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8116B1 - Multi function working machine for managing of insect raising - Google Patents
Multi function working machine for managing of insect rais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28116B1 KR102028116B1 KR1020170119825A KR20170119825A KR102028116B1 KR 102028116 B1 KR102028116 B1 KR 102028116B1 KR 1020170119825 A KR1020170119825 A KR 1020170119825A KR 20170119825 A KR20170119825 A KR 20170119825A KR 102028116 B1 KR102028116 B1 KR 1020281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sect breeding
- support
- unit
- lower frame
- insec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41000238631 Hexapoda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8
- 238000009395 bree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1
- 230000001488 breed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0
- 230000002550 fe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9852 Cucurbita pepo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601 egg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571 hyd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703 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448 vitali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219122 Cucurbi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19104 Cucurbit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09140 Trit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07 Trit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41 food compon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17 food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8 larv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19 pet ca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152 poll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102 prot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22 unsaturated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70 unsaturated fatty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88594 vitam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31 vitam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30—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
- A01K67/033—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27/00—Animals characterised by species
- A01K2227/70—Invertebrates
- A01K2227/706—Insects, e.g. Drosophila melanogaster, medfl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곤충 사육을 위한 다기능 작업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곤충의 생육기간 동안 이루어지는 사육을 위한 다양한 관리 작업을 한곳에서 할 수 있는 곤충 사육용 다기능 작업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곤충 사육용 다기능 작업기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 상부에 설치되며, 곤충사육박스용 거치대 양단이 고정되는 거치부; 상기 하부프레임 상부에 설치되며, 곤충사육박스 내 배지충전, 사료공급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유닛; 상기 거치부에 설치되며, 상기 곤충사육박스에 진동을 부여하여 곤충의 분변토를 배출시키는 진동부; 상기 진동부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진동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working machine for insect breed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functional working machine for insect breeding, which can perform various management tasks for breeding made during the growth period of insects in one place.
Insect breeding multifunctional work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ower frame; It is installed on the lower frame, the cradle is fixed to both ends of the cradle for insect breeding box; A work unit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and performing a work such as filling a medium in a insect breeding box, feeding a feed; Vibration unit is installed in the cradle, and the vibration to the insect breeding box to discharge the fecal soil of the insect; And a driving unit installed below the vibrating unit and driving the vibrating unit.
Description
본 발명은 곤충 사육을 위한 다기능 작업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곤충의 생육기간 동안 이루어지는 사육을 위한 다양한 관리 작업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할 수 있는 곤충 사육용 다기능 작업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working machine for insect breed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functional working machine for insect breeding, which can perform various management tasks for breeding made during the growing period of insects through one device.
일반적으로 곤충은 학습·애완용, 화분매개용, 천적 및 환경정화용, 사료용, 식·약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In general, insects are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learning, pet care, pollination, natural enemies and environmental purification, feed, food and medicine.
특히,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FAO)는 번식이 빠르고 사료효율이 높으며, 단백질, 비타민 및 불포화지방산 등의 영양소 함량이 높은 식용곤충을 미래 식량난의 해결 대안으로 주목하고 있다.In particular, th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FAO) focuses on edible insects, which are fast breeding, high in feed efficiency, and high in nutrients such as proteins, vitamins and unsaturated fatty acids, as solutions to future food shortages. Doing.
우리나라는 2014년 처음으로 밀웜이라 불리는 고소애(갈색거저리 유충)가 식품원료로 인정받은 이후, 현재 누에번데기, 메뚜기, 꽃벵이(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장수애(장수풍뎅이 유충) 등 7종류가 식용곤충으로 지정되어 유통되고 있다.In Korea, seven kinds of gourds (brown gourd larvae) called wheat worms were recognized as food ingredients for the first time in 2014. It is designated as an edible insect and is distributed.
식용곤충이 대체 식량원 및 새로운 고소득 작목으로 각광받으면서 글로벌 곤충시장 규모는 연평균 6% 이상 성장하고 있으며, 전문가들은 이러한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As edible insects are spotlighted as alternative food sources and new high-income crops, the global insect market is growing at an annual average of over 6%, and experts expect this growth to continue.
또한, 2016년 말 우리나라의 곤충 사육 농가는 1261가구로 전년도 대비 74.2% 증가했다. In addition, at the end of 2016, the number of insect farms in Korea was 1261 households, up 74.2% from the previous year.
