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7157B1 - 눈 내 또는 그 위에 착용되는 다초점 광학 렌즈 - Google Patents
눈 내 또는 그 위에 착용되는 다초점 광학 렌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47157B1 KR102047157B1 KR1020167023948A KR20167023948A KR102047157B1 KR 102047157 B1 KR102047157 B1 KR 102047157B1 KR 1020167023948 A KR1020167023948 A KR 1020167023948A KR 20167023948 A KR20167023948 A KR 20167023948A KR 102047157 B1 KR102047157 B1 KR 10204715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ing
- thickness
- boundary
- ring segments
- radiall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8
- 230000004438 eyesigh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08000001491 myopia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2
- 210000001747 pupil Anatomy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10000001525 retina Anatomy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304 visual acuit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017 hydrog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229 poly(methyl meth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926 polymethyl methacry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NIXOWILDQLNWCW-UHFFFAOYSA-M Acrylate Chemical compound [O-]C(=O)C=C NIXOWILDQLNWCW-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102000008186 Collage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10035532 Collagen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436 collage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087 cornea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09 hydrophob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02945 Aphak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177 Catarac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159 anterior chamb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97 bl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744 eyeli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13 gla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513 impla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41 presbyop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379 silico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1—Contact lenses for the eyes bifocal; multifocal
- G02C7/044—Annular configuration, e.g. pupil tune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or corneal implants;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1613—Intraocular lenses having special lens configurations, e.g. multipart lense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pseudo-accommodative lenses, lenses having aberration corrections, diffractive lenses, lenses for variably absorb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lenses having variable focus
- A61F2/1616—Pseudo-accommodative, e.g. multifocal or enabling monovision
- A61F2/1618—Multifocal lenses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1—Contact lenses for the eyes bifocal; multifocal
- G02C7/042—Simultaneous type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1—Contact lenses for the eyes bifocal; multifocal
