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23772B1 - electronic device of lamination structure based on through poles - Google Patents

electronic device of lamination structure based on through po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3772B1
KR102023772B1 KR1020170001226A KR20170001226A KR102023772B1 KR 102023772 B1 KR102023772 B1 KR 102023772B1 KR 1020170001226 A KR1020170001226 A KR 1020170001226A KR 20170001226 A KR20170001226 A KR 20170001226A KR 102023772 B1 KR102023772 B1 KR 102023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function
sub
boards
main boar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12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80468A (en
Inventor
윤홍수
박효원
황광태
Original Assignee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1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3772B1/en
Publication of KR20180080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04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3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3772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4Stacked arrangements of planar print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4Assemblies of printed circuits
    • H05K2201/044Details of backplane or midplane for mounting orthogonal PCB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431Details of mounted components
    • H05K2201/10507Involving several components
    • H05K2201/10515Stacked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binations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장치에 탑재되는 검증된 규격의 메인 보드 패턴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하나이상의 서브기능 보드를 추가적으로 적층하여 최근 빠르게 변화하는 하이브리드(예: IoT 센서 접목) 전자장치(예: 셋톱박스) 분야에 최적의 호환성을 갖도록 하는 기술로서, 전자장치에 탑재되는 메인 보드에 대해 별도의 기능 칩(예: IoT 칩)을 탑재하는 서브기능 보드를 하나이상 적층하고 각 서브기능 보드와 메인 보드를 연속적으로 관통 및 통전하는 쓰루폴 그룹을 구비함으로써 메인 보드와 상기 서브기능 보드 간에 상호 간 송수신되는 신호/데이터의 빠른 응답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소비전력을 개선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드 간 통신 인터페이스에서 기존과 같은 와이어 본딩을 배제함으로써 보드의 간결한 외관을 갖는 장점도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field of fast-changing hybrid (eg IoT sensor) electronic device (eg, set-top box) by additionally stacking one or more sub-function boards while maintaining the main board pattern of the proven standard mounted on the electronic device. As a technology for optimum compatibility, one or more sub-function boards equipped with separate function chips (e.g. IoT chips) are stacked on the main board mounted in the electronic device, and each sub-function board and the main board are continuously penetrated. And a through-pole group for energizing, thereby ensuring fast response of signals /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main board and the sub function board and improving power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lso an advantage of having a concise appearance of the board by eliminating wire bonding as in the conventional interface between boards.

Description

쓰루폴 기반의 PCB 적층 구조를 갖는 전자장치 {electronic device of lamination structure based on through poles}Electronic device of lamination structure based on through poles}

본 발명은 전자장치에 탑재되는 검증된 규격의 메인 보드 패턴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하나이상의 서브기능 보드를 추가적으로 적층하여 최근 빠르게 변화하는 하이브리드(예: IoT 센서 접목) 전자장치(예: 셋톱박스) 분야에 최적의 호환성을 갖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field of fast-changing hybrid (eg IoT sensor) electronic device (eg, set-top box) by additionally stacking one or more sub-function boards while maintaining the main board pattern of the proven standard mounted on the electronic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optimum compatibility.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전자장치에 탑재되는 메인 보드에 대해 별도의 기능 칩(예: IoT 칩)을 탑재하는 서브기능 보드를 하나이상 적층하고 각 서브기능 보드와 메인 보드를 연속적으로 관통 및 통전하는 쓰루폴 그룹을 구비함으로써 메인 보드와 상기 서브기능 보드 간에 상호 간 송수신되는 신호/데이터의 빠른 응답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소비전력을 개선하도록 하는 기술이다.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stacks one or more sub-function boards equipped with a separate function chip (eg IoT chip) with respect to the main board mounted in the electronic device, and continuously penetrates and passes each sub-function board and the main board. By providing a through-pole group that is energized, it is a technology for ensuring fast response of signals /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main board and the sub function board and improving power consumption.

[도 1]은 전자장치에 설치되는 일반적인 PCB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조각 보드가 탑재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FIG.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general PCB installed in an electronic device, and FIG.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iece board is mounted in FIG.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전자장치에 탑재되는 메인 보드(10)는 전자장치가 본래 기본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여러 동작에 대응하여 복수 개의 기능 칩(11a ~ 11e)이 탑재된다.First, referring to FIG. 1, a main board 10 mounted in an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function chips 11a through 11e corresponding to various operations that an electronic device should basically perform.

