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44849B1 - 조립식 클리닝 노즐과 이것이 구비된 조립식 클리닝 장치 - Google Patents

조립식 클리닝 노즐과 이것이 구비된 조립식 클리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4849B1
KR102044849B1 KR1020180012823A KR20180012823A KR102044849B1 KR 102044849 B1 KR102044849 B1 KR 102044849B1 KR 1020180012823 A KR1020180012823 A KR 1020180012823A KR 20180012823 A KR20180012823 A KR 20180012823A KR 102044849 B1 KR102044849 B1 KR 102044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bracket
unit
slit
nozzle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2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3327A (ko
Inventor
육경식
Original Assignee
육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육경식 filed Critical 육경식
Priority to KR1020180012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4849B1/ko
Publication of KR20190093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3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84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4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a combination of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0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in flat form, e.g. fan-like, sheet-like
    • B05B1/044Slits, i.e. narrow openings defined by two straight and parallel lips; Elongated outlets for producing very wide discharges, e.g. fluid curt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B08B1/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20Cleaning of moving articles, e.g. of moving webs or of objects on a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22Cleaning devices comprising fluid apply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Cleaning Or Drying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유체가 흡입 또는 분사되는 노즐슬릿의 폭 방향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물질의 크기를 다양화하고, 노즐슬릿에서 흡입력 또는 분사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립식 클리닝 노즐과 이것이 구비된 조립식 클리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조립식 클리닝 노즐은 조립식 클리닝 노즐은 선형의 제1노즐슬릿과, 제1노즐슬릿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는 선형의 제2노즐슬릿이 개구된 조립식 클리닝 노즐이고, 제1노즐슬릿에 대응하여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노즐유닛 및 제2노즐슬릿에 대응하여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제1노즐유닛의 일측 또는 양측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노즐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립식 클리닝 노즐과 이것이 구비된 조립식 클리닝 장치{PREFABRICATED CLEANING NOZZLE AND PREFABRICATED CLEANING DEVICE}
본 발명은 조립식 클리닝 노즐과 이것이 구비된 조립식 클리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유체가 흡입 또는 분사되는 노즐슬릿의 폭 방향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물질의 크기를 다양화하고, 노즐슬릿에서 흡입력 또는 분사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립식 클리닝 노즐과 이것이 구비된 조립식 클리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벨트 컨베이어 또는 기판 등과 같은 피처리물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의 제거를 위해 피처리물로부터 이물질을 흡입하거나, 피처리물에 유체를 분사하는 클리닝 장치가 사용된다.
이러한 클리닝 장치는 피처리물을 가압하지 않도록 하여 피처리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클리닝 장치에는 선형의 슬릿이 개구된 노즐이 구비되는 데, 이러한 노즐은 정형화됨에 따라 노즐팁 사이의 간격 조절이 어려우므로, 피처리물의 종류, 이물질의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한 노즐을 구비해야 한다.
또한, 노즐팁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므로, 흡입력 또는 분사력의 조절을 위해서는 흡입수단이나 분사수단의 파워를 조절해야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2282호(발명의 명칭 : 비접촉식 벨트 클리너, 2012. 03. 21.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유체가 흡입 또는 분사되는 노즐슬릿의 폭 방향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물질의 크기를 다양화하고, 노즐슬릿에서 흡입력 또는 분사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립식 클리닝 노즐과 이것이 구비된 조립식 클리닝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클리닝 노즐은 선형의 제1노즐슬릿과, 상기 제1노즐슬릿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는 선형의 제2노즐슬릿이 개구된 조립식 클리닝 노즐이고, 상기 제1노즐슬릿에 대응하여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노즐유닛; 및 상기 제2노즐슬릿에 대응하여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1노즐유닛의 일측 또는 양측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노즐유닛;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노즐유닛은,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1-1브라켓과 제1-2브라켓; 상기 제1-1브라켓의 상단부와 상기 제1-2브라켓의 상단부 사이를 밀폐시키는 밀폐부재; 및 상기 밀폐부재에서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고,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제1-1브라켓과 상기 제1-2브라켓을 연결하는 제1간격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1브라켓과 상기 제1-2브라켓 사이에는, 상기 제1간격조절부재에 의해 상기 제1노즐슬릿과, 상기 제1노즐슬릿에 연통되는 제1처리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간격조절부재가 상기 제1-1브라켓과 상기 제1-2브라켓에 나사 결합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제1노즐슬릿의 폭 방향 간격이 조절된다.
여기서, 상기 제1-1브라켓과 상기 제1-2브라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일측에는 상기 밀폐부재가 밀착 지지되고, 상기 제1처리공간의 전체 또는 일부를 형성하는 제1처리플레이트; 및 상기 제1처리플레이트의 타측에서 연장되는 제1노즐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노즐플레이트와 마주보는 다른 플레이트 사이에는, 상기 제1노즐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제1간격조절부재는 나사 결합을 통해 상기 제1노즐플레이트와 마주보는 다른 플레이트를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밀폐부재가 지지되는 상기 제1-1브라켓과 상기 제1-2브라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밀폐부재가 삽입되는 밀폐홈부;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간격조절부재는, 상기 밀폐부재에서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나사 결합을 통해 상기 제1노즐플레이트와 마주보는 다른 플레이트를 상호 연결시키는 제1-1조절부재; 및 상기 제1-1조절부재에서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나사 결합을 통해 상기 제1노즐플레이트를 기준으로 마주보는 다른 플레이트를 가압하는 제1-2조절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노즐플레이트에는, 상기 제2노즐유닛을 향해 경사를 이루는 공급경사부; 및 상기 공급경사부로부터 제1노즐플레이트의 단부를 형성하는 제1노즐팁을 향해 경사를 이루는 안내경사부;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1-1브라켓과 상기 제1-2브라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1처리공간에 유체를 공급하거나, 상기 제1처리공간의 유체가 배출되는 제1유체처리부;가 관통 또는 함몰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노즐유닛은, 상기 제1노즐유닛의 일측 또는 양측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처리브라켓; 상기 처리브라켓의 상단부와 상기 제1노즐유닛 사이를 밀폐시키는 피벗지지부재; 및 상기 처리브라켓의 상단부에서 이격되고,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처리브라켓과 상기 제1노즐유닛을 연결하는 제2간격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노즐유닛과 상기 처리브라켓 사이에는, 상기 제2간격조절부재에 의해 상기 제2노즐슬릿과, 상기 제2노즐슬릿에 연통되는 제2처리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2간격조절부재가 상기 처리브라켓과 상기 제1노즐유닛에 나사 결합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제2노즐슬릿의 폭 방향 간격이 조절된다.
