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49732B1 -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9732B1
KR102049732B1 KR1020120077145A KR20120077145A KR102049732B1 KR 102049732 B1 KR102049732 B1 KR 102049732B1 KR 1020120077145 A KR1020120077145 A KR 1020120077145A KR 20120077145 A KR20120077145 A KR 20120077145A KR 102049732 B1 KR102049732 B1 KR 102049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 pattern
gate
wiring
substrate
lay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7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0634A (ko
Inventor
최원준
백세준
남성림
서범식
오혁
전효일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7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9732B1/ko
Priority to EP14179374.5A priority patent/EP2813885B1/en
Priority to EP12197342.4A priority patent/EP2687901B1/en
Priority to US13/723,549 priority patent/US9235085B2/en
Priority to CN201210599163.7A priority patent/CN103543561B/zh
Publication of KR20140010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0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73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54Arrangements for aligning or assembling substrat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영역과 비표시영역 및 상기 비표시영역 내의 씰패턴 영역을 갖고 서로 마주하는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에 형성되며 상기 씰패턴 영역에 제 1 씰패턴 홈을 갖는 보호층과; 상기 제 2 기판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씰패턴 홈의 양끝 각각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씰패턴 홈에 대응하여 제 2 씰패턴 홈을 형성하는 제 1 및 제 2 댐과; 상기 제 1 기판에 형성되는 화소전극과; 상기 제 1 기판 및 상기 제 2 기판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공통전극과;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층과; 일단이 상기 제 1 씰패턴 홈에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씰패턴 홈에 삽입되는 씰패턴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씰패턴을 위한 가이드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씰패턴 형성 시 설계 공차를 줄일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네로우 베젤을 구현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사회가 본격적인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대량의 정보를 처리 및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최근에는 특히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의 우수한 성능을 지닌 평판표시장치로서 액정표시장치가 개발되어 기존의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 CRT)을 대체하고 있다.
액정표시장치 중에서는 각 화소(pixel)별로 전압의 온(on), 오프(off)를 조절할 수 있는 스위칭 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가 구비된 어레이 기판을 포함하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가 해상도 및 동영상 구현능력이 뛰어나 주목받고 있다.
도 1은 종래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A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는 스위칭 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Tr)와 화소전극(50) 등이 형성되는 제 1 기판(10), 공통 전극(66) 등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기판(10)과 마주하는 제 2 기판(60),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10, 60)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층(70) 및 상기 액정층(70)을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10, 60)을 합착하는 씰패턴(8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기판(10)에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영역(DR)과 상기 표시영역 주변의 비표시영역(NDR)이 정의되어 있으며, 상기 씰패턴(80)은 상기 비표시영역(NDR)에 위치한다.
상기 제 1 기판(10)에는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의 스위칭을 위해 게이트 배선 (미도시) 및 데이터 배선(미도시)이 형성되며, 상기 게이트 배선 및 상기 데이터 배선에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구동부가 상기 제 1 기판(10)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구동부와 외부구동회로의 연결을 위해 상기 제 2 기판(60)은 상기 제 1 기판(10)보다 작은 크기를 갖고 상기 제 1 기판(10)의 적어도 일측을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는 상기 게이트 배선에 연결되는 게이트 전극(14), 상기 게이트 전극(14)을 덮는 게이트 절연막(20), 상기 게이트 절연막(20) 상에 위치하며 순수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액티브층(22a)과 불순물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오믹콘택층(22b)으로 구성되는 반도체층(22), 상기 반도체층(22) 상에 위치하며 상기 데이터 배선에 연결되는 소스 전극(32) 및 상기 반도체층(22) 상에 위치하고 상기 소스 전극(32)으로부터 이격되는 드레인 전극(34)을 포함한다.
상기 드레인 전극(34)을 노출하는 드레인 콘택홀(42)을 갖는 보호층(40)이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를 덮으며 형성되고, 상기 보호층(40) 상에는 상기 드레인 콘택홀(42)을 통해 상기 드레인 전극(34)에 연결되는 화소전극(50)이 형성된다. 상기 화소전극(50)은 상기 게이트 배선 및 상기 데이터 배선의 교차에 의해 정의되는 화소영역(P) 내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제 1 기판(10)과 마주하는 상기 제 2 기판(60)에는 상기박막트랜지스터(Tr), 상기 게이트 배선, 상기 데이터 배선 등을 가리기 위한 블랙매트릭스(62)와, 상기 화소영역(P)에 대응되는 컬러필터층(64) 및 상기 화소전극(50)과 전계를 형성하기 위한 공통전극(66)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10, 60)의 사이, 즉 상기 화소전극(50)과 상기 공통전극(66) 사이에는 상기 액정층(70)이 위치하며, 상기 화소전극(50)과 상기 공통전극(66) 사이에 형성되는 전계에 의해 상기 액정층(70)의 액정분자가 구동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비표시영역(NDR)에는 상기 액정층(70)의 누설을 방지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10, 60)을 합착하기 위한 씰패턴(80)이 형성된다. 상기 씰패턴(80)은 그 일단이 상기 보호층(40)과 접촉하고 그 타단이 상기 제 2 기판(60)과 접촉하고 있다.
