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12300B1 - A dipper-well apparatus equipped with an ultrasonic vibrator - Google Patents

A dipper-well apparatus equipped with an ultrasonic vib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2300B1
KR102012300B1 KR1020180167559A KR20180167559A KR102012300B1 KR 102012300 B1 KR102012300 B1 KR 102012300B1 KR 1020180167559 A KR1020180167559 A KR 1020180167559A KR 20180167559 A KR20180167559 A KR 20180167559A KR 102012300 B1 KR102012300 B1 KR 102012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water
hydrogen water
faucet
kitchen utensil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75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일
진봉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로퍼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로퍼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로퍼스트
Priority to KR1020180167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230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2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2300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2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 A47L15/13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using sonic or ultrasonic wa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86In-sink dishwash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36Arrangements to sterilize or disinfect dishes or washing liquids
    • A47L15/4238Arrangements to sterilize or disinfect dishes or washing liquids by using electrolytic ce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44Water-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601/00Washing method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treatment
    • A47L2601/06Electrolysed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601/00Washing method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treatment
    • A47L2601/17Sonic or ultrasonic waves

Landscapes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초음파진동자를 구비한 디퍼웰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디퍼웰장치는 주방기구가 담겨지도록 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수전으로부터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물이 채워지는 볼; 스트로우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볼의 내부에 세워진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볼에 채워지는 물이 상단을 통해 유입되어 상기 볼에서 배출되도록 하는 오버플로우관; 상기 볼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볼에 진동을 가해 상기 볼에 담겨진 물에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볼에 담겨진 상기 주방기구에 묻어 있는 음식잔여물을 상기 주방기구로부터 분리하여 세척이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주방기구에 대한 살균이 이루어지게 하는 초음파진동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isclosed is a dipper device having an ultrasonic vibrator. The disclosed differwell device is made of a cup shape so that the kitchen utensils are contained, the ball is filled with water continuously supplied from the faucet; An overflow pipe made of a straw form, installed in a form erect inside the ball so that the water filled in the ball flows through the upper end to be discharged from the ball; It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ll, by applying vibration to the ball to generate a vibration in the water contained in the ball to remove the food residues buried in the kitchen utensil contained in the ball from the kitchen utensils to be washed Ultrasonic vibrator to sterilize the kitchen utensil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escription

초음파진동자를 구비한 디퍼웰장치{A dipper-well apparatus equipped with an ultrasonic vibrator}A dipper-well apparatus equipped with an ultrasonic vibrator

본 발명은 지속적으로 물을 볼에 공급하여 물이 오버플로우되면서 볼에 담겨 스푼 등의 주방기구를 세척하거나 보관하는 디퍼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초음파진동자를 구비하여 초음파진동자에 의해 볼에 담겨진 물에 진동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주방기구의 세척 및 살균이 이루어져 주방기구의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초음파진동자를 구비한 디퍼웰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fferwell device for continuously supplying water to a bowl and washing or storing kitchen utensils such as spoons contained in the bowl as the water overflows, and more specifically, the ultrasonic vibrator includes an ultrasonic vibrator By vibrat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cleaning and sterilization of the kitchen utensils, and relates to a differwell device having an ultrasonic vibrator to enable hygienic use of the kitchen utensils.

일반적으로, 디퍼웰(Dipper-well)장치는 커피 전문점이나 아이스크림 전문점과 같이 티 스푼이나 소형 수저 또는 아이스크림 집게 등을 보관하기 위해서 배수와 급수를 사용하여 물이 계속 흐르게 하여 커피등을 제조한 후 스푼에 남아있는 잔여물을 물에 저절로 씻겨 내려가게 해주어 주방기구들을 씽크대로 이동하여 세척을 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과 각종 오염물질의 제거와 세균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지하는 위생장치이다. In general, a dipper-well device is a coffee shop or an ice cream shop, such as a coffee shop or a teaspoon or a small spoon or ice cream tongs, etc. in order to keep the water flows using the drainage and water to make a coffee spoon It is a sanitary device that removes the residues left in the water by itself and moves the kitchen utensils to the sink, eliminating the contaminants and effectively inhibiting the growth of bacteria.

이러한 디퍼웰장치에 대해 등록특허 10-1798940호 및, 등록특허 10-1612098호에 개시되어 있다. Such a dipper device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s. 10-1798940 and 10-1612098.

이러한 종래의 디퍼웰장치는 컵 형태를 갖는 내부볼을 외부볼의 내측에 내장시키고 내부볼의 측면 상부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넘친 물이 외부볼의 내측에서 하측의 배수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The conventional dipperwell device has a structure in which an inner ball having a cup shape is embedded inside the outer ball and water overflowed through a hole formed in the upper side of the inner ball is discharged through the lower drain pipe from the inner side of the outer ball. .

이와 같이, 종래의 디퍼웰장치는 내부볼과 외부볼로 구성되어 부품수가 늘어나고 재료비가 많이 들어 제품가격이 상승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differwell device is composed of an inner ball and an outer ball, which increases the number of parts and increases the material cost.

또한, 종래의 디퍼웰장치는 단순히 물이 넘쳐흐르게 하는 기능만을 하기 때문에 내부볼에 담궈둔 스푼 등의 주방기구에 묻어 있는 음식잔여물이 잘 분리되지 않아 세척효과가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dipperwell device has a problem that the washing effect is remarkably inferior because the food residues in the kitchen utensils, such as spoons dipped in the inner bowl, are not easily separated because they merely serve to overflow the water.