이러한 곤충 산업의 동향을 반영하여 산업적인 사육 시설 및 사육 방법에 관하여 다양한 기술 개발 및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Reflecting the trend of the insect industry, various technical developments and continuous researches are being conducted on industrial breeding facilities and breeding methods.
반면, 곤충의 사육을 위해서는 곤충의 생육기간 동안 배지 충전, 사료 공급, 곤충충알 입식, 수분 공급, 분변토 털이 및 배출, 관찰, 수확 및 세척 등의 관리가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for the breeding of insects, the management of the filling, feeding, feeding insect insects, hydration, fecal hair and discharge, observation, harvesting and washing is performed during the growth of the insect.
종래에는 곤충의 대량 사육을 위해 곤충사육박스를 다단선반에 적치하여 사육하기 때문에 관리 작업을 위해 곤충사육박스를 선반에서 내려서 필요한 작업 수행한 후 제자리에 올려놓기를 반복해야 한다. Conventionally, because the insect breeding box is placed on a multi-stage breeding farm for mass breeding of insects, the insect breeding box needs to be removed from the shelf for maintenance work and then put in place.
이러한 반복작업을 위해서는 과다한 노동이 요구되며, 고밀도 대량 사육을 통한 경제성 구현이 불가능하여 고원가 저품질 생산을 야기한다. This repetitive work requires excessive labor, and the highlands cause low quality production because economic feasibility is impossible through high-density mass breeding.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3611호는 왕반날개 사육상자 거치대 및 왕반날개 대량사육시스템 관련 기술을 공지하였으나, 배지충전, 사료 및 수분공급, 분변토 분리 및 인출, 수확, 세척 등의 작업을 위해 거치대에 수용된 왕반날개 사육상자를 꺼내어 별도의 작업장소로 이동시켰다가 작업 후 다시 거치시키는 것을 반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23611 discloses the technology related to the half-wing breeding box holder and the half-wing mass breeding system. Take out the half-wing breeding box accommodated in the move to a separate work place there is a problem that must be repeated after mounting again.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53352호는 애벌레 대량 사육 장치에 관련 기술을 공지하였으나, 사육을 위한 관리 작업 수행 시 장치에서 복수의 사육통을 꺼내어 작업을 진행해야 하며 작업 이후 장치 내에 재거치시켜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753352 discloses a related technology to a mass larval breeding device, but when carrying out management work for breeding, it is necessary to take out a plurality of breeding barrels from the device and proceed with the work, and to reposition it in the device after the work. There is thi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곤충의 생육기간 동안 이루어지는 배지충전, 사료공급, 곤충알 입식, 수분공급, 분변토 분리 및 인출, 수확, 세척 등의 다양한 작업을 하나의 작업기에서 할 수 있도록 곤충 사육용 다기능 작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various operations such as filling the medium, feeding, insect eggs stocking, water supply, fecal soil separation and withdrawal, harvesting, washing during the growth period of insects It is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working machine for insect breeding so that it can be done in one working machine.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 상부에 설치되며, 곤충사육박스용 거치대 양단이 고정되는 거치부; 상기 하부프레임 상부에 설치되며, 곤충사육박스 내 배지충전, 사료공급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유닛; 상기 거치부에 설치되며, 상기 곤충사육박스에 진동을 부여하여 곤충의 분변토를 배출시키는 진동부; 상기 진동부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진동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곤충 사육용 다기능 작업기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lower frame; It is installed on the lower frame, the cradle portion is fixed to both ends of the cradle for insect breeding box; A work unit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and performing a work such as filling a medium in a insect breeding box, feeding a feed; Vibration unit is installed in the cradle, and the vibration to the insect breeding box to discharge the fecal soil of the insect; It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vibrating unit, it may provide a multi-functional work machine for insect breeding including a drive unit for driving the vibrating unit.
상기 거치부는 상기 하부프레임 일측 및 대응하는 타측 상부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며 중앙부에 거치홀이 형성되는 거치지지대와, 상기 거치지지대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배열전환이 가능한 사육박스 거치봉 양단의 고정이 가능한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unting portion is installed vertically on the lower side of the lower side and the corresponding other side, respectively, and the mounting support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mounting support, the mounting support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breeding box mounting rods can be fixed at both end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edestal.
