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46125B1 - 착탈식 전압센싱모듈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장치 - Google Patents

착탈식 전압센싱모듈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6125B1
KR102046125B1 KR1020130137577A KR20130137577A KR102046125B1 KR 102046125 B1 KR102046125 B1 KR 102046125B1 KR 1020130137577 A KR1020130137577 A KR 1020130137577A KR 20130137577 A KR20130137577 A KR 20130137577A KR 102046125 B1 KR102046125 B1 KR 102046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bus bar
battery
sensing module
voltage sen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7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6885A (ko
Inventor
이윤녕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7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6125B1/ko
Priority to CN201480062370.6A priority patent/CN105723232B/zh
Priority to PCT/KR2014/010885 priority patent/WO2015072758A1/ko
Priority to US15/025,604 priority patent/US9768474B2/en
Publication of KR20150056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6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6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612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35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involving only voltage measur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60L58/14Preventing excessive discha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46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electric energy storage systems,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4Cutting off the power supply under faul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12Recording operating variables ; Monitoring of operating vari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60L58/15Preventing overcha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60L58/21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having the same nominal volt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84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measuring voltage on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5Arrangements for measu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35Safety or regulating additives or arrangements in electrodes, separators or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10/4257Smart batteries, e.g. electronic circuits inside the housing of the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against vibrations, collision impact or swel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4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5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7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9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70/00Problem solutions or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L2270/10Emission reduction
    • B60L2270/14Emission reduction of noise
    • B60L2270/145Structure borne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탈식 전압센싱모듈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전압센싱모듈은, 배터리셀의 셀탭과 접속하는 다수의 버스바가 고정되어 있는 바디와; 제어회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디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배치된 것으로서, 바디에 대해 기판을 결합할 때, 상기 버스바의 일단부와 접속하여 배터리셀을 기판에 접속시키는 잭터미널과; 상기 바디에 대해 기판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착탈식 전압센싱모듈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장치은, 버스바가 기판에 대해 분해조립 가능하도록 접속되므로, 언제든지 기판의 교체가 가능하므로 조립이 쉽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Description

착탈식 전압센싱모듈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장치{Detachable voltage sensing module for Secondary-battery and Battery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착탈식 전압센싱모듈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는 반복적 충방전이 가능하여 각종 모바일 기기의 전원에서부터 전기자동차나 하이브리드차량 등의 동력원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계속적인 기술의 발전에 따라 보다 콤팩트하고 강력한 파워를 출력할 수 있는 모델이 개발되고 있다.
상기한 전기자동차나 하이브리드차량에 적용되는 이차전지모듈은 고출력 대용량의 필요성으로 인해, 다수의 배터리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모듈화 시킨, 이른바 중대형 배터리팩으로서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중대형 배터리팩은, 케이스 내에 다수의 배터리셀들을 적층시켜 수납하고 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한 구성을 가진다.
특히 상기 케이스에는, 배터리셀들의 과충전, 과방전, 과전류, 발열, 연쇄적인 부반응에 의한 발화 또는 폭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터리셀들의 전압, 전류, 온도 등을 검출하고 작동을 제어하는 전압센싱모듈이 설치된다.
배터리팩은 다수의 배터리셀들이 조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일부 배터리셀들이 과전압, 과전류 또는 과발열 되는 경우에 안전성과 작동효율이 크게 문제되므로, 이들을 검출하여 제어하기 위한 전압센싱모듈이 적용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전압센싱모듈(15)이 구비되어 있는 배터리장치(11)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적층되어 있는 다수의 배터리셀(13)의 셀탭(13a)에 전압센싱모듈(15)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전압센싱모듈(15)은 버스바(19)를 통해 각 배터리셀(13)의 셀탭(13a)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현재의 각 배터리셀(13)의 출력전압 및 전류 등을 감지한다.
