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16765B1 - 건드릴 또는 보링기용 멀티 딥폴 - Google Patents

건드릴 또는 보링기용 멀티 딥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6765B1
KR102016765B1 KR1020180047039A KR20180047039A KR102016765B1 KR 102016765 B1 KR102016765 B1 KR 102016765B1 KR 1020180047039 A KR1020180047039 A KR 1020180047039A KR 20180047039 A KR20180047039 A KR 20180047039A KR 102016765 B1 KR102016765 B1 KR 102016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ll
boring
groove
tool coupling
machi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7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연
이승우
한무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연, 이승우, 한무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연
Priority to KR1020180047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67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6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676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1/00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3B41/02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boring deep holes; Trepanning, e.g. of gun or rifle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6Drills with lubricating or cool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02Connections between shanks and removable cutting heads
    • B23B2251/42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6Drills with lubricating or cooling equipment
    • B23B51/063Deep hole drills, e.g. ejector drills
    • B23B51/066Gun dr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딥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앙은 V홈을 갖는 길이를 가지는 생크부가 구성되고, 생크부의 전방에는 천공공구 또는 드라이버가 장착되는 제1 공구결합부가 형성되고, 생크부의 후단에는 천공공구 또는 드라이버가 장착되는 제2 공구결합부가 형성되게 구성함으로써, 제1,2 공구결합부에 선택적으로 다양한 초경팁이나 비트 등의 천공공구 또는 머신에 장착 가능하게 하는 드라이버의 장착이 가능하게 하는 등 심공 천공 과정에서 심공의 깊이에 따른 다양한 드릴을 구비할 필요 없이 천공공구의 교체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등 건드릴 또는 보링 작업의 편리함을 가져오면서도 다양한 길이의 건드릴 구비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건드릴 또는 보링기용 멀티 딥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드릴 또는 보링기용 멀티 딥폴{Deep pole for boring machine or gundrill machine}
본 발명은 멀티 딥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딥폴(deep pole)을 이용하여 초경팁 또는 비트 또는 드릴의 연결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등 다양한 천공 공구의 교체 사용에 따른 다양한 심공의 천공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건드릴 또는 보링기용 멀티 딥폴에 관한 것이다.
공작기계는 각종 공구를 사용하여 금속의 절단, 절삭, 보링, 드릴링, 나사 절삭, 연삭 등 기타방법을 통해서 칩을 발생하면서 금속 및 기타의 재료를 가공하여 필요한 모양으로 만드는 기계를 말한다.
최근의 공작기계는 정확하고 신속하게 가공물을 가공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하여 자동화, 고속화되어 가고 있는 추세로, 보오링머신(boring machine), 밀링머신(milling machine), 드릴링머신(drilling machine) 등이 있다.
그리고, 보링머신, 밀링머신, 드릴링머신을 하나로 복합한 머시닝센터(machining center) 등이 있다.
