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1244B1 - A bike parking apparatus for unattended rental and storage - Google Patents
A bike parking apparatus for unattended rental and storag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31244B1 KR102031244B1 KR1020180018624A KR20180018624A KR102031244B1 KR 102031244 B1 KR102031244 B1 KR 102031244B1 KR 1020180018624 A KR1020180018624 A KR 1020180018624A KR 20180018624 A KR20180018624 A KR 20180018624A KR 102031244 B1 KR102031244 B1 KR 1020312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icycle
- locking
- support
- rented
- unattended
- Prior art date
Links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41000209140 Tritic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21307 Tritic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4 chro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 G06Q50/30—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2003/005—Supports or hold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bike rent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2700/00—Supports or stands for two-wheel vehicles
- B62H2700/005—Stands or support attached to bicycle pedals, stands or supports in combination with locking devices, stands to be used as luggage c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in-Freed Apparatuses For Hiring Articl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전거를 무인으로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하며, 특히 자전거를 보관시킬 때는 자전거의 바퀴를 잠금부의 측방향으로 정 위치시키는 거치부를 통해 자전거를 구속하는 잠금부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구성하고, 자전거를 대여할 경우에는 잠금부에 구속된 자전거의 구속해제와 더불어 거치부의 방향으로 자동 이탈시켜 보다 손쉽게 자전거를 대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cycle mounting apparatus that can be rented and stored in an unattended manner, and the bicycle can be rented and stored in an unattended manner, and in particular, when storing a bicycle, the bicycle is mounted through a mounting portion for positioning the wheel of the bicycle to the side of the locking part. It is configured to be easily coupled to the locking portion to restrain, and when renting a bicycle, the bicycle is more easily rented by releasing the restraint of the bicycle bound to the locking portion and automatically leaving in the direction of the mounting por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전거를 무인으로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하며, 특히 자전거를 보관시킬 때는 자전거의 바퀴를 잠금부의 측방향으로 정 위치시키는 거치부를 통해 자전거를 구속하는 잠금부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구성하고, 자전거를 대여할 경우에는 잠금부에 구속된 자전거의 구속해제와 더불어 거치부의 방향으로 자동 이탈시켜 보다 손쉽게 자전거를 대여할 수 있도록 한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cycle mounting apparatus that can be rented and stored unattended, and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rent and store a bicycle unattended, and in particular, when the bicycle is stored, the mount for positioning the wheels of the bicycle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locking part. It is designed to be easily combined with the locking part that restrains the bicycle through the unit.When renting a bicycle, the bicycle is easily released by releasing the restraint of the bicycle bound to the locking part and automatically leaving in the direction of the mounting part. It relates to a bicycle mounting apparatus that can be rented and stored unattended.
최근 교통량의 증가로 인한 만성적인 교통체증과 환경오염이 심해지는 도심지에서 친환경적이고 교통상황에 따른 제약을 크게 받지 않은 자전거 타기가 장려되고 있다.Recently, in urban areas where chronic traffic jam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are aggravated due to the increase in traffic volume, it is encouraged to ride bicycles that are eco-friendly and not significantly restricted by traffic conditions.
이러한 배경에서, 정부나 지역 관할 관공서는 자전거의 이용을 활성화시킬 목적으로 자전거 도로망의 정비 및 확대 작업과 병행하여 버스 터미널, 기차역, 백화점, 공공시설, 대규모 주택단지 등 대중이 이용하는 시설물 주변에 자전거를 대여, 보관할 수 있는 자전거 거치장치를 마련하고, 이를 기반으로 자전거의 이용을 증대하는 사업을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다.Against this backdrop, governments or local jurisdictions may use bicycles around public facilities such as bus terminals, train stations, department stores, public facilities, large housing complexes, etc. in parallel with the maintenance and expansion of bicycle road networks for the purpose of activating the use of bicycles. The company has established bicycle racks that can be rented and stored, and actively promotes the use of bicycles.
통상 자전거 거치장치는 교통수단을 바꾸어 이동하기 위한 아파트나 대중이 이용하는 시설에 주로 마련되므로 이용자가 많을 경우 자전거를 대여 또는 반납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자전거 거치장치가 혼잡하고, 이에 따라 이용자의 불편을 가중시키게 된다.Bicycle mounting devices are usually provided in apartments or facilities used by the public to change transportation means, so if the number of users is large, the bicycle mounting device is crowded due to the intensive rental or return of bicycles. Weighted.
또한 자전거 잠금장치로서 바퀴를 묶거나 바퀴 사이로 걸쇠를 통과시켜 잠금하는 장치가 제안되기도 했으나 자전거를 빼거나 집어 넣을 때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바퀴가 손상될 수 있고 이 때문에 자전거를 수리하여 지속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유지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In addition, as a bicycle lock, a device for locking the wheel by tying the wheel or passing the latch between the wheels has been proposed, but when the user removes or inserts the bicycle, the wheel may be damaged due to the carelessness of the user. The maintenance cost for this will increase.
