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6995B1 - Piezoelectric separator with improved watertightness - Google Patents
Piezoelectric separator with improved watertightnes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36995B1 KR102036995B1 KR1020180051189A KR20180051189A KR102036995B1 KR 102036995 B1 KR102036995 B1 KR 102036995B1 KR 1020180051189 A KR1020180051189 A KR 1020180051189A KR 20180051189 A KR20180051189 A KR 20180051189A KR 102036995 B1 KR102036995 B1 KR 1020369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member
- assembly
- piezoelectric
- membrane
- upper pl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6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29920002981 polyvinylidene fluor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2033 PVDF bin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306 compon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
- BQCIDUSAKPWEOX-UHFFFAOYSA-N 1,1-Difluoroethene Chemical compound FC(F)=C BQCIDUSAKPWEO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3373 anti-fou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60 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QJZYHAIUNVAGQP-UHFFFAOYSA-N 3-nitrobicyclo[2.2.1]hept-5-ene-2,3-di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C1C2C=CC1C(C(=O)O)C2(C(O)=O)[N+]([O-])=O QJZYHAIUNVAGQ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21 hum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471 micro-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CERQOIWHTDAKMF-UHFFFAOYSA-M Methacrylate Chemical compound CC(=C)C([O-])=O CERQOIWHTDAKMF-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21 ferro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09 hydrophob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374 membrane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PSBDWGZCVUAZQS-UHFFFAOYSA-N (dimethylsulfonio)acetate Chemical compound C[S+](C)CC([O-])=O PSBDWGZCVUAZQ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UKGFFLMNIYXHZ-UHFFFAOYSA-N 1-hydroxyethenyl 2-methylprop-2-enoate Chemical compound CC(=C)C(=O)OC(O)=C WUKGFFLMNIYX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CZMRCDWAGMRECN-UGDNZRGBSA-N Sucr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1(CO)O[C@@H]1[C@H](O)[C@@H](O)[C@H](O)[C@@H](CO)O1 CZMRCDWAGMRECN-UGDNZRGBSA-N 0.000 description 1
- 229930006000 Sucr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334 co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58 core compon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65 dairy produc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676 disease causative age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23 electrospin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5 energy consum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88 f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272 inorgan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7 in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27 ir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KWGKDLIKAYFUFQ-UHFFFAOYSA-M lith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Li+].[Cl-] KWGKDLIKAYFUFQ-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285 membrane fou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46 mixed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01 polyacryl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338 polyhydroxyethylmeth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597 polymer membr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6 pyro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 scale Chemical compound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20 suc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17986 sulfobeta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51 synthetic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61 synthetic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0 vana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LEONUFNNVUYDNQ-UHFFFAOYSA-N vanadium atom Chemical compound [V] LEONUFNNVUYDN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8—Prevention of membrane fouling or of concentration polaris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30—Polyalkenyl halides
- B01D71/32—Polyalkenyl halides containing fluorine atoms
- B01D71/34—Polyvinylidene fluorid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20—By influencing the flow
- B01D2321/2033—By influencing the flow dynamically
- B01D2321/2058—By influencing the flow dynamically by vibration of the membrane, e.g. with an actuat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39—Electrospinn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를 통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압전 분리막 어셈블리로서,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어 전기가 통전되고 일부분에 유체가 출입하는 유입구와 유출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어셈블리 본체; 상기 어셈블리 본체에 수용되며 상기 전원으로부터 이송되는 전기를 이용하여 압전효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멤브레인 유닛; 및 상기 어셈블리 본체의 유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어셈블리 본체에 유입된 농축물의 압력을 측정하고 제어하는 농축물 압력 측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멤브레인 유닛은, 일부분에 형성되는 기공을 설정된 크기로 제작하여 파울링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iezoelectric separator assembly for generating vibration through electricity, the assembly main body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power source and the electricity is energized and the inlet and outlet are respectively formed in and out of the fluid; A membrane unit accommodated in the assembly body and generating vibration by a piezoelectric effect using electricity transferred from the power source; And a concentrate pressure measuring unit installed at an outlet of the assembly main body to measure and control the pressure of the concentrate introduced into the assembly main body, wherein the membrane unit is prepared by fouling the pores formed in a portion to a predetermined size. It is characterized by preventing the ring phenomen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압전분리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밀성이 햐상되어 수중에서도 압전현상의 이용이 가능한 수밀성이 향상된 압전분리막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ezoelectric sepa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iezoelectric separator assembly having improved water-tightness, which is improved in water-tightness and which makes it possible to use piezoelectric phenomenon in water.