상기 씰패턴(80)은 씰런트(sealant)를 디스펜서(dispenser)에 의해 상기 제 1 기판(10) 또는 상기 제 2 기판(60)에 형성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씰패턴(80)의 형성 공정에서 원하는 위치로부터 벗어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씰패턴의 위치 편차를 보여주는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펜서(미도시)가 제 1 위치(PO1)에 위치한 상태에서 씰런트가 도포되면 씰패턴(80)이 원하는 위치에 형성되나,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펜서가 상기 제 1 위치(PO1)으로부터 벗어나 제 2 위치(PO2) 또는 제 3 위치(PO3)에 위치한 상태에서 씰런트가 도포되거나 합착 공정에서 씰런트의 퍼짐 편차가 발생함으로써 씰패턴(80)가 원하는 위치로부터 벗어나 형성된다.
이러한 편차를 고려하여 씰런트(80)를 형성하기 위한 영역을 편차(DV)만큼 증가시켜야 하며 이에 따라 비표시영역(NDR)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액정표시장치에서 요구되는 네로우 베젤(narrow bezel) 구현을 저해하게 된다.
본 발명은 씰패턴의 형성될 위치를 결정하는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씰패턴의 위치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네로우 베젤을 갖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표시영역과 비표시영역 및 상기 비표시영역 내의 씰패턴 영역을 갖고 서로 마주하는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에 형성되며 상기 씰패턴 영역에 제 1 씰패턴 홈을 갖는 보호층과; 상기 제 2 기판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씰패턴 홈의 양끝 각각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씰패턴 홈에 대응하여 제 2 씰패턴 홈을 형성하는 제 1 및 제 2 댐과; 상기 제 1 기판에 형성되는 화소전극과; 상기 제 1 기판 및 상기 제 2 기판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공통전극과;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층과; 일단이 상기 제 1 씰패턴 홈에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씰패턴 홈에 삽입되는 씰패턴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 상에서 서로 교차하여 상기 표시영역 내에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과; 상기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 각각으로부터 상기 비표시영역으로 연장되는 게이트 링크 배선 및 데이터 링크 배선과; 상기 게이트 배선 및 상기 데이터 배선에 연결되고 상기 화소영역 내에 위치하며, 상기 보호층 하부에 위치하는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배선 및 상기 게이트 링크 배선은 상기 제 1 기판 상에 위치하고, 상기 게이트 배선 및 상기 게이트 링크 배선을 덮는 게이트 절연막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배선 및 상기 데이터 링크 배선은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위치하고, 상기 보호층은 상기 표시영역에서 제 1 두께를 갖고 상기 씰패턴 영역에서 상기 제 1 두께보다 작은 제 2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상기 제 2 두께를 갖는 하부층과 상기 하부층 상에 위치하는 상부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층은 산화실리콘 또는 질화실리콘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층은 포토아크릴 또는 벤조사이클로부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배선과 상기 게이트 링크 배선 및 상기 데이터 링크 배선은 상기 제 1 기판 상에 위치하고, 상기 게이트 배선과 상기 게이트 링크 배선 및 상기 데이터 링크 배선을 덮는 게이트 절연막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배선은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위치하며 상기 게이트 절연막에 형성되는 데이터 배선 콘택홀을 통해 상기 데이터 링크 배선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씰패턴 홈을 통해 상기 게이트 링크 배선 및 상기 데이터 링크 배선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박막트랜지스터는 상기 게이트 배선에 연결되는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전극을 덮는 게이트 절연막,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위치하며 순수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액티브층과 불순물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오믹콘택층을 포함하는 반도체층, 상기 반도체층 상에 위치하며 상기 데이터 배선에 연결되는 소스 전극 및 상기 반도체층 상에 위치하고 상기 소스 전극으로부터 이격되는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배선과 상기 데이터 배선 및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에 대응하는 블랙매트릭스와, 상기 화소영역에 대응하는 컬러필터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댐 각각은 상기 컬러필터층과 동일물질로 이루어지고 동일층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판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기판 및 상기 제 2 기판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댐 각각은 상기 스페이서와 동일물질로 이루어지고 동일층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부기판에 형성되는 보호층을 식각하여 씰패턴이 위치하는 홈을 형성함으로써 씰런트의 디스펜서 위치에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씰패턴의 위치에는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씰패턴이 형성되는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네로우 베젤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보호층에 홈에 형성함에 있어, 보호층의 일부만을 식각함으로써 하부의 데이터 링크 배선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호층 및 그 하부의 게이트 절연막을 모두 제거하여 홈을 형성함으로써 씰패턴의 두께를 증가시키고 폭을 감소시킴으로써 비표시영역의 면적을 보다 감소시킬 수 있으며, 데이터 링크 배선을 게이트 배선과 동일한 층에 형성함으로써 씰패턴의 두께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씰패턴의 위치 편차 발생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5는 도 4의 V-V선을 따라 절단한 부분의 단면도.