여기서, 메인 보드(10)는 오랜 시간 동안 개선을 거듭하여 해당 전자장치에 대해서는 그 규격과 기능에 있어서 검증된 패턴을 갖게 된다.Here, the main board 10 has been improved for a long time to have a pattern that has been verified in the standard and func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그런데, 이러한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장치(예: 셋톱박스, 홈게이트웨이)도 최근 다양한 하이브리드 기능(예: IoT 센서)을 접목하는 추세이기 때문에 기 검증된 메인 보드(10)의 규격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새로운 하이브리드 기능을 추가하는 것이 쉽지 않은 일이다.However, since electronic devices (eg, set-top boxes and home gateways) that perform such specific functions have recently been incorporating various hybrid functions (eg, IoT sensors), they have maintained the standard of the main board 10 that has been verified. It's hard to add new hybrid features in a state.

그 결과, [도 2]에서와 같이 메인 보드(10)의 규격은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하이브리드 기능을 담당하는 별도의 기능 칩(21a~21c, 22a~22c)을 탑재한 조각 보드(21,22)를 메인 보드(10)의 상부에 거치하기에 이르렀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2, the fragment boards 21 and 22 equipped with the separate functional chips 21a to 21c and 22a to 22c which are in charge of the hybrid function while maintaining the specifications of the main board 10 as they are. ) Is mounted on top of the main board (10).

그런데, 단기간에 매우 빠르게 발전하는 하이브리드 기능(예: IoT 칩)의 추가를 위해 메인 보드(10)에 복수의 조각 보드(21,22)를 와이어(21c, 22c)로 본딩하는 기술도 매우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order to add a hybrid function (for example, an IoT chip) that develops very quickly in a short time, a technology of bonding the plurality of pieces of boards 21 and 22 to the wires 21c and 22c on the main board 10 is very limited. There is a problem.

예컨대, 메인 보드(10)에 조각 보드(21,22)를 와이어 본딩하는 것은 보드 자체가 매우 어지러워 진다는 문제가 있고, 보드 간 와이어 본딩은 메인 보드(10)의 커넥터와 조각 보드(21,22)의 커넥터 간에 이루어지는데, 통신속도가 매우 제한된 형태의 커넥터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보드 간 빠른 응답성을 확보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For example, wire bonding the piece boards 21 and 22 to the main board 10 has a problem that the board itself becomes very dizzy, and wire bonding between the boards has a connector and a piece board 21 and 22 of the main board 10. ),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impossible to secure fast response between boards because the communication speed must go through a connector of a very limited type.

또한, 메인 보드(10)와 조각 보드(21,22)를 잇는 와이어의 길이가 길어지면 메인 보드(10)로부터 각 조각 보드(21,22)에 전달되는 동작 클럭 속도를 높일 수 없어 여기서도 빠른 응답성을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메인 보드(10)와 조각 보드(21,22)를 잇는 와이어의 길이가 길어지면 그에 비례하여 소비전력이 증가하는 단점도 있다.In addition, if the length of the wire connecting the main board 10 and the piece boards 21 and 22 becomes longer, the operation clock speed transmitted from the main board 10 to the pieces boards 21 and 22 cannot be increased, so the quick response is possible even he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secure the castle, the length of the wire connecting the main board 10 and the piece board (21, 22)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power consumption increases in proportion to it.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전자장치에 탑재되는 기 검증된 패턴의 메인 보드에 대해 빠르게 변화하는 하이브리드 기능의 서브기능 보드를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쓰루폴 기반의 PCB 적층 구조를 갖는 전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view of the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efficiently arranging a sub-function board having a rapidly changing hybrid function with respect to a main board of a predetermined pattern mounted on a specific electronic device.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pole-based PCB stack structure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드 간 통신 인터페이스에서 기존과 같은 커넥터를 배제하여 빠른 응답성을 확보할 수 있는 쓰루폴 기반의 PCB 적층 구조를 갖는 전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through-pole based PCB laminated structure that can ensure a quick response by eliminating the same connector in the board-to-board communication interfac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메인 보드와 서브기능 보드 간 통신 인터페이스를 쓰루폴 형태로 구현하여 보드 간 빠른 응답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쓰루폴 기반의 PCB 적층 구조를 갖는 전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lement a communication interface between the main board and the sub-function board in the form of a through-pole to ensure fast response between boards and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electronics having a through-pole based PCB laminated structure In providing a devic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쓰루폴 기반의 PCB 적층 구조를 갖는 전자장치는 전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이상의 기능 칩이 패터닝되어 전자장치에 탑재되는 메인 보드; 전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이상의 기능 칩이 패터닝되어 메인 보드에 적층되는 서브기능 보드를 하나이상 구비하는 서브기능 보드 그룹; 메인 보드와 서브기능 보드 그룹을 연속적으로 관통 및 통전하여 메인 보드로부터 서브기능 보드 그룹에 대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쓰루폴을 하나이상 구비하는 쓰루폴 그룹;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through-pole based PCB stack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ard on which one or more function chip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are patterned and mounted on the electronic device; A sub function board group including one or more sub function boards on which one or more function chip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are patterned and stacked on the main board; And a through-pole group having one or more power through-poles for continuously supplying and energizing the main board and the sub-function board group to supply power from the main board to the sub-function board group.