상기 전압센싱모듈(15)은, 지지력을 제공하는 절연성 바디(17)와, 상기 바디(17)에 장착되는 제어용 기판(21)과, 상기 바디(17)에 고정된 상태로 셀탭(13a)에 접속되며 그 일단부가 기판(21)의 회로에 솔더링 접합되는 다수의 버스바(19)로 구성된다. 상기 버스바(19)는 배터리셀(13)의 출력 전압을 기판(21)으로 절단하여, 기판(21)에 구비되어 있는 제어회로로 하여금 적절한 제어동작을 하도록 한다.
도면부호 23은 버스바(19)와 기판을 용접 결합한 솔더링부이다. 버스바(19)가 기판의 회로에 대해 솔더링 용접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전압센싱모듈(15)은, 기판(21)에 대해 버스바(19)가 솔더링 접속되는 방식이므로, 전압센싱모듈(15) 자체의 조립과정이 매우 번거롭다는 단점을 갖는다.
이를테면, 각 버스바(19)의 일단부를 기판(21)에 형성되어 있는 슬릿에 끼운 상태로 열을 가하여 버스바를 기판에 용접하여야 하는데, 그 과정이 번거롭고 특히 용접이 불량할 경우 회로패턴을 손상시킬 수 도 있으며 회로를 합선시킬 수 도 있는 것이다.
또한 버스바(19)에 대해 기판(21)이 솔더링 결합되어 있으므로, 기판(21)의 이상 발생시 기판(21)만을 교체할 수 도 없다. 예컨대 기판(21) 내의 패턴의 손상이나 퓨즈와 같은 부품의 절단시, 기판(21)을 따로 분리해 낼 수 없는 것이다. 이에 따라 단지 기판 이상 때문에, 배터리장치(11) 자체를 교체해야 하거나, 경우에 따라, 패터리팩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는, 진동이나 충격이 빈번한 전기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실제로 자주 일어나는 문제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서, 버스바가 기판에 대해 분해조립 가능하도록 접속되므로, 언제든지 기판의 교체가 가능하므로 조립이 쉽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착탈식 전압센싱모듈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착탈식 전압센싱모듈은,배터리셀의 셀탭과 접속하는 다수의 버스바가 고정되어 있는 바디와; 제어회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디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배치된 것으로서, 바디에 대해 기판을 결합할 때, 상기 버스바의 일단부와 접속하여 배터리셀을 기판에 접속시키는 잭터미널과; 상기 바디에 대해 기판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판에는 다수의 끼움구멍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바디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끼움구멍에 삽입 고정되는 탄성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탄성홀더는; 상기 기판측으로 돌출되되 그 중심에 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슬릿을 중심으로 오므라지거나 벌어질 수 있는 탄력부재로서, 그 단부에는 상기 끼움구멍을 통과한 후 벌어져 끼움구멍에 걸리는 헤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스바의 일단부는 바디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상기 잭터미널은; 탄성력을 갖는 금속판을 프레싱가공한 것으로서, 상기 버스바의 일단부를 그 내부로 통과시키는 관통구멍을 가지고, 상기 관통구멍의 내부에 상기 버스바의 일단부를 물어 고정하는 다수의 가압접속편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스바의 일단부는 판상의 형태를 취하며, 상기 가압접속편은; 상기 버스바를 사이에 두고 버스바의 일면을 탄성 가압하는 제 1가압접속편과, 상기 제 1가압접속편에 대응하며 버스바의 타면을 가압하는 제 2가압접속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가압접속편의 버스바에 접하는 부분에는, 버스바의 미끄럼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가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가압접속편의 가압면에 형성되어 있는 톱니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터리장치는, 나란하게 적층 구성되며 그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셀탭이 상호 접속되어 있는 다수의 배터리셀과; 배터리셀의 셀탭과 접속하는 다수의 버스바가 고정되어 있는 바디와; 제어회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디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배치된 것으로서, 바디에 대해 기판을 결합할 때, 상기 버스바의 일단부와 접속하여 배터리셀을 기판에 접속시키는 잭터미널과; 상기 바디에 대해 기판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판에는 다수의 끼움구멍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바디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끼움구멍에 