일반적으로, 막(membrane)은 1960년대 초 Loeb-Sourirajan에 의해 실험실 사용에서 산업 공정으로 전환되었기 때문에 막 분리 및 정제 과정은 식품(유제품, 음료, 생선, 등)과 배터리(바나듐 레독스 플로 배터리, 연료전지 등) 사용에 널리 적용되어 왔다. In general, membranes have been converted from laboratory use to industrial processes by Loeb-Sourirajan in the early 1960s, so membrane separation and purification processes can be performed on food (dairy, beverage, fish, etc.) and batteries (vanadium redox flow batteries, Fuel cells).
게다가, 수처리용 막은 또한 건강 보호 목적, 고-품질 물 생산, 물 공급 확대, 저-비용 물처리 및 물 품질 유지를 위해 음용수, 폐수, 기수(brackish water), 해수를 비롯한 다양한 물을 처리하는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In addition, water treatment membranes are also used in the field of treating a variety of water, including drinking water, wastewater, brackish water and seawater for health protection purposes, high-quality water production, water supply expansion, low-cost water treatment and maintaining water quality. Is being used by.
현재, 연구자들에 의해 새로운 막들이 계속 개발되고 있다. 동시에, 파울링(fouling)과 소수성 특성들로 인한 운전성능저하 때문에 안티파울링(antifouling)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을 통해 현재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막을 개선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막은 유기 또는 무기 소재,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제조된다. 몇몇 막 소재 중,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PVDF)는 높은 강도, 열적 안정성 및 화학적 내성의 유리한 특징들이 있다. Currently, new films are being developed by researchers. At the same time, various researches on antifouling have been made to improve the membranes currently used in various fields because of the deterioration in operating performance due to fouling and hydrophobic properties. Membranes are made of organic or inorganic materials, or combinations thereof. Among some membrane materials, poly (vinylidene fluoride (PVDF)) has advantageous features of high strength, thermal stability and chemical resistance.
그러나, PVDF 막은 오염되기 쉬워 파울링 플럭스를 감소시키고, 제거율을 줄이며, 에너지 소비를 늘린다. 특히, PVDF 미세여과(MF, microfiltration) 막은 보통 천연 유기 물질(natural organic matter, NOM)인 흄산(HA)에 취약하다. 그러한 이유로, 막의 친수성 및 매끄러운 표면 형성에 대한 연구는 안티파울링 특징들의 강화를 위한 연구들과 관련되어 주요 요인들이 되는 흄산 오염과 소수성의 딜레마에 초점이 맞추어져 왔다.However, PVDF membranes are susceptible to contamination, reducing fouling flux, reducing removal rates, and increasing energy consumption. In particular, PVDF microfiltration (MF) membranes are vulnerable to humic acid (HA), which is usually natural organic matter (NOM). For that reason, research into the hydrophilicity and smooth surface formation of membranes has been focused on the humic acid contamination and hydrophobic dilemma, which are the major factors associated with studies for enhancing antifouling characteristics.
다양한 방법들 중에서 그래프트 공중합이 최근 안티파울링 특징들의 강화 목적에 적합한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이 방법에서, 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ATRP) 방법에 의해 합성된 기능성 고분자 소재는 친수성 및/또는 안티파울링 막 제조에 사용된다. 어떤 연구자들은 ATRP 방법에 따라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그래프트-폴리(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poly(vinylidene fluoride)-graft-poly(hydroxyethylmethacrylate) (PVDF-g-PHEMA)가 혼합된 PVDF 막을 제조한바 있다. 다른 연구자들은 ATRP 방법에 따라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그래프트-폴리(옥시에틸렌 메타크릴레이트)(Poly(vinylidene fluoride)-graftpoly(oxyethylene methacrylate)(PVDF-g-POEM)와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그래프트-폴리(설포비테인 메타크릴레이트)(poly(vinylidene fluoride)-graft poly(sulfobetaine methacrylate)(PVDF-g-PSBMA)를 합성한바 있다. 또한,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친수성 및/또는 양친성 사슬을 사용하여 안티파울링 및 친수성 특성들을 갖도록 PVDF/PVDF-g-PHEMA, PVDF/PVDF-g-POEM 및 PVDF/PVDF-g-PSBMA이 혼합된 막이 제조된바 있다.Among various methods, graft copolymerization has recently been reported to be suitable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antifouling characteristics. In this method, the functional polymeric material synthesized by the 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ATRP) method is used for the preparation of hydrophilic and / or antifouling membranes. Some researchers described PVDF mixed with poly (vinylidene fluoride) -graft-poly (hydroxyethylmethacrylate) (PVDF-g-PHEMA) according to the ATRP method. Membranes were prepared and other researchers used poly (vinylidene fluoride) -graftpoly (oxyethylene methacrylate) (PVDF-g-POEM) and poly (vinylidene fluoride) -graft polyacrylamide according to the ATRP method. Poly (vinylidene fluoride) -graft poly (sulfobetaine methacrylate) (PVDF-g-PSBMA) was synthesized. Poly (vinylidene fluoride) -graft-poly (sulfobitin methacrylate) Membranes with PVDF / PVDF-g-PHEMA, PVDF / PVDF-g-POEM and PVDF / PVDF-g-PSBMA have been prepared to have antifouling and hydrophilic properties using hydrophilic and / or amphiphilic chains.
