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5912B1 - Multi Purpose Supporter - Google Patents
Multi Purpose Suppor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05912B1 KR101805912B1 KR1020150183687A KR20150183687A KR101805912B1 KR 101805912 B1 KR101805912 B1 KR 101805912B1 KR 1020150183687 A KR1020150183687 A KR 1020150183687A KR 20150183687 A KR20150183687 A KR 20150183687A KR 101805912 B1 KR101805912 B1 KR 1018059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base
- cradle
- water supply
- stru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5000001674 Agaricus brunnescen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06010003645 Atopy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5000009414 Elaeocarpus kirtonii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5000013584 Tabebuia pallid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41000199223 Elaeocarpus kirtonii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1081 inoc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5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44000236151 Tabebuia pallid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41000208818 Helianth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3222 Helianthus annu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01100298222 Caenorhabditis elegans pot-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204900 Talipariti tiliace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7 air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34 dec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32 deod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5—Trays for receiving multiple pots
-
- A01G1/042—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 A01G9/1066—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4—Flower tables; Stands or hangers, e.g. baskets, for flowers
- A47G7/041—Flower tables or sta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용도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에 접촉되어 고정 설치 또는 바퀴 결합을 통해 지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110); 상기 베이스(110) 상에 고정 설치되며, 수직하게 세워져 직립 설치되는 지주(120); 상기 지주(120)의 외측으로 삽입하되 지주(120)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원통몸체(131)로서 원통몸체(131)의 외주면에 1개 이상의 돌출형 연결파이프(132)가 결합되며, 상기 지주(120)에 순차적으로 삽입하여 적층 배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회전대(130); 상기 회전대(130)의 각 연결파이프(132)에 삽입하여 연결 사용하기 위한 연결부재로서 화분이나 육묘판을 거치하거나 진열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거치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해당 위치의 설치공간 및 설치조건에 맞추어 원하는 대로 맞춤 제작 및 설치할 수 있으며, 화분을 진열함은 물론 육묘를 재배하는데 사용할 수 있고 버섯 재배에 사용할 수 있는 등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으며, 편백나무로 구성함에 의해 아토피를 예방함은 물론 친환경성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stand, comprising: a base (110) provided to be movable on the ground through a fixed installation or a wheel coupling in contact with the ground; A support 120 fixedly installed on the base 110 and erected vertically upright; One or more projecting connecting pipes 132 are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131 as a cylindrical body 131 inserted into the outside of the strut 120 and rotatably disposed on the strut 120, (130) which is arranged so as to be sequentially stacked and placed in the stacking unit (120); And a cradle (140) for connecting or connecting the connecting pipe (132) of the swivel (130) to mount or mount a flower pot or a seedl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customize and install the product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space and installation conditions of the corresponding location, and can be used for cultivating seedlings as well as for displaying potted plants, and for mushroom cultivation.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atopy and to provide environment friendliness by constituting it with a white wood.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용도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공간 및 설치조건에 맞추어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맞춤 설치할 수 있고 회전 가능한 구조를 통해 사용자 마음대로 셋팅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며 화분을 거치하거나 진열하기 위한 화분 거치대로서의 용도는 물론 육묘 재배용나 버섯 재배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stand,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purpose stand, which can be customized according to installation space and installation conditions and can be adjusted at a user's discretion through a rotatable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stand capable of being used for cultivation of seedlings and mushrooms as well as for use as a mushroom.
일반적으로 각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는 장식 또는 관상용으로 식물을 기르고 있으며, 때로는 실내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공기정화용으로 사용하기도 한다.Generally, each home or office is used to grow plants for decoration or ornamental purposes, and sometimes to purify air for indoor air purification.
이러한 식물은 대체로 화분에 담아 키우게 되는데, 설치 장소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대부분 공간적 제약을 많이 받게 된다.These plants are usually raised in pots, which can vary depending on the location, but they are often subject to space constraints.
특히, 진열하는 화분의 수가 많을 경우에는 공간과 면적을 더욱 많이 차지하게 되므로 제약이 더욱 커진다 할 수 있으며, 설치 장소의 공간 및 조건에 따라 화분을 극히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밖에 없다.Especially, when the number of display pollen is large, the space and the area are occupied more, so that the restriction can be increased, and the pollen can only be used in a limited manner depending on the space and condition of the installation place.
