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32504B1 - 내충격성이 향상된 배터리 모듈 - Google Patents

내충격성이 향상된 배터리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2504B1
KR102032504B1 KR1020150155938A KR20150155938A KR102032504B1 KR 102032504 B1 KR102032504 B1 KR 102032504B1 KR 1020150155938 A KR1020150155938 A KR 1020150155938A KR 20150155938 A KR20150155938 A KR 20150155938A KR 102032504 B1 KR102032504 B1 KR 102032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assembly
battery module
hole
end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5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3429A (ko
Inventor
서재현
김남인
엄영섭
김보현
조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50155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2504B1/ko
Publication of KR20170053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3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2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250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101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2/1083
    • H01M2/2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이차 전지와, 상기 이차 전지를 수납하는 적층용 프레임를 구비하며, 일 방향으로 적층 배열되는 다수의 카트리지 어셈블리, 상기 다수의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전극이 돌출된 적어도 일 측면부에 장착되고, 상기 이차 전지의 전극 리드와 접촉하여 상기 이차 전지의 전기적 특성을 센싱하고,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통과홀을 구비하는 센싱 어셈블리 및 강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카트리지 어셈블리와 상기 센싱 어셈블리를 위에서 아래로 덮어씌운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센싱 어셈블리의 통과홀과 연통하는 통공을 구비하여, 상기 통공과 상기 통과홀에 막대형 체결부재가 끼워져 상기 센싱 어셈블리와 하나의 몸체로 조립되는 엔드 플레이트 조립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내충격성이 향상된 배터리 모듈{Battery Module improved impact resistance}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충격성이 우수한 마운팅 보강 구조를 구비한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이차 전지는 휴대용 기기뿐만 아니라 전기적 구동원에 의하여 구동하는 전기 차량(EV, Electric Vehicle)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HEV, Hybrid Electric Vehicle), 전력 저장 장치(Energy Storage System) 등에 보편적으로 응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는 화석 연료의 사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일차적인 장점뿐만 아니라 에너지의 사용에 따른 부산물이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친환경 및 에너지 효율성 제고를 위한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전기 차량 등에 적용되는 배터리 팩은 고출력을 얻기 위해 복수의 단위 셀(cell)을 포함하는 다수의 배터리 모듈을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상기 단위 셀(cell)은 양극 및 음극 집전체, 세퍼레이터, 활물질, 전해액 등을 포함하여 구성 요소들 간의 전기 화학적 반응에 의하여 반복적인 충방전이 가능하다.
한편, 최근 들어 유럽, 미국, 한국 등 자동차 주요 생산국에서는 탄소 배출량에 대한 규제 움직임이 가속화됨에 따라 친환경, 순수 전기 자동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순수 전기 자동차(EV)는 온전히 배터리의 전기 에너지를 사용한다. 이런 이유로 고용량 배터리 팩 제품 개발이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의 고용량 배터리 팩을 구성하는 배터리 모듈은 종래의 배터리 모듈보다 크기와 중량이 증가했다. 배터리 모듈은 크기와 중량이 종래보다 증가하면서 안정적인 에너지 저장 및 운용을 위해서 구조적 안정성을 보강할 필요성이 더욱 커졌다. 특히, 배터리 모듈은 충격 및 진동을 받는 자동차 주행 환경에서 운용되기 때문에, 배터리 모듈의 구조적 안전성 보장하기 위해서는 배터리 모듈과 팩 케이스 또는 배터리 모듈의 구성품들 간 마운팅 부위의 강성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배터리 모듈의 구성품들 간의 마운팅 부위의 강성을 증가시켜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 배터리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이차 전지와, 상기 이차 전지를 수납하는 적층용 프레임를 구비하며, 일 방향으로 적층 배열되는 다수의 카트리지 어셈블리; 상기 다수의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적어도 일 측면부에 장착되고, 상기 이차 전지의 전극 리드와 접촉하여 상기 이차 전지의 전기적 특성을 센싱하고,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통과홀을 구비하는 센싱 어셈블리; 및 강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카트리지 어셈블리와 상기 센싱 어셈블리를 위에서 아래로 덮어씌운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센싱 어셈블리의 통과홀과 연통하는 통공을 구비하여, 상기 통공과 상기 통과홀에 막대형 체결부재가 끼워져 상기 센싱 어셈블리와 하나의 몸체로 조립되는 엔드 플레이트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 