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18719B1 - 배터리 셀 냉각용 버스바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모듈 - Google Patents

배터리 셀 냉각용 버스바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8719B1
KR102018719B1 KR1020160016555A KR20160016555A KR102018719B1 KR 102018719 B1 KR102018719 B1 KR 102018719B1 KR 1020160016555 A KR1020160016555 A KR 1020160016555A KR 20160016555 A KR20160016555 A KR 20160016555A KR 102018719 B1 KR102018719 B1 KR 102018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thermal contact
cooling plate
battery module
batter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6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5052A (ko
Inventor
신은규
문정오
이윤구
이정훈
이종영
정병천
최미금
최항준
아히혼 알렉산더
트락 안드레아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60016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8719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CN201780003253.6A priority patent/CN108140793B/zh
Priority to US15/759,172 priority patent/US10637112B2/en
Priority to EP17750396.8A priority patent/EP3343672B1/en
Priority to JP2018522053A priority patent/JP6528007B2/ja
Priority to PL17750396T priority patent/PL3343672T3/pl
Priority to PCT/KR2017/000533 priority patent/WO2017138704A1/ko
Publication of KR20170095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5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71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20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3Terminals or l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4Rods or pl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8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by thermal insulation or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5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 single busb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배터리 셀 냉각용 버스바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모듈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냉각용 버스바는, 복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에서 배터리 셀을 냉각시키는 버스바로서, 스트랩(strap)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 셀의 전극 리드와 접촉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몸체부의 두께 방향으로 만곡되는 만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만곡부는, 상기 배터리 모듈의 쿨링 플레이트에 마련된 결합돌기 또는 상기 버스바를 지지하는 상기 배터리 모듈의 소정 프레임에 마련된 결합돌기와 결합하는 결합홈 및 상기 쿨링 플레이트와 열적으로 접촉하는 열접촉면을 포함하여, 발열량이 많은 배터리 셀의 전극 리드 부분을 효율적으로 냉각시킴은 물론, 배터리 모듈 구조를 간소화 및 소형화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한다.

Description

배터리 셀 냉각용 버스바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모듈{Busbar for cooling battery cell and battery module using thereof}
본 발명은 배터리 셀 냉각용 버스바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열량이 많은 배터리 셀의 전극 리드 부분을 효율적으로 냉각시키고 배터리 모듈 구조를 간소화 및 소형화하는 배터리 셀 냉각용 버스바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 배터리(secondary battery)는 리튬 이온 배터리, 리튬 폴리머 배터리, 니켈 카드뮴 배터리, 니켈 수소 배터리, 니켈 아연 배터리 등과 같이 충·방전이 가능한 배터리를 말한다.
최근, 이러한 이차 배터리가 전기 차량(electric vehicle)이나 하이브리드 차량(hybrid electric vehicle) 등과 같이 높은 출력 전압과 대량의 충전 용량을 요구하는 장치들에 적용되면서, 약 2.5V에서 4.2V 범위의 출력 전압을 나타내는 단위 배터리 셀을 직렬 내지 병렬 연결하여 적층한 적층 구조의 배터리 모듈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 모듈을 효율적으로 냉각시키고, 배터리 모듈 구조를 간소화 및 소형화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관심과 요청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21794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기존 기술들은 적층된 배터리 셀들 사이에 개재되어 배터리 셀의 외부 몸체, 즉 배터리 셀의 파우치 케이스와 접촉하는 냉각 핀을 통해서만 배터리 셀들을 냉각시키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발열량이 많은 배터리 셀의 전극 리드 부분을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15050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기존 기술들은 배터리 모듈의 냉각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복잡한 구조의 냉각 핀을 다수 사용하기 때문에, 배터리 모듈 구조의 간소화나 소형화를 어렵게 하고 배터리 모듈의 제조 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발열량이 많은 배터리 셀의 전극 리드 부분을 효율적으로 냉각시킴은 물론, 배터리 모듈 구조를 간소화 및 소형화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배터리 셀 냉각용 버스바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냉각용 버스바는, 복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에서 배터리 셀을 냉각시키는 버스바로서, 스트랩(strap)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 셀의 전극 리드와 접촉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몸체부의 두께 방향으로 만곡되는 만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만곡부는, 상기 배터리 모듈의 쿨링 플레이트에 마련된 결합돌기 또는 상기 버스바를 지지하는 상기 배터리 모듈의 소정 프레임에 마련된 결합돌기와 결합하는 결합홈 및 상기 쿨링 플레이트와 열적으로 접촉하는 열접촉면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적어도 상기 만곡부의 열접촉면에서 상기 버스바와 상기 쿨링 플레이트 간의 통전을 방지하는 절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적어도 상기 만곡부의 열접촉면에서 상기 만곡부와 상기 쿨링 