그리고, 쓰루폴 그룹은, 메인 보드와 서브기능 보드 그룹을 연속적으로 관통 및 통전하여 메인 보드와 서브기능 보드 간에 상호 간 송수신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전달하는 하나이상의 신호 쓰루폴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through-pole group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signal through-poles for continuously passing and energizing the main board and the sub-function board group to transfer signals or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main board and the sub-function board. have.

한편, 서브기능 보드 그룹은 복수 개의 서브기능 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메인 보드와 서브기능 보드 사이 및 서브기능 보드들 사이에 끼워져 서로 인접하는 보드를 절연시키는 절연시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복수 개의 서브기능 보드는 메인 보드의 일면에 복수의 단으로 적층되어 쓰루폴 그룹과 고정된 상태를 이루고 쓰루폴 그룹 내 전원 쓰루폴 및 신호 쓰루폴에 대해 선택적으로 전기 라인이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ub-function board group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sub-function board, the insulating sheet is inserted between the main board and the sub-function board and between the sub-function board to insulate adjacent boards; The plurality of sub-function boards may be stacked in a plurality of stages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ard to form a fixed state with the through-pole group, and may be configured to selectively connect electrical lines to power through poles and signal through poles in the through pole group. .

다른 한편, 서브기능 보드 그룹은 복수 개의 서브기능 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메인 보드와 서브기능 보드 사이 및 서브기능 보드들 사이에 대응하는 쓰루폴 그룹에 각각 끼워져 서로 인접하는 보드를 절연시키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복수 개의 서브기능 보드는 메인 보드의 일면에 복수의 단으로 적층되어 쓰루폴 그룹과 고정된 상태를 이루고 쓰루폴 그룹 내 전원 쓰루폴 및 신호 쓰루폴에 대해 선택적으로 전기 라인이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ub-function board group comprises a plurality of sub-function boards, each spacer is inserted into a through-pole group corresponding between the main board and the sub-function board and between the sub-function boards to insulate adjacent boards; The plurality of sub-function boards are stacked in a plurality of stages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ard to form a fixed state with the through-pole group, and optionally the electric line for the power through pole and signal through pole in the through pole group. It can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그리고, 서브기능 보드 그룹은 메인 보드로부터 제공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식별하여 선택적으로 반응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ub-function board group is preferably configured to selectively respond to signals or data provided from the main board.

또한, 서브기능 보드 그룹은 블루투스 조각 보드, 무선랜 조각 보드, 지그비 조각 보드, 지웨이브 조각 보드, 하드디스크 콘트롤러 조각 보드, IoT 통신 조각 보드 중 하나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b-function board group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one or more of the Bluetooth engraving board, WLAN engraving board, Zigbee carving board, Z-wave carving board, hard disk controller slice board, IoT communication slice board.

본 발명은 메인 보드에 적층되는 하나이상의 서브기능 보드에 대해 하나이상의 쓰루폴이 관통 및 통전함에 따라 통신 인터페이스하기 때문에 보드 간 빠른 응답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을 나타낸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one or more sub-function boards stacked on the main boar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s one or more through poles pass through and conduct electricity,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advantages of ensuring fast response between boards and reducing power consumption.

또한, 본 발명은 보드 간 통신 인터페이스에서 기존과 같은 커넥터를 배제함에 따라 그 만큼 더 빠른 응답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도 나타낸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so shows the advantage that can be secured faster response by eliminating the same connector as the existing in the board-to-board communication interface.

또한, 본 발명은 보드 간 통신 인터페이스에서 기존과 같은 와이어 본딩을 배제함으로써 보드의 간결한 외관을 갖는 장점도 나타낸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so shows the advantage of having a concise appearance of the board by eliminating the wire bonding as in the conventional interface between boards.

또한, 본 발명은 메인 보드와 복수 개의 서브기능 보드를 효율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전자장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도 나타낸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advantage that the internal space of the electronic device can be efficiently utilized by efficiently arranging the main board and the plurality of sub-function boards.