- G02C7/045—Sectorial configur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1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 A61F2250/0036—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differing in thicknes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1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 A61F2250/0053—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differing in optical propert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yeglasse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렌즈의 제2 실시예의 광학부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의 제3 실시예의 광학부의 정면도이다;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렌즈의 제4 실시예의 광학부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렌즈의 광학부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렌즈에 따라 제공되는 시력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렌즈에 따라 제공되는 시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렌즈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렌즈에 대한 원거리 시력 및 근거리 시력 영역에 포함된 광학적으로 유효한 표면 영역(optically effective surface area)의 비율에 대한 동공 크기 변화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상기 렌즈는 완벽하게 중심으로 되어 있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렌즈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렌즈에 대한 원거리 시력 및 근거리 시력 영역에 포함된 광학적으로 유효한 표면 영역의 비율에 대한 동공 크기 변화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상기 렌즈는 중심에서 1mm 떨어지며, 이는 실제로 발생하는 일반적인 중심 이탈의 가장 나쁜 범위이다; 및
도 9는 밀접하게 원주 방향으로 인접한 근거리 및 원거리 시야 영역들 사이의 경계를 따른 경선(meridian)을 따르는 도 1에 따른 상기 렌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Claims (18)
- 인간의 눈 내에 또는 그 위에 착용되는 안과용 다초점 렌즈(ophthalmic multifocal lens)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전방(anterior) 및 후방(posterior) 표면 및 원주의 둘레 경계(circumferential peripheral boundary)를 갖는 광학부(optical portion)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부는 제1 굴절력(first refractive power)을 갖는 원거리 시야 영역(far vision zone)들과 추가력(add power)을 갖는 근거리 시야 영역(near vision zone)들을 가지며, 상기 원거리 시야 영역들과 상기 근거리 시야 영역들은 굴절력들 중 하나를 갖는 링 세그먼트(ring segment)들- 상기 굴절력들 중 다른 하나를 갖는 중심으로 인접한 영역을 각각 방사상으로 접경함(radially bounding) -을 포함하고, 상기 링 세그먼트들은 상기 둘레 경계에 접해 있고(bordering) 상기 둘레 경계의 전체 원주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circumferential sense) 교번하는 링 세그먼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원주의 둘레 경계에 접해 있는 상기 원거리 시야 영역의 링 세그먼트들의 각각은, 상기 둘레 경계에 접해 있는 상기 링 세그먼트들의 내측으로의 링의 근거리 시야 영역의 링 세그먼트에 방사상으로 접경하고, 상기 원주의 둘레 경계에 접해 있는 상기 근거리 시야 영역의 링 세그먼트들의 각각은, 상기 둘레 경계에 접해 있는 상기 링 세그먼트들의 상기 내측으로의 링의 원거리 시야 영역의 링 세그먼트에 방사상으로 접경하고,
상기 근거리 시야 영역 및 상기 원거리 시야 영역 중 가장 중심인 것들 사이의 경계는 상기 광학부의 중심에 대향하는(facing) 볼록면(convex side)으로 만곡되고,
상기 둘레 경계에 접해 있는 상기 링 세그먼트들 중 원주 방향으로(circumferentially) 이웃하는 것들 사이의 경계는 상기 둘레 경계에 접해 있는 상기 링 세그먼트들의 상기 내측으로의 링의 상기 링 세그먼트들 중 원주 방향으로 이웃한 것들 사이의 경계와 일치하고(in line with),
방사상으로 연속하는 근거리 시야 영역들과 원거리 시야 영역들 사이의 원주 방향으로 인접한 경계들은 적어도 하나의 비 원형 형상(non-circular shape)으로 형성되고, 상기 비 원형 형상은 원주 방향으로 연속하는 링 세그먼트 영역들의 링의 근거리 시야 영역들 또는 원거리 시야 영역들이 각각 원주 방향으로 연속하는 링 세그먼트 영역들의 동일한 링의 원거리 시야 영역들 또는 근거리 시야 영역들보다 방사상의 방향으로 더 작아지도록 배치되는, 렌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 경계에 접해 있는 상기 링 세그먼트들 중 내측으로의 적어도 하나의 링 내에 있는 상기 링 세그먼트들은 해당 링의 전체 내측 원주를 따라 방사상으로 더 중심의 영역을 각각 접경하는, 렌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 원형 형상은 타원형(oval shape)인, 렌즈.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시야 영역은 상기 광학부의 표면 영역(surface area)의 적어도 10% 및 최대 50%를 형성하는, 렌즈. - 제1항에 있어서,