이중 드릴링머신은 핸드 드릴링머신, 직립 드릴링머신, 레이디얼 드릴링머신, 평드릴머신, 다축 드릴링머신, 이외에도 특수용도의 건드릴머신 등이 있다. 이 중에서 특수용도의 건드릴머신은 일반적인 드릴링머신을 이용한 천공이 어려울시 적용되는 것으로, 건드릴(gun drill)을 이용하여 심공(深孔)을 고효율 및 고정밀도로 가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건드릴은 그 천공되는 심공에 따라 그 길이가 한정되어 있는 것인바, 다양한 심공을 요구시 각각의 심공에 해당하는 길이의 건드릴을 구비하여 하는 등 작업이 매우 불면하면서도 건드릴 구비에 따른 경제적인 부다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등록공보 제10-153766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중앙은 V홈을 갖는 길이를 가지는 생크부가 구성되고, 생크부의 전방에는 천공공구 또는 드라이버가 장착되는 제1 공구결합부가 형성되고, 생크부의 후단에는 천공공구 또는 드라이버가 장착되는 제2 공구결합부가 형성되게 구성함으로써, 제1,2 공구결합부에 선택적으로 다양한 초경팁이나 비트 등의 천공공구 또는 머신에 장착 가능하게 하는 드라이버의 장착이 가능하게 하는 등 심공 천공 과정에서 심공의 깊이에 따른 다양한 드릴을 구비할 필요 없이 천공공구의 교체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등 건드릴 또는 보링 작업의 편리함을 가져오면서도 다양한 길이의 건드릴 구비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건드릴 또는 보링기용 멀티 딥폴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길이를 가지는 봉 형태의 생크부;
생크부의 일단에 형성되며, 단부로 개방되고 내주면에는 제1 암나사부가 형성된 원형관 형태의 제1 공구결합부; 및
생크부의 타단에 형성되며, V홈과 연통 및 단부로 개방되는 관통형으로 구성되며, 내주면에는 제2 암나사부가 형성된 원형관 형태의 제2 공구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생크부에는,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구성되며 측면으로 개방되는 V홈이 더 포함되게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건드릴 또는 보링기용 멀티 딥폴은, 하나의 딥폴에 다양한 초경팁 및 비트 등의 천공공구의 교체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등 다양의 깊이의 심공 작업이 매우 편리하면서도, 다수의 건드릴 등을 구비하여 하는 경제적인 부담이 현격이 줄어드는 등 매우 효율적인 천공 작업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건드릴 또는 보링기용 멀티 딥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건드릴 또는 보링기용 멀티 딥폴의 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건드릴 또는 보링기용 멀티 딥폴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건드릴 또는 보링기용 멀티 딥폴의 다른 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 건드릴 또는 보링기용 멀티 딥폴의 다른 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 건드릴 또는 보링기용 멀티 딥폴의 다른 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 건드릴 또는 보링기용 멀티 딥폴의 건드릴로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 건드릴 또는 보링기용 멀티 딥폴의 보링용 드릴로의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 건드릴 또는 보링기용 멀티 딥폴의 길이 조절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건드릴 또는 보링기용 멀티 딥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건드릴 또는 보링기용 멀티 딥폴의 요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건드릴 또는 보링기용 멀티 딥폴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건드릴 또는 보링기용 멀티 딥폴(1)은, 생크부(100)와, 제1 공구결합부(200)와, 제2 공구결합부(3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생크부(100)는 본 발명 건드릴 또는 보링기용 멀티 딥폴(1)의 몸체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길이를 가지는 원형봉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그 길이를 구성함에 있어서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생크부(100)에는 그 측면에 건드릴 또는 보링 작업 과정에서 발생되는 칩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V홈(110)이 구성된 것으로, 그 V홈(110)은 측면으로 개방되는 한편 생크부(100)의 길이를 따라 구성된다.
상기 제1 공구결합부(200)는, 상기 생크부(10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게 구성된 것으로, 건드릴 또는 보링 작업 과정에서 공구가 결합되게 구성된다.
이때, 제1 공구결합부(200)는 단부로 개방되는 형태를 이루고 생크부(100)의 V홈(110) 측으로는 막힌 관체 형태를 이루는 원형관 형태를 이루게 구성되며, 그 내주면에는 제1 암나사부(210)가 구성된다.
또한, 제1 공구결합부(200)에는 생크부(100)의 V홈(110)의 반대측 둘레에 해당하게는 그 제1 공구결합부(200)의 선단 및 측면으로 개방되는 길이를 이루는 외부 오일홈(220)이 구성된 것으로, 이때 외부 오일홈(220)은 적어도 한 열 이상 구성된다.
또한, 제1 공구결합부(200)에는 그 내주면에 상기 외부 오일홈(220)과 대응되는 위치에 내부 오일홈(230)이 더 구성된다.
또한, 제1 공구결합부(200)에는 상기 외부 오일홈(220)과 내부 오일홈(230)을 연결하는 오일통공(240)이 더 구성된 것으로, 오일통공(240)은 외부 오일홈(220)과 내부 오일홈(230) 내측단을 연결하게 구성된다.
즉, 제1 공구결합부(200)에는 건드릴 작업 과정에서 공급되는 오일이 내,외부로 소통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2 공구결합부(300)는, 상기 생크부(100)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게 구성된 것으로, 건드릴 또는 보링 작업 과정에서 공구가 결합되게 구성된다.
