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40696B1 - 인덕션 가열 조리장치 - Google Patents

인덕션 가열 조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0696B1
KR102040696B1 KR1020190034376A KR20190034376A KR102040696B1 KR 102040696 B1 KR102040696 B1 KR 102040696B1 KR 1020190034376 A KR1020190034376 A KR 1020190034376A KR 20190034376 A KR20190034376 A KR 20190034376A KR 102040696 B1 KR102040696 B1 KR 102040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uction heating
container
casing
cooking apparatus
heating coi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4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옥
김상우
Original Assignee
이명옥
김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옥, 김상우 filed Critical 이명옥
Priority to KR1020190034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0696B1/ko
Priority to PCT/KR2019/003713 priority patent/WO202019696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0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069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9Cooking devices induction ov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덕션 가열을 통해 회전하는 용기 내부의 음식물을 조리하도록 구성되는 인덕션 가열 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가열 조리장치(1)는, 인덕션 가열을 위한 인덕션 히팅코일(12)을 포함하는 케이싱(2); 및 케이싱(2)으로부터 탈착가능하게 케이싱(2) 내에 수용되고, 케이싱(2) 내에 형성되는 회전로드(62)에 의해 케이싱(2)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인덕션가열이 가능한 용기(4);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덕션 가열 조리장치{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
본 발명은 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덕션 가열을 통해 회전하는 용기 내부의 음식물을 조리하도록 구성되는 인덕션 가열 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덕션 가열은, 인덕션 가열기구 내부의 코일에서 발생한 자력선이 자기 감응 가능한 용기를 통과할 때 용기의 재질에 포함된 저항성분(철 성분 등)에 의해서 맴돌이 전류를 생성하고, 이러한 맴돌이전류가 용기 자체만을 발열시킴으로써 조리를 수행한다.
인덕션 가열기구는, 일반적으로, 조리용기가 배치되도록 하는 평평한 상면을 구비하고, 내부에 인덕션 코일이 형성된다. 인덕션 가열기구는, 종래부터 오래 사용되어 온 가스레인지(stovetop) 등에 비하여, 온도 상승이 빨라 조리시간이 짧고, 조리용기가 놓이는 부분의 청소가 매우 용이하며, 깔끔한 외관을 제공하는 등의 이점으로 인하여 보급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유럽특허공보 EP1629698 (등록일자: 2006.12.27)
본 발명은 인덕션 가열을 수행하는 인덕션 가열 조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음식물 조리 시, 음식물을 뒤집거나 섞는 등 가열 절차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인덕션 가열 조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인덕션 가열을 통해 보다 짧은 조리시간을 요구하는 인덕션 가열 조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 및 조작이 편리한 인덕션 가열 조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가열 조리장치는, 인덕션 가열을 위한 인덕션 히팅코일을 포함하는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탈착가능하게 상기 케이싱 내에 수용되고, 상기 케이싱 내에 형성되는 회전로드에 의해 상기 케이싱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인덕션가열이 가능한 용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덕션 히팅코일은 상기 케이싱의 상측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싱은, 상기 케이싱의 하측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수용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용기에는 상기 회전로드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로드의 적어도 일부에는 온도감지센서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용기는 용사 코팅된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용기의 내측면에는 반경방향으로 상기 용기의 중심부를 향해 연장하는 래디얼부재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용기는, 상기 용기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둘 이상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의 표면에는 내열성 플라스틱이 도포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식물 조리 시, 음식물을 뒤집거나 섞는 등 가열 절차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인덕션 가열 조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덕션 가열을 통해 보다 짧은 조리시간이 소요되는 인덕션 가열 조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 및 조작이 편리한 인덕션 가열 조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가열 조리장치의 단면도로서, 케이싱으로부터 용기를 일부 꺼낸 모습을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재를 도시하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가열 조리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내측면을 도시하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하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 제어도를 도시하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제어부 및 사용자 단말의 통신을 도시한다.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가열 조리장치는, 인덕션 가열을 위한 인덕션 히팅코일을 포함하는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탈착가능하게 상기 케이싱 내에 수용되고, 상기 케이싱 내에 형성되는 회전로드에 의해 상기 케이싱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인덕션가열이 가능한 용기;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가열 조리장치(1)는, 케이싱(2) 및 용기(4)를 포함한다.