상기 작업유닛은 상기 하부프레임 일측 및 대응하는 타측 상부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는 유닛지지대와, 일단은 일측에 설치된 상기 유닛지지대 상단에 설치되며 타단은 대응하는 타측에 설치된 상기 유닛지지대 상부에 설치되는 레일과, 하부에 상기 레일을 따라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레일바퀴가 설치되는 작업호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ork unit is a unit support which is installed vertically on the lower side of one side and the corresponding upper side, respectively, one end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unit support installed on one side and the other end is a rail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unit support installed on the other side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ork hopper rail rail is installed to enable horizontal movement along the rail at the bottom.
상기 유닛지지대는 상기 하부프레임 상부에 설치되면서 형성되는 고정축을 중심으로 좌우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nit suppor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eft and right rotation around the fixed shaft formed while being installed on the lower frame.
상기 진동부는 상기 거치지지대 내측에 설치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에 설치되는 걸이에 의해 상기 지지봉 하부에 설치되며 회동축을 중심으로 절첩이 가능한 진동장치지지대와, 상기 진동장치지지대 양단에 설치되며 철망 관통용 돌기가 형성되는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 하부에 설치되는 진동자를 구비하는 진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ibrating unit is installed on the support rod and the support rod is installed inside the support rod, the support rod is install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rod by a hook installed around the rotating shaft, and installed on both ends of the vibration device support, and penetrated through the wire mesh And a vibrating device including a vibrating plate on which a dragon protrusion is formed and a vibrator provided below the diaphragm.
상기 구동부는 양단이 상기 거치홀에 관통되어 설치되는 캠샤프트와, 상기 진동장치지지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캠샤프트 외주면에 설치되는 편심캠과, 상기 캠샤프트 양단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를 회동시키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ive unit has a cam shaft having both ends penetrated through the mounting hole, an eccentric cam installed at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m shaft so as to be located inside the vibration device support, and a handl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cam shaft and pivoting the drive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거치홀 내주면에 위치하는 상기 캠샤프트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합되도록 상기 거치홀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pinion gear install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m shaft loca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unting hole, and a rack gear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unting hole to be engaged with the pinion gear.
상기 곤충 사육용 다기능 작업기는 상기 구동부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진동장치에 의해 낙하되는 분변토를 작업기 일측에 모을 수 있는 분변토 인출 컨베이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sect breeding multifunctional work machine is installed below the drive unit, and further comprises a fecal soil take-out conveyor that can collect fecal soil dropped by the vibrating device on one side of the work machine.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곤충의 생육기간 동안 이루어지는 배지충전, 사료공급, 곤충알 입식, 수분공급, 분변토 분리 및 인출, 수확, 세척 등의 다양한 작업을 하나의 작업기에서 할 수 있으며, 곤충 사육을 위한 관리 작업의 생력화(省力化)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can achieve the following effects: various operations such as filling the medium, feeding, insect eggs stocking, hydration, separation and withdrawal of fecal soil during the growing period of insects, harvesting, washing, etc. It can be done in one working machine, and the vitalization of the management work for insect breeding can be aimed a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곤충 사육용 다기능 작업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곤충 사육용 다기능 작업기의 거치부에 곤충사육박스용 거치대가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부의 구동을 도시한 단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functional working machine for insect bree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radle for the insect breeding box mounted on the cradle of the multifunctional working device for insect bree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riving of the vibr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Regardless of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and “and / 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items mentioned.