이때, 제2 공구결합부(300)는 단부로 개방되는 형태를 이루고 생크부(100)의 V홈(110)과도 연통되는 관통된 관체 형태를 이루는 원형관 형태를 이루게 구성되며, 그 내주면에는 제2 암나사부(310)가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 건드릴 또는 보링기용 멀티 딥폴(1)을 구성함에 있어, 도 4의 도시와 같이 상기 제1 공구결합부(200)에 결합되는 건드릴용 초경팁(400)이 더 포함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건드릴용 초경팁(400)은 그 후단에 상기 제1 공구결합부(200)의 제1 암나사부(210)에 나사 체결 가능한 제1 수나사부(410)가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건드릴용 초경팁(400)은 새롭게 구현되는 것이 아니라 통상의 절삭유 공급홀(도면중 미도시함)을 갖는 건드릴용 초경팁으로 구성하되, 그 후단에 제1 수나사부(410)가 구성되어 제1 공구결합부(200)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건드릴용 초경팁(400)은 본 발명 건드릴 또는 보링기용 멀티 딥폴(1)을 이용하여 건드릴 작업을 수행시 제1 공구결합부(200)에 결합 사용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 건드릴 또는 보링기용 멀티 딥폴(1)을 구성함에 있어, 도 5의 도시와 같이 상기 제2 공구결합부(300)에 결합되는 보링용 비트(500)가 더 포함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보링용 비트(500)는 그 후단에 상기 제2 공구결합부(300)의 제2 암나사부(310)에 나사 체결 가능한 제2 수나사부(510)가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보링용 비트(500)는 새롭게 구현되는 것이 아니라 통상의 칩 배출홈(도면중 미도시함)을 갖는 보링용 비트로 구성하되, 그 후단에 제2 수나사부(510)가 구성되어 제2 공구결합부(300)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보링용 비트(500)는 본 발명 건드릴 또는 보링기용 멀티 딥폴(1)을 이용하여 보링 작업을 수행시 제2 공구결합부(300)에 결합 사용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 건드릴 또는 보링기용 멀티 딥폴(1)을 구성함에 있어, 도 6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건드릴 또는 보링기용 멀티 딥폴(1)을 건드릴 머신 또는 보링머신의 드릴척에 장착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드라이버(600)가 더 포함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드라이버(600)는 원형봉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그 후단에는 수나사부(610)가 구성된 것으로, 제1 공구결합부(200)의 제1 암나사부(210) 또는 제2 공구결합부(300)의 제2 암나사부(310)에 선택 결합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드라이버(600)의 길이를 구성함에 있어서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길이를 이루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건드릴 또는 보링 작업 과정에서 천공되는 홀의 심공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건드릴 또는 보링기용 멀티 딥폴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건드릴 또는 보링기용 멀티 딥폴(1)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건드릴 또는 보링 작업 과정에서 심공을 천공시 그 심공의 깊이에 따라 다양한 건드릴 또는 보링용 드릴을 구비할 필요 없이 하나의 딥폴(1)을 이용하여 다양한 심공의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먼저 건드릴 또는 보링기용 멀티 딥폴(1)을 이용하여 건드릴 작업시를 살펴보면,
건드릴 작업시에는 도 4를 참조하여 도 7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딥폴(1)의 제1 공구결합부(200)에 건드릴용 초경팁(400)을 장착하여 사용하면 된다.
이때, 건드릴용 초경팁(400)은 그 후단에 형성되는 제1 수나사부(410)를 이용하여 제1 공구결합부(200)의 제1 암나사부(210)에 체결 장착하면 된다.
또한, 제2 공구결합부(300)에는 본 발명 딥폴(1)을 건드릴 머신(도면중 미도시함)의 드릴척에 장착하기 위한 드라이버(600)를 장착하되, 그 드라이버(600)는 후단의 수나사부(610)를 이용하여 제2 공구결합부(300)의 제2 암나사부(310)에 장착하면 된다.
즉, 상기와 같이 제1 공구결합부(200)에 건드릴용 초경팁(400)의 장착과 제2 공구결합부(300)에 드라이버(600)를 장착하게 됨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건드릴(10)을 완성할 수 있는 것으로, 그 건드릴(10)은 통상의 건드릴 머신의 드릴척에 장착 및 심공 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이때, 통상의 건드릴 작업시에는 절삭유가 사용되게 되는 것인데, 이때 절삭유는 제1 공구결합부(210)에 형성되는 외부 오일홈(220)과 내부 오일홈(230)과 오일통공(240)을 통해 건드릴용 초경팁(400)과 소통 가능하게 될 것이며, 이러한 천공 작업시 발생되는 칩은 V홈(110)을 통해 배출 가능하게 될 것이다.