여기서, 상기 제1노즐유닛과 상기 처리브라켓 중 어느 하나에는, 피벗홈부;가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제1노즐유닛과 상기 처리브라켓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피벗홈부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피벗돌부;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노즐유닛과 상기 처리브라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피벗지지부재가 삽입되는 지지홈부;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처리브라켓은, 상기 제1노즐유닛의 일측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1브라켓; 및 상기 제1노즐유닛의 타측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2브라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간격조절부재는, 상기 제2-1브라켓에 대응하여 상기 제2-1브라켓의 상단부에서 이격되어 나사 결합을 통해 상기 제2-1브라켓과 상기 제1노즐유닛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2-1조절부재; 및 상기 제2-2브라켓에 대응하여 상기 제2-2브라켓의 상단부에서 이격되어 나사 결합을 통해 상기 제2-2브라켓과 상기 제1노즐유닛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2-2조절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처리브라켓에는, 상기 제2처리공간에 유체를 공급하거나, 상기 제2처리공간의 유체가 배출되는 제2유체처리부;가 관통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클리닝 노즐은 선형의 제1노즐슬릿과, 상기 제1노즐슬릿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는 선형의 제2노즐슬릿이 개구된 조립식 클리닝 노즐이고, 상기 제1노즐슬릿에 대응하여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노즐유닛; 및 상기 제2노즐슬릿에 대응하여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1노즐유닛의 일측 또는 양측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노즐유닛;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노즐유닛은, 상기 제1노즐유닛의 일측 또는 양측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처리브라켓; 상기 처리브라켓의 상단부와 상기 제1노즐유닛 사이를 밀폐시키는 피벗지지부재; 및 상기 처리브라켓의 상단부에서 이격되고,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처리브라켓과 상기 제1노즐유닛을 연결하는 제2간격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노즐유닛과 상기 처리브라켓 사이에는, 상기 제2간격조절부재에 의해 상기 제2노즐슬릿과, 상기 제2노즐슬릿에 연통되는 제2처리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2간격조절부재가 상기 처리브라켓과 상기 제1노즐유닛에 나사 결합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제2노즐슬릿의 폭 방향 간격이 조절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클리닝 노즐은 상기 제1노즐유닛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제1노즐유닛의 선단부와 후단부 그리고 상기 제2노즐유닛의 선단부와 후단부를 밀폐하는 마감부재; 상기 제2노즐슬릿의 폭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버퍼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2노즐유닛에 결합되는 버퍼유닛; 및 상기 제2노즐슬릿의 폭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피가공물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2노즐유닛에 결합되는 청소솔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클리닝 장치는 선형의 제1노즐슬릿과, 상기 제1노즐슬릿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는 선형의 제2노즐슬릿이 개구된 노즐유닛; 상기 제1노즐슬릿에 흡입력과 분사력 중 어느 하나를 제공하는 제1유체구동유닛; 및 상기 제2노즐슬릿에 흡입력과 분사력 중 다른 하나를 제공하는 제2유체구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유닛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클리닝 노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클리닝 노즐과 이것이 구비된 조립식 클리닝 장치에 따르면,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유체가 흡입 또는 분사되는 제1노즐슬릿의 폭 방향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물질의 크기를 다양화하고, 제1노즐슬릿에서 흡입력 또는 분사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간격조절부재의 나사 결합에 따라 밀폐부재를 기준으로 제1-1브라켓과 제1-2브라켓이 상대 운동하여 피벗 운동하므로, 제1노즐슬릿의 폭 방향 간격 조절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밀폐홈부를 통해 제1-1브라켓과 제1-2브라켓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고, 제1처리공간의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간격조절부재의 배열 구조에 따라 제1-1브라켓과 제1-2브라켓과 밀폐부재 사이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고, 밀폐부재의 결합 부위에서 제1처리공간의 유체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노즐플레이트의 단부 구조를 통해 제2노즐슬릿의 간격을 줄일 수 있고, 제2노즐슬릿에서 흡입 또는 분사되는 유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유체처리부를 통해 제1유체구동유닛과의 결합을 간편하게 하고, 유체의 공급 또는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노즐유닛의 세부 구성을 통해 제2노즐슬릿을 구현할 수 있고, 제2간격조절부재를 통해 제2노즐슬릿의 폭 방향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노즐유닛과 제2노즐유닛의 결합 구조를 통해 제2노즐슬릿의 폭 방향 간격을 조절에 있어서, 제2노즐유닛의 피벗 운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홈부의 구성을 통해 제2노즐유닛의 피벗 운동에 대응하여 제1노즐유닛과 제2노즐유닛의 결합 구조를 명확하게 하고, 피벗지지부재의 결합 부위에서 제1노즐유닛과 제2노즐유닛의 밀착력을 향상시키며, 피벗지지부재의 결합 부위에서 제2처리공간의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노즐슬릿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일측 또는 양측에 제2노즐슬릿을 구비할 수 있고, 각각의 제2노즐슬릿에 대응하여 제2노즐슬릿의 폭 방향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유체처리부를 통해 제2유체구동유닛과의 결합을 간편하게 하고, 유체의 공급 또는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감부재를 통해 제1노즐유닛의 선단부와 후단부 그리고 제2노즐유닛의 선단부와 후단부에서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버퍼유닛 또는 청소솔유닛의 구성을 통해 피가공물에서 노즐이 이동될 때, 제1노즐팁 또는 제2노즐팁에서 이물질의 흡입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유체구동유닛의 세부 구성을 통해 제1-1브라켓과 제1-2브라켓의 피벗 운동시 제1유체구동유닛과 제1노즐유닛 사이에서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클리닝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클리닝 장치에서 노즐슬릿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노즐팁 부분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클리닝 장치에서 제1노즐슬릿의 제1노즐팁 간격이 조절된 상태를 도시한 노즐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클리닝 장치에서 제2노즐슬릿의 제2노즐팁 간격이 조절된 상태를 도시한 노즐유닛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클리닝 노즐과 이것이 구비된 조립식 클리닝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클리닝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클리닝 장치는 선형의 제1노즐슬릿(103)과, 제1노즐슬릿(103)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여 제1노즐슬릿(103)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는 선형의 제2노즐슬릿(203)에서 각각 유체의 흡입과 유체의 분사가 이루어질 때, 제1노즐슬릿(103)과 제2노즐슬릿(20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폭 방향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클리닝 장치는 선형의 제1노즐슬릿(103)과, 제1노즐슬릿(103)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여 제1노즐슬릿(103)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는 선형의 제2노즐슬릿(203)이 개구된 노즐유닛과, 제1노즐슬릿(103)에 흡입력과 분사력 중 어느 하나를 제공하는 제1유체구동유닛(600)과, 제2노즐슬릿(203)에 흡입력과 분사력 중 다른 하나를 제공하는 제2유체구동유닛(700)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유닛은 제1노즐슬릿(103)에 대응하여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노즐유닛(100)과, 제2노즐슬릿(203)에 대응하여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2노즐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노즐유닛(200)은 제1노즐유닛(100)의 일측 또는 양측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1노즐유닛(100)은 제1노즐슬릿(103)에 대응하여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1-1브라켓(110)과 제1-2브라켓(120)과, 제1-1브라켓(110)의 상단부와 제1-2브라켓(120)의 상단부 사이를 밀폐시키는 밀폐부재(130)와, 밀폐부재(130)에서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고 나사 결합에 의해 제1-1브라켓(110)과 제1-2브라켓(120)을 연결하는 제1간격조절부재(140)를 포함한다.