삽입 고정되는 탄성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탄성홀더는; 상기 기판측으로 돌출되되 그 중심에 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슬릿을 중심으로 오므라지거나 벌어질 수 있는 탄력부재로서, 그 단부에는 상기 끼움구멍을 통과한 후 벌어져 끼움구멍에 걸리는 헤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스바의 일단부는 바디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상기 잭터미널은; 탄성력을 갖는 금속판을 프레싱가공한 것으로서, 상기 버스바의 일단부를 그 내부로 통과시키는 관통구멍을 가지고, 상기 관통구멍의 내부에 상기 버스바의 일단부를 물어 고정하는 다수의 가압접속편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스바의 일단부는 판상의 형태를 취하며, 상기 가압접속편은; 상기 버스바를 사이에 두고 버스바의 일면을 탄성 가압하는 제 1가압접속편과, 상기 제 1가압접속편에 대응하며 버스바의 타면을 가압하는 제 2가압접속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접속편의 버스바에 접하는 부분에는, 버스바의 미끄럼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가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가압접속편의 가압면에 형성되어 있는 톱니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착탈식 전압센싱모듈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장치은, 버스바가 기판에 대해 분해조립 가능하도록 접속되므로, 언제든지 기판의 교체가 가능하므로 조립이 쉽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도 1은 종래 전압센싱모듈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전압센싱모듈이 구비된 배터리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전압센싱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전압센싱모듈에서의 잭터미널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상기 도 4에 도시한 잭터미널의 다른 예를 도시한 잭터미널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 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일 측”, “타 측”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전압센싱모듈(33)이 구비되어 있는 배터리장치(31)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장치(31)는, 상호 나란하게 겹쳐져 있는 다수의 배터리셀(13)과, 상기 배터리셀(13)의 셀탭(13a)에 접속되며 각 배터리셀(13)의 출력전압을 감지하는 전압센싱모듈(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터리셀(13)은, 파우치형 이차전지로서 그 양단부에 셀텝(13a)을 갖는다. 도 2에 반대편 셀텝(13a)은 도시되지 않았다. 실시예에 따라 양극과 음극 셀탭이 파우치의 일단부에 함께 모여있는 타입의 이차전지를 적용할 수 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각 배터리셀(13)의 셀탭(13a)은 이웃 배터리셀(13)의 셀탭(13a)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각 셀탭(13a)은 이웃 셀탭(13a)에 용접된 상태로 버스바(37)에 접속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전압센싱모듈(33)은, 배터리셀의 셀탭과 접속하는 다수의 버스바(37)가 고정되어 있는 바디(35)와, 상기 바디(35)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기판(41)과, 상기 기판(41)에 배치되며 상기 버스바(37)와 탄성 결합하는 다수의 잭터미널(39)을 구비한다.
상기 바디(35)는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된 것으로서, 그 일측면에 다수의 탄성홀더(도 3의 35a)를 갖는다. 상기 탄성홀더(35a)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버스바(37)는 일정두께를 갖는 띠형 부재로서 다수회 절곡되며 그 일부가 바디(35)의 내부에 매립되어 있다. 상기 버스바(37)는 바디(35)의 인서트사출시 바디에 고정된 것이다.
특히 상기 바디(37)의 일단부는 상기 기판(41)측으로 연장되어, 바디(35)에 대해 기판(41)을 결합할 때 기판(41)을 두께방향으로 통과하여 잭터미널(39)에 끼워진다. 바디(37)의 타단부는 배터리셀(13)의 셀탭(13a)에 접속됨은 물론이다.
상기 잭터미널(39)은, 탄성력을 갖는 금속판을 프레싱 가공하여 제작한 것으로서, 기판(41)에 형성되어 있는 제어회로부(41b)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잭터미널(39)은 바디(35)에 기판(41)을 결합할 때, 기판을 통과한 버스바(37)의 일단부를 물어 고정하여, 버스바(37)를 제어회로부(41)에 접속시키는 것이다.