즉, 본 발명 건드릴 또는 보링기용 멀티 딥폴(1)을 이용하여 건드릴 작업을 수행시에는 내,외부 오일홈(230)(220)이 형성된 제1 공구결합부(200)에 건드릴용 초경팁(400)을 장착 및 후방의 제2 공구결합부(300)에는 드라이버(600)를 장착하여 건드릴(10)로의 사용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 건드릴 또는 보링기용 멀티 딥폴(1)을 이용하여 보링 작업시를 살펴보면,
보링 작업시에는 도 5를 참조하여 도 8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딥폴(1)의 제2 공구결합부(300)에 보링용 비트(500)를 장착하여 사용하면 된다.
이때, 보링용 비트(500)는 그 후단에 형성되는 제2 수나사부(510)를 이용하여 제2 공구결합부(300)의 제2 암나사부(310)에 체결 장착하면 된다.
또한, 제1 공구결합부(200)에는 본 발명 딥폴(1)을 보링 머신(도면중 미도시함)의 드릴척에 장착하기 위한 드라이버(600)를 장착하되, 그 드라이버(600)는 후단의 수나사부(610)를 이용하여 제1 공구결합부(200)의 제1 암나사부(210)에 장착하면 된다.
즉, 상기와 같이 제2 공구결합부(300)에 보링용 비트(500)의 장착과 제1 공구결합부(200)에 드라이버(600)를 장착하게 됨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보링용 드릴을 완성할 수 있는 것으로, 그 보링용 드릴(20)은 통상의 보링 머신의 드릴척에 장착 및 심공 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이때, 통상의 보링 작업시 상부로 배출되는 이러한 천공 작업시 발생되는 칩은 관통된 후방을 통해 V홈(110)으로 배출 가능하게 될 것이다.
즉, 본 발명 건드릴 또는 보링기용 멀티 딥폴(1)을 이용하여 보링 작업을 수행시에는 관통된 제2 공구결합부(300)에 보링용 비트(500)를 장착 및 후방의 제1 공구결합부(200)에는 드라이버(600)를 장착하여 보링용 드릴(20)로의 사용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건드릴 또는 보링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본 발명 건드릴 또는 보링기용 멀티 딥폴(1)은 그 천공되는 홀의 깊이에 따라 다양한 길이의 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이는 도 6을 참조하여 도 7 및 도 8의 도시와 같이 비교적 낮은 홀을 천공시에는 단형 구조를 이루는 드라이버(600)를 적용하면 될 것이고, 도 10의 도시와 같이 건드릴(10)을 일예로 비교적 깊은 홀을 천공시에는 장형 구조를 이루는 드라이버(600)를 적용하면 되는 것으로, 이러한 드라이버(600)의 길이 조절에 따라 다양한 깊이로의 천공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본 발명 건드릴 또는 보링기용 멀티 딥폴은, 하나의 딥폴을 이용하여 건드릴 또는 보링 작업이 가능하게 하면서도, 다양한 천공 깊이에 따라 조절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등 매우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게 된다.
