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24848B1 - 스파우트 파우치 포장장치 - Google Patents

스파우트 파우치 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4848B1
KR102024848B1 KR1020190064796A KR20190064796A KR102024848B1 KR 102024848 B1 KR102024848 B1 KR 102024848B1 KR 1020190064796 A KR1020190064796 A KR 1020190064796A KR 20190064796 A KR20190064796 A KR 20190064796A KR 102024848 B1 KR102024848 B1 KR 102024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ut
pouch
unit
pouches
storage bloc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4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관석
Original Assignee
(주)주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주팩 filed Critical (주)주팩
Priority to KR1020190064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48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84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03Packaging lines, e.g. general lay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2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B31/024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specially adapted for wrappers 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12Feeding flexible bags or carton blanks in flat or collapsed state; Feeding flat bags connected to form a series or chain
    • B65B43/14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46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grippers
    • B65B43/465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grippers f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5/00Preserving, protecting or purifying packages or package content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55/24Cleaning of, or removing dust from, containers, wrappers, or packaging ; Preventing of fou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65B7/28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applying separate preformed closures, e.g. lids,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파우트 파우치에 내용물을 충진하여 포장하는 스파우트 파우치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단위 시간당 생산성이 뛰어난 스파우트 파우치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파우트 파우치 포장장치는 스파우트가 구비된 파우치들을 2열로 공급하는 공급수단; 상기 공급수단을 통해 파우치를 공급받은 그립퍼들이 외주연을 따라 구비되는 로터; 상기 로터에 회전에 의해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파우치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제거하는 진공유닛; 진공화된 파우치 내부에 내용물을 충진하는 충진유닛; 내용물이 충진된 파우치에서 스파우트 주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유닛; 세척된 스파우트에 캡을 조립하여 밀폐시키는 조립수단; 캡의 조립이 완료된 파우치를 그립퍼에 배출시키는 배출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스파우트 파우치 포장장치{Spout poutch packing machine}
본 발명은 스파우트 파우치에 내용물을 충진하여 포장하는 스파우트 파우치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단위 시간당 생산성이 뛰어난 스파우트 파우치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우치는 액체나 겔 타입의 내용물을 포장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파우치는 무해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외부에는 각종 식품 관련 표기 및 홍보가 인쇄되어 마련된다.
파우치는 1쌍의 필름 소재를 대면시켜 대면한 바깥둘레 면을 열 융착한 타입이 가장 광범위하게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왔다.
파우치는 내용물 포장 후 세워 보존할 수 있도록 스탠딩 타입으로 확장 가능하도록 바닥면을 형성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한편, 파우치의 일면에는 내용물 유출구를 이루는 스파우트를 장착하고, 이 스파우트에는 캡이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다.
스파우트 파우치의 포장장치에 관한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765765호 "파우치 포장 장치"가 개시되었다.
상기 등록특허 제10-1765765호 "파우치 포장 장치"는 직선형의 이송라인을 따라 파우치들이 일렬로 늘어서서 하나씩 공급되고, 이송 라인 상에 파우치에 내용물 주입을 위한 노즐을 갖는 주입부와, 내용물이 주입된 파우치의 스파우트에 캡을 공급하고 밀폐하는 캡핑부 등이 구축된다.
상기 등록특허 제10-1765765호는 직선형의 이송라인을 이용하여 포장작업을 위해 상당한 거리가 필요하고, 그에 따라 공간활용의 효율성이 떨어진다.
