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7257B1 - 입자 크기별 계수가 가능한 소형 광학식 미세 먼지 센서 - Google Patents
입자 크기별 계수가 가능한 소형 광학식 미세 먼지 센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17257B1 KR102017257B1 KR1020180046694A KR20180046694A KR102017257B1 KR 102017257 B1 KR102017257 B1 KR 102017257B1 KR 1020180046694 A KR1020180046694 A KR 1020180046694A KR 20180046694 A KR20180046694 A KR 20180046694A KR 102017257 B1 KR102017257 B1 KR 10201725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ust
- light emitting
- light
- light receiving
- receiving elem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6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2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2935 Avera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691 measurement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4—Investigating contamination, e.g. dust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01N2015/1029—Particle size
-
- G01N2015/1087—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먼지센서는 먼지 측정 영역에 광을 조광하는 제1 발광 소자와; 상기 먼지 측정 영역에 상기 제1 발광 소자와 상이한 방향에서 광을 조광하는 제2 발광 소자, 여기서 상기 제2 발광 소자는 상기 제1 발광 소자의 조광 시 먼지에 의해 발생하는 음영 영역을 조광하도록 조광되고; 상기 제1 발광 소자 및/또는 제2 발광소자에서 조광되고, 상기 제1영역의 먼지에 의해서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여 제1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수광소자와; 상기 제1 발광 소자 및/또는 제2 발광소자에서 조광되고, 상기 제1영역의 먼지에 의해서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여 제2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수광 소자; 및 상기 제1 전기 신호와 상기 제2 전기 신호를 가공해서 출력하는 가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 2는 종래 기술의 다른 일 실시에 따른 먼지 센서의 작동 원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일 실시에 따른 먼지 센서의 단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일 실시에 따른 먼지 센서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먼지 센서의 신호 처리 흐름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볼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먼지 센서에서 다수의 문턱이 적용된 신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200: 제2 발광 소자
300: 제1 수광 소자
400: 제2 수광 소자
500: 가공부
510: 비교처리부
520: 평균처리부
530: 문턱처리부
Claims (10)
- 먼지 측정 영역에 광을 조광하는 제1 발광 소자와;
상기 먼지 측정 영역에 상기 제1 발광 소자와 상이한 방향에서 광을 조광하는 제2 발광 소자, 여기서 상기 제2 발광 소자는 상기 제1 발광 소자의 조광 시 먼지에 의해 발생하는 음영 영역을 조광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제1 발광 소자, 제2 발광소자, 또는 양자에서 조광되고, 상기 먼지 측정 영역의 먼지에 의해서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여 제1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수광소자와;
상기 제1 발광 소자, 제2 발광소자, 또는 양자에서 조광되고, 상기 먼지 측정 영역의 먼지에 의해서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여 제2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수광 소자; 및
상기 제1 전기 신호와 상기 제2 전기 신호를 가공해서 출력하는 가공부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1 발광소자는 제2 발광 소자의 반대편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센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광 소자와 제2 수광 소자는 제1 발광 소자와 제2 발광 소자의 사이에 서로 대향하여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센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광 소자와 제2 수광 소자는 동종의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센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부는 상기 제1 수광소자에서 출력되어 입력된 제1 전기 신호와 제2 수광 소자에서 출력되어 입력된 제2 전기신호를 비교하여, 제1 전기신호와 제2 전기신호의 차이가 소정 크기 이상일 경우, 에러신호를 출력하고, 제1 전기신호와 제2 전기신호의 차이가 소정 크기 미만일 경우, 정상신호를 출력하는 비교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센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부는 상기 제1 수광소자에서 출력되어 입력된 제1 전기 신호와 제2 수광 소자에서 출력되어 입력된 제2 전기신호를 평균해서 출력하는 평균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센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부는 상기 평균처리부에 출력된 신호를 문턱별로 구분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센서.