등록특허 10-1798940호Patent Registration 10-1798940 등록특허 10-1612098호Patent Registration 10-1612098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구성품의 수를 줄여 구조가 간단해 제품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초음파진동자를 구비하여 주방기구에 묻어 있는 음식잔여물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여 주방기구에 대한 세척력이 향상되고 살균이 이루어질 수 있어 위생적인 주방기구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개선된 형태의 초음파진동자를 구비한 디퍼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structure is simple to reduce the number of components to reduce the product cost, as well as to separate the food residue in the kitchen utensils equipped with an ultrasonic vibrato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fferwell device having an improved ultrasonic vibrator, which enables the use of sanitary kitchen utensils by making it easy to clean and sterilize kitchen utensil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초음파진동자를 구비한 디퍼웰장치는 주방기구가 담겨지도록 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수전으로부터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물이 채워지는 볼; 스트로우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볼의 내부에 세워진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볼에 채워지는 물이 상단을 통해 유입되어 상기 볼에서 배출되도록 하는 오버플로우관; 상기 볼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볼에 진동을 가해 상기 볼에 담겨진 물에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볼에 담겨진 상기 주방기구에 묻어 있는 음식잔여물을 상기 주방기구로부터 분리하여 세척이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주방기구에 대한 살균이 이루어지게 하는 초음파진동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ifferwell device having an ultrasonic vib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made of a cup-shaped so that the kitchen utensils, the ball is continuously filled with water supplied from the faucet; An overflow pipe made of a straw form, installed in a form erect inside the ball so that the water filled in the ball flows through the upper end to be discharged from the ball; It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ll, by applying vibration to the ball to generate a vibration in the water contained in the ball to remove the food residues buried in the kitchen utensil contained in the ball from the kitchen utensils to be washed Ultrasonic vibrator to sterilize the kitchen utensil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볼의 바닥면에는 상기 볼의 담겨진 물을 배수시키는 배수구가 형성되며, 상기 배수구를 개폐시키는 배수밸브;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bottom surface of the ball is formed with a drain hole for drain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ball,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drain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rain hole.

상기 오버플로우관은 상단이 경사지며 경사진 면이 상기 볼의 내측으로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overflow pipe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top is inclined and the inclined surface faces the inside of the ball.

상기 오버플로우관은 상기 볼에 담겨지는 상기 주방기구의 사이즈에 따라 오버플로우되는 수위를 조정하도록 길이조절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overflow pipe may be formed in a length-adjustable form to adjust the level of overflow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kitchen appliance contained in the bowl.

상기 오버플로우관은 상기 볼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하부스트로우와, 상기 하부스트로우 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하부스트로우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상부스트로우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부스트로우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복수의 스냅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스트로우의 내주면에는 상기 복수의 스냅결합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스냅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하부스트로우에 대해 상기 상부스트로우를 인입시키거나 인출시켜 길이조절이 이루어지고, 길이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스냅결합홈 중 하나에 상기 스냅결합돌기가 스냅결합되어 길이조정된 상태가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overflow pipe is configured to include a lower strobe installed to penetrate the bottom surface of the ball, and an upper strobe configured to have a smaller diameter than the lower strobe and inserted into the lower strobe,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strobe A plurality of snap coupling grooves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nap coupling protrusion inserted into one of the plurality of snap coupling grooves i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strobe, and the upper strobe with respect to the lower strobe. Retracting or withdrawing the length adjustment is made, it may be configured to snap the snap coupling projection to one of the plurality of snap coupling groove in the length adjusted state is fixed to the adjusted length.

상기 볼의 바닥면을 통해 상기 볼 내부로 수소수를 공급하여 상기 볼에 담겨진 상기 주방기구에 대한 세척 및 살균을 향상시키는 수소수공급유닛;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nd a hydrogen water supply unit supplying hydrogen water into the ball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ball to improve washing and sterilization of the kitchen utensils contained in the ball.

상기 수소수공급유닛은, 물을 공급받아 수소수를 생성시키는 수소수생성기; 상기 수소수 생성기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소수생성기에서 생성된 수소수를 이송시키는 이송펌프; 상기 볼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펌프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볼의 바닥면을 통해 상기 볼 내부로 수소수를 공급하는 노즐관;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hydrogen water supply unit includes a hydrogen water generator for receiving water to generate hydrogen water; A transfer pump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hydrogen water generator to transfer hydrogen water generated by the hydrogen water generator; It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ll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transfer pump nozzle tube for supplying hydrogen water into the ball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ball;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볼(bowl)이 하나로 구성되며, 내부에 오버플로우관이 설치된 형태로 이루어져, 기존에 이중 볼이 겹쳐진 형태로 구성된 디퍼웰장치에 비해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고 구성품을 줄일 수 있어 전체적인 제품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one bowl (bowl), the overflow pipe is formed insid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terial cost compared to the differwell device configured in the form of the existing double ball overlapping components This can reduce the overall product cost.

또한, 본 발명은 볼의 하면에 초음파진동자가 설치되어, 볼 내부에 채워진 물이 초음파 진동하여 볼에 담겨진 주방기구에서 잔여음식물이 용이하게 분리되어 주방기구가 깨끗하게 세척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초음파 진동에 의해 주방기구에 대한 살균까지 이루어질 수 있어 주방기구의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ultrasonic vibrator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wl, the water filled in the bowl is ultrasonic vibration, the remaining food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kitchen utensils contained in the bowl, as well as clean the kitchen utensils, ultrasonic vibration By sterilizing the kitchen utensils can be made by the hygienic use of the kitchen utensils are possible.