이에 따라 자전거의 측방향에 자전거의 헤드스페이서를 구속하되, 자전거의 보관 및 대여를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자전거 거치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while the bicycle head restraint is constrained to the side of the bicycle, there is a demand for a bicycle mounting apparatus for easily storing and renting the bicycl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자전거를 보관시킬 때는 자전거의 바퀴를 잠금부의 측방향으로 정 위치시키는 거치부를 통해 자전거를 구속하는 잠금부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구성하고, 자전거를 대여할 경우에는 잠금부에 구속된 자전거의 구속해제와 더불어 거치부의 방향으로 자동 이탈시켜 보다 손쉽게 자전거를 대여할 수 있도록 한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storing the bicycle with the locking portion that restrains the bicycle through the mounting portion for positioning the wheel of the bicycle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locking portion. It is easy to combine, and when renting a bicycle, the bike restraint device can be rented and stored unattended so that the bicycle can be rented more easily by releasing the restraint of the bicycle bound to the locking part and automatically detaching in the direction of the mounting part. To provide.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자전거 바퀴를 진입시키는 거치부에 바퀴의 일정한 측면거리유지와 정지를 위한 스토퍼를 마련하여 자전거의 위치를 정 위치시키고, 자전거의 헤드스페이서를 신속하게 구속해제 할 수 있도록 한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opper for maintaining and stopping a constant side distance of the wheels to the bicycle into which the wheels are enter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bicycle can be correctly positioned, and the headspace of the bicycle can be quickly restrained. It is to provide a bicycle rack that can be rented and stored unmanned.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자전거가 진입하는 일측은 지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고 자전거 바퀴가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을 갖으며, 그 타측이 폐쇄되어 진입된 자전거 바퀴가 정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에 직각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자전거가 측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상기 자전거의 헤드스페이서가 측방향으로 진입할 수 있는 진입홈과, 상기 진입홈에 진입한 상기 헤드스페이스를 구속하도록 상기 진입홈의 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잠금고리가 내장되는 락킹부를 구비하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eature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invention relates to a bicycle mounting apparatus that can be rented and stored unattended, for which one side the bicycle enters is located at substantially the same height as the ground and bicycle wheels It has a space to enter, the other side is closed is configured to allow the bicycle wheels entered to stop; And an entry groove disposed in the mounting portion at a right angle to allow the bicycle to be inclined laterally and the head spacer of the bicycle to enter laterally, and to restrict the headspace entering the entry groove. And a locking unit including a locking unit in which a locking ring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of the inlet is provided.
제 2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락킹부는 상기 잠금고리의 구속이 해제되면 헤드스페이서를 락킹부의 바깥쪽으로 밀어내는 분리수단이 내장되어 상기 자전거를 락킹부에서 간섭없이 손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rst invention, when the locking portion of the locking ring is released, a separating means for pushing the head spacer to the outside of the locking portion is built so that the bicycle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locking portion without interference. It is characterized by.
제 3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락킹부는 헤드스페이서가 삽입되는 진입홈(221)을 중심으로 분기된 제 1지지대와, 제 2지지대로 구성되고, 상기 각 지지대 중 어느 하나는 잠금고리가 내장되어 헤드스페이서를 구속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hird invention is, in the first invention, the locking portion is composed of a first support branch and a second support centered around the
제 4발명은, 제 2발명에서, 상기 분리수단은 밀판과, 상기 밀판을 가동시키는 전동 액츄에이터로 구성되되, 상기 밀판의 표면에는 접촉센서가 구비되어 접촉에 의해 진입홈에 진입된 자전거를 감지하여 잠금고리를 자동으로 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ourth invention, in the second invention, the separating means is composed of a mill plate and an electric actuator for operating the mill plate, the surface of the mill plate is provided with a contact sensor to detect the bicycle entered the entry groove by contact It is characterized by automatically withdrawing the locking ring.
제 5발명은, 제 3발명에서, 상기 제 1지지대는 자전거의 바구니와 같은 부속물과의 간섭을 피해 상대적으로 작은 폭을 갖게 구성되고, 상기 제 2지지대는 상기 제 1지지대 보다 상대적으로 큰 폭을 갖게 구성되되, 내부에는 잠금고리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fth invention, in the third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support has a relatively small width avoiding interference with an accessory such as a basket of a bicycle, and the second support has a relatively larger width than the first support. It is configured to have, bu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ring is built in.
제 6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거치부는 일측은 지면과 맞닿고 타측은 지면에서 이격되게 형성되는 진입부와, 상기 진입부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자전거를 안착시키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서 상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자전거 바퀴를 정지시키는 정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ixth invention, in the first invention, the mounting portion is formed in which the one side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d the other side is spaced from the ground, the seating portion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entry portion to seat the bicycle, and the seating portion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stop to extend inclined upwardly to stop the bicycle wheel.
제 7발명은, 제 6발명에서, 상기 안착부는 자전거의 바퀴가 정지부에 밀착되면, 위치 이동방지를 위해 탄력적으로 승강되는 스토퍼를 갖되, 상기 스토퍼는 진행방향으로는 완만하게 상승되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후진방향으로는 수직면이 형성되어 바퀴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venth invention, in the sixth invention, the seating portion has a stopper that is elastically lifted to prevent position movement when the wheel of the bicycl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top, the stopper is formed inclined surface to rise gently in the traveling direc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surface is formed in the reverse direction to prevent the departure of the wheel.
제 8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잠금부는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관절부를 갖는 지주대와, 상기 지주대의 상단에 결합되는 락킹부로 구성되고, 상기 지주대에는 제어부와, 무선 또는 자전거에 형성된 접촉패널과의 밀착에 의해 송수신하는 송수신모듈과, 충전모듈이 통합된 통합패널이 다수의 탄력봉을 매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Eighth invention, in the first invention, the locking portion is composed of a holding post having a joint portion to enable height adjustment, and a locking portion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holding post, the holding post is in contact with the control unit, wireless or bicycle Transmitting and receiving module by close contact with the panel, and the integrated panel integrated with the charging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tallation via a plurality of elastic rods.
제 9발명은, 제 8발명에서, 상기 통합패널은 사용자의 단말기와, 자전거 관제센터와 무선으로 송수신되고, 상기 락킹부에는 표면에는 QR코드가 부착되어 구성되고,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지 않고 RFID 정회원카드로 자전거를 직접 대여할 수 있도록 RFID 카드리더기가 내장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ninth invention, in the eighth invention, the integrated panel is wirelessly transmitted and received to the user's terminal, the bicycle control center, and the locking portion is configured with a QR code attached to the surface, RFID user without using the user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RFID card reader is built so that you can rent a bike directly to the card.
