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12192B1 - 웨이트 운동기구의 의자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웨이트 운동기구의 의자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2192B1
KR102012192B1 KR1020180031180A KR20180031180A KR102012192B1 KR 102012192 B1 KR102012192 B1 KR 102012192B1 KR 1020180031180 A KR1020180031180 A KR 1020180031180A KR 20180031180 A KR20180031180 A KR 20180031180A KR 102012192 B1 KR102012192 B1 KR 102012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frame
hