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44999B1 - 캔 패키지 - Google Patents

캔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4999B1
KR102044999B1 KR1020180159868A KR20180159868A KR102044999B1 KR 102044999 B1 KR102044999 B1 KR 102044999B1 KR 1020180159868 A KR1020180159868 A KR 1020180159868A KR 20180159868 A KR20180159868 A KR 20180159868A KR 102044999 B1 KR102044999 B1 KR 102044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line
cover plate
connecting plate
cu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9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원
Original Assignee
웨스트락팩캐징솔루션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웨스트락팩캐징솔루션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웨스트락팩캐징솔루션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9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49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99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06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 B65D71/12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 B65D71/36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having a tubular shape, e.g. tubular wrappers, with end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06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 B65D71/12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 B65D71/14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having the shape of a tube, without, or not being characterised by, end walls
    • B65D71/28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having the shape of a tube, without, or not being characterised by, end walls characterised by the handles
    • B65D71/32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having the shape of a tube, without, or not being characterised by, end walls characterised by the handles formed by finger-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06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 B65D71/12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 B65D71/14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having the shape of a tube, without, or not being characterised by, end walls
    • B65D71/34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having the shape of a tube, without, or not being characterised by, end walls characterised by weakened lines or other ope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지로 형성된 캔 패키지가 캔과 얼음을 함께 수용하며 얼음 물이 새지 않도록 용기 역할을 알 수 있는 캔 패키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캔 패키지{CAN PACAKAGE}
본 발명은 음료용 캔 다수개를 묶음 포장하는 종이 재질의 캔 패캐지에 관한 것이다.
청량 음료, 맥주, 쥬스 등을 포함하는 음료용 캔과 같은 용기는 통상적으로 판지 상자에 대량 포장된 상태로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캔들은 1층의 직사각형 행렬로 배열된다. 음료용 캔이나 맥주 캔 등은 6개 또는 12개 들이를 하나의 포장 단위로 묶어서 판매하고 있으며, 그 형태는 6개의 캔을 단층으로 하여 2×3 형태로 포장하거나 12개의 캔을 3×4 형태로 포장한다.
한편, 음료나 맥주를 야외에서 이용하는 경우 음료나 맥주의 냉각이 필요한데, 이 경우 판지 상자로 이루어진 패키지로는 얼음 또는 얼음물을 수용할 수 없어 별도의 용기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1587191호 한국 공개 특허 제2011-0127781호 국제공개번호 WO 1995/06425
상기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판지로 형성된 캔 패키지가 캔과 얼음을 함께 수용하며 얼음 물이 새지 않도록 용기 역할을 알 수 있는 캔 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 및 수동 포장이 가능한 캔 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접착제 도포 공정을 최소화하여 패키징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캔 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 시 얼음을 패키지 내에 투입한 상태에서 용이하게 들고 이동이 가능한 캔 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판(130);
상기 하판(130)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1측판(120) 및 제2측판(140);
상기 제1측판(120)의 타측에 연결되는 상판(110);
상기 제2측판(140)의 타측에 연결되는 내측상판(150);
상기 상판(110)의 상하에 각각 연결되고 서로 상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상측덮개판(160) 및 제2상측덮개판(270);
상기 내측상판(150)의 상하에 각각 연결되고 서로 상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내측덮개판(210) 및 제2내측덮개판(230);
상기 제1측판(120) 상하에 각각 연결되고 서로 상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내측연결판(170) 및 제2내측연결판(260), 상기 제2측판(140) 상하에 각각 연결되고 서로 상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3내측연결판(190)과 제4내측연결판(240);
상기 하판(130) 상하에 각각 연결되고 서로 상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하측면덮개판(180)과 제2하측면덮개판(250);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하측면덮개판(180)과 제2하측면덮개판(250)은 상기 제1내측연결판(170) 및 제3내측연결판(190)과, 상기 제2내측연결판(260) 및 제4내측연결판(240)과 각각 굽힘선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고, 상기 제1상측덮개판(160)과 제1내측연결판(170) 사이는 절개되고, 상기 제2내측덮개판(230)과 제4내측연결판(240) 사이는 절개되고,
상기 상판(110)은 일측단이 > 형상으로 중심부를 향하여 절곡된 절개선(111)이 형성되고, 상기 제1측판(120)과 연결되는 굽힘선(116) 측에는 절개선(111)과 대응하는 < 형상으로 중심부를 향하여 절곡된 절취선(112)이 타공하여 형성되고,
상기 내측상판(150)은 상기 상판(110) 내측에 접착 결합되는 것으로 상판(110)의 절개선(111)에 상응하는 위치와 형상으로 절취선(152)이 형성되고, 절취선(112)에 상응하는 위치와 형상으로 절개선(15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패키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캔 패키지는 판지 패키지가 캔 패키지가 캔과 얼음을 함께 수용하며 얼음 물이 새지 않도록 용기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캔 패키지는 자동 및 수동 포장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캔 패키지는 접착제 도포 공정을 최소화하여 패키징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캔 패키지는 사용 시 얼음을 패키지 내에 투입한 상태에서 용이하게 들고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캔 패키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캔 패키지의 전개도이다.
도 3 은 상면판과 내측상면판을 접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일측 측면판을 접착하기 전 캔들을 수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일측 측면판 접착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캔 패키지가 완전 포장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된 캔 패키지를 사용을 위하여 일측 전개부를 전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된 캔 패키지를 사용을 위하여 양측 전개부를 전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된 캔 패키지를 사용을 위하여 양측 전개부를 전개한 상태에서 남은 손잡이부를 잡고 캔 패키지를 이동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구조를 예시하고 이에 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예시된 형태만으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는 예시된 형태의 통상적인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캔 패키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캔 패키지(1000)는 패키징 완료 시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고, 제1 및 제2 전개부(1150,1550)를 절개하여 오픈하면 패키지 자체가 용기 역할을 하여 얼음(ice)을 넣어 수납된 캔(can)의 냉각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캔 패키지의 전개도이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캔 패키지는 종이재료로 이루어진 것으로 전체 외형이 대략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하판(130)의 일측에는 제1측판(120)이 연결되고 타측에는 제2측판(140)이 연결되고, 제1측판(120)의 타측에는 상판(110)이 연결되고, 제2측판(140)의 타측에는 내측상판(150)이 연결된다. 즉, 상판(110), 제1측판(120), 하판(130), 제2측판(140), 내측상판(150)이 차례로 연결된다. 각각 굽힘선(116, 122, 131, 142)을 사이에 두고 연결된다.
상판(110) 상하에는 제1상측덮개판(160), 제2상측덮개판(270)이 연결되고, 제1측판(120) 상하에는 제1내측연결판(170), 제2내측연결판(260)이 연결되고, 하판(130) 상하에는 제1하측면덮개판(180)과 제2하측면덮개판(250)이 연결되고, 제2측판(140) 상하에는 제3내측연결판(190)과 제4내측연결판(240)이 연결된다. 내측상판(150) 상하에는 제1내측덮개판(210)과 제2내측덮개판(230)이 연결된다. 각각 굽힘선을 사이에 두고 연결된다. 제1하측면덮개판(180)은 제1내측연결판(170) 및 제3내측연결판(190)과 각각 굽힘선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고, 제2하측면덮개판(250)은 제2내측연결판(260) 및 제4내측연결판(240)과 각각 굽힘선을 사이에 두고 연결된다. 제1상측덮개판(160)과 제1내측연결판(170) 사이는 절개된다. 제2상측덮개판(270)과 제2내측연결판(260) 사이는 절개된다. 제1내측덮개판(210)과 제3내측연결판(190) 사이는 절개된다. 제2내측덮개판(230)과 제4내측연결판(240) 사이는 절개된다.
상판(110)은 일측단이 > 형상으로 중심부를 향하여 절곡된 절개선(111)이 형성되고, 제1측판(120)과 연결되는 굽힘선(116) 측에는 절개선(111)과 대응하는 < 형상으로 중심부를 향하여 절곡된 절취선(112)이 타공하여 형성된다. 절취선(112)의 중심 영역에 절취선(112)의 절취를 돕기 위해 오픈 구멍이 타공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상측 덮개판(160)과 연결되는 굽힘선과 제2상측덮개판(270)과 연결되는 굽힘선에 접하도록 중심에서 단부에 치우치는 위치에 각각 삽입구(114a,114b,114c,114d)가 타공 형성된다. 삽입구(114a,114b,114c,114d)에는 제1 및 제2 전개부 전개시 후술할 고정돌부(172c,262c,192c,242c)가 삽입되도록 삽입구(114a,114b,114c,114d) 위치가 설정된다.
제1상측 덮개판(160)과 제2상측덮개판(270)에는 패키징 완료 후 사용자가 손가락을 넣어 캔패키지를 들 수 있도록 손잡이구멍(161,271)이 각각 타공 형성된다. 제1상측덮개판(160)의 상단 모서리와 제2상측덮개판(270)의 하단 모서리는 각각 홈부(162,163,272,273)가 형성되어 접착 조립 후 제1하측면 덮개판(180)에 의해 깔끔하게 커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상측 덮개판(160)과 제2상측덮개판(270)은 제1하측면덮개판(180)과 제2하측면 덮개판(250)보다 높이가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측판(120)과 제2측판(140)에는 굽힘선(116,142)과 평행하게 굽힘선(121,141)이 각각 형성된다. 굽힘선(121,141)은 각각 중심에서 상판(110) 및 내측 상판(150)에 치우치게 형성된다. 제1측판(120) 상단에 연결되는 제1내측연결판(170)과 제1측판 하단에 연결되는 제2내측연결판(260)에는 굽힘선(121)에 연장되어 절개선(173,263)이 절개되어 형성된다. 절개선(173,263)에 근접하여 절개선(173,263)과 평행하게 길이방향으로 타공되어 접착제가 들어가도록 접착 구멍(171,261)이 각각 형성된다. 제1측판(170), 하판(130), 제1하측면덮개판(180), 제1내측연결면(170)이 만나는 모서리에서 제1내측연결판(170) 상단 측으로 굽힘선(174)이 형성된다. 제1측판(170), 하판(130), 제2하측면덮개판(250), 제2내측연결면(260)이 만나는 모서리에서 제2내측연결판(260) 하단 측으로 굽힘선(264)이 형성된다. 제1내측연결판(170)의 제1상측덮개판(160)과 만나는 모서리에는 기울어진 M 형상이 되도록 고정돌부(172c), 걸림홈부(172b), 걸림돌부(172a)가 형성된다. 걸림돌부(172a)는 절취선(112) 상단에 연결된다. 제2내측연결판(260)의 제2상측덮개판(270)과 만나는 모서리에는 기울어진 M 형상이 되도록 고정돌부(262c), 걸림홈부(262b), 걸림돌부(262a)가 형성된다. 걸림돌부(262a)는 절취선(112) 하단에 연결된다. 제3내측연결판(190), 제2측판(140), 제4내측연결판(240)은 제1내측연결판, 제1측판(120), 제2내측연결판(260)과 상응하게 형성된다.
내측상판(150)은 상기 상판(110) 내측에 접착 결합되는 것으로 상판(110)의 절개선(111)에 상응하는 위치와 형상으로 절취선(152)이 형성되고, 절취선(112)에 상응하는 위치와 형상으로 절개선(151)이 형성된다. 삽입구(114a,114b,114c,114d)와 상응하는 형상과 위치로 삽입구(154a,154b,154c,154d)가 형성된다.
내측상판(150)에 연결되는 제1내측덮개판(210)과 제2내측덮개판(230)은 홈부(162,163,272,273)가 형성된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고, 손잡이구멍(161,271)을 방해하지 않도록 절개부(213)가 형성된다. 내측상판(150)의 중심 영역에는 절개선(151)과 절취선(152) 사이에 제1내측덮개판(210)과 제2내측덮개판(230) 측으로 연장하여 길이방향으로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제 라인(310,320)이 형성되고, 제1내측덮개판(210)과 제2내측덮개판(230)의 양 측단부에 치우쳐서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제 라인(360,350, 330,340)이 각각 형성된다.
도 3 은 도 2에 도시된 전개도의 상판(110)과 내측상판(150)을 접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판(110)과 내측상판(150)을 접착하면 절개선(111)은 절취선(152)과 만나고, 절개선(151)은 절취선(112)와 만나서, 내측상판(150)의 절개되지 않은 부분이 드러나게 된다. 도면번호 1110은 상판(110)과 내측상판(150)이 두겹으로 겹쳐진 손잡이부이고, 1550은 내측상판이 드러난 부분이고, 1150은 상판의 남은 부분이 된다. 1150은 절취선(112)이 절취될 경우 제1전개부가 되고, 1550은 절취선(152)이 절취될 경우 제2전개부가 된다.