그리고 파우치는 하나씩 공급되고, 파우치에의 내용물 충진과 캡의 조립 등도 하나씩 수행되기에 파우치 포장의 작업 속도가 늦어 생산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은 이처럼 종래기술에 따른 스파우트 파우치 포장장치가 갖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구성요소들이 컴팩특하게 구축되어 공간활용 효율이 뛰어나고, 두개의 파우치가 동시에 포장되어서 생산성이 뛰어난 스파우트 파우치 포장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파우트 파우치 포장장치는
스파우트가 구비된 파우치들을 2열로 공급하는 공급수단;
상기 공급수단을 통해 파우치를 공급받은 그립퍼들이 외주연을 따라 구비되는 로터;
상기 로터에 회전에 의해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파우치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제거하는 진공유닛;
진공화된 파우치 내부에 내용물을 충진하는 충진유닛;
내용물이 충진된 파우치에서 스파우트 주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유닛;
세척된 스파우트에 캡을 조립하여 밀폐시키는 조립수단;
캡의 조립이 완료된 파우치를 그립퍼에 배출시키는 배출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그립퍼에는 파우치에 구비되는 스파우트가 삽입되어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에는 스파우트에 형성된 날개가 얹혀져는 끼움편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편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스파우트의 외주연에 걸림결합되는 걸림돌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그립퍼에는 두개의 스파우트가 동시에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공급수단은
파우치의 스파우트가 일렬로 수용되어 저장되는 수용라인을 갖는 저장블럭과,
상기 저장블럭의 전방에 구비되어서 스파우트가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스파우트의 주둥이를 가압하여 잡아주는 가압실린더와,
캠운동하여 상기 저장블럭을 전후진시킴으로써, 상기 가압실린더가 잡고있는 스파우트가 상기 그립퍼에 끼움결합되도록 하는 캠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파우트 파우치 포장장치는 회전하는 로터의 주변으로 공급수단, 충진유닛 등이 컴팩트하게 설치되어 설치공간을 최소화하면서 포장작업을 수행하는 구조로서 공간활용의 효율성이 뛰어나고, 공급수단은 파우치들을 2열로 공급하고 그립퍼에는 파우치 2개가 결합되어 동시에 포장작업이 수행되는 구조로서 포장속도가 빨라 생산성이 높은 스파우트 파우치 포장장치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파우트 파우치 포장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와 정면도.
도 2 는 공급수단과 로터를 요부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파우트 파우치 포장장치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적재파이프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유닛의 요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인출유닛의 요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피더유닛의 요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파우트 파우치 포장장치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파우트 파우치 포장장치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파우트 파우치 포장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파우트 파우치 포장장치는
파우치(1)를 연속하여 공급하는 공급수단(10),
공급수단(10)에서 파우치(1)를 공급받고, 일정 반경으로 회전시켜서 주변에서 포장공정이 진행되도록 하는 로터(20),
로터(20) 주변에 설치되고, 파우치(1)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제거하는 진공유닛(30),
로터(20) 주변에 설치되고, 진공화된 파우치(1) 내부에 내용물을 충진하는 충진유닛(40),
로터(20) 주변에 설치되고, 내용물이 충진된 파우치(1)에서 스파우트(3) 주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유닛(50),
세척된 스파우트(3)에 캡을 가조립시키는 캡가조립유닛(60),
가조립된 캡을 스파우트(3)에 밀폐하여 조립시키는 캡조립유닛(70),
캡의 조립이 완료된 파우치(1) 제품을 배출하는 양품배출유닛(80),
캡의 조립이 잘못된 불량 제품을 배출하는 불량품배출유닛(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로터(20)에는 외주연을 따라서 그립퍼(21)들이 일정간격으로 구비된다.
상기 그립퍼(21)에는 파우치(1)에 구비되는 스파우트(3)가 삽입되어 끼워지는 끼움홈(211)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211)에는 스파우트(3)에 형성된 날개(3a)가 얹혀져는 끼움편(213)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편(213)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스파우트(3)의 외주연에 걸림결합되는 걸림돌기(215)가 형성된다.
상기 진공유닛(30)은 파우치(1)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화시킴으로써, 파우치(1) 내부로 내용물이 신속하게 효율적으로 충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진공유닛(30)은 파우치(1) 내부로 투입되는 진공노즐과, 진공노즐을 통해 공기를 흡입시키는 진공펌프를 포함한다.
상기 충진유닛(40)은 진공화된 파우치(1) 내부로 내용물을 주입하여 충진한다. 상기 충진유닛(40)은 파우치(1) 내부로 투입되는 주입노즐과, 주입노즐을 내용물을 공급하는 충진펌프, 내용물을 저장하는 저장통(41)을 포함한다.
상기 세척유닛(50)은 내용물의 주입이 완료된 파우치(1)의 스파우트(3)에 묻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상기 세척유닛(50)은 스파우트(3)의 주둥이(3b)로 투입되어 막는 폐쇄봉과, 스파우트(3)의 주둥이(3b) 주변으로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노즐과, 세척노즐로 고압의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펌프를 포함한다.
