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9111B1 - 저삽입력 커넥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저삽입력 커넥터 어셈블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19111B1 KR102019111B1 KR1020170086293A KR20170086293A KR102019111B1 KR 102019111 B1 KR102019111 B1 KR 102019111B1 KR 1020170086293 A KR1020170086293 A KR 1020170086293A KR 20170086293 A KR20170086293 A KR 20170086293A KR 102019111 B1 KR102019111 B1 KR 1020191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n
- connector
- longitudinal direction
- width direction
- outer memb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3—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nected with pivoting of printed circuits or like after inser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종래의 커넥터 어셈블리를 이루는 제1 커넥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종래의 커넥터 어셈블리를 이루는 제1 커넥터를 도시한 저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5-5선에 따른 제1 커넥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종래의 커넥터 어셈블리를 이루는 제2 커넥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종래의 커넥터 어셈블리를 이루는 제2 커넥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7은 종래의 커넥터 어셈블리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15-15선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7의 15-15선에 따른 완전 감합 상태의 도 8과 동일한 커넥터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르는 저삽입력 커넥터 어셈블리를 이루는 제1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제1 커넥터를 이루는 외측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12는 도 10에 도시한 제1 커넥터를 이루는 외측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0에 도시한 제1 커넥터를 이루는 중간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14 및 도 15는 도 10에 도시한 제1 커넥터를 이루는 핀모듈의 사시도이며,
도 16은 도 10에 도시한 제1 커넥터를 이루는 상부부재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0에 도시한 제1 커넥터를 이루는 상부부재, 구동축 및 핸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8 및 도 19는 도 10에 도시한 제1 커넥터를 이루는 외측부재에 핀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0은 도 10에 도시한 제1 커넥터를 이루는 외측부재, 중간부재 및 상부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저삽입력 커넥터 어셈블리를 이루는 제2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저삽입력 커넥터 어셈블리를 이루는 제2 커넥터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며,
도 23은 도 22의 좌측 단부 일부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저삽입력 커넥터 어셈블리를 이루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가로 방향 단면도이며,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저삽입력 커넥터 어셈블리를 이루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길이 방향 단면도이고,
도 26은 제1 커넥터의 설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르는 저삽입력 커넥터 어셈블리를 이루는 제2 커넥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8 및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저삽입력 커넥터 어셈블리를 이루는 제2 커넥터의 핀 형태의 변형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110 : 외측부재 120 : 중간부재
130 : 상부부재 140 : 핀모듈
150 : PCB 160 : 구동축
170 : 핸들
200 : 제2커넥터 210 : 커넥터본체
220 : 핀
Claims (9)
-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커넥터(100)와 제2 커넥터(20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커넥터(100)에는 제2 커넥터(200)를 향하는 방향에 제2 커넥터(200)의 커넥터삽입부(211)가 삽입되도록 단면이 직사각형인 오목한 삽입홈부(101)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부(101)의 길이 방향 양측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1커넥터체결공(123g)이 형성되어 제1커넥터체결공(123g)에 삽입된 설치볼트(B)에 의하여 테스트헤드(A)에 결합되며, 상기 삽입홈부(101)에는 제2 커넥터(200)를 향하여 돌출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상부부재돌출부(133)가 구비되고,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핀(142)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핀모듈(140)이 폭 방향으로 배열 구비되어 핀모듈(140)과 이웃하는 핀모듈(140)에 구비되는 핀(142)은 폭 방향으로 