또한, 본 발명은 메인 보드와 서브기능 보드 그룹을 쓰루폴 그룹을 통해 적층함으로써 전자장치의 외부 형상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도 나타낸다. (즉, 종래기술에서는 전자장치의 형태가 수평으로 넓거나 수직으로 세워진 형상으로 구성해야 하고, 다른 형상으로 만들면 공간 낭비 요소가 매우 컷음.)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so shows the advantage that the external shape of the electronic device can be variously implemented by stacking the main board and the sub-function board group through the through-pole group. (In other words, in the prior art, the shape of the electronic device should be configured in a horizontally or vertically oriented shape, and if it is made in another shape, the space waste factor is very cut.)

[도 1]은 전자장치에 설치되는 일반적인 PCB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도 1]에 조각 보드가 탑재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 보드에 적층되는 서브기능 보드 그룹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의 메인 보드와 서브기능 보드에 쓰루폴 그룹이 관통한 상태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된 상태를 일부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도 5]의 메인 보드와 서브기능 보드 사이 및 서브기능 보드들 사이에 절연시트가 적층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도 5]의 메인 보드와 서브기능 보드 사이 및 서브기능 보드들 사이에 대응하는 쓰루폴 그룹에 스페이서가 각각 끼어진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general PCB installed in the electronic device,
FIG.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engraving board is mounted in FIG. 1;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group of sub-function boards stacked on the main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through-pole group penetrates the main board and the sub function board of FIG. 3;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the combined state of [4],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insulation sheet is stacked between a main board and a sub function board of FIG. 5 and a sub function boar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spacers are respectively sandwiched in a through-pole group corresponding between a main board and a sub function board and a sub function board of FIG. 5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 보드에 적층되는 서브기능 보드 그룹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메인 보드와 서브기능 보드에 쓰루폴 그룹이 관통한 상태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된 상태를 일부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ub-function board group stacked on a main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shows a state where the through-pole group penetrates the main board and the sub-function board of FIG. 3.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the combined state of [FIG. 4].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쓰루폴 기반의 PCB 적층 구조를 갖는 전자장치는 메인 보드(110), 서브기능 보드 그룹, 쓰루폴 그룹(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3 to 5,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through-pole based PCB stack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ard 110, a sub-function board group, and a through pole group 130. do.

메인 보드(110)는 전자장치(예: 셋톱박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이상의 기능 칩(111a ~ 111c)이 패터닝되어 전자장치에 탑재된다.The main board 110 is patterned with one or more function chips 111a to 111c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eg, set-top box) and mounted on the electronic device.

한편, 메인 보드(110)는 오랜 시간 동안 개선을 거듭하여 해당 전자장치에 대해서는 그 규격과 기능에 있어서 검증된 패턴을 갖고 있기 때문에 빠르게 변화하는 하이브리드 기능(예: IoT 칩)에 대응하여 그때그때 규격을 변경하기 어려운 환경에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main board 110 has been improved for a long time and has a proven pattern in its specifications and functions for the corresponding electronic device, the standard at that time in response to a rapidly changing hybrid function (for example, an IoT chip) It is in an environment that is difficult to change.

즉, 메인 보드(110)가 갖고 있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메인 보드(110)에는 별도의 기능 칩을 탑재한 서브기능 보드를 구비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서브기능 보드 그룹은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서브기능 보드(121 ~ 1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at is,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main board 110, the main board 110 needs to include a sub function board mounted with a separate function chip. For this purpose, the sub function board group preferably includes a plurality of sub function boards. The sub function boards 121 to 126 are configured to be included.

여기서, 서브기능 보드 그룹은 블루투스 조각 보드, 무선랜 조각 보드, 지그비 조각 보드, 지웨이브 조각 보드, 하드디스크 콘트롤러 조각 보드, IoT 통신 조각 보드 중 하나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sub-function board group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Bluetooth engraving board, a WLAN engraving board, a Zigbee carving board, a wave wave carving board, a hard disk controller carving board, IoT communication slice board.

한편, 각 서브기능 보드(121 ~ 126)에 탑재되는 기능 칩(121a 내지 126c)은 전자장치에서 각자 담당하는 해당 하이브리드 기능(예: IoT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Meanwhile, the function chips 121a to 126c mounted on each of the sub function boards 121 to 126 are configured to perform a corresponding hybrid function (for example, IoT function) which is in charge of each electronic device.

또한, 메인 보드(110)에 대해 채용된 복수 개의 서브기능 보드(121 ~ 126)는 메인 보드(110)와의 관계에서 빠른 응답성을 유지하면서 소비전력을 크게 증가시키지 않는 것이 매우 중요한 이슈이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ub-function boards 121 to 126 employed for the main board 110 is a very important issue that does not significantly increase the power consumption while maintaining fast response in relation to the main board 110.