상기 캡가조립유닛(60)은 세척이 완료된 파우치(1)의 스파우트(3) 주둥이(3b)에 캡을 씌어 가조립시킨다. 상기 캡가조립유닛(60)은 캡들을 저장하여 공급하는 호퍼(61)와, 호퍼(61)에서 캡들이 하나씩 스파우트(3)의 주둥이(3b) 외면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캡이송망과, 캡이송망에 있는 캡이 하나씩 스파우트(3)의 주둥이(3b) 외면으로 투입되도록 단속하는 단속기를 포함한다.
상기 캡조립유닛(70)은 스파우트(3) 주둥이(3b)에 가조립된 캡이 스파우트(3)를 밀폐하도록 완전하게 조립시킨다. 상기 캡조립유닛(70)은 캡의 외면에 접촉되는 접촉부재와, 상기 접촉부재가 캡의 외면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하여 캡을 회전시키는 이동부재를 포함한다. 접촉부재의 이동에 의해 캡은 회전하여 스파우트(3)의 주둥이(3b)에 스크류결합되면서 주둥이(3b)를 밀폐시킨다.
상기 양품배출유닛(80)과 불량품배출유닛(90)은 각각 상기 로터(20)의 그립퍼(21)에 결합된 스파우트(3)를 잡아당겨서 파우치(1)가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캡조립유닛(70)과 양품배출유닛(80) 사이에는 캡의 조립상태의 양부를 센싱하는 센서가 구비되어서, 센서의 양부 판정에 따라 양품배출유닛(80)이나 불량품배출유닛(90)이 파우치(1)를 그립퍼(21)에서 분리시켜 배출시킨다.
이하에서, 도2 내지 도6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급수단(1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급수단(10)는 적재파이프(11), 이송유닛(13), 인출유닛(15), 피더유닛(17), 이들(11, 13, 15, 17)이 설치되는 프레임(19)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도3에는 스파우트(3)가 구비된 파우치(1)들이 일렬로 적재되는 적재파이프(11)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적재파이프(11)는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수용부(111)가 형성된 사각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지고, 하부면에는 스파우트(3)들이 이동하는 이동홈(113)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이동홈(113)의 양측에는 스파우트(3)에 형성된 날개(3a)가 올려져 걸림결합되는 걸림부(115)가 구비된다.
상기 적재파이프(11)에는 파우치(1)들이 일렬로 촘촘하게 적재되어서 파우치(1)들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한다. 즉, 공간활용 효율을 높인다.
도4와 도5에는 파우치(1)들이 적재된 적재파이프(11)를 이송시키는 이송유닛(13)과, 적재파이프(11)에 적재된 파우치(1)들을 인출시키는 인출유닛(15)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이송유닛(13)은
체인(131)과,
상기 체인(131)에 일정간격으로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적재파이프(11)의 이동홈(113)에 삽입되어 걸림는 걸림핀(132)과,
상기 체인(131)을 순환회전시키는 순환기어(133)들과,
상기 체인(131)의 걸림핀(132)에 걸려있는 적재파이프(11)의 외면을 잡는 집게(134)와,
하부면에 상기 집게(134)가 장착되어 있는 승강판(135)을 수직방향으로 이송시켜서 상기 적재파이프(11)가 상기 걸림핀(132)에서 이탈되도록 하는 수직이송실린더(136)와,
상기 수직이송실린더(136)의 피스톤(136a)이 결합된 전후진판(137)을 수평방향으로 이송시켜서 상기 적재파이프(11)를 상기 인출유닛(15)으로 이송시키는 수평이송실린더(138)와,
상기 전후진판(137)의 수평이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139a)과 가이드바(139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레일(139a)은 전후진판(135)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바(139b)는 장착판(139c)를 통해 커버(193)에 결합된다.