한편, 종래에는 화초 등의 식물이 심어진 화분 배치를 위한 설치 공간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 진열대나 선반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나, 설치 장소에서의 공간과 면적만을 많이 차지할 뿐 진열대에 거치 또는 진열할 수 있는 화분의 수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conventionally, a shelf or a shelf is used for efficient use of installation space for arranging pots planted with plants such as plants, but it is difficult to use a shelf or a shelf The number of pots was limited.
또한, 종래 화분의 거치 또는 진열에 사용되는 진열대나 선반 등은 사용자가 임의 조정하여 사용할 수 없는 고정식 구조가 많아 사용자가 설치조건에 맞추어 화분을 디스플레이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으며, 화분의 거치 또는 진열에 따른 다양함을 추구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In addition, conventionally, there are many fixed structures that can not be arbitrarily adjusted by the user, such as shelves or shelves used for mounting or displaying pots, and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display the pots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conditions.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can not pursue.
덧붙여, 종래 화분의 거치 또는 진열에 사용되는 진열대나 선반 등은 다른 용도로 활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등 활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he shelves or shelves used for mounting or displaying shelves of pots are difficult to be utilized for other purposes, resulting in poor usability.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설치공간 및 설치조건에 맞추어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맞춤 설치할 수 있고 회전 가능한 구조배치설계를 통해 사용자 마음대로 셋팅 위치를 조정 및 다양한 디스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며, 좁은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possible to customize the installation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space and installation conditions, and to adjust the setting position and various displays And to provide a multipurpose cradle which can be utilized in a versatile manner so as to use a narrow space more efficiently.
본 발명은 화분을 거치하거나 진열하기 위한 화분 거치대로서의 용도는 물론 육묘 재배용이나 버섯 재배용 또는 이들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다용도 및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purpose stand which can be used as a pot stand for shelving or displaying pots, as well as for use in cultivation of seedlings, mushroom cultivation, or both.
본 발명은 편백나무를 사용하여 친환경성을 갖도록 제작할 수 있도록 하고 아토피 등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purpose stand that can be manufactured to have environment friendliness using a plain wood and prevent atopy and the lik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거치대는, 지면에 접촉되어 고정 설치 또는 바퀴 결합을 통해 지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110); 상기 베이스(110) 상에 고정 설치되며, 수직하게 세워져 직립 설치되는 지주(120); 상기 지주(120)의 외측으로 삽입하되 지주(120)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원통형 몸체(131)로서 원통형 몸체(131)의 외주면에 1개 이상의 돌출형 연결파이프(132)가 결합되며, 상기 지주(120)에 순차적으로 삽입하여 적층 배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회전대(130); 상기 회전대(130)의 각 연결파이프(132)에 삽입하여 연결 사용하기 위한 연결부재로서 화분이나 육묘판을 거치하거나 진열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거치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ulti-purpose cradle comprising: a base; a base mounted to be movable from a ground through a fixed installation or a wheel coupling; A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거치대는, 지면에 접촉되어 고정 설치 또는 바퀴 결합을 통해 지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내부 수용공간을 갖는 케이스형 몸체로서 물이 저장되는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10) 상에 고정 설치되고, 수직하게 세워져 직립 설치되며,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는 내부 중공을 갖는 지주(120); 상기 지주(120)의 외측으로 삽입하되 지주(120)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원통형 몸체(131)로서 원통형 몸체(131)의 외주면에 1개 이상의 돌출형 연결파이프(132)가 결합되며, 상기 지주(120)에 순차적으로 삽입하여 적층 배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회전대(130); 상기 회전대(130)의 각 연결파이프(132)에 삽입하여 연결 사용하기 위한 연결부재로서 화분이나 육묘판을 거치하거나 진열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거치대(140); 상기 지주(120)의 내부 중공에 삽입 배치되는 급수배관(150); 상기 급수배관(150)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기 지주(120)의 외측에 위치되는 분무노즐(160); 상기 베이스(110)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급수배관(150)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110)의 내부에 저장된 물을 펌핑하여 급수배관(150)으로 공급하기 위한 수중펌프(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multi-purpose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se-type body having an internal accommodation space and being movable from a ground through a fixed installation or a wheel engagement by contacting with the ground, (10); A