상기 잭터미널(39)에 대한 설명은 도 3을 통해 자세히 후술된다.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전압센싱모듈(33)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전압센싱모듈(33)에서의 잭터미널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바디(35)의 상하부에 다수의 버스바(37)가 설치되어 있다. 도면상 상측부에 배치된 버스바(37)는 배터리셀의 일측 셀탭에 접속하는 것이고, 하측부에 배치된 네 개의 버스바(37)는 반대측 셀탭에 접속하는 것이다.
여하튼 상기 버스바(37)는, 그 일부가 바디(35)의 내부에 매립된 상태로 양단부가 바디(35)의 외부로 노출 연장되어 있다. 상기 버스바(37)에 있어서의 일단부는 끼움접속부(37b)이다. 상기 끼움접속부(37b)는 기판(41)에 형성되어 있는 버스바관통구멍(41c)을 통해 기판(41)을 두께방향으로 통과한 후 상기 잭터미널(39)에 물린다. 상기 버스바(37)의 타단부는 셀용접부(37a)로서 셀탭에 용접된다.
한편, 상기 바디(35)의 네 귀퉁이부에는 탄성홀더(35a)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탄성홀더(35a)는 대략 원통의 형태를 취하는 돌출부로서 중앙의 슬릿(35c)에 의해 두 쪽으로 갈라져 있다. 이와같이 슬릿(35c)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탄성홀더(35a)의 단부는 오르라지거나 벌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홀더(35a)의 단부에는 헤드부(35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헤드부(35b)는 다른 부분보다 큰 지름을 갖는 부분으로서, 탄성홀더(35a)를 오므린 상태로 끼움구멍(41a)에 끼운 후 놓으면 벌어져 끼움구멍(41a)에 걸리는 부분이다.
상기 바디(35)에 결합하는 기판(41)에는 제어회로부(41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어회로부(41b)는 배터리셀로부터 들어온 전압과 전류량을 감지하여, 배터리셀들의 과충전, 과방전, 과전류, 발열, 연쇄적인 부반응에 의한 발화 또는 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작동을 하는 것으로서 각종 전자부품이나 퓨즈(fuse) 등이 적용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기판(41)의 네 귀퉁이부에는 끼움구멍(4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끼움구멍(41a)은 탄성홀더(35a)가 끼워지는 관통구멍이다. 상기 끼움구멍(41a)의 테두리부는 탄성홀더(35a)의 헤드부(35b)에 걸려, 기판(41)이 바디(35)에 밀착하게 한다.
또한 기판(41)은 상기 끼움접속부(37b)가 통과하는 다수의 버스바관통구멍(41c)도 갖는다. 상기 버스바관통구멍(41c)은 버스바(37)의 끼움접속부(37b)를 통과시켜 끼움접속부(37b)가 잭터미널(39)에 접속하도록 한다.
상기 잭터미널(39)은, 일정두께를 갖는 탄성금속판을 프레싱 가공한 것으로서, 상하단부가 절곡되어 기판(41)의 제어회로부(41b)에 접속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잭터미널(39)의 중앙부에는 관통구멍(39c)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구멍(39c)의 내측 영역에는 제 1가압접속편(39a)과 제 2가압접속편(39b)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가압접속편(39a)은,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오다가 절곡되어 끼움접속부(37b)의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이다. 또한 제 2가압접속편(39b)은 하부에서 상부로 올라오다가 절곡되어 끼움접속부(37b)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이다. 상기 제 2가압접속편(39b)은 두 개가 하나의 세트를 이룬다.