상기 인출유닛(15)은
상기 이송유닛(13)을 통해 이송되어온 적재파이프(11)가 정위치에 정렬되어서 파우치(1)들이 피더유닛(17)으로 안정적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정렬가이드(151)와,
상기 적재파이프(11)의 후방 하부에 배치되는 푸시막대(153)와,
상기 푸시막대(153)를 전방으로 이송시켜서, 푸시막대(153)가 적재파이프(11)에서 노출된 스파우트(3)의 하부측을 전방으로 밀어 적재파이프(11)에 적재된 파우치(1)들이 전방으로 이동되어 인출되도록 하는 전방이송부재(1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정렬가이드(151)에는 상기 적재파이프(11)를 인식하는 센서가 구비되고, 센서는 인식된 적재파이프(11)의 위치정보를 컨트롤러(미도시)로 전송하고, 컨트롤러는 전송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수직이송실린더(136)와 수평이송실린더(138)를 제어하여 적재파이프(11)가 정렬가이드(151) 앞에 정확하게 정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인출유닛(13)에서 파우치(1)들이 모두 적재파이프(11)에서 피더유닛(17)으로 인출되면 상기 이송유닛(13)의 집게(134)는 벌어져서 잡고있던 적재파이프(11)를 낙하시킨다. 낙하된 적재파이프(11)는 프레임(19)의 하부측에 구비된 수거부재(191)에 수납되어 수거된다.
상기 이송유닛(13)과 인출유닛(15)는 커버(193)로 덮여서 안전사고를 예방한다.
도6에는 상기 인출유닛(15)에서 파우치(1)들을 공급받아 임시보관하고, 보관된 파우치(1)들을 순차적으로 상기 로터(20)의 그립퍼(21)로 공급하는 피더유닛(17)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피더유닛(17)은
프레임에 전후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인출유닛(15)을 통해 상기 적재파이프(11)에서 인출되는 파우치(1)의 스파우트(3)가 일렬로 수용되어 저장되는 수용라인(172)을 갖는 저장블럭(171)과,
상기 저장블럭(171)의 전방에 구비되어서 스파우트(3)가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스토퍼(173)와,
상기 스토퍼(173)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스파우트(3)의 주둥이(3b)를 가압하여 잡아주는 가압실린더(175)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고, 캠운동하여 상기 저장블럭(171)을 전후진시키는 캠부재(177)와,
피더유닛(17)의 상부를 덮고, 상기 캠부재(177)와 저장블럭(171)을 연결하여서, 캠부재(177)의 캠운동에 따라 상기 저장블럭(171)이 전후진하도록 하는 덮개(179)와,
상기 저장블럭(171)을 진동시켜서 수용라인(172)에 수용된 파우치(1)의 스파우트(3)들이 전진하여 이송되도록 하는 진동부재(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저장블럭(171)의 수용라인(172)은 2개 구비되어서, 파우치(1)를 포장장치에 공급하는 속도를 높인다.
상기 저장블럭(171)의 수용라인(172)은 후방이 높고 전방이 낮아서, 진동부재가 저장블럭(171)을 진동시키면 수용라인(172)으로 수용된 스파우트(3)들은 전방으로 자연스럽게 이동된다.
상기 스토퍼(173)는 상기 수용라인(172)의 전방에 구비되고, 양측으로 배치되는 한쌍으로 구성되어서, 파우피(1)를 잡아줌으로써 파우치(1)가 수용라인(172)에서 분리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스토퍼(173)는 내외측으로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된 회전부(173a)와, 상기 회전부(173a)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연결되어서 스파우트(3)의 외면을 접촉가압하는 가압부(173b)와, 상기 회전부(173a)를 탄성지지하여 상기 가압부(173b)가 내측으로 이동하는 힘을 받아서 상기 스파우트(3)를 가압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미도시)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압실린더(175)에는 서로의 간격조절이 가능하도록 마주보는 한 쌍의 홀더(176)가 구비된다. 상기 한 쌍의 홀더(176)는 간격이 좁아지면 스파우트(3)의 주둥이(3b)를 가압하여 잡아주고, 간격이 멀어지면 잡고있던 스파우트(3)의 주둥이(3b)를 놓아준다.
상기 캠부재(177)는 상기 저장블럭(171)과 연결되는 상기 덮개(179)를 전후진시킨다.
상기 캠부재(177)는 회전하는 회전체(177a)와, 상기 회전체(177a)의 회전운동을 직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제1레버(177b)와, 상기 제1레버(177b)에 연결되어서 승하강하는 승하강봉(177c)과, 상기 프레임(19)에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덮개(179)에 연결되는 전후진블럭(177d)과, 상기 승하강봉(177c)과 상기 전후진블럭(177d)을 연결하여서 상기 승하강봉(177c)의 수직방향 직진운동을 상기 전후진블럭(177d)의 수평방향 직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제2레버(177e)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피더유닛(17)이 파우치(1)를 로터(20)의 그립퍼(21)에 공급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출유닛(15)을 통해 저장블럭(171)의 수용라인(172)으로 수용된 파우치(1)의 스파우트(3)들은 진동부재의 구동에 따라 저장블럭(171)이 진동되면 자연스럽게 전방으로 이동하고, 전방으로 이동된 스파우트(3)는 스토퍼(173)의 가압부(173b)가 가압하여 잡아준다.