-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센서는 가공부에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소정 크기의 먼지량을 측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먼지센서. - 동일한 먼지 측정 영역에 제1 발광 소자와 반대편에 대향하여 배치된 제2 발광 소자에서 광을 조광하고, 상기 먼지 측정 영역에서 반사되는 광을 2 이상의 수광 센서들에서 수광하는 단계;
상기 수광 센서들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평균처리하여 출력하는 단계;
평균해서 출력된 신호를 문턱 처리하여 문턱별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문턱 별로 출력된 신호를 이용하여 크기별 먼지량을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크기별 먼지 측정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6694A KR102017257B1 (ko) | 2018-04-23 | 2018-04-23 | 입자 크기별 계수가 가능한 소형 광학식 미세 먼지 센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6694A KR102017257B1 (ko) | 2018-04-23 | 2018-04-23 | 입자 크기별 계수가 가능한 소형 광학식 미세 먼지 센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17257B1 true KR102017257B1 (ko) | 2019-09-03 |
Family
ID=67951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46694A Active KR102017257B1 (ko) | 2018-04-23 | 2018-04-23 | 입자 크기별 계수가 가능한 소형 광학식 미세 먼지 센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17257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27457B1 (ko) * | 2019-10-16 | 2021-03-15 | 쌍신전자통신주식회사 | 다단 수광 소자를 구비한 레이저방식의 먼지센서 |
CN114206515A (zh) * | 2019-09-06 | 2022-03-18 | 三星电子株式会社 | 清洁器及其控制方法 |
KR20220042512A (ko) | 2020-09-28 | 2022-04-05 | (주)티에스테크 | 멀티 측정모듈을 이용한 미세먼지 측정 장치 |
KR20220073077A (ko) | 2020-11-26 | 2022-06-03 | (주)티에스테크 | 듀얼 레이저 광산란을 이용한 미세먼지 측정 장치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51680A (ja) * | 1993-01-07 | 1995-06-16 | Hochiki Corp | 微粒子検出兼用煙検出装置 |
JPH07209184A (ja) * | 1994-01-11 | 1995-08-11 | Yamatake Honeywell Co Ltd | 濁度計 |
KR100372496B1 (ko) | 1998-02-27 | 2003-02-15 |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 무선 통신 시스템에 시간 조정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장치 |
KR20120121045A (ko) * | 2011-04-26 | 2012-11-05 | 김제원 | 광학 입자 측정 장치 |
KR101600047B1 (ko) * | 2014-12-10 | 2016-03-08 | 쌍신전자통신주식회사 | 다중 발광부 제어 구조를 갖는 광량 조절이 가능한 차량 및 실내용 광학식 먼지 센서 |
KR20170111043A (ko) * | 2016-03-25 | 2017-10-1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먼지 센서 |
KR20170136885A (ko) | 2016-06-02 | 2017-12-12 | 광전자 주식회사 | 소형화된 광학식 미세 먼지 센서 |
-
2018
- 2018-04-23 KR KR1020180046694A patent/KR102017257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51680A (ja) * | 1993-01-07 | 1995-06-16 | Hochiki Corp | 微粒子検出兼用煙検出装置 |
JPH07209184A (ja) * | 1994-01-11 | 1995-08-11 | Yamatake Honeywell Co Ltd | 濁度計 |
KR100372496B1 (ko) | 1998-02-27 | 2003-02-15 |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 무선 통신 시스템에 시간 조정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장치 |
KR20120121045A (ko) * | 2011-04-26 | 2012-11-05 | 김제원 | 광학 입자 측정 장치 |
KR101600047B1 (ko) * | 2014-12-10 | 2016-03-08 | 쌍신전자통신주식회사 | 다중 발광부 제어 구조를 갖는 광량 조절이 가능한 차량 및 실내용 광학식 먼지 센서 |
KR20170111043A (ko) * | 2016-03-25 | 2017-10-1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먼지 센서 |
KR20170136885A (ko) | 2016-06-02 | 2017-12-12 | 광전자 주식회사 | 소형화된 광학식 미세 먼지 센서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206515A (zh) * | 2019-09-06 | 2022-03-18 | 三星电子株式会社 | 清洁器及其控制方法 |
CN114206515B (zh) * | 2019-09-06 | 2024-05-24 | 三星电子株式会社 | 清洁器及其控制方法 |
KR102227457B1 (ko) * | 2019-10-16 | 2021-03-15 | 쌍신전자통신주식회사 | 다단 수광 소자를 구비한 레이저방식의 먼지센서 |
KR20220042512A (ko) | 2020-09-28 | 2022-04-05 | (주)티에스테크 | 멀티 측정모듈을 이용한 미세먼지 측정 장치 |
KR20220073077A (ko) | 2020-11-26 | 2022-06-03 | (주)티에스테크 | 듀얼 레이저 광산란을 이용한 미세먼지 측정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17257B1 (ko) | 입자 크기별 계수가 가능한 소형 광학식 미세 먼지 센서 | |
KR101913973B1 (ko) | 입자 검출 센서 | |
US7292338B2 (en) | Particle detection apparatus and particle detection method used therefor | |
US9025071B2 (en) | Method for contamination detection in a TOF range camera | |
CN108205867B (zh) | 一种具备干扰粒子识别能力的早期火灾烟雾探测方法 | |
CN108426808B (zh) | 确定气溶胶中颗粒物质量浓度的颗粒物测量设备及方法 | |
KR102392601B1 (ko) | 먼지 센서 | |
US10488313B2 (en) | Particle sensor | |
KR101853104B1 (ko) | 광학식 초미세먼지 측정 센서 | |
GR3004885T3 (ko) | ||
JP6883770B2 (ja) | 粒子検出センサ | |
CN107014408B (zh) | 距离设定型光电传感器 | |
EP1408321B1 (en) | Pollen sensor and method | |
KR102017633B1 (ko) | 광학식 미세먼지 측정 센서의 영점 교정 방법 | |
US10634603B2 (en) | Particle-measur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 |
CN102967542B (zh) | 一种识别、计量烟雾粒子的方法及装置 | |
JP6738993B2 (ja) | 微粒子検知装置 | |
KR102578379B1 (ko) | 먼지센서 보정 장치 | |
JP3532274B2 (ja) | 粒子検出装置 | |
US8294894B2 (en) | Particle counter | |
US9243994B1 (en) | Measurement device | |
KR102381143B1 (ko) | 먼지 검출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
JP2007278858A (ja) | 霧粒子センサ及び霧センサ | |
GB2303712A (en) | Apparatus for and a method of detecting a cyclic variation of a signal | |
JPH1096791A (ja) | 雨滴検出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3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6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1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8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8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