상기 제 1가압접속편(39a)과 제 2가압접속편(39b)의 연장부는 끼움접속부(37b)의 상하면에 면접하며, 잭터미널(39)의 내부로 진입되어 있는 끼움접속부(37b)의 상하면을 화살표 P1 방향 및 P2 방향으로 탄력 가압한다. 이와같이 끼움접속부(37b)가 잭터미널(39)에 탄력적으로 접속함에 의해 각 배터리셀(13)과 기판(41)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특히 제 1,2가압접속편(39a,39b)이 끼움접속부(37b)를 탄력적으로 가압하므로, 외부로부터 진동이 유입되더라도, 제 1,2가압접속편(39a,39b)에 대한 끼움접속부(37b)의 접속이 단절될 염려가 없다. 종전의 경우. 버스바가 기판에 솔더링되므로, 진동의 유입시 솔더링부위가 쉽게 깨져 단락되는 경우가 빈번했었다.
도 5는 상기 도 4에 도시한 잭터미널의 다른 예를 도시한 잭터미널(39)의 측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 1가압접속편(39a)과 제 2가압접속편(39b)의 내향면에 톱니부(39d)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톱니부(39d)는 잭터미널(39)의 프레싱 과정시 형성된 것으로서, 끼움접속부(37b)에 대한 잭터미널(39)의 결합을 보다 견고히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끼움접속부(37b)가 제 1,2,가압접속편(39a,39b)의 사이에서 이탈하지 못하게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결국,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전압센싱모듈(33)은, 버스바를 기판(21)에 접속시키기 위한 잭터미널(39)을 사용함에 따라 종전의 솔더링이 필요없어, 기판(41)의 파손시 기판(41)만 간단히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1:배터리장치 13:배터리셀 13a:셀탭
15:전압센싱모듈 17:바디 19:버스바
21:기판 23:솔더링부 31:배터리장치
33:전압센싱모듈 35:바디 35a:탄성홀더
35b:헤드부 35c:슬릿 37:버스바
37a:셀용접부 37b:끼움접속부 39:잭터미널
39a:제 1가압접속편 39b:제 2가압접속편 39c:관통구멍
39d:톱니부 41:기판 41a:끼움구멍
41b:제어회로부 41c:버스바관통구멍

Claims (14)

  1. 배터리셀의 셀탭과 접속하는 다수의 버스바가 고정되어 있는 바디와;
    회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디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배치된 것으로서, 바디에 대해 기판을 결합할 때, 상기 버스바와 탄성 결합하고, 상기 버스바의 일단부와 접속하여 배터리셀을 기판에 접속시키는 잭터미널과;
    상기 바디에 대해 기판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전압센싱모듈.
  2. 배터리셀의 셀탭과 접속하는 다수의 버스바가 고정되어 있는 바디와;
    회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디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배치된 것으로서, 바디에 대해 기판을 결합할 때, 상기 버스바의 일단부와 접속하여 배터리셀을 기판에 접속시키는 잭터미널과;
    상기 바디에 대해 기판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기판에는 다수의 끼움구멍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바디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끼움구멍에 삽입 고정되는 탄성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전압센싱모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홀더는;
    상기 기판측으로 돌출되되 그 중심에 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슬릿을 중심으로 오므라지거나 벌어질 수 있는 탄력부재로서, 그 단부에는 상기 끼움구멍을 통과한 후 벌어져 끼움구멍에 걸리는 헤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전압센싱모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의 일단부는 바디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상기 잭터미널은;
    탄성력을 갖는 금속판을 프레싱가공한 것으로서,
    상기 버스바의 일단부를 그 내부로 통과시키는 관통구멍을 가지고,
    상기 관통구멍의 내부에 상기 버스바의 일단부를 물어 고정하는 다수의 가압접속편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전압센싱모듈.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의 일단부는 판상의 형태를 취하며,
    상기 가압접속편은;
    상기 버스바를 사이에 두고 버스바의 일면을 탄성 가압하는 제 1가압접속편과,
    상기 제 1가압접속편에 대응하며 버스바의 타면을 가압하는 제 2가압접속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전압센싱모듈.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접속편의 버스바에 접하는 부분에는, 버스바의 미끄럼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가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전압센싱모듈.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가압접속편의 가압면에 형성되어 있는 톱니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전압센싱모듈.