그러면, 제1-1브라켓(110)과 제1-2브라켓(120) 사이에는 제1간격조절부재(140)에 의해 제1노즐슬릿(103)과, 제1노즐슬릿(103)에 연통되는 제1처리공간(101)이 형성된다. 또한, 제1간격조절부재(140)가 제1-1브라켓(110)과 제1-2브라켓(120)에 나사 결합되는 정도에 따라 제1-1브라켓(110)과 제1-2브라켓(120)은 밀폐부재(130)에 밀착 지지된 상태에서 밀폐부재(130)를 기준으로 피벗 운동하게 되므로, 제1노즐슬릿(103)의 폭 방향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좀 더 자세하게, 제1간격조절부재(140)를 조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1브라켓(110)과 제1-2브라켓(120)의 상단부가 밀폐부재(130)에 밀착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밀폐부재(130)를 기준으로 제1-1브라켓(110)과 제1-2브라켓(120)이 피벗 운동하여 제1-1브라켓(110)에 대하여 제1-2브라켓(120)의 하부가 접근하므로, 제1노즐슬릿(103)의 폭 방향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간격조절부재(140)를 풀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1브라켓(110)과 제1-2브라켓(120)의 상단부가 밀폐부재(130)에 밀착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밀폐부재(130)를 기준으로 제1-1브라켓(110)과 제1-2브라켓(120)이 피벗 운동하여 제1-1브라켓(110)에 대하여 제1-2브라켓(120)의 하부가 멀어지므로, 제1노즐슬릿(103)의 폭 방향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제1-1브라켓(110)과 제1-2브라켓(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1처리공간(101)의 전체 또는 일부를 형성하는 제1처리플레이트와, 제1처리플레이트의 타측에서 연장되는 제1노즐플레이트(12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1브라켓(110)과 제1-2브라켓(120)은 밀폐부재(130)를 기준으로 축 대칭을 이루고 있다.
그러면, 제1처리플레이트의 일측 단부에는 밀폐부재(130)가 밀착 지지된다.
이때, 제1노즐플레이트(121)와 마주보는 다른 플레이트 사이, 다시 말해, 상호 마주보는 제1노즐플레이트(121) 사이에는 제1노즐슬릿(103)이 형성된다. 그러면, 제1간격조절부재(140)는 나사 결합을 통해 제1노즐플레이트(121)와 마주보는 다른 플레이트, 다시 말해, 상호 마주보는 제1노즐플레이트(121)를 연결하게 된다.
제1처리공간(101)과 제1노즐슬릿(103)은 제1연통부(102)를 매개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처리플레이트는 일측이 밀폐부재(130)에 밀착 지지되는 제1-1플레이트(111)와, 제1-1플레이트(111)의 타측에서 연장되는 제1-2플레이트(112)와, 제1-2플레이트(112)에서 연장되는 제1-3플레이트(113)를 포함한다. 이때, 제1-1플레이트(111) 내지 제1-3플레이트(113)에 의해 제1처리공간(101)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처리플레이트는 제1-2플레이트(112)와 제1-3플레이트(113)를 경사지게 연결하는 제1-4플레이트(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노즐플레이트(121)는 제1처리플레이트의 타측, 다시 말해, 제1-3플레이트(113)에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제1노즐플레이트(121)의 단부에는 제1노즐팁(122)이 형성된다.
이때, 제1노즐플레이트(121)에는 제2노즐유닛(200)을 향해 경사를 이루는 공급경사부(123)와, 공급경사부(123)로부터 제1노즐플레이트(121)의 단부를 형성하는 제1노즐팁(122)을 향해 경사를 이루는 안내경사부(124)가 포함된다. 그러면, 제2노즐슬릿(203)에 대응하여 제1-3플레이트(113)와 제2노즐유닛(200) 사이의 간격 조절이 용이해진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노즐플레이트(121)는 제1-3플레이트(113)에서 단계적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연통부(102)는 제1노즐플레이트(121)의 절곡 형태에 대응하여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t00은 제1노즐슬릿(103)의 폭 방향 간격을 조절하기 전 상태이고, t01은 제1간격조절부재(140)의 동작에 따라 제1노즐슬릿(103)의 폭 방향 간격이 조절된 상태를 나타낸다. 다른 표현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t00은 제1노즐플레이트(121)의 단부에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제1노즐팁(12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전 상태이고, t01은 제1노즐플레이트(121)의 단부에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제1노즐팁(122) 사이 간격이 조절된 상태를 나타낸다.
여기서, 밀폐부재(130)가 지지되는 제1-1브라켓(110)과 제1-2브라켓(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밀폐부재(130)가 삽입되는 밀폐홈부(131)가 구비되어 제1-1브라켓(110)과 제1-2브라켓(120)의 상측으로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1브라켓(110)과 제1-2브라켓(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제1처리공간(101)에 유체를 공급하거나, 제1처리공간(101)의 유체가 배출되는 제1유체처리부(115)가 관통 또는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호 마주보는 제1-1플레이트(111)에서 각각 함몰 형성되고, 제1-1브라켓(110)과 제1-2브라켓(120)의 결합에 따라 제1처리공간(101)이 노출된 구멍을 형성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처리공간(101)에는 수용된 유체를 필터링 하는 필터(미도시)가 구비되어 제1처리공간(101)의 유체를 필터링할 수 있다.
제1간격조절부재(140)는 밀폐부재(130)에서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고, 제1노즐슬릿(103)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여 2열 이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간격조절부재(140)의 2열 배열 구조는 한 쌍의 제1노즐팁(122) 사이 간격을 조절함에 있어서, t01의 변화에 대응하여 제1-1브라켓(110)과, 제1-2브라켓(120)과, 밀폐부재(130) 사이의 밀착력을 향상시켜 제1노즐유닛(100)의 결합력이 향상되며, 밀폐부재(130)의 결합 부위에서 제1처리공간(101)의 유체 누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1간격조절부재(140)는 밀폐부재(130)에서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나사 결합을 통해 제1노즐플레이트(121)와 마주보는 다른 플레이트를 상호 연결시키는 제1-1조절부재(141)와, 제1-1조절부재(141)에서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나사 결합을 통해 제1노즐플레이트(121)를 기준으로 마주보는 다른 플레이트를 가압하는 제1-2조절부재(14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제1간격조절부재(140)는 밀폐부재(130)에서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제1노즐플레이트(121)와 마주보는 다른 플레이트, 다시 말해, 상호 마주보는 제1노즐플레이트(121)에 나사 결합되는 제1-1조절부재(141)와, 제1-1조절부재(141)에서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제1노즐플레이트(121)와 마주보는 다른 플레이트, 다시 말해, 상호 마주보는 제1노즐플레이트(121) 중 어느 하나에 나사 결합되는 제1-2조절부재(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조절부재(141)는 상호 마주보는 제1노즐플레이트(121)에 모두 나사 결합되기도 하고, 상호 마주보는 제1노즐플레이트(121) 중 어느 하나를 통과하여 다른 하나에 나사 결합되기도 한다. 또한, 제1-2조절부재(142)는 상호 마주보는 제1노즐플레이트(121) 중 어느 하나에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다른 하나를 가압 지지하게 된다.