이를 위해, 쓰루폴 그룹(130)은 메인 보드(110)와 서브기능 보드 그룹을 연속적으로 관통 및 통전하여 메인 보드(110)로부터 서브기능 보드 그룹에 대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쓰루폴(131)을 하나이상 구비한다.To this end, the through-pole group 130 continuously penetrates and energizes the main board 110 and the sub-function board group to provide a power through-pole 131 for supplying power to the sub-function board group from the main board 110. One or more.

그리고, 쓰루폴 그룹(130)은, 메인 보드(110)와 서브기능 보드 그룹을 연속적으로 관통 및 통전하여 메인 보드(110)와 서브기능 보드(121 ~ 126) 간에 상호 간 송수신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전달하는 하나이상의 신호 쓰루폴(13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through-pole group 130 continuously passes and energizes the main board 110 and the sub function board group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or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main board 110 and the sub function boards 121 to 126. It further comprises one or more signal through poles 132 to transmit.

이처럼, 쓰루폴 그룹(130)은 메인 보드(110)에 적층되는 하나이상의 서브기능 보드(121 ~ 126)에 대해 관통 및 통전하여 통신 인터페이스하기 때문에 메인 보드(110)와 서브기능 보드(121 ~ 126) 간 빠른 응답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As such, the through-pole group 130 penetrates and energizes one or more sub-function boards 121 to 126 stacked on the main board 110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reby communicating the main board 110 and the sub-function boards 121 to 126.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while ensuring quick response time between

예컨대, 메인 보드(110)와 각 서브기능 보드(121 ~ 126)를 잇는 연결 라인의 길이를 짧게 하면 메인 보드(110)로부터 각 서브기능 보드(121 ~ 126))에 전달하는 동작 클럭 속도를 높일 수 있어 빠른 응답성을 확보할 수 있고, 메인 보드(110)와 서브기능 보드(121 ~ 126)를 잇는 연결 라인의 길이가 짧아지면 그에 비례하여 소비전력이 절감된다.For example, shortening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line connecting the main board 110 and each sub function board 121 to 126 increases the operation clock speed transmitted from the main board 110 to each sub function board 121 to 126. As a result, fast response can be secured, and a shorter connection line connecting the main board 110 and the sub function boards 121 to 126 reduces power consumption in proportion thereto.

또한, 메인 보드(110)와 서브기능 보드(121 ~ 126) 간의 통신 인터페이스에서 기존과 같은 커넥터를 배제함에 따라 그 만큼 더 빠른 응답성을 확보할 수도 있다.In addition, by removing the same connector from the communication interface between the main board 110 and the sub-function board (121 ~ 126) it can also ensure a faster response.

한편, 신호 쓰루폴(132)은 어드레스 라인과 데이터 라인으로 구분될 수 있다. 어드레스 라인은 메인 보드(110)에 탑재된 콘트롤러가 복수 개의 서브기능 보드(121 ~ 126)에 지정 신호를 전송하는 경로를 나타낸다.Meanwhile, the signal through pole 132 may be divided into an address line and a data line. The address line indicates a path through which the controller mounted on the main board 110 transmits a designated signal to the plurality of sub function boards 121 to 126.

그리고, 데이터 라인은 앞서 어드레스 라인을 통해 전송된 지정 신호에 대응하는 서브기능 보드가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여 해당 어드레스 라인을 통한 지정 신호에 응답하도록 구성된다.The data lin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ub-function board corresponding to the designation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address line outputs an electrical signal and responds to the designation signal through the address line.

다른 한편, 서브기능 보드 그룹에 속한 서브기능 보드(121 ~ 126)는 각각 메인 보드(11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식별하여 선택적으로 반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ub-function boards 121 to 126 belonging to the sub-function board group may be configured to selectively react by identifying signals or data provided from the main board 110, respectively.

상세하게, 각 서브기능 보드(121 ~ 126)는 자신 보드로 관통하는 쓰루폴 그룹(130) 중 자신 보드에 필요한 쓰루폴은 자신 보드에 탑재된 기능 칩과 전기 라인 패터닝으로 연결되고, 자신 보드에 불필요한 쓰루폴은 납땜 고정만 하여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detail, each of the sub-function boards 121 through 126 is connected to the board through a function chip mounted on the board and electrical line patterning of the through-pole group 130 penetrating to the board. Unnecessary through poles can be held fixed by soldering only.