제 10발명은, 제 3발명에서, 상기 제 2지지대는 잠금고리와 함께 진입홈의 안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자전거의 헤드스페이서를 가압할 수 있도록 락킹부의 내측으로 인출입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enth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third invention, the second support is mov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entrance groove with the locking ring to be drawn in and out of the locking portion to press the headspace of the bicycle.
제 11발명은, 제 10발명에서, 상기 제 2지지대는 단부에 제 1래크기어가 결합되고, 상기 락킹부의 내부에는 상기 제 1래크기어와 치형 결합되는 제 1피니언기어가 모터와 연결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leventh invention, in the tenth invention, the second support is coupled to the first rack gear at the end, and the first pinion gear is tooth-coupled with the first rack gear in the locking portion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motor. It is characterized by.
제 12발명은, 제 3발명에서, 상기 잠금고리는 부분적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링크연결부가 형성되고, 자유단에는 걸쇠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 1지지대의 내부에는 잠금고리의 걸쇠홈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후크를 갖는 걸림바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welfth invention, in the third invention, the locking ring is a link connecting portion is formed to be partially rotatable, the free end is formed with a latch groove, the interior of the first support is selectively coupled to the latch groove of the lock r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bar having a hook that is built.
제 13발명은, 제 12발명에서, 상기 걸림바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제 2피니언기어에 의해 위치가 이동될 수 있도록 표면에 제 2래크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바의 후크와 잠금고리의 걸쇠홈과의 결합에 의해 잠금고리를 진입홈의 안측 방향으로 회동시켜 자전거의 헤드스페이서를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thirteenth invention, in the twelfth invention, a second rack gear is formed on a surface of the locking bar to be moved by a second pinion gear that is rotated by a motor, and the hook and the locking ring of the locking ba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press the head spacer of the bicycle by rotating the locking ring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entry groove by coupling with the latch groove.
제 14발명은, 제 10발명 또는 제 13발명에서, 상기 제 1지지대는 잠금고리의 이동방향 또는 회동방향을 따라 키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ourteenth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tenth or thirteenth invention, the first support is formed with a keyhole along the moving or rotating direction of the locking ring.
본 발명의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에 따르면, 자전거의 바퀴를 잠금부의 측방향으로 정 위치시키는 거치부를 통해 자전거를 구속하는 잠금부와의 결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bicycle mounting apparatus which can be rented and stored unattende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easily coupling with the locking portion that restrains the bicycle through the mounting portion for positioning the wheel of the bicycle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locking portion.
또한 자전거를 대여할 경우에는 잠금부에 구속된 자전거를 구속해제와 더불어 밀판을 통해 거치부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보다 손쉽게 자전거를 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renting a bicycle, it is possible to rent a bicycle more easily by releasing the restraint of the bicycle bound to the locking part and moving it in the direction of the mounting part through a wheat plate.
또한 락킹부의 진입홈에 구속된 자전거의 헤드스페이서를 유동없이 가압하여 고정함으로써, 헤드스페이서의 유동으로 인해 잠금고리와의 충돌을 방지하고, 이는 결국 충돌로 인한 잠금고리의 파손과 헤드스페이서의 흠집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pressing and fixing the headspace of the bicycle bound to the entry groove of the locking portion without flow, to prevent the collision with the lock ring due to the flow of the headspace, which in turn prevents the breakage of the lock ring and scratches of the headspac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서 자전거의 구속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도 1에서 발췌된 락킹부의 세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의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의 무인 대여를 나타내는 락킹부의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의 무인 보관을 나타내는 락킹부의 작동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거치부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단면구성도,
도 9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락킹부의 세부 구성도에 따른 작동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bicycle mounting apparatus capable of unmanned rental and storag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showing a restraint state of a bicycle in FIG.
3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locking portion extracted in FIG.
Figure 4 is a block diagram of a bicycle holding apparatus that can be rented and stored unattend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operation of the locking unit showing the unmanned rental of the bicy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operation of the locking unit showing the unmanned storage of the bicy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ld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9 is an operation view according to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locking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The following objects,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ad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preferred embodiments associat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may be made thorough and complete, and to ful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illustrated herein also include complementary embodiments thereof.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the words 'comprise' and / or 'comprising'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In describing the specific embodiments below, various specific details are set forth in order to explain and understand the invention in more detail. However,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without these various specific contents. In some cases, it is mentioned in advance that parts of the invention which are commonly known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which are not highly related to the invention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avoid confusion in describing the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th respect to the bicycle mounting apparatus capable of unmanned rental and sto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자전거의 구속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발췌된 락킹부의 세부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의 블럭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bicycle mounting apparatus that can be rented and stored unattende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restraint state of the bicycle in Figure 1, Figure 3 is a lock extracted from Figure 1 4 is a block diagram of a bicycle mounting apparatus capable of unmanned rental and storag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전거를 무인으로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하며, 특히 자전거를 보관시킬 때는 자전거의 바퀴를 잠금부의 측방향으로 정 위치시키는 거치부를 통해 자전거를 구속하는 잠금부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구성하고, 자전거를 대여할 경우에는 잠금부에 구속된 자전거의 구속해제와 더불어 거치부의 방향으로 자동 이탈시켜 보다 손쉽게 자전거를 대여할 수 있도록 한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As shown in Figures 1 to 4,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renting and storing the bicycle unattended, in particular, when storing the bicycle to restrain the bicycle through the mounting portion for positioning the wheel of the bicycle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lock portion. It is designed to be easily combined with the lock, and when renting a bicycle, it can be rented and stored unattended, so that the bicycle can be rented more easily by releasing the restraint of the bicycle bound to the lock and automatically leaving in the direction of the mounting part. It relates to a bicycle mounting device.