그러면, 제1-1조절부재(141)를 통해 나사 결합 상태를 조절함으로써, 제1-1브라켓(110)과 제1-2브라켓(120)의 결합을 안정화시키고, 제1-2조절부재(142)를 통해 나사 결합 상태를 조절함으로써, 제1노즐슬릿(103)의 폭 방향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1조절부재(141)와 제1-2조절부재(142)의 상호 작용으로 제1-1브라켓(110)과 제1-2브라켓(120)과 밀폐부재(130) 사이의 밀착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제2노즐유닛(200)은 제1노즐유닛(100)의 일측 또는 양측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처리브라켓과, 처리브라켓의 상단부와 제1노즐유닛(100) 사이를 밀폐시키는 피벗지지부재(230)와, 처리브라켓의 상단부에서 이격되고 나사 결합에 의해 처리브라켓과 제1노즐유닛(100)을 연결하는 제2간격조절부재를 포함한다.
그러면, 제1노즐유닛(100)과 처리브라켓 사이에는 제2간격조절부재에 의해 제2노즐슬릿(203)과, 제2노즐슬릿(203)에 연통되는 제2처리공간(201)이 형성된다. 또한, 제2간격조절부재가 처리브라켓과 제1노즐유닛(100)에 나사 결합되는 정도에 따라 처리브라켓은 피벗지지부재(230)에 밀착 지지된 상태에서 처리브라켓의 상단부를 기준으로 피벗 운동하게 되므로, 제2노즐슬릿(203)의 폭 방향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좀 더 자세하게, 제2간격조절부재를 조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처리브라켓의 상단부가 피벗지지부재(230)에 밀착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처리브라켓의 상단부를 기준으로 제1노즐유닛(100)에 대하여 처리브라켓이 피벗 운동하여 제1노즐유닛(100)에 대하여 처리브라켓의 하부가 접근하므로, 제2노즐슬릿(203)의 폭 방향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2간격조절부재를 풀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처리브라켓의 상단부가 피벗지지부재(230)에 밀착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처리브라켓의 상단부를 기준으로 제1노즐유닛(100)에 대하여 처리브라켓이 피벗 운동하여 제1노즐유닛(100)에 대하여 처리브라켓의 하부가 멀어지므로, 제2노즐슬릿(203)의 폭 방향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처리브라켓은 제2-1브라켓(210)과 제2-2브라켓(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1브라켓(210)은 제1노즐유닛(100)의 일측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2브라켓(220)은 제1노즐유닛(100)의 타측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1브라켓(210)과 제2-2브라켓(220)은 제1노즐유닛(100)을 기준으로 축 대칭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처리브라켓은 제2처리공간(201)의 전체 또는 일부를 형성하는 제2처리플레이트와, 제2처리플레이트의 타측에서 연장되는 제2노즐플레이트(22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제2처리플레이트의 일측 단부에는 피벗지지부재(230)가 밀착 지지된다.
이때, 제2처리플레이트와 마주보는 제1노즐유닛(100) 사이에는 제2처리공간(201)이 형성되고, 제2노즐플레이트(221)와 마주보는 제1노즐유닛(100) 사이에는 제2노즐슬릿(203)이 형성된다. 그러면, 제2간격조절부재는 나사 결합을 통해 제2처리플레이트와 마주보는 제1노즐유닛(100)을 연결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처리플레이트는 일측이 피벗지지부재(230)에 밀착 지지된 상태로 제1노즐유닛(100)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1플레이트(211)와, 제2-1플레이트(211)의 타측에서 연장되는 제2-2플레이트(212)와, 제2-2플레이트(212)에서 연장되는 제2-3플레이트(213)와, 제2-3플레이트(213)에서 연장되는 제2-5플레이트(21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처리플레이트는 제2-3플레이트(213)와 제2-5플레이트(215)를 경사지게 연결하는 제2-4플레이트(2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1플레이트(211) 내지 제2-3플레이트(213)에 의해 제2처리공간(201)이 형성되고, 제2-5플레이트(215)에 의해 또는 제2-4플레이트(214)와 제2-5플레이트(215)에 의해 제2연통부(202)가 형성되며, 제2노즐플레이트(221)에 의해 제2노즐슬릿(203)이 형성된다.
또한, 제2-2플레이트(212)에는 제2유체처리부(217)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노즐플레이트(221)는 제2처리플레이트의 타측, 다시 말해, 제2-5플레이트(215)에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제2노즐플레이트(221)의 단부에는 제2노즐팁(222)이 형성된다. 제2노즐플레이트(221)에는 외부로부터 제2노즐플레이트(221)를 보호하는 지지리브(22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노즐플레이트(221)는 안내경사부(124)에 대응하여 제1노즐슬릿(103)의 단부인 제1노즐팁(122)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t10은 제2노즐슬릿(203)의 폭 방향 간격을 조절하기 전 상태이고, t11은 제2간격조절부재의 동작에 따라 제2노즐슬릿(203)의 폭 방향 간격이 조절된 상태를 나타낸다. 다른 표현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t10은 제1노즐플레이트(121)의 단부와 제2노즐플레이트(221)의 단부에서 상호 인접한 상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제1노즐팁(122)과 제2노즐팁(22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전 상태이고, t11은 제1노즐플레이트(121)의 단부와 제2노즐플레이트(221)의 단부에서 상호 인접한 상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제1노즐팁(122)과 제2노즐팁(222) 사이의 간격이 조절된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t20은 제2노즐슬릿(203)의 폭 방향 간격을 조절하기 전 상태이고, t21은 제2간격조절부재의 동작에 따라 제2노즐슬릿(203)의 폭 방향 간격이 조절된 상태를 나타낸다. 다른 표현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t20은 제2노즐플레이트(221)의 단부에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제2노즐팁(22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전 상태이고, t21은 제2노즐플레이트(221)의 단부에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제2노즐팁(222) 사이 간격이 조절된 상태를 나타낸다.