플레이트 간의 이격을 방지하되 열을 전달하는 갭 필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몸체부에서 돌출되며 상기 배터리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배터리 셀의 전극 리드를 다른 배터리 셀의 전극 리드와 상호 연결하는 버스바; 상기 배터리 셀의 몸체 또는 상기 배터리 셀의 열을 전달하는 냉각 핀과 열적으로 접촉하는 제1 열접촉부 및 상기 버스바의 일단부와 열적으로 접촉하는 제2 열접촉부를 가지고, 상기 배터리 셀에서 발생하는 열을 히트 싱크(heat sink)로 전달하는 쿨링 플레이트; 상기 버스바의 일단부와 상기 쿨링 플레이트의 제2 열접촉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버스바와 상기 쿨링 플레이트 간의 통전을 방지하는 절연 부재; 및 상기 버스바의 일단부와 상기 쿨링 플레이트의 제2 열접촉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버스바와 상기 쿨링 플레이트 간의 이격을 방지하되 열을 전달하는 갭 필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스트랩(strap)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 셀의 전극 리드와 접촉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몸체부의 두께 방향으로 만곡되는 만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만곡부는, 상기 쿨링 플레이트에 마련된 결합돌기 또는 상기 버스바를 지지하는 상기 배터리 모듈의 소정 프레임에 마련된 결합돌기와 결합하는 결합홈 및 상기 쿨링 플레이트의 제2 열접촉부와 열적으로 접촉하는 열접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몸체부에서 돌출되며 상기 배터리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연 부재는, 적어도 상기 만곡부의 열접촉면과 상기 쿨링 플레이트의 제2 열접촉부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갭 필러는, 적어도 상기 만곡부의 열접촉면과 상기 쿨링 플레이트의 제2 열접촉부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쿨링 플레이트의 제2 열접촉부는, 상기 만곡부의 결합홈과 결합하는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은, 상기 버스바를 지지하여 상기 버스바의 몸체부가 상기 배터리 셀의 전극 리드와 접촉하도록 하고 상기 버스바의 만곡부가 상기 쿨링 플레이트의 제2 열접촉부와 열적으로 접촉하도록 하는 버스바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프레임은, 상기 만곡부의 결합홈과 결합하는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 셀들의 전극 리드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바를 쿨링 플레이트에 열 접촉시켜 배터리 셀들을 냉각시킴으로써, 상대적으로 발열량이 많은 배터리 셀의 전극 리드 부분을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배터리 모듈에서 배터리 셀 냉각을 위해 사용되던 냉각 핀들을 생략할 수 있게 되어 배터리 모듈 구조를 간소화 및 소형화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버스바에 만곡부를 마련하여 해당 만곡부를 쿨링 플레이트 등에 마련된 돌출부에 결합시켜 쿨링 플레이트에 열 접촉시키고, 만곡부와 쿨링 플레이트 사이에 갭 필러를 배치함으로써, 차량 환경에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외부 충격 또는 조립 오차 등에 의한 버스바와 쿨링 플레이트 간의 이격 발생 가능성을 구조적으로 원천 방지하고, 배터리 모듈의 냉각 성능과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쿨링 플레이트로 하여금 배터리 셀의 전극 리드 부분은 물론 배터리 셀의 몸체 부분과 열 접촉하여 배터리 셀 전체의 열을 히트 싱크로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배터리 모듈의 냉각 성능 내지 냉각 효율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에 따른 여러 실시예들이 상기 언급되지 않은 여러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할 수 있음을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모듈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모듈의 쿨링 플레이트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A 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냉각용 버스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버스바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B 부분을 나타낸 수직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모듈의 버스바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배터리 모듈의 쿨링 플레이트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C 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명확화하기 위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 공지기술에 관한 설명이 오히려 본 발명의 요지를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 그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설계자, 제조자 등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이 각각 사시도 및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에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모듈의 쿨링 플레이트를 분해한 상태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00)은 배터리 셀 적층 구조체(110), 쿨링 플레이트(120) 및 제어 회로 패널(1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 셀 적층 구조체(110)는, 복수의 배터리 셀(140) 및 그에 대응하는 복수의 버스바(150)를 포함하며, 버스바 프레임(1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 셀 적층 구조체(110)는, 복수의 배터리 셀(140)이 차례로 적층되어 있는 적층 구조를 가진다. 이 경우, 각각의 배터리 셀(140)은 적층이 용이하도록 파우치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배터리 셀(140)은, 금속층과 수지층을 포함하는 파우치 케이스(라미네이트 시트)에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고 상기 케이스의 테두리 부분을 열융착하여 밀봉한 파우치형 배터리 셀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배터리 셀들 사이에는 배터리 셀의 외부 몸체, 즉 배터리 셀의 파우치 케이스와 접촉하는 냉각 핀(미도시)이 개재될 수 있다. 이러한 냉각 핀은 판상으로 형성되어 배터리 셀의 몸체와 접촉하고 그 하단부가 쿨링 플레이트(120)와 접촉함으로써 배터리 셀에서 발생하는 열을 쿨링 플레이트(12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배터리 셀 적층 구조체(110)는 냉각 핀 없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들은 기본적으로 버스바(150)를 통해 배터리 셀을 냉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겠지만, 배터리 셀 적층 구조체(110)의 버스바(150)는, 배터리 셀(140)의 전극 리드(142)와 접촉하여 배터리 셀의 전극 리드를 다른 배터리 셀의 전극 리드와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함과 동시에, 그 일단부를 통해 쿨링 플레이트(120)와 열적으로 접촉하여 배터리 셀들의 전극 리드 부분에서 발생하는 열을 쿨링 플레이트(120)로 전달한다.