  8. 나란하게 적층 구성되며 그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셀탭이 상호 접속되어 있는 다수의 배터리셀과;
    배터리셀의 셀탭과 접속하는 다수의 버스바가 고정되어 있는 바디와;
    회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디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배치된 것으로서, 바디에 대해 기판을 결합할 때, 상기 버스바와 탄성 결합하고, 상기 버스바의 일단부와 접속하여 배터리셀을 기판에 접속시키는 잭터미널과;
    상기 바디에 대해 기판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장치.
  9. 나란하게 적층 구성되며 그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셀탭이 상호 접속되어 있는 다수의 배터리셀과;
    배터리셀의 셀탭과 접속하는 다수의 버스바가 고정되어 있는 바디와;
    회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디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배치된 것으로서, 바디에 대해 기판을 결합할 때, 상기 버스바의 일단부와 접속하여 배터리셀을 기판에 접속시키는 잭터미널과;
    상기 바디에 대해 기판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기판에는 다수의 끼움구멍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바디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끼움구멍에 삽입 고정되는 탄성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홀더는;
    상기 기판측으로 돌출되되 그 중심에 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슬릿을 중심으로 오므라지거나 벌어질 수 있는 탄력부재로서, 그 단부에는 상기 끼움구멍을 통과한 후 벌어져 끼움구멍에 걸리는 헤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의 일단부는 바디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상기 잭터미널은;
    탄성력을 갖는 금속판을 프레싱가공한 것으로서,
    상기 버스바의 일단부를 그 내부로 통과시키는 관통구멍을 가지고,
    상기 관통구멍의 내부에 상기 버스바의 일단부를 물어 고정하는 다수의 가압접속편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의 일단부는 판상의 형태를 취하며,
    상기 가압접속편은;
    상기 버스바를 사이에 두고 버스바의 일면을 탄성 가압하는 제 1가압접속편과,
    상기 제 1가압접속편에 대응하며 버스바의 타면을 가압하는 제 2가압접속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장치.
  13.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접속편의 버스바에 접하는 부분에는, 버스바의 미끄럼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가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가압접속편의 가압면에 형성되어 있는 톱니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장치.
KR1020130137577A 2013-11-13 2013-11-13 착탈식 전압센싱모듈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장치 Active KR102046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7577A KR102046125B1 (ko) 2013-11-13 2013-11-13 착탈식 전압센싱모듈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장치
CN201480062370.6A CN105723232B (zh) 2013-11-13 2014-11-13 可拆卸的电压感测模块和具有该电压感测模块的电池装置
PCT/KR2014/010885 WO2015072758A1 (ko) 2013-11-13 2014-11-13 착탈식 전압센싱모듈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장치
US15/025,604 US9768474B2 (en) 2013-11-13 2014-11-13 Detachable voltage sensing module and battery device hav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7577A KR102046125B1 (ko) 2013-11-13 2013-11-13 착탈식 전압센싱모듈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6885A KR20150056885A (ko) 2015-05-28
KR102046125B1 true KR102046125B1 (ko) 2019-11-18

Family

ID=53057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7577A Active KR102046125B1 (ko) 2013-11-13 2013-11-13 착탈식 전압센싱모듈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768474B2 (ko)
KR (1) KR102046125B1 (ko)
CN (1) CN105723232B (ko)
WO (1) WO20150727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3746B1 (ko) * 2016-02-16 2022-01-20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전압 센싱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101903228B1 (ko) 2016-06-01 2018-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2102927B1 (ko) 2016-10-06 2020-04-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2140311B1 (ko) 2017-04-07 2020-07-3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KR102201342B1 (ko) * 2017-07-06 2021-01-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KR102324868B1 (ko) * 2018-07-27 2021-11-0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CN108902288A (zh) * 2018-08-29 2018-11-30 中山市绿加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食材消毒净化处理的设备
EP4030546A4 (en) * 2019-12-06 2024-10-16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MODULE AS WELL AS BATTERY PACK AND VEHICLE WITH THE BATTERY MODULE