이러한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300)는 크게 2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거치부(100) 및 잠금부(200)로 구성된다.Such unmanned rental and storage
상기 거치부(100)는 자전거(400)가 진입하는 일측은 지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고 자전거 바퀴가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을 갖으며, 그 타측이 폐쇄되어 진입된 자전거 바퀴가 정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이러한 거치부(100)는 파이프를 "U" 형태로 성형하여 자전거 바퀴(410)가 진입될 수 있도록 개방된 진입부(110)를 형성하고, 자전거 바퀴가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안착부(120)를 마련하며, 그 타측이 폐쇄되어 진입된 자전거 바퀴를 정지시키는 정지부(130)로 구성된다.The mounting
상기 거치부(100)는 자전거의 바퀴(410)를 잠금부(200)의 측방향으로 정(正) 위치시켜 자전거를 구속하는 잠금부(200)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기능한다.The mounting
한편, 상기 잠금부(200)는 상기 거치부(100)에 직각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자전거(400)가 측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상기 자전거(400)의 헤드스페이서(420)가 측방향으로 진입할 수 있는 진입홈(221)과, 상기 진입홈(221)에 진입한 상기 헤드스페이스(420)를 구속하도록 상기 진입홈(221)의 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잠금고리(241)가 내장되는 락킹부(220)를 구비하는 잠금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locking
여기서 상기 락킹부(220)는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지주대(210)는 잠금부(200)를 지면에 고정시켜 자전거의 높이에 따라 관절부(211)를 통해 높이가 조절되도록 이루어진다.Here, the locking
상술된 락킹부(220)는 헤드스페이서(420)가 삽입되는 진입홈(221)을 중심으로 분기된 2개의 제 1지지대(230)와, 제 2지지대(240)로 구성된다.The above-described
여기서 상기 제 1지지대(230)는 자전거의 바구니와 같은 부속물과의 간섭을 피해 상대적으로 작은 폭을 갖게 구성되어 자전거의 헤드스페이서(420)가 진입홈(221)에 원활이 삽입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Here, the
그리고 폭이 상대적으로 넓은 제 2지지대(240)에는 잠금고리(241)가 내장되고, 진입홈(221)의 내부로 헤드스페이서(420)가 진입되면 잠금고리(241)가 인출되어 헤드스페이서(420)를 구속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The
이때 상기 진입홈(221)의 안쪽면에는 분리수단이 내장되어 잠금고리(241)의 구속이 해제되면 헤드스페이서(420)를 진입홈(221)의 바깥쪽으로 밀어내어 자전거(400)를 락킹부(220)의 간섭없이 손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분리수단은 밀판(221a)과, 상기 밀판(221a)을 가동시키는 전동 액츄에이터(A)로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separation means is built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아울러 상기 밀판(221a)의 표면에는 접촉센서(221b)가 구비되며, 이는 헤드스페이서(420)가 접촉되면 진입홈(221)에 진입된 자전거(400)를 감지하여 잠금고리(241)가 자동으로 인출되어 헤드스페이서(420)를 구속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In addition, a
한편, 상기 제 2지지대(240)는 락킹부(220)의 내부로 인출입되게 구성된다. 이는 제 2지지대(240)가 잠금고리(241)와 함께 진입홈(221)의 안쪽방향으로 인입되어 자전거(400)의 헤드스페이서(420)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On the other hand, the
이때 폭이 좁은 일측에 형성된 제 1지지대(230)에는 잠금고리(241)의 이동방향을 따라 키홀(231)이 형성되어 잠금고리(241)가 진입홈(221)의 안쪽방향으로 이동시 간섭이 없도록 구성된다.In this case, a
여기서 상기 락킹부(220)의 내측으로 인출입되는 제 2지지대(240)는 단부에 제 1래크기어(240a)가 결합되고, 상기 락킹부(220)의 내부에는 상기 제 1래크기어(240a)와 치형 결합되는 제 1피니언기어(240b)가 모터(M)와 연결되게 구성할 수 있다.Here, the
이에 따라 밀판(221a)에 형성된 접촉센서(221b)가 헤드스페이서(420)의 진입홈(221) 진입을 감지하면 먼저 잠금고리(241)를 인출시켜 진입홈(221)을 Close시키고, 순차적으로 모터(M)가 제 1피니언기어(240b)를 회전시켜 제 1래크기어(240a)가 연결된 제 2지지대(240)를 락킹부(220)의 내부로 인입시키면, 상기 잠금고리(241)가 자전거(400)의 헤드스페이서(420)를 가압하여 고정시킨다.Accordingly, when the
이러한 구조는 진입홈(221)에 구속된 자전거의 헤드스페이서(420)를 안정적으로 구속하여 헤드스페이서(420)의 유동으로 인해 잠금고리(241)와의 충돌을 방지하고, 이는 결국 충돌로 인한 잠금고리(241)의 파손과 헤드스페이서(420)의 흠집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This structure stably restrains the
상기 지주대(210)에는 제어부(212)와, 무선 또는 자전거에 형성된 접촉패널(430)과의 밀착에 의해 송수신하는 송수신모듈과, 충전모듈이 통합된 통합패널(213)이 다수의 탄력봉(214)을 매개로 설치된다.The holding
여기서 상기 통합패널(213)은 탄력봉(214)의 탄성력에 의해 자전거의 접촉패널(430)과 밀착되는 구조이다. 이때 통합패널(213)은 사용자의 단말기(500)와, 자전거 관제센터(600)와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기능을 한다.Here, the
상기 통합패널(213)은 LTE, 블루투스, NB IoT(협대역 사물인터넷) 등 무선통신방신이다.The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500)는 자전거 대여 앱이 설치될 수 있다.And the
아울러 상기 자전거의 접촉패널(430)에는 2차전지(431)와, 자전거의 위치를 확인하는 GPS(432)가 탑재되어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아울러 상기 락킹부(220)에는 표면에는 QR코드(222)가 부착되어 구성되고, 또한 사용자 단말기(500)를 사용하지 않고 RFID 정회원카드로 자전거(400)를 직접 대여할 수 있도록 RFID 카드리더기(223)가 내장되어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의 작동에 관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briefly with respect to the operation of the bicycle mounting apparatus that can be rented and stored in accordance with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의 무인 대여를 나타내는 락킹부의 작동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의 무인 보관을 나타내는 락킹부의 작동도이다.5 is an operation of the locking unit showing the unmanned rental of the bicy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operation of the locking unit showing the unmanned storage of the bicy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자전거 무인 대여-Bicycle unmanned rental