쿨링 플레이트(120)는, 냉매를 이용하여 열을 흡수하는 히트 싱크(미도시)와 열적으로 접촉하여 배터리 셀들에서 발생하는 열을 히트 싱크로 전달한다. 일반적으로 히트 싱크(heat sink)의 내부에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로를 통해 이동하는 냉각수, 냉각 가스, 공기 등의 냉매가 쿨링 플레이트(120)를 통해 전달되는 열을 흡수하여 외부로 방출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쿨링 플레이트(120)는 배터리 셀 적층 구조체(110)의 하부에 배치되며, 제1 열접촉부(122) 및 제2 열접촉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열접촉부(122)는, 전체적으로 판상 형태로 구성되어 배터리 셀 적층 구조체(110)의 적층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그 상부면을 통해 배터리 셀(140)의 몸체 또는 배터리 셀(140)의 열을 전달하는 냉각 핀과 열적으로 접촉하고, 그 하부면을 통해 히트 싱크와 열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제2 열접촉부(124)는, 제1 열접촉부(122)의 상부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어 버스바(150)의 일단부와 열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이 경우, 제2 열접촉부(124)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배터리 셀 적층 구조체(110)의 버스바들과 각각 열 접촉하는 복수의 돌출부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 버스바들 모두와 열 접촉하는 벽체 형태의 단일 돌출부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제어 회로 패널(130)은, 배터리 모듈(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어 회로는 배터리 모듈(100)에 포함된 복수의 배터리 셀(140)의 충·방전 동작을 제어하거나, 배터리 셀들 간의 전압 불균형 상태를 방지하고 각 셀들 간 전압 균형이 유지되도록 에너지 밸런싱(energy balancing)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 회로의 단자들(132)은 각각 대응하는 버스바(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4에는 도 1의 A 부분이 확대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셀 적층 구조체(110)의 버스바(150)는, 기본적으로 배터리 모듈(100)에 포함된 복수의 배터리 셀(140)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는 부재이다. 즉, 버스바(150)는 각 배터리 셀(140)의 전극 리드(142)와 접촉하여 배터리 셀의 전극 리드를 다른 배터리 셀의 전극 리드와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있어서 버스바(150)는, 그 일단부를 통해 쿨링 플레이트(120)의 제2 열접촉부(124)와 열적으로 접촉하여 배터리 셀들의 전극 리드 부분에서 발생하는 열을 쿨링 플레이트(120)로 전달한다. 이를 위해, 배터리 모듈(100)은 절연 부재(170) 및 갭 필러(gap filler)(1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절연 부재(170)는 버스바(150)의 일단부와 쿨링 플레이트(120)의 제2 열접촉부(124) 사이에 개재되어 버스바(150)와 쿨링 플레이트(120) 간의 통전을 방지한다. 이러한 절연 부재(170)는 실리콘, 부틸고무,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폴리이미드(Polyimide) 등과 같이 절연성을 가진 다양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절연 부재(170)는 절연 테이프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갭 필러(180)는 버스바(150)의 일단부와 쿨링 플레이트(120)의 제2 열접촉부(124) 사이에 개재되어 버스바(150)와 쿨링 플레이트(120) 간의 이격을 방지하되 열을 전달한다. 이러한 갭 필러(180)는 탄성중합체(elastomer) 등과 같이 탄성과 열 전도성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갭 필러(180)는 탄성고무 또는 점착성 물질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냉각용 버스바가 각각 사시도 및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냉각용 버스바(150)는, 몸체부(152)와 만곡부(154)를 포함하며, 돌출부(1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52)는 스트랩(strap) 형태로 형성되며 배터리 셀(140)의 전극 리드(142)와 접촉하게 된다. 이 경우, 몸체부(152)는 용접 등을 통해 전극 리드(142)와 접촉 및 결합될 수 있다. 만곡부(154)는 몸체부(152)와 일체로 형성되되 몸체부(152)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몸체부(152)의 두께 방향으로 만곡된다. 