또한, 추가적으로 수소수를 볼 내부에 공급해 줌으로써 주방기구에 대한 세척 및 살균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by additionally supplying the hydrogen water in the bowl can be further improved cleaning and sterilization of the kitchen utensils.

또한,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수소수를 볼 바닥면을 통해 공급하고, 수전에서는 선택적으로 물 또는 수소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볼에 순수 수소수만이 채워지거나 또는 물과 수소수가 함께 채워지는 것을 선택할 수 있어 세척 및 살균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스푼 등의 주방기구의 오염도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supplies the hydrogen water through the bottom of the ball, in the faucet can be selectively supplied with water or hydrogen water so that only pure hydrogen water to the ball or water and hydrogen water can be selected to be filled together. There can be adjusted the strength of washing and sterilization,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ollution degree of the kitchen utensils, such as spo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conveniently used.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퍼웰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퍼웰장치의 설치상태에 대한 내부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퍼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오버플로우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퍼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디퍼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differwell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differwell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perwell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overflow tube of FIG.
5 is a view showing a differwell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differwell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Objects,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ad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preferred embodiments associat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may be made thorough and complete, and to ful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mentioned to be on another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be formed directly on the other component or a third component may be interposed therebetween. 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of the components are exaggerated for the effective description of the technical content.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views and / or plan views, which are ideal exemplary view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es of film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for effective explanation of technical content. Therefore, the shape of the exemplary diagram may be modified by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 or tolerances. Therefor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shown, but also include changes in forms generated according to manufacturing processes. For example, the etched regions shown at right angles may be rounded or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Thus, the regions illustrated in the figures have properties, and the shape of the regions illustrated in the figures is intended to illustrate a particular type of region of the device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lthough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s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illustrated herein also include complementary embodiments thereof.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the words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In describing the following specific embodiments, various specific details are set forth in order to explain and understand the invention in more detail. However,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without these various specific details. In some cases, it is mentioned in advance that parts of the invention that are commonly known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are not highly related to the invention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prevent confusion in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cause.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진동자를 구비한 디퍼웰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1 to 3, a dipper well device including an ultrasonic vibr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디퍼웰장치는 볼(bowl, 110), 수전(120), 오버플로우관(130), 초음파진동자(14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The differwel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bowl 110, a faucet 120, an overflow tube 130, and an ultrasonic vibrator 140.

볼(110)은 수전(120)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담겨지도록 컵과 같은 용기로 이루어지며, 커피숍, 아이스크림 전문점 등의 매장에 설치된 주방 테이블(10) 상판에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존 디퍼웰장치와는 다르게 하나의 볼(110) 만으로 구성된다. Ball 110 is made of a container such as a cup to contain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faucet 120, it may be configured to be installed on the kitchen table 10 top plate installed in stores such as coffee shops, ice cream specialty stores.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only one ball 110, unlike the conventional differwell device.

수전(120)은 볼(11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주방 테이블(10) 상에 설치되며, 수도배관과 연결되어 사용자가 수전 손잡이를 조작함에 따라 볼(110)에 물을 배출시키도록 구성된다. Faucet 120 is a configuration for supplying water to the ball 110, is installed on the kitchen table 10, is connected to the water pipe to discharge the water to the ball 110 as the user operates the faucet handle. It is configured to.

오버플로우관(130)은 스트로우(straw)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단은 비스듬이 잘려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오버플로우관(130)은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스테인레스 등과 같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Overflow tube 130 is made in the form of a straw (straw), the top is made obliquely cut oblique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verflow tube 13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but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오버플로우관(130)은 볼(110) 내부에 세워진 형태로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며 하부가 볼(110)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볼(110)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Overflow tube 130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form of standing in the ball 110, the lower portion is configured to protrude to the bottom of the ball 110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ball (110).

오버플로우관(130)의 하단은 연결호스(h2)를 통해 하수도와 연결된 배수관로와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The lower end of the overflow pipe 130 may be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drain pipe connected to the sewer through the connection hose (h2).

상기에서 오버플로우관(13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110)의 바닥면을 관통하고 볼(110)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볼(110)의 바닥면에 구멍이 형성되고, 이 구멍에 연결되도록 오버플로우관(130)이 볼(110) 내부에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overflow tube 130 is installed to penetrate the bottom surface of the ball 110 and protrude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all 110, as shown in the draw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A hole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and the overflow pipe 130 may be configured to be installed inside the ball 110 to be connected to the hole.

수전(120)으로부터 볼(110)에 물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면, 볼(110)에 채워지는 물의 수위가 올라가다가 오버플로우관(130)의 상단을 통해 유입되면서 볼(110)에서 빠져나가 하수도로 배출되는 오버플로우가 이루어질 수 있다. When water is continuously supplied from the faucet 120 to the ball 110,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filled in the ball 110 rises and flows out through the top of the overflow pipe 130 while exiting from the ball 110 to the sewerage road. Overflow may be made.

본 발명에서 볼(110)에는 스푼, 집게 등의 주방기구가 담겨지고, 주방기구에 묻어 있는 잔여음식물이 물에 의해 주방기구에서 분리되어 일부 부유성물질은 오버플로우관(130)을 통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wl 110, the kitchen utensils such as spoons, tongs are contained, the remaining food buried in the kitchen utensils are separated from the kitchen utensils by water, some of the floating material is discharged through the overflow pipe 130 It becomes possible.

