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2429B1 - 기계적 특성 및 전기적 특성이 개선된 탄소나노튜브섬유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기계적 특성 및 전기적 특성이 개선된 탄소나노튜브섬유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12429B1 KR102012429B1 KR1020180016340A KR20180016340A KR102012429B1 KR 102012429 B1 KR102012429 B1 KR 102012429B1 KR 1020180016340 A KR1020180016340 A KR 1020180016340A KR 20180016340 A KR20180016340 A KR 20180016340A KR 102012429 B1 KR102012429 B1 KR 1020124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ntf
- phenolic resin
- ctab
- carbon nanotube
- resi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39—Aldehyde resins; Ketone resins; Polyacetals
- D06M15/41—Phenol-aldehyde or phenol-ketone resi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1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to be treated
- D06M2101/40—Fibres of carb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 Inorganic Fib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제조예에서의 원-CNTF 및 RF-CNTF의 SE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제조예에서의 원-CNTF 및 RF-CNTF의 a) 인장강도, b) 전기전도도, c) 비인장강도 및 d) 비전기전도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제조예에서의 중합시간에 따른 RF-CNTF의 인장강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제조예에서 CTAB 존재 하에서 중합시간에 따른 RF 레진 중합의 a) UV-Vis 및 b) FT-IR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제조예에서의 RF-CTAB-CNTF의 a) 인장강도 b) 비인장강도 c) 전기전도도 d) 비전기전도도 및 e) SE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제조예에서 중합시간에 따른 RF-CTAB-CNTF의 a) 인장강도 및 b) 비인장강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제조예에서의 RF-CTAB-CNTF, 안정화-RF-CTAB-CNTF 및 탄화-RF-CTAB-CNTF의 a) TGA, b) 라만, c) FT-IR 및 d) XPS 와이드 스캔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제조예에서의 a) 탄화-RF-CTAB-CNTF의 SEM 이미지, b) 원-CNTF, RF-CTAB-CNTF 및 탄화-RF-CTAB-CNTF의 XPS 와이드 스캔 스펙트럼 및 c) 원-CNTF, RF-CTAB-CNTF 및 탄화-RF-CTAB-CNTF의 라만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고,
도 10은 제조예에서의 원-CNTF, RF-CTAB-CNTF 및 탄화-RF-CTAB-CNTF의 a) 단면 SEM 이미지 및 b) 편광 라만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고,
도 11은 제조예에서의 원-CNTF, RF-CTAB-CNTF 및 탄화-RF-CTAB-CNTF의 a) 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커브, b) 인장강도, c) 모듈러스, d) 비인장강도, e) 전기전도도, f) 비전기전도도 및 g) SEM 프랙토그래피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Claims (12)
- 기계적 특성 및 전기적 특성이 개선된 탄소나노튜브섬유에 있어서,
빈 공간을 가지는 원-탄소나노튜브섬유(CNTF);
상기 원-탄소나노튜브섬유의 빈 공간의 적어도 일부에 채워져 있는 페놀계 레진을 포함하며,
상기 페놀계 레진은 레소시놀-포름알데히드 레진을 포함하며,
상기 페놀계 레진과 상기 원-CNTF 사이에 위치하는 양전하성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양전하성 계면활성제는 세틸 트리메틸암모니움 브로마이드(CTA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섬유.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놀계 레진은 연속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섬유
- 삭제
- 기계적 특성 및 전기적 특성이 개선된 탄소나노튜브섬유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빈 공간을 가지는 원-탄소나노튜브섬유(CNTF)를 마련하는 단계와;
페놀계 레진의 모노머를 포함하는 중합용액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원-CNTF가 상기 중합용액에 침지된 상태에서 상기 중합용액의 중합을 진행하여 페놀계 레진이 상기 원-CNTF의 빈공간의 적어도 일부에 위치하는 페놀계레진-CNTF를 마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중합용액은 양전하성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페놀계 레진은 레소시놀-포름알데히드 레진을 포함하며,
상기 양전하성 계면활성제는 세틸 트리메틸암모니움 브로마이드(CTAB)를 포함하며,
상기 페놀계 레진-CNTF에 있어서,
상기 양전하성 계면활성제는 상기 페놀계 레진과 상기 원-CNTF 사이에 위치하는 탄소나노섬유의 제조방법. - 삭제
- 삭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페놀계 레진-CNTF에 있어서,
상기 페놀계 레진은 연속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섬유의 제조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페놀계 레진-CNTF를 탄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섬유의 제조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화단계 전에,
상기 탄화단계의 온도보다 200℃ 내지 500℃ 낮은 온도에서 수행되는 안정화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섬유의 제조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탄화단계는 500℃ 내지 750℃에서 10분 내지 5시간 동안 수행되며,
상기 안정화단계는 200℃ 내지 350℃에서 10분 내지 5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섬유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6340A KR102012429B1 (ko) | 2018-02-09 | 2018-02-09 | 기계적 특성 및 전기적 특성이 개선된 탄소나노튜브섬유 및 그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6340A KR102012429B1 (ko) | 2018-02-09 | 2018-02-09 | 기계적 특성 및 전기적 특성이 개선된 탄소나노튜브섬유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12429B1 true KR102012429B1 (ko) | 2019-11-04 |
Family
ID=68577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16340A Active KR102012429B1 (ko) | 2018-02-09 | 2018-02-09 | 기계적 특성 및 전기적 특성이 개선된 탄소나노튜브섬유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12429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13612B1 (ko) | 2020-04-17 | 2021-10-19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조밀화된 탄소나노튜브 섬유의 제조방법 |
KR20220030071A (ko) | 2020-09-02 | 2022-03-10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섬유 형상을 갖는 전기화학소자용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