로터(20)의 그립퍼(21)에 스파우치(1)를 공급하는 과정이 시작되면, 상기 가압실린더(175)가 작동하여 스파우트(3)의 주둥이(3b)를 홀더(176)가 가압하여 잡아주고, 이후 상기 캠부재(177)의 회전체(177a)가 회전하여 저장블럭(171)을 전진시킨다.
저장블럭(171)이 전진되면 스토퍼(173)가 로터(20)의 그립퍼(21)로 전진하여 스파우트(3)를 그립퍼(21)의 끼움홈(211)에 끼우고 스파우트(3)의 날개(3a)가 끼움편(213)에 올려져 걸리고, 끼움편(213)이 걸림돌기(215)가 스파우트(3)의 외면에 걸림결합되어 잡아준다.
저장블럭(171)의 전진이 완료되어 스파우트(3)가 그립퍼(21)에 결합되면, 가압실린더(175)가 작동하여 두 홀더(176)의 간격을 벌려주어 잡고있던 스파우트(3)를 놓아주고, 이후 캠부재(177)의 회전체(177a)가 회전하여 저장블럭(171)을 후진시킨다.
저장블럭(171)이 후진하면, 스토퍼(173)의 가압부가 스파우트(3)를 탄성력으로 가압하여 잡는 힘보다 상기 그립퍼(21)의 걸림돌기(215)가 스파우트(3)를 걸림결합으로 잡아주는 힘이 더 커서, 스파우트(3)는 그립퍼(21)에 남고 스토퍼(173)와 저장블럭(171)이 후진을 한다.
저장블럭(171)이 후진한 후에는 진동부재가 저장블럭(171)을 진동시켜서 수용라인(172)에 수용된 스파우트(3)가 전진하여 스토퍼(173)로 이동하여 다음을 준비한다.
저장블럭(171)이 회전하면 상기 로터(20)는 회전하여 다음번에 배치된 그립퍼(21)가 스토퍼(173) 앞에 위치하도록 하고, 센서(S1)는 그립퍼(21)에 스파우트(3)가 정상적으로 끼워졌는지 확인하다.
파우치(1)의 포장속도를 높이기 위해 하나의 그립퍼(21)에는 두개의 파우치(1)가 끼움결합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스파우트 파우치 포장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파우치 3 : 스파우트
10 : 공급수단 11 : 적재파이프
13 : 이송유닛 131 : 체인
132 : 걸림핀 133 : 순환기어
134 : 집게 135 : 승강판
136 : 수직이송부재 137 : 전후진판
138 : 수평이송부재
15 : 인출유닛 151 : 정렬가이드
153 : 푸쉬막대 155 : 전방이송부재
17 : 피더유닛 171 : 저장블럭
172 : 수용라인 173 : 스토퍼
175 : 가압실린더 176 : 홀더
177 : 캠부재 179 : 덮개
20 : 로터 21 : 그립퍼
30 : 진공유닛 40 : 충진유닛
50 : 세척유닛 60 : 캡가조립유닛
70 : 캡조립유닛 80 : 양품배출유닛
90 : 불량품배출유닛

Claims (4)

  1. 스파우트가 구비된 파우치들을 2열로 공급하는 공급수단;
    상기 공급수단을 통해 파우치를 공급받은 그립퍼들이 외주연을 따라 구비되는 로터;
    상기 로터에 회전에 의해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파우치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제거하는 진공유닛;
    진공화된 파우치 내부에 내용물을 충진하는 충진유닛;
    내용물이 충진된 파우치에서 스파우트 주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유닛;
    세척된 스파우트에 캡을 조립하여 밀폐시키는 조립수단;
    캡의 조립이 완료된 파우치를 그립퍼에 배출시키는 배출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파우트 파우치 포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단은
    파우치들이 일렬로 적재되는 적재파이프(11)를 이송시키는 이송유닛(13)과,
    상기 이송유닛을 통해 이송된 상기 적재파이프에 적재된 파우치들을 인출시키는 인출유닛(15)과,
    상기 인출유닛에서 인출된 파우치들을 임시보관 후에 순차적으로 포장장치로 공급하는 피더유닛(17)을 포함하되,

    상기 인출유닛(15)은
    상기 이송유닛(13)을 통해 이송되어온 적재파이프(11)가 정위치에 정렬되어서 파우치(1)들이 피더유닛(17)으로 안정적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정렬가이드(151)와,