본 발명에서 오버플로우관(130)은 볼(110)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수전(120)으로부터 배출되어 물이 볼(110)에 떨어지면서 채워지게 되는데, 이 떨어지는 물에 의해 볼(110)에 채워지는 물에 파동이 일어나고, 이 파동에 의해 주방기구에서 분리된 잔여음식물의 부유성물질이 볼(110)의 내주면으로 모이게 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 잔여음식물의 부유성물질이 내주면(110)에 밀착되게 설치된 오버플로우관(130)의 상단을 통해 오버플로우되면서 외부로 배출되어 부유성물질의 배출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verflow tube 130 is preferably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ll (110). This is discharged from the faucet 120 is filled with water falling on the ball 110, the wave is generated in the water filled in the ball 110 by the falling water, the residual separated from the kitchen utensil by this wave Floating material of the food may be gather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ll 110, and thus, the floating material of the residual food overflows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overflow tube 130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10 The discharge efficiency of the suspended solids may be improved.

특히, 본 발명은 오버플로우관(130)의 상단이 경사지며 경사진 면이 볼(110)의 내측으로 향하도록 설치됨으로써, 부유성물질이 오버플로관(130)으로 보다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so that the top of the overflow pipe 130 is inclined and the inclined surface is directed toward the inside of the ball 110, so that the floating material can be more easily introduced into the overflow pipe 130. do.

한편, 본 발명은 매장의 직원 퇴근 등의 이유로 디퍼웰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 볼(110)에 채워진 물을 완전히 배수시키기 위해서 볼(110)의 바닥면에 배수구(11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배수구(114)는 연결호스(h1)를 통해 하수도와 연결된 배수관로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배수구(114)에는 사용자의 레버조작에 따라 개폐조작되는 배수밸브(116)가 설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when not using the differwell device for reasons such as leaving the store staff, drain hole 114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ll 110 to completely drain the water filled in the ball 110 , The drain 114 may be connected to the drainage pipe connected to the sewer through the connection hose (h1). In addition, the drain port 114 may be provided with a drain valve 116 that is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user's lever operation.

즉, 볼(110)에 채워진 물의 완전배수를 위해 수전(120)을 잠그고, 배수밸브(116)를 조작해 배수구(114)를 개방시킴으로써, 볼(110)에 채워진 물을 완전히 볼(110)에서 배수시킬 수 있게 된다. That is, by closing the faucet 120 for the complete drainage of the water filled in the ball 110, and by operating the drain valve 116 to open the drain port 114, the water filled in the ball 110 is completely in the ball 110 To drain.

초음파진동자(140)는 볼(110)의 하면 중앙에 설치되어, 볼(110)에 진동을 가해 볼(110) 내부에 채워진 물을 진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초음파진동자(140)는 제어부(142)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Ultrasonic vibrator 140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all 110, is configured to vibrate the ball 110 to vibrate the water filled in the ball (110). The ultrasonic vibrator 140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by the controller 142.

초음파진동자(140)의 구동에 따라 볼(110)에 진동이 가해져 볼(110) 내부에 채워진이 물에서 진동이 일어나면, 볼(110)에 담겨진 스푼, 집게 등의 주방기구에 묻어 있는 음식잔여물이 주방기구에서 효율적으로 분리될 수 있어, 주방기구에 대한 세척력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When the vibration is applied to the ball 110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of the ultrasonic vibrator 140, the vibration filled in the water filled in the ball 110, the food residue buried in the kitchen utensils, such as spoons, tongs contained in the ball 110 Since it can be efficiently separated from the kitchen utensils, the cleaning power for the kitchen utensils can be greatly improved.

한편, 본 발명에서는 초음파진동자(140) 및 제어부(142)에 필요한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전원스위치(151)를 구비하며, 초음파진동자(14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진동자스위치(153)가 구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switch 151 for turning on and off the power required for the ultrasonic vibrator 140 and the control unit 142, the oscillator switch 153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ultrasonic vibrator 140 is provided Can be.

이처럼, 본 발명의 디퍼웰장치는 볼(110)이 하나로 구성되며, 내부에 오버플로우관(130)이 설치된 형태로 이루어져, 기존에 이중 볼이 겹쳐진 형태로 구성된 디퍼웰장치에 비해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고 구성품을 줄일 수 있어 전체적인 제품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such, the differwel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ball 110 is formed in one, the overflow pipe 130 is installed insid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terial cost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differwell device formed of a double ball overlapping form This can reduce the overall product cost by reducing the number of components.

또한, 본 발명은 볼(110)의 하면에 초음파진동자(140)가 설치되어, 볼(110) 내부에 채워진 물이 초음파 진동하여 볼(110)에 담겨진 주방기구에서 잔여음식물이 용이하게 분리되어 주방기구에 대한 강한 세척이 이루어지고, 초음파 진동에 의해 주방기구에 대한 살균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ultrasonic vibrator 140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ll 110, the water filled in the ball 110 is ultrasonically vibrated so that the remaining food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kitchen appliance contained in the ball 110 kitchen Strong cleaning is performed on the utensil, and sterilization of the utensil can be achieved by ultrasonic vibration.