여기서, 처리브라켓의 피벗 운동을 위해 제1노즐유닛(100)과 처리브라켓 중 어느 하나에는 피벗홈부(116)가 함몰 형성되고, 제1노즐유닛(100)과 처리브라켓 중 다른 하나에는 피벗홈부(116)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피벗돌부(216)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피벗홈부(116)는 제1노즐유닛(100)의 제1-2플레이트(112)와 제1-3플레이트(113)가 연결되는 부분에 구비되고, 피벗돌부(216)는 처리브라켓의 제2-1플레이트(211)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또한, 제1노즐유닛(100)과 처리브라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피벗지지부재(230)가 삽입되는 지지홈부(117)가 구비되어 제1노즐유닛(100)과 처리브라켓의 상측으로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홈부(117)는 제2-1플레이트(211)의 일측 단부 또는 피벗홈부(116) 또는 피벗돌부(216)에 인접함으로서,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처리브라켓에는 제2처리공간(201)에 유체를 공급하거나, 제2처리공간(201)의 유체가 배출되는 제2유체처리부(217)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유체처리부(217)는 제2-2플레이트(212)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처리브라켓의 세부 구성에 대응하여 제2간격조절부재는 제2-1조절부재(240)와 제2-2조절부재(2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간격조절부재는 나사 결합을 통해 제2노즐플레이트(221)와 제1노즐유닛(100)을 연결함으로써, 제2노즐슬릿(203)의 간격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제2-1조절부재(240)는 제2-1브라켓(210)에 대응하여 제2-1브라켓(210)의 상단부 또는 제1노즐유닛(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피벗지지부재(230)에서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나사 결합을 통해 제2-1브라켓(210)과 제1노즐유닛(100)의 일측을 연결한다.
제2-1조절부재(240)는 제2-1브라켓(210)의 상단부 또는 제1노즐유닛(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피벗지지부재(230)에서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나사 결합을 통해 제2-1브라켓(210)과 제1노즐유닛(100)의 일측을 상호 연결시키는 제1-1간격부재(241)와, 제1-1간격부재(241)에서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나사 결합을 통해 제2-1브라켓(210)을 기준으로 제1노즐유닛(100)을 가압하는 제1-2간격부재(2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간격부재(241)는 제2-1브라켓(210)과 제1노즐유닛(100)의 일측에 모두 나사 결합되기도 하고, 제2-1브라켓(210)을 통과하여 제1노즐유닛(100)의 일측에 나사 결합되기도 한다. 또한, 제1-2간격부재(242)는 제2-1브라켓(210)에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제1노즐유닛(100)의 일측을 가압 지지하게 된다.
그러면, 제1-1간격부재(241)를 통해 나사 결합 상태를 조절함으로써, 제2-1브라켓(210)과 제1노즐유닛(100)의 결합을 안정화시키고, 제1-2간격부재(242)를 통해 나사 결합 상태를 조절함으로써, 제2노즐슬릿(203)의 폭 방향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1간격부재(241)와 제1-2간격부재(242)의 상호 작용으로 제2-1브라켓(210)과 제1노즐유닛(100)과 제1노즐유닛(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피벗지지부재(230) 사이의 밀착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제2-2조절부재(250)는 제2-2브라켓(220)에 대응하여 제2-2브라켓(220)의 상단부 또는 제1노즐유닛(100)의 타측에 구비되는 피벗지지부재(230)에서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나사 결합을 통해 제2-2브라켓(220)과 제1노즐유닛(100)의 타측을 연결한다.
제2-2조절부재(250)는 제2-2브라켓(220)의 상단부 또는 제1노즐유닛(100)의 타측에 구비되는 피벗지지부재(230)에서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나사 결합을 통해 제2-2브라켓(220)과 제1노즐유닛(100)의 타측을 상호 연결시키는 제2-1간격부재(251)와, 제2-1간격부재(251)에서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나사 결합을 통해 제2-2브라켓(220)을 기준으로 제1노즐유닛(100)을 가압하는 제2-2간격부재(2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1간격부재(251)는 제2-2브라켓(220)과 제1노즐유닛(100)의 타측에 모두 나사 결합되기도 하고, 제2-2브라켓(220)을 통과하여 제1노즐유닛(100)의 타측에 나사 결합되기도 한다. 또한, 제2-2간격부재(252)는 제2-2브라켓(220)에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제1노즐유닛(100)의 타측을 가압 지지하게 된다.
그러면, 제2-1간격부재(251)를 통해 나사 결합 상태를 조절함으로써, 제2-2브라켓(220)과 제1노즐유닛(100)의 결합을 안정화시키고, 제2-2간격부재(252)를 통해 나사 결합 상태를 조절함으로써, 제2노즐슬릿(203)의 폭 방향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2-1간격부재(251)와 제2-2간격부재(252)의 상호 작용으로 제2-2브라켓(220)과 제1노즐유닛(100)과 제1노즐유닛(100)의 타측에 구비되는 피벗지지부재(230) 사이의 밀착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h0은 피가공물(P)과 제1노즐플레이트(121) 사이 간격을 나타내고, h1은 피가공물(P)과 제2노즐플레이트(221) 사이 간격을 나타낸다.
이때, 제1노즐슬릿(103)에 흡입력이 제공되고, 제2노즐슬릿(203)에 분사력이 제공되는 것을 기준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h0>h1이면, 분사되는 유체가 피가공물(P)의 표면에 안정되게 전달되어 제1노즐슬릿(103)으로 이물질의 흡입이 용이해질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노즐슬릿(103)에 흡입력이 제공되고, 제2노즐슬릿(203)에 분사력이 제공되는 것을 기준으로 h0=<h1이면, 제1노즐슬릿(103)으로 이물질이 흡입될 때, 제2노즐슬릿(203)의 분사력으로 비산되는 이물질을 제1노즐슬릿(103)에 유도하여 이물질의 흡입이 용이해질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노즐슬릿(103)에 분사력이 제공되고, 제2노즐슬릿(203)에 흡입력이 제공되는 것을 기준으로 h0>h1이면, 제1노즐슬릿(103)은 피가공물(P)에서 분사력에 의한 이물질의 분리가 용이해지고, 제2노즐슬릿(203)은 이물질의 흡입이 용이해질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노즐슬릿(103)에 분사력이 제공되고, 제2노즐슬릿(203)에 흡입력이 제공되는 것을 기준으로 h0=<h1이면, 제1노즐슬릿(103)은 피가공물(P)에서 분사력에 의한 이물질의 분리를 명확하게 하고, 제2노즐슬릿(203)은 비산되는 이물질의 흡입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노즐유닛은 제1노즐유닛(100)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여 제1노즐유닛(100)의 선단부와 후단부 그리고 제2노즐유닛(200)의 선단부와 후단부를 밀폐하는 마감부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마감부재(300)와 노즐유닛 사이에는 유체의 누설 방지를 위한 마감가스켓(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노즐유닛은 제2노즐슬릿(203)의 폭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버퍼공간을 형성하도록 제2노즐유닛(200)에 결합되는 버퍼유닛(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버퍼유닛(400)은 제2노즐유닛(200)에 결합되어 버퍼공간을 형성하는 버퍼플레이트(410)와, 버퍼플레이트(410)와 제2노즐유닛(200)에 지지되는 "ㄱ"자 형태의 버퍼앵글(420)과, 버퍼앵글(420)을 제2노즐유닛(200)에 고정시키는 앵글고정부재(431)와, 버퍼앵글(420)을 버퍼플레이트(410)에 고정시키는 버퍼고정부재(43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제1노즐팁(122)과 제2노즐팁(222)과 피가공물(P) 사이에 형성되는 이물질 제거 영역으로 외기가 차단됨으로써, 이물질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노즐유닛은 후술하는 버퍼유닛(400)이 더 포함되므로, 마감부재(300)는 제1처리공간(101)의 선단부와 후단부, 제1노즐슬릿(103)의 선단부와 후단부, 제2처리공간(201)의 선단부와 후단부, 제2노즐슬릿(203)의 선단부와 후단부를 밀폐함은 물론, 버퍼공간의 선단부와 후단부를 밀폐할 수 있다.