이와 같이 버스바(150)는, 그 일단부에 몸체부(152)의 두께 방향 만곡된 만곡부(154)를 포함함으로써, 쿨링 플레이트(120)에 마련된 결합돌기 또는 상기 버스바(150)를 지지하는 배터리 모듈(100)의 소정 프레임(160)에 마련된 결합돌기와 결합하는 결합홈(156)을 가지게 됨과 동시에, 쿨링 플레이트(120)와 열적으로 접촉하는 열접촉면의 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다. 돌출부(158)는 몸체부(152)와 일체로 형성되되 몸체부(152)에서 돌출되며 상기 배터리 모듈(100)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의 단자(1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배터리 모듈(100)의 절연 부재(170) 또는 갭 필러(180)는 상술한 버스바(150)의 만곡부(154)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배터리 모듈(100)의 절연 부재(170)또는 갭 필러(180)는, 도 4와 같이 버스바(150)에 형성된 만곡부(154)의 열접촉면(하부면)과 쿨링 플레이트(120)의 제2 열접촉부(124) 사이에 개재되는 별도의 부재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 버스바(150)의 만곡부(154) 표면에 코팅되거나 부착되는 코팅재 또는 피복재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7에는 도 5의 B 부분이 수직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냉각용 버스바(150)는, 절연 부재(172) 및 갭 필러(1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절연 부재(172)는 적어도 만곡부(154)의 열접촉면에서 버스바(150)와 쿨링 플레이트(120) 간의 통전을 방지한다. 예컨대, 절연 부재(172)는 만곡부(154) 표면에 코팅되는 절연 피복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갭 필러(180)는 적어도 만곡부(154)의 열접촉면에서 만곡부(154)와 쿨링 플레이트(120) 간의 이격을 방지하되 열을 전달한다. 예컨대, 갭 필러(182)는 만곡부(154)의 열접촉면 상에 부착되는 탄성중합체 부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버스바(150)는 그 만곡부(154)의 결합홈(156)을 통해 상기 버스바(150)를 지지하는 버스바 프레임(160)에 마련된 결합돌기 또는 쿨링 플레이트(120)에 마련된 결합돌기와 결합할 수 있다.
도 8에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모듈(100)의 버스바 프레임(160)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00)의 버스바 프레임(160)은, 복수의 슬롯(162)과 지지부(164), 그리고 결합돌기(16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버스바 프레임(160)은, 버스바(150)를 지지하여 버스바(150)의 몸체부(152)가 배터리 셀(140)의 전극 리드(142)와 접촉하도록 하고, 버스바(150)의 만곡부(154)가 쿨링 플레이트(120)의 제2 열접촉부(124)와 열적으로 접촉하도록 한다. 즉, 배터리 셀(140)의 전극 리드(142)는 버스바 프레임(160)의 슬롯(162)에 삽입되어 배치된다. 또한, 버스바(150)는 버스바 프레임(160)의 지지부(164)에 배치되어 지지되며, 해당 슬롯(162)을 통해 삽입된 배터리 셀(140)의 전극 리드(142)와 접촉 및 결합된다. 이때, 버스바(150)의 만곡부(154)는, 그 결합홈(156)을 통해 버스바 프레임(160)의 결합돌기(166)에 결합될 수 있다. 버스바 프레임(160)의 결합돌기(166)에 결합된 만곡부(154)의 열접촉면(하부면)은 쿨링 플레이트(120)의 제2 열접촉부(124)와 열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200)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는 도 9에 도시된 배터리 모듈(200)의 쿨링 플레이트(220)를 분해한 상태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200)은 배터리 셀 적층 구조체(210), 쿨링 플레이트(220) 및 제어 회로 패널(2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 셀 적층 구조체(210)는, 복수의 배터리 셀(240) 및 그에 대응하는 복수의 버스바(250)를 포함하며, 버스바 프레임(2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셀 적층 구조체(210), 쿨링 플레이트(220), 제어 회로 패널(230)의 구성 및 동작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배터리 셀 적층 구조체(110), 쿨링 플레이트(120), 제어 회로 패널(130)의 구성 및 동작과 기본적으로 동일하게 설명될 수 있다.
유의할 점은, 배터리 셀 적층 구조체(210)의 버스바(250)와 결합하는 결합돌기가 버스바 프레임(260)이 아닌 쿨링 플레이트(220)의 제2 열접촉부(224)에 형성된다는 것이다. 즉, 쿨링 플레이트(220)의 제2 열접촉부(24)는, 버스바(250)의 만곡부와 형합하는 대응 결합홈(226) 및 결합돌기(228)를 포함한다.