한편, 볼(110)에 담겨져 세척되기 위한 주방기구의 사이즈에 따라 오버플로우관(130)을 통해 오버플로우되는 물의 수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즉, 작은 스푼에 비해 큰 스푼등을 이용하는 매장에서는 볼(110)에 담겨지는 물의 수위를 큰 스푼이 완전히 잠길 수 있도록 높게 설정하는 것이 좋다. On the other hand,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water level of the overflowed water through the overflow pipe 130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kitchen utensil to be contained in the ball 110 to be washed. That is, in a store using a large spoon or the like compared to a small spoon, it is good to set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contained in the ball 110 so that the large spoon can be completely locked.

본 발명에서는 오버플로우관(130)을 길이조절가능한 형태로 구성하여, 볼(110)에 채워지는 물이 오버플로우관(130)을 통해 오버플로우되는 수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guring the overflow pipe 130 in the form of adjustable length, the water filled in the ball 110 is configured to adjust the water level overflowed through the overflow pipe (130).

도 4를 참조하면, 오버플로우관(130')은 하부스트로우(137)와 상부스트로우(136)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4, the overflow tube 130 ′ is configured to include a lower strobe 137 and an upper strobe 136.

하부스트로우(137)는 볼(110)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상부스트로우(136)는 외경이 하부스트로우(137)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다소 작도록 구성되어 하부스트로우(137)에 삽입되어 전체적인 오버플로우관(130')의 길이를 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된다. The lower strobe 137 is installed to penetrate the bottom surface of the ball 110, the upper strobe 136 is configured so that the outer diameter is the same or somewhat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lower strobe 137 is inserted into the lower strobe 137 It is configured to adjust the length of the overall overflow pipe (130 ').

상부스트로우(136)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복수의 스냅결합홈(136a)이 형성되고, 하부스트로우(137)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스냅결합홈(136a)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스냅결합돌기(137a)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A plurality of snap coupling grooves 136a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strobe 136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nap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nap coupling grooves 136a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strobe 137. The coupling protrusion 137a is configured to be formed.

사용자는 하부스트로우(137)에 대해 상부스트로우(136)를 잡아당기거나 밀어넣어 하부스트로우(137)에 대해 상부스트로우(136)를 인입시키거나 인출시킴으로써, 전체적인 오버플로우관(13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때, 스냅결합돌기(137a)가 길이조절된 위치에 형성된 스냅결합홈(136a)에 스냅결합됨으로써 길이조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The user pulls or pushes the upper strobe 136 against the lower strobe 137 to draw or draw the upper strobe 136 relative to the lower strobe 137, thereby reducing the overall length of the overflow tube 130 '. In this case, the snap coupling protrusion 137a is snap-coupled to the snap coupling groove 136a formed at the length-adjusted position so that the length-adjusted state can be maintained.

본 발명에서 스냅결합홈(136a)과 스냅결합돌기(137a)는 별도의 부재를 하부스트로우(137) 및 상부스트로우(136)에 부착하여 형성시키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하부스트로우(137) 및 상부스트로우(136)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가압핀을 하부스트로우(137) 및 상부스트로우(136)에 높은 압력으로 가압하여 하부스트로우(137) 및 상부스트로우(136)를 굴곡지게 형태변형시킴으로써, 스냅결합홈(136a)과 스냅결합돌기(137a)를 형성시킬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nap coupling groove 136a and the snap coupling protrusion 137a are not formed by attaching a separate member to the lower strobe 137 and the upper strobe 136, but the lower strobe 137 and the upper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Straw 136 is made of a metal material, by pressing the pressure pin to the lower strobe 137 and the upper strobe 136 at a high pressure by bending the lower strobe 137 and the upper strobe 136 to be bent, The coupling groove 136a and the snap coupling protrusion 137a may be formed.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진동자를 구비한 디퍼웰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5, a dipper well device having an ultrasonic vibra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제 2 실시 예의 디퍼웰장치는 제 1 실시 예에 비해, 수소수공급유닛(160)을 더 포함하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The differwell device of the second embodiment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hydrogen water supply unit 160.

수소수공급유닛(160)은 볼(110)의 바닥면을 통해 볼(110) 내부로 수소수를 공급하여 볼에 담겨진 주방기구의 세척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Hydrogen water supply unit 160 is configured to improve the washing power of the kitchen appliance contained in the ball by supplying hydrogen water into the ball 110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ball (110).

수소수공급유닛(160)은 수소수생성기(161), 이송펌프(163), 노즐관(165)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The hydrogen water supply unit 160 is configured to include a hydrogen water generator 161, a transfer pump 163, and a nozzle pipe 165.

수소수생성기(161)는 수도배관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수도배관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수소수를 생성하여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수소수생성기(161)의 구성 및 원리는 통상의 수소수생성기(161)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The hydrogen water generator 161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water pipe, and is configured to receive water from the water pipe and generate and discharge hydrogen water. Since the structure and principle of the hydrogen water generator 161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conventional hydrogen water generator 161,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송펌프(163)는 수소수생성기(161)와 연결되어 수소수생성기(161)에서 배출되는 수소수를 노즐관(165) 측으로 이송시킨다. The transfer pump 163 is connected to the hydrogen water generator 161 to transfer the hydrogen water discharged from the hydrogen water generator 161 to the nozzle tube 165.