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mentioned components.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used in a sense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addition, the terms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they are specifically defined clearl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곤충 사육용 다기능 작업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곤충 사육용 다기능 작업기의 거치부에 곤충사육박스용 거치대가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functional working device for insect bree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radle for an insect breeding box is mounted on a cradle of a multifunctional working device for insect bree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p view.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곤충 사육용 다기능 작업기는 하부프레임(10), 거치부(20), 작업유닛(30), 진동부(40), 구동부(5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 1 to 2, multi-functional work machine for insect breeding includes a
상기 하부프레임(10)는 상기 곤충 사육용 다기능 작업기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곤충 사육용 다기능 작업기 하부의 받침대 역할을 한다.The
상기 하부프레임(10)은 상기 곤충 사육용 다기능 작업기를 안정되게 받침하여 지탱하기 위해서 사각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복수의 단위프레임의 각 단부를 브라켓(미도시)을 이용하여 결합시키거나 용접을 통해 접합시킨다.The
상기 곤충 사육용 다기능 작업기는 복수의 곤충사육박스가 수직으로 배열 및거치된 곤충사육박스용 거치대를 수평으로 전환시켜 곤충의 생육기간에 이루어지는 다양한 관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므로, 상기 하부프레임(10) 상부에는 곤충사육박스가 거치된 거치대를 수평으로 거치시켜 지지할 수 있는 상기 거치부(20)가 설치된다.The multifunctional working device for insect breeding is a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various management tasks made in the growth period of insects by horizontally switching a cradle for insect breeding boxes in which a plurality of insect breeding boxes are arranged and arranged vertically, the lower frame ( 10) In the upper portion is provided with a
상기 거치부(20)는 하부프레임(10) 일측 및 대응하는 타측 상부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는 거치지지대(22)를 포함한다.The
상기 거치지지대(22) 중앙부에는 거치홀(23)이 형성되며, 상기 거치홀(23)에 대해서는 상기 구동부(50)에 대한 설명에서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A
상기 거치지지대(22) 상단에는 곤충사육박스용 거치대 양단의 고정이 가능한 받침대(26)가 결합된다. 상기 받침대(26)는 원기둥 형태의 상기 곤충사육박스용 거치대의 거치가 용이하도록 U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상기 작업유닛(30)은 상기 곤충사육박스 내 배지충전, 사료공급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로서, 상기 하부프레임(10) 상부에 설치되며, 유닛지지대(32), 레일(34), 작업호퍼(36)을 포함한다.The
상기 유닛지지대(32)는 상기 하부프레임(10) 일측 및 대응하는 타측 상부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작업유닛(30)의 지지대 역할을 한다.The
상기 레일(34)는 상기 작업호퍼(36) 이동하는 작업로의 역할을 하며, 상기 레일(34)의 일단은 일측에 설치된 상기 유닛지지대(32) 상부에, 타단은 대응하는 타측에 설치된 상기 유닛지지대(32) 상부에 각각 설치된다.The
상기 레일(34) 상측에는 하부에 레일바퀴(37)가 설치된 작업호퍼(36)가 설치되어 상기 레일(34)을 따라 수평이동을 함으로써, 상기 곤충사육박스 내 배지충전, 사료공급을 수행한다.The upper side of the
단, 상기 작업호퍼(36)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은 하향식이므로 레일(34)은 상기 받침대(26)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야 하므로, 상기 유닛지지대(32)는 상기 거치지지대(22)보다 길이가 길어야 한다.However, since the work performed in the
또한, 상기 곤충사육박스용 거치대가 거치부(20)에 고정 시, 용이성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유닛지지대(32)는 상기 하부프레임(10) 상부에 설치되면서 형성되는 고정축을 중심으로 좌우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다.In addition, when the insect breeding cradle holder is fixed to the
반면, 작업호퍼(36)는 일면에 롤러(38)를 추가로 구비하여 배지 및 사료의 균일한 공곱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작업호퍼(36)의 작동은 모터(미도시)에 이루어지며, 이는 곤충 사육을 위한 관리 작업의 생력화(省力化)를 도모할 수 있다.The operation of the
상기 진동부(40)는 상기 거치부(20)에 설치되며, 상기 곤충사육박스에 진동을 부여하여 곤충의 분변토를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vibrating
상기 진동부(40)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거치대지지대(22) 내측에 지지봉(42)이 설치되며, 상기 지지봉(42)에 걸이(43)를 이용하여 진동장치지지대(44) 및 진동장치(46)가 설치된다.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상기 진동장치지지대(44)는 회동축을 중심으로 절첩이 가능하다. The