도 11에는 도 9의 C 부분이 확대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셀 적층 구조체(210)의 버스바(250)는, 각 배터리 셀(240)의 전극 리드(242)와 접촉하여 배터리 셀의 전극 리드를 다른 배터리 셀의 전극 리드와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한다. 또한, 버스바(250)는 그 만곡부를 통해 쿨링 플레이트(220)의 제2 열접촉부(224)와 열적으로 접촉하여 배터리 셀들의 전극 리드 부분에서 발생하는 열을 쿨링 플레이트(220)로 전달한다. 이 경우, 버스바(250)의 만곡부는, 쿨링 플레이트(220)의 제2 열접촉부(224)에 형성된 대응 결합홈(226)에 삽입되어 제2 열접촉부(224)의 결합돌기(228)와 결합한다. 이 경우, 배터리 모듈(200)의 절연 부재와 갭 필러는, 버스바(250)의 만곡부 내부면과 쿨링 플레이트(120)의 대응 결합홈(226) 내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배터리 모듈(200)의 버스바(150)는, 도 7과 같이 버스바(250)에 형성된 만곡부의 열접촉면에 절연체 층과 탄성중합체 층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들은, 전기 차량(electric vehicle)이나 하이브리드 차량(hybrid electric vehicle) 등 전원을 사용하는 다양한 자동차에 포함되어 해당 자동차 환경에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 셀들의 전극 리드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바를 쿨링 플레이트에 열 접촉시켜 배터리 셀들을 냉각시킴으로써, 상대적으로 발열량이 많은 배터리 셀의 전극 리드 부분을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배터리 모듈에서 배터리 셀 냉각을 위해 사용되던 냉각 핀들을 생략할 수 있게 되어 배터리 모듈 구조를 간소화 및 소형화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버스바에 만곡부를 마련하여 해당 만곡부를 쿨링 플레이트 등에 마련된 돌출부에 결합시켜 쿨링 플레이트에 열 접촉시키고, 만곡부와 쿨링 플레이트 사이에 갭 필러를 배치함으로써, 차량 환경에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외부 충격 또는 조립 오차 등에 의한 버스바와 쿨링 플레이트 간의 이격 발생 가능성을 구조적으로 원천 방지하고, 배터리 모듈의 냉각 성능과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쿨링 플레이트로 하여금 배터리 셀의 전극 리드 부분은 물론 배터리 셀의 몸체 부분과 열 접촉하여 배터리 셀 전체의 열을 히트 싱크로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배터리 모듈의 냉각 성능 내지 냉각 효율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는 물론 관련 기술 분야에서 본 명세서에 언급된 내용 이외의 다른 여러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참고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음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앞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균등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배터리 모듈 110 : 배터리 셀 적층 구조체
120 : 쿨링 플레이트 122 : 제1 열접촉부
124 : 제2 열접촉부 130 : 제어 회로 패널
132 : 제어 회로 단자 140 : 배터리 셀
142 : 전극 리드 150 : 버스바
160 : 버스바 프레임 170 : 절연 부재
180 : 갭 필러

Claims (13)

  1. 복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에서 배터리 셀의 전극 리드를 다른 배터리 셀의 전극 리드와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며, 배터리 셀을 냉각시키는 버스바로서,
    스트랩(strap)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 셀의 전극 리드와 접촉하는 몸체부; 및
    스트랩 형태를 가지며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몸체부의 두께 방향으로 만곡되는 만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만곡부는, 상기 만곡부가 상기 몸체부의 두께 방향으로 만곡됨으로써 형성되는 결합홈으로서 상기 배터리 모듈의 쿨링 플레이트에 마련된 결합돌기 또는 상기 버스바를 지지하는 상기 배터리 모듈의 소정 프레임에 마련된 결합돌기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홈, 및 상기 쿨링 플레이트와 열적으로 접촉하는 열접촉면을 포함하는 배터리 셀 냉각용 버스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적어도 상기 만곡부의 열접촉면에서 상기 버스바와 상기 쿨링 플레이트 간의 통전을 방지하는 절연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냉각용 버스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적어도 상기 만곡부의 열접촉면에서 상기 만곡부와 상기 쿨링 플레이트 간의 이격을 방지하되 열을 전달하는 갭 필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냉각용 버스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몸체부에서 돌출되며 상기 배터리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냉각용 버스바.
  5. 복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로서,
    배터리 셀의 전극 리드를 다른 배터리 셀의 전극 리드와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버스바;
    상기 배터리 셀의 몸체 또는 상기 배터리 셀의 열을 전달하는 냉각 핀과 열적으로 접촉하는 제1 열접촉부 및 상기 버스바의 일단부와 열적으로 접촉하는 제2 열접촉부를 가지고, 상기 배터리 셀에서 발생하는 열을 히트 싱크(heat sink)로 전달하는 쿨링 플레이트;
    상기 버스바의 일단부와 상기 쿨링 플레이트의 제2 열접촉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버스바와 상기 쿨링 플레이트 간의 통전을 방지하는 절연 부재; 및
    상기 버스바의 일단부와 상기 쿨링 플레이트의 제2 열접촉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버스바와 상기 쿨링 플레이트 간의 이격을 방지하되 열을 전달하는 갭 필러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는,
    스트랩(strap)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 셀의 전극 리드와 접촉하는 몸체부; 및
    스트랩 형태를 가지며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몸체부의 두께 방향으로 만곡되는 만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만곡부는, 상기 만곡부가 상기 몸체부의 두께 방향으로 만곡됨으로써 형성되는 결합홈으로서 상기 배터리 모듈의 쿨링 플레이트에 마련된 결합돌기 또는 상기 버스바를 지지하는 상기 배터리 모듈의 소정 프레임에 마련된 결합돌기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홈, 및 상기 쿨링 플레이트와 열적으로 접촉하는 열접촉면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몸체부에서 돌출되며 상기 배터리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부재는, 적어도 상기 만곡부의 열접촉면과 상기 쿨링 플레이트의 제2 열접촉부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갭 필러는, 적어도 상기 만곡부의 열접촉면과 상기 쿨링 플레이트의 제2 열접촉부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쿨링 플레이트의 제2 열접촉부는, 상기 만곡부의 결합홈과 결합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은, 상기 버스바를 지지하여 상기 버스바의 몸체부가 상기 배터리 셀의 전극 리드와 접촉하도록 하고 상기 버스바의 만곡부가 상기 쿨링 플레이트의 제2 열접촉부와 열적으로 접촉하도록 하는 버스바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프레임은, 상기 만곡부의 결합홈과 결합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13. 제5항,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20160016555A 2016-02-12 2016-02-12 배터리 셀 냉각용 버스바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모듈 Active KR102018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6555A KR102018719B1 (ko) 2016-02-12 2016-02-12 배터리 셀 냉각용 버스바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모듈