도 6은 도 4의 VI-VI선을 따라 절단한 부분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화소영역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9는 도 8의 IX-IX선을 따라 절단한 부분의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X-X선을 따라 절단한 부분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화소영역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V-V선을 따라 절단한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VI-VI선을 따라 절단한 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화소영역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는 스위칭 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Tr)와 화소전극(150) 등이 형성되는 제 1 기판(110), 공통 전극(166) 등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기판(110)과 마주하는 제 2 기판(160),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110, 160)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층(180) 및 상기 액정층(180)을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110, 160)을 합착하는 씰패턴(19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기판(110)에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영역(DR)과 상기 표시영역 주변의 비표시영역(NDR)이 정의되어 있으며, 상기 씰패턴(190)은 상기 비표시영역(NDR)에 위치하는 씰패턴 영역(미도시)에 형성된다.
상기 제 1 기판(110)에는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의 스위칭을 위해 게이트 배선 (112) 및 데이터 배선(130)이 형성되며, 상기 게이트 배선(112) 및 상기 데이터 배선(130)에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구동부가 상기 제 1 기판(110)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구동부와 외부구동회로의 연결을 위해 상기 제 2 기판(160)은 상기 제 1 기판(110)보다 작은 크기를 갖고 상기 제 1 기판(110)의 적어도 일측을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표시영역(DR)에는 상기 게이트 배선(112)과 상기 데이터 배선(130)이 교차함으로써 다수의 화소영역(P)이 정의되며, 상기 화소영역(P) 각각에는 스위칭 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Tr)와 화소전극(150)이 형성된다.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는 상기 게이트 배선(112)에 연결되는 게이트 전극(114), 상기 게이트 전극(114)을 덮는 게이트 절연막(120), 상기 게이트 절연막(120) 상에 위치하며 순수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액티브층(122a)과 불순물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오믹콘택층(122b)으로 구성되는 반도체층(122), 상기 반도체층(122) 상에 위치하며 상기 데이터 배선(130)에 연결되는 소스 전극(132) 및 상기 반도체층(122) 상에 위치하고 상기 소스 전극(132)으로부터 이격되는 드레인 전극(134)을 포함한다.
상기 드레인 전극(134)을 노출하는 드레인 콘택홀(142)을 갖는 보호층(140)이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를 덮으며 형성되고, 상기 보호층(140) 상에는 상기 드레인 콘택홀(142)을 통해 상기 드레인 전극(134)에 연결되는 화소전극(150)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기판(110)의 일측에 위치하는 비표시영역(NDR)에는, 상기 게이트 배선(112)으로부터 연장되는 게이트 링크 배선(116) 및 상기 게이트 링크 배선(116) 끝에 연결되는 게이트 패드(118)가 형성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화소전극(150)과 동일물질로 이루어지고 동일층에 위치하며 상기 게이트 패드(118)에 연결되는 게이트 패드 전극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120) 및 상기 보호층(140)은 상기 게이트 링크 배선(118)을 덮으며 적층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기판(110)의 타측에 위치하는 비표시영역(NDR)에는, 상기 데이터 배선(130)으로부터 연장되는 데이터 링크 배선(136) 및 상기 데이터 링크 배선(136) 끝에 연결되는 데이터 패드(138)가 형성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화소전극(150)과 동일물질로 이루어지고 동일층에 위치하며 상기 데이터 패드(138)에 연결되는 데이터 패드 전극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120)은 상기 데이터 링크 배선(138)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보호층(140)은 상기 데이터 링크 배선(138)을 덮고 있다.
이때, 상기 게이트 링크 배선(116) 및 상기 데이터 링크 배선(136)에 대응하여 상기 보호층(140)의 일부가 식각됨으로써 상기 씰패턴 영역(미도시)에 제 1 씰패턴 홈(144)이 형성된다. 즉, 상기 보호층(140)이 제 1 두께를 갖는 경우, 상기 제 1 씰패턴 홈(144)에 있어 상기 보호층(140)은 상기 제 1 두께보다 작은 제 2 두께를 갖는다. 다시 말해, 상기 보호층(140)은 상기 씰패턴 영역에서 상기 제 1 기판(110)으로부터 제 1 높이를 갖고 다른 영역에서 상기 제 1 기판(110)으로부터 상기 제 1 높이보다 큰 제 2 높이를 갖는다.
이때, 상기 보호층(140)의 식각 공정은 상기 보호층(140)을 완전히 제거하여 상기 드레인 콘택홀(142)을 형성하기 위한 공정과 상기 보호층(140)의 일부만을 제거하여 상기 제 1 씰패턴 홈(144)을 형성하기 위한 공정으로 진행될 수 있다.
한편, 공정 효율을 위해 하프톤 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보호층(140)을 식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투과부와 차단부 및 반투과부를 갖는 마스크를 이용하는 마스크 공정을 진행함으로써, 상기 투과부에 대응하여 상기 보호층(140)을 완전히 제거하고 상기 반투과부에 대응하여 상기 보호층(140)을 일부 식각한다.