어셈블리는, 상기 이차 전지의 전극 리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속부재를 구비한 센싱 보드와, 상기 센싱 보드를 보호하도록 상기 센싱 보드의 외측에 장착되는 센싱 보드용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통과홀은 상기 센싱 보드용 커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과홀은 상기 센싱 보드용 커버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하나씩 2개가 형성되고, 상기 센싱 보드용 커버는, 상기 통과홀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호간 소정 간격을 두고 층상 배열되는 다수의 층상형 리브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센싱 보드용 커버는, 상기 2개의 통과홀 사이에서, 격자상 구조를 형성하는 다수의 격자형 리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층상형 리브 및 상기 격자형 리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센싱 보드용 커버의 전면과 후면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싱 어셈블리는 상기 다수의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좌측면부와 우측면부에 장착되며, 상기 엔드 플레이트 조립체는 상기 다수의 카트리지 어셈블리를 상면부, 전면부, 및 후면부를 일체로 에워싸는 형태로 마련된 제1 엔드 플레이트와, 상기 센싱 어셈블리를 에워싸는 형태로 마련된 한 쌍의 제2 엔드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엔드 플레이트는 상기 센싱 어셈블리의 통과홀 상부에 위치되는 체결용 플랜지를 구비하며, 상기 통공은 상기 체결용 플랜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엔드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엔드 플레이트는 상호 간 용접 또는 본딩되는 용접 부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막대형 체결부재는, 속이 빈 파이프 타입으로 상기 통과홀에 삽입되는 금속 재질의 부싱과, 상기 부싱을 통과하여 상기 엔드 플레이트 조립체와 상기 센싱 어셈블리를 하나의 몸체로 조립하는 장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 어셈블리는, 상기 다수의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일 측면부 전체를 커버하도록 착탈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카트리지 어셈블리는, 전극 리드가 양 방향으로 돌출되는 이차 전지와, 상기 이차 전지를 수납하는 카트리지들을 일렬로 세워서 적층시킨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의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마련된 절연시트와, 열 전도성 금속 재질의 냉각 플레이트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상술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의하면, 상술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자동차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터리 모듈의 구성품들 간의 마운팅 부위의 강성이 증가하여 배터리 모듈의 내충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배터리 모듈의 마운팅 부위의 중량이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하나의 체결부재로 배터리 모듈의 구성품들을 하나의 몸체로 결속시킬 수 있어 배터리 모듈의 조립 용이성과 내충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엔드 플레이트 조립체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센싱 어셈블리 및 베이스 플레이트를 추가로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센싱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센싱 보드용 커버의 정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4의 센싱 보드용 커버의 전면 및 후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보드, 센싱 보드용 커버 및 제2 엔드 플레이트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결합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엔드 플레이트 조립체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센싱 어셈블리 및 베이스 플레이트를 추가로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00)은, 다수의 카트리지 어셈블리(110), 센싱 어셈블리(120), 그리고 이들을 도 1과 같이 위에서 아래로 덮어씌운 형태로 구성된 엔드 플레이트 조립체(130)와, 이들을 일체로 결속시키는 막대형 체결부재(140)를 포함한다.
자세히 후술하겠지만 본 실시예의 배터리 모듈(100)은, 다수의 카트리지 어셈블리(110), 센싱 어셈블리(120) 그리고 엔드 플레이트 조립체(130)가 유기적으로 연결 및 체결되고, 체결 부위의 기계적 강도가 강화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 충격 및 진동 환경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이 증대되어 있다.
배터리 모듈(100)을 형성하는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우선 카트리지 어셈블리(110)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이차 전지와 적층용 프레임(1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 어셈블리(110)에 포함되는 이차 전지는,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파우치형 이차 전지일 수 있다. 이 경우, 파우치형 이차 전지는 일 방향, 이를테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적층용 프레임(111)에 수납된 상태로 Y축 방향으로 적층 배열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이차 전지의 전극 리드(L) 부분은, 도 3과 같이, 적층용 프레임(111)의 개구부를 통해 적층용 프레임(111) 밖으로 노출될 수 있다.