    상기 적재파이프(11)의 후방 하부에 배치되는 푸시막대(153)와,
    상기 푸시막대(153)를 전방으로 이송시켜서, 푸시막대(153)가 적재파이프(11)에서 노출된 스파우트(3)의 하부측을 전방으로 밀어 적재파이프(11)에 적재된 파우치(1)들이 전방으로 이동되어 인출되도록 하는 전방이송부재(155)를 포함하고,

    상기 피더유닛(17)은
    프레임(19)에 전후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인출유닛(15)을 통해 상기 적재파이프(11)에서 인출되는 파우치(1)의 스파우트(3)가 일렬로 수용되어 저장되는 수용라인(172)을 갖는 저장블럭(171)과,
    상기 저장블럭(171)의 전방에 구비되어서 스파우트(3)가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스토퍼(173)와,
    상기 스토퍼(173)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스파우트(3)의 주둥이(3b)를 가압하여 잡아주는 가압실린더(175)와,
    상기 프레임(19)의 일측에 구비되고, 캠운동하여 상기 저장블럭(171)과 이에 결합된 상기 스토퍼(173) 및 가압실린더(175)를 전후진시키는 캠부재(177)와,
    피더유닛(17)의 상부를 덮고, 상기 캠부재(177)와 저장블럭(171)을 연결하여서, 캠부재(177)의 캠운동에 따라 상기 저장블럭(171)이 전후진하도록 하는 덮개(179)와,
    상기 저장블럭(171)을 진동시켜서 수용라인(172)에 수용된 파우치(1)의 스파우트(3)들이 전진하여 이송되도록 하는 진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173)는
    내외측으로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된 회전부(173a)와,
    상기 회전부(173a)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연결되어서 스파우트(3)의 외면을 접촉가압하는 가압부(173b)와,
    상기 회전부(173a)를 탄성지지하여 상기 가압부(173b)가 내측으로 이동하는 힘을 받아서 상기 스파우트(3)를 가압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캠부재(177)는
    회전하는 회전체(177a)와,
    상기 회전체(177a)의 회전운동을 직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제1레버(177b)와,
    상기 제1레버(177b)에 연결되어서 승하강하는 승하강봉(177c)과,
    상기 프레임(19)에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덮개(179)에 연결되는 전후진블럭(177d)과,
    상기 승하강봉(177c)과 상기 전후진블럭(177d)을 연결하여서 상기 승하강봉(177c)의 수직방향 직진운동을 상기 전후진블럭(177d)의 수평방향 직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제2레버(177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파우치 포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퍼에는 파우치에 구비되는 스파우트가 삽입되어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에는 스파우트에 형성된 날개가 얹혀져는 끼움편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편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스파우트의 외주연에 걸림결합되는 걸림돌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파우치 포장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퍼에는 두개의 스파우트가 동시에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파우치 포장장치.