케이싱(2)은 인덕션 가열을 위한 인덕션 히팅코일(12)을 포함한다. 인덕션 히팅코일(12)의 일 측에는 열 발산을 위한 팬(22)이 형성된다. 인덕션 히팅코일(12)은, 바람직하게, 케이싱(2)의 상측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측에 형성되는 경우, 조리장치(1)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인덕션 히팅코일(12)의 열을 팬을 통해 보다 용이하게 발산시킬 수 있다.
케이싱(2)은 내측면에 롤러부재(32)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2)의 내측면에는 내측으로 함몰하여 형성되는 안착홈(42)이 형성된다. 롤러부재(32)는 안착홈(42)에서 회전가능하게 수용되고, 롤러부재(32)의 적어도 일부가 안착홈(42)의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된다. 롤러부재(32)는 케이싱(2) 내에 수용되는 용기(4)의 회전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2)의 하부에는 높이조절부재(52)가 형성될 수 있다. 높이조절부재(52)는 인덕션 가열 조리장치(1)의 테이블 등의 표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조절가능하게 구성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높이조절부재(52)는 볼트조절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다. 케이싱(2)에는 케이싱(2) 내를 일부 관통하는 그루브(152)가 형성되고, 그루브(152)의 내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된다. 표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로드(252)가 그루브(152)에 결합되고 그루브(152)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한다. 따라서, 로드(252)를 그루브(152)에 대하여 회전시켜 인덕션 가열 조리장치(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높이조절부재의 방식은 위와 같은 볼트결합 방식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공지된 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다.
케이싱(2)의 하측 중심부에는 수용공간(미도시)이 마련된다. 수용공간은 외부와 연통하는 공간으로서, 수용부(3)가 탈착가능하게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수용부(3)는 후술하는 용기(4)로부터 배출되는 기름 등의 액체와 같은 것을 수용할 수 있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구성되고, 기름 등의 처분이 용이하도록 케이싱(2) 내지는 수용공간으로부터 분리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수용부(3)의 외면 형상과 수용공간의 형상은 대응하게 구성되고, 배출되는 기름 등을 수용한 뒤 분리되어 폐유의 처분을 용이하게 하고, 수용부(3)의 세척이 용이하고 간편하도록 한다.
케이싱(2)에는 회전로드(62)가 형성된다. 회전로드(62)는 케이싱(2)에 형성되는 모터(미도시) 등의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형성된다. 회전로드(62)는 케이싱(2) 내에 안착되는 용기(4)를 회전시킨다.
회전로드(62)의 일 측에는 온도감지센서(72)가 형성된다. 온도감지센서(72)는 조리되고 있는 용기(4) 내부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센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온도감지센서(72)는 센싱된 온도를 인덕션 가열 조리장치(1)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조리장치(1)는, 온도감지센서(72)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과열의 위험이 있는 정도로 판단되면, 조리장치(1)의 가열 작동을 중단시키도록 구성된다.
용기(4)는 케이싱(2)으로부터 탈착가능하게 케이싱(2) 내에 수용되고, 케이싱(2) 내에 형성되는 회전로드(62)에 의해 케이싱(2)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4)는 용기(4)를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는 리드(14)를 포함한다. 리드(14)는 적어도 일부가 유리로 구성됨으로써, 내부 조리 상황이 보일 수 있도록 한다. 리드(14)에는 내부 압력이 너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통공(114)이 마련된다. 통공(114)은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용기(4)에는 핸들(24)이 형성된다. 핸들(24)은 용기(4)의 운반 등을 도모하고, 핸들(24)의 외면은 내열성 플라스틱 재질 등의 방열이 용이한 재료로 도포될 수 있다.