물론, 도면과 달리, 이차 전지가 수직 방향 등 다른 방향으로 적층될 수도 있을 것이므로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될 수 없다.
적층용 프레임(111)은 이차 전지를 적층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차 전지를 홀딩함으로써 그 유동을 방지시키고, 상호간 적층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이차 전지의 조립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참고로 적층용 프레임(111)은 카트리지(cartridge) 등 다른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적층용 프레임(111)은 중앙 부분이 비어 있는 사각의 링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적층용 프레임(111)의 네 모서리는 이차 전지의 외주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적층용 프레임(111)의 비어 있는 중앙 부분은 냉각핀(112)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여기서 냉각핀(112)은 알루미늄과 같은 열 전도성 재질의 플레이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냉각핀(112)에 이차 전지의 셀 바디가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이차 전지와 냉각핀(112)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카트리지 어셈블리(110)는 복수 개가 마련되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 개가 상호간 적층 배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배터리 모듈(100)은 6개의 카트리지 어셈블리(110)를 포함하고 있으나, 설계 용량에 따라 5개 이하 또는 7개 이상의 카트리지 어셈블리(11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센싱 어셈블리(120)는 이차 전지의 전압과 같은 전기적 특성에 대한 센싱 정보를 배터리 모듈(100) 외부의 다른 디바이스(미도시)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배터리 모듈(100)에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와 같은 장치가 연결되어, 충전이나 방전 등 배터리 모듈(10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센싱 어셈블리(120)는, 이러한 BMS와 연결되어, 이차 전지의 센싱된 전압 정보 등을 BMS에 제공할 수 있으며, BMS는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배터리 모듈(100)을 제어할 수 있다.
센싱 어셈블리(120)는 이차 전지의 전극 리드(L)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다수의 카트리지 어셈블리(110)의 적어도 일 측면부에 장착될 수 있다. 예컨대, 센싱 어셈블리(120)는 이차 전지의 전극 리드(L)들이 노출되어 있는 부분에 장착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의 배터리 모듈(100)의 경우, 양극 리드와 음극 리드가 양방향으로 돌출된 파우치형 이차 전지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2개를 한 쌍으로 한 센싱 어셈블리가 다수의 카트리지 어셈블리(110)의 양쪽 측면부에 하나씩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각 센싱 어셈블리(120)는 다수의 카트리지 어셈블리(110)의 해당 측면부에 착탈 결합되며, 다수의 카트리지 어셈블리(110)의 측면부 전체를 커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테면, 도 2와 같이 센싱 어셈블리(120)와 다수의 카트리지 어셈블리(110)가 결합됨으로써 센싱 어셈블리(120)에 의해 다수의 카트리지 어셈블리(110) 전체가 일체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센싱 어셈블리(120)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통과홀(123)을 구비한다. 상기 통과홀(123)에는 막대형 체결부재(140)가 삽입되어 통과할 수 있다. 센싱 어셈블리(120)는 상기 막대형 체결부재(140)에 의해 후술할 제2 엔드 플레이트(132)와 결합될 수 있으며, 센싱 어셈블리(120)의 적어도 일 부분은 상기 제2 엔드 플레이트(132)에 의해 적어도 일 부분이 커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엔드 플레이트(132)에는 후술할 제1 엔드 플레이트(131)가 용접 내지 본딩될 수 있다.
한편, 센싱 어셈블리(120)는 다수의 카트리지 어셈블리(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품이므로 다수의 카트리지 어셈블리(110)와 하나의 강체처럼 거동을 함께하여야 외부 충격 및 진동을 견딜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배터리 모듈(100)이 구조적, 전기적으로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 충격의 분산 및 흡수, 그리고 제2 엔드 플레이트(132)와의 결속력을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센싱 어셈블리(120)가 설계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상 이러한 센싱 어셈블리(120)에 대한 보다 자세한 구조적 특징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00)은 절연시트(160)와 냉각 플레이트(170) 및 베이스 플레이트(150)를 더 포함한다.