먼저 도 4를 참고하면, 사용자는 단말기(500)의 인스톨된 앱을 실행하고, 잠금부(200)에 부착된 QR코드(222)를 스캔하여 자전거(400)를 선택한다.First, referring to FIG. 4, the user executes an installed app of the terminal 500 and scans the
사용자 단말기(500)와 통신하는 관제센터(600)는 사용자의 요금납부를 확인 후, 승인 명령을 잠금부(200)로 송신한다.The
그러면 관제센터(600)의 명령에 따라 상기 제어부(212)는 락킹부(220)의 잠금고리(241)를 OPEN시켜 자전거(400)를 대여할 수 있게 된다.Then, according to the command of the
만약 RFID 정회원카드 있을 경우에는 RFID 정회원카드를 락킹부(220)의 내장된 RFID 카드리더기로 인식한 후, 금액 차감후 자전거를 대여할 수 있다.If there is an RFID regular membership card, after recognizing the RFID regular membership card as the built-in RFID card reader of the
여기서 진입홈(221)의 OPEN 순서는 다음과 같다.Here, the OPEN sequence of the
먼저 도 5의 (a)와 같이, 잠금부(200)의 제어부(212)는 관제센터(600)의 명령에 따라 모터(M)를 가동하여 제 1피니언기어(240b)를 회전시킨다.First, as shown in FIG. 5A, the
그리고 도 5의 (b)와 같이, 제 1피니언기어(240b)가 회전되면 제 1피니언기어(240b)와 치형 결합된 제 1래크기어(240a)가 이동되고, 제 1래크기어(240a)가 이동됨에 따라 락킹부(220)의 내측으로 인입된 제 2지지대(240)는 락킹부(220)의 외측으로 인출된다.As shown in FIG. 5B, when the
그러면 제 2지지대(240)에 연결된 잠금고리(241) 역시 이동되어 잠금고리(241)가 가압하고 있던 자전거의 헤드스페이서(420)는 가압이 해제된다.Then, the
이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212)는 잠금고리(241)를 인입시켜 진입홈(221)을 OPEN하고, 이에 따라 헤드스페이서(420)는 구속이 해제된다.In this state, the
이후, 도 5의 (c)와 같이, 상기 제어부(212)는 액츄에이터(A)에 의해 밀판(221a)을 가동시켜 헤드스페이서(420)를 진입홈(221)의 바깥쪽으로 밀어내어 락킹부(220)에서 이탈시킨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5C, the
그러면 사용자는 자전거(400)를 손잡이로 잡고, 후진만으로 거치부(100)에서 자전거를 손쉽게 대여할 수 있게 된다.Then, the user can grab the
-자전거 무인 보관-Bicycle unattended storage
사용자는 단말기(500)로 앱을 실행한 후, 자전거 반납을 클릭하고 잠금부(200)의 락킹부(220)에 부착된 QR코드(222)를 스캔함으로써, 해당 잠금부(200)에 자전거를 반납하기 위한 의사 표시를 할 수 있다.After the user executes the app with the terminal 500, the user clicks the return of the bicycle and scans the
그러면 관제센터(600)는 해당하는 잠금부(200)와 통신하고, 도 6의 (a)와 같이, 제어부(212)는 락킹부(220)의 잠금고리(241)를 인입시켜 진입홈(221)을 개방시킨다.Then, the
사용자는 자전거 바퀴(410)를 거치부(100)에 안착시킨 후, 자전거(400)를 기울려 헤드스페이서(420)를 진입홈(221)에 진입시킨다.After seating the
도 6의 (b)와 같이, 상기 진입홈(221)에 헤드스페이서(420)가 진입되면, 밀판(221a)에 형성된 접촉센서(221b)가 자전거의 진입홈(221) 진입을 감지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6 (b), when the
그러면 상기 제어부(212)는 잠금고리(241)를 인출시킨 후, 도 6의 (c)와 같이, 모터(M)를 가동시켜 제 1피니언기어(240b)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제 1피니언기어(240b)와 맞물린 제 1래크기어(240a)의 이동에 의해 잠금고리(241)가 연결된 제 2지지대(240)는 락킹부(22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자전거(400)의 헤드스페이서(420)를 가압 고정시킨 후, 자전거(400)의 보관이 완료된다. Then, the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거치부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단면구성도이고, 도 9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락킹부의 세부 구성도에 따른 작동도이다.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unting por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7, Figure 9 is an operation view according to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locking par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상기 제 2실시예의 거치부(100)는 진입부(110)에 이물질이 쌓여 있을 경우, 자전거의 높이가 변화되어 자전거의 헤드스페이서(420)가 락킹부(220)의 위치에서 벗어나게 되는 문제가 발생 될 수 있다.In the mounting
이를 위해 도 7과 같이, 상기 거치부(100)는 다른 실시예로 플레이트를 성형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진입부(110)의 일측은 지면과 맞닿고 타측은 지면에서 이격되게 형성시키고, 상기 안착부(120)는 상기 진입부(110)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자전거(400)의 바퀴(410)를 안착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정지부(130)는 상기 안착부(120)에서 상향으로 경사지게 연장시켜 자전거 바퀴(410)를 정 위치에 정지되게 구성할 수 있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ure 7, the mounting
한편 상기 안착부(120)는 자전거의 바퀴(410)가 정지부(130)에 밀착되면, 자전거의 헤드스페이서(420) 위치가 잠금부(200)의 락킹부(220)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자전거(400)의 바퀴(410)가 안착부(120)에서 조금이라도 이동되면 락킹부(220)는 자전거(400)의 헤드스페이서(420) 위치에서 벗어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Meanwhile, when the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안착부(120)는 도 8과 같이, 자전거(400) 바퀴(410)의 위치 이동방지를 위해 탄성수단(140)에 의해 탄력적으로 승강되는 스토퍼(121)를 갖는 구성이다.In order to prevent this problem, the