근거리 및 원거리 시야 영역들 사이의 전이 영역(transition zone)들은 상기 광학부의 표면 영역의 최대 5%를 형성하는, 렌즈. - 제1항에 있어서,
더 중심의 영역에 방사상으로 접경하는 상기 링 세그먼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링 세그먼트와 상기 더 중심의 영역 사이의 경계를 따르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그것에 의하여 경계를 이루는 상기 더 중심의 영역과 나란하게 되는(flush with), 렌즈. - 제1항에 있어서,
각 영역(zone)은 상기 광학부 내의 해당 영역의 위치와 매치되는(matching) 비구면 보정(aspheric correction)을 갖는, 렌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의 둘레(peripherally)에 접경하는 비광학부(non-optical portion)를 더 포함하는, 렌즈.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광학부는 눈 내에 상기 광학부를 지지하기 위한(for suspending) 햅틱스(haptics)가 구성되는, 렌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의 둘레 경계는 원형 또는 타원형인, 렌즈. - 인간의 눈 내에 또는 그 위에 착용되는 안과용 다초점 렌즈(ophthalmic multifocal lens)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전방(anterior) 및 후방(posterior) 표면 및 원주의 둘레 경계(circumferential peripheral boundary)를 갖는 광학부(optical portion)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부는 제1 굴절력(first refractive power)을 갖는 원거리 시야 영역(far vision zone)들과 추가력(add power)을 갖는 근거리 시야 영역(near vision zone)들을 가지며, 상기 원거리 시야 영역들과 상기 근거리 시야 영역들은 굴절력들 중 하나를 갖는 링 세그먼트(ring segment)들- 상기 굴절력들 중 다른 하나를 갖는 중심으로 인접한 영역을 각각 방사상으로 접경함(radially bounding) -을 포함하고, 상기 링 세그먼트들은 상기 둘레 경계에 접해 있고(bordering) 상기 둘레 경계의 전체 원주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circumferential sense) 교번하는 링 세그먼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링 세그먼트들 중 원주 방향으로 인접한 것들의 세트의 제1 링 세그먼트는 상기 제1 링 세그먼트의 방사상으로의 내측 경계에서의 제1 두께로부터 상기 제1 링 세그먼트의 방사상으로의 외측 경계에서의 제2 두께까지 변화하는 두께를 갖고;
상기 링 세그먼트들 중 원주 방향으로 인접한 것들의 상기 세트의 제2 링 세그먼트는 상기 제2 링 세그먼트의 방사상으로의 내측 경계에서의 제3 두께로부터 상기 제2 링 세그먼트의 방사상으로의 외측 경계에서의 제4 두께까지 변화하는 두께를 갖고;
상기 제1 두께는 상기 제3 두께보다 더 작고 상기 제2 두께는 상기 제4 두께보다 더 크고;
상기 세트의 상기 원주 방향으로 인접한 링 세그먼트들은 원주 방향으로 인접한 링 세그먼트들의 상기 세트의 내측 및 외측 경계들 사이에서 방사 방향으로(radial sense) 배치되는 위치에서 동일한 두께를 갖는, 렌즈.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링 세그먼트들 중 원주 방향으로 인접한 것들의 적어도 다른 세트에 대해, 상기 링 세그먼트들 중 원주 방향으로 인접한 것들의 방사상으로 인접한 상기 다른 세트는:
상기 링 세그먼트들 중 원주 방향으로 인접한 것들의 상기 다른 세트 중 다른 제1 링 세그먼트는 상기 다른 제1 링 세그먼트의 방사상으로의 내측 경계에서의 제1 두께로부터 상기 다른 제1 링 세그먼트의 방사상으로의 외측 경계에서의 제2 두께까지 변화하는 두께를 갖고;
상기 링 세그먼트들 중 원주 방향으로 인접한 것들의 상기 다른 세트 중 다른 제2 링 세그먼트는 상기 다른 제2 링 세그먼트의 방사상으로의 내측 경계에서의 제3 두께로부터 상기 다른 제2 링 세그먼트의 방사상으로의 외측 경계에서의 제4 두께까지 변화하는 두께를 갖고;
상기 제1 두께는 상기 제3 두께보다 더 작고 상기 제2 두께는 상기 제4 두께보다 더 크고;
상기 다른 세트의 원주 방향으로 인접한 링 세그먼트들은 원주 방향으로 인접한 링 세그먼트들의 상기 다른 세트의 내측 및 외측 경계들 사이에서 방사 방향으로 배치되는 위치에서 동일한 두께를 갖는, 렌즈.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링 세그먼트들 중 원주 방향으로 인접한 것들의 각 세트에 대해:
상기 링 세그먼트들 중 원주 방향으로 인접한 것들의 일 세트 중 제1 링 세그먼트는 상기 일 세트의 제1 링 세그먼트의 방사상으로의 내측 경계에서의 제1 두께로부터 상기 일 세트의 제1 링 세그먼트의 방사상으로의 외측 경계에서의 제2 두께까지 변화하는 두께를 갖고;
상기 링 세그먼트들 중 원주 방향으로 인접한 것들의 상기 일 세트 중 상기 일 세트의 제2 링 세그먼트는 상기 일 세트의 제2 링 세그먼트의 방사상으로의 내측 경계에서의 제3 두께로부터 상기 일 세트의 제2 링 세그먼트의 방사상으로의 외측 경계에서의 제4 두께까지 변화하는 두께를 갖고;