여기에서, 상기 거치대(140)는, 상기 회전대(130)의 연결파이프(132)에 삽입 연결하기 위한 봉 형상의 파이프결합부(141a)와, 상기 파이프결합부(141a)에 연장되고 다양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는 사각형상의 프레임(141b)과, 상기 프레임(141b) 상에 고정 결합 및 수평 배치되는 받침판(141c)을 포함하는 제1 거치대(141); 상기 회전대(130)의 연결파이프(132)에 삽입 연결하기 위한 봉 형상의 파이프결합부(142a)와, 상기 파이프결합부(142a)에 연장되고 다양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는 사각형상의 프레임(142b)과, 상기 프레임(142b) 상에 고정 결합 및 수평 배치되는 거치링(142c)을 포함하는 제2 거치대(142); 상기 회전대(130)의 연결파이프(132)에 삽입 연결하기 위한 봉 형상의 파이프결합부(143a)와, 상기 파이프결합부(143a)에 연장되고 다양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는 사각형상의 프레임(143b)과, 상기 프레임(143b) 상에 고정 결합 및 수평 배치되는 안착선반(143c)을 포함하는 제3 거치대(1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여기에서, 상기 급수배관(150)에는 일정 위치로 분배관(180)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지주(120)의 외면에 내부 중공과 연결되는 연결공(121)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공(121)을 통해 분배관(180)을 급수배관(150)에 연결하며, 상기 분배관(180)의 외측 끝단에 분배노즐(190)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여기에서, 상기 제1 거치대(141)의 받침판(141c)은, 화분이나 육묘판의 안정된 배치를 위하여 안착홈을 갖는 접시형 몸체로 구비하거나 표면에 거친 요철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받침판(141c)의 상면에 미끄럼방지패드를 배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여기에서, 상기 지주(120)에는 그 외면에 버섯재배용 구멍을 다수 형성하여 버섯종균 접종을 통해 버섯을 재배하는데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여기에서, 상기 베이스(110), 지주(120), 회전대(130), 거치대(140)는 각각 아토피 예방을 비롯하여 친환경성 제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편백나무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본 발명에 따르면, 해당 위치의 설치공간 및 설치조건에 맞추어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맞춤 설치할 수 있고, 원통형 몸체의 회전대를 이용한 회전 가능한 구조배치설계에 의해 거치대를 다양한 형태로 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셋팅 위치를 마음대로 조정할 수 있으며, 좁은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ustomize the installation space and the installation condition of the corresponding position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By designing the rotatable structural arrangement using the rotating body of the cylindrical body, the cradle can be designed in various forms, The position can be arbitrarily adjusted, and the usefulness of using the narrow space more efficiently can be achieved.
본 발명은 해당 설치공간 및 설치조건에 맞추어 화분을 거치 및 진열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맞춤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화분이나 육묘판의 거치 및 진열에 따른 다양한 디스플레이를 실시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ustomized and used by the user to mount and display the pollen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space and the installation conditions, and can achieve a useful effect of performing various displays according to the mounting of the pollen or the seedling plate and display .
본 발명은 편백나무를 사용하여 제작함에 따라 인체에 유용한 피톤치드를 방출할 수 있어 아토피 등을 예방하는 등 인체에 유용한 작용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친환경적인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duce phytoncide useful for a human body by producing a phytoncide by using a cottonwood to provide useful functions to the human body such as prevention of atopy and the like, have.
본 발명은 꽃을 재배하는 화분을 거치 및 진열하는데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육묘를 재배하는 육묘용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버섯을 재배하는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고 때로는 2가지 이상을 겸할 수 있는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not only for planting and displaying flower pots, but also for use as a stand for growing seedlings. In addition, it can be used for cultivation of mushrooms and sometimes can be used for two or more It can be utilized for various purposes, and it is possible to achieve usefulness that can be utilized in various field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다른 배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또 다른 배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수시설을 갖는 다용도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적 단면 구성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a multipurpose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arrangement for explaining a multipurpose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other arrangement diagram illustrating a multipurpose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ultipurpose cradle having a water supply facil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의 목적과 구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whe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거치대(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110)와 지주(120), 회전대(130), 거치대(14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1 to 3, the
이때, 상기 베이스(110), 지주(120), 회전대(130), 거치대(140)는 각각 아토피 예방을 비롯하여 친환경성 제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편백나무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여기에서, 편백나무는 피톤치드를 방출하는 것으로서, 살균과 탈취, 혈액순환 및 피로회복 등 인체의 건강에 유용한 효능을 발휘토록 할 수 있다.Herein, it is a phytoncide that emits phytoncide, and can exhibit a useful effect for the health of the human body such as sterilization, deodorization, blood circulation and fatigue recovery.