이러한 스토퍼(121)는 진행방향으로는 완만하게 상승되는 경사면(121a)이 형성되어 자전거(400)의 바퀴(410)가 안착부(120)로의 진입을 용이하게 하고, 자전거(400)의 바퀴(410)의 후진방향으로는 수직면(121b)이 형성되어 자전거(400)를 힘으로 강제하지 않는 한 바퀴(410)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이는 결국, 상기 자전거(400)의 헤드스페이서(420)가 락킹부(220)의 정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아울러 상기 스토퍼(121)는 안착부(120)에 내장된 탄성수단(140)에 의해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자전거 바퀴(410)가 스토퍼(121)로의 진출입을 용이하게 해준다.In addition, the
또한 제 2실시예의 잠금고리(241)는 도 9의 (a)와 같이, 부분적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링크연결부(241a)가 형성되고, 자유단에는 걸쇠홈(241b)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이 때 제 1지지대(230)는 내부에는 잠금고리(241)의 걸쇠홈(241b)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후크(232a)를 갖는 걸림바(232)가 내장되어 구성된다. In this case, the
여기서 상기 걸림바(232)는 모터(M)에 의해 회전하는 제 2피니언기어(232c)에 의해 위치가 이동될 수 있도록 표면에 제 2래크기어(232b)가 형성된다.The locking
이에 따라 잠금고리(241)가 CLOSE 한 상태에서, 도 9의 (b)와 같이, 제 2피니언기어(232c)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2래크기어(232b)와 함께 걸림바(232)가 후진한다. 그러면 도 9의 (c)와 같이, 상기 걸림바(232)의 후크(232a)와 잠금고리(241)의 걸쇠홈(241b)과의 결합에 의해 잠금고리(241)를 진입홈(221)의 안측 방향으로 회동시켜 자전거의 헤드스페이서(420)를 가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Accordingly, in the state in which the
여기서 상기 잠금고리(241)는 링크연결부(241a)의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Here, the
또한 제 1지지대(230)에는 잠금고리(241)의 회동방향을 따라 키홀(231)이 형성되어 잠금고리(241)가 진입홈(221)의 안쪽방향으로 회동시 간섭이 없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a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Configurations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herein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equivalents that may be substituted for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ations and examples.
100: 거치부 110: 진입부 120: 안착부
121: 스토퍼 121a: 경사면
121b: 수직면 130: 정지부
140: 탄성수단
200: 잠금부 210: 지주대 211: 관절부
212: 제어부 213: 통합패널
214: 탄력봉 220: 락킹부
221: 진입홈 221a: 밀판
221b: 접촉센서 222: QR코드
223: RFID 카드리더기 230: 제 1지지대
231: 키홀 232: 걸림바
232a: 후크 232b: 제 2래크기어
232c: 제 2피니언기어 240: 제 2지지대
240a: 제 1래크기어 240b: 제 1피니언기어
241: 잠금고리 241a: 링크연결부
241b: 걸쇠홈
300: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
400: 자전거 410: 바퀴 420: 헤드스페이서
430: 접촉패널 431: 2차전지
432: GPS
500: 사용자 단말기 600: 관제센터
M: 모터 A:액츄에이터100: mounting portion 110: entry portion 120: seating portion
121:
121b: vertical surface 130: stop portion
140: elastic means
200: locking portion 210: holding table 211: joint portion
212: control unit 213: integrated panel
214: elastic rod 220: locking part
221:
221b: contact sensor 222: QR code
223: RFID card reader 230: the first support
231: keyhole 232: jam bar
232a:
232c: second pinion gear 240: second support
240a:
241: locking
241b: latch groove
300: bike rack for unmanned rental and storage
400: bicycle 410: wheel 420: headspacer
430: contact panel 431: secondary battery
432: GPS
500: user terminal 600: control center
M: Motor A: Actuator
Claims (14)
상기 거치부(100)에 직각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거치부(100)에 의해 바퀴(410)가 정지된 상기 자전거(400)가 측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상기 자전거(400)의 헤드스페이서(420)가 측방향으로 진입할 수 있게 개방된 진입홈(221)과, 상기 진입홈(221)에 진입한 상기 헤드스페이서(420)를 구속하도록 상기 진입홈(221)의 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잠금고리(241)가 내장되는 락킹부(220)를 구비하는 잠금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락킹부(220)는 헤드스페이서(420)가 삽입되는 진입홈(221)을 중심으로 분기된 제 1지지대(230)와, 제 2지지대(240)로 구성되고, 상기 각 지지대(230,240) 중 어느 하나는 잠금고리(241)가 내장되어 헤드스페이서(420)를 구속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지지대(230)는 자전거(400)에 장착된 부속물과의 간섭을 피해 상대적으로 작은 폭을 갖게 구성되고,
상기 제 2지지대(240)는 상기 제 1지지대(230) 보다 상대적으로 큰 폭을 갖게 구성되되, 내부에는 잠금고리(241)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
One side to which the bicycle 400 enters is positioned at substantially the same height as the ground and has a space for the bicycle wheels 410 to enter, and the other side is closed so that the bicycle wheels 410 entered may stop. Mounted cradle 100; And
The head spacer 420 of the bicycle 400 is inclined laterally while the bicycle 400 in which the wheel 410 is stopped by the mounting portion 100 is disposed at right angles to the mounting portion 100. Locking ring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entrance groove 221 and the entrance of the entry groove 221 to restrain the head spacer 420 entered into the entry groove 221 to enter laterally ( And a locking part 200 having a locking part 220 in which 241 is embedded.
