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8210B1 - Multi sink - Google Patents
Multi sin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18210B1 KR101218210B1 KR1020100087325A KR20100087325A KR101218210B1 KR 101218210 B1 KR101218210 B1 KR 101218210B1 KR 1020100087325 A KR1020100087325 A KR 1020100087325A KR 20100087325 A KR20100087325 A KR 20100087325A KR 101218210 B1 KR101218210 B1 KR 1012182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shing
- head
- washing water
- pipe
- dishes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0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8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8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5000021186 dishe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10794 food was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7605 air dr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3405 bee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20083 shōchū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2379 silicone rubb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5
- 244000280244 Luffa acutangula Species 0.000 claims 1
- 235000009814 Luffa aegyptiaca Nutrition 0.000 claims 1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claims 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41000209094 Oryza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51 dish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688 f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340 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575 pestic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170 shellf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12 sanit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45 silicone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7/00—Apparatus or implements used in manual washing or cleaning of crockery, table-ware, cooking-ware or the like
- A47L17/02—Basi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86—In-sink dishwash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8—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supplying water through two or more openings around or along one side of the water-basin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03C1/181—Anti-splash devices in sinks, e.g. splash guard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03C1/186—Separate partition walls, lids, protecting borders, or the like, for s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기능, 자외선 살균기능, 초음파기능, 음식물 처리기능, 냉장기능, 보관기능 등의 주방에서 필요한 기능들을 싱크대에 일체화하여 주방 작업의 편리성을 향상시킨 다기능 싱크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싱크대는, 전면에 도어가 장착되어 있는 본체와,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바닥에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수반과, 수반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들이 장착되어 있는 수반측 분사관과, 수반을 여닫을 수 있도록 수반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덮개와, 덮개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외주면에 수반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들이 장착되어 있는 덮개측 분사관과, 수반측 분사관과 덮개측 분사관 각각에 세척수의 공급을 위하여 연결되어 있는 워터펌프를 구비하는 세척수 공급장치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sink that improves the convenience of kitchen work by integrating functions necessary in the kitchen, such as washing function, ultraviolet sterilization function, ultrasonic function, food processing function, refrigeration function, storage function. The multifunctional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with a door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a head mounted on the top of the main body and a drain hole formed on the bottom, and a plurality of heads installed inside the head and spraying the washing water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Head side injection pipe with nozzles mounted, cover installed on top of the head to open and close the head, and cover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cover, and a plurality of nozzles mou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spray washing water toward the head And a water pump having a water pump connected to each of the side injection pipe, the accompanying side injection pipe, and the cover side injection pipe for supplying the washing water.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기능 싱크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척기능, 자외선 살균기능, 초음파기능, 음식물 처리기능, 냉장기능, 보관기능 등의 주방에서 필요한 기능들을 싱크대에 일체화하여 주방 작업의 편리성을 향상시킨 다기능 싱크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sink, and more particularly, by integrating the functions necessary in the kitchen, such as washing function, ultraviolet sterilization function, ultrasonic function, food processing function, refrigeration function, storage function to the sink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kitchen work To a multifunctional sink.
일반적으로 가정, 음식점, 식당에 설치된 싱크대는 전면에 도어가 장착된 본체,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바닥에 배수구가 형성된 수반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싱크대는 주방에서 많은 공간을 차지하고 있지만, 그릇, 접시, 컵 등의 식기류나 과일, 행주, 도마 등을 수반에 넣고 세제를 이용하여 세척하고 헹굼하는 기능밖에 없다.Generally, a sink installed in a home, a restaurant, and a restaurant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door mounted on a front surface thereof, and a basin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drain hole formed at a bottom thereof. Such a sink occupies a lot of space in the kitchen, but has only a function of washing and rinsing dishes, dishes, fruits, dishcloths, cutting boards, and the like using a detergent.
따라서 식기류를 위생적이고 깨끗하게 세척, 헹굼 및 건조하기 위해 주방에 추가로 식기 세척기를 설치해야 한다. 또한, 과일, 조개류, 생선 및 쌀 등을 깨끗하게 세척하고 살균하며, 조리 전에 신선하게 보관하기 위해 별도의 살균장치나 냉장실을 주방에 설치해야 한다. 또한,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해 주방에 추가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설치해야 한다.Therefore, an additional dishwasher must be installed in the kitchen to clean, rinse and dry the dishes. In addition, to clean and sterilize fruits, shellfish, fish and rice, and to keep fresh before cooking, a separate sterilizer or refrigerator should be installed in the kitchen. In addition, in order to dispose of food waste, additional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must be installed in the kitchen.
이와 같이 각각의 장치들을 필요에 따라 구입해서 주방에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필요에 따라 설치되는 장치들로 인해 좁은 주방 공간이 더욱 협소해져 주방에서 요리하거나 일할 때 작업자의 작업 반경에 상당한 제약이 있다. 또한, 주방에 설치된 장치들은 항시 위험이 따르고, 장치들이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주방이 복잡하고 번잡해져 관리에 어려움이 있으며 청결하지 못하고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다. 각각의 장치들은 최초 설치할 때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기 때문에 한번 설치하면 이동이 불가능하여 사용하지 않을 경우 치우거나 이동하는 등의 재설치가 매우 불편하다.As such, each device needs to be purchased and installed in a kitchen, and thus there is a problem of high cost. The devices that are installed as needed make the narrow kitchen space even smaller, which places significant restrictions on the working radius of the worker when cooking or working in the kitchen. In addition, the devices installed in the kitchen are always at risk, and because the devices are exposed, the kitchen is complicated and complicated, difficult to manage, there is a clean and unsanitary problem. Since each device is fixed so as not to move during the initial installation, once installed, it is impossible to move, so it is very inconvenient to reinstall or move it when not in use.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수반에 분사노즐, 자외선 살균램프, 초음파 진동자, 와류 팬 등을 장착하고, 싱크대 내부에 음식물 처리장치, 냉장장치와 각 기능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되어 주방 작업의 편리성과 협소한 주방 공간활용을 향상시킨 다기능 싱크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복합기능을 구비한 싱크대에서 다양한 작업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어서, 작업 반경이 줄어들어 좁은 주방에서 머무는 시간을 단축시켜 심신의 피로를 줄일 수 있는 다기능 싱크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equipped with a spray nozzle, ultraviolet sterilization lamp, ultrasonic vibrator, vortex fan, etc. in the accompanying, food processing device, refrigeration device and controller for controlling each function inside the sink, etc.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sink that is installed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of kitchen work and utilization of a narrow kitchen spac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perform a variety of tasks in the sink with a complex function, the object of the work radius is reduced to shorten the time to stay in the narrow kitchen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sink that can reduce mental and physical fatigue.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전면에 도어가 장착되어 있는 본체와;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바닥에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수반과; 수반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들이 장착되어 있는 수반측 분사관과; 수반을 여닫을 수 있도록 수반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덮개와; 덮개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외주면에 수반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들이 장착되어 있는 덮개측 분사관과; 수반측 분사관과 덮개측 분사관 각각에 세척수의 공급을 위하여 연결되어 있는 워터펌프를 구비하는 세척수 공급장치를 포함하는 다기능 싱크대에 있다.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body is equipped with a door on the front; It is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and the drain is formed in the bottom; It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accompaniment, and the accompanying side injection pip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nozzles for spraying the washing water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 cover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head to open and close the head; A cover side injection tube installed inside the cover and having a plurality of nozzles mou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spray the washing water toward the head; And a wash water supply device having a water pump connected to the accompanying side injection pipe and the cover side injection pipe for supplying the washing water.