결국, 각 서브기능 보드(121 ~ 126)는 자신 보드로 관통하는 쓰루폴 그룹(130) 중 자신 보드에 탑재된 기능 칩과 전기 라인으로 패터닝 연결된 쓰루폴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식별하여 반응하게 된다.As a result, each of the sub-function boards 121 to 126 identifies and responds to signals or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through-poles patterned by the electric chip and the function chip mounted on the board of the through-pole group 130 penetrating the board. Done.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도 5]의 메인 보드와 서브기능 보드 사이 및 서브기능 보드들 사이에 절연시트가 적층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FIG. 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insulating sheets are stacked between the main board and the sub function board of FIG. 5 and the sub function board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서, 서브기능 보드 그룹은 복수 개의 서브기능 보드(121 ~ 126)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절연시트(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a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 function board group may include a plurality of sub function boards 121 to 126, and may further include an insulating sheet 140. have.

절연시트(140)는 메인 보드(110)와 서브기능 보드 사이(121) 및 서브기능 보드들(121 ~ 126) 사이에 끼워져 서로 인접하는 보드를 절연시킨다. 결국, 메인 보드(110)와 각 서브기능 보드(121 ~ 126) 간에는 쓰루폴 그룹(130)을 통해서만 통전되고 신호 또는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진다.The insulating sheet 140 is inserted between the main board 110 and the sub function board 121 and the sub function boards 121 to 126 to insulate the boards adjacent to each other. As a result, the main board 110 and each of the sub-function boards 121 to 126 are energized only through the through-pole group 130 and signal or data transmission is performed.

이때, 복수 개의 서브기능 보드(121 ~ 126)는 메인 보드(110)의 일면에 복수의 단으로 적층되어 쓰루폴 그룹(130)과 고정된 상태를 이루고 쓰루폴 그룹(130) 내 전원 쓰루폴(131) 및 신호 쓰루폴(132)에 대해 선택적으로 전기 라인이 연결된다.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sub-function boards 121 to 126 are stacked in a plurality of stages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ard 110 to form a fixed state with the through-pole group 130 and the power through-pole in the through-pole group 130 ( An electrical line is optionally connected to 131 and signal through pole 132.

즉, 각 서브기능 보드(121 ~ 126)는 자신 보드로 관통하는 쓰루폴 그룹(130) 중 자신 보드에 필요한 쓰루폴은 자신 보드에 탑재된 기능 칩과 전기 라인 패터닝으로 연결되고, 자신 보드에 불필요한 쓰루폴은 납땜 고정만 하여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at is, each sub-function board 121 through 126 is a through-pole necessary for its board among the through-pole groups 130 penetrating to its own board, and is connected to the functional chip mounted on its board by electric line patterning, and is unnecessary for its own board. Through-poles can remain fixed by soldering only.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도 5]의 메인 보드와 서브기능 보드 사이 및 서브기능 보드들 사이에 대응하는 쓰루폴 그룹에 스페이서가 각각 끼어진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spacers are respectively sandwiched in a through-pole group corresponding between a main board and a sub function board and a sub function board of FIG. 5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서, 서브기능 보드 그룹은 복수 개의 서브기능 보드(121 ~ 126)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스페이서(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a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function board group may include a plurality of sub-function boards 121 to 126, and may further include a spacer 150. .

스페이서(150)는 메인 보드(110)와 서브기능 보드(121) 사이 및 서브기능 보드들(121 ~ 126) 사이에 대응하는 쓰루폴 그룹(130)에 각각 끼워져 서로 인접하는 보드를 절연시킨다.The spacer 15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pole group 130 corresponding to each other between the main board 110 and the sub function board 121 and between the sub function boards 121 to 126 to insulate the boards adjacent to each other.

즉, 메인 보드(110)와 서브기능 보드(121) 사이 및 서브기능 보드들(121 ~ 126) 사이를 빈 공간으로 유지한 상태로 그 빈 공간을 스페이서(150)가 지지하게 된다.That is, the spacer 150 supports the empty space while maintaining the empty space between the main board 110 and the sub function board 121 and the sub function boards 121 to 126.

여기서도, 메인 보드(110)와 각 서브기능 보드(121 ~ 126) 간에는 쓰루폴 그룹(130)을 통해서 통전되고 쓰루폴 그룹(130)을 통해서 신호 또는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진다.Here, the main board 110 and each of the sub-function boards 121 to 126 are energized through the through-pole group 130 and a signal or data transmission is performed through the through-pole group 130.