본 발명에서 수소수 생성기(161) 및 이송펌프(163)는 제어부(142)의 제어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되며, 사용자가 수소수생성기(161) 및 이송펌프(163)의 동작을 한번에 온/오프 시키기 위한 스위치(167)가 구비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ydrogen water generator 161 and the transfer pump 163 are configured to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42, and the user turns on / off the operation of the hydrogen water generator 161 and the transfer pump 163 at once. The switch 167 may be provided.

노즐관(165)은 이송펌프(163)에 이송되어지는 수소수를 볼(110)의 바닥면을 통해 볼(110) 내부로 공급하기 위하여 볼(110)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The nozzle tube 165 may be installed to penetrate the bottom surface of the ball 110 to supply the hydrogen water to be transferred to the transfer pump 163 into the ball 110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ball 110.

한편, 노즐관(165)과 이송펌프(163)를 연결하는 유로상에는 볼(110) 내부에 채워진 물이 이송펌프(163) 측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체크밸브(v1)가 설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heck valve (v1) may be installed on the flow path connecting the nozzle tube 165 and the transfer pump 163 so that the water filled in the ball 110 does not flow back to the transfer pump (163) side.

이처럼, 본 발명은 초음파진동자(140)를 구비하여 볼(110)에 채워진 물이 진동되게 함으로써, 주방기구에 대한 세척 및 살균이 향상될 뿐 아니라, 수소수공급유닛(160)에 의해 볼(110)에 수소수가 공급되어 수전(120)에서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물에 수소수가 부가됨으로써, 주방기구에 대한 세척 및 살균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ultrasonic vibrator 140 to vibrate the water filled in the ball 110, the cleaning and sterilization for the kitchen utensil is improved, as well as the ball 110 by the hydrogen water supply unit 160 Hydrogen water is added to the water) and the hydrogen water is added to the water continuously supplied from the faucet 120, so that washing and sterilization of the kitchen utensils may be further improved.

한편, 제 1 실시 예에서는 배수구(114)에 수동형 배수밸브가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2 실시 예에서는 배수구(114)를 개폐하는 전자밸브(v2)가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가 전자밸브(v1)를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168)가 구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first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manual drain valve is formed in the drain 114, but is not limited to this in the second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to be provided with an electromagnetic valve (v2)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rain 114. In this case, a switch 168 for a user to operate the solenoid valve v1 may be provided.

이하, 도 6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진동자를 구비한 디퍼웰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a dipper well equipped with an ultrasonic vibrat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제 3 실시 예에 따른 디퍼웰장치는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퍼웰장치에 비해 수소수생성기(161)에서 생성된 수소수를 노즐관(165)은 물론 수전(120)을 통해서도 볼(110)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수전(120)이 수도배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물과 수소수생성기(161)에서 발생된 수소수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구성을 갖는다. The differwell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may view the hydrogen water generated by the hydrogen water generator 161 through the faucet 120 as well as the faucet 120 as compared to the differwell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faucet 120 has a configuration for selectively discharging one of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pipe and the hydrogen water generated from the hydrogen water generator 161 to be supplied to the inside.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수전(120)과 삼방밸브(v3)의 출력포트를 연결하고, 삼방밸브(v3)의 제1입력포트는 이송펌프(163)와 연결되도록 설치하며, 삼방밸브(v3)의 제2입력포트는 수도배관과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output port of the faucet 120 and the three-way valve (v3), the first input port of the three-way valve (v3)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transfer pump 163, three-way valve (v3) The second input port of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water pipe.

삼방밸브(v3)는 제어부(142)의 제어에 의해, 제1입력포트와 출력포트가 연결되어 이송펌프(163)로부터 이송되어지는 수소수가 수전(120)을 통해 배출되게 하거나, 제2입력포트와 출력포트가 연결되어 수도배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수전(12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three-way valve v3 is connected to the first input port and the output port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42 to allow the hydrogen water to be transferred from the transfer pump 163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faucet 120 or the second input port. And the output port is connected is configured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faucet 120,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pipe.

삼방밸브(v3)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유로전환동작이 이루어지도록 밸브스위치(169)를 구비할 수 있다. Three-way valve (v3) may be provided with a valve switch 169 to the flow path switch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수소수생성기(161)와 이송펌프(163)가 구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밸브스위치(169)를 조작하여 제1입력포트와 출력포트가 연결되면, 이송펌프(163)로부터 수소수가 노즐관(163)을 통해 볼(110) 내부로 공급됨과 더불어, 수소수가 수전(120)을 통해서도 볼(110)에 공급될 수 있게 된다. When the hydrogen water generator 161 and the transfer pump 163 are driven, and the user operates the valve switch 169 to connect the first input port and the output port, the hydrogen water from the transfer pump 163 is connected to the nozzle tube. In addition to being supplied into the ball 110 through the 163, the hydrogen water may be supplied to the ball 110 through the faucet 120.

반면, 수소수생성기(161)와 이송펌프(163)가 구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밸브스위치(169)를 조작하여 제2입력포트와 출력포트가 연결되면, 이송펌프(163)로부터 수소수가 노즐관(163)을 통해 볼(110) 내부로 공급되고, 수도배관으로부터 물이 수전(120)을 통해 볼(110)에 공급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hydrogen water generator 161 and the transfer pump 163 are driven and the user operates the valve switch 169 and the second input port and the output port are connected, the hydrogen water from the transfer pump 163 The ball is supplied into the ball 110 through the nozzle tube 163 and water is supplied from the water pipe to the ball 110 through the faucet 120.