용기(4)의 길이방향 중심부에는 배출통로(34)가 형성될 수 있다. 배출통로(34)는 케이싱(2)의 수용공간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배출통로(34)는 용기(4)의 길이방향면에서 마주보는 위치에 한 쌍이 형성될 수 있다. 배출통로(34)는 조리 시 용기(4) 내부에서 생성되는 기름 등이 외부로 흘러나갈 수 있도록 하여 조리 시 기름을 닦아내야 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4)의 내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내측면으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는 래디얼부재(44)가 형성된다. 래디얼부재(44)는 회전하는 용기(4) 내부에 배치되는 음식물을 골고루 뒤집고 섞어주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음식물의 조리가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래디얼부재(44)는 용기(4)의 내측면으로부터 용기(4)의 중심부를 향해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래디얼부재(44)는 용기(4)의 내측면으로부터 용기(4)의 중심부를 향해 돌출하되 그 말단이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음식물이 용기(4)의 내측면에 보다 오랫동안 밀착 유지되다가 뒤집어지도록 하고, 잘 섞일 수 있게 하여 조리가 보다 원활히 수행되도록 한다.
용기(4)의 일면에는 회전로드(62)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공(54)이 형성된다. 회전로드(62)가 삽입공(54)에 삽입됨으로써 용기(4)에 회전력을 전달하고, 회전로드(62)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용기(4)의 회전은 음식물을 계속 혼합하거나 뒤집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시킬 수 있다. 회전로드(62)의 적어도 일부에는 온도감지센서(72)가 형성됨으로써, 용기(4) 내부의 조리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용기(4)의 일면에는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둘 이상의 돌기(64)가 형성된다. 돌기(64)의 표면은 내열성 플라스틱 등의 방열이 용이한 재료가 도포될 수 있다. 인덕션 가열 조리장치(1)의 조리가 끝난 뒤, 고온의 용기(4)가 유리 등에 높이는 경우, 유리에 금이 가거나 깨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돌기(64)는 짧은 시간 내에 온도가 내려가므로 위와 같은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용기(4)는 인덕션 가열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다. 그 예시로서, 무쇠, 철 등의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용기(4)는 용사 코팅된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알루미늄은 무게가 가벼우나 자기감응이 불가능하므로 인덕션 가열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알루미늄 재료의 용기에 용사 코팅을 수행함으로써, 경량이면서도 인덕션 가열이 가능한 용기(4)를 가능하게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가열 조리장치(1)는 제어부(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6)는 조리장치(1)에 전원이 입력되면 인덕션 히팅코일(12)의 작동과 회전로드(61)를 동작시키는 모터 등의 구동수단의 작동을 제어한다.
인덕션 가열 조리장치(1)에는 무게센서(10)가 탑재될 수 있다. 무게센서(10)는 용기(4) 내부에 수용되는 음식물의 중량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무게센서(10)는 측정된 음식물의 중량을 제어부(6)에 전달하고, 제어부(6)는 전달된 중량에 기초하여 인덕션 가열의 세기 및 시간을 임의로 조절하여 조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가열 조리장치(1)는 알림수단(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정된 조리가 완료되면, 제어부(6)는 알림수단(20)을 작동시켜 외부에서 사용자가 조리 완료를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알림수단(20)은 케이싱(2)에 형성되는 램프, 점멸등일 수 있고, 알람 등의 청각적인 수단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6)는 자동으로 조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4) 내에 음식물이 투입되고 리드(14)가 폐쇄된 것이 확인되면, 제어부(6)는 무게센서(10)로부터 투입된 음식물의 중량을 전달받고, 이에 기초하여 투입 무게에 적절한 조리시간을 산출한다. 제어부(6)는, 따라서, 산출된 조리시간에 기초하여 회전로드(62)의 회전 및 인덕션 히팅코일(12)의 가열 세기 및 시간을 선택하여 조리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가열 조리장치(1)는 통신모듈(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30)은 RF 모듈, 블루투스 모듈, QR코드 등일 수 있다. 인덕션 가열 조리장치(1)에 형성된 통신모듈(30)을 통해 외부의 사용자 단말(T)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모듈(30)을 통해 인덕션 가열 조리장치(1)와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T)은 조리장치(1)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T)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가열 조리장치(1)를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용 제어부가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용 제어부는 인덕션 가열 조리장치용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등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T)에서 특정 유형의 음식의 조리 또는 레시피 요청이 선택되면, 제어부(6)는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T)의 요청을 전달받는다. 또한, 무게센서(10)에 의해 측정된 음식물의 중량을 고려하여 조리 시간 및 인덕션 가열의 세기를 조절하여 자동으로 조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가열 조리장치(1)의 기본적인 작동은 다음과 같다.