The locking unit 220 is composed of a first support 230 and a second support 240 branched around the entry groove 221 into which the head spacer 420 is inserted, and among the supports 230 and 240. Any one is configured to lock the head ring 241 is built to constrain the head spacer 420,
The first support 230 is configured to have a relatively small width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accessory mounted on the bicycle 400,
The second support 240 is configured to have a relatively larger width than the first support 230, the bike holding device that can be rented and stored unattended,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ring 241 is built therein.
상기 락킹부(220)는 상기 잠금고리(241)의 구속이 해제되면 헤드스페이서(420)를 락킹부(220)의 바깥쪽으로 밀어내는 분리수단이 내장되어 상기 자전거(400)를 락킹부(220)에서 간섭없이 손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ocking unit 220 has a built-in separation means for pushing the head spacer 420 to the outside of the locking unit 220 when the restraint of the locking ring 241 is released to lock the bicycle 400. Unmanned rental and storage bike moun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easily separated without interference from.
상기 분리수단은 밀판(221a)과, 상기 밀판(221a)을 가동시키는 전동 액츄에이터(A)로 구성되되,
상기 밀판(221a)의 표면에는 접촉센서(221b)가 구비되어 접촉에 의해 진입홈(221)에 진입된 자전거(400)를 감지하여 잠금고리(241)를 자동으로 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separating means is composed of a compact plate (221a), and an electric actuator (A) for operating the compact plate (221a),
Unmanned rent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ct sensor 221b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wheat plate 221a to detect the bicycle 400 entered into the entry groove 221 by contact and automatically withdraw the lock ring 241. And bike storage device that can be stored.
상기 거치부(100)는 일측은 지면과 맞닿고 타측은 지면에서 이격되게 형성되는 진입부(110)와, 상기 진입부(110)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자전거 바퀴(410)를 안착시키는 안착부(120)와, 상기 안착부(120)에서 상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자전거 바퀴(410)를 정지시키는 정지부(1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ounting part 100 has an entrance part 110 which is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d the other side is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and a seating part which extends in parallel with the entrance part 110 to seat the bicycle wheel 410 ( 120 and the unmanned rental and storage of bicycle mount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top 130 for extending the inclined upward from the seating portion 120 to stop the bicycle wheel (410).
상기 안착부(120)는 자전거의 바퀴가 정지부(130)에 밀착되면, 위치 이동방지를 위해 탄력적으로 승강되는 스토퍼(121)를 갖되,
상기 스토퍼(121)는 자전거의 진행방향으로는 완만하게 상승되는 경사면(121a)이 형성되고, 자전거의 후진방향으로는 수직면(121b)이 형성되어 바퀴(410)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n the seating portion 1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heel of the bicycle to the stop 130, it has a stopper 121 which is elastically lifted to prevent the position movement,
The stopper 121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121a which rises gently in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bicycle, and a vertical surface 121b is formed in the reverse direction of the bicycle to prevent the wheel 410 from being separated. Bicycle rack for unattended rental and storage.
상기 잠금부(200)는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관절부(211)를 갖는 지주대(210)와, 상기 지주대(210)의 상단에 결합되는 락킹부(220)로 구성되고,
상기 지주대(210)에는 제어부(212)와, 무선 또는 자전거에 형성된 접촉패널(430)과의 밀착에 의해 송수신하는 송수신모듈과, 충전모듈이 통합된 통합패널(213)이 다수의 탄력봉(214)을 매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ocking portion 200 is composed of a holding pole 210 having a joint portion 211 to enable height adjustment, and a locking portion 220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holding pole 210,
The holding unit 210 has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by close contact with the control unit 212, the contact panel 430 formed on a wireless or bicycle, and the integrated panel 213 integrated with a charging module has a plurality of elastic rods ( 214) bike mounting device that can be rented and stored unattended,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through.
상기 통합패널(213)은 사용자의 단말기(500)와, 자전거 관제센터(600)와 무선으로 송수신되고,
상기 락킹부(220)에는 표면에는 QR코드(222)가 부착되어 구성되고, 사용자 단말기(500)를 사용하지 않고 RFID 정회원카드로 자전거(400)를 직접 대여할 수 있도록 RFID 카드리더기(223)가 내장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integrated panel 213 is wirelessly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user terminal 500 and the bicycle control center 600,
The locking unit 220 has a QR code 222 is attached to the surface, the RFID card reader 223 is able to directly rent the bicycle 400 with the RFID regular membership card without using the user terminal 500 Bicycle rental apparatus that can be rented and stored unattended, characterized in that the built-in configuration.
상기 제 2지지대(240)는 잠금고리(241)와 함께 진입홈(221)의 안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자전거(400)의 헤드스페이서(420)를 가압할 수 있도록 락킹부(220)의 내측으로 인출입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support 240 is moved to the inner side of the entrance groove 221 with the locking ring 241 to be drawn out to the inside of the locking portion 220 to press the head spacer 420 of the bicycle 400. Bicycle mounting apparatus that can be rented and stored unattended,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ucture of the entrance.