절연시트(160), 냉각 플레이트(170) 및 베이스 플레이트(150)는 다수의 카트리지 어셈블리(110)의 하부에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절연시트(160)는 전기 절연성과 열 전도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절연시트(160)는 배터리 모듈(100)의 절연과 함께 냉각핀(112)들로부터의 열을 냉각 플레이트(170)로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냉각 플레이트(170)는 알루미늄과 같은 열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져 다수의 카트리지 어셈블리(110)의 열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50)는 다수의 카트리지 어셈블리(110)의 제일 하부에 배치되어 하부에서 다수의 카트리지 어셈블리(110)를 지지하는 판형 구조물이다. 베이스 플레이트(150)는 대략 넓은 면적을 가진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수의 카트리지 어셈블리(110)를 커버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플레이트(150)는 다수의 카트리지 어셈블리(110)를 하부에서 지지하고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 플레이트(150)는 강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스틸 등의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엔드 플레이트 조립체(130)는 다수의 카트리지 어셈블리(110)와 센싱 어셈블리(120)를 위에서 아래로 덮어씌운 덮개 형태의 강성 구조물일 수 있다. 그리고 엔드 플레이트 조립체(130)는 상기 센싱 어셈블리(120)의 통과홀(123)에 상하로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통과홀(123)과 연통하는 통공(134)을 구비한다. 상기 통공(134)과 상기 통과홀(123)에 막대형 체결부재(140)가 끼워져 센싱 어셈블리(120)와 하나의 몸체로 조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엔드 플레이트 조립체(130)는, 제1 엔드 플레이트(131) 및 한 쌍의 제2 엔드 플레이트(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엔드 플레이트(131)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센싱 어셈블리(120)가 장착된 부분을 각각 좌,우측면부라 할 때, 다수의 카트리지 어셈블리(110)의 상면부, 전면부, 및 후면부를 일체로 에워싸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제2 엔드 플레이트(132)는 각각 해당 센싱 어셈블리(120)의 적어도 일 부분을 에워싸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과 같이, 엔드 플레이트 조립체(130)는 부분 개방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센싱 어셈블리(120)의 외부 커넥터(C)와 입출력 단자 터미널(T)은 엔드 플레이트 조립체(13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외부 커넥터(C) 및 입출력 단자 터미널(T)과 외부 디바이스(미도시)와의 연결이 보다 수월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제1 엔드 플레이트(131)와 제2 엔드 플레이트(132)는 서로 용접(Weldding) 방식 내지 본딩(bonding)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엔드 플레이트(131)와 제2 엔드 플레이트(132)는 상호간 용접 또는 본딩될 수 있는 용접 부위(w1,w2)를 구비한다.
예컨대, 제2 엔드 플레이트(132)가 센싱 어셈블리(120) 조립체에 먼저 조립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엔드 플레이트(132)는 센싱 어셈블리(120)와 막대형 체결부재(140)에 의해 상호 결속될 수 있다.
그 다음, 제1 엔드 플레이트(131)를 다수의 카트리지 어셈블리(110)에 조립될 수 있다. 이때 제1 엔드 플레이트(131)의 용접 부위(w1)가 제2 엔드 플레이트(132)의 용접 부위(w2) 바깥쪽에 중첩 배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1 엔드 플레이트(131)와 제2 엔드 플레이트(132)의 용접 부위들(w1,w2)을 모두 용접함으로써 엔드 플레이트 조립체(130)를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하면, 제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132)와 다수의 카트리지 어셈블리(110) 및 센싱 어셈블리(120) 간의 밀착력이 증대되기 때문에 구성품들 간 유격이 줄어들 수 있다. 한편, 엔드 플레이트 조립체(130)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제조 공정이 까다로워질 수 있으며, 조립 완성도 측면에서도 제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132)를 별개로 제작한 다음 배터리 모듈(100) 조립 과정에서 이들을 용접 또는 본딩하는 것이 조립 공차를 줄이는데 유리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센싱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센싱 보드용 커버의 정면도, 도 6 및 도 7은 도 4의 센싱 보드용 커버의 전면 및 후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보드, 센싱 보드용 커버 및 제2 엔드 플레이트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그리고 도 9는 도 8의 결합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술한 센싱 어셈블리(120)의 구조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센싱 어셈블리(120)는 2개이고 다수의 카트리지 어셈블리(110)의 양쪽 측면부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2개의 센싱 어셈블리(120)는,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케이블과 같은 연결부재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을 기준으로 좌측편에 위치한 센싱 어셈블리(120)에는 외부 커넥터가 구비되어 있고 우측편에 위치한 센싱 어셈블리(120)에는 입출력 단자 터미널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사항을 제외하고 좌,우측편의 센싱 어셈블리(120)의 구조적 특징은 거의 동일하므로 우측편의 센싱 어셈블리(120)를 기준으로 좌측편의 센싱 어셈블리(120)에 대한 설명을 대체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센싱 어셈블리(120)는,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 보드(121)와 센싱 보드용 커버(122)를 포함한다.