본 발명에 의하면, 세척기능, 자외선 살균기능, 초음파기능, 음식물 처리기능, 냉장기능, 보관기능 등의 주방에서 필요한 다양한 기능을 싱크대에서 일괄적으로 작업 가능하기 때문에 주방 작업의 편리성 및 협소한 주방 공간활용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various functions necessary in the kitchen, such as washing function, ultraviolet sterilization function, ultrasonic function, food processing function, refrigeration function, storage function, etc. can be collectively performed at the sink, convenience of kitchen work and narrow kitchen It is effective to improve space utilization.
또한, 식기류나 과일 등을 세척할 때 자외선 살균기능과 초음파 기능을 사용하면 세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깨끗하게 세척, 살균 및 잔류농약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설거지하고 수거된 음식물쓰레기는 곧바로 수반의 배수구를 통해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로 투입되기 때문에 음식물을 수거하지 않아도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음식물의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냉장기능을 갖는 수납공간이 부가적으로 설치되어 있어서 과일, 생선, 조개 및 곡물 등이 상하지 않고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 of ultraviolet sterilization function and ultrasonic function when washing dishes or fruit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cleaned, sterilization and removal of residual pesticides without using detergent. Washing dishes and collected food waste is directly put into the food waste processing device through the drainage drainage, so that food waste can be disposed of cleanly and hygienically without collecting food. In addition, the storage space having a refrigeration function is additionally installed so that fruits, fish, shellfish and grains can be kept fresh without being damaged.
또한, 복합기능을 구비한 싱크대에서 다양한 작업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어서, 작업 반경이 줄어들어 좁은 주방에서 머무르는 시간을 단축시켜 심신의 피로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기능 싱크대를 제작할 때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각각의 장치들을 선택적으로 장착 가능하기 때문에 싱크대 제품이 다양하고 소비자가 원하는 요구사항에 맞춰 제작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 variety of tasks can be selectively selected in the sink having a composite function, the working radius is reduced to shorten the time to stay in the narrow kitchen has the effect of reducing mental and physical fatigue. When manufacturing multifunctional sinks, each device can be selectively mounted according to the customer's needs, so the sink product can be varied and customized according to the customer's requiremen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싱크대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기능 싱크대의 덮개를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덮개를 제외한 상태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C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싱크대에 설치되는 분사관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싱크대에 설치되는 덮개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다기능 싱크대의 식기류를 세척할 때 사용 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다기능 싱크대의 살균 세척할 때 사용 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싱크대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싱크대에 부가하여 사용하는 바구니 형태 세척기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a multifunctional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pen state of the cover of the multifunctional sink shown in FIG.
3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state without a cover of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3.
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portion C of FIG. 4.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injection pipe installed in the multifunctional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cover installed in the multifunctional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tate diagram used when washing the dishes of the multifunctional sink of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tate diagram used when sterilizing and washing the multifunction sink of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multifunctional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basket type washer used in addition to the multifunctional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과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싱크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multifunctional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기능 싱크대(100)는 본체(11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전면에 도어가 장착되어 있고 상부에 식기류, 도마 등을 수용하는 수반(111)이 설치된다. 수반(111)은 수용공간에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온수 공급관(112)과 냉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수 공급관(113)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온수 공급관(112)과 냉수 공급관(113)은 수반(111)의 내주면에 위치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수반(111)에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퀵 커플링(114)이 설치되어 있다.First, referring to FIGS. 1 to 5, the
덮개(120)는 식기류를 세척하거나 과일을 살균할 때 분사되는 세척수가 싱크대(100)의 외측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수반(111)의 개방된 상부에 배치된다. 덮개(120)는 수반(111)과 분리되어 있어서 사용시 덮고 미 사용시 분리하는 구조이거나, 덮개(120)가 본체(1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수반(111)의 상부로 여닫을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덮개(120)는 회전식으로 본체(110)의 내부로 숨겨지거나, 경첩을 이용하여 외부에서 접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덮개(120)는 전면에 손잡이(121)가 고정되고 상부에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창(122)이 설치되어 있다. 투명창(122)은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덮개(120)의 전면이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The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수반측 분사관(131)은 수반(111)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이송된 세척수를 식기류가 수납된 수반(111)의 내부를 향하여 분사한다. 각각의 수반측 분사관(131)은 세척수가 흐르도록 파이프 형상이고 외주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노즐(132)이 장착되어 있다. 수반측 분사관(131)은 식기류를 세척하기 위해 수반(111)에 식기류를 수납할 때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수반(111)의 내부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수반(111)의 측면에 각각 함몰된 제1 수용홈(115)에 수반측 분사관(131)의 양단이 고정되고, 수반측 분사관(131)이 양단 중 어느 한 단부를 통해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제1 연결관(133)이 연결되어 있다.4 and 5, the accompaniment