상기 제1 두께는 상기 제3 두께보다 더 작고 상기 제2 두께는 상기 제4 두께보다 더 크고;
상기 일 세트의 원주 방향으로 인접한 링 세그먼트들은 원주 방향으로 인접한 링 세그먼트들의 상기 일 세트의 내측 및 외측 경계들 사이에서 방사 방향으로 배치되는 위치에서 동일한 두께를 갖는, 렌즈. -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 세그먼트들 중 원주 방향으로 인접한 것들의 동일한 두께의 위치는 각 링 세그먼트들의 내측 및 외측 경계 사이 거리의 30 내지 70% 영역에서 배치되는, 렌즈.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14153523.7 | 2014-01-31 | ||
EP14153523 | 2014-01-31 | ||
EP14176734 | 2014-07-11 | ||
EP14176734.3 | 2014-07-11 | ||
PCT/NL2015/050067 WO2015115901A1 (en) | 2014-01-31 | 2015-02-02 | Multifocal ophthalmic lens to be worn in or on the ey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13292A KR20160113292A (ko) | 2016-09-28 |
KR102047157B1 true KR102047157B1 (ko) | 2019-11-20 |
Family
ID=52474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7023948A Active KR102047157B1 (ko) | 2014-01-31 | 2015-02-02 | 눈 내 또는 그 위에 착용되는 다초점 광학 렌즈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10031347B2 (ko) |
EP (1) | EP3100101B1 (ko) |
KR (1) | KR102047157B1 (ko) |
CN (1) | CN106461971B (ko) |
ES (1) | ES2770732T3 (ko) |
HU (1) | HUE048829T2 (ko) |
PL (1) | PL3100101T3 (ko) |
WO (1) | WO2015115901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70142B1 (ko) | 2016-08-12 | 2018-06-25 | 이성준 | 노안용 콘택트렌즈 |
SG11202004409PA (en) * | 2017-11-24 | 2020-06-29 | Univ Montreal | Medical device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ocular axial length growth in the context of refractive error evolution |
JP7028987B2 (ja) | 2017-12-06 | 2022-03-02 | アイブライト メディカル テクノロジー (ペキン)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 オルソケラトロジー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
CN107728338B (zh) * | 2017-12-06 | 2024-01-26 | 爱博诺德(北京)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 角膜塑形镜 |
AU2019404104A1 (en) * | 2018-12-21 | 2021-05-27 | Alcon Inc. | Multi-curvature edge for ophthalmic lenses |
US12105361B2 (en) | 2020-12-18 | 2024-10-01 | Coopervision International Limited | Myopia-control contact lenses and methods relating thereto |
EP4330762A1 (en) * | 2021-04-29 | 2024-03-06 | CooperVision International Limited | Methods of increased contact lens rotation |
CN116368424B (zh) * | 2021-04-29 | 2024-07-09 | 库博光学国际有限公司 | 用于预防或减缓近视的发展或恶化的隐形眼镜及相关方法 |
MX2023011140A (es) * | 2021-04-29 | 2024-05-23 | Coopervision Int Ltd | Conjuntos de lentes para su uso en la prevencion o en la ralentizacion del desarrollo o de la progresion de la miopia y metodos relacionados. |
WO2024118991A1 (en) * | 2022-12-02 | 2024-06-06 | Aaren Scientific Inc. | Augmented ophthalmic lens with odd asphere axicon refractive optics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3381691D1 (de) | 1982-10-13 | 1990-08-02 | Ng Trustees & Nominees Ltd | Bifokale kontaktlinsen. |
DE3332313A1 (de) | 1983-09-07 | 1985-04-04 | Titmus Eurocon Kontaktlinsen GmbH, 8750 Aschaffenburg | Multifokale, insbesondere bifokale intraokulare kuenstliche augenlinse |
US4898461A (en) | 1987-06-01 | 1990-02-06 | Valdemar Portney | Multifocal ophthalmic lens |