노즐유닛은 제2노즐슬릿(203)의 폭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피가공물(P)에 접촉되도록 제2노즐유닛(200)에 결합되는 청소솔유닛(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청소솔유닛(500)은 청소솔(520)이 구비된 솔헤드(510)와, 솔헤드(510)를 제1노즐유닛(100) 또는 제2노즐유닛(200) 또는 버퍼유닛(400)에 고정시키는 솔고정부재(5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솔고정부재(530)에는 솔헤드(510)를 지지하기 위한 헤드지지부(531)가 구비되어 솔헤드(510)의 결합 상태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청소솔유닛(500)은 솔고정부재(530)에 의해 제1노즐유닛(100) 또는 제2노즐유닛(200) 또는 버퍼유닛(400)에 고정되는 솔고정브라켓(5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솔고정부재(530)는 솔고정브라켓(540)에 나사 결합됨에 따라 솔헤드(510)를 지지 고정시킬 수 있다. 솔고정브라켓(540)은 솔헤드(510)의 위치 조정을 간편하게 하고, 솔헤드(510)의 탈부착을 간편하게 함으로써, 청소솔유닛(500)의 교체 및 유지보수를 간소화시킬 수 있다.
제1유체구동유닛(600)은 제1노즐슬릿(103)에 제공되는 흡입력과 분사력 중 어느 하나를 발생시키는 제1구동부(610)와, 제1구동부(610)와 제1노즐유닛(100)의 제1유체처리부(115)를 연결하는 제1라인(6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유체구동유닛(600)은 제1라인(620)이 연결된 상태에서 제1유체처리부(115)에 결합되는 제1브라켓(630)을 더 포함하고, 제1브라켓(630)과 제1노즐유닛(100) 사이를 밀폐하는 제1가스켓(6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스켓(640)은 기설정된 두께를 갖고 탄성 변형됨에 따라 제1브라켓(630)과 제1노즐유닛(100) 사이의 밀폐를 안정화시키고, 유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유체구동유닛(700)은 제2노즐슬릿(203)에 제공되는 흡입력과 분사력 중 다른 하나를 발생시키는 제2구동부(710)와, 제2구동부(710)와 제2노즐유닛(200)의 제2유체처리부(217)를 연결하는 제2라인(7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유체구동유닛(700)은 제2라인(720)이 연결된 상태에서 제2유체처리부(217)에 결합되는 제2브라켓(730)을 더 포함하고, 제2브라켓(730)과 제2노즐유닛(200) 사이를 밀폐하는 제2가스켓(7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가스켓(740)은 기설정된 두께를 갖고 탄성 변형됨에 따라 제2브라켓(730)과 제2노즐유닛(200) 사이의 밀폐를 안정화시키고, 유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클리닝 노즐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클리닝 노즐은 피가공물(P)에 존재하는 이물질의 제거를 위해 선형의 제1노즐슬릿(103)과, 제1노즐슬릿(103)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여 제1노즐슬릿(103)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는 선형의 제2노즐슬릿(203)에서 각각 유체의 흡입과 유체의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클리닝 노즐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클리닝 장치의 노즐유닛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노즐슬릿(103)과 제2노즐슬릿(203)을 통해 유체의 흡입과 유체의 분사가 이루어짐으로써, 피가공물(P)에 부착된 이물질을 흡착하여 배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흡입력과 분사력이 제공되는 노즐슬릿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제1노즐슬릿(103)에 흡입력이 제공되면, 제2노즐슬릿(203)에는 분사력이 제공되고, 제1노즐슬릿(103)에 분사력이 제공되면, 제2노즐슬릿(203)에는 흡입력이 제공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301은 나사 결합을 통해 노즐유닛에 마감부재(300)를 고정시키는 마감체결부재이고, 미설명 부호 302는 마감체결부재(301)가 나사 결합되는 마감체결부이다.