또한, 다른 방법에 따라 무기염과 혼합하는 것이 보고된바 있다. 그리하여, 리튬 클로라이드(LiCl)를 PVDF와 혼합하여 개선된 안티 파울링 특징들을 생성하였다. 따라서, 안티파울링 특성이 개선된 PVDF 기반 미세여과 막을 제조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It has also been reported to mix with inorganic salts according to other methods. Thus, lithium chloride (LiCl) was mixed with PVDF to produce improved anti fouling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new technology development capable of manufacturing PVDF-based microfiltration membranes having improved antifouling propertie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압전분리막을 이용하여 원수를 여과하는 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파울링을 저감하면서, 이와 동시에 플럭스를 증진할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된 수밀성이 향상된 압전분리막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oblem to be solve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flux while reducing the fouling that can occur in the process of filtering the raw water using a piezoelectric separator. It is to provide a piezoelectric separator assembly with improved water tightness capable of being provided.
또한, 수중에서 압전분리막의 원활한 작용을 위해서 수밀성을 강화하는 기능이 구비된 수밀성이 향상된 압전분리막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proved water-tight piezoelectric separator assembly having a function of enhancing water-tightness for smooth operation of the piezoelectric separator in water.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bove are clear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can be understoo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전기를 통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압전 분리막 어셈블리로서,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어 전기가 통전되고 일부분에 유체가 출입하는 유입구와 유출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어셈블리 본체; 상기 어셈블리 본체에 수용되며 상기 전원으로부터 이송되는 전기를 이용하여 압전효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멤브레인 유닛; 및 상기 어셈블리 본체의 유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어셈블리 본체에 유입된 농축물의 압력을 측정하고 제어하는 농축물 압력 측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멤브레인 유닛은, 일부분에 형성되는 기공을 설정된 크기로 제작하여 파울링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piezoelectric separator assembly that generates vibration through electricity, the inlet and outlet which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power supply and the electricity is supplied to the fluid flow in and out Assembly bodies each formed; A membrane unit accommodated in the assembly body and generating vibration by a piezoelectric effect using electricity transferred from the power source; And a concentrate pressure measuring unit installed at an outlet of the assembly main body to measure and control the pressure of the concentrate introduced into the assembly main body, wherein the membrane unit is prepared by fouling the pores formed in a portion to a predetermined size. The ring phenomenon can be prevented.
또한, 상기 어셈블리 본체는, 일부분에 상기 전원에 연결된 전기선이 연통하는 제 1연결홀이 형성된 상판부재; 상기 상판부재에 대응하게 제작되고 일부분에 각각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가 구비되며, 상기 제 1연결홀에 대응하는 제 2연결홀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상판부재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하판부재; 및 상기 상판부재와 하판부재 각각의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볼트방식의 결합을 통하여 상기 상판부재와 하판부재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ssembly main body, the upper plate member is formed with a first connection hole in which the electrical wir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A lower plate member manufactur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plate member and provided with a portion of the inlet port and an outlet port, the lower plate member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plate member in a state in which a second connection ho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nection hole is formed; And a coupling member formed at a corresponding portion of each of the upper plate member and the lower plate member to couple the upper plate member and the lower plate member through a bolted coupling.
또한, 상기 멤브레인 유닛은, PZT-PVDF 복합용액으로부터 전기방사 방식으로 만들어진 웹이 위치한 압전 멤브레인; 상기 압전 멤브레인에 대응하게 제작되어 상기 압전 멤브레인의 상부와 접촉하며 상기 압전 멤브레인의 전극 효율을 높이기 위해 설정된 정도의 치밀한 구조로 제작되는 퍼미트 캐리어; 및 상기 압전 멤브레인에 대응하게 제작되며 일면이 상기 압전 멤브레인의 하부에 접촉하는 전도성 및 다공성 지지체로 타면에는 절연 및 방수물질로 코팅되며, 설정된 크기의 기공으로 제작되어 파울링 현상을 방지하는 피드 스페이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mbrane unit may further include a piezoelectric membrane on which a web made from the PZT-PVDF composite solution is electrospun; A permit carrier manufactured to correspond to the piezoelectric membrane to be in contact with an upper portion of the piezoelectric membrane and to have a compact structure of a predetermined degree for increasing electrode efficiency of the piezoelectric membrane; And a feed spacer manufactured to correspond to the piezoelectric membrane and coated with an insulating and waterproof material on one surface thereof with a conductive and porous support contac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piezoelectric membrane, and formed of pores having a predetermined size to prevent fouling. It may include.