노즐관(163)과 수전(120)을 통해 모두 수소수가 공급되는 경우, 노즐관(163)을 통해서만 수소수가 공급되고 수전(120)을 통해서는 물이 공급되는 경우에 비해, 볼(110)에 담겨진 스푼 등의 주방기구에 대한 세척력 및 살균력이 월등히 강하다. When hydrogen water is supplied through both the nozzle tube 163 and the faucet 120, hydrogen water is supplied only through the nozzle tube 163 and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faucet 120 to the ball 110. The cleaning and sterilizing power of kitchen utensils such as spoons is very strong.

따라서, 사용자는 주방기구의 묻어 있는 음식잔여물이나 오염물등의 상태에 따라 노즐관(163)과 수전(120)을 통해 모두 수소수가 공급되게 하거나, 노즐관(163)을 통해서만 수소수가 공급되고 수전(120)을 통해서는 물이 공급되게 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erefore, the user may supply hydrogen water through both the nozzle tube 163 and the faucet 120 or the hydrogen water may be supplied only through the nozzle tube 163 according to the state of food residues or contaminants on the kitchen utensil. Through 120, water can be supplied and used.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할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preferred embodiments for illustrating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such is illustrated and described. Rath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many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all such suitable change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볼
120...수전
130...오버플로우관
136...상부스트로우
137...하부스트로우
140...초음파진동자
142...제어부
160...수소수공급유닛
161...수소수생성기
163...이송펌프
165...노즐관
110 ... ball
120 ... Faucet
130 ... Overflow Tube
136 Upper Straw
137 ... Heavy Straw
140 ... Ultrasonic Oscillator
142 ... control unit
160 ... Hydrogen Water Supply Unit
161 ... Hydrogen Generator
163 ... feed pump
165 nozzles

Claims (7)

주방기구가 담겨지도록 컵형태로 이루어지며, 수전으로부터 지속적으로 공급되어는 물이 채워지고, 채워지는 물이 소정수위를 유지하도록 오버플로우되는 볼을 포함하여, 상기 주방기구에 대한 오염물세척이 이루어지게 하는 디퍼웰장치에 있어서,
스트로우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볼의 내부에 세워진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볼에 채워지는 물이 상단을 통해 유입되어 상기 볼에서 배출되도록 하는 오버플로우관;
상기 볼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볼에 진동을 가해 상기 볼에 담겨진 물에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볼에 담겨진 상기 주방기구에 묻어 있는 음식잔여물을 상기 주방기구로부터 분리하여 세척이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주방기구에 대한 살균이 이루어지게 하는 초음파진동자;를 포함하고,
상기 오버플로우관은 상기 볼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설치되고, 부유성물질의 용이한 유입이 이루어지도록 상단이 경사지며, 경사진 면이 상기 볼의 내측으로 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오버플로우관은,
상기 볼에 담겨지는 상기 주방기구의 사이즈에 따라 오버플로우되는 수위를 조정하도록 길이조절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볼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하부스트로우; 및,
상기 하부스트로우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도록 이루어져, 상기 하부스트로우에 삽입되어 길이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된 상부스트로우;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부스트로우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복수의 스냅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스트로우의 내주면에는 상기 복수의 스냅결합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스냅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하부스트로우에 대해 상기 상부스트로우를 인입시키거나 인출시켜 길이조절이 이루어지고, 길이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스냅결합홈 중 하나에 상기 스냅결합돌기가 스냅결합되어 길이조정된 상태가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볼의 바닥면을 통해 상기 볼 내부로 수소수를 공급하여 상기 볼에 담겨진 상기 주방기구에 대한 세척 및 살균을 향상시키는 수소수공급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소수공급유닛은,
물을 공급받아 수소수를 생성시키는 수소수생성기;
상기 수소수 생성기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소수생성기에서 생성된 수소수를 이송시키는 이송펌프;
상기 볼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펌프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볼의 바닥면을 통해 상기 볼 내부로 수소수를 공급하는 노즐관;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소수 생성기에서 생성된 수소수가 상기 노즐관과 함께 상기 수전을 통해서도 상기 볼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수전이 수도배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물과 상기 수소수생성기에서 발생된 수소수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배출하게 하는 삼방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전은 상기 삼방밸브의 출력포트에 연결되고, 상기 삼방밸브의 제1입력포트는 상기 이송펌프와 연결되며, 상기 삼방밸브의 제2입력포트는 상기 수도배관과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삼방밸브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1입력포트와 제1출력포트가 연결되어 상기 이송펌프로부터 이송되어지는 수소수가 상기 수전을 통해 배출되게 하거나 상기 제2입력포트와 상기 출력포트가 연결되어 상기 수도배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수전을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퍼웰장치.
It is made in the form of a cup to hold the kitchen utensils, and the water is continuously supplied from the faucet, including a ball that is overflowed to maintain a predetermined level of water to be filled, so that the cleaning of the contaminants is made In the dipper well device,
An overflow pipe made of a straw form, installed in a form erect inside the ball so that the water filled in the ball flows through the upper end to be discharged from the ball;
It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ll, by applying vibration to the ball to generate a vibration in the water contained in the ball to remove the food residues buried in the kitchen utensil contained in the ball from the kitchen utensils to be washed Ultrasonic vibrator to sterilize the kitchen utensils, including;
The overflow tube is install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ll, the top is inclined to facilitate the inflow of the floating material, the inclined surface is configured to face the inside of the ball,
The overflow pipe,
It is configured to be made of a length-adjustable form to adjust the water level overflow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kitchen utensils contained in the bowl,
A lower straw installed to penetrate the bottom surface of the ball; And,
It is configured to have an outer diameter equal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lower strobe, the upper strobe is inserted into the lower strobe configured to be adjustable in length;
A plurality of snap coupling groove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strobe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nap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nap coupling grooves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strobe. The length adjustment is made by introducing or withdrawing the upper straw with respect to, and the snap coupling projection is snapp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snap coupling grooves in the length adjusted state is configured to be fixed in the adjusted state,
And a hydrogen water supply unit supplying hydrogen water into the ball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ball to improve washing and sterilization of the kitchen utensils contained in the ball.
The hydrogen water supply unit,
Hydrogen water generator for generating water by receiving water;
A transfer pump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hydrogen water generator to transfer hydrogen water generated by the hydrogen water generator;
It is instal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all and is connected to the transfer pump nozzle tube for supplying hydrogen water into the ball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ball;
Select one of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pipe and the hydrogen water generated in the hydrogen water generator so that the hydrogen water generated in the hydrogen water generator can be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ball through the faucet together with the nozzle tube. Further comprising a three-way valve to discharge to,
The faucet is connected to the output port of the three-way valve, the first input port of the three-way valve is connected to the transfer pump, the second input port of the three-way valve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water pipe,
The three-way valve is connected to the first input port and the first output port under the control of a controller so that the hydrogen water transferred from the transfer pump is discharged through the faucet or the second input port and the output port are connected. Differwel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pipe is configured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fauce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의 바닥면에는 상기 볼의 담겨진 물을 배수시키는 배수구가 형성되며,
상기 배수구를 개폐시키는 배수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퍼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ottom surface of the ball is formed with a drain hole for drain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ball,
And a drain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rain por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167559A 2018-12-21 2018-12-21 A dipper-well apparatus equipped with an ultrasonic vibrator Expired - Fee Related KR1020123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559A KR102012300B1 (en) 2018-12-21 2018-12-21 A dipper-well apparatus equipped with an ultrasonic vib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559A KR102012300B1 (en) 2018-12-21 2018-12-21 A dipper-well apparatus equipped with an ultrasonic vibr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2300B1 true KR102012300B1 (en) 2019-08-20