바닥노즐(134)은 수반(111)의 바닥면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공급되는 세척수를 상부 방향으로 분사한다. 바닥노즐(134)은 수반(111)의 내부로 노출되지 않은 단부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2 연결관(135)이 연결되어 있다. 제1 연결관(133)과 제2 연결관(135)은 세척수 공급장치(137)와 연결된다. 세척수 공급장치(137)는 냉수 및 온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며, 세척수 공급장치(137)와 수반측 분사관(131) 또는 바닥노즐(134)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워터펌프(136)를 구비한다. 워터펌프(136)는 세척수 공급장치(137)의 작동에 따라 이송된 세척수를 일정한 수압으로 균일하게 수반측 분사관(131)의 노즐(132)과 바닥노즐(134)로 이송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공급되는 세척수의 수압이 높은 경우 워터펌프(136)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The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와류 팬(140)은 수반(111)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고 모터의 작동에 따라 회전한다. 와류 팬(140)은 과일, 쌀, 도마, 행주 등을 세척할 때 수반(111)에 수용된 세척수에 와류를 형성하여 더욱 깨끗하고 위생적으로 세척할 수 있도록 한다. 초음파 진동자(150)는 수반(111)이 외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고, 와류 팬(140)과 같이 과일, 쌀, 도마, 행주 등을 세척할 초음파를 발생하여 더욱 깨끗하고 위생적으로 세척할 수 있도록 한다. 자외선 램프(160)는 수반(111)의 내부에 형성된 제2 수용홈(116)에 설치되고, 위생적으로 살균 및 세척할 때 사용한다.3 to 5, the
도 4에 도시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70)는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수반(111)의 배수구를 통과한 음식물의 쓰레기를 공급받아 압착분쇄하여 수거통에 수집한다.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70)는 본 발명자가 특허출원하여 특허 등록을 받은 제10-0646707호(발명의 명칭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을 사용하며, 이하에서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7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food
도 4를 참조하면 컨트롤러(180)는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워터펌프(136), 세척수 공급장치(137), 와류 팬(140), 초음파 진동자(150) 및 자외선살균 램프(160)의 작동을 제어한다. 본체(110)의 전면 오른쪽에 설치된 제1 버튼(117)은 워터펌프(136), 세척수 공급장치(137), 와류 팬(140), 초음파 진동자(150) 및 자외선살균 램프(160)의 작동을 온/오프할 때 사용하고, 왼쪽에 설치된 제2 버튼(118)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70)의 작동을 온/오프할 때 사용한다.Referring to FIG. 4, the
도 6은 수반측 분사관(131)에 장착된 노즐(132)의 단면도로써, 노즐(132)은 중앙에 구멍이 가공되어 있고 일단이 수반측 분사관(131)의 체결구멍에 결합된다. 노즐(132)의 일단과 체결구멍의 내주면에는 각각 수나사와 암나사가 가공되어 나사결합되는 일반적인 구조이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용접, 본딩, 융착 등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도 7은 제1 수용홈(11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반측 분사관(131')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수반측 분사관(131')의 외주면에 간격을 두고 복수의 노즐(132)이 장착되어 있고, 노즐(132)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의 수압에 의해 분사관(131')이 회전한다. 회전이 용이하도록 분사관(131')의 양단에 각각 베어링(138)이 설치된 지지부(139)가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은 베어링(138)을 이용하여 회전하지만 체인이나 벨트를 이용하여 분사관(131')을 회전시킬 수 있다.7 shows an assembled state of the accompanying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싱크대에 설치되는 덮개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즉, 덮개(120')의 내부에 형성된 홈(123)에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125)들이 장착되어 있는 덮개측 분사관(124)이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있다. 또한, 덮개(120') 내부에 퀵 커플링(126)이 설치되며 퀵 커플링(126)은 수반(111)에 설치된 퀵 커플링(114)과 결합되고 이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된 세척수가 덮개(120')의 각 덮개측 분사관(124)으로 이송된다. 이송된 세척수는 덮개측 분사관(124)에 장착된 노즐(125)들을 통해 수반(111)에 수납된 식기류를 향해 분사된다. 덮개(120')는 전면에 손잡이(121)가 고정되고 상부에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창(122)이 설치되어 있음은 물론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cover installed in the multifunctional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at least one cover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다기능 싱크대의 식기류를 세척할 때 사용 상태도이다. 즉, 수반(111)에 컵, 접시, 그릇 등의 식기류를 바구니에 수납하고 덮개(120, 120')를 사용하여 수반(111)의 상부를 밀폐한다. 본 발명은 덮개(120')가 수반(111)에 설치된 것으로 설명한다. 이때 수반(111)의 퀵 커플링(114)과 덮개(120')의 퀵 커플링(126)을 결합한다. 다음으로 제1 버튼(117) 중 세척 버튼을 누르면 수반(111)에 설치된 복수의 수반측 분사관(131)의 노즐(132)들과 바닥노즐(134) 그리고 덮개(120')에 설치된 복수의 덮개측 분사관(124)의 노즐(125)들을 통해 세척수 공급장치(137)와 워터펌프(136)에 의해 일정한 수압으로 이송된 세척수가 분사된다.9 is a state diagram used when washing the dishes of the multifunctional sink of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세척수는 식기류를 향하여 수반(111)의 전방과 후방, 좌측과 우측 및 하부에서 분사되고, 덮개(120')의 전방과 후방, 좌측과 우측 및 상부에서 고르게 분사되기 때문에 세척수를 적게 사용하여도 식기류가 깨끗하고 청결하게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세척이 완료되면 세척수 공급을 멈추고 덮개(120')를 개방한 후 식기류를 수반(111)로부터 꺼내 건조한다. 경우에 따라 덮개(120')만 분리하고 자외선살균 램프(160)를 작동시켜 살균하면 수반(111) 내부에서 식기류를 건조할 수도 있다.Washing water is sprayed from the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and bottom of the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다기능 싱크대의 살균 세척할 때 사용 상태도이다. 즉, 과일, 도마, 행주, 곡물 등을 세척하기 위해 온수 공급관(112)이나 냉수 공급관(113)으로 공급되는 온수 및 냉수를 수반(111)에 채우고 덮개(120')를 이용하여 수반(111)의 밀폐한다. 다음으로 세척수가 채워지면 제1 버튼(117) 중 살균 버튼을 누르면 와류 팬(140), 복수의 초음판 진동자(150) 및 자외선살균 램프(160)가 작동한다. 