도 4 는 제2하측면덮개판(250)이 형성하는 측면판을 접착하기 전 캔(can)들을 수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 는 제2하측면덮개판(250)이 형성하는 측면판의 접착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와 도 5를 이용하여 측면 덮개판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4 내측연결판(240)의 절개선(243) 상측의 M 형상의 고정돌부(242c), 걸림홈부(242b), 걸림돌부(242a)가 형성된 영역과 제3내측연결판(190)의 절개선(193) 상측의 고정돌부(192c), 걸림홈부(192b), 걸림돌부(192a)가 형성된 영역을 내측으로 접어 넣고, 그 다음, 제2상측덮개판(270)으로 누른다. 접착구멍(241,261)과 함께, 양 접착구멍(241,261)을 연결하여 접착제를 도포한다. 제2하측면덮개판(250) 단부가 상기 접착제로 접착되도록 제2하측면덮개판(250)을 접어 누른다.
제1하측면덮개판(180)이 형성하는 측면판도 같은 방식으로 조립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캔 패키지가 완전 패키징된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된 캔 패키지를 사용을 위하여 제2 전개부(1550)를 전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된 캔 패키지를 사용을 위하여 제1 및 제2 전개부(1150,1550)를 전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절취선(152)을 절개하고 굽힘선(141)을 따라 뒤로 젖히면, 절개선(243) 상측의 M자 형상의 고정돌부(242c), 걸림홈부(242b), 걸림돌부(242a) 영역은 제2 전개부(1550)를 따라나오게 되고, 고정돌부(242c)는 삽입구(114c)에 끼워져 고정되어 제2 전개부(1550)가 더이상 전개되지 않고 고정되도록 한다. 걸림돌부(242a)는 바깥으로 빠져나오고, 삽입구(114c)와 모서리 사이의 공간이 걸림홈부(242b)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제2 전개부(1550)는 더이상 젖혀지거나 다시 오무려지지 않고 일정 각도로 전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제1 전개부(1150)도 상응하는 방식으로 전개되어 걸림 고정된다. 제1 및 제2 전개부(1150,1550)가 전개되어 만드는 공간에 얼음이나 얼음물등을 넣어 캔의 냉각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하판(130)과 측판(120,140) 및 하측면덮개판(180,250) 사이에는 절개된 영역이 없어 물이 새지 않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된 캔 패키지를 사용을 위하여 양측 전개부를 전개한 상태에서 남은 상판인 손잡이부(1110)를 손잡이로 잡고 캔 패키지를 이동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손잡이부(1110)는 상판(110)과 내측상판(150)이 접착된 두겹으로 튼튼하게 하중을 견딜 수 있으므로 캔과 함께 얼음을 수용한 상태에서도 무게를 지지할 수 있는 핸들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캔 패키지는 얼음을 담아서 시원하게 즐길 수 있는 아이스 패키지를 제공할 수 있다. 바닥 면에는 물이 빠지지 않도록 사면의 모서리가 절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캔 패키지는 자동 및 수동포장이 가능하게 설계되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는 가공처에서 1차 공정으로 절단 및 상판과 내측 상판의 접착 공정을 거쳐 가공되어 현장에 도착하면 패키지를 세워 제품(can)을 넣고 측판 접착 공정을 처리 하는 과정에서 한번의 접착제 도포 공정으로 튼튼하고 견고하게 밀봉이 가능하다. 손잡이구멍이 측면에 타공되어 패키징 상태에서 측면 손잡이 구멍을 이용할 수 있고, 패키지를 오픈했을 경우 제1 및 제2 전개부가 전개되고 남은 부분이 핸들 역할을 하여 핸들을 위로 들어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전개부 전개시 제1 및 제2 측판의 절개선(243) 상측의 M자 형상의 고정돌부(242c), 걸림홈부(242b), 걸림돌부(242a) 영역은 제2 전개부(1550)를 따라 나오게 되고, 고정돌부(242c)는 삽입구(114c)에 끼워져 고정되어 제2 전개부(1550)를 더이상 전개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전개부(1550,1150)에 의해 45도 각도로 얼음을 담을 수 있도록 넓적한 용기 형태가 만들어진다. 얼음을 담은 채로 이동도 가능하다.