US15/759,172 US10637112B2 (en) 2016-02-12 2017-01-16 Busbar for cooling battery cell and battery module using same
EP17750396.8A EP3343672B1 (en) 2016-02-12 2017-01-16 Busbar for cooling battery cell and battery module using same
JP2018522053A JP6528007B2 (ja) 2016-02-12 2017-01-16 バッテリーセル冷却用バスバー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
CN201780003253.6A CN108140793B (zh) 2016-02-12 2017-01-16 用于冷却电池单体的汇流条和使用汇流条的电池模块
PL17750396T PL3343672T3 (pl) 2016-02-12 2017-01-16 Szyna zbiorcza do chłodzenia ogniwa akumulatorowego i jej zastosowanie w module akumulatorowym
PCT/KR2017/000533 WO2017138704A1 (ko) 2016-02-12 2017-01-16 배터리 셀 냉각용 버스바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6555A KR102018719B1 (ko) 2016-02-12 2016-02-12 배터리 셀 냉각용 버스바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5052A KR20170095052A (ko) 2017-08-22
KR102018719B1 true KR102018719B1 (ko) 2019-09-04

Family

ID=59563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6555A Active KR102018719B1 (ko) 2016-02-12 2016-02-12 배터리 셀 냉각용 버스바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모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637112B2 (ko)
EP (1) EP3343672B1 (ko)
JP (1) JP6528007B2 (ko)
KR (1) KR102018719B1 (ko)
CN (1) CN108140793B (ko)
PL (1) PL3343672T3 (ko)
WO (1) WO2017138704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0965A (ko) * 2018-09-13 2020-03-23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WO2021206283A1 (ko) * 2020-04-09 2021-10-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WO2022182062A1 (ko) * 2021-02-25 2022-09-0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US12237485B2 (en) 2019-11-28 2025-02-25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68175A (zh) * 2017-11-27 2018-04-27 安徽欧鹏巴赫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池模组
KR102381760B1 (ko) 2017-11-27 2022-03-3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연결 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CN107994144A (zh) * 2017-11-27 2018-05-04 安徽欧鹏巴赫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池模组的电芯引线结构
KR102301195B1 (ko) 2017-12-01 2021-09-0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KR102280997B1 (ko) * 2017-12-20 2021-07-2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2353917B1 (ko) 2018-01-04 2022-01-1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열전도 패드를 구비한 배터리 모듈
CN108376752B (zh) * 2018-02-11 2021-10-12 帝亚一维新能源汽车有限公司 新能源汽车电池减震装置
KR102577098B1 (ko) * 2018-05-09 2023-09-12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US20190363326A1 (en) * 2018-05-22 2019-11-2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Battery assembly with multi-piece bus bar cap assembly
KR102663541B1 (ko) * 2018-06-12 2024-05-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냉각 방식 배터리
US10811740B2 (en) * 2018-06-20 2020-10-20 Faraday & Future Inc. Liquid cooled battery system with integrated current carrier and coolant path
US12166191B2 (en) 2018-07-31 2024-12-1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KR102424400B1 (ko) 2018-09-13 2022-07-2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열수축성 튜브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102204302B1 (ko) * 2018-09-13 2021-01-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2312415B1 (ko) * 2018-09-13 2021-10-1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DE102018125618A1 (de) * 2018-10-16 2020-04-16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chutzeinheit für ein Batteriemodul einer Hochvoltbatterie, Batteriemodul sowie Hochvoltbatterie
US12132179B2 (en) 2018-11-13 2024-10-29 Rivian Ip Holdings, Llc Battery module with actively cooled high power electrical interface
KR20200063059A (ko) * 2018-11-27 2020-06-04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파우치형 배터리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배터리 팩
KR102371373B1 (ko) * 2018-12-06 2022-03-0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CN111312975B (zh) * 2018-12-11 2023-04-07 太普动力新能源(常熟)股份有限公司 电池模组及包含它的储能系统
CN111341990B (zh) * 2018-12-18 2023-08-29 太普动力新能源(常熟)股份有限公司 电池模组
GB2581501B (en) * 2019-02-19 2021-03-03 Oxis Energy Ltd Interconnection for a battery
US11342620B2 (en) * 2019-03-04 2022-05-24 Chongqing Jinkang Powertrain New Energy Co., Ltd. Battery module scalable in three dimensions
KR102752609B1 (ko) * 2019-03-14 2025-01-08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KR102695311B1 (ko) * 2019-04-12 2024-08-13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CN111883727B (zh) * 2019-05-03 2022-11-01 孚能科技(赣州)股份有限公司 用于电池的集成式汇流元件、电池及车辆
KR102825906B1 (ko) * 2019-07-08 2025-06-2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외부 단락 장치 및 냉각 장치를 구비하는 배터리 모듈 시스템