상기 제 2지지대(240)는 단부에 제 1래크기어(240a)가 결합되고, 상기 락킹부(220)의 내부에는 상기 제 1래크기어(240a)와 치형 결합되는 제 1피니언기어(240b)가 모터(M)와 연결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support gear 240a is coupled to an end of the second support 240, and the first pinion gear 240b is tooth-coupled with the first rack gear 240a in the locking part 220. ) Is a bike mounting device that can be rented and stored unattended, characterized in that the motor (M)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상기 잠금고리(241)는 부분적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링크연결부(241a)가 형성되고, 자유단에는 걸쇠홈(241b)이 형성되며,
상기 제 1지지대(230)의 내부에는 잠금고리(241)의 걸쇠홈(241b)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후크(232a)를 갖는 걸림바(232)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ocking ring 241 has a link connecting portion 241a is formed to be partially rotatable, the free end has a latch groove 241b is formed,
Unattended rental and storage is possible inside the first support 23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bar 232 having a hook 232a is selectively coupled to the latch groove 241b of the locking ring 241 is built in Bike mountings.
상기 걸림바(232)는 모터(M)에 의해 회전하는 제 2피니언기어(232c)에 의해 위치가 이동될 수 있도록 표면에 제 2래크기어(232b)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바(232)의 후크(232a)와 잠금고리(241)의 걸쇠홈(241b)과의 결합에 의해 잠금고리(241)를 진입홈(221)의 안측 방향으로 회동시켜 자전거의 헤드스페이서(420)를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The locking bar 232 has a second rack gear 232b is formed on the surface so that the position can be moved by the second pinion gear 232c rotated by the motor (M),
The locking ring 241 is rotated inwardly of the entrance groove 221 by coupling the hook 232a of the locking bar 232 and the latch groove 241b of the locking ring 241 to allow the bicycle head spacer ( 420) bike mounting device that can be rented and stored unattended,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pressurize.
상기 제 1지지대(230)는 잠금고리(241)의 이동방향 또는 회동방향을 따라 키홀(23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The method of claim 10 or 13,
The first support 230 is a bike mounting device that can be rented and stored unattended, characterized in that the key hole 231 is formed along the movement direction or rotation direction of the lock ring (24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8624A KR102031244B1 (en) | 2018-02-14 | 2018-02-14 | A bike parking apparatus for unattended rental and stora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8624A KR102031244B1 (en) | 2018-02-14 | 2018-02-14 | A bike parking apparatus for unattended rental and storag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31106A KR20190031106A (en) | 2019-03-25 |
KR102031244B1 true KR102031244B1 (en) | 2019-10-11 |
Family
ID=65907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18624A KR102031244B1 (en) | 2018-02-14 | 2018-02-14 | A bike parking apparatus for unattended rental and storag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31244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99566B1 (en) * | 2019-08-22 | 2021-01-07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 System of rack for electric scooter |
KR102462479B1 (en) * | 2020-08-19 | 2022-11-01 | 이재영 | Method for bicycle parking insurance servic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280077A (en) * | 2006-04-07 | 2007-10-25 | Amano Corp | Bicycle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
KR101298901B1 (en) * | 2013-03-12 | 2013-08-21 | 장춘만 | Bicycle parking strip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78815B1 (en) | 2009-04-30 | 2011-11-01 | 주식회사 이고 | Bicycle holder and rental system using same |
KR101730788B1 (en) * | 2015-07-21 | 2017-04-28 |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 Bicycle custody apparatus |
-
2018
- 2018-02-14 KR KR1020180018624A patent/KR10203124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280077A (en) * | 2006-04-07 | 2007-10-25 | Amano Corp | Bicycle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
KR101298901B1 (en) * | 2013-03-12 | 2013-08-21 | 장춘만 | Bicycle parking strip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31106A (en) | 2019-03-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336642B2 (en) | Shared-use bicycle systems | |
US20090201127A1 (en) | Bicycle securing system | |
ES2274597T3 (en) | MOTOR VEHICLE AND ITS KEY-CARD DEVICE. | |
US7471191B2 (en) | Automatic cycle storage system | |
KR102031244B1 (en) | A bike parking apparatus for unattended rental and storage | |
JP4857224B2 (en) | Locking device in pay parking system | |
KR100948573B1 (en) | Electronic bicycle locking device, operation system for rental bicycle | |
US20080034820A1 (en) | Automatic cycle storage system, a cycle for such a system, and a locking device for such a cycle | |
US20050284036A1 (en) | Bilevel bicycle storage system | |
KR101612286B1 (en) | Mathod and system of public bicycle rental | |
US10850792B2 (en) | Motorcycle with storage container | |
KR100921564B1 (en) | Door-style e-bike storage | |
TWI704069B (en) | Motorcycle and process for renting the same | |
KR20070061523A (en) | Bicycle auto storage system | |
EP3458314B1 (en) | Motorcycle with system of authorization control | |
CN114648838A (en) | Shared helmet storage cabine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KR101207802B1 (en) | Bicyle Locking Apparatus | |
KR101611140B1 (en) | Auto parking system for two-wheeled vehicle | |
KR101103954B1 (en) | Folding bike storage system | |
CN205721994U (en) | Intelligent parking management system for non-motor vehicles | |
IT201800007806A1 (en) | APPARATUS FOR THE RECOVERY OF VEHICLES SUCH AS BICYCLES, MOTORCYCLES OR MOPEDS | |
US8763817B1 (en) | Motorcycle stand with locking mechanism | |
CN107423776B (en) | Recovery box mechanism of transceiver | |
CN208248347U (en) | A kind of cycle frame | |
JPH0452796A (en) | Toll parking device for bicy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5R |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Early Opening Patent event code: PG15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305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3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30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0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10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