또한, 상기 농축물 압력 측정유닛은, 상기 어셈블리 본체 내부에 수용된 농축물의 압력을 측정하여 표시하는 압력게이지; 및 상기 압력게이지에 연결되어 상기 어셈블리 본체에 유입된 상기 농축물의 양을 모니터링하면서 상기 농축물의 배출을 조절하여 상기 어셈블리 본체 내부의 압력을 제어하는 제어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centrate pressure measuring unit, a pressure gauge for measuring and displaying the pressure of the concentrate contained in the assembly body; And a control valve connected to the pressure gauge to control the pressure inside the assembly main body by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the concentrate while monitoring the amount of the concentrate introduced into the assembly main body.
또한, 상기 퍼미트 캐리어와 피드 스페이서는 메시 형상의 티타늄으로 제작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ermit carrier and the feed spacer may be made of titanium having a mesh shape.
또한, 상기 상판부재와 하판부재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상판부재와 하판부재의 결합시 상기 상판부재와 하판부재의 틈새를 매우면서 수밀성을 강화하는 오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ring is inserted between the upper plate member and the lower plate member when the coupling between the upper plate member and the lower plate member O-ring to enhance the watertightness while filling the gap between the upper plate member and the lower plate member; may further include.
또한, 상기 오링의 소재는 실리콘;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O-ring material may be silicon;
또한, 상기 어셈블리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멤브레인 모듈의 하부에 삽입되어 상기 멤브레인 유닛의 밀착력을 강화하여 압전효과와 수밀성을 향상시키는 심;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re is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membrane module in the assembly body to strengthen the adhesion of the membrane unit to improve the piezoelectric effect and water tightness; may further include a.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의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피드 스페이서의 기공의 크기를 조절하여 압전분리막을 이용하여 원수를 여과하는 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파울링을 저감하면서, 이와 동시에 플럭스를 증진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djusting the size of the pores of the feed spacer, while reducing the fouling that may occur in the process of filtering the raw water using the piezoelectric separation membran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flux at the same time.
또한, 퍼미트 캐리어의 구조를 치밀하에 제작하여 압전 멤브레인에 발생하는 전극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permit carrier can be manufactured under high density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electrode generated in the piezoelectric membrane.
또한, 오링 및 심을 상판부재와 하판부재에 삽입하고 압전 멤브레인 수밀성이 강화하여 수중에서 안정적으로 압전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O-ring and the shim may be inserted into the upper plate member and the lower plate member and the piezoelectric membrane watertightness may be enhanced to stably generate piezoelectric phenomenon in water.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effects obta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above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Could be.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밀성이 향상된 압전분리막 에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The following drawings, which are attached in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mproved piezoelectric separa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ssembly.
3 is a plan view of the assembly.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the embodiments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may have various forms, and thu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for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the objects or effects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r only such effec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limited thereby.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intend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other components in between, although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neighboring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refer to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parts thereof describ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be present and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nless otherwise defined. Generally, the terms defined in the dictionary used are to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clear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밀성이 향상된 압전분리막 에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며, 도 3은 상기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iezoelectric separator assembly having improved watertightn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ssembly, and FIG. 3 is a plan view of the assembly.