KR102780571B1 (ko) * 2019-08-12 2025-03-1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절연 및 방열 성능이 우수한 버스바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모듈
CN112670843B (zh) * 2019-10-15 2023-06-09 李尔公司 电气组件
KR102794182B1 (ko) * 2019-11-15 2025-04-0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KR102762539B1 (ko) * 2019-11-26 2025-02-0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버스바 프레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20210129828A (ko) * 2020-04-21 2021-10-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KR20210131593A (ko) * 2020-04-24 2021-11-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2740612B1 (ko) * 2020-06-05 2024-12-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팩
US11862816B2 (en) * 2020-06-29 2024-01-0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Battery pack with overmolded busbars providing parallel cooling paths
KR20220040895A (ko) * 2020-09-24 2022-03-3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조립체
US11600979B2 (en) * 2020-09-28 2023-03-07 Rivian Ip Holdings, Llc Laminated busbar having a shield layer for battery systems
WO2022085997A1 (ko) * 2020-10-19 2022-04-2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DE102020125856A1 (de) 2020-10-30 2022-05-0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Batteriemodul
KR102672499B1 (ko) * 2020-12-21 2024-06-07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버스바
KR20220091958A (ko) * 2020-12-24 2022-07-01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파우치형 배터리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220112514A (ko) * 2021-02-04 2022-08-1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셀들의 온도 균일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KR20220122402A (ko) 2021-02-26 2022-09-0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KR102480976B1 (ko) * 2021-04-01 2022-12-23 비나텍주식회사 배터리 셀간의 단차 저감기능을 갖춘 슈퍼 캐패시터 모듈의 플레이트형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슈퍼 캐패시터 모듈
KR102480948B1 (ko) * 2021-04-01 2022-12-23 비나텍주식회사 슈퍼 캐패시터 모듈의 플레이트형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슈퍼 캐패시터 모듈
KR102480964B1 (ko) * 2021-04-01 2022-12-23 비나텍주식회사 배터리 셀의 정렬기능을 갖춘 슈퍼 캐패시터 모듈의 플레이트형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슈퍼 캐패시터 모듈
EP4210153A4 (en) * 2021-04-05 2025-01-22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MODULE AND ESS WITH IT
KR102324507B1 (ko) * 2021-04-06 2021-11-15 덕양산업 주식회사 리드탭 냉각 구조를 갖는 배터리 모듈
KR102480966B1 (ko) * 2021-04-14 2022-12-23 비나텍주식회사 절연 기능을 갖는 슈퍼 캐패시터 모듈의 알루미늄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슈퍼캐패시터 모듈
KR102611921B1 (ko) * 2021-05-14 2023-12-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DE102021115705B3 (de) 2021-06-17 2022-06-30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Batterie für ein Kraftfahrzeug
KR20230012355A (ko) * 2021-07-15 2023-01-2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DE102021130443B3 (de) * 2021-11-22 2022-12-08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Hochvoltbatteriemodu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ühlbaren Hochvoltbatteriemoduls mit Stromschienenintegration
CN216413212U (zh) * 2021-12-01 2022-04-29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汇流排组件、电池及用电装置
US12088077B1 (en) 2021-12-29 2024-09-10 Beta Air, Llc Systems and methods for laminated buswork with flexible conductors for an electric aircraft
US20230387672A1 (en) * 2022-05-26 2023-11-3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Thermally conducting bracket for busbar to cold plate heat transfer
CN115863833B (zh) * 2022-12-21 2024-12-17 国联汽车动力电池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汇流排冷却组件及电池模组
CN116231148B (zh) * 2023-01-06 2024-05-28 小米汽车科技有限公司 液冷板组件、冷却系统、电池包及车辆
EP4418407A1 (en) 2023-02-15 2024-08-21 Röchling Automotive SE Battery cell fr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battery cell frame
CN116231235A (zh) * 2023-02-21 2023-06-06 江苏正力新能电池技术有限公司 一种电池包
KR20250014985A (ko) * 2023-07-24 2025-02-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셀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250023681A (ko) * 2023-08-10 2025-02-18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배터리모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5730A (ja) 2008-03-31 2009-10-22 West Japan Railway Co 電池接続具
JP2013229266A (ja) 2012-04-27 2013-11-07 Automotive Energy Supply Corp 組電池
KR101431717B1 (ko) 2012-02-06 2014-08-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버스 바
JP2014229384A (ja) 2013-05-20 2014-12-08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バスバー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54166A (ja) * 1998-06-08 1999-12-24 Sony Tektronix Corp バッテリ温度制御装置
JP4757508B2 (ja) * 2005-03-01 2011-08-24 日本電気株式会社 電気デバイス集合体
KR100936262B1 (ko) * 2005-10-21 2010-01-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전기 접속용 버스 바 및 그것을 포함하고있는 전지모듈
JP5110933B2 (ja) * 2007-03-29 2012-12-26 三洋電機株式会社 パック電池