이와 같이 살균 세척할 때 와류 팬(140), 복수의 초음판 진동자(150) 및 자외선 램프(160)를 사용하기 때문에 세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깨끗하게 세척, 살균 및 잔류농약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살균 세척이 완료되면 작동을 멈추고 덮개(120')를 개방한 후 과일, 도마, 행주, 곡물 등을 꺼낸다.10 is a state diagram used when sterilizing and washing the multifunction sink of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hot water and cold water supplied to the hot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싱크대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는 본체(110) 내부에 냉장장치(190)가 설치되어 있다. 냉장장치(190)는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콤프레서, 응축배관 및 증발배관을 포함하며,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업소용으로 사용되는 냉장고에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냉장장치(190)의 작동에 의해 압축된 냉매는 수반(111)의 외부에 설치된 냉장배관(191)을 따라 이동한다. 따라서 수반(111)에 수용된 세척수는 냉장배관(191)을 통과하는 냉매에 의해 수온이 낮아진다. 또한, 냉장배관(191)은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온재(192)로 감싸고 있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multifunctional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rigerating
보관함(119)은 본체(110) 측면에 고정되고, 내부에 과일, 생선 및 곡물 등을 임시 보관할 때 사용된다. 냉장장치(190)의 작동에 의해 압축된 냉매는 보조 수납부(119)의 내부에 설치된 냉장배관(193)을 따라 이동하고, 냉장배관(193)을 통과하는 냉매에 의해 보관함(119)의 내부를 저온으로 유지한다. 또한,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냉장배관(193)은 보온재(194)로 감싸고 있다. The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보관함은, 수반의 하단이나 측면에 햇쌀맛 황토 쌀통으로 컨트롤 박스에 배선판 연결구조와 전원 독립 구조를 갖추고 내부에 펠티어 냉열소자 반도체가 설치된다. 또한, 사용자가 온도조절을 할 수 있도록 온도조절기를 포함한다. 따라서 보관함의 내부에 보관되는 과일이나 곡물 등을 저온으로 신선한 상태를 유지하여 상하지 않게 보관할 수 있다. 보관함의 내부에 자외선 램프를 설치하고, 외부에 황토 바이오 베이스판을 부착할 수 있다. 최적의 온도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와 전원 외에 태양전지, 풍력 등 그린에너지를 겸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box is equipped with a wiring board connection structure and a power supply independent structure in the control box as a light rice flavor loess rice container at the bottom or side of the accompanying plate, and a Peltier cooling device semiconductor is installed therein. In addition, it includes a temperature controller so that the user can control the temperature. Therefore, the fruits or grains stored in the inside of the storage box can be stored in a fresh state at a low temperature without being damaged. Ultraviolet lamps can be installed inside the storage box and ocher biobase plates can be attached to the outside. In addition to the structure and power source that can control the optimal temperature and humidity, it can be used as a green energy such as solar cells and wind power.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싱크대에 부가하여 사용하는 바구니 형태 세척기의 사시도이다. 바구니 형태 세척기(200)의 분배관(201)은 양단이 막혀있는 중공형상이며, 외부에서 공급된 세척수를 일부 수용하고 있다가 각각의 분사관으로 공급한다. 분배관(201)은 바구니의 상부에 배치된다.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sket type washer used in addition to the multifunctional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제1 분사관(203)은 내부에 세척수가 흐르도록 중공형상이고, 분배관(201)의 측면에 연결되어 있다. 제1 분사관(203)과 분배관(201)이 연결되어 바구니의 상부 테두리를 구성하도록 절곡되어 있다. 절곡된 형태에 따라 원형이나 육각, 팔각 등등 다각 형상으로 다양하게 제조할 수 있다. 제1 분사관(203)의 외주면에 간격을 두고 복수의 노즐(206)이 결합된다. 따라서 중공형상의 내측으로 이송된 세척수는 각각의 노즐(206)을 통해 바구니에 수납된 식기류들이 있는 외부로 분사된다.The
제2 분사관(204)은 내부에 세척수가 흐르도록 중공형상이고, 양단이 동일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다. 제2 분사관(204)의 일단은 분배관(201)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제1 분사관(203)에 연결되며, 제2 분사관(204)은 간격을 유지하면서 복수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분사관(204)의 외주면에 간격을 두고 복수의 노즐(206)이 결합되어 있고, 분배관(201)에서 공급된 세척수가 각각의 노즐(206)을 통해 외부로 분사된다.The
제3 분사관(205)은 내부에 세척수가 흐르며 양단이 동일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고, 절곡된 양단은 제2 분사관(204)과 교차되도록 제1 분사관(203)의 마주보는 하부에 연결된다. 제3 분사관(205)은 제1 분사관(203)에 간격을 유지하면서 복수개 설치된다. 제3 분사관(205)의 외주면에 간격을 두고 복수의 노즐(206)이 결합되어 있고, 제1 분사관(203)에서 공급된 세척수는 각각의 노즐(206)을 통해 바구니에 수납된 식기류들이 있는 외부로 분사된다.The
퀵 커플링(202)은 분배관(201)에 연결되어 있고 수반(111)의 퀵 커플링(114)과 연결된다. 이와 같이 퀵 커플링(202)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급수관과 연결되고, 급수관을 통해 공급된 세척수는 분배관(201)에 임시 수용된 후 제1 내지 제3 분사관(203,204,205)으로 이송된다. 이송된 세척수는 제1 내지 제3 분사관(203,204,205)의 외주면에 설치된 각각의 노즐(206)을 통해 외부로 분사된다.The
본 발명에 따른 박스 형태 세척기는 적층이 가능하기 때문에 한 번에 다량의 식기류를 세척, 헹굼, 건조할 수 있는 것이 바구니 형태 세척기(200)와 다르다. 박스 형태 세척기의 세척기 본체는 상부가 개방되고 식기류를 수납하는 공간을 구비한 박스형상이다. 세척기 본체의 하부는 판으로 막혀있고 별도의 배수 구멍이 형성되거나, 배수 구멍 없이 망 형상으로 될 수 있다. 분사관은 본체의 하부에 고정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를 임시 수용하고 각 분사관에 세척수를 공급한다. 분배관은 퀵 커플링 설치되어 있다.Since the box typ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tacked, it is different from the basket
분사관은 분배관과 연결되며 외주면에 간격을 두고 복수의 돌기가 설치되고, 각각의 돌기 끝단에 노즐이 장착된다. 따라서 분배관의 세척수는 분사관으로 이동한 후 각각의 돌기를 지나 노즐을 통해 식기류가 수납된 본체의 수납공간으로 분사한다. 분사관은 본체의 하부에 설치된 분배관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본체의 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박스형태 세척기는 본체 상부에 덮개로 밀폐한 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jection pipe is connected to the distribution pipe and a plurality of projections are installed at interval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nozzles are mounted at the end of each projection. Therefore, the washing water of the distribution pipe is injected into the injection space of the main body in which the dishes are stored through the nozzle after moving to the injection pipe. The injection pipe is preferably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distribution pipe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Box type washing machine is preferably used after sealing the top of the main body.