Family

ID=67807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7559A Expired - Fee Related KR102012300B1 (en) 2018-12-21 2018-12-21 A dipper-well apparatus equipped with an ultrasonic vib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2300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6084U (en) * 1984-02-01 1985-08-24 株式会社イナックス Bathtub with overflow equipment
JP2003052606A (en) * 2001-08-09 2003-02-25 Hoshizaki Electric Co Ltd Overflow pipe for dishwasher
KR20070098292A (en) * 2006-03-31 2007-10-05 웅진코웨이주식회사 Cleaning system and cleaning method using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and ultrasonic wave
KR101218210B1 (en) * 2010-09-07 2013-01-08 주식회사 소냐테크 Multi sink
KR101612098B1 (en) 2015-12-28 2016-04-12 박서윤 Small sink bowl
KR101798940B1 (en) 2016-08-24 2017-12-20 (주)키데코 Dipper-well with Bottom-to-Top water dispens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6084U (en) * 1984-02-01 1985-08-24 株式会社イナックス Bathtub with overflow equipment
JP2003052606A (en) * 2001-08-09 2003-02-25 Hoshizaki Electric Co Ltd Overflow pipe for dishwasher
KR20070098292A (en) * 2006-03-31 2007-10-05 웅진코웨이주식회사 Cleaning system and cleaning method using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and ultrasonic wave
KR101218210B1 (en) * 2010-09-07 2013-01-08 주식회사 소냐테크 Multi sink
KR101612098B1 (en) 2015-12-28 2016-04-12 박서윤 Small sink bowl
KR101798940B1 (en) 2016-08-24 2017-12-20 (주)키데코 Dipper-well with Bottom-to-Top water dispens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73277B2 (en) Vessel rinsing apparatus
RU2438551C1 (en) Device for making beverages and method of cleaning device for making beverages
US9433315B2 (en) Self-cleaning drain for food preparation apparatus
US1276018A (en) Spoon-holder for cups, &c.
KR20110028432A (en) Food preparation sink
US10611619B2 (en) Container for receiving beverages and device for filling the container
US9464424B1 (en) Toilet tool cleaning system
KR20140021851A (en) The water splash checking device for sink
KR102012300B1 (en) A dipper-well apparatus equipped with an ultrasonic vibrator
KR101663101B1 (en) Faucet for discharging hand sanitizer
KR101450812B1 (en) Small sink bowl
CN209172017U (en) A kind of automatically washing and sterilizing water dispenser
JP2002223969A (en) Structure for attaching water receiver
US3795015A (en) Portable bidet
US1110715A (en) Drain-pipe flusher.
KR200295646Y1 (en) Baby Bottle
WO2015170326A1 (en) Automatic washer for receptacles
KR101076659B1 (en) Potable sterilizer
US1212004A (en) Tub-drainer.
KR101507350B1 (en) singkeubol
TW201929752A (en) Drinking water apparatus with improved structure
EP0332791B1 (en) Sanitary device for washing and/or cleaning
KR200359422Y1 (en) a mouth cleaning apparatus
US9950352B2 (en) Faucet cleaner
US20040200514A1 (en) Flushing system for a clogged dr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2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4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907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8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8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