한편, 상기 보호층(140)을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상기 제 1 씰패턴 홈(144)을 통해 상기 게이트 절연막(120) 및 상기 데이터 링크 배선(136)이 노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데이터 링크 배선(136)이 상기 보호층(140)의 식각 공정에 노출됨으로써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보호층(140)의 일부만을 식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내지 도 7에서 보호층(140)이 단일층 구조인 것을 보이고 있으나, 상기 보호층(140)을 이중층으로 구성하고 상부층만을 식각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산화실리콘 또는 질화실리콘과 같은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하부층과 포토아크릴 또는 벤조사이클로부텐과 같은 유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상부층을 적층하여 보호층(140)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층을 남기고 상기 상부층을 식각하여 상기 제 1 씰패턴 홈(144)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기판(110)과 마주하는 상기 제 2 기판(160)에는 상기박막트랜지스터(Tr), 상기 게이트 배선(112), 상기 데이터 배선(130) 등을 가리기 위한 블랙매트릭스(162)와, 상기 화소영역(P)에 대응되는 컬러필터층(164) 및 상기 화소전극(150)과 전계를 형성하기 위한 공통전극(166)이 형성된다. 상기 블랙매트릭스(162)와 상기 컬러필터층(164)은 생략되거나 상기 제 1 기판(110)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공통전극(166)이 상기 화소전극(150)과 함께 상기 제 1 기판(110)에 형성되어 수평 전계 또는 프린지 필드를 형성하는 구조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표시영역(DR)에는 셀갭을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172)가 형성되며, 상기 비표시영역(NDR)에는 상기 제 1 씰패턴 홈(144)의 양단에 대응하여 제 1 및 제 2 댐(176, 178)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 1 씰패턴 홈(144)에 대응하는 제 2 씰패턴 홈(174)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댐(176, 178)은 상기 스페이서(172)와 동일물질로 이루어지고 동일층에 형성될 있으며, 상기 스페이서(172)와 상기 제 1 및 제 2 댐(176, 178)이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하기 위하여 반투과 마스크 공정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 댐(176, 178)은 상기 컬러필터층(164)과 동일층에 동일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컬러필터층(164)이 적색, 녹색, 청색 컬러필터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이중 어느 하나의 물질로 단일층의 제 1 및 제 2 댐(176, 178)을 형성하거나 적색, 녹색 및 청색 컬러필터 패턴 중 적어도 둘을 적층하여 이중층 또는 삼중층의 제 1 및 제 2 댐(176, 178)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댐(176, 178)은 상기 씰패턴(190)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 복수개가 서로 이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110, 160) 사이, 즉 상기 화소전극(150)과 상기 공통전극(166) 사이에는 상기 액정층(180)이 위치하며, 상기 화소전극(150)과 상기 공통전극(166) 사이에 형성되는 전계에 의해 상기 액정층(180)의 액정분자가 구동된다.
상기 비표시영역(NDR)에는 상기 액정층(180)의 누설을 방지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110, 160)을 합착하기 위한 씰패턴(190)이 형성된다. 상기 씰패턴(190)은 그 일단이 상기 보호층(140)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씰패턴 홈(144)에 삽입되고 그 타단이 상기 제 1 및 제 2 댐(176, 178) 사이의 상기 제 2 씰패턴 홈(174)에 삽입된다. 즉, 상기 제 1 및 제 2 댐(176, 178) 사이 거리는 상기 씰패턴(190)의 폭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디스펜서(미도시)가 원하지 않는 제 2 위치(도 3b의 PO2) 또는 제 3 위치(도 3c의 PO3)에 위치한 상태에서 씰런트가 도포되더라도, 합착 공정이 진행되면 상기 씰패턴(190)은 상기 제 1 및 제 2 씰런트 홈(144, 174)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디스펜서의 위치 또는 합착 공정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씰패턴(190)의 위치 편차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공정 오차를 고려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표시영역의 면적을 줄일 수 있다. 즉, 네로우 베젤의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네로우 베젤의 구현을 위해서는 씰패턴의 폭을 감소시켜야 한다. 디스펜서를 이용하여 도포되는 씰런트의 양을 줄여 씰패턴의 폭을 감소시킬 수 있으나 한계가 있다. 즉, 셀갭을 유지하면서 씰패턴의 폭을 감소시키기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씰패턴의 폭을 더욱 감소시키며 액정표시장치 전체에서 씰패턴의 두께를 균일하게 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IX-IX선을 따라 절단한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X-X선을 따라 절단한 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화소영역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는 스위칭 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Tr)와 화소전극(250) 등이 형성되는 제 1 기판(210), 공통 전극(266) 등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기판(210)과 마주하는 제 2 기판(260),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210, 260)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층(280) 및 상기 액정층(280)을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210, 260)을 합착하는 씰패턴(29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기판(210)에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영역(DR)과 상기 표시영역 주변의 비표시영역(NDR)이 정의되어 있으며, 상기 씰패턴(290)은 상기 비표시영역(NDR)에 위치하는 씰패턴 영역(미도시)에 형성된다.
