을 안겨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387163 B1 (2014.04.29.공고)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실시간으로 기구의 끝범위(end-range)의 움직임을 해부학적 위치에 따라 적용할 수 있게 하여 보다 정밀한 디스크 주변의 치료를 가능하게 하는 척추 수술용 최소침습 시술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상 조직의 침범을 최소화하고 병변 원인을 직접 제거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척추 수술용 최소침습 시술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정 길이의 중공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제1와이어가 내설되며, 일측 단부가 경사진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일측 단부 전방에 상기 지지부와 일직선으로 배치되고, 전단이 뾰족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와이어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의 일측 단부와 대향하는 면이 상기 일측 단부와 대응되게 경사진 팁부; 상기 지지부와 팁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와 팁부를 힌지 결합시키는 힌지부; 상기 지지부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와이어의 타단이 고정되며,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1와이어가 감기고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1와이어가 풀리도록 이루어진 회전식 버튼; 및 상기 지지부, 팁부의 뾰족한 전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 힌지부의 외측 및 회전식 버튼의 일부를 감싸도록 이루어진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식 버튼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팁부가 소정 각도로 회동하고, 상기 회전식 버튼을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팁부가 원상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수술용 최소침습 시술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회전식 버튼의 외주 둘레에는 상기 제1와이어가 끼워져 감기도록 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힌지부는 상기 팁부 쪽에 형성되는 홈 형태의 고정부와, 상기 지지부 쪽에 상기 고정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와이어가 회전식 버튼에 감긴 상태에서는 상기 고정부와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회전식 버튼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고정부와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상기 고정부에 결합부가 결합된 경우 고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고정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기구는 일단이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는 제2와이어와, 상기 지지부의 외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2와이어의 타단이 연결된 고정버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와이어를 당기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팁부가 일정각도로 회동하도록 함으로써, 실시간으로 기구의 끝범위(end-range)의 움직임을 해부학적 위치에 따라 적용할 수 있게 하여 보다 정밀한 디스크 주변의 치료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최소 침습적 척추 시술 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척추 수술용 최소침습 시술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채용된 힌지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고정부와 결합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b)는 고정부와 결합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서 팁부가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척추 수술용 최소침습 시술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와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척추 수술용 최소침습 시술기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채용된 힌지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고정부와 결합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b)는 고정부와 결합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2에서 팁부가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척추 수술용 최소침습 시술기구는, 지지부, 팁부, 힌지부, 회전식 버튼, 케이스 및 고정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지지부(110)는 금속이나 폴리머 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소정 길이를 가지고 중공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 단부가 경사져서 이루어진다. 상기 금속은 스테인리스 합금 또는 티타늄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폴리머는 열경화성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110)의 내부에는 제1와이어(W1)가 내설되되, 제1와이어(W1)의 일단은 후술할 팁부(120)에 연결되고, 제1와이어(W1)의 타단은 후술할 회전식 버튼에 고정된다.
팁부는 지지부의 일측 단부 전방에 지지부와 일직선으로 배치되고, 전단이 뾰족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1와이어의 일단이 연결되고, 지지부의 일측 단부와 대향하는 면이 상기 일측 단부와 대응되게 경사져서 이루어진다.
힌지부(130)는 지지부(110)와 팁부(1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110)와 팁부(120)를 힌지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팁부(120) 쪽에 형성되는 홈 형태의 고정부(132)와, 지지부(110) 쪽에 고정부(13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1와이어(W1)가 회전식 버튼(140)에 감긴 상태에서는 고정부(132)와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며 회전식 버튼(140)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고정부(132)와 결합하는 결합부(1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회전식 버튼은 지지부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고, 제1와이어의 타단이 고정되며,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와이어가 감기고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와이어가 풀리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회전식 버튼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팁부가 소정 각도로 회동하고, 회전식 버튼을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팁부가 원상복귀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식 버튼의 외주 둘레에는 제1와이어가 끼워져 감기도록 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회전식 버튼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현될 수도 있고, 노브(knob) 형태로도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처럼 회전식 버튼을 노브 형태로 구현하는 경우 제1와이어가 감기고 풀리도록 하는 구성은 주지관용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케이스(150)는 지지부(110), 팁부(120)의 뾰족한 전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 힌지부(130)의 외측 및 회전식 버튼의 일부를 감싸도록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플렉시블한 재질로서 실리콘이 사용될 수 있다.
고정기구(160)는 고정부(132)에 결합부(134)가 결합된 경우 고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단이 결합부에 연결되는 제2와이어(W2)와, 지지부(110)의 외측에 설치되되 제2와이어(W2)의 타단이 연결된 고정버튼(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회전식 버튼에 형성된 끼움홈에 제1와이어가 감기도록 회전식 버튼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고정부에 결합부를 결합시키는 동안에는 고정버튼(B)이 오프 상태로서 제2와이어(W2)가 이완되어 있고, 고정부(134)에 결합부(136)가 결합된 후에는 고정버튼(B)을 온 상태로 하여 제2와이어(W2)가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최소침습 시술기구 110 : 지지부
120 : 팁부 130 : 힌지부
132 : 고정부 134 : 결합부
140 : 회전식 버튼 150 : 케이스
160 : 고정기구 W1 : 제1와이어
W2 : 제2와이어