도 1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를 통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압전 분리막 어셈블리로서, 본 발명은 어셈블리 본체(100), 멤브레인 유닛(200) 및 농축물 압력 측정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1 to 3, as a piezoelectric separator assembly for generating vibration through electricity,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어셈블리 본체(100)는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어 전기가 통전되고 일부분에 유체가 출입하는 유입구(70)와 유출구(50)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The assembly
어셈블리 본체(100)는 상판부재(110), 하판부재(120) 및 결합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판부재(110)는 일부분에 전원에 연결된 전기선이 연통하는 제 1연결홀이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The
하판부재(120)는 상판부재(110)에 대응하게 제작되고 일부분에 각각 유입구(70)와 유출구(50)가 구비되며, 제 1연결홀에 대응하는 제 2연결홀이 형성된 상태로 상판부재(110)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결합부재(130)는 상판부재(110)와 하판부재(120) 각각의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볼트방식의 결합을 통하여 상판부재(110)와 하판부재(120)를 결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부재(130)는 상판부재(110)와 하판부재(120)의 일부분에 각각 대응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포스트가이드(134)와 포스트가이드(134)에 볼트결합방식으로 결합되는 결합포스트(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포스트가이드(134)의 내부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결합포스트(132)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Coupling
멤브레인 유닛(200)은 어셈블리 본체(100)에 수용되며 전원으로부터 이송되는 전기를 이용하여 압전효과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압전 효과(piezoelectric effect)는 기계적인 압력을 가하면 전압이 발생하고 전압을 가하면 기계적인 변형이 발생하는 현상으로, 힘을 가해 변형을 주면 표면에 전압이 발생하고, 반대로 전압을 걸면 소자가 이동하거나 힘이 발생하는 현상이다. 압전 효과를 이용한 대표적인 제품은 마이크로폰, 스피커, 초음파 탐지기, 수정시계 진동자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같은 크기의 소형 모터보다 출력이 높고 소음이 적은 점 때문에 휴대폰 카메라모듈의 줌/자동초점 기능을 위한 렌즈 구동장치에도 적용되고 있다.The
멤브레인 유닛(200)은 일부분에 형성되는 기공을 설정된 크기로 제작하여 파울링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파울링(fouling)이란, 막여과에서 유입수 속의 오염물질에 의해 막이 막히는 현상으로 막여과에서 막 자체의 변질이 아닌 외적요인에 의한 막성능의 저하를 일컫는 말이다. 막에 유입되는 용질에 의해 막의 막힘, 유로폐색 혹은 부착층의 형성을 초래하는 현상이다. 원인물질로서는 탁질, 스케일, 실리카, 금속산화물, 유기물, 미생물 등이 있으며 막 자체의 변질에 의해 발생하는 불가역적인 막성능의 저하는 열화라고 한다.The
멤브레인 유닛(200)은 압전 멤브레인(210), 퍼미트 캐리어(220) 및 피드 스페이서(2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압전 멤브레인(210)은 PZT-PVDF 복합용액으로부터 전기방사 방식으로 만들어진 웹이 위치한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PVDF는 고분자 중 상당히 큰 쌍극자모멘트를 가지고 있어 높은 유전율을 나타내며, 고분자의 특성인 유연성과 내부식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PVDF는 가공이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하며, 열적 안정성과 화학적 저항성이 우수하여 습도에 민감한 전기방사 공정에도 안정적인 특성을 가진다. 상기 PZT [Pb(ZrxTi1-x)O3] 분말은 대표적인 압전 재료로서, 강유전성, 초전성, 압전성 등 다양한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강유전성을 이용한 비휘발성 기억소자, 유전특성을 이용한 이동 통신기기의 핵심 소자 부품, 압전성을 이용한 마이크로 액츄에이터와 가속도 센서, 그리고 초전성을 이용한 적외선센서, 적외선 감지소자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분리막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PZT-PVDF 복합 용액은 PVDF : 10 ~ 30 중량%, PZT 분말 : 5 ~ 40 중량% 및 나머지 혼합 용매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PZT 분말은 상기 PZT-PVDF 복합 용액 전체 중량의 10 ~ 25 중량%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함량비에서, PVDF와 PZT의 함량비는 연성을 유지하면서 필름 및 멤브레인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 물리적 특성을 유지하는 것과 전기를 공급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압전체의 성능을 강화하는 것과의 최적비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분리막에서 PZT의 함량이 지나치게 높아진다면 필름 또는 멤브레인의 형상을 유지하기 어려울 정도로 연성이 부족해 질 수 있으며, 반대로 PVDF의 함량이 지나치게 높아진다면 전기를 공급하더라도 진동 효율이 낮아져 파울링 제거 효과가 낮아질 수 있다.The
퍼미트 캐리어(220)는 압전 멤브레인(210)에 대응하게 제작되어 압전 멤브레인(210)의 상부와 접촉하며 압전 멤브레인(210)의 전극 효율을 높이기 위해 설정된 정도의 치밀한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The