Claims (8)

  1. 하판(130);
    상기 하판(130)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1측판(120) 및 제2측판(140);
    상기 제1측판(120)의 타측에 연결되는 상판(110);
    상기 제2측판(140)의 타측에 연결되는 내측상판(150);
    상기 상판(110)의 상하에 각각 연결되고 서로 상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상측덮개판(160) 및 제2상측덮개판(270);
    상기 내측상판(150)의 상하에 각각 연결되고 서로 상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내측덮개판(210) 및 제2내측덮개판(230);
    상기 제1측판(120) 상하에 각각 연결되고 서로 상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내측연결판(170) 및 제2내측연결판(260), 상기 제2측판(140) 상하에 각각 연결되고 서로 상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3내측연결판(190)과 제4내측연결판(240);
    상기 하판(130) 상하에 각각 연결되고 서로 상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하측면덮개판(180)과 제2하측면덮개판(250);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하측면덮개판(180)과 제2하측면덮개판(250)은 상기 제1내측연결판(170) 및 제3내측연결판(190)과, 상기 제2내측연결판(260) 및 제4내측연결판(240)과 각각 굽힘선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고, 상기 제1상측덮개판(160)과 제1내측연결판(170) 사이는 절개되고, 상기 제2내측덮개판(230)과 제4내측연결판(240) 사이는 절개되고,
    상기 상판(110)은 일측단이 > 형상으로 중심부를 향하여 절곡된 절개선(111)이 형성되고, 상기 제1측판(120)과 연결되는 굽힘선(116) 측에는 절개선(111)과 대응하는 < 형상으로 중심부를 향하여 절곡된 절취선(112)이 타공하여 형성되고,
    상기 내측상판(150)은 상기 상판(110) 내측에 접착 결합되는 것으로 상판(110)의 절개선(111)에 상응하는 위치와 형상으로 절취선(152)이 형성되고, 절취선(112)에 상응하는 위치와 형상으로 절개선(151)이 형성되고,
    상기 제1내측연결판(170)의 제1상측덮개판(160)과 만나는 모서리에는 기울어진 M 형상이 되도록 고정돌부(172c), 걸림홈부(172b), 걸림돌부(172a)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부(172a)는 상기 절취선(112) 상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내측연결판(260)의 상기 제2상측덮개판(270)과 만나는 모서리에는 기울어진 M 형상이 되도록 고정돌부(262c), 걸림홈부(262b), 걸림돌부(262a)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부(262a)는 상기 절취선(112)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상측 덮개판(160)과 연결되는 굽힘선과 상기 제2상측덮개판(270)과 연결되는 굽힘선에 접하도록 중심에서 단부에 치우치는 위치에 각각 삽입구(114a,114b,114c,114d)가 타공 형성되어 상기 절취선이 절취되어 전개될 때 고정돌부(172c,262c,192c, 242c)가 각각 삽입되고,
    상기 내측상판(150)에는 상기 삽입구(114a,114b,114c,114d)와 상응하는 형상과 위치로 삽입구(154a,154b,154c,154d)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패키지.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제1측판(120)과 제2측판(140)에는 굽힘선(116,142)과 평행하게 굽힘선(121,141)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패키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판(120) 상단에 연결되는 제1내측연결판(170)과 제1측판 하단에 연결되는 제2내측연결판(260)에는 굽힘선(121)에 연장되어 절개선(173,263)이 절개되어 형성되고, 절개선(173,263)에 근접하여 절개선(173,263)과 평행하게 길이방향으로 타공되어 접착제가 들어가도록 접착 구멍(171,261)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패키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내측연결판(240)의 절개선(243) 상측의 영역과 상기 제3내측연결판(190)의 절개선(193) 상측 영역을 내측으로 접어 넣고, 상기 제2상측덮개판(270)으로 누른 다음 상기 접착구멍(241,261)과 함께, 상기 접착구멍(241,261)을 연결하여 접착제를 도포한 후 상기 제2하측면덮개판(250) 단부가 상기 접착제로 접착되도록 제2하측면덮개판(250)을 접어 눌러 측면을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패키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상판(150)의 중심 영역에는 절개선(151)과 절취선(152) 사이에 상기 제1내측덮개판(210)과 제2내측덮개판(230) 측으로 연장하여 길이방향으로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제 라인(310,320)이 형성되고, 상기 제1내측덮개판(210)과 제2내측덮개판(230)의 양 측단부에 치우쳐서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제 라인(360,350, 330,340)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내측상판(150)이 상기 상판(110) 내면에 접착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패키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선(112, 152)의 절취에 의해 제1 및 제2 전개부(1150, 15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패키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선(152)을 절개하고 굽힘선(141)을 따라 뒤로 젖히면, 절개선(243) 상측의 M자 형상의 상기 고정돌부(242c), 걸림홈부(242b), 걸림돌부(242a) 영역은 상기 제2 전개부(1550)를 따라 나오게 되고, 상기 고정돌부(242c)는 상기 삽입구(114c)에 끼워져 고정되어 상기 제2 전개부(1550)가 더이상 전개되지 않고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패키지.