상술한 조립식 클리닝 노즐과 이것이 구비된 조립식 클리닝 장치에 따르면,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유체가 흡입 또는 분사되는 제1노즐슬릿(103)의 폭 방향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물질의 크기를 다양화하고, 제1노즐슬릿(103)에서 흡입력 또는 분사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유체가 흡입 또는 분사되는 제2노즐슬릿(203)의 폭 방향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물질의 크기를 다양화하고, 제2노즐슬릿(203)에서 흡입력 또는 분사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간격조절부재(140)의 나사 결합에 따라 밀폐부재(130)를 기준으로 제1-1브라켓(110)과 제1-2브라켓(120)이 상대 운동하여 피벗 운동하므로, 제1노즐슬릿(103)의 폭 방향 간격 조절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밀폐홈부(131)를 통해 제1-1브라켓(110)과 제1-2브라켓(120)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고, 제1처리공간(101)의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간격조절부재(140)의 배열 구조에 따라 제1-1브라켓(110)과 제1-2브라켓(120)과 밀폐부재(130) 사이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고, 밀폐부재(130)의 결합 부위에서 제1처리공간(101)의 유체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노즐플레이트(121)의 단부 구조를 통해 제2노즐슬릿(203)의 간격을 줄일 수 있고, 제2노즐슬릿(203)에서 흡입 또는 분사되는 유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유체처리부(115)를 통해 제1유체구동유닛(600)과의 결합을 간편하게 하고, 유체의 공급 또는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노즐유닛(200)의 세부 구성을 통해 제2노즐슬릿(203)을 구현할 수 있고, 제2간격조절부재를 통해 제2노즐슬릿(203)의 폭 방향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노즐유닛(100)과 제2노즐유닛(200)의 결합 구조를 통해 제2노즐슬릿(203)의 폭 방향 간격을 조절에 있어서, 제2노즐유닛(200)의 피벗 운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또한, 지지홈부(117)의 구성을 통해 제2노즐유닛(200)의 피벗 운동에 대응하여 제1노즐유닛(100)과 제2노즐유닛(200)의 결합 구조를 명확하게 하고, 피벗지지부재(230)의 결합 부위에서 제1노즐유닛(100)과 제2노즐유닛(200)의 밀착력을 향상시키며, 피벗지지부재(230)의 결합 부위에서 제2처리공간(201)의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노즐슬릿(103)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일측 또는 양측에 제2노즐슬릿(203)을 구비할 수 있고, 각각의 제2노즐슬릿(203)에 대응하여 제2노즐슬릿(203)의 폭 방향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2유체처리부(217)를 통해 제2유체구동유닛(700)과의 결합을 간편하게 하고, 유체의 공급 또는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마감부재(300)를 통해 제1노즐유닛(100)의 선단부와 후단부 그리고 제2노즐유닛(200)의 선단부와 후단부에서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버퍼유닛(400) 또는 청소솔유닛(500)의 구성을 통해 피가공물(P)에서 노즐이 이동될 때, 제1노즐팁(122) 또는 제2노즐팁(222)에서 이물질의 흡입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유체구동유닛(600)의 세부 구성을 통해 제1-1브라켓(110)과 제1-2브라켓(120)의 피벗 운동시 제1유체구동유닛(600)과 제1노즐유닛(100) 사이에서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유체구동유닛(700)의 세부 구성을 통해 처리브라켓의 피벗 운동시 제2유체구동유닛(700)과 제2노즐유닛(200) 사이에서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0: 제1노즐유닛 101: 제1처리공간 102: 제1연통부
103: 제1노즐슬릿 110: 제1-1브라켓 120: 제1-2브라켓
130: 밀폐부재 111: 제1-1플레이트 112: 제1-2플레이트
113: 제1-3플레이트 114: 제1-4플레이트 115: 제1유체처리부
116: 피벗홈부 117: 지지홈부 121: 제1노즐플레이트
122: 제1노즐팁 23: 공급경사부 124: 안내경사부
131: 밀폐홈부 140: 간격조절부재 141: 제1-1조절부재
142: 제1-2조절부재 200: 제2노즐유닛 201: 제2처리공간
202: 제2연통부 203: 제2노즐슬릿 210: 제2-1브라켓
220: 제2-2브라켓 211: 제2-1플레이트 212: 제1-2플레이트
213: 제2-3플레이트 214: 제1-4플레이트 215: 제2-5플레이트
216: 피벗돌부 217: 제2유체처리부 221: 제2노즐플레이트
222: 제2노즐팁 223: 지지리브 300: 마감부재
301: 마감체결부재 302: 마감체결부 400: 버퍼유닛
410: 버퍼플레이트 420: 버퍼앵글 431: 앵글고정부재
432: 버퍼고정부재 500: 청소솔유닛 510: 솔헤드
520: 청소솔 530: 솔고정부재 531: 헤드지지부
540: 솔고정브라켓 600: 제1유체구동유닛 610: 제1구동부
620: 제1라인 630: 제1브라켓 640: 제1가스켓
700: 제2유체구동유닛 710: 제2구동부 720: 제2라인
730: 제2브라켓 740: 제2가스켓 P: 피가공물
t00: 조절 전의 한 쌍의 제1노즐팁 사이 간격
t01: 조절 후의 한 쌍의 제1노즐팁 사이 간격
t10: 조절 전의 인접한 제1노즐팁과 제2노즐팁 사이 간격
t11: 조절 후의 인접한 제1노즐팁과 제2노즐팁 사이 간격
t20: 조절 전의 한 쌍의 제2노즐팁 사이 간격
t21: 조절 후의 한 쌍의 제2노즐팁 사이 간격
h0: 피가공물과 제1노즐플레이트 사이 간격
h1: 피가공물과 제2노즐플레이트 사이 간격

Claims (15)

  1. 선형의 제1노즐슬릿과, 상기 제1노즐슬릿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는 선형의 제2노즐슬릿이 개구된 조립식 클리닝 노즐이고,
    상기 제1노즐슬릿에 대응하여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노즐유닛; 및
    상기 제2노즐슬릿에 대응하여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1노즐유닛의 일측 또는 양측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노즐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노즐유닛은,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1-1브라켓과 제1-2브라켓;
    상기 제1-1브라켓의 상단부와 상기 제1-2브라켓의 상단부 사이를 밀폐시키는 밀폐부재; 및
    상기 밀폐부재에서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고,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제1-1브라켓과 상기 제1-2브라켓을 연결하는 제1간격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1브라켓과 상기 제1-2브라켓 사이에는, 상기 제1간격조절부재에 의해 상기 제1노즐슬릿과, 상기 제1노즐슬릿에 연통되는 제1처리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간격조절부재가 상기 제1-1브라켓과 상기 제1-2브라켓에 나사 결합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제1노즐슬릿의 폭 방향 간격이 조절되고,
    상기 제2노즐유닛은,
    상기 제1노즐유닛의 일측 또는 양측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처리브라켓;
    상기 처리브라켓의 상단부와 상기 제1노즐유닛 사이를 밀폐시키는 피벗지지부재; 및
    상기 처리브라켓의 상단부에서 이격되고,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처리브라켓과 상기 제1노즐유닛을 연결하는 제2간격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노즐유닛과 상기 처리브라켓 사이에는, 상기 제2간격조절부재에 의해 상기 제2노즐슬릿과, 상기 제2노즐슬릿에 연통되는 제2처리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2간격조절부재가 상기 처리브라켓과 상기 제1노즐유닛에 나사 결합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제2노즐슬릿의 폭 방향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클리닝 노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1브라켓과 상기 제1-2브라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일측에는 상기 밀폐부재가 밀착 지지되고, 상기 제1처리공간의 전체 또는 일부를 형성하는 제1처리플레이트; 및
    상기 제1처리플레이트의 타측에서 연장되는 제1노즐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노즐플레이트와 마주보는 다른 플레이트 사이에는, 상기 제1노즐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제1간격조절부재는 나사 결합을 통해 상기 제1노즐플레이트와 마주보는 다른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클리닝 노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가 지지되는 상기 제1-1브라켓과 상기 제1-2브라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밀폐부재가 삽입되는 밀폐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클리닝 노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간격조절부재는,
    상기 밀폐부재에서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나사 결합을 통해 상기 제1노즐플레이트와 마주보는 다른 플레이트를 상호 연결시키는 제1-1조절부재; 및
    상기 제1-1조절부재에서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나사 결합을 통해 상기 제1노즐플레이트를 기준으로 마주보는 다른 플레이트를 가압하는 제1-2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클리닝 노즐.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노즐플레이트에는,
    상기 제2노즐유닛을 향해 경사를 이루는 공급경사부; 및
    상기 공급경사부로부터 제1노즐플레이트의 단부를 형성하는 제1노즐팁을 향해 경사를 이루는 안내경사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클리닝 노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1브라켓과 상기 제1-2브라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1처리공간에 유체를 공급하거나, 상기 제1처리공간의 유체가 배출되는 제1유체처리부;가 관통 또는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클리닝 노즐.