이때, 복수 개의 서브기능 보드(121 ~ 126))는 메인 보드(110)의 일면에 복수의 단으로 적층되어 쓰루폴 그룹(130)과 고정된 상태를 이루고 쓰루폴 그룹(130) 내 전원 쓰루폴(131) 및 신호 쓰루폴(132)에 대해 선택적으로 전기 라인이 연결된다.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sub-function boards 121 to 126 are stacked in a plurality of stages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ard 110 to form a fixed state with the through-pole group 130 and the power-through pole in the through-pole group 130. An electrical line is optionally connected to 131 and signal through pole 132.

즉, 각 서브기능 보드(121 ~ 126)는 자신 보드로 관통하는 쓰루폴 그룹(130) 중 자신 보드에 필요한 쓰루폴은 자신 보드에 탑재된 기능 칩과 전기 라인 패터닝으로 연결되고, 자신 보드에 불필요한 쓰루폴은 납땜 고정만 하여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at is, each sub-function board 121 through 126 is a through-pole necessary for its board among the through-pole groups 130 penetrating to its own board, and is connected to the functional chip mounted on its board by electric line patterning, and is unnecessary for its own board. Through-poles can remain fixed by soldering only.

10 : 메인 보드
11a ~ 11e : 기능 칩
12a ~ 12c : 커넥터
21, 22 : 조각 보드
21a, 21b, 22a, 22b : 기능 칩
21c, 22c : 와이어
110 : 메인 보드
111a ~ 111c : 기능 칩
121 ~ 126 : 서브기능 보드
121a ~ 121c : 기능 칩
122a ~ 122c : 기능 칩
123a ~ 123c : 기능 칩
124a ~ 124c : 기능 칩
125a ~ 125c : 기능 칩
126a ~ 126c : 기능 칩
130 : 쓰루폴 그룹
131 : 전원 쓰루폴
132 : 신호 쓰루폴
140 : 절연시트
150 : 스페이서
10: main board
11a ~ 11e: function chip
12a to 12c: connector
21, 22: engraving board
21a, 21b, 22a, 22b: function chip
21c, 22c: wire
110: main board
111a ~ 111c: function chip
121 ~ 126: Sub function board
121a ~ 121c: function chip
122a to 122c: function chip
123a ~ 123c: function chip
124a ~ 124c: function chip
125a ~ 125c: function chip
126a ~ 126c: function chip
130: Throughfall Group
131: power through pole
132: signal through pole
140: insulation sheet
150: spacer

Claims (6)