피드 스페이서(230)는 압전 멤브레인(210)에 대응하게 제작되며 일면이 압전 멤브레인(210)의 하부에 접촉하는 전도성 및 다공성 지지체로 타면에는 절연 및 방수물질로 코팅되며, 설정된 크기의 기공으로 제작되어 파울링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드 스페이서(230)의 기공 크기는 분리막 파울링 현상에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로 제작되는데, 최소 0.2 um일 수 있다.The
퍼미트 캐리어(220)와 피드 스페이서(230)는 메시 형상의 가볍고 내구성이 우수한 티타늄으로 제작될 수 있다.The
농축물 압력 측정유닛(300)은 어셈블리 본체(100)의 유출구(50)에 설치되어 어셈블리 본체(100)에 유입된 농축물의 압력을 측정하고 제어할 수 있다.The concentrate
농축물 압력 측정유닛(300)은 압력게이지(310) 및 제어밸브(3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centrate
압력게이지(310)는 어셈블리 본체(100) 내부에 수용된 농축물의 압력을 측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The
제어밸브(320)는 압력게이지(310)에 연결되어 어셈블리 본체(100)에 유입된 농축물의 양을 모니터링하면서 농축물의 배출을 조절하여 어셈블리 본체(100) 내부의 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The
본 발명 압전분리막 어셈블리(10)는 오링(400)과 심(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iezoelectric separator assembly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o-
오링(400)은 상판부재(110)와 하판부재(120) 사이에 삽입되어 상판부재(110)와 하판부재(120)의 결합시 상판부재(110)와 하판부재(120)의 틈새를 매우면서 수밀성을 강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링(400)의 소재는 가볍고 내구성이 우수한 실리콘을 이용아혀 제작될 수 있다.The O-
심(500)은 어셈블리 본체(100)의 내부에서 멤브레인 유닛(200)의 하부에 삽입되어 상기 멤브레인 모듈의 밀착력을 강화하여 압전효과와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심의 소재로는 가벼우며 내구성이 우수한 합성수지나 합성고무를 이용하여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 압전분리막 어셈블리(10)는 상판부재(110)의 일부분에 퍼미트 캐리어(220)에 작용하는 압력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외부와 퍼미트 캐리어(220)의 연통이 가능한 퍼미트 아울렛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퍼미트 아울렛을 통해 퍼미트 캐리어(220)에 가해지는 압력의 배출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iezoelectric separator assembly 1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ermit outlet capable of communicating the outside and the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isclosed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implement and practice the invention. 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se each of the components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The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features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limiting in all a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In addition, the claims may be incorporated into claims that do not have an explicit citation relationship in the claims, or may be incorporated into new claims by amendment after filing.
10 : 어셈블리
30 : 퍼미트 아울렛
50 : 유출구
70 : 유입구
100 : 어셈블리 본체
110 : 상판부재
120 : 하판부재
130 : 결합부재
132 ; 결합포스트
134 ; 포스트가이드
200 : 멤브레인 유닛
210 : 압전 멤브레인
220 : 퍼미트 캐리어
230 : 피드 스페이서
300 : 농축물 압력 측정유닛
310 : 압력게이지
320 : 제어밸브
400 : 오링
500 : 심10: assembly
30: Permit Outlet
50: outlet
70: inlet
100: assembly body
110: top plate member
120: lower plate member
130: coupling member
132; Post
134; Post Guide
200: membrane unit
210: piezoelectric membrane
220: permit carrier
230: Feed spacer
300: concentrate pressure measuring unit
310: pressure gauge
320: control valve
400: O-ring
500: Sim
Claims (8)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어 전기가 통전되고 일부분에 유체가 출입하는 유입구와 유출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어셈블리 본체;
상기 어셈블리 본체에 수용되며 상기 전원으로부터 이송되는 전기를 이용하여 압전효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멤브레인 유닛; 및
상기 어셈블리 본체의 유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어셈블리 본체에 유입된 농축물의 압력을 측정하고 제어하는 농축물 압력 측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멤브레인 유닛은,
일부분에 형성되는 기공을 설정된 크기로 제작하여 파울링 현상을 방지하며,
상기 멤브레인 유닛은,
PZT-PVDF 복합용액으로부터 전기방사 방식으로 만들어진 웹이 위치한 압전 멤브레인;
상기 압전 멤브레인에 대응하게 제작되어 상기 압전 멤브레인의 상부와 접촉하며 상기 압전 멤브레인의 전극 효율을 높이기 위해 설정된 정도의 치밀한 구조로 제작되는 퍼미트 캐리어; 및
상기 압전 멤브레인에 대응하게 제작되며 일면이 상기 압전 멤브레인의 하부에 접촉하는 전도성 및 다공성 지지체로 타면에는 절연 및 방수물질로 코팅되며, 설정된 크기의 기공으로 제작되어 파울링 현상을 방지하는 피드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밀성이 향상된 압전분리막 에셈블리.