이격되며, 폭 방향으로 이격된 핀(142) 사이에 위치하여 회전하면서 핀(142)을 폭 방향 외측으로 가압하는 구동축(160)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상부부재돌출부(133)의 측면은 삽입홈부(101)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고, 핀모듈(140)을 이루는 핀(142)은 상부부부재돌출부(133)의 폭 방향 양측으로 노출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제2 커넥터(200)에는 상기 삽입홈부(101)에 삽입되는 단면이 직사각형인 커넥터삽입부(211)가 구비되고, 상기 커넥터삽입부(211)에는 제1 커넥터(100)를 향하여 개구되어 상기 상부부재돌출부(133)가 삽입되는 커넥터오목부(210a)가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오목부(210a)의 폭 방향 양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핀(220)이 구비되어, 상기 커넥터삽입부(211)가 삽입홈부(101)에 삽입되면서 상부부재돌출부(133)가 커넥터오목부(210a)에 삽입된 때 상기 제1 커넥터(100)의 핀(142)과 제2 커넥터(200)의 핀(220)은 폭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여 배열되며;
상기 제1 커넥터(100)는 폭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여 구비되어 상기 삽입홈부(101)를 형성하는 2개의 외측부재(110)와, 폭 방향으로 상기 외측부재(110) 사이에 위치하며 길이 방향 양측에 상기 제1커넥터체결공(123g)이 형성된 중간부재(120)와, 상기 중간부재(120)의 폭 방향 양측으로 중간부재(120)와 외측부재(110) 사이에서 각각 2개씩 구비되어 4개가 구비되는 핀모듈(140)과, 폭 방향 양측이 상기 외측부재(110)에 삽입되어 중간부재(120)의 상부로 구비되어 상기 상부부재돌출부(133)를 포함하는 상부부재(130)와, 상기 상부부재(130)의 하부로 중간부재(120)와 외측부재(110) 사이에서 각각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길이 방향 일측으로 단부가 돌출된 2개의 구동축(160)과, 상기 구동축(160)의 돌출된 단부에 구비되는 핸들(170)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간부재(12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의 중간부재본체부(121)와, 상기 중간부재본체부(121)의 길이 방향 양단에 구비되며 폭 방향 양측으로 돌출된 중간부재측부(123)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간부재측부(123)는 상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중간부재측부돌기(123h)가 구비되고, 상단은 중간부재본체부(121)의 상단보다 상향 돌출되며, 상기 중간부재본체부(121)는 폭 방향 양측에 상부로부터 하향할수록 두께가 증가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중간부재제1면(121c)과, 상기 중간부재제1면(121c)으로부터 하향 이격되며 오목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중간부재핀부삽입홈(121a)을 가지며;
상기 중간부재측부(123)는 길이 방향 내측에 두께 감소하여 길이 방향으로 내향하는 턱면과 하향하는 턱면을 형성하는 PCB안착부(123e)를 가지며, 상기 PCB안착부(123e)에는 폭방향으로 관통된 PCB체결공(123f)이 형성되며,
상기 중간부재측부(123)의 중간부재측부돌기(123h)의 폭방향 양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오목한 중간부재축홈(123a)이 형성되고, 상기 제1커넥터체결공(123g)은 중간부재측부돌기(123h)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중간부재핀부삽입홈(121a)은 외측부재(110)를 이루는 외측부재본체부(111)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오목하게 형성되어 핀모듈(140)이 삽입되는 외측부재핀부삽입홈(111c)과 마주하며;
상기 중간부재축홈(123a)은 외측부재(110)를 이루는 외측부재측부(113)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오목하게 형성된 외측부재축홈(113a)과 마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삽입력 커넥터 어셈블리.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핀모듈(14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형상의 핀모듈본체(141)와, 상기 핀모듈본체(141)의 상부에서 상향 연장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의 핀모듈지지부(143)와,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상하 방향으로 핀모듈본체(141)와 핀모듈지지부(143)를 관통하여 상단이 핀모듈지지부(143)의 상부로 돌출되고 하단이 핀모듈본체(141)의 하부로 돌출된 복수의 핀(14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핀모듈본체(141)의 폭 방향 일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핀모듈결합홈(147)과 핀모듈결합돌기(145)가 구비되어;
중간부재(120)와 외측부재(110) 사이에 구비되는 2개의 핀모듈(140)은 일측의 핀모듈(140)의 핀모듈본체(141)에 구비되는 핀모듈결합홈(147)에 타측과 핀모듈결합돌기(145)가 삽입되고, 일측의 핀모듈(140)의 핀모듈본체(141)에 형성된 핀모듈결합홈(147)에 타측의 핀모듈결합돌기(145)가 삽입되어, 중간부재(120)와 외측부재(110) 사이에서 폭 방향으로 적층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삽입력 커넥터 어셈블리.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부재본체부(111)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이고, 상기 외측부재측부(113)는 외측부재본체부(111)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구비되며 폭 방향으로 내향 돌출되며, 본체내면(111a)이 외측부재본체부(111)의 상단부에 경사지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외측부재(110)는 외측부재측부(113)의 상단부에서 폭 방향 내향 돌출된 외측부재돌기부(115)를 더 포함하며,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외측부재(110)는 외측부재돌기부(115)의 단부가 서로 접하여 결합되며, 측부내면(115a)이 외측부재돌기부(115)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며;