전자장치의 동작 제어를 위한 하나이상의 기능 칩을 구비하고 전자장치에 탑재되는 메인 보드(110);
상기 전자장치의 하이브리드 기능을 위한 하나이상의 기능 칩을 각각 구비한 서브기능 보드를 복수 개 구비하는 서브기능 보드 그룹;
상기 메인 보드와 상기 서브기능 보드(121) 사이 및 상기 복수 개의 서브기능 보드들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지지함으로써 서로 인접하는 보드 간에 빈 공간을 형성하여 상호 이격시키는 복수 개의 스페이서(150);
각각이 도전성의 길다란 폴(pole)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 보드와 상기 서브기능 보드 그룹과 이들 보드 간의 빈 공간을 연속적으로 관통하는 쓰루폴(through poles)을 다수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쓰루폴 그룹(130)으로서, 상기 메인 보드와 상기 서브기능 보드 그룹을 통전하여 상기 메인 보드로부터 상기 서브기능 보드 그룹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하나이상의 전원 쓰루폴(131) 및 상기 메인 보드와 상기 서브기능 보드 그룹을 선택적으로 통전하여 상기 메인 보드와 상기 서브기능 보드 간에 상호간 송수신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하나이상의 신호 쓰루폴(13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쓰루폴 그룹(13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스페이서(150)는 상기 쓰루폴 그룹에서 상기 서로 인접하는 보드 사이에 노출되어 있는 폴 부분에 각각 끼워짐으로써 상기 서로 인접하는 보드 간에 빈 공간을 형성하여 상호 이격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서브기능 보드(121 ~ 126)는 상기 메인 보드(110)의 일면으로 상기 복수 개의 스페이서(150)에 의해 이격된 상태로 복수의 단으로 적층되어 상기 쓰루폴 그룹과 고정된 상태를 이루고, 상기 쓰루폴 그룹 내 상기 전원 쓰루폴(131) 및 상기 신호 쓰루폴(132)에 대해 자신 보드에 필요한 쓰루폴은 자신 보드에 탑재된 기능 칩과 전기 라인 패터닝으로 연결되고 자신 보드에 불필요한 쓰루폴은 납땜 고정만 하여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루폴 기반의 PCB 적층 구조를 갖는 전자장치.
A main board 110 having one or more function chip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mounted on the electronic device;
A sub-function board group including a plurality of sub-function boards each including one or more function chips for hybrid functions of the electronic device;
A plurality of spacers 150 disposed between and supported by the main board and the sub function board 121 and between the plurality of sub function boards, respectively, to form an empty space between adjacent boards an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through-pole group 130 each comprising a conductive long pole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poles continuously passing through the main board, the sub-function board group, and an empty space between the boards. At least one power through pole 131 for selectively supplying power from the main board to the sub-function board group, and selectively energizing the main board and the sub-function board group. A through-pole group 130 including one or more signal through-poles 132 for transmitting signals or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main board and the sub-function boards;
It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plurality of spacers 150 are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forming empty spaces between the boards adjacent to each other by being fitted in the pole portions exposed between the board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through-pole group.
The plurality of sub function boards 121 to 126 are stacked in a plurality of stages in a state spaced apart by the plurality of spacers 150 to one surface of the main board 110 to form a fixed state with the through-pole group. The through poles required for the board for the power through pole 131 and the signal through pole 132 in the through pole group are connected to a function chip mounted on the board by electrical line patterning and unnecessary through poles on the board.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through-pole based PCB laminat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remain fixed only by soldering fix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브기능 보드 그룹은 상기 메인 보드로부터 제공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식별하여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루폴 기반의 PCB 적층 구조를 갖는 전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ub function board group selectively reacts by identifying a signal or data provided from the main board.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서브기능 보드 그룹은 블루투스 조각 보드, 무선랜 조각 보드, 지그비 조각 보드, 지웨이브 조각 보드, 하드디스크 콘트롤러 조각 보드, IoT 통신 조각 보드 중 하나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루폴 기반의 PCB 적층 구조를 갖는 전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sub-function board group is a through-pol based boar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one or more of the Bluetooth engraving board, WLAN engraving board, Zigbee engraving board, Z-wave engraving board, hard disk controller engraving board, IoT communication engraving board Electronic device having a PCB stack structure.
KR1020170001226A 2017-01-04 2017-01-04 electronic device of lamination structure based on through poles Active KR1020237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1226A KR102023772B1 (en) 2017-01-04 2017-01-04 electronic device of lamination structure based on through po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1226A KR102023772B1 (en) 2017-01-04 2017-01-04 electronic device of lamination structure based on through po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0468A KR20180080468A (en) 2018-07-12
KR102023772B1 true KR102023772B1 (en) 2019-09-20

Family

ID=62919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1226A Active KR102023772B1 (en) 2017-01-04 2017-01-04 electronic device of lamination structure based on through po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377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4996B1 (en) * 2019-02-19 2021-02-10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Power system
KR102659556B1 (en) 2019-07-17 2024-04-23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including interpos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03531B (en) * 2000-09-28 2002-09-21 Toshiba Corp Multi-layered semiconductor apparatus
KR101766725B1 (en) * 2010-10-06 2017-08-09 삼성전자 주식회사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chip stack, Semiconductor system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0468A (en) 2018-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13496A1 (en) Structure, printed circuit board, antenna, transmission line waveguide converter, array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WO2008054710A3 (en) Filter package
WO2007117489A3 (en) Modular electronic header assembly and methods of manufacture
KR102023772B1 (en) electronic device of lamination structure based on through poles
CN204089494U (en) Motor
JP2009247138A5 (en)
CN202513015U (en) Planar transformer
TW200603694A (en) Printed wiring board with conductive constraining core including resin filled slots
CN103906377B (en) The manufacture method for carrying the circuit board of high current and the circuit board for carrying high current
JP2015126228A (en) Integrated package type wireless charger
US20120099285A1 (en) Laminated substrate with coils
CN203119131U (en) Wire connector
JP5604083B2 (en) Power semiconductor module with control function and built-in transmitter
CN104349572A (en) Printed circuit board
CN103906378B (en) Manufacturing method of circuit board for bearing large current and circuit board for bearing large current
JP2010192643A (en) Common mode noise filter
CN108028452B (en) Circulator module design with built-in directional coupler fun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4953230B (en) Antenna fixing structure
CN210040807U (en) Multi-input network interface converter
JP5675489B2 (en) Multi-layer structure of connector module
KR20130072525A (en) Power combiner
US20150331458A1 (en) Computer and high-density server accommodating multiple modules
CN201797426U (en) Brushless motor stator
CN207868418U (en) A kind of support connecting plate with signal transfer functions pcb board
JP2008520098A (en) Two piece intermediate 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9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9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