A piezoelectric separator assembly for generating vibration through electricity,
An assembly main body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so that electricity is supplied thereto and an inlet and an outlet through which a fluid flows in and out;
A membrane unit accommodated in the assembly body and generating vibration by a piezoelectric effect using electricity transferred from the power source; And
And a concentrate pressure measuring unit installed at an outlet of the assembly main body to measure and control the pressure of the concentrate introduced into the assembly main body.
The membrane unit,
Prevent the fouling phenomenon by making the pores formed in the portion to a predetermined size,
The membrane unit,
A piezoelectric membrane on which a web made by PZT-PVDF composite solution is electrospun;
A permit carrier manufactured to correspond to the piezoelectric membrane to be in contact with an upper portion of the piezoelectric membrane and to have a compact structure of a predetermined degree for increasing electrode efficiency of the piezoelectric membrane; And
A feed spacer fabricated corresponding to the piezoelectric membrane and coated with an insulating and waterproof material on one surface thereof with a conductive and porous support contac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piezoelectric membrane, and formed of pores having a predetermined size to prevent fouling; Piezoelectric membrane assembly improved watertightness comprising a.
상기 어셈블리 본체는,
일부분에 상기 전원에 연결된 전기선이 연통하는 제 1연결홀이 형성된 상판부재;
상기 상판부재에 대응하게 제작되고 일부분에 각각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가 구비되며, 상기 제 1연결홀에 대응하는 제 2연결홀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상판부재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하판부재; 및
상기 상판부재와 하판부재 각각의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볼트방식의 결합을 통하여 상기 상판부재와 하판부재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밀성이 향상된 압전분리막 에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ssembly body,
An upper plate member having a first connection hole communicating with an electric line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at a portion thereof;
A lower plate member manufactur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plate member and provided with a portion of the inlet port and an outlet port, the lower plate member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plate member in a state in which a second connection ho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nection hole is formed; And
And a coupling member formed at a corresponding portion of each of the upper plate member and the lower plate member to couple the upper plate member and the lower plate member to each other through a bolted coupling method.
상기 농축물 압력 측정유닛은,
상기 어셈블리 본체 내부에 수용된 농축물의 압력을 측정하여 표시하는 압력게이지; 및
상기 압력게이지에 연결되어 상기 어셈블리 본체에 유입된 상기 농축물의 양을 모니터링하면서 상기 농축물의 배출을 조절하여 상기 어셈블리 본체 내부의 압력을 제어하는 제어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밀성이 향상된 압전분리막 에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centrate pressure measuring unit,
A pressure gauge for measuring and displaying the pressure of the concentrate contained in the assembly body; And
And a control valve connected to the pressure gauge to control the pressure inside the assembly body by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the concentrate while monitoring the amount of the concentrate introduced into the assembly main body. Assembly.
상기 퍼미트 캐리어와 피드 스페이서는 메시 형상의 티타늄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밀성이 향상된 압전분리막 에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ermit carrier and the feed spacer are piezoelectric separator assembly having improved water-tightness, characterized in that the mesh is made of titanium.
상기 상판부재와 하판부재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상판부재와 하판부재의 결합시 상기 상판부재와 하판부재의 틈새를 메우면서 수밀성을 강화하는 오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밀성이 향상된 압전분리막 에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ing is inserted between the upper plate member and the lower plate member to enhance the watertightness while filling the gap between the upper plate member and the lower plate member when the upper plate member and the lower plate member is coupled; Blee.
상기 오링의 소재는 실리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밀성이 향상된 압전분리막 에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material of the O-ring is silicon; piezoelectric membrane assembly improved water tightness.