상기 제 1 기판(210)에는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의 스위칭을 위해 게이트 배선 (212) 및 데이터 배선(230)이 형성되며, 상기 게이트 배선(212) 및 상기 데이터 배선(230)에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구동부가 상기 제 1 기판(210)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구동부와 외부구동회로의 연결을 위해 상기 제 2 기판(260)은 상기 제 1 기판(210)보다 작은 크기를 갖고 상기 제 1 기판(210)의 적어도 일측을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표시영역(DR)에는 상기 게이트 배선(212)과 상기 데이터 배선(230)이 교차함으로써 다수의 화소영역(P)이 정의되며, 상기 화소영역(P) 각각에는 스위칭 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Tr)와 화소전극(250)이 형성된다.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는 상기 게이트 배선(212)에 연결되는 게이트 전극(214), 상기 게이트 전극(214)을 덮는 게이트 절연막(220), 상기 게이트 절연막(220) 상에 위치하며 순수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액티브층(222a)과 불순물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오믹콘택층(222b)으로 구성되는 반도체층(222), 상기 반도체층(222) 상에 위치하며 상기 데이터 배선(230)에 연결되는 소스 전극(232) 및 상기 반도체층(222) 상에 위치하고 상기 소스 전극(232)으로부터 이격되는 드레인 전극(234)을 포함한다.
상기 드레인 전극(234)을 노출하는 드레인 콘택홀(242)을 갖는 보호층(240)이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를 덮으며 형성되고, 상기 보호층(240) 상에는 상기 드레인 콘택홀(242)을 통해 상기 드레인 전극(234)에 연결되는 화소전극(250)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기판(210)의 일측에 위치하는 비표시영역(NDR)에는, 상기 게이트 배선(212)으로부터 연장되는 게이트 링크 배선(216) 및 상기 게이트 링크 배선(216) 끝에 연결되는 게이트 패드(218)가 형성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화소전극(250)과 동일물질로 이루어지고 동일층에 위치하며 상기 게이트 패드(218)에 연결되는 게이트 패드 전극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220) 및 상기 보호층(240)은 상기 게이트 링크 배선(218)을 덮으며 적층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기판(210)의 타측에 위치하는 비표시영역(NDR)에는, 상기 데이터 배선(230)에 연결되는 데이터 링크 배선(236) 및 상기 데이터 링크 배선(236) 끝에 연결되는 데이터 패드(238)가 형성된다. 상기 데이터 배선(230)은 데이터 배선 콘택홀(224)을 통해 상기 데이터 링크 배선(236)과 연결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화소전극(250)과 동일물질로 이루어지고 동일층에 위치하며 상기 데이터 패드(238)에 연결되는 데이터 패드 전극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220) 및 상기 보호층(240)은 상기 데이터 링크 배선(238)을 덮으며 적층되어 있다.
이때, 상기 게이트 링크 배선(216) 및 상기 데이터 링크 배선(236)에 대응하여 상기 보호층(240) 및 상기 게이트 절연막(220)이 완전히 제거됨으로써 제 1 씰패턴 홈(244)이 형성된다. 즉, 상기 씰패턴(290)이 형성될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보호층(240) 및 상기 게이트 절연막(220)이 완전히 제거되어 상기 제 1 씰패턴 홈(244)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씰패턴 홈(244)을 통해 상기 게이트 링크 배선(216) 및 상기 데이터 링크 배선(236)이 노출된다.
이와 같이, 보호층(240)과 게이트 절연막(220)을 완전히 제거하여 제 1 씰패턴 홈(244)을 형성하게 되면, 씰패턴(290)의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일정한 양의 씰런트가 도포되는 경우, 두께 증가에 의해 그 폭이 감소하게 되어 네로우 베젤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보호층(240) 및 게이트 절연막(220)을 완전히 제거하여 제 1 씰패턴 홈(244)을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 데이터 링크 배선(236)이 데이터 배선(230)으로부터 연장되어, 즉 데이터 배선(230)과 동일층에 위치하게 되면, 게이트 링크 배선(216)에 대응한 제 1 씰패턴 홈(244)과 데이터 링크 배선(236)에 대응한 제 1 씰패턴 홈(244)은 그 깊이가 서로 다르게 된다.