용기(4)의 리드(14)를 개방하여 용기(4) 내부에 조리될 음식물을 담는다. 리드(14)를 폐쇄한 뒤, 용기(4)를 케이싱(2) 내에 장착한다. 인덕션 가열 조리장치(1)에 전원을 인가하면, 인덕션 히팅코일(12) 및 회전로드(62)가 작동하며 조리가 시작된다. 이 때, 인덕션 가열 조리장치(1)에 전원 인가 후, 조리시작을 하게 하는 시작버튼을 통해 조리 시작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인덕션 히팅코일(12)은 자기감응이 있는 용기(4)를 가열하여 내부에 담긴 음식물이 조리되도록 한다. 회전로드(62) 및 회전을 용이하게 도모하는 롤러부재(32)에 의해 용기(4)가 회전하며 용기(4) 내부에 담긴 음식물을 골고루 조리한다.
또한, 회전로드(62)에 형성되는 온도감지센서(72)는 용기(4) 내부 온도를 실시간을 감지하고 제어부(6)에 통지한다. 용기(4) 내의 온도가 희망온도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6)는 인덕션 히팅코일(12)의 가열 세기를 낮추거나 가열을 차단한다. 반대로, 용기(4) 내의 온도가 희망온도 하한에 미달인 경우, 제어부(12)는 인덕션 히팅코일(12)의 가열 세기를 높임으로써 희망온도범위에 도달하도록 하여 완벽하게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조리가 완료되면, 조리를 종료하게 하는 종료버튼을 통해 조리장치(1)를 끄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 인덕션 가열 조리장치 2: 케이싱
3: 수용부 4: 용기
6: 제어부 10: 무게센서
12: 인덕션 히팅코일 14: 리드
20: 알림수단 22: 팬
24: 핸들 30: 통신모듈
32: 롤러부재 34: 배출통로
42: 안착홈 44: 래디얼부재
52: 높이조절부재 54: 삽입공
62: 회전로드 64: 돌기
72: 온도감지센서 114: 통공
152: 그루브 252: 로드

Claims (7)

  1. 인덕션 가열을 위한 인덕션 히팅코일을 포함하고, 모터에 의해 회전가능한 회전로드가 일 측면에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탈착가능하게 상기 케이싱 내에 수용되고, 상기 회전로드가 삽입되도록 저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삽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인덕션 히팅코일에 의해 인덕션가열이 가능한 용사 코팅된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용기;
    상기 인덕션 히팅코일 및 회전로드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외부 사용자단말을 통신하도록 구성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모듈에 의해 통신하는 사용자단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인덕션 히팅코일의 작동 시간 및 세기를 조절하여 자동으로 조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케이싱은,
    상기 케이싱의 내측면에 내측으로 함몰하여 형성되는 안착홈; 및
    상기 안착홈에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용기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일부가 상기 안착홈의 외측으로 돌출하여 구성되는 롤러부재;
    를 포함하는 것인 인덕션 가열 조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덕션 히팅코일은 상기 케이싱의 상측에 형성되는 것인 인덕션 가열 조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케이싱의 하측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인덕션 가열 조리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로드에는 온도감지센서가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감지센서로부터 실시간으로 온도를 전달받아 상기 온도에 기초하여 인덕션 히팅코일의 가열 세기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인덕션 가열 조리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 내부에 수용되는 음식물의 중량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무게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센서에 의해 측정된 중량을 전달받고, 상기 중량에 기초하여 조리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조리시간에 기초하여 회전로드의 회전 및 인덕션 히팅코일의 가열 세기 및 시간을 선택하여 조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인덕션 가열 조리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내측면에는 반경방향으로 상기 용기의 중심부를 향해 연장하고, 연장한 말단이 굴곡지게 형성되는 래디얼부재가 형성되는 것인 인덕션 가열 조리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용기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둘 이상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의 표면에는 내열성 플라스틱이 도포되는 것인 인덕션 가열 조리장치.