DE102020117902A1 (de) * 2020-07-07 2022-01-13 Otto-Von-Guericke-Universität Magdeburg Verbindungsanordnung und elektrischer Energiespeicher
KR20220063613A (ko) * 2020-11-10 2022-05-1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압 센싱 부품들의 조립 구조를 개선한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JP7390324B2 (ja) * 2021-01-22 2023-12-0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配線モジュール
US20230364998A1 (en) * 2022-05-10 2023-11-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ntrol of traction battery based on tab temperature
EP4290647A3 (fr) * 2022-06-10 2024-10-16 Creatique Technologie Dispositif de connexion de cellules de batterie avec un banc d'essai
FR3136599A3 (fr) * 2022-06-10 2023-12-15 Creatique Technologie dispositif de connexion de cellules de batteri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344Y1 (ko) * 2004-03-26 2004-06-29 김승일 낚시줄용 유동구
RU2335042C1 (ru) * 2004-12-24 2008-09-27 Эл Джи Кем, Лтд. Узел измерительной платы для аккумуляторного батарейного модуля
KR100948002B1 (ko) * 2006-03-06 2010-03-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대형 전지모듈
KR101140449B1 (ko) * 2007-09-19 2012-04-30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이차전지 모듈팩
KR101230954B1 (ko) * 2010-04-08 2013-02-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센싱부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CN201829585U (zh) * 2010-09-29 2011-05-11 杭州海孚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可拆卸的电池组装置
KR101198623B1 (ko) * 2010-11-15 2012-11-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조립성을 향상한 배터리 모듈
KR101836408B1 (ko) * 2011-04-20 2018-03-12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셀 센싱 기판
KR101276186B1 (ko) * 2011-05-13 2013-06-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압 센싱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US9472797B2 (en) * 2011-05-25 2016-10-18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KR101348230B1 (ko) * 2011-07-22 2014-01-08 (주)재신정보 착탈식 터미널
KR101853397B1 (ko) * 2011-09-01 2018-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지모듈
KR101338240B1 (ko) * 2012-04-18 2013-12-10 주식회사 이랜텍 비엠에스 피시비모듈 연결구조가 개선된 배터리팩
KR101987773B1 (ko) * 2012-07-16 2019-06-11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전지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40893A1 (en) 2016-08-18
KR20150056885A (ko) 2015-05-28
CN105723232B (zh) 2018-12-11
CN105723232A (zh) 2016-06-29
US9768474B2 (en) 2017-09-19
WO2015072758A1 (ko) 2015-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6125B1 (ko) 착탈식 전압센싱모듈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장치
US9923183B2 (en) Busbar module
US7615309B2 (en) Lead member and secondary battery module with the same
EP2218125B1 (en) Pcm of improved assembling type structure and battery pack employed with the same
KR102247392B1 (ko) 배터리 모듈
KR102317503B1 (ko) 배터리 팩
EP3082177B1 (en) Secondary cell module
KR101979371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050077744A (ko) 조립식 구조의 이차전지
KR20160131265A (ko) 배터리 팩
KR102073193B1 (ko) 배터리 팩
JP2014127418A (ja) 電池パック
KR102106447B1 (ko) 전지 모듈
KR102395480B1 (ko) 전지 모듈
KR20170040636A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JP5064957B2 (ja) 二次電池
JP2013089382A (ja) 電池パック
KR102698610B1 (ko) 배터리 모듈
KR20150058808A (ko) 배터리 케이스
KR20190045611A (ko) 리튬배터리 팩에 사용하는 pcb 부스바
KR102338537B1 (ko) 배터리 팩
KR101087054B1 (ko) 낮은 접촉 저항의 전기적 접속 구조
KR102716515B1 (ko) 전압 센싱하우징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102328885B1 (ko) 이차전지 팩
KR101794938B1 (ko) 기계적 접속 구조의 금속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보호회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전지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1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8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11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5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1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1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