센싱 보드(121)는 다수의 센싱 부재, 이를테면 이차 전지의 전극 리드(L)들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다수의 버스바와, 회로기판 및 외부 커넥터(C) 또는 입출력 단자 터미널(T) 등을 포함하는 조립체일 수 있다.
센싱 보드(121)는 다수의 카트리지 어셈블리(110)의 일 측면부를 모두 덮을 수 있는 크기로 마련되며 다수의 카트리지 어셈블리(110)와 착탈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센싱 보드(121)의 안쪽 면에는 이차 전지의 전극 리드(L)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다수의 버스바 및 회로기판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센싱 보드(121)의 바깥쪽 면의 상부에는 입출력 단자 터미널(T)을 위한 브라켓(121a)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21a)은,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 보드(121)의 바깥쪽 면에서 돌출된 형태로 마련되며,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브라켓 통공(121b)을 구비한다. 그리고 브라켓 하부에는 센싱 보드용 커버(122)가 장착될 수 있다. 이차 전지의 전극 리드(L)들은(도 3 참조) 입출력 단자 터미널을 기준으로 그 하부 영역에서 센싱 보드(121)와 직결되어 있다. 센싱 보드용 커버(122)는 이와 같이 전극 리드(L)와 직결되어 있는 센싱 보드(121)의 바깥쪽 부분에 완전히 감싸도록 장착될 수 있다.
센싱 보드용 커버(122)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센싱 보드(121)를 보호하는 구성으로, 센싱 보드(121)의 바깥쪽 둘레의 적어도 일 부분을 커버하는 판형 구조물이다. 또한, 센싱 보드용 커버(122)는 센싱 보드(121)를 보호함과 동시에 막대형 체결부재(140)를 끼우고 지지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한다.
센싱 보드용 커버(122)는 전기 절연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강화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물론, 센싱 보드용 커버(122)는 절연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기타의 재질로 제작되더라도 무방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센싱 보드용 커버(122)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통과홀(123)이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하나씩 2개가 형성된다. 그리고 센싱 보드용 커버(122)는 상기 2개의 통과홀(123)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호간 소정 간격을 두고 층상 배열되는 다수의 층상형 리브(124)와, 상기 2개의 통과홀(123) 사이에서 격자상 구조를 형성하는 다수의 격자형 리브(125)를 포함한다.
상기 2개의 통과홀(123)은 센싱 보드용 커버(122)의 높이 방향으로 속이 빈 원기둥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층상형 리브(124)는,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통과홀(123)의 원통형 외주면(126)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다수의 층상형 리브(124)는 통과홀(123)을 지지하여 통과홀(123)의 변형을 억제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격자형 리브(125)는 센싱 보드용 커버(122)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부분으로 가로 리브(125a)와 세로 리브(125b)가 서로 연결되어 격자상으로 엮여 있다. 예컨대, 격자형 리브(125)는 어느 하나의 가로 리브(125a)에 작용하는 하중을 세로 리브(125b)에 의해 다른 이웃한 격자형 리브(125)에 분배함으로써 충격 및 진동을 분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다수의 층상형 리브(124)와 격자형 리브(125)는 속이 꽉 찬 단순 솔리드(solid) 구조에 비해 중량이 더 적게 나가면서도 충격 분산 효과 및 기계적 강성이 더 뛰어날 수 있다. 특히, 센싱 보드용 커버(122)의 사이즈(size)가 커질수록 이와 같이 층상형 리브(124) 및 격자형 리브(125) 구조를 적용하여 센싱 보드용 커버(122)를 구성할 경우 경제적일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층상형 리브(124)와 격자형 리브(125)는 센싱 보드용 커버(122)의 전면과 후면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즉, 센싱 보드용 커버(122)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벽체(127)가 플레이트 형태로 얇게 형성되고 벽체(127)의 전면과 후면에서 층상형 리브(124)와 격자형 리브(125)가 돌출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센싱 보드용 커버(122)의 후면에는 온도측정 센서 장착용 소켓(128)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온도측정 센서(미도시)는 온도측정 센서 작착용 센서에 장착가능하게 구성되고 배터리 모듈(100)의 내부까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온도측정 센서에 의해 온도가 측정되면, 측정된 온도 정보는, 배터리 모듈(100) 외부의 BMS로 전달되어, 배터리 모듈(100)을 제어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어서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이러한 센싱 어셈블리(120)와 제2 엔드 플레이트(132)의 결합 구성에 대해 살펴본다.