즉, 게이트 링크 배선(216)에 대응한 제 1 씰패턴 홈(244)에 있어서는 제 1 기판(210) 상에 게이트 링크 배선(216)만이 적층되는 반면, 데이터 링크 배선(236)에 대응한 제 1 씰패턴 홈(244)에 있어서는 제 1 기판(210) 상에 게이트 절연막(220)과 데이터 링크 배선(236)이 적층된다. 따라서, 게이트 링크 배선(216)에 대응한 제 1 씰패턴 홈(244)과 데이터 링크 배선(236)에 대응한 제 1 씰패턴 홈(244)은 그 깊이가 서로 다르게 되며, 씰패턴(290)의 두께 편차가 발생하여 일부 영역에서 제 1 및 제 2 기판(210, 260)이 완전히 합착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에서는, 보호층(240)과 게이트 절연막(220)을 완전히 제거하여 제 1 씰패턴 홈(244)을 형성하면서 데이터 링크 배선(236)을 게이트 링크 배선(216)과 동일층에 형성함으로써 제 1 씰패턴 홈(244)의 깊이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보호층(240)과 게이트 절연막(220)을 완전히 제거하여 제 1 씰패턴 홈(244)을 형성함으로써 씰패턴(290)의 폭을 감소시켜 네로우 베젤을 구현하는 동시에 데이터 링크 배선(236)을 게이트 링크 배선(216)과 동일층에 형성함으로써 씰패턴(290)의 두께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기판(210)과 마주하는 상기 제 2 기판(260)에는 상기박막트랜지스터(Tr), 상기 게이트 배선(212), 상기 데이터 배선(230) 등을 가리기 위한 블랙매트릭스(262)와, 상기 화소영역(P)에 대응되는 컬러필터층(264) 및 상기 화소전극(250)과 전계를 형성하기 위한 공통전극(266)이 형성된다. 상기 블랙매트릭스(262)와 상기 컬러필터층(264)은 생략되거나 상기 제 1 기판(210)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표시영역(DR)에는 셀갭을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272)가 형성되며, 상기 비표시영역(NDR)에는 상기 제 1 씰패턴 홈(244)의 양단에 대응하여 제 1 및 제 2 댐(276, 278)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 1 씰패턴 홈(244)에 대응하는 제 2 씰패턴 홈(274)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댐(276, 278)은 상기 스페이서(272)와 동일물질로 이루어지고 동일층에 형성될 있으며, 상기 스페이서(272)와 상기 제 1 및 제 2 댐(276, 278)이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하기 위하여 반투과 마스크 공정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 댐(276, 278)은 상기 컬러필터층(264)과 동일층에 동일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컬러필터층(264)이 적색, 녹색, 청색 컬러필터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이중 어느 하나의 물질로 단일층의 제 1 및 제 2 댐(276, 278)을 형성하거나 적색, 녹색 및 청색 컬러필터 패턴 중 적어도 둘을 적층하여 이중층 또는 삼중층의 제 1 및 제 2 댐(276, 278)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댐(276, 278)은 상기 씰패턴(290)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 복수개가 서로 이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210, 260) 사이, 즉 상기 화소전극(250)과 상기 공통전극(266) 사이에는 상기 액정층(280)이 위치하며, 상기 화소전극(250)과 상기 공통전극(266) 사이에 형성되는 전계에 의해 상기 액정층(280)의 액정분자가 구동된다.
한편, 상기 공통전극(266)이 상기 화소전극(250)과 함께 상기 제 1 기판(210)에 형성되어 수평 전계 또는 프린지 필드를 형성하는 구조일 수도 있다.
상기 비표시영역(NDR)에는 상기 액정층(280)의 누설을 방지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210, 260)을 합착하기 위한 씰패턴(290)이 형성된다. 상기 씰패턴(290)은 그 일단이 상기 보호층(240) 및 상기 게이트 절연막(220)을 통해 형성되는 상기 제 1 씰패턴 홈(244)에 삽입되고 그 타단이 상기 제 1 및 제 2 댐(276, 278) 사이의 상기 제 2 씰패턴 홈(274)에 삽입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디스펜서(미도시)가 원하지 않는 제 2 위치(도 3b의 PO2) 또는 제 3 위치(도 3c의 PO3)에 위치한 상태에서 씰런트가 도포되더라도, 합착 공정이 진행되면 상기 씰패턴(290)은 상기 제 1 및 제 2 씰런트 홈(244, 274)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디스펜서의 위치 또는 합착 공정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씰패턴(290)의 위치 편차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공정 오차를 고려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표시영역의 면적을 줄일 수 있다. 즉, 네로우 베젤의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씰패턴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구조를 추가하여 씰패턴의 위치 오차를 방지함으로써 네로우 베젤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씰패턴의 두께 증가, 즉 씰패턴의 폭을 감소시켜 베젤의 폭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으며, 씰패턴의 두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씰패턴 두께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상하 기판의 합착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210: 제 1 기판            160, 260: 제 2 기판
112, 212: 게이트 배선 116, 216: 게이트 링크 배선
130, 230: 데이터 배선 136, 236: 데이터 링크 배선
140, 240: 보호층 144, 244: 제 1 씰패턴 홈
174, 274: 제 2 씰패턴 홈 176, 276: 제 1 댐
178, 278: 제 2 댐 190, 290: 씰패턴

Claims (18)

  1. 표시영역과 비표시영역 및 상기 비표시영역 내의 씰패턴 영역을 갖고 서로 마주하는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에 형성되며 상기 씰패턴 영역에 제 1 씰패턴 홈을 갖는 보호층과;
    상기 제 2 기판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씰패턴 홈의 양끝 각각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씰패턴 홈에 대응하여 제 2 씰패턴 홈을 형성하는 제 1 및 제 2 댐과;
    상기 제 1 기판에 형성되는 화소전극과;
    상기 제 1 기판 및 상기 제 2 기판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공통전극과;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층과;