US4906245A (en) | 1987-08-24 | 1990-03-06 | Grendahl Dennis T | Multiple element zone of focus artificial hydrogel lens |
US5173723A (en) | 1990-10-02 | 1992-12-22 | Volk Donald A | Aspheric ophthalmic accommodating lens design for intraocular lens and contact lens |
US5512220A (en) * | 1991-07-10 | 1996-04-30 |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 Method of making a clear axis, segmented multifocal ophthalmic lens |
DE69603500T2 (de) | 1995-10-31 | 1999-11-18 | Procornea Holding B.V., Eerbeek | Multifokallinse und ihr herstellungsverfahren |
US6790232B1 (en) | 1999-04-30 | 2004-09-14 | Advanced Medical Optics, Inc. | Multifocal phakic intraocular lens |
AU6858300A (en) | 1999-09-03 | 2001-04-10 | John Trevor De Carle | Bifocal lenses |
US6986578B2 (en) | 2003-01-30 | 2006-01-17 |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 Multifocal ophthalmic lenses |
US6899425B2 (en) | 2003-10-28 | 2005-05-31 |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 Multifocal ophthalmic lenses |
NL2002540C2 (en) * | 2009-02-17 | 2010-08-18 | Oculentis B V | Ophthalmic lens with optical sectors. |
-
2015
- 2015-02-02 CN CN201580017778.6A patent/CN106461971B/zh active Active
- 2015-02-02 ES ES15704859T patent/ES2770732T3/es active Active
- 2015-02-02 PL PL15704859T patent/PL3100101T3/pl unknown
- 2015-02-02 EP EP15704859.6A patent/EP3100101B1/en active Active
- 2015-02-02 US US15/115,358 patent/US10031347B2/en active Active
- 2015-02-02 WO PCT/NL2015/050067 patent/WO2015115901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5-02-02 KR KR1020167023948A patent/KR102047157B1/ko active Active
- 2015-02-02 HU HUE15704859A patent/HUE048829T2/hu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100101B1 (en) | 2019-12-11 |
US10031347B2 (en) | 2018-07-24 |
WO2015115901A1 (en) | 2015-08-06 |
CN106461971B (zh) | 2019-06-14 |
KR20160113292A (ko) | 2016-09-28 |
ES2770732T3 (es) | 2020-07-02 |
US20170010477A1 (en) | 2017-01-12 |
CN106461971A (zh) | 2017-02-22 |
HUE048829T2 (hu) | 2020-08-28 |
PL3100101T3 (pl) | 2020-05-18 |
EP3100101A1 (en) | 2016-12-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47157B1 (ko) | 눈 내 또는 그 위에 착용되는 다초점 광학 렌즈 | |
CN115697249A (zh) | 双面非球面衍射多焦点透镜及其制造和用途 | |
CN116057460B (zh) | 近视控制隐形眼镜及其相关方法 | |
AU2025200693B2 (en) | Contact lenses and methods relating thereto | |
WO2021220006A1 (en) | Myopia control lens and related methods | |
AU2022374463B2 (en) | Ophthalmic lenses | |
US20250085569A1 (en) | Aspheric phase-ring structured lens designs, manufacture, and uses thereof | |
TWI869006B (zh) | 眼科鏡片及其相關方法 | |
TWI886585B (zh) | 隱形眼鏡及其相關方法 | |
TW202430972A (zh) | 隱形眼鏡及其相關方法 | |
HK40084085A (en) | Myopia-control contact lenses and methods relating thereto | |
JP2024175101A (ja) | 回折構造体を用いたソフトコンタクトレンズの変動の低減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83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6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5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0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1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11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