상기 외측부재본체부(111)에는 상기 본체내면(111a)의 하부로 오목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상부부재삽입홈(111b)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부재핀부삽입홈(111c)은 상부부재삽입홈(111b)의 하부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외측부재축홈(113a)은 외측부재측부(113)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구동축(160)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외측부재측부(113)에는 하향하는 턱면을 형성하며 외측부재본체부(111)보다 하향 연장되며 폭 방향으로 관통된 PCB체결공(113f)이 형성된 외측부재하부돌기(113b)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삽입력 커넥터 어셈블리. - 삭제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핀모듈본체(141)의 핀모듈결합홈(147)과 핀모듈결합돌기(145)가 구비된 폭 방향 반대측 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오목한 핀모듈본체홈(141a)이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외측부재핀부삽입홈(111c)에는 폭 방향 내향 돌출되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핀부삽입돌기(111e)가 구비되고, 상기 중간부재핀부삽입홈(121a)에는 폭 방향으로 외측부재(110)를 향하여 돌출되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중간부재핀부돌기부(121b)가 구비되어, 핀모듈(140)이 외측부재(110)에 결합될 때 핀모듈본체(141)는 외측부재핀부삽입홈(111c)에 삽입되고 핀부삽입돌기(111e)는 핀모듈본체홈(141a)에 삽입되며, 핀모듈(140)이 중간부재(120)에 결합될 때 핀모듈본체(141)는 중간부재핀부삽입홈(121a)에 삽입되고 중간부재핀부돌기부(121b)는 핀모듈본체홈(141a)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삽입력 커넥터 어셈블리.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부재측부(113)에는 외측부재핀부삽입홈(111c)이 형성된 위치에 길이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여 오목하게 형성되며 외측부재핀부삽입홈(111c)과 단부가 연결된 측부오목지지면(113g)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부재측부(123)에는 중간부재핀부삽입홈(121a)이 형성된 위치에 길이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며 오목하게 형성되며 중간부재핀부삽입홈(121a)과 단부가 연결된 중간부재오목지지면(123d)이 형성되어; 중간부재(120)와 외측부재(110) 사이에 구비되는 2개의 핀모듈(140) 중 일측 핀모듈(140)의 핀모듈본체(141)의 길이 방향 양단부는 측부오목지지면(113g)과 마주하여 구비되고, 타측 핀모듈(140)의 핀모듈본체(141)의 길이 방향 양단부는 중간부재오목지지면(123d)과 마주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삽입력 커넥터 어셈블리.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200)는 커넥터본체(210)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본체(210)는 단면이 직사각형이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커넥터본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넥터삽입부(211)는 커넥터본체부의 하부로부터 하향하는 커넥터턱면(213)을 형성하여 하향 연장되어 구비되고, 상기 커넥터오목부(210a)는 폭방향을 이격되어 2개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본체(210)에는 하부가 커넥터오목부(210a)에 연통되고 상향 연장되어 상부로 개구된 커넥터본체핀홀(217)이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본체핀홀(217)은 상기 커넥터오목부(210a)의 폭 방향 양측면에 위치되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따라 복수로 형성되며, 커넥터오목부(210a)의 폭 방향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핀(220)은 커넥터본체핀홀(217)에 삽입되어 상단이 커넥터본체(210)이 상부로 돌출되고, 하부는 커넥터오목부(210a)에 위치하여 커넥터오목부(210a)로 노출 구비되어, 복수의 핀(220)은 각 커넥터오목부(210a)에 2열씩 4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저삽입력 커넥터 어셈블리.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본체핀홀(217)의 상부에는 커넥터오목부(210a)를 사이에 두고 폭 방향으로 외측으로 확장된 핀홀확장부(219)를 가지며; 상기 핀(220)은 상하로 연장된 막대 형상의 제1핀부(221)와, 상기 제1핀부(221)의 상단으로부터 폭 방향 외측으로 절곡되어 핀홀확장부(219)로 경사 연장된 제2핀부(223)와, 상기 제2핀부(223)의 단부으로부터 폭 방향 내측으로 절곡되어 폭 방향 내향 경사 연장된 제3핀부(225)와, 상기 제3핀부(225)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단부가 커넥터본체(210)를 향하도록 경사진 제4핀부(227)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핀부(225)와 제4핀부(227) 사이에 구비되는 절곡부는 커넥터오목부(210a)의 내면보다 폭 방향 내측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삽입력 커넥터 어셈블리.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핀(220)은 상하로 연장된 막대 형상의 제1핀부(221)와, 상기 제1핀부(221)의 상단으로부터 폭 방향 내향 경사지게 절곡 연장되는 제3핀부(225)와, 상기 제3핀부(225)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단부가 커넥터본체(210)를 향하도록 경사진 제4핀부(227)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핀부(225)와 제4핀부(227) 사이에 구비되는 절곡부는 커넥터오목부(210a)의 내면보다 폭 방향 내측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삽입력 커넥터 어셈블리.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86293A KR102019111B1 (ko) | 2017-07-07 | 2017-07-07 | 저삽입력 커넥터 어셈블리 |