센싱 보드용 커버(122)는 센싱 보드(121)에 아래에서 윗 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센싱 보드용 커버(122)의 상단면은 센싱 보드(121)의 브라켓 아랫단에 끼워질 수 있으며, 통과홀(123)과 브라켓 통공(121b)은 서로 연통된 위치에 놓일 수 있다.
도 8과 같이, 제2 엔드 플레이트(132)는 체결용 플랜지(133)를 구비한다. 그리고 통공(134)은 체결용 플랜지(133)에 형성된다. 제2 엔드 플레이트(132)는, 체결용 플랜지(133) 부분이 센싱 보드의 브라켓(121a) 상단을 걸쳐지도록 위에서 아랫 방향으로 센싱 어셈블리(12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체결용 플랜지(133)의 통공(134)과 센싱 어셈블리(120)의 통과홀(123)의 중심이 동축선 상에 위치되도록 한다.
한편, 막대형 체결부재(140)는 부싱(141)과 장볼트(142)를 포함할 수 있다. 부싱(141)은 속이 빈 파이프(pipe) 타입으로 금속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센싱 어셈블리의 통과홀(123)에 먼저 삽입되어 개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금속 재질의 부싱(141)을 통과홀(123)에 개재시킴으로써 이후에 장볼트(142) 체결시 유격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장볼트의 허용 인장 강도, 즉 조임 강도를 높이더라도 플라스틱 재질의 센싱 보드용 커버(122)의 파손을 방지하고 마운팅 부위의 기계적 강도를 강화시킬 수 있다.
장볼트(142)는 몸체가 상기 부싱(141)에 삽입되어 통과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그 끝단부는 통과홀(123)의 하부에서 너트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장볼트(142)는, 체결용 플랜지(133)의 통공(134)부다 큰 헤드 부분이 체결용 플랜지(133)를 가압함으로써, 센싱 어셈블리(120)와 제2 엔드 플레이트(132) 하나의 몸체로 결속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충격 및 진동에 취약한 센싱 보드(121) 부분이 센싱 보드용 커버(122) 및 제2 엔드 플레이트(132)에 의해 견고하게 보호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센싱 보드용 커버(122)는 다수의 층상형 리브(124) 및 격자형 리브(125)를 구비하여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고, 장볼트(142)가 체결되는 통과홀(123) 부분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과홀(123)에 금속 재질의 부싱(141)이 더 개재된 다음, 장볼트(142)에 의해 센싱 어셈블리(120)와 제2 엔드 플레이트(132)가 일체로 결속되고, 제2 엔드 플레이트와 제1 엔드 플레이트가 일체로 용접됨으로써 배터리 모듈을 구성하는 구성품들이 유기적으로 결속되어 하나의 강체로써 거동하기 때문에 배터리 모듈(100)의 내충격성이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이러한 배터리 모듈 이외에,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수납하기 위한 케이스, 배터리 모듈의 충방전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장치, 이를테면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전류 센서, 퓨즈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은 자동차에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전, 후와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가 사용된 경우, 이러한 용어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대상이 되는 사물의 위치나 관측자의 위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본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100: 배터리 모듈 110: 카트리지 어셈블리
111: 적층용 프레임 112: 냉각핀
120: 센싱 어셈블리 121: 센싱 보드
122: 센싱 보드용 커버 123: 통과홀
124: 층상형 리브 125: 격자형 리브
126: 원통형 외주면 130: 엔드 플레이트 조립체
131: 제1 엔드 플레이트 132: 제2 엔드 플레이트
133: 체결용 플랜지 134: 통공
140: 막대형 체결부재 141: 부싱
142: 장볼트 150: 베이스 플레이트
160: 절연시트 170: 냉각 플레이트
L: 전극 리드

Claims (14)

  1. 이차 전지와, 상기 이차 전지를 수납하는 적층용 프레임를 구비하며, 일 방향으로 적층 배열되는 다수의 카트리지 어셈블리;
    상기 다수의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적어도 일 측면부에 장착되고 상기 이차 전지의 전극 리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속부재를 구비한 센싱 보드와, 상기 센싱 보드를 보호하도록 상기 센싱 보드의 외측에 장착되는 센싱 보드용 커버와, 상기 센싱 보드용 커버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하나씩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2개의 통과홀을 구비하는 센싱 어셈블리; 및
    강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카트리지 어셈블리와 상기 센싱 어셈블리를 위에서 아래로 덮어씌운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센싱 어셈블리의 통과홀과 연통하는 통공을 구비하여, 상기 통공과 상기 통과홀에 막대형 체결부재가 끼워져 상기 센싱 어셈블리와 하나의 몸체로 조립되는 엔드 플레이트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 보드용 커버는, 상기 통과홀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호간 소정 간격을 두고 층상 배열되는 다수의 층상형 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보드용 커버는, 상기 2개의 통과홀 사이에서, 격자상 구조를 형성하는 다수의 격자형 리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층상형 리브 및 상기 격자형 리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센싱 보드용 커버의 전면과 후면에 모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어셈블리는 상기 다수의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좌측면부와 우측면부에 장착되며,