상기 베이스(110)는 지면에 접촉되어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 또는 바퀴의 결합을 통해 지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한 몸체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다양한 형체로 구성할 수 있다.The
상기 지주(120)는 상기 베이스(110) 상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110)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수직하게 세워져 직립 설치되는 기둥형 몸체로 구비된다.The
이때, 상기 지주(120)에는 그 외면에 버섯재배용 구멍을 다수 형성하여 버섯종균 접종을 통해 버섯을 재배하는데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거치대(100)를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holes for mushroom cultivation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여기에서, 상기 지주(120)의 하부에 회전대(130)를 삽입 배치 및 이에 측면으로 거치대(140)를 삽입 연결함으로써 화분(1)을 거치 또는 진열하거나 육묘를 재배하는 용도로 사용하고, 이와 더불어 상기 지주(120)의 상부를 통해 버섯재배용 구멍에 버섯종균을 접종함으로써 버섯을 재배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할 것이다.In this case, the
상기 회전대(130)는 상기 지주(120)의 상측에서 삽입하여 외주면을 내측 감합하도록 하되 지주(120)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원통형 몸체(131)를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원통형 몸체(131)의 외주면에 1개 이상의 돌출형 연결파이프(132)가 결합된다.The
이때, 상기 회전대(130)는 상기 지주(120)에 순차적으로 삽입하여 적층 배치할 수 있도록 다수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원통형 몸체(131)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는 돌출형 연결파이프(132)는 돌출되는 길이에 차이를 두는 등 변화를 줄 수 있다.The protruding
여기에서, 상기 회전대(130)는 상기 지주(120)에 순차적으로 삽입하여 적층 배치하되, 각 회전대(130)에 대한 방향을 달리하여 돌출형 연결파이프(132)를 다양하게 배치함으로써 계단식 구조, 벽면식 구조, 해바라기식 구조 등 다양한 유형으로 거치대(140)의 배열을 유도할 수 있으며, 설치 조건 및 공간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맞춤 설치 및 제작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요소이다.In this case, the
여기에서, 상기 돌출형 연결파이프(132)는 원통형 몸체(131)에 두께를 주어 형성한 상태에 거치대(140)를 삽입 배치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구멍을 형성하는 타입으로 하여 대체할 수 있다 할 것이다.Here, the protruding
또한, 상기 회전대(130)는 원통형 몸체(131)의 외면을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할 수 있는 등 외형에 대한 수정 및 변형을 줄 수 있다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상기 거치대(140)는 상기 회전대(130)의 각 연결파이프(132)에 삽입하여 연결 사용하기 위한 연결부재로서 화분(1)이나 육묘판을 거치하거나 진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The
이때, 상기 거치대(140)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할 것인데, 대략 제1 거치대(141)와 제2 거치대(142) 및 제3 거치대(143)로 구성할 수 있다 할 것이다.In this case, the
상기 제1 거치대(141)는 상기 회전대(30)의 연결파이프(132)에 삽입 연결하기 위한 봉 형상의 파이프결합부(141a)와, 상기 파이프결합부(141a)에 연장되고 다양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는 사각형상의 프레임(141b)과, 상기 프레임(141b) 상에 고정 결합되고 수평 배치되는 판형 타입의 받침판(141c)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여기에서, 상기 받침판(141c)은 원형,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별, 하트, 동물형상 등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구비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 또는 다수가 상기 프레임(141b)에 고정 결합되어 배열될 수 있으며, 다양한 형상이나 크기의 것을 혼합하여 프레임(141b) 상에 배열할 수도 있다.The