상기 회동축의 결합 시, 상기 걸이(43) 일단을 회동축 중앙부에 설치되며, 상기 걸이(43)의 타단은 상기 지지봉(42)에 고정 설치된다.When the pivot shaft is coupled, one end of the hook 43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pivot shaft, and the other end of the hook 43 is fixed to the
상기 진동장치(46)는 상기 진동장치지지대(44) 양단에 설치되며, 진동판(47)과 진동자(48)을 구비한다.The
상기 진동판(47) 상면에는 상기 곤충사육박스 바닥면에 설치된 철망을 관통하여 고정할 수 있는 관통용 돌기(47a)가 형성된다.An upper surface of the
상기 진동자(48)는 상기 진동판(47)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곤충사육박스에 부여되는 진동을 발생시킨다.The
반면, 상기 구동부(50)는 상기 진동부(40)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진동부(40)를 직접적으로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On the other hand, the driving
상기 구동부(50)가 상기 진동부(40) 하측에 설치되기 위해서는, 상기 구동부(50)의 중심축이 되는 캠샤프트(52) 양단이 상기 거치홀(23)에 관통·설치되어야 한다.In order for the driving
상기 캠사프트(52) 외주면에는 편심캠(56)이 설치되는데, 상기 편심캠(56)은 상기 진동장치지지대(44) 내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An
또한, 손잡이(58)가 상기 캠샤프트(52)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50)를 회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
다시 말해,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58)를 회동시켜 상기 캠샤프트(52)를 상향 또는 하향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편심캠(56)의 위치에 따라 상기 진동장치지지대(44)의 펼쳐짐 각도가 바뀌게 된다. 보다 상세한 구동부(50)에 의한 진동부(40) 구동 대해서는 도 3에 대한 설명에서 더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In other words, the operator can rotate the
이때, 상기 캠샤프트(52) 외주면에는 피니언기어(54)이 형성되며 상기 거치홀(23)은 내주면을 따라 상기 피니언기어(54)와 치합되도록 랙기어(24)가 형성되어, 분변토 털이 작업 시, 상기 진동장치지지대(44)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캠샤프트(52)의 고정이 용이하도록 한다.At this time, a
상기 진동부(40)에 의해 낙하되는 분변토를 작업기 일측에 모을 수 있는 분변토 인출 컨베이어(60)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분변토 인출 컨베이어(60) 일측에 분변토 수거 상자(62)를 별도로 구비하여 청결한 작업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A fecal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부의 구동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a는 진동장치지지대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b는 캠샤프트 이동에 의해 진동장치지지대 접혀지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c는 캠샤프트 이동에 의해 진동장치지지대가 최대로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riving of the vibr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ibrator support is fully deployed, Figure 3b is a state in which the vibrator support is folded by the cam shaft movement. 3C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ibrator support is folded to the maximum by camshaft movement.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심캠(56)은 상기 진동장치지지대(44)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편심캠(56)의 위치에 따라 상기 진동장치지지대(44)의 펼쳐짐 각도가 바뀌게 된다.As shown in FIG. 3, the
도 3a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상기 편심캠(56)의 완만한 외주면이 상기 진동장치지지대(44) 내측면에 맞닿을 경우, 상기 진동장치지지대(44)는 완전히 펼쳐져 상기 진동장치(46)의 진동판(47)이 상기 곤충사육박스의 철망과 결합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3A, when the gentl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이때, 상기 캠샤프트(52)에 형성된 피니언기어(54)는 상기 거치홀(23) 내주면 최상단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도 3b와 도3c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상기 캠샤프트(52)가 하향 이동하면서 상기 편심캠(56)은 상기 진동장치지지대(44) 내측면과 점차 분리되며, 상기 진동장치지지대(44)는 접히게 된다.3B and 3C, as the
상기 진동장치지지대(44)가 접혀짐에 따라 상기 곤충사육박스의 철망과 결합된 상기 진동판(47)은 분리된다.As the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You will understand that.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10 : 하부프레임
20 : 거치부
22 : 거치지지대
23 : 거치홀
24 : 랙기어
26 : 받침대
30 : 작업유닛
32 : 유닛지지대
34 : 레일
36 : 작업호퍼
37 : 레일바퀴
40 : 진동부
42 : 지지봉
43 : 걸이
44 : 진동장치지지대
46 : 진동장치
47: 진동판
47a : 철망 관통용 돌기
48 : 진동자
50 : 구동부
52 : 캠샤프트
54 : 피니언기어
56 : 편심캠
58 : 손잡이
60 : 컨베이어
62 : 분변토 수거 상자10: lower frame
20: holder
22: mounting support
23: mounting hole
24: rack gear
26: pedestal
30: work unit
32: unit support
34: rail
36: work hopper
37: rail wheel
40: vibrating part
42: support rod
43: hanger
44: vibrator support
46: vibration device
47: diaphragm
47a: Wire penetrating protrusion
48: vibrator
50: drive unit
52: camshaft
54: pinion gear
56: eccentric cam
58: handle
60: conveyor
62: Fecal Soil Collection Box
Claims (8)
하부프레임(10);
상기 하부프레임(10) 상부에 설치되며, 곤충사육박스용 거치대 양단이 고정되는 거치부(20);