Claims (4)

  1. 소정 길이의 중공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제1와이어가 내설되며, 일측 단부가 경사진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일측 단부 전방에 상기 지지부와 일직선으로 배치되고, 전단이 뾰족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와이어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의 일측 단부와 대향하는 면이 상기 일측 단부와 대응되게 경사진 팁부;
    상기 지지부와 팁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와 팁부를 힌지 결합시키는 힌지부;
    상기 지지부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와이어의 타단이 고정되며,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1와이어가 감기고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1와이어가 풀리도록 이루어진 회전식 버튼; 및
    상기 지지부, 팁부의 뾰족한 전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 힌지부의 외측 및 회전식 버튼의 일부를 감싸도록 이루어진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식 버튼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팁부가 소정 각도로 회동하고, 상기 회전식 버튼을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팁부가 원상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수술용 최소침습 시술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버튼의 외주 둘레에는 상기 제1와이어가 끼워져 감기도록 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수술용 최소침습 시술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팁부 쪽에 형성되는 홈 형태의 고정부와,
    상기 지지부 쪽에 상기 고정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와이어가 회전식 버튼에 감긴 상태에서는 상기 고정부와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회전식 버튼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고정부와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수술용 최소침습 시술기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 결합부가 결합된 경우 고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고정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기구는 일단이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는 제2와이어와,
    상기 지지부의 외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2와이어의 타단이 연결된 고정버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수술용 최소침습 시술기구.
KR1020180131002A 2018-10-30 2018-10-30 척추 수술용 최소침습 시술기구 Active KR102049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002A KR102049763B1 (ko) 2018-10-30 2018-10-30 척추 수술용 최소침습 시술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002A KR102049763B1 (ko) 2018-10-30 2018-10-30 척추 수술용 최소침습 시술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9763B1 true KR102049763B1 (ko) 2019-11-28

Family

ID=68730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1002A Active KR102049763B1 (ko) 2018-10-30 2018-10-30 척추 수술용 최소침습 시술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976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933B1 (ko) * 2010-10-13 2013-02-13 유앤아이 주식회사 내부 루멘을 구비한 전기적 외과 시술장치
KR101257379B1 (ko) * 2011-12-01 2013-04-23 한국과학기술원 관절구동장치
KR101387163B1 (ko) 2006-04-11 2014-04-29 신세스 게엠바하 최소 침습적 고정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163B1 (ko) 2006-04-11 2014-04-29 신세스 게엠바하 최소 침습적 고정 시스템
KR101232933B1 (ko) * 2010-10-13 2013-02-13 유앤아이 주식회사 내부 루멘을 구비한 전기적 외과 시술장치
KR101257379B1 (ko) * 2011-12-01 2013-04-23 한국과학기술원 관절구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25700B1 (en) Spinal implant system
US9861496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spinal implant and fusion
US8870878B2 (en) Minimally invasive retractor and methods of use
US20070191856A1 (en) Adjustable height spinal distractor
JP7137736B2 (ja) 連接ロッド挿入体
JPH07178116A (ja) 脊椎を経皮的に固定する方法及びその方法に使用されるキット並びに椎根ねじ
WO2009083583A1 (en) Percutaneous interspinous process spacer
JP6864620B2 (ja) 骨ねじ
CN105682613B (zh) 具有由销驱动的接合臂的棘突间植入物
JP2018519977A (ja) 骨要素の固定用インプラント
WO2013009986A1 (en) Flexible guide tube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12336721B2 (en) Surgical instrument and method
KR101111666B1 (ko) 최소 침습적 척추수술장치
KR102049759B1 (ko) 척추 수술용 최소침습 시술기구
KR102049763B1 (ko) 척추 수술용 최소침습 시술기구
KR100908892B1 (ko) 뼈골절치료용시술기구
CN110225717B (zh) 微创手术系统、设备和方法
US11109894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spinal vertebrae stabilization
CN204581366U (zh) 脊柱尾端加压微创撑开器
CN106618705B (zh) 一种活动连接椎弓根螺钉
KR20210026056A (ko) 의료용 플레이트 드릴가이드
KR20240020446A (ko) 미세 침습용 인공뼈 및 이를 이용한 삽입방법
US20200093527A1 (en) Surgical fixation assembly and methods of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902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3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6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1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