또한, 상기 받침판(141c)은 화분 등의 안정된 배치를 위하여 각각의 다양한 판형 타입에 대해 안착홈을 갖는 접시형 몸체로 구비할 수 있으며, 때로는 상부 표면에 거친 요철 구조를 형성하거나 상기 받침판(141c)의 상면에 미끄럼방지패드를 배치할 수 있다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상기 제2 거치대(142)는 상기 회전대(130)의 연결파이프(132)에 삽입 연결하기 위한 봉 형상의 파이프결합부(142a)와, 상기 파이프결합부(142a)에 연장되고 다양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는 사각형상의 프레임(142b)과, 상기 프레임(142b) 상에 고정 결합되고 수평 배치되는 링(ring) 타입의 거치링(142c)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여기에서, 상기 거치링(142c)은 테두리의 형성 폭에 차이를 두어 내경을 다르게 형성하는 등 다양한 사이즈로 형성하고 이를 배열하여 사용할 수 있다.Here, the
상기 제3 거치대(143)는 상기 회전대(130)의 연결파이프(132)에 삽입 연결하기 위한 봉 형상의 파이프결합부(143a)와, 상기 파이프결합부(143a)에 연장되고 다양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는 사각형상의 프레임(143b)과, 상기 프레임(143b) 상에 고정 결합되고 수평 배치되는 안착선반(143c)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여기에서, 상기 안착선반(143c)은 망체형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Here, the
이에 따라, 이와 같은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거치대(100)는 사용자가 해당 위치의 설치 조건 및 공간에 따라 원하는 형태로 맞춤 제작하여 설치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즉, 베이스(110)에 지주(120)를 직립 설치하여 고정 배치한 상태에 회전대(130)를 지주(120)에 삽입 배치한다.That is, the rotating table 130 is inserted into the
이때, 회전대(13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지주(120)에 적어도 하나를 삽입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둘 이상의 다수를 연속적으로 삽입 배치함으로써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at least one
또한, 회전대(130)는 다수를 적층하여 사용시 지주(120) 상에서 회전시켜 배치방향을 다르게 조정함에 따라 화분(1)이나 육묘판의 거치 및 진열을 위한 다양한 구조를 만들어내도록 유도할 수 있는데, 회전대(130)의 연결파이프(132)에 거치대(140)를 삽입하여 연결하되 다양한 배치를 통해 계단식 구조, 벽면식 구조, 해바라기식 구조 등 다양한 유형으로 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이때, 거치대(140)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해당 위치의 설치 조건 및 공간에 맞추어 제1 거치대(141) 내지 제3 거치대(143) 중에서 적절하게 선택하여 연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ser can appropriately select and direct the user from among the first to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 거치대(10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의 구성에 더하여 화분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시설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4, the
즉, 베이스(110)와 지주(120), 회전대(130), 거치대(140), 급수배관(150), 분무노즐(160), 및 수중펌프(170)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at is,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the
이때, 상기 베이스(110)는 지면에 접촉되어 고정 설치 또는 바퀴 결합을 통해 지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하되, 화분(1)이나 육묘판 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용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내부 수용공간을 갖는 케이스형 몸체로 구비된다.At this time, the
상기 베이스(110)는 케이스형 몸체에 급수구와 배수구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The base 110 preferably has a water supply port and a drain port formed in the case body.