상기 하부프레임(10) 상부에 설치되며, 곤충사육박스 내 배지충전, 사료공급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유닛(30);
상기 거치부(20)에 설치되며, 상기 곤충사육박스에 진동을 부여하여 곤충의 분변토를 배출시키는 진동부(40);
상기 진동부(40)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진동부(4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50);를 포함하는 곤충 사육용 다기능 작업기.In the multifunctional work machine for insect breeding,
Lower frame 10;
It is installed on the lower frame 10, the cradle 20 is fixed to both ends of the cradle for insect breeding box;
A work unit 30 installed above the lower frame 10 and performing a work such as filling a medium in the insect breeding box, feeding the feed;
Vibration unit 40 is installed in the mounting portion 20, to impart a vibration to the insect breeding box to discharge the fecal soil of the insect;
Multifunctional working machine for insect breeding comprising a; is installed below the vibrator 40, the drive unit 50 for driving the vibrator (40).
상기 거치부(20)는,
상기 하부프레임(10) 일측 및 대응하는 타측 상부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며 중앙부에 거치홀(23)이 형성되는 거치지지대(22)와,
상기 거치홀(23)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랙기어(24)와,
상기 거치지지대(22) 상단에 결합되며 곤충사육박스용 거치대 양단의 고정이 가능한 받침대(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사육용 다기능 작업기.The method of claim 1,
The mounting portion 20,
A mounting support 22 installed vertically on one side of the lower frame 10 and a corresponding upper side of the lower frame 10 and having a mounting hole 23 formed in a central portion thereof;
A rack gear 24 formed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unting hole 23;
Coupled to the top of the mounting support (22), multifunctional working device for insect breed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edestal (26) fixed to both ends of the cradle for insect breeding box.
상기 작업유닛(30)은,
상기 하부프레임(10) 일측 및 대응하는 타측 상부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는 유닛지지대(32)와,
일단은 일측에 설치된 상기 유닛지지대(32) 상단에 설치되며 타단은 대응하는 타측에 설치된 상기 유닛지지대(32) 상부에 설치되는 레일(34)과,
하부에 상기 레일(34)을 따라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레일바퀴(37)가 설치되는 작업호퍼(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사육용 다기능 작업기.The method of claim 1,
The work unit 30,
A unit support 32 installed vertically on one side of the lower frame 10 and a corresponding upp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10;
One end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unit support 32 installed on one side and the other end is a rail 34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unit support 32 installed on the other side,
Multifunctional work machine for insect breed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ork hopper (36) is installed rail wheels (37) to be horizontally moved along the rail (34) at the bottom.
상기 유닛지지대(32)는,
상기 하부프레임(10) 상부에 설치되면서 형성되는 고정축을 중심으로 좌우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사육용 다기능 작업기.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unit support 32,
Multifunctional work machine for insect bree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left and right rotation around the fixed shaft formed while being installed on the lower frame (10).
상기 진동부(40)는,
상기 거치부(20) 내측에 설치되는 지지봉(42)과,
상기 지지봉(42)에 설치되는 걸이(43)에 의해 상기 지지봉(42) 하부에 설치되며 회동축을 중심으로 절첩이 가능한 진동장치지지대(44)와,
상기 진동장치지지대(44) 양단에 설치되며, 곤충사육박스 바닥면에 설치된 철망을 관통하여 고정할 수 있는 관통용 돌기(47a)가 형성된 진동판(47)과 상기 진동판(47) 하부에 설치되는 진동자(48)를 구비하는 진동장치(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사육용 다기능 작업기.The method of claim 1,
The vibration unit 40,
Support rod 42 is installed inside the mounting portion 20,
A vibrator support 44 installed below the support rod 42 by a hook 43 installed on the support rod 42 and capable of being folded around the pivot shaft;
Vibrators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vibrating device support 44, the diaphragm 47 and a vibrator installed under the diaphragm 47 formed with a penetrating protrusion 47a that can be fixed through the wire mesh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insect breeding box. Multifunctional working machine for insect breed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vibration device (46) having a (48).