KR1020190034376A 2019-03-26 2019-03-26 인덕션 가열 조리장치 Active KR102040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376A KR102040696B1 (ko) 2019-03-26 2019-03-26 인덕션 가열 조리장치
PCT/KR2019/003713 WO2020196967A1 (ko) 2019-03-26 2019-03-29 인덕션 가열 조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376A KR102040696B1 (ko) 2019-03-26 2019-03-26 인덕션 가열 조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0696B1 true KR102040696B1 (ko) 2019-11-05

Family

ID=68576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4376A Active KR102040696B1 (ko) 2019-03-26 2019-03-26 인덕션 가열 조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40696B1 (ko)
WO (1) WO2020196967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29698A1 (en) 2003-05-28 2006-03-01 Tubitak-Bilten ( Turkiye Bilimsel Ve Teknik Arastirma Kurumu-Bilgi Teknolojileri Ve Elektronik Arastirma Enstitusu) Induction cooktop
KR20120016917A (ko) * 2010-08-17 2012-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200478957Y1 (ko) * 2014-07-23 2015-12-04 안요성 회전식 구이기
KR20170085398A (ko) * 2016-01-14 2017-07-24 주식회사 지디엠인덕션 인덕션 회전식 국솥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34970B4 (de) * 2007-07-26 2010-05-12 Zenergy Power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induktiven Erwärmen zumindest eines Billets
KR101286834B1 (ko) * 2011-09-08 2013-07-17 김정숙 열전달이 용이한 회전식 구이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29698A1 (en) 2003-05-28 2006-03-01 Tubitak-Bilten ( Turkiye Bilimsel Ve Teknik Arastirma Kurumu-Bilgi Teknolojileri Ve Elektronik Arastirma Enstitusu) Induction cooktop
KR20120016917A (ko) * 2010-08-17 2012-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200478957Y1 (ko) * 2014-07-23 2015-12-04 안요성 회전식 구이기
KR20170085398A (ko) * 2016-01-14 2017-07-24 주식회사 지디엠인덕션 인덕션 회전식 국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96967A1 (ko) 2020-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50937B (zh) 烹饪系统
US8122815B2 (en) Device for stirring and cooking food
WO2020176492A2 (en)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JP6305421B2 (ja) 加熱調理器
KR101590639B1 (ko)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EP3289934B1 (en) Multi-function cooking utensil having water purifying function
JP4872133B2 (ja) 加熱調理器
JP2010104669A (ja) 加熱調理装置
KR102040696B1 (ko) 인덕션 가열 조리장치
KR102200066B1 (ko) 인덕션 가열 조리장치
JP2012125467A (ja) 炊飯器
JP6138200B2 (ja) 加熱調理器
US20230413397A1 (en) A Microwave Heating Apparatus
EP2716186A1 (en) Apparatus with mixing bowl, base, and magnetic means
JP2005158658A (ja) 電磁誘導加熱調理器
KR102078237B1 (ko) 접철 가능한 가열 조리기
JP2012040404A (ja) 調理器
JP2004261254A (ja) 加熱調理器
JP2005034223A (ja) 電気炊飯器
JP2004261247A (ja) 加熱調理器
JP2014030479A (ja) 加熱調理機
KR102084111B1 (ko) 인덕션가열용 회전식 조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인덕션 가열시스템
KR200345315Y1 (ko) 다용도 조리기
JP2024018269A (ja) 加熱調理器
JP7329734B2 (ja) 加熱調理器および加熱調理器における調理対象の判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2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2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4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0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0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