상기 지주(120)는 상기 베이스(110) 상에 고정 설치되고 수직하게 세워져 직립 설치되는 것으로서,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는 내부 중공을 갖도록 구비된다.The
상기 회전대(130)와 상기 거치대(140)는 상술한 설명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를 준용하기로 한다.The rotating table 130 and the
상기 급수배관(150)은 상기 지주(120)의 내부 중공에 삽입 배치되는 것으로서, 하단부가 상기 케이스형 몸체인 베이스(110)의 내부 수용공간에 위치되며, 상기 베이스(110)의 내부에 저장되는 물을 공급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The
상기 분무노즐(160)은 상기 급수배관(150)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기 지주(120)의 외측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화분(1)이나 육묘판을 향하여 배치되어 물을 분무하도록 구비된다.The
이때, 상기 분무노즐(160)은 상기 급수배관(150)의 상단과 더불어 중간 중간에 연결하는 형태로 설치할 수도 있다 할 것인데, 상기 지주(120)의 측면에 연결공을 형성하고 연결공에 삽입한 후 급수배관(150)에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부연하여, 상기 급수배관(150)에는 일정 위치로 분배관(180)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지주(120)의 외면에 내부 중공과 연결되는 연결공(121)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공(121)을 통해 분배관(180)을 급수배관(150)에 연결하며, 상기 분배관(180)의 외측 끝단에 분무노즐(190)을 연결하는 구성으로 하여 다중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a
상기 수중펌프(170)는 상기 베이스(110)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급수배관(150)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110)의 내부에 저장된 물을 펌핑하여 급수배관(150)으로 공급한 후 분무노즐(160)을 통해 화분(1)이나 육묘판 측으로 물을 분무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The
덧붙여, 상기 거치대(140)에는 요홈 구조 및 경사 구조를 이용한 유로를 형성하되, 상기 지주(120)의 내부 중공 또는 급수배관(150)과 연결되게 구성함으로써 화분(1)이나 육묘판 측에 물을 분무하여 급수시 화분(1)이나 육묘판으로부터 배출되는 여분의 물을 유로를 통해 물이 저장되는 케이스형 몸체인 베이스(110)로 자동 회수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 channel using the groove structure and the inclined structure is formed in th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분 거치대(100)는 지주(120)에 삽입 배치 및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대(130) 및 이에 연결되는 거치대(140)를 이용한 구조배치설계를 통해 해당 설치공간 및 설치조건에 맞추어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맞춤 설치 및 제작할 수 있으며, 다양한 유형으로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the
또한, 좁은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연출할 수 있으면서 화분의 거치 및 진열에 따른 다양한 디스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으며, 편백나무를 사용함으로써 친환경성을 갖는 제품으로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 아토피 등을 예방하는 등 인체에 유용한 작용을 하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ariety of displays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of the pollen and the display, while being able to direct the narrow space to be used more efficiently, and it is also possible to produce the product having environment friendliness by using the white wood Atopy and the like can be provided.
나아가, 화분(1)을 거치 및 진열하는데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육묘판을 거치 및 진열하여 육묘를 재배하는데 사용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지주(120)를 이용하여 버섯을 재배하는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는 등 다용도로 활용 및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Furthermore, it can be used not only to mount and display the pollen (1) but also to mount and display the nursery plate to cultivate seedlings, and also to use the pillar (120) to grow mushrooms And can be utilized in various fields.
여기에서, 본 발명에서 사용된 화분(1)의 용어는 꽃을 재배하는 용도로만 사용하지 않는다 할 것이며, 육묘를 재배하기 위한 육묘화분이나 육묘판으로도 정의할 수 있다 할 것이며, 광의의 뜻을 발휘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Herein, the term of the pollen (1)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to b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cultivating a flower, and it may also be defined as a nursery seedling or a nursery plate for growing a nursery, It can be used as a terminology.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illustration, It will be appar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1: 화분 100: 다용도 거치대
110: 베이스 120: 지주
130: 회전대 131: 원통형 몸체
132: 연결파이프 140: 거치대
141: 제1 거치대 142: 제2 거치대
143: 제3 거치대 150: 급수배관
160: 분무노즐 170: 수중펌프1: Flower pot 100: Multipurpose holder
110: base 120: holding
130: Pivot 131: Cylindrical body
132: connecting pipe 140: cradle
141: First Stand 142: Second Stand
143: Third stand 150: Water supply pipe
160: atomizing nozzle 170: submerged pump
Claims (7)
상기 베이스(110) 상에 고정 설치되고, 수직하게 세워져 직립 설치되며,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는 내부 중공을 갖는 지주(120);
상기 지주(120)의 외측으로 삽입하되 지주(120)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원통형 몸체(131)로서 원통형 몸체(131)의 외주면에 1개 이상의 돌출형 연결파이프(132)가 결합되며, 상기 지주(120)에 순차적으로 삽입하여 적층 배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회전대(130);
상기 회전대(130)의 각 연결파이프(132)에 삽입하여 연결 사용하기 위한 연결부재로서 화분이나 육묘판을 거치하거나 진열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거치대(140);
상기 지주(120)의 내부 중공에 삽입 배치되는 급수배관(150);