  4. 삭제
KR1020190064796A 2019-05-31 2019-05-31 스파우트 파우치 포장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2024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796A KR102024848B1 (ko) 2019-05-31 2019-05-31 스파우트 파우치 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796A KR102024848B1 (ko) 2019-05-31 2019-05-31 스파우트 파우치 포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4848B1 true KR102024848B1 (ko) 2019-11-05

Family

ID=68576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4796A Expired - Fee Related KR102024848B1 (ko) 2019-05-31 2019-05-31 스파우트 파우치 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484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84770A (zh) * 2020-03-03 2020-06-16 武汉轻工大学 危化品自动上袋装置
KR102294262B1 (ko) 2020-12-16 2021-08-27 주식회사 앤이에스솔루션 버블 발생 노즐 및 이를 이용한 다단 선회방식 버블 발생 시스템
KR20220076694A (ko) 2020-12-01 2022-06-08 세진테크 주식회사 로터리 파우치 포장기용 컵피딩 머신
CN118529338A (zh) * 2024-07-25 2024-08-23 青岛新东益食品有限公司 一种包装机用的清洁装置
KR20240137219A (ko) 2023-03-08 2024-09-20 주식회사 수완 스파우트 파우치 자동 포장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3793A (ja) * 2000-06-15 2001-12-25 Toyo Jidoki Co Ltd スパウトの受渡し方法及び受渡し装置並びに位置決め供給装置
JP2006016010A (ja) * 2004-06-30 2006-01-19 Toyo Seikan Kaisha Ltd スパウト付き包装袋の充填方法
KR20070003200A (ko) * 2005-07-01 2007-01-05 김정범 파우치 성형방법 및 장치
KR20120017797A (ko) * 2010-08-20 2012-02-29 (주)성일포장시스템 스파우트 파우치 포장장치
KR20160024764A (ko) * 2014-08-26 2016-03-07 도요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스파우트가 부착된 백의 공급 장치
KR20160115198A (ko) * 2015-03-26 2016-10-06 김명환 액상 내용물 주입 포장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3793A (ja) * 2000-06-15 2001-12-25 Toyo Jidoki Co Ltd スパウトの受渡し方法及び受渡し装置並びに位置決め供給装置
JP2006016010A (ja) * 2004-06-30 2006-01-19 Toyo Seikan Kaisha Ltd スパウト付き包装袋の充填方法
KR20070003200A (ko) * 2005-07-01 2007-01-05 김정범 파우치 성형방법 및 장치
KR20120017797A (ko) * 2010-08-20 2012-02-29 (주)성일포장시스템 스파우트 파우치 포장장치
KR20160024764A (ko) * 2014-08-26 2016-03-07 도요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스파우트가 부착된 백의 공급 장치
KR20160115198A (ko) * 2015-03-26 2016-10-06 김명환 액상 내용물 주입 포장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84770A (zh) * 2020-03-03 2020-06-16 武汉轻工大学 危化品自动上袋装置
KR20220076694A (ko) 2020-12-01 2022-06-08 세진테크 주식회사 로터리 파우치 포장기용 컵피딩 머신
KR102294262B1 (ko) 2020-12-16 2021-08-27 주식회사 앤이에스솔루션 버블 발생 노즐 및 이를 이용한 다단 선회방식 버블 발생 시스템
KR20240137219A (ko) 2023-03-08 2024-09-20 주식회사 수완 스파우트 파우치 자동 포장기
CN118529338A (zh) * 2024-07-25 2024-08-23 青岛新东益食品有限公司 一种包装机用的清洁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4848B1 (ko) 스파우트 파우치 포장장치
BE1005832A5 (fr) Procede et appareillage de thermoformage et d'extraction d'objets creux munis d'un fond a partir d'une bande de matiere thermoplastique.
US4901504A (en) Filling and casing system
US4120134A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filling flexible containers
CN107681106A (zh) 软包动力锂电池自动注液封装机
US4510737A (en) Machine and method for filling flexible containers
ITBO20100615A1 (it) Metodo ed apparato per trasferire recipienti fragili da un contenitore ad una macchina confezionatrice
US3753509A (en) Bottle uncaser-single liner
CN113371990B (zh) 空气质量检测用吸附碳管自动化切割提取系统
US4481753A (en) Bag filler-capper
CN103231908B (zh) 超洁净预制杯灌装机
CN118373372A (zh) 一种连续自动化灌装设备及方法
GB2058728A (en)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id
CN206359230U (zh) 一种自动化充填机
US2630956A (en) Machine for applying sealing bands to bottles
KR101386769B1 (ko) 용기 세척기
KR102063606B1 (ko) 스파우트 파우치 공급장치
US4498574A (en) Apparatus for aligning tubular transport containers having a substantially U-shaped hollow cross-section for DIL housing prior to the emptying of such transport containers
JP4613655B2 (ja) 容器充填シール装置
EP0188153B1 (fr) Procédé et machine de remplissage et de bouchage de flacons
CN113433332B (zh) 吸收瓶清洗注液一体化仓储系统
US20100147415A1 (en) Centripetal container processing apparatus
CN117002780B (zh) 一种下沉行程可调的锁口机
GB2113171A (en) Romoving articles from cartons
CN118723193B (zh) 一种直线式真空抽取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0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3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7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9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9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