    상기 엔드 플레이트 조립체는
    상기 다수의 카트리지 어셈블리를 상면부, 전면부, 및 후면부를 일체로 에워싸는 형태로 마련된 제1 엔드 플레이트와, 상기 센싱 어셈블리를 에워싸는 형태로 마련된 한 쌍의 제2 엔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엔드 플레이트는 상기 센싱 어셈블리의 통과홀 상부에 위치되는 체결용 플랜지를 구비하며, 상기 통공은 상기 체결용 플랜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엔드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엔드 플레이트는 상호 간 용접 또는 본딩되는 용접 부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형 체결부재는,
    속이 빈 파이프 타입으로 상기 통과홀에 삽입되는 금속 재질의 부싱과, 상기 부싱을 통과하여 상기 엔드 플레이트 조립체와 상기 센싱 어셈블리를 하나의 몸체로 조립하는 장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어셈블리는, 상기 다수의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일 측면부 전체를 커버하도록 착탈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카트리지 어셈블리는, 전극 리드가 양 방향으로 돌출되는 이차 전지와, 상기 이차 전지를 수납하는 카트리지들을 일렬로 세워서 적층시킨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의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마련된 절연시트와, 열 전도성 금속 재질의 냉각 플레이트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13. 제1항 및 제4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14. 제1항 및 제4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20150155938A 2015-11-06 2015-11-06 내충격성이 향상된 배터리 모듈 Active KR102032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938A KR102032504B1 (ko) 2015-11-06 2015-11-06 내충격성이 향상된 배터리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938A KR102032504B1 (ko) 2015-11-06 2015-11-06 내충격성이 향상된 배터리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3429A KR20170053429A (ko) 2017-05-16
KR102032504B1 true KR102032504B1 (ko) 2019-11-08

Family

ID=59035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5938A Active KR102032504B1 (ko) 2015-11-06 2015-11-06 내충격성이 향상된 배터리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250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7909B1 (ko) * 2023-11-22 2024-03-15 신성에스티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용 엔드플레이트
KR102672157B1 (ko) * 2023-11-22 2024-06-05 신성에스티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용 엔드플레이트
KR102677972B1 (ko) * 2023-11-22 2024-06-25 신성에스티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용 엔드플레이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0276B1 (ko) 2017-06-16 2020-09-2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2041538B1 (ko) * 2017-11-10 2019-11-06 에스앤지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고정캡
KR102106448B1 (ko) * 2017-12-11 2020-05-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2277035B1 (ko) 2018-03-21 2021-07-1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CN110323372B (zh) 2018-03-29 2021-05-18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复合端板以及电池模组
KR102703855B1 (ko) * 2018-08-21 2024-09-05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46854B1 (ko) 2018-10-19 2024-03-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KR102717207B1 (ko) 2018-10-19 2024-10-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KR102640329B1 (ko) 2018-10-19 2024-02-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KR102646853B1 (ko) 2018-10-19 2024-03-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KR102640327B1 (ko) 2018-10-19 2024-02-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의 대형 모듈
KR102640328B1 (ko) 2018-10-19 2024-02-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의 대형 모듈
US11183729B2 (en) 2019-01-09 2021-11-23 Byd Company Limited Battery pack, vehicle and energy storage device
CN112026543B (zh) * 2019-01-09 2022-12-09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动力电池包、储能装置以及电动车
KR102416919B1 (ko) * 2019-02-26 2022-07-0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KR102754825B1 (ko) * 2019-10-10 2025-01-1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KR102802981B1 (ko) * 2019-11-08 2025-04-3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CN111106285A (zh) * 2019-12-24 2020-05-05 佛山市南霏精密铝配件制造有限公司 一种电池端板