상기 베이스(110)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급수배관(150)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110)의 내부에 저장된 물을 펌핑하여 급수배관(150)으로 공급하기 위한 수중펌프(170); 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대(140)는,
상기 회전대(130)의 연결파이프(132)에 삽입 연결하기 위한 봉 형상의 파이프결합부(141a)와, 상기 파이프결합부(141a)에 연장되고 다양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는 사각형상의 프레임(141b)과, 상기 프레임(141b) 상에 고정 결합 및 수평 배치되는 받침판(141c)을 포함하는 제1 거치대(141);
상기 회전대(130)의 연결파이프(132)에 삽입 연결하기 위한 봉 형상의 파이프결합부(142a)와, 상기 파이프결합부(142a)에 연장되고 다양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는 사각형상의 프레임(142b)과, 상기 프레임(142b) 상에 고정 결합 및 수평 배치되는 거치링(142c)을 포함하는 제2 거치대(142)를 포합하는 다용도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10)는 지면에 접촉되어 바퀴 결합을 통해 지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케이스형 몸체로서 물이 저장되며,
상기 급수배관(150)의 상단에 분무노즐(160)이 연결되고, 상기 분무노즐(160)은 지주(120)의 외측에 위치되고,
상기 거치대(140)는,
상기 회전대(130)의 연결파이프(132)에 삽입 연결하기 위한 봉 형상의 파이프결합부(143a)와, 상기 파이프결합부(143a)에 연장되고 다양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는 사각형상의 프레임(143b)과, 상기 프레임(143b) 상에 고정 결합 및 수평 배치되는 안착선반(143c)을 포함하는 제3 거치대(143);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110), 지주(120), 회전대(130), 거치대(140)는 각각 아토피 예방을 비롯하여 친환경성 제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편백나무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거치대.
A base 110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ground;
A strut 120 fixedly installed on the base 110, vertically erected upright and having an inner hollow penetra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e or more protruding connecting pipes 132 are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131 as a cylindrical body 131 inserted into the outside of the strut 120 and rotatably disposed on the strut 120, (130) which is arranged so as to be sequentially stacked and placed in the stacking unit (120);
A cradle (140) provided for connecting or connecting the connecting pipe (132) of the swivel (130) to mount or mount a flower pot or a seedling plate;
A water supply pipe 150 inserted into the hollow of the column 120;
An underwater pump 170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150 in the state of being disposed inside the base 110 and for supplying the water stored in the base 110 to the water supply pipe 150; / RTI >
The cradle (140)
Shaped pipe coupling portion 141a for insertion and connection to the coupling pipe 132 of the rotating table 130 and a rectangular frame 141b extending in the pipe coupling portion 141a and formed in various lengths, And a supporting plate 141c fixedly and horizontally disposed on the frame 141b.
Shaped pipe fitting portion 142a for insertion and connection to the connecting pipe 132 of the swivel 130 and a rectangular frame 142b extending in the pipe fitting portion 142a and formed in various lengths, And a second cradle 142 including a cradle ring 142c fixedly and horizontally disposed on the frame 142b,
The base 110 is a case-type body having a receiving space in contact with the ground so as to be movable on the ground through a wheel coupling,
A spray nozzle 160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150. The spray nozzle 160 is located outside the support 120,
The cradle (140)
Shaped pipe coupling portion 143a for insertion and connection to the coupling pipe 132 of the rotating table 130 and a rectangular frame 143b extending in the pipe coupling portion 143a and formed in various lengths, And a seating shelf 143c fixedly and horizontally disposed on the frame 143b,
Wherein the base (110), the support (120), the swivel (130), and the holder (140) are each made of a white wood so as to provide an environmentally friendly product including atopy prevention.
상기 급수배관(150)에는 일정 위치로 분배관(180)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지주(120)의 외면에 내부 중공과 연결되는 연결공(121)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공(121)을 통해 분배관(180)을 급수배관(150)에 연결하며,
상기 분배관(180)의 외측 끝단에 분배노즐(190)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거치대.
3. The method of claim 2,
The water supply pipe 150 is connected to the distribution pipe 180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 connection hole 121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column 120 to be connected to the inner hollow and the distribution pipe 180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150 through the connection hole 121,
And a dispensing nozzle (190) is connected to an outer end of the distribution pipe (180).
상기 제1 거치대(141)의 받침판(141c)은,
화분이나 육묘판의 안정된 배치를 위하여 안착홈을 갖는 접시형 몸체로 구비하거나 표면에 거친 요철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받침판(141c)의 상면에 미끄럼방지패드를 배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거치대.