KR1020180159868A 2018-12-12 2018-12-12 캔 패키지 Expired - Fee Related KR102044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868A KR102044999B1 (ko) 2018-12-12 2018-12-12 캔 패키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868A KR102044999B1 (ko) 2018-12-12 2018-12-12 캔 패키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4999B1 true KR102044999B1 (ko) 2019-12-02

Family

ID=68847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9868A Expired - Fee Related KR102044999B1 (ko) 2018-12-12 2018-12-12 캔 패키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499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06425A1 (en) 1993-08-31 1995-03-09 The Mead Corporation Roll-out dispenser for a beverage carton
JP2009525931A (ja) * 2006-02-06 2009-07-16 グラフィック パッケージング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ハンドルおよびディスペンサ付きカートン
KR20110127781A (ko) 2010-05-20 2011-11-28 권세호 식품용 캔 포장박스 및 그 지지용 패키지
KR101587191B1 (ko) 2014-10-07 2016-01-21 (주)지피피 음료용기 패키지 포장박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06425A1 (en) 1993-08-31 1995-03-09 The Mead Corporation Roll-out dispenser for a beverage carton
JP2009525931A (ja) * 2006-02-06 2009-07-16 グラフィック パッケージング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ハンドルおよびディスペンサ付きカートン
KR20110127781A (ko) 2010-05-20 2011-11-28 권세호 식품용 캔 포장박스 및 그 지지용 패키지
KR101587191B1 (ko) 2014-10-07 2016-01-21 (주)지피피 음료용기 패키지 포장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33150B2 (ja) 噛み合い仕切板を有するカートン
US9783334B2 (en) Shipping and display container
ES2592630T3 (es) Dispositivo de transporte con característica de retención
US6296178B1 (en) Container with triangular corner posts
JP2006514904A (ja) カートン及びカートンブランク
JP2008517842A (ja) 全包囲型カートン
EP0164405A1 (en) CARDBOARD CAN.
US20080265008A1 (en) Two Piece Carton
EP1852359A2 (en) Two piece carton
JP2004017970A (ja) カートン
WO1996036540A1 (en) Package for fragile goods
JP2018507143A (ja) 板紙カートン及びカートンブランク
US11192702B2 (en) Carton and carton blank
KR102044999B1 (ko) 캔 패키지
JP2007532422A (ja) カートンおよび破断可能な接合部を備えたカートンブランク
NO863966L (no) Kartong av papp, boelgepapp eller lignende materiale.
KR20090011014U (ko) 포장박스
HU220283B (hu) Göngyöleg palackokhoz
JP3228628U (ja) 包装用容器
EP0647565A1 (en) Packaging for substantially rectangular blocks consisting of one or more articles
EP2189391A1 (en) Box, for instance for a BIB package, blank for such a box, and assembly of a box and an inner bag
NO325028B1 (no) Forsendelses- og utstillingspakke
KR200159285Y1 (ko) 물품포장용 상자
RU2483994C1 (ru) Ящик для размещения упакованного продукта (варианты) и поддон для этого ящика
KR20210019262A (ko)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2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1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6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1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1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