박스 형태 세척기는 세척기 본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고정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하부 고정부재는 본체의 하부 네 모서리에 설치되고, 상부 고정부재는 하부 고정부재와 대응되는 본체의 상부 네 모서리에 설치된다. 따라서 세척기가 적층될 때 하부 고정부재는 대응되는 세척기 본체의 상부 고정부재에 고정되기 때문에 적층된 본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고정부재 중 어느 한 고정부재는 오목한 형상이고 나머지 고정부재는 오목한 형상에 삽입되는 볼록한 형상으로, 요철이나, 십자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적층된 박스 형태 세척기는 업소에서 사용하는 것이며, 싱크대가 아닌 적층된 세척기를 수용하는 수납공간이 필요함은 물론이다.The box type washer is provided with fixing members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washer body, respectively. The lower fixing member is installed at the lower four corners of the main body, and the upper fixing member is installed at the upper four corners of the main body corresponding to the lower fixing member. Therefore, when the washing machine is stacked, the lower fixing member is fixed to the upper fixing member of the corresponding washing machine body, thereby preventing the stacked body from being separated. Any one of the upper and lower fixing members may have a concave shape and the remaining fixing members may have a convex shape inserted into the concave shape, and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irregularities or crosses. As described above, the stacked box type washer is used in a business, and of course, a storage space for accommodating a stacked washer is required instead of a sink.
본 발명의 수반 상부에는 컨베이어나 롤러를 설치하고, 세척된 식기류가 수납된 수거함을 자동이나 반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송되는 식기류를 한번 더 세척하기 위해 컨베이어의 상단에 분사노즐이 설치할 수도 있다. 수거함은 에어건조 컨베이어로 이송되고, 에어건조 컨베이어는 컨베이어로부터 넘겨받은 식기류를 이송하면서 건조한다. 에어건조 컨베이어의 상부에는 건조와 함께 식기류를 위생적으로 살균하기 위해 자외선 램프가 설치되어 있다.In the upper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veyor or a roller may be installed, and the collection box containing the washed dishes may be automatically or semi-automatically moved. A spray nozzle may be installed at the top of the conveyor to wash the transferred dishes again. The bins are transferred to an air drying conveyor, and the air drying conveyor transfers the dishes received from the conveyor to dry. At the top of the air drying conveyor, an ultraviolet lamp is installed to sanitize the dishes in addition to drying.
본 발명은 수반 용량대형화 함체를 포함하지 않고 배수구와 배수관이 설치된 함체 형상의 수반, 세척통, 헹굼 세척통 및 건조통을 구비한다. 헹굼 세척통과 건조통의 구조는 다양하고 복수개 설치할 수 있으며, 식기류들은 각각의 통들을 이동수단으로 이동한다. 이동수단은 컨베이어나 로러 등을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세척통은 내부에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외주면에 간격을 두고 노즐들이 장착되는 복수의 분사관과,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와류 팬과, 나노 수세미가 설치된다. 또한, 초음파 및 고주파 장치 및 히터 에어분사, 온/냉수분사되는 분사노즐이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분사노즐은 회전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nclosed enclosed shape, a washing container, a rinsing washing container, and a drying container in which a drainage port and a drain pipe are installed without including the enlarging capacity enlarging enclosure. The structure of the rinsing washing tub and the drying tub is various and can be installed plurally, and the dishware moves the respective tubs to the moving means.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moving means can use a conveyor or a roller. The washing tub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pray tubes on which nozzles are mounted at interval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as to spray washing water therein, a vortex fan rotated by a motor, and a nano scrubber. In addition, ultrasonic and high frequency devices, heater air jets, and hot / cold jet jets are provided, and each jet is rotated.