상기 구동부(50)는,
양단이 상기 거치부(20)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외주면에 피니언기어(54)가 설치된 캠샤프트(52)와,
상기 진동부(40)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캠샤프트(52) 외주면에 설치되는 편심캠(56)과,
상기 캠샤프트(52)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50)를 회동시키는 손잡이(5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사육용 다기능 작업기.The method of claim 1,
The drive unit 50,
Both ends are installed through the mounting portion 20, the cam shaft 52, the pinion gear 54 is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 eccentric cam 56 positioned below the vibrator 40 and install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m shaft 52;
Multifunction working machine for insect breed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andle 58 is installed on both ends of the cam shaft 52 to rotate the drive unit (50).
상기 구동부(50)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진동부(40)에 의해 낙하되는 분변토를 작업기 일측에 모을 수 있는 분변토 인출 컨베이어(6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사육용 다기능 작업기.The method of claim 1,
The multifunctional work machine for insect breeding, which is installed below the drive unit 50 and further comprises a fecal soil take-out conveyor 60 which collects fecal soil dropped by the vibrator 40 on one side of the work machin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19825A KR102028116B1 (en) | 2017-09-18 | 2017-09-18 | Multi function working machine for managing of insect rais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19825A KR102028116B1 (en) | 2017-09-18 | 2017-09-18 | Multi function working machine for managing of insect raisin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31861A KR20190031861A (en) | 2019-03-27 |
KR102028116B1 true KR102028116B1 (en) | 2019-10-02 |
Family
ID=65906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19825A Active KR102028116B1 (en) | 2017-09-18 | 2017-09-18 | Multi function working machine for managing of insect rais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28116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14733B1 (en) * | 2020-01-15 | 2020-05-25 | 주식회사 평강비아이엠 | A worm farming muli-container and the farm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
KR102243934B1 (en) | 2020-09-23 | 2021-04-26 | 주식회사 케이엠디 | Devices for breeding insects and growing plants |
KR20210138904A (en) | 2020-05-13 | 2021-11-22 |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제이티푸드솔루션 | Cocoon breeding automation device |
WO2022022973A1 (en) * | 2020-07-27 | 2022-02-03 | Nbtech Ab | Apparatus for growing biomass |
WO2022022969A1 (en) * | 2020-07-27 | 2022-02-03 | Nbtech Ab | System and method for growing biomas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64038B1 (en) | 2019-06-13 | 2021-06-11 | (주)나리소 | Dispenser apparatus for Medium |
KR102520612B1 (en) * | 2020-11-24 | 2023-04-12 | 이용길 | Automatic carrying in and taking out system of insect rasing device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94434Y1 (en) | 2002-07-15 | 2002-11-13 | 임상근 | Earthworm breeding device for casting production |
KR200361010Y1 (en) | 2004-06-18 | 2004-09-06 | (주)바이오 에코테크 | Layered devices for earthworms |
KR200423611Y1 (en) * | 2006-05-08 | 2006-08-09 | 주식회사 한국유용곤충연구소 | King wing breeding box holder and King wing mass breeding system |
KR100654253B1 (en) | 2005-09-15 | 2006-12-06 | 진병규 | Fly breeding device |
KR101256389B1 (en) | 2010-11-11 | 2013-04-25 | 그린테코 주식회사 | Automated production system of larvae of black soldier fly |
KR101603416B1 (en) | 2014-05-21 | 2016-03-14 | 김민기 | Meal worm multi excretion separating device |
KR101805742B1 (en) | 2017-06-13 | 2017-12-07 |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도시농부들 | Automatic water supply equipment of insect mass bred facility |
KR101805748B1 (en) | 2017-06-13 | 2017-12-07 | 임흥규 | Insect mass bred facility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20008120Y1 (en) * | 1991-01-08 | 1992-11-12 | 김동원 | Silkworm breeding frame |
JP3074240B2 (en) * | 1994-07-29 | 2000-08-07 |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 Vehicle cup holder |
