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46916B1 - 내마모성 및 내슬립성이 우수한 유니솔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내마모성 및 내슬립성이 우수한 유니솔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6916B1
KR102046916B1 KR1020180110515A KR20180110515A KR102046916B1 KR 102046916 B1 KR102046916 B1 KR 102046916B1 KR 1020180110515 A KR1020180110515 A KR 1020180110515A KR 20180110515 A KR20180110515 A KR 20180110515A KR 102046916 B1 KR102046916 B1 KR 102046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mposition
unisol
vinyl acet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0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호
박은지
Original Assignee
한국신발피혁연구원
신창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신발피혁연구원, 신창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신발피혁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10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69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6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691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04Plastics, rubber or vulcanised fib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8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or hydrogen
    • C08L23/0853Ethene vinyl acetate co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마모성 및 내슬립성이 우수한 유니솔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기재를 이타코닉산으로 그라프트시킨 공중합체를 유니솔 조성물에 적용함으로써, 종래 유니솔이 가지는 우수한 경량성, 생산성 및 가격 경쟁력을 가지면서도 내마모성과 내슬립성 역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내마모성 및 내슬립성이 우수한 유니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마모성 및 내슬립성이 우수한 유니솔용 조성물{COMPOSITION FOR UNISOLE HAVING EXCELLENT ABRASION RESISTANT AND ANTI SLIP PROPERTY}
본 발명은 우수한 경량성, 생산성 및 가격 경쟁력을 가지면서도 내마모성과 내슬립성 역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니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창은 중창과 겉창을 구분하여 포함하고 있지만 최근들어 중창과 겉창의 기능을 동시에 하는 유니솔(unisole) 형태가 대중화되고 있으며,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겉창이 고무소재에서 스폰지(sponge) 소재로 대체되고 있다(특허문헌 1, 2).
한편, 1세대 유니솔이 경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계 발포 유니솔에 고무 조각을 접착하여 제조하였으며, 이는 경량성은 우수하였지만 내마모성 및 내슬립성이 미흡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대하여 2세대 유니솔의 경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계 단일 소재형 유니솔로써 경량성이 매우 우수하고 단일 소재의 적용으로 생산성 및 가격 경쟁력이 우수하였지만 이 역시 내슬립성 및 내마모성이 미흡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56884호 "저밀도 발포체, 중창, 신발 및 저밀도 발포체의 제조 방법"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58185호 "열수축률 및 마모특성이 개선된 스폰지용 발포체 조성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기재를 이타코닉산(Itaconic acid)으로 그라프트시킨 공중합체를 유니솔 조성물에 적용함으로써, 종래 유니솔이 가지는 우수한 경량성, 생산성 및 가격 경쟁력을 가지면서도 내마모성과 내슬립성 역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유니솔용 조성물에 있어서, 이타코닉산이 그라프트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성 및 내슬립성이 우수한 유니솔용 조성물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마모성 및 내슬립성이 우수한 유니솔용 조성물은, 이타코닉산이 그라프트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화방지제 0.3 ~ 0.5 중량부, 산화아연 5 ~ 6 중량부 및 스테아린산 아연 5 ~ 6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이타코닉산이 그라프트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이타코닉산 4 ~ 10 중량부 및 개시제 0.07 ~ 0.14 중량부를 반응시켜, 이타코닉산이 2.31 ~ 4.09% 그라프트 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종래 유니솔이 가지는 우수한 경량성, 생산성 및 가격 경쟁력을 가지면서도 내마모성과 내슬립성 역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마모성 