본 발명은 수반 하단이나 독립된 수반에 두 개나 복수의 돌기가 모터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고, 회전되는 각종 컵 모형의 스폰지, 나노소자면, 실리콘 고무의 더블형자 형틀을 교체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또한, 내부와 외부를 한번에 세척할 수 있도록 소주컵, 와인잔, 물컵, 맥주컵 등 다양한 컵을 대량으로 자동 세척하고, 돌기의 끝단에 설치된 자외선 램프가 설치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so that two or a plurality of projections at the bottom of the accompanying or separate heads to rotat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otor, and replace the sponge, nano-element surface, double-type mold of the silicone rubber to rotate the various cup model. In addition, to clean the inside and the outside at once, various cups such as shochu cups, wine glasses, water cups, beer cups are automatically cleaned in large quantities, and an ultraviolet lamp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projection.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싱크대는, 세척기능, 자외선 살균기능, 초음파기능, 음식물 처리기능, 냉장기능, 보관기능 등의 주방에서 필요한 다양한 기능을 싱크대에서 일괄적으로 작업 가능하기 때문에 주방 작업의 편리성 및 협소한 주방 공간활용을 향상시킨다. Multi-functional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various functions required in the kitchen, such as washing function, ultraviolet sterilization function, ultrasonic function, food processing function, refrigeration function, storage function can be collectively work in the sink and convenience of kitchen work and Improve the use of small kitchen spaces.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shown in the drawing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odif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forms. Accordingly, such improvements and modification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ey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00 : 제1 싱크대 100' : 제2 싱크대
110 : 본체 120, 120' : 덮개
131 : 수반측 분사관 140 : 와류 팬
150 : 초음파 진동자 160 : 자외선 램프
170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180 : 컨트롤러
190 : 냉장장치 200 : 세척기100: first sink 100 ': second sink
110:
131: accompanying side injection pipe 140: vortex fan
150: ultrasonic vibrator 160: ultraviolet lamp
170: food waste treatment device 180: controller
190: refrigerator 200: washing machine
Claims (17)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바닥에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수반과;
상기 수반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들이 장착되어 있는 수반측 분사관과;
상기 수반을 여닫을 수 있도록 상기 수반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덮개와;
상기 덮개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외주면에 상기 수반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들이 장착되어 있는 덮개측 분사관과;
상기 수반측 분사관과 상기 덮개측 분사관 각각에 세척수의 공급을 위하여 연결되어 있는 워터펌프를 구비하는 세척수 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싱크대. A main body having a door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thereof;
An accommodating body disposed above the main body and having a drain hole formed at a bottom thereof;
An accompaniment side injection pipe installed in the accommodating body and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nozzles for spraying washing water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cover installed on the top of the head to open and close the head;
A cover side injection tube installed inside the cover and having a plurality of nozzles mount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o spray washing water toward the head;
And a wash water supply device having a water pump connected to each of the accompanying side injection pipe and the cover side injection pipe for supply of the washing water.
상기 수반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퀵 커플링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덮개측 분사관은 상기 퀵 커플링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싱크대. The method of claim 1,
And a quick coupling for supplying the washing water to the head, and the plurality of cover side injection pipes are connected to the quick coupling.
상기 수반측 분사관과 상기 덮개측 분사관 각각은 그 양단에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싱크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each of the accompanying side injection pipes and the cover side injection pipes are provided with rotating means so as to rotate at both ends thereof.
상기 수반의 바닥면에 모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와류 팬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싱크대.The method of claim 3,
Multifunctional sink, characterized in that the vortex fan is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ccompanying.
상기 수반의 외부에 설치되어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진동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싱크대.The method of claim 3,
Multifunctional sin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vibrator which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accompanying head to generate an ultrasonic wave.
상기 수반의 내부에 설치되어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자외선 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싱크대.The method of claim 3,
Multifunctional sin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ultraviolet lamp which is installed inside the head to generate ultraviolet light.
상기 수반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식기류를 넘겨받아 이송하면서 건조하는 에어건조 컨베이어와, 상기 에어건조 컨베이어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자외선 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싱크대.The method of claim 3,
A multifunctional comprising a conveyor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head, an air drying conveyor configured to take over and transport the dishes transferred through the conveyor, and an ultraviolet lamp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air drying conveyor. sink.
상기 수반의 한쪽에 보관함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보관함은 컨트롤 박스에 배선판 연결구조와 전원 독립 구조를 갖는 컨트롤 박스, 내부에 펠티어 냉열소자 반도체가 적용되어 있는 냉장 쌀통,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기, 자외선 램프와 황토 바이오 베이스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싱크대.The method of claim 3,
A storage box is fixed to one side of the head, and the storage box is a control box having a wiring board connection structure and a power supply independent structure in a control box, a refrigerated rice container in which a Peltier cooling element semiconductor is applied therein, a temperatur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emperature, and an ultraviolet ray. A multifunctional sink comprising a lamp and an ocher biobase plate.
상기 수반의 배수구를 통과한 음식물 쓰레기를 압착분쇄하여 수거통에 수집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싱크대.The method of claim 1,
Multifunctional sink comprising a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for pressing the crushed food waste passing through the drainage of the accompanying and collecting in the container.
상기 수반의 외부에 냉장배관이 보온재로 감싸져 있고, 상기 냉장배관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냉장장치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냉장장치의 작동으로 생성된 냉매는 상기 냉장배관으로 이송되어 상기 수반에 수용된 세척수를 저온으로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싱크대.10. The method of claim 9,
A refrigeration pipe is wrapped with a heat insulating material on the outside of the accommodating body, and the refrigeration pipe is connected to a refrigeration device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nd the refrigerant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ion device is transferred to the refrigeration pipe and accompanies the accompaniment. A multifunctional sink characterized by cooling the washing water accommodated in the low temperature.
상기 수반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세척수를 공급하는 퀵 커플링과, 상기 퀵 커플링과 결합되며 식기류를 수납하여 세척하기 위한 바구니 형태 세척기를 포함하고,
상기 바구니 형태 세척기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를 수용하는 분배관과, 상기 분배관과 연결되며 바구니의 상부 테두리를 형성하기 위해 절곡되고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외주면에 복수의 노즐이 설치되는 제1 분사관과, 상기 제1 분사관의 하부에 간격을 두고 연결되고 외주면에 복수의 노즐이 설치되는 복수의 제2 분사관과, 상기 복수의 제2 분사관과 교차되도록 상기 제1 분사관의 하부에 간격을 두고 연결되고 외주면에 복수의 노즐이 설치되는 복수의 제3 분사관과, 상기 복수의 제2 분사관과 상기 복수의 제3 분사관 사이에 고정되며 상기 바구니의 하부와 측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지지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싱크대.The method of claim 1,
A quick coupling installed in the accompaniment and supplying the washing water from the outside, and a basket-type washer coupled to the quick coupling and configured to store and wash dishes;
The basket-type washing machine includes: a distribution pipe for receiving the washing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a first injection pipe connected to the distribution pipe and bent to form an upper rim of the basket and having a plurality of nozzles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spray the washing water; And a plurality of second injection pipes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injection pipes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nozzles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injection pipes so as to intersect the plurality of second injection pipes. A plurality of third injection pipe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nozzles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fixed between the plurality of second injection pipes and the plurality of third injection pipes, and configured to form a lower portion and a side surface of the basket. A multifunctional sink comprising a support rod.