KR20130060451A (en) * | 2011-11-30 | 2013-06-10 | 문소령 | Apparatus for spraying feed of earthworms |
KR101753352B1 (en) | 2015-04-24 | 2017-07-04 | 농업회사법인충북곤충자원연구소(주) | Larva Mass Breeding Equipment |
KR101805912B1 (en) * | 2015-12-22 | 2017-12-07 | 최낙훈 | Multi Purpose Supporter |
-
2017
- 2017-09-18 KR KR1020170119825A patent/KR10202811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94434Y1 (en) | 2002-07-15 | 2002-11-13 | 임상근 | Earthworm breeding device for casting production |
KR200361010Y1 (en) | 2004-06-18 | 2004-09-06 | (주)바이오 에코테크 | Layered devices for earthworms |
KR100654253B1 (en) | 2005-09-15 | 2006-12-06 | 진병규 | Fly breeding device |
KR200423611Y1 (en) * | 2006-05-08 | 2006-08-09 | 주식회사 한국유용곤충연구소 | King wing breeding box holder and King wing mass breeding system |
KR101256389B1 (en) | 2010-11-11 | 2013-04-25 | 그린테코 주식회사 | Automated production system of larvae of black soldier fly |
KR101603416B1 (en) | 2014-05-21 | 2016-03-14 | 김민기 | Meal worm multi excretion separating device |
KR101805742B1 (en) | 2017-06-13 | 2017-12-07 |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도시농부들 | Automatic water supply equipment of insect mass bred facility |
KR101805748B1 (en) | 2017-06-13 | 2017-12-07 | 임흥규 | Insect mass bred facility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14733B1 (en) * | 2020-01-15 | 2020-05-25 | 주식회사 평강비아이엠 | A worm farming muli-container and the farm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
KR20210138904A (en) | 2020-05-13 | 2021-11-22 |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제이티푸드솔루션 | Cocoon breeding automation device |
WO2022022973A1 (en) * | 2020-07-27 | 2022-02-03 | Nbtech Ab | Apparatus for growing biomass |
WO2022022969A1 (en) * | 2020-07-27 | 2022-02-03 | Nbtech Ab | System and method for growing biomass |
KR102243934B1 (en) | 2020-09-23 | 2021-04-26 | 주식회사 케이엠디 | Devices for breeding insects and growing plant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31861A (en) | 2019-03-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28116B1 (en) | Multi function working machine for managing of insect raising | |
US9832929B1 (en) | Harvesting head and machine for mechanically harvesting olives, grapes and the like | |
CN211672075U (en) | Agricultural gardens pesticide sprinkler | |
JP6440180B1 (en) | Cleaning method for round cage for shellfish culture and cleaning device for round cage for shellfish culture | |
CN107494464B (en) | Three-dimensional silkworm breeding special device | |
CN107548697A (en) | Winter jujube cropper and harvesting method | |
KR20190073905A (en) | Management Work Apparatus for Rearing Imago of Industrial Insects | |
CN105493746A (en) | Ring-carrying mushroom harvesting machine and method | |
CN102940034B (en) | A kind of seed teds car | |
CN111713459A (en) | A cultivation device for black soldier fly larvae based on tilt transfer | |
JP2017534250A (en) | Egg decapping apparatus and related method | |
CN108706398A (en) | One kind falling silk device | |
CN211482519U (en) | Automatic cleaning device of temporary rearing pond | |
WO2006036989B1 (en) | Method for raising aquatic animals | |
US3490217A (en) | Machine for harvesting grapes | |
CN205762282U (en) | A kind of screening machine | |
CN207692736U (en) | A kind of culture of swamp eel device being equipped with food platform | |
CN203841070U (en) | Classifying mechanism in potato processing device | |
KR102010990B1 (en) | The supporter for arrangement-convertible insect breeding boxes by own weight | |
CN208300759U (en) | A kind of ant lion raising apparatus | |
CN107484725B (en) | Silkworm frame for cultivating | |
WO2009019621A1 (en) | Fruit separation assembly | |
CN203633354U (en) | Combination frame for sericulture | |
CN206760435U (en) | A kind of automatic laying nest egg collection platform of both sides egg collection | |
CN108967938A (en) | Mussel byssus cutter device and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3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9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9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