US8231996B2 (en) * 2008-02-15 2012-07-31 Atieva Usa, Inc Method of cooling a battery pack using flat heat pipes
FR2929760B1 (fr) * 2008-04-08 2010-10-01 Vehicules Electr Soc D Batterie electrique comprenant des elements generateurs souples et un systeme de conditionnement mecanique et thermique desdits elements
JP4858726B2 (ja) * 2009-01-07 2012-01-18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二次電池の保持構造
KR101106103B1 (ko) * 2009-04-01 2012-01-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JP4877404B2 (ja) * 2009-08-31 2012-02-15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流検出装置
WO2011067697A1 (en) * 2009-12-04 2011-06-09 Brusa Elektronik Ag Battery having temperature regulation
KR101276186B1 (ko) * 2011-05-13 2013-06-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압 센싱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20130021794A (ko) 2011-08-24 2013-03-06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냉각효과가 우수한 전지셀 적층식 2차전지
KR101599489B1 (ko) * 2011-12-21 2016-03-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용 안전 장치
US8852781B2 (en) 2012-05-19 2014-10-07 Lg Chem, Ltd. Battery cell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oling fin for the battery cell assembly
KR20140056835A (ko) * 2012-11-01 2014-05-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14110524A1 (en) * 2013-01-14 2014-07-17 Gentherm Incorporated Thermoelectric-based thermal management of electrical devices
KR101544548B1 (ko) * 2013-10-24 2015-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셀 모듈 어셈블리
CN104752640B (zh) * 2013-12-11 2018-02-06 三菱自动车工业株式会社 电源控制装置和组电池
WO2015152527A1 (ko) * 2014-03-31 2015-10-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US9431644B1 (en) * 2015-04-21 2016-08-30 Atieva, Inc. Preconditioned bus bar interconnect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5730A (ja) 2008-03-31 2009-10-22 West Japan Railway Co 電池接続具
KR101431717B1 (ko) 2012-02-06 2014-08-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버스 바
JP2013229266A (ja) 2012-04-27 2013-11-07 Automotive Energy Supply Corp 組電池
JP2014229384A (ja) 2013-05-20 2014-12-08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バスバ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0965A (ko) * 2018-09-13 2020-03-23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2389184B1 (ko) 2018-09-13 2022-04-2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US12237485B2 (en) 2019-11-28 2025-02-25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WO2021206283A1 (ko) * 2020-04-09 2021-10-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WO2022182062A1 (ko) * 2021-02-25 2022-09-0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43672A1 (en) 2018-07-04
WO2017138704A1 (ko) 2017-08-17
US20190074557A1 (en) 2019-03-07
US10637112B2 (en) 2020-04-28
EP3343672A4 (en) 2018-07-04
KR20170095052A (ko) 2017-08-22
JP6528007B2 (ja) 2019-06-12
CN108140793B (zh) 2021-02-05
PL3343672T3 (pl) 2019-11-29
JP2018538664A (ja) 2018-12-27
CN108140793A (zh) 2018-06-08
EP3343672B1 (en) 2019-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8719B1 (ko) 배터리 셀 냉각용 버스바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모듈
US11804626B2 (en) Battery modules with improved heat dissipation
CN111864132B (zh) 电池模块
KR102067710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자동차
KR101792161B1 (ko) 배터리 모듈
JP5154451B2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
KR101943542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US20200365853A1 (en) Power supply device, and electric vehicle and power storage device provided with said power supply device
KR102523098B1 (ko)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한 배터리 모듈
US20220285755A1 (en) Top Cooling Type Battery Pack
WO2013031614A1 (ja) 電源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車両並びに蓄電装置
JP2013012441A (ja) 電源装置及び電源装置を備える車両
US20220131229A1 (en) Battery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80023699A (ko) 배터리 모듈
CN112787013A (zh) 电池单元容纳部及包括该电池单元容纳部的电池模块
CN104584264A (zh) 电池组
KR20230106219A (ko) 차량용 배터리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011641A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210042710A (ko) 배터리 모듈
US20230327231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20120074426A (ko) 신규한 구조의 단위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2364930B1 (ko) 커버레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US20230198044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EP2557627B1 (en) Secondary battery module
CN115395188B (zh) 电池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1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4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2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4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14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8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8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