KR20230130240A (ko) | 2022-03-03 | 2023-09-12 | 한국세라믹기술원 | SiC 섬유의 전기적 및 기계적 특성 제어 방법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73119A (ja) * | 1992-12-03 | 1994-06-21 | Nippon Soken Inc | 分子篩炭素繊維の製造方法 |
KR20000011056A (ko) * | 1996-05-15 | 2000-02-25 | 하이페리온 커탤리시스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 견고한 다공질 탄소 구조물, 이의 제조방법, 이용방법 및 이를함유하는 산물 |
JP2002508422A (ja) * | 1997-12-15 | 2002-03-19 | キャボット コーポレイション | 改質カーボン生産品を含有するポリマー生産品とその製造・使用方法 |
JP2009137805A (ja) | 2007-12-07 | 2009-06-25 | Ulvac Japan Ltd |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の作製方法及び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を成長させた基板 |
KR20120115960A (ko) * | 2011-04-11 | 2012-10-19 | 주식회사 포스포 | 폴리퍼퓨릴 알콜을 이용한 탄소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
KR20130134102A (ko) * | 2012-05-30 | 2013-12-10 |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 탄소전구체로 보강된 탄소나노튜브섬유의 제조방법 |
-
2018
- 2018-02-09 KR KR1020180016340A patent/KR102012429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73119A (ja) * | 1992-12-03 | 1994-06-21 | Nippon Soken Inc | 分子篩炭素繊維の製造方法 |
KR20000011056A (ko) * | 1996-05-15 | 2000-02-25 | 하이페리온 커탤리시스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 견고한 다공질 탄소 구조물, 이의 제조방법, 이용방법 및 이를함유하는 산물 |
JP2002508422A (ja) * | 1997-12-15 | 2002-03-19 | キャボット コーポレイション | 改質カーボン生産品を含有するポリマー生産品とその製造・使用方法 |
JP2009137805A (ja) | 2007-12-07 | 2009-06-25 | Ulvac Japan Ltd |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の作製方法及び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を成長させた基板 |
KR20120115960A (ko) * | 2011-04-11 | 2012-10-19 | 주식회사 포스포 | 폴리퍼퓨릴 알콜을 이용한 탄소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
KR20130134102A (ko) * | 2012-05-30 | 2013-12-10 |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 탄소전구체로 보강된 탄소나노튜브섬유의 제조방법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13612B1 (ko) | 2020-04-17 | 2021-10-19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조밀화된 탄소나노튜브 섬유의 제조방법 |
US11897770B2 (en) | 2020-04-17 | 2024-02-13 |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Method for producing densified carbon nanotube fiber |
KR20220030071A (ko) | 2020-09-02 | 2022-03-10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섬유 형상을 갖는 전기화학소자용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
KR20230130240A (ko) | 2022-03-03 | 2023-09-12 | 한국세라믹기술원 | SiC 섬유의 전기적 및 기계적 특성 제어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12429B1 (ko) | 기계적 특성 및 전기적 특성이 개선된 탄소나노튜브섬유 및 그 제조방법 | |
USRE42775E1 (en) | Isotropic pitch-based materials for thermal insulation | |
US9255003B2 (en) | Carbon nanotube fibers/filaments formulated from metal nanoparticle catalyst and carbon source | |
CN101462889A (zh) | 石墨烯与碳纤维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 |
KR101415255B1 (ko) | 기계적 강도 향상을 위한 탄소나노튜브섬유 후처리 방법 | |
JPH08157273A (ja) | 一方向性炭素繊維強化炭素複合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 |
JP5093060B2 (ja) | 炭素繊維強化炭化ケイ素複合材及びその製造方法 | |
US20080057303A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Carbon Fiber Reinforced Carbon Composite Material Suitable for Semiconductor Heat Sink | |
CN110157476B (zh) | 一种制造高导热碳纤维用中间相沥青的方法 | |
US8277534B2 (en) | Carbon nanotube fibers/filaments formulated from metal nanoparticle catalyst and carbon source | |
US20100055465A1 (en) | Carbon-carbon composites for use in thermal management applications | |
Sharma et al. | Processing and characterization of robust carbon–carbon composites from inexpensive petroleum pitch without re-impregnation process | |
CN108264352A (zh) | 一种有机硅树脂转化制备Si-C-O陶瓷纤维的方法 | |
Wang et al. | Highly Conductive Double‐Wall Carbon Nanotube Fibers Produced by Dry‐Jet Wet Spinning | |
JP2519042B2 (ja) | 炭素炭素複合材の製造方法 | |
JPH0816032B2 (ja) | 高強度炭素炭素複合材の製造方法 | |
Nguyen et al. | Effect of carbon nanotubes on the microstructure and thermal property of phenolic/graphite composite | |
JPH0665858A (ja) | 表面改質炭素繊維の製造方法 | |
JPH05330915A (ja) | 炭素/炭素複合材の製造方法 | |
WO2011097441A1 (en) | Carbon nanotube fibers/filaments formulated from metal nanoparticle catalyst and carbon source | |
US20240352182A1 (en) | Polymers and co-polymers for polymer matrix composites and high yield carbon-carbon composite structures therefrom | |
JPH03290365A (ja) | 炭素/炭素複合材料の製造法 | |
Karthikeyan et al. |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multi-walled carbon nanotube from pine oil and their impact on carbon fibre reinforced epoxy hybrid nanocomposite | |
KR950011212B1 (ko) | 마찰재료용 탄소섬유 강화 탄소복합재료 및 그 제조방법 | |
JPH0665859A (ja) | 炭化ケイ素被覆炭素繊維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1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31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8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8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