상기 수반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세척수를 공급하는 퀵 커플링과, 상기 퀵 커플링과 결합되며 식기류를 수납하여 세척하기 위한 박스 형태 세척기를 포함하고,
상기 박스 형태 세척기는, 일단이 개방되고 식기류를 수납하는 공간과 배수구를 구비한 세척기 본체와, 상기 세척기 본체의 하부에 고정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를 수용하는 분배관과, 상기 분배관과 연결되고 외주면에 간격을 두고 돌출된 돌기의 끝단에 노즐이 설치되는 복수의 분사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싱크대.The method of claim 1,
A quick coupling installed in the water supply to supply the washing water from the outside, and a box-type washer coupled to the quick coupling to receive and wash dishes;
The box-type washing machine includes a washing machine body having one end open and a space for storing dishes and a drainage pipe, a distribution pipe that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ashing machine body and receives washing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is connected to the distribution pipe. And a plurality of injection pipes having nozzles installed at ends of protruding protrusions at intervals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상기 세척기 본체는 적층 가능하고, 적층된 상기 세척기 본체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해 상기 세척기 본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고정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싱크대.The method of claim 12,
The washing machine body is stackable, and the multifunctional sink,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member is installed on each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leaner body to support the stacked washing machine body is not separated.
상기 상부 고정부재와 하부 고정부재 중 어느 한 고정부재는 오목한 형상이고, 나머지 고정부재는 상기 오목한 형상에 삽입되도록 볼록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싱크대.The method of claim 13,
Any one of the upper fixing member and the lower fixing member is a concave shape, the remaining fixing member is a multifunctional sink,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vex shape to be inserted into the concave shape.
상기 수반과 상기 세척통 사이에 식기류를 이송하기 위해 설치되는 제1 이송수단과,
상기 세척통과 상기 헹굼 세척통 사이에 식기류를 이송하기 위해 설치되는 제2 이송수단과,
상기 헹굼 세척통과 상기 건조통 사이에 식기류를 이송하기 위해 설치되는 제3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싱크대.Equipped with a container-shaped accompaniment, a washing tub, a rinse washing tub, a drying tub provided with a drain hole and a drain pipe,
First transfer means installed to transfer the dishes between the accompaniment and the washing tub;
A second transfer means installed to transfer dishes between the washing tub and the rinsing washing tub;
And a third transfer means installed to transfer the dishes between the rinse washing tub and the drying tub.
상기 세척통의 내부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들이 장착되어 있는 복수의 분사관들, 모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와류 팬과 나노 수세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싱크대.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plurality of spray pipes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nozzles for spraying the washing water in the washing tub, a vortex fan and a nano loofah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is installed.
상기 수반의 내부에 모터의 작동에 의하여 회전되는 복수의 돌기들이 설치되어 있고, 회전되는 각종 컵 모형의 스폰지, 나노소자면, 실리콘 고무의 더블형자 형틀을 교체하여 내부와 외부를 한번에 세척할 수 있도록 소주컵, 와인잔, 물컵, 맥주컵 등 다양한 컵을 세척하고, 상기 돌기의 끝단에 설치된 자외선 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싱크대.16. The method of claim 15,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installed inside the head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so that the inside and the outside can be washed at once by replacing the double-shaped molds of sponges, nano elements, and silicone rubbers of various cup models that are rotated. A multifunctional sink, comprising: an ultraviolet lamp installed at the end of the protrusion, washing various cups such as shochu cups, wine glasses, water cups, and beer cups.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87325A KR101218210B1 (en) | 2010-09-07 | 2010-09-07 | Multi sink |
PCT/KR2011/006635 WO2012033350A2 (en) | 2010-09-07 | 2011-09-07 | Multifunctional kitchen sin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87325A KR101218210B1 (en) | 2010-09-07 | 2010-09-07 | Multi sink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25131A KR20120025131A (en) | 2012-03-15 |
KR101218210B1 true KR101218210B1 (en) | 2013-01-08 |
Family
ID=45811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87325A KR101218210B1 (en) | 2010-09-07 | 2010-09-07 | Multi sink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218210B1 (en) |
WO (1) | WO2012033350A2 (en)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07350B1 (en) | 2013-11-27 | 2015-03-31 | 이진희 | singkeubol |
CN106073680A (en) * | 2016-08-02 | 2016-11-09 |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 A kind of body structure of water tank cleaner |
KR101838744B1 (en) * | 2016-09-26 | 2018-03-14 | 강신국 | sterilizing sink |
CN109914540A (en) * | 2019-01-04 | 2019-06-21 | 杭州丽博家居有限公司 | One kind concealed basin with drain function and application method |
KR102012300B1 (en) * | 2018-12-21 | 2019-08-20 | 주식회사 제로퍼스트 | A dipper-well apparatus equipped with an ultrasonic vibrator |
KR102115024B1 (en) * | 2019-11-15 | 2020-05-26 | 주식회사 삼지 | Sterilization water manufacturing equipment |
KR102143020B1 (en) | 2019-10-04 | 2020-08-13 | 허민석 | Cleaning apparatus using superconic vibration for sink |
KR20210149254A (en) * | 2020-06-01 | 2021-12-09 | 주식회사 귀한사람들 | Apparatus for removing residual blood in mea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7369B1 (en) * | 2012-10-19 | 2014-07-10 | 주식회사 지비앤디 | Automatic cleaning device for disposal unit and Disposal unit having the device |
CN103015497B (en) * | 2013-01-03 | 2014-03-12 | 衢州市依科达节能技术有限公司 | Water-saving double-pond washing tank |