100 : 생크부 110 : V홈
200 : 제1 공구결합부 210 : 제1 암나사부
220 : 외부 오일홈 230 : 내부 오일홈
240 : 오일통공
300 : 제2 공구결합부 310 : 제2 암나사부
400 : 건드릴용 초경팁 410 : 제1 수나사부
500 : 보링용 비트 510 : 제2 수나사부
600 : 드라이버 610 : 수나사부

Claims (5)

  1. 길이를 가지는 봉 형태로 건드릴 또는 보링 작업 과정에서 발생되는 칩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구성되며 측면으로 개방되는 V홈(110)이 구비된 생크부(100);
    생크부(100)의 일단에 형성되며, 생크부(100)의 V홈(110) 측으로는 막힌 관체 형태를 이루는 원형관 형태로 단부로 개방되고 내주면에는 제1 암나사부(210)가 형성되며, V홈(110)의 반대측 둘레에 해당하게 제1 공구결합부(200)의 선단 및 측면으로 개방되고 길이 방향을 이루는 적어도 한 열 이상의 외부 오일홈(220)이 구비되고, 내주면에는 외부 오일홈(220)과 대응되는 내부 오일홈(230)이 구비되며, 상기 외부 오일홈(220)과 내부 오일홈(230)은 내측에서 서로 오일통공(240)을 통해 연통되어 서로 오일이 소통하게 구성된 제1 공구결합부(200);
    생크부(100)의 타단에 형성되며, V홈(110)과 연통 및 단부로 개방되는 관통형으로 구성되며, 내주면에는 제2 암나사부(310)가 형성된 원형관 형태의 제2 공구결합부(300);
    후단에 제1 수나사부(410)가 형성되어 제1 공구결합부(200)의 제1 암나사부(210)에 나사 결합되는 건드릴용 초경팁(400);
    후단에는 수나사부(610)가 형성되어 제2 공구결합부(300)에 결합되어 머신에 장착되는 드라이버(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드릴 또는 보링기용 멀티 딥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047039A 2018-04-24 2018-04-24 건드릴 또는 보링기용 멀티 딥폴 Active KR102016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039A KR102016765B1 (ko) 2018-04-24 2018-04-24 건드릴 또는 보링기용 멀티 딥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039A KR102016765B1 (ko) 2018-04-24 2018-04-24 건드릴 또는 보링기용 멀티 딥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6765B1 true KR102016765B1 (ko) 2019-09-09

Family

ID=67951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7039A Active KR102016765B1 (ko) 2018-04-24 2018-04-24 건드릴 또는 보링기용 멀티 딥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676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0119U (ja) * 1983-03-09 1984-09-19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穴明け加工用工具
JP2004090104A (ja) * 2002-08-29 2004-03-25 Yunitakku Kk 深穴切削装置
JP4057936B2 (ja) * 2003-03-24 2008-03-05 ユニタック株式会社 深孔切削具
KR101537666B1 (ko) 2015-03-13 2015-07-17 (주)유림건드릴 건드릴 어셈블리와 이것을 이용한 가공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0119U (ja) * 1983-03-09 1984-09-19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穴明け加工用工具
JP2004090104A (ja) * 2002-08-29 2004-03-25 Yunitakku Kk 深穴切削装置
JP4057936B2 (ja) * 2003-03-24 2008-03-05 ユニタック株式会社 深孔切削具
KR101537666B1 (ko) 2015-03-13 2015-07-17 (주)유림건드릴 건드릴 어셈블리와 이것을 이용한 가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58734A1 (en) Combined drill and reamer tool
JP3926446B2 (ja) 貫通孔の穴あけ加工方法
KR102016765B1 (ko) 건드릴 또는 보링기용 멀티 딥폴
CN208391098U (zh) 一种换挡箱专用复合钻铰铣刀
CN103817366B (zh) 组合扩孔刀具
CN205888273U (zh) 一种快换式高精度倒角器
CN108098083A (zh) 复合丝锥
CN108788635B (zh) 利用锥孔刀具加工锥孔的方法
CN205629472U (zh) 空心组合钻头
CN208913162U (zh) 用于加工深孔锥度盲孔及清底的镗刀
CN205129023U (zh) 一种钻孔倒角合成工具
KR20090076296A (ko) 대구경 홀 가공용 드릴
JP6835194B1 (ja) 穴あけ工具
US2673479A (en) Boring tool
CN102728874A (zh) 钻孔攻丝组合式刀具
CN211489786U (zh) 一种加长型钻头
CN207414433U (zh) 数控车床可转位刀架用小孔型u型钻头
CN201201239Y (zh) 一种工具套装箱
CN105499645A (zh) 具有加长套的深孔钻
CN206083949U (zh) 一种可拆卸钻铰倒复合刀具
CN211072119U (zh) 一种组合式高速钢磨牙丝锥
CN217412568U (zh) 一种适用于3倍以上孔径的双导向式钻铰组合镶刃钻头
CN111604524A (zh) 一种多节可换头组合钻
US3701607A (en) Deep hole drilling tool
CN203863088U (zh) 数控车床用钻头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806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0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2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2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4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120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4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20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0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905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4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20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908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8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8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