    일단이 상기 제 1 씰패턴 홈에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씰패턴 홈에 삽입되는 씰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은 상기 표시영역에서 제 1 두께를 갖고 상기 씰패턴 영역에서 상기 제 1 두께보다 작은 제 2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 1 및 제 2 댐 사이 거리는 상기 씰패턴의 폭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 상에서 서로 교차하여 상기 표시영역 내에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과;
    상기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 각각으로부터 상기 비표시영역으로 연장되는 게이트 링크 배선 및 데이터 링크 배선과;
    상기 게이트 배선 및 상기 데이터 배선에 연결되고 상기 화소영역 내에 위치하며, 상기 보호층 하부에 위치하는 박막트랜지스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배선 및 상기 게이트 링크 배선은 상기 제 1 기판 상에 위치하고,
    상기 게이트 배선 및 상기 게이트 링크 배선을 덮는 게이트 절연막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배선 및 상기 데이터 링크 배선은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상기 제 2 두께를 갖는 하부층과 상기 하부층 상에 위치하는 상부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층은 산화실리콘 또는 질화실리콘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층은 포토아크릴 또는 벤조사이클로부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6. 표시영역과 비표시영역 및 상기 비표시영역 내의 씰패턴 영역을 갖고 서로 마주하는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 상에서 서로 교차하여 상기 표시영역 내에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과;
    상기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 각각으로부터 상기 비표시영역으로 연장되는 게이트 링크 배선 및 데이터 링크 배선과;
    상기 게이트 배선, 상기 데이터 배선, 상기 게이트 링크 배선, 상기 데이터 링크 배선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씰패턴 영역에 제 1 씰패턴 홈을 갖는 보호층과;
    상기 제 2 기판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씰패턴 홈의 양끝 각각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씰패턴 홈에 대응하여 제 2 씰패턴 홈을 형성하는 제 1 및 제 2 댐과;
    상기 제 1 기판에 형성되는 화소전극과;
    상기 제 1 기판 및 상기 제 2 기판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공통전극과;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층과;
    일단이 상기 제 1 씰패턴 홈에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씰패턴 홈에 삽입되는 씰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 배선과 상기 게이트 링크 배선 및 상기 데이터 링크 배선은 게이트 절연막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데이터 배선은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위치하며 상기 게이트 절연막에 형성되는 데이터 배선 콘택홀을 통해 상기 데이터 링크 배선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씰패턴 홈에서 상기 씰패턴이 상기 데이터 링크 배선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씰패턴 홈을 통해 상기 게이트 링크 배선 및 상기 데이터 링크 배선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트랜지스터는 상기 게이트 배선에 연결되는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전극을 덮는 게이트 절연막,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위치하며 순수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액티브층과 불순물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오믹콘택층을 포함하는 반도체층, 상기 반도체층 상에 위치하며 상기 데이터 배선에 연결되는 소스 전극 및 상기 반도체층 상에 위치하고 상기 소스 전극으로부터 이격되는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9. 제 2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배선과 상기 데이터 배선에 대응하는 블랙매트릭스와, 상기 화소영역에 대응하는 컬러필터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댐 각각은 상기 컬러필터층과 동일물질로 이루어지고 동일층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1.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판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기판 및 상기 제 2 기판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댐 각각은 상기 스페이서와 동일물질로 이루어지고 동일층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씰패턴 홈에서 상기 보호층은 상기 데이터 링크 배선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표시영역과 비표시영역 및 상기 비표시영역 내의 씰패턴 영역을 갖는 기판과;
    상기 표시영역에 위치하는 게이트 배선과;
    상기 게이트 배선으로부터 상기 비표시영역으로 연장되는 게이트 링크 배선과;
    상기 비표시영역에 위치하는 데이터 링크 배선과;
    상기 게이트 배선, 상기 게이트 링크 배선, 상기 데이터 링크 배선을 덮는 게이트 절연막과;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위치하며 상기 게이트 배선과 교차하고, 상기 게이트 절연막에 형성되는 데이터 배선 콘택홀을 통해 상기 데이터 링크 배선에 연결되는 데이터 배선과;
    상기 데이터 배선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씰패턴 영역에 씰패턴 홈을 갖는 보호층과;
    상기 보호층 상에 위치하는 화소전극과;
    일단이 상기 씰패턴 홈에 삽입되는 씰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씰패턴 홈에서 상기 씰패턴이 상기 데이터 링크 배선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레이 기판.