KR20220020156A (ko) * 2020-08-11 2022-02-1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조립성이 개선된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220059678A (ko) * 2020-11-03 2022-05-1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2738589B1 (ko) * 2021-01-12 2024-12-0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편심 부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102798589B1 (ko) * 2021-01-14 2025-04-1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28094A1 (en) * 2010-07-27 2012-02-02 Yongsam Kim Battery pack
CN103201879B (zh) * 2010-11-22 2015-06-03 株式会社Lg化学 具有紧凑结构的电池组
KR101440402B1 (ko) * 2011-06-29 2014-09-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센싱 어셈블리용 체결홈과 단위셀 조립체용 고정 홈을 구비한 전지모듈
KR101642325B1 (ko) * 2013-10-17 2016-07-2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258973B1 (ko) * 2013-10-31 2021-06-02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센싱 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패키지
KR101743696B1 (ko) * 2013-11-29 2017-06-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1667519B1 (ko) * 2013-12-17 2016-10-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외부 입출력 단자를 형성하는 버스 바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7909B1 (ko) * 2023-11-22 2024-03-15 신성에스티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용 엔드플레이트
KR102672157B1 (ko) * 2023-11-22 2024-06-05 신성에스티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용 엔드플레이트
KR102677972B1 (ko) * 2023-11-22 2024-06-25 신성에스티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용 엔드플레이트
WO2025110323A1 (ko) * 2023-11-22 2025-05-30 신성에스티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용 엔드플레이트
WO2025110322A1 (ko) * 2023-11-22 2025-05-30 신성에스티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용 엔드플레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3429A (ko) 2017-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2504B1 (ko) 내충격성이 향상된 배터리 모듈
KR101305224B1 (ko)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JP6109314B2 (ja) バスバーアセンブリを含む電池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含む電池パック
EP2624334B1 (en) Battery pack having a compact structure
KR100948002B1 (ko) 중대형 전지모듈
EP3010072B1 (en) Battery pack
JP5784136B2 (ja) 新規構造を有するバスバーアセンブリ
KR101053208B1 (ko) 용접 신뢰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JP6019125B2 (ja) 信頼性が向上した電池モジュールアセンブリ及びこれを含む中大型電池パック
KR101276186B1 (ko) 전압 센싱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2058689B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1281811B1 (ko)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 전지팩
KR101799565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팩
EP2450980B1 (en) Battery module
JP7136998B2 (ja) カバー構造物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電子デバイス並びに自動車
US9419262B2 (en) Battery module
KR20150102632A (ko) 이차 전지 팩
JP7460777B2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それ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自動車、並びにバッテリーパックを製造する方法
KR101750487B1 (ko) 외부 입출력 단자 및 버스 바의 장착 수단을 포함하는 전지모듈
KR20120005727A (ko) 배터리 모듈
JP7318137B2 (ja) 取付座、電池および電気設備
JP7137020B2 (ja) 接続プレートを備える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電子デバイス並びに自動車
KR101667519B1 (ko) 외부 입출력 단자를 형성하는 버스 바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1477548B1 (ko) 콤팩트한 구조의 전지팩
KR102201333B1 (ko) 내부 텐션-바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0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6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11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5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0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0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