상기 어셈블리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멤브레인 모듈의 하부에 삽입되어 상기 멤브레인 유닛의 밀착력을 강화하여 압전효과와 수밀성을 향상시키는 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밀성이 향상된 압전분리막 에셈블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him inserted into a lower portion of the membrane module in the assembly body to enhance the adhesion of the membrane unit to improve the piezoelectric effect and the watertightnes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1189A KR102036995B1 (en) | 2018-05-03 | 2018-05-03 | Piezoelectric separator with improved watertightnes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1189A KR102036995B1 (en) | 2018-05-03 | 2018-05-03 | Piezoelectric separator with improved watertightnes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36995B1 true KR102036995B1 (en) | 2019-11-26 |
Family
ID=68731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51189A Active KR102036995B1 (en) | 2018-05-03 | 2018-05-03 | Piezoelectric separator with improved watertightnes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36995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849485A (en) * | 2022-05-23 | 2022-08-05 | 南京大学 | A universal self-cleaning anti-membrane fouling method with pulsed water pressure response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513435A (en) * | 1997-08-27 | 2001-09-04 | ミリポア・コーポレイション | Vibration assisted dynamic membrane filtration |
KR101023792B1 (en) * | 2010-04-22 | 2011-03-21 | 주식회사 파라 | Filter membrane damage detection device using piezoelectric characteristics |
KR20150036192A (en) * | 2012-06-26 | 2015-04-07 | 콘웨드 플라스틱스 엘엘씨 | Membrane filtration using low energy feed spacer |
KR20150080623A (en) * | 2012-11-05 | 2015-07-09 | 유니버시티 오브 워싱턴 스로우 잇츠 센터 포 커머셜라이제이션 | Apparatuses and methods for preventing fouling and scaling using ultrasonic vibrations |
KR20160020103A (en) * | 2014-08-13 | 2016-02-23 | (주)에프티이앤이 | Filter media for protecting electronic device and filter assembly |
KR101738732B1 (en) | 2014-07-04 | 2017-05-24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Preparation method of the polymer membrane with enhancement of antifouling characteristics |
-
2018
- 2018-05-03 KR KR1020180051189A patent/KR10203699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513435A (en) * | 1997-08-27 | 2001-09-04 | ミリポア・コーポレイション | Vibration assisted dynamic membrane filtration |
KR101023792B1 (en) * | 2010-04-22 | 2011-03-21 | 주식회사 파라 | Filter membrane damage detection device using piezoelectric characteristics |
KR20150036192A (en) * | 2012-06-26 | 2015-04-07 | 콘웨드 플라스틱스 엘엘씨 | Membrane filtration using low energy feed spacer |
KR20150080623A (en) * | 2012-11-05 | 2015-07-09 | 유니버시티 오브 워싱턴 스로우 잇츠 센터 포 커머셜라이제이션 | Apparatuses and methods for preventing fouling and scaling using ultrasonic vibrations |
KR101738732B1 (en) | 2014-07-04 | 2017-05-24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Preparation method of the polymer membrane with enhancement of antifouling characteristics |
KR20160020103A (en) * | 2014-08-13 | 2016-02-23 | (주)에프티이앤이 | Filter media for protecting electronic device and filter assembly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849485A (en) * | 2022-05-23 | 2022-08-05 | 南京大学 | A universal self-cleaning anti-membrane fouling method with pulsed water pressure respons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Li et al. | Fractionation and concentration of high-salinity textile wastewater using an ultra-permeable sulfonated thin-film composite | |
US20110049038A1 (en) | Filtration module including membrane sheet with capillary channels | |
Mänttäri et al. | Effect of temperature and membrane pre-treatment by pressure on the filtration properties of nanofiltration membranes | |
EP1807184B1 (en) | Integrated permeate channel membrane | |
JP5309250B2 (en) | Polymer water treatment membrane,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water treatment method | |
US20190358594A1 (en) | Membrane modules | |
KR20120057579A (en) | Flat membrane element for filtration, flat membrane type separation membrane module, and filtration device | |
JP6269241B2 (en) | Forward osmosis processing system | |
KR101519026B1 (en) | Forward osmosis membranes based on multilayered thin films using a molecular layer-by-layer crosslinking assembly of organic monomers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
US20160051937A1 (en) | Method for cleaning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 |
KR101117647B1 (en) | A defecator using the membrane with silicon carbide material for waste liquid and process thereof | |
KR102036995B1 (en) | Piezoelectric separator with improved watertightness | |
Qi et al. | Towards improved separation performance using porous FO membranes: The critical roles of membrane separation properties and draw solution | |
Deng et al. | Energy-efficient membranes for microalgae dewatering: Fouling challenges and mitigation strategies | |
CN111132940A (en) | Seawater desalination device | |
JP2010253397A (en) | Membrane separation activated sludge treatment equipment | |
AU2005314899A1 (en) | Hollow fiber membrane cartridge | |
Reddy et al. | Biomimetic membranes: Advancements and applications—A minireview | |
Subasinghe et al. | Polyvinylidene fluoride gravity-driven membranes modification and membrane fouling: A review | |
JP5890971B2 (en) | Polymer water treatment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method | |
KR20130014306A (en) | Sequencing batch type or batch type water-filter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KR20170002094A (en) | Membrane filtration for advanced water treatment device using hydraulic head differential and method for flow conttrolling the same | |
US20230121715A1 (en) | Method and program for determining cleaning trouble in fresh water generator | |
JPH06277461A (en) | Membrane separation device | |
KR20160141076A (en) | Reverse osmosis membrane unit for water treatment comprising the spacer geometr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6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0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0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10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