CN103993630A (en) * | 2013-02-20 | 2014-08-20 | 朱培池 | Spray water pool |
CN103510585B (en) * | 2013-09-21 | 2014-11-05 | 衢州市依科达节能技术有限公司 | Integrated kitchen water tank |
CN109843141B (en) * | 2017-09-05 | 2022-03-04 | 斯库尔伊姆特有限公司 | Washing tank with dishwasher function |
CN109512361A (en) * | 2018-11-12 | 2019-03-26 | 浙江欧琳生活健康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Simple dish-washing machine |
US11795672B2 (en) | 2018-12-21 | 2023-10-24 | Kohler Co. | Smart sink |
DE102019203164A1 (en) * | 2019-03-08 | 2020-09-10 | Hansgrohe Se | Wash basin with fountain jet water dispenser |
DE102019218650A1 (en) * | 2019-11-29 | 2021-06-02 | BSH Hausgeräte GmbH | Sink with movable insert plate and active discharge device for residual media on the insert plate |
US11732450B2 (en) * | 2020-07-27 | 2023-08-22 | Kohler Co. | Sink with integrated rinse feature |
KR102440405B1 (en) * | 2021-06-01 | 2022-09-06 | 주식회사 지학사 | Book cover UV sterilization device |
KR200495973Y1 (en) * | 2021-06-23 | 2022-09-30 | 윤미란 | Sink device with water saving and sterilization function |
KR102446633B1 (en) * | 2021-08-18 | 2022-09-23 | 정경대 | Food processing and ultrasonic cleaning devices |
US20240068212A1 (en) * | 2022-08-31 | 2024-02-29 | Kohler Co. | Rinsing lavatory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60462U (en) * | 1991-07-19 | 1993-08-10 | ショウワ洗浄機株式会社 | Sink with high-pressure ejector injection device |
JPH06346494A (en) * | 1994-01-04 | 1994-12-20 | Mitsui Home Co Ltd | Cleaning method with kitchen cleaning sink |
JP2001112855A (en) * | 1999-10-21 | 2001-04-24 | Inax Corp | Sterilizing installation for water section hygienic equipment chamber |
JP2001329589A (en) * | 2000-05-19 | 2001-11-30 | Rinnai Corp | Sink with washing function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1970A (en) * | 1997-06-30 | 1999-01-26 | Inax Corp | Sterilizing device of draining cage |
JP2004147699A (en) * | 2002-10-28 | 2004-05-27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Ultrasonic cleaning sink |
-
2010
- 2010-09-07 KR KR1020100087325A patent/KR101218210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1
- 2011-09-07 WO PCT/KR2011/006635 patent/WO2012033350A2/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60462U (en) * | 1991-07-19 | 1993-08-10 | ショウワ洗浄機株式会社 | Sink with high-pressure ejector injection device |
JPH06346494A (en) * | 1994-01-04 | 1994-12-20 | Mitsui Home Co Ltd | Cleaning method with kitchen cleaning sink |
JP2001112855A (en) * | 1999-10-21 | 2001-04-24 | Inax Corp | Sterilizing installation for water section hygienic equipment chamber |
JP2001329589A (en) * | 2000-05-19 | 2001-11-30 | Rinnai Corp | Sink with washing function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07350B1 (en) | 2013-11-27 | 2015-03-31 | 이진희 | singkeubol |
CN106073680A (en) * | 2016-08-02 | 2016-11-09 |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 A kind of body structure of water tank cleaner |
KR101838744B1 (en) * | 2016-09-26 | 2018-03-14 | 강신국 | sterilizing sink |
KR102012300B1 (en) * | 2018-12-21 | 2019-08-20 | 주식회사 제로퍼스트 | A dipper-well apparatus equipped with an ultrasonic vibrator |
CN109914540A (en) * | 2019-01-04 | 2019-06-21 | 杭州丽博家居有限公司 | One kind concealed basin with drain function and application method |
KR102143020B1 (en) | 2019-10-04 | 2020-08-13 | 허민석 | Cleaning apparatus using superconic vibration for sink |
KR102115024B1 (en) * | 2019-11-15 | 2020-05-26 | 주식회사 삼지 | Sterilization water manufacturing equipment |
KR20210149254A (en) * | 2020-06-01 | 2021-12-09 | 주식회사 귀한사람들 | Apparatus for removing residual blood in meat |
KR102432665B1 (en) | 2020-06-01 | 2022-09-14 | 주식회사 귀한사람들 | Apparatus for removing residual blood in mea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25131A (en) | 2012-03-15 |
WO2012033350A3 (en) | 2012-06-07 |
WO2012033350A2 (en) | 2012-03-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18210B1 (en) | Multi sink | |
US9949610B2 (en) | Dishwasher and method | |
KR100881712B1 (en) | Cup washer | |
KR101757580B1 (en) | Dish washer of one body sink with ultrasonic cleaning function | |
US20180177377A1 (en) | Hand washing and drying apparatus and method | |
KR101560177B1 (en) | A Dishwashing possible table | |
US8388763B2 (en) | Portable washing and disinfecting apparatus | |
JP4311581B2 (en) | Washing and drying equipment used in the same manner as cleaning and drying methods for tableware, cooking utensils and ingredients | |
CN205286272U (en) | Cleaning and disinfecting all -in -one | |
KR20210065497A (en) | Combo tyope dish cleaner | |
KR100535771B1 (en) | a rinse tank of dishwasher | |
CN101273868A (en) | Dishware washing method and equipment | |
JP2005110901A (en) | Dishwasher | |
KR200386224Y1 (en) | ultra sonic clining with sterilizing | |
US20170065145A1 (en) | Automatic washer for receptacles | |
CN218894156U (en) | Kitchen ceramic sink | |
KR101691444B1 (en) | Cleaning apparatus for loofah | |
WO2019182484A1 (en) | Kitchen device for cleaning fresh fruit and vegetables | |
CN212661774U (en) | Household automatic dish washing and drying device | |
CN218651713U (en) | Dish washing machine convenient for taking and placing tableware | |
KR200298708Y1 (en) | high-pressure circulation type gridiron-washer | |
CN2548549Y (en) | Rotary, Basket Dishwashers | |
KR200205451Y1 (en) | Rapid dishwash machine by availing a horizontal angle | |
JP2006238984A (en) | Washer for cooking and table goods | |
CN111150357A (en) | Embedded intelligent dish wash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3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2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1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