및 내슬립성이 우수한 유니솔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내마모성 및 내슬립성이 우수한 유니솔용 조성물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내마모성 및 내슬립성이 우수한 유니솔용 조성물은, 이타코닉산이 그라프트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유니솔용 조성물에 적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로 인해 종래 유니솔이 가지는 우수한 경량성, 생산성 및 가격 경쟁력을 가지면서도 내마모성과 내슬립성 역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내마모성 및 내슬립성이 우수한 유니솔용 조성물은, 이타코닉산이 그라프트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화방지제 0.3 ~ 0.5 중량부, 산화아연 5 ~ 6 중량부 및 스테아린산 아연 5 ~ 6 중량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타코닉산이 그라프트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이타코닉산 4 ~ 10 중량부 및 개시제 0.07 ~ 0.14 중량부를 반응시켜, 이타코닉산이 2.31 ~ 4.09% 그라프트 된 것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이타코닉산의 함량이 4 중량부 미만일 경우 그라프트율이 낮아져 내마모성 및 내슬립성 등의 향상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그라프트 반응이 지나치게 일어나 가공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상기 개시제는, 2,5-비스(터트-부틸퍼옥시)-2,5-디메틸헥산, 벤조일 퍼옥사이드, 아세틸 퍼옥사이드, 디라우릴 퍼옥사이드, 디알킬 퍼옥사이드, 3차 부틸 하이드로퍼옥사이드, 큐밀 하이으로퍼옥사이드, 하이드로겐 퍼옥사이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1,1'-아조비스(시클로헥산카보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부틸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네이트), 4,4'-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이 0.07 중량부 미만일 경우 반응속도가 느리고 그라프트율이 낮아질 우려가 있고, 0.14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반응속도가 너무 빨라서 겔화(Gelation)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Pentaerythrityl-tetrakis[3-(3,5-di-t-butyl-4-hydroxy phenyl)-propionate], Octadecyl 3-(3,5-di-t-butyl-4-hydroxy phenyl)-propionate, 4,4'-Bis(alpha,alphadimethylbenzyl)di -phenylamine, polymerized 1,2-dihydro-2,2,4-trimethyl quinoline, 2,5-di-t-butyl-4-methylphenol, Hydroquinoline, N,N'-diphenyl-p-phenylenediamine, Tri(nonylatedphenyl)phosphite, 2-Mercaptobenziaidazole, N-Cyclohexy thiophthal iln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이 0.3 중량부 미만일 경우 가공 중에 열화되는 경향을 나타낼 수 있으며, 0.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오히려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아울러, 상기 산화아연과 금속염인 스테아린산 아연의 함량이 각각 5 중량부 미만일 경우 유니솔 조성물의 내마모성과 내슬립성 향상 효율이 미비해질 우려가 있고, 6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과도한 금속 이온 반응으로 인해 오히려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아래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유니솔의 제조
(실시예 1)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이타코닉산 4 중량부 및 개시제(2,5-Bis(tert-butylperoxy)-2,5-dimethylhexane) 0.07 중량부를 혼합 및 반응 압출하여 그라프트율이 2.31%인 이타코닉산이 그라프트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하고, 상기 이타코닉산이 그라프트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화방지제(Songnox-1076, 송원화학) 0.3 중량부, 산화아연 5 중량부 및 스테아린산 아연 5 중량부를 혼합 및 분산시킨 후, 160℃에서 15분간 프레스 성형하여 유니솔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이타코닉산 10 중량부 및 개시제(2,5-Bis(tert-butylperoxy)-2,5-dimethylhexane) 0.14 중량부를 혼합 및 반응 압출하여 그라프트율이 4.09%인 이타코닉산이 그라프트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하고, 상기 이타코닉산이 그라프트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화방지제(Songnox-1076, 송원화학) 0.5 중량부, 산화아연 6 중량부 및 스테아린산 아연 6 중량부를 혼합 및 분산시킨 후, 160℃에서 15분간 프레스 성형하여 유니솔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이타코닉산이 그라프트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사용하지 않고,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단일 소재를 적용하였다.