CN201880028418.XA CN110573888B (zh) | 2017-04-12 | 2018-04-11 | 低插入力连接器组件及半导体部件试验装置 |
PCT/KR2018/004243 WO2018190633A1 (ko) | 2017-04-12 | 2018-04-11 | 저삽입력 커넥터 어셈블리 및 반도체 부품 시험 장치 |
US16/604,572 US11112448B2 (en) | 2017-04-12 | 2018-04-11 | Low insertion force connector assembly and semiconductor component test apparatus |
US17/351,184 US11525855B2 (en) | 2017-04-12 | 2021-06-17 | Low insertion force connector assembly and semiconductor component test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86293A KR102019111B1 (ko) | 2017-07-07 | 2017-07-07 | 저삽입력 커넥터 어셈블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5520A KR20190005520A (ko) | 2019-01-16 |
KR102019111B1 true KR102019111B1 (ko) | 2019-09-09 |
Family
ID=65280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86293A Active KR102019111B1 (ko) | 2017-04-12 | 2017-07-07 | 저삽입력 커넥터 어셈블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19111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87703B1 (ko) * | 2010-04-13 | 2010-10-13 | (주)케미텍 | 커넥터 |
JP2014044800A (ja) * | 2012-08-24 | 2014-03-13 | Tyco Electronics Japan Kk | 低挿入力型コネクタ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710705B2 (ja) | 2000-11-30 | 2005-10-26 |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 低挿入力型コネクタ |
KR100951919B1 (ko) * | 2009-11-23 | 2010-04-09 | (주)케미텍 | 반도체 시험용 커넥터 어셈블리 |
-
2017
- 2017-07-07 KR KR1020170086293A patent/KR102019111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87703B1 (ko) * | 2010-04-13 | 2010-10-13 | (주)케미텍 | 커넥터 |
JP2014044800A (ja) * | 2012-08-24 | 2014-03-13 | Tyco Electronics Japan Kk | 低挿入力型コネクタ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5520A (ko) | 2019-01-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678696B2 (ja) | 平坦な整列表面を有する2体の表面実装型ヘッダ組立体 | |
KR100708566B1 (ko) | 전기/전자 장치용 커넥터 및 그 조립 방법 | |
JP4737780B2 (ja) | 平坦な整列表面を有する表面実装型ヘッダ組立体 | |
JP5603790B2 (ja) | フローティング型コネクタ | |
KR102031505B1 (ko) | 전기 커넥터 | |
KR101364231B1 (ko) | 커넥터 | |
US9735486B1 (en) | Electrical connector | |
TWM477697U (zh) | 順應銷連接器安裝系統 | |
JP2007220542A (ja) | コネクタ | |
US11031708B2 (en) | Board edge connector | |
JP2017117734A (ja) | コネクタ | |
KR20070033280A (ko) | 메이팅 커넥터의 삽입 및 분리를 안내해주는 기능이 있는쉘을 가진 커넥터 | |
US11525855B2 (en) | Low insertion force connector assembly and semiconductor component test apparatus | |
US20020039854A1 (en) | IC socket | |
KR102019111B1 (ko) | 저삽입력 커넥터 어셈블리 | |
KR102363330B1 (ko) | 저삽입력 커넥터 어셈블리 | |
US6796835B2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board lock | |
JP4627301B2 (ja) | 表面実装型ヘッダ組立体 | |
JPH08288025A (ja) |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 |
JP4082489B2 (ja) | 電気部品用ソケット | |
JP2010040224A (ja) | 端子配置治具及びそれを用いたコネクタの組立方法 | |
JP2008153103A (ja) | コネクタ | |
CN1972020A (zh) | 连接器 | |
WO2023162623A1 (ja) | コネクタ | |
JPH08315930A (ja) | コネク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1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7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9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9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7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