  1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댐 사이 거리는 상기 씰패턴의 폭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120077145A 2012-07-16 2012-07-16 액정표시장치 Active KR102049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145A KR102049732B1 (ko) 2012-07-16 2012-07-16 액정표시장치
EP14179374.5A EP2813885B1 (en) 2012-07-16 2012-12-14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P12197342.4A EP2687901B1 (en) 2012-07-16 2012-12-14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13/723,549 US9235085B2 (en) 2012-07-16 2012-12-21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201210599163.7A CN103543561B (zh) 2012-07-16 2012-12-25 液晶显示器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145A KR102049732B1 (ko) 2012-07-16 2012-07-16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0634A KR20140010634A (ko) 2014-01-27
KR102049732B1 true KR102049732B1 (ko) 2019-11-29

Family

ID=47520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7145A Active KR102049732B1 (ko) 2012-07-16 2012-07-16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235085B2 (ko)
EP (2) EP2813885B1 (ko)
KR (1) KR102049732B1 (ko)
CN (1) CN10354356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4233B1 (ko) 2012-12-26 2019-12-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17273A (ko) * 2014-08-01 2016-02-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제조 방법
CN105045010B (zh) * 2015-08-26 2019-01-22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和显示装置
KR102512479B1 (ko) * 2015-11-27 2023-03-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CN105652528A (zh) * 2016-01-27 2016-06-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KR102621568B1 (ko) * 2016-11-30 2024-01-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협 베젤 표시장치
KR102046297B1 (ko) 2017-11-09 2019-11-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08051957A (zh) * 2018-01-03 2018-05-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9445156A (zh) * 2018-12-24 2019-03-08 惠科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装置及显示面板制造方法
KR20210059119A (ko) * 2019-11-14 2021-05-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렌티큘러 렌즈 패널의 제조방법
CN111913325B (zh) * 2020-08-19 2022-07-01 惠科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与其制造方法、显示装置
CN212808868U (zh) * 2020-10-16 2021-03-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面板和显示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73638A1 (en) * 2003-10-06 2005-04-07 Lg.Philips Lcd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20060170854A1 (en) * 2005-02-01 2006-08-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20060274247A1 (en) * 2002-12-31 2006-12-07 Hye-Young Kim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seal pattern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US20080117344A1 (en) * 2006-11-17 2008-05-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nd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US20090066903A1 (en) * 2006-06-07 2009-03-12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12074010A1 (ja) * 2010-12-03 2012-06-07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4970A (ja) * 1998-03-17 1999-09-28 Casio Comput Co Ltd 液晶表示装置
KR100870660B1 (ko) * 2001-12-31 2008-11-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널의 합착력이 향상된 액정표시소자 및 제조방법
KR101116817B1 (ko) * 2004-06-30 2012-02-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절연막을 포함하는 액정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20060104093A (ko) * 2005-03-29 2006-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07264249A (ja) * 2006-03-28 2007-10-11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5006637B2 (ja) 2006-12-22 2012-08-22 キヤノン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有する画像投射装置
JP2008158169A (ja) * 2006-12-22 2008-07-10 Sharp Corp 液晶表示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84270B1 (ko) * 2009-12-01 2011-11-1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
CN102262319B (zh) * 2010-05-24 2015-02-25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液晶显示基板及其制造方法、液晶面板和液晶显示器
CN202166809U (zh) * 2011-08-05 2012-03-14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薄膜晶体管液晶显示屏及显示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74247A1 (en) * 2002-12-31 2006-12-07 Hye-Young Kim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seal pattern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US20050073638A1 (en) * 2003-10-06 2005-04-07 Lg.Philips Lcd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20060170854A1 (en) * 2005-02-01 2006-08-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20090066903A1 (en) * 2006-06-07 2009-03-12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080117344A1 (en) * 2006-11-17 2008-05-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nd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WO2012074010A1 (ja) * 2010-12-03 2012-06-07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13885B1 (en) 2017-02-15
CN103543561A (zh) 2014-01-29
KR20140010634A (ko) 2014-01-27
US20140016070A1 (en) 2014-01-16
EP2813885A2 (en) 2014-12-17
EP2687901B1 (en) 2018-10-10
CN103543561B (zh) 2017-11-17
EP2687901A1 (en) 2014-01-22
US9235085B2 (en) 2016-01-12
EP2813885A3 (en) 2015-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9732B1 (ko) 액정표시장치
US1098340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8253891B2 (en)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US855897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8427737B2 (e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KR20160013486A (ko) 표시 장치용 모기판,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JP5120828B2 (ja) 薄膜トランジスタ基板と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有する液晶表示パネルとその製造方法
KR20120033688A (ko)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6343612A (ja) 液晶表示装置
KR20010057023A (ko)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04272012A (ja) 表示装置
CN103592801A (zh) 顶栅型tft阵列基板及其制造方法、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120042010A (ko)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액정 표시 장치, 및 이들의 제조 방법
KR20140086395A (ko)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8330929B2 (en) Display panel
KR101797714B1 (ko) 색필터 표시판,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0991542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40048118A (ko) 액정표시장치의 화소구조
KR20110121418A (ko) 색필터 표시판,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1232166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83579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70082325A (ko)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및 액정 표시장치
KR101001453B1 (ko)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090099301A (ko)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이의 제조 방법
KR20110022930A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1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6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7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9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3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27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1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