2. 유니솔의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유니솔을 아래와 같은 시험방법으로 평가하였고, 그 결과는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1) 경도(Shore A) : ASKER A(Kobunshi keiki) 경도계를 이용하여 ASTM D-2240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2) 인장강도(kgf/cm2) 및 연신율(%): 제조된 시험편을 약 3mm 두께로 만든 후 KS M6518에 따른 2호형을 커터(cutter)로 시험편을 제작하여 KS M6518에 준하여 UTM(Universal testing machine)(Zwick-1435, 독일 Zwick社)을 이용하여 인장강도와 연신율을 측정하였다. 이때 동일 시험에 사용한 시험편은 3개로 하였다.
(3) 인열강도(kgf/cm) : 인열시험은 KS M6518에 따라 측정을 하였으며, UTM(Zwick-1435, 독일 Zwick社)를 이용하였고, 측정속도는 100m/분으로 5회 측정하였다.
(4) 내슬립특성 : ASTM D1894 규격에 따라 유리판위에 물을 분무하지 않은 상태(Dry)와 물을 분무한 상태(Wet)에서 시편을 일정한 속도로 이동시켰을 때의 동적마찰계수를 측정하여 내슬립성을 평가하였다.
(5) 내마모성(NBS(%)) : 제조된 시험편의 내마모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NBS 마모시험(WL210N(㈜위드랩))을 하였다. 규격화된 시편을 5개 시험한 후 최대, 최소값을 제외하고 평균을 내어 내마모 시험 값으로 하였다.
NBS abrasion(%) = (시편고무 1mm 마모되는데 필요한 횟수) / (표준고무 1mm 마모되는데 필요한 횟수 ) x 100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경도(Shore A) 81 81 78
인장강도(kgf/cm2) 144 146 71.1
연신율(%) 780 781 750
인열강도(kgf/cm) 63 65 57.4
내슬립성(Dry) 1.0 1.1 0.82
내슬립성(Wet) 0.6 0.6 0.26
내마모성(NBS, %) 298 300 70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타코닉산이 그라프트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적용한 유니솔은 비교예에 따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계 단일 소재형 유니솔에 비하여 내마모성 및 내슬립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마모성 및 내슬립성이 우수한 유니솔용 조성물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이타코닉산이 그라프트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유니솔용 조성물에 있어서,
    이타코닉산이 그라프트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화방지제 0.3 ~ 0.5 중량부, 산화아연 5 ~ 6 중량부 및 스테아린산 아연 5 ~ 6 중량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이타코닉산이 그라프트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이타코닉산 4 ~ 10 중량부 및 개시제 0.07 ~ 0.14 중량부를 반응시켜, 이타코닉산이 2.31 ~ 4.09% 그라프트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성 및 내슬립성이 우수한 유니솔용 조성물.
  2. 삭제
  3. 삭제
KR1020180110515A 2018-09-14 2018-09-14 내마모성 및 내슬립성이 우수한 유니솔용 조성물 Expired - Fee Related KR102046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515A KR102046916B1 (ko) 2018-09-14 2018-09-14 내마모성 및 내슬립성이 우수한 유니솔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515A KR102046916B1 (ko) 2018-09-14 2018-09-14 내마모성 및 내슬립성이 우수한 유니솔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6916B1 true KR102046916B1 (ko) 2019-11-20

Family

ID=68729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0515A Expired - Fee Related KR102046916B1 (ko) 2018-09-14 2018-09-14 내마모성 및 내슬립성이 우수한 유니솔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691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5427A (ja) * 1998-05-25 1999-12-07 Toyo Ink Mfg Co Ltd 変性エチレン/酢酸ビニル共重合体