  7. 선형의 제1노즐슬릿과, 상기 제1노즐슬릿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는 선형의 제2노즐슬릿이 개구된 조립식 클리닝 노즐이고,
    상기 제1노즐슬릿에 대응하여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노즐유닛; 및
    상기 제2노즐슬릿에 대응하여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1노즐유닛의 일측 또는 양측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노즐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2노즐유닛은,
    상기 제1노즐유닛의 일측 또는 양측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처리브라켓;
    상기 처리브라켓의 상단부와 상기 제1노즐유닛 사이를 밀폐시키는 피벗지지부재; 및
    상기 처리브라켓의 상단부에서 이격되고,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처리브라켓과 상기 제1노즐유닛을 연결하는 제2간격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노즐유닛과 상기 처리브라켓 사이에는, 상기 제2간격조절부재에 의해 상기 제2노즐슬릿과, 상기 제2노즐슬릿에 연통되는 제2처리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2간격조절부재가 상기 처리브라켓과 상기 제1노즐유닛에 나사 결합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제2노즐슬릿의 폭 방향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클리닝 노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노즐유닛과 상기 처리브라켓 중 어느 하나에는, 피벗홈부;가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제1노즐유닛과 상기 처리브라켓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피벗홈부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피벗돌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클리닝 노즐.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노즐유닛과 상기 처리브라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피벗지지부재가 삽입되는 지지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클리닝 노즐.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브라켓은,
    상기 제1노즐유닛의 일측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1브라켓; 및
    상기 제1노즐유닛의 타측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2브라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클리닝 노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간격조절부재는,
    상기 제2-1브라켓에 대응하여 상기 제2-1브라켓의 상단부에서 이격되어 나사 결합을 통해 상기 제2-1브라켓과 상기 제1노즐유닛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2-1조절부재; 및
    상기 제2-2브라켓에 대응하여 상기 제2-2브라켓의 상단부에서 이격되어 나사 결합을 통해 상기 제2-2브라켓과 상기 제1노즐유닛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2-2조절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클리닝 노즐.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브라켓에는,
    상기 제2처리공간에 유체를 공급하거나, 상기 제2처리공간의 유체가 배출되는 제2유체처리부;가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클리닝 노즐.
  13. 삭제
  14.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노즐유닛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제1노즐유닛의 선단부와 후단부 그리고 상기 제2노즐유닛의 선단부와 후단부를 밀폐하는 마감부재;
    상기 제2노즐슬릿의 폭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버퍼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2노즐유닛에 결합되는 버퍼유닛; 및
    상기 제2노즐슬릿의 폭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피가공물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2노즐유닛에 결합되는 청소솔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클리닝 노즐.
  15. 선형의 제1노즐슬릿과, 상기 제1노즐슬릿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는 선형의 제2노즐슬릿이 개구된 노즐유닛;
    상기 제1노즐슬릿에 흡입력과 분사력 중 어느 하나를 제공하는 제1유체구동유닛; 및
    상기 제2노즐슬릿에 흡입력과 분사력 중 다른 하나를 제공하는 제2유체구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유닛은,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립식 클리닝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클리닝 장치.
KR1020180012823A 2018-02-01 2018-02-01 조립식 클리닝 노즐과 이것이 구비된 조립식 클리닝 장치 Active KR102044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823A KR102044849B1 (ko) 2018-02-01 2018-02-01 조립식 클리닝 노즐과 이것이 구비된 조립식 클리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823A KR102044849B1 (ko) 2018-02-01 2018-02-01 조립식 클리닝 노즐과 이것이 구비된 조립식 클리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3327A KR20190093327A (ko) 2019-08-09
KR102044849B1 true KR102044849B1 (ko) 2019-11-14

Family

ID=67613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2823A Active KR102044849B1 (ko) 2018-02-01 2018-02-01 조립식 클리닝 노즐과 이것이 구비된 조립식 클리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48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71789A (zh) * 2020-12-28 2021-06-01 上饶市广利装饰材料有限公司 一种铝材加工用高效水洗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2360A (ja) * 2005-01-12 2006-07-27 Ikeuchi:Kk 二流体用スリットノズル
JP2014054594A (ja) * 2012-09-12 2014-03-27 Kao Corp スリットノズル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01022B1 (de) * 1994-09-09 2001-04-04 Voith Paper Patent GmbH Auftragswerk zum direkten oder indirekten Auftragen eines flüssigen oder pastösen Mediums auf eine laufende Materialbahn
KR101122282B1 (ko) 2011-12-23 2012-03-21 한전산업개발 주식회사 비접촉식 벨트 클리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2360A (ja) * 2005-01-12 2006-07-27 Ikeuchi:Kk 二流体用スリットノズル
JP2014054594A (ja) * 2012-09-12 2014-03-27 Kao Corp スリットノズ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3327A (ko) 2019-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9478B2 (en) Ink-jet wiping apparatus, and wiping method using this
RU2005104431A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очистки торцевой поверхности оптического волокна
JP6058312B2 (ja) クリーニングヘッド
KR102635289B1 (ko) 잉크젯 헤드의 클리닝 장치, 클리닝 방법, 및, 인자 장치
KR102044849B1 (ko) 조립식 클리닝 노즐과 이것이 구비된 조립식 클리닝 장치
CN105793048B (zh) 打印头清洗帽
CN105935675B (zh) 喷嘴清洁设备
KR101408766B1 (ko) 유량의 균일 분사를 위한 에어 나이프
KR20150000829A (ko) 와이핑 장치, 잉크젯 장치 및 와이핑 방법
KR102025134B1 (ko) 조립식 클리닝 노즐과 이것이 구비된 조립식 클리닝 장치
JP4808147B2 (ja) 塗布用ダイの清掃装置
WO2016031612A1 (ja) 洗浄機用ノズル及び洗浄機
US20050087219A1 (en) Ultrasonic shower cleaning apparatus of double-side cleaning type
KR200482218Y1 (ko) 노즐 간격 조절이 가능한 나이프
US9662888B2 (en) Method of cleaning electrostatic printhead
CN108067700B (zh) 焊烙铁用烙铁尖清洁器
US7047881B2 (en) Nozzles for a cleaning installation of a printing machine
TW202005719A (zh) 塗布用管嘴的清掃裝置
CN101664748B (zh) 清洗装置
JP7094635B2 (ja) 清掃装置
CN100537044C (zh) 流体喷射装置
KR102675535B1 (ko) 세정에어 분사노즐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건식세정 유니트
JP7355999B2 (ja) ベルトクリーナ及び搬送設備
KR101690681B1 (ko) 유체 분사용 에어나이프
KR100729120B1 (ko) 정렬이 용이한 부품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9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23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1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1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