3. The method of claim 2,
The base plate 141c of the first holder 141 is,
It may be provided with a dish-shaped body having a seating groove for stable placement of pots or seedlings, or may have a rough uneven structure on its surface,
Or a non-slip pad can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plate (141c).
상기 지주(120)에는 그 외면에 버섯재배용 구멍을 다수 형성하여 버섯종균 접종을 통해 버섯을 재배하는데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거치대.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plurality of holes for mushroom cultivation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ruts (120) so that the struts (120) can be used for growing mushrooms through inoculation with mushroom seedling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83687A KR101805912B1 (en) | 2015-12-22 | 2015-12-22 | Multi Purpose Suppor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83687A KR101805912B1 (en) | 2015-12-22 | 2015-12-22 | Multi Purpose Support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74425A KR20170074425A (en) | 2017-06-30 |
KR101805912B1 true KR101805912B1 (en) | 2017-12-07 |
Family
ID=59279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83687A Expired - Fee Related KR101805912B1 (en) | 2015-12-22 | 2015-12-22 | Multi Purpose Support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05912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0684U (en) | 2018-09-21 | 2020-03-31 | 신성근 | Multi-purpose handcar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28116B1 (en) * | 2017-09-18 | 2019-10-02 | (주)헬퍼로보텍 | Multi function working machine for managing of insect raising |
KR102010990B1 (en) * | 2017-09-18 | 2019-08-14 | (주)헬퍼로보텍 | The supporter for arrangement-convertible insect breeding boxes by own weight |
CN108094056A (en) * | 2018-01-29 | 2018-06-01 | 杨春晓 | A kind of support base of bacteria stick vertical planting |
KR102117368B1 (en) * | 2019-01-29 | 2020-06-01 | 김정오 | Movable Flowerpot Display Stand |
KR102358165B1 (en) * | 2019-12-03 | 2022-02-08 | 대한민국 | Browning inducement method and browning inducement method for mushroom |
KR102162634B1 (en) * | 2020-02-24 | 2020-10-07 | 김태호 | Layer type planting pot assembly |
KR102551548B1 (en) * | 2021-02-19 | 2023-07-05 | 김호영 | Garden for a cat |
CN114868548B (en) * | 2022-05-06 | 2024-03-22 | 安徽省大地园林股份有限公司 | Gardens are with ration intelligent flowers rack that waters |
-
2015
- 2015-12-22 KR KR1020150183687A patent/KR10180591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0684U (en) | 2018-09-21 | 2020-03-31 | 신성근 | Multi-purpose handcar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74425A (en) | 2017-06-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05912B1 (en) | Multi Purpose Supporter | |
KR102117368B1 (en) | Movable Flowerpot Display Stand | |
US20210228002A1 (en) | Furniture | |
KR101317939B1 (en) | Assemble type flowerpot | |
US7617632B1 (en) | Plant pot arrangement | |
CN104025997A (en) | Rotary stereoscopic hydroponic flower rack | |
KR20160027725A (en) | Assembly Adapter For Hydroponic And The Flowerpot Using The Same | |
CN205053552U (en) | Combination formula multilayer pergola of adjustable interval | |
KR200475823Y1 (en) | Landscaping flower pot | |
CN205682098U (en) | A kind of Household water that is applicable to cultivates the device of Seedling | |
KR100788273B1 (en) | Seedling growing device with automatic bottom watering | |
US20070289209A1 (en) | Potted plant and knick-knack stand | |
KR102221001B1 (en) | Tower type flowerpot | |
KR20070119940A (en) | Flower pots | |
KR101749452B1 (en) | flower tower for auto-water supply having support bar of 3 point connection | |
US20060272209A1 (en) | Multi-purpose decorative assembly | |
CA2896591C (en) | Hydroponic produce display apparatus | |
JP2007222574A (en) | System stand | |
KR20120069857A (en) | Ornament for decorative flowerpot | |
CN207574014U (en) | A kind of solid vegetable cultivation device | |
CN203802136U (en) | Combined type garden frame | |
JP3065536U (en) | Flowerpot support | |
KR101914112B1 (en) | Flowerpot | |
KR101502840B1 (en) | A hanger of flower pot for wall decoration | |
CN208708233U (en) | Removable annular cultivating stan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3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2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5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2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1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1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