KR20140055830A (ko) * 2012-11-01 2014-05-09 한국신발피혁연구원 기계적 강도, 영구압축변형률 및 난연성이 우수한 초분자 열가역성 가교형 탄성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4189773A (ja) * 2013-03-28 2014-10-06 Asahi Kasei Chemicals Corp エチレン−酢酸ビニル共重合体樹脂組成物、架橋発泡体、及び履物
KR20160119547A (ko) * 2015-04-06 2016-10-14 한국신발피혁연구원 기계적 강도와 영구압축변형률 및 프라이머 리스 상태에서의 접착 강도가 우수한 발포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1856884B1 (ko) 2013-08-02 2018-05-10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저밀도 발포체, 중창, 신발 및 저밀도 발포체의 제조 방법
KR101858185B1 (ko) 2016-05-17 2018-05-15 (주)에이스폴리마 열수축률 및 마모특성이 개선된 스폰지용 발포체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5427A (ja) * 1998-05-25 1999-12-07 Toyo Ink Mfg Co Ltd 変性エチレン/酢酸ビニル共重合体
KR20140055830A (ko) * 2012-11-01 2014-05-09 한국신발피혁연구원 기계적 강도, 영구압축변형률 및 난연성이 우수한 초분자 열가역성 가교형 탄성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4189773A (ja) * 2013-03-28 2014-10-06 Asahi Kasei Chemicals Corp エチレン−酢酸ビニル共重合体樹脂組成物、架橋発泡体、及び履物
KR101856884B1 (ko) 2013-08-02 2018-05-10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저밀도 발포체, 중창, 신발 및 저밀도 발포체의 제조 방법
KR20160119547A (ko) * 2015-04-06 2016-10-14 한국신발피혁연구원 기계적 강도와 영구압축변형률 및 프라이머 리스 상태에서의 접착 강도가 우수한 발포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1858185B1 (ko) 2016-05-17 2018-05-15 (주)에이스폴리마 열수축률 및 마모특성이 개선된 스폰지용 발포체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53643B1 (en) Crosslinkable polyolefin compositions
TWI537336B (zh) 聚碳酸酯及聚丙烯之阻燃熱塑性組成物
JP2016035061A (ja) 生地含浸用の水性ポリオレフィン分散物
KR20050110034A (ko) 저광택 열성형성 바닥재 구조물
JP2015522089A (ja) 熱可塑性加硫物のためのエチレン/αオレフィン/非共役ポリエン系組成物
US20200190301A1 (en) Elastomer composition, water-crosslinkable elastomer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elastomer composition
JP2018188664A (ja) 組成物、組成物から生産された熱可塑性加硫物および組成物から生産された物
KR20190024980A (ko) 에틸렌/알파-올레핀/폴리엔 혼성중합체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JP6325108B2 (ja) シューズ用ソール、シューズ、及びシューズ用ソールの製造方法
KR101858185B1 (ko) 열수축률 및 마모특성이 개선된 스폰지용 발포체 조성물
KR100873576B1 (ko) 난연성 마스터배치 조성물, 난연성 조성물, 그리고 이의제조 방법
KR20230068410A (ko) 신발용 미드솔
KR102046916B1 (ko) 내마모성 및 내슬립성이 우수한 유니솔용 조성물
KR20090014439A (ko) 실란 그라프트된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신발 중창용 발포체의 제조방법
JP2021517916A (ja) 長期熱老化性能が向上したエチレン/アルファ−オレフィンインターポリマー組成物
JP6742428B2 (ja) エチレンコポリマーを含む積層フィルム
KR102587649B1 (ko) 가황 고무에 에틸렌계 중합체 폼을 부착시키기 위한 결합 방법
KR102133592B1 (ko) 저경도 및 고탄성을 가지는 발포체 조성물
KR101642032B1 (ko) 반발탄성이 우수한 발포체 조성물
JP2016194072A5 (ko)
KR101402987B1 (ko) 내마모성과 내슬립성이 향상된 신발 겉창용 열가소성 고무 조성물
KR101945713B1 (ko) 탄성 및 프라이머 리스 상태에서의 접착 강도가 우수한 발포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9233115B (zh) 一种具有高耐磨性的橡胶组合物、制备方法及其应用
KR100701917B1 (ko) 환경친화적이며 내굴곡성이 우수한 고비중 고무 조성물
KR102546020B1 (ko) 폴리올레핀 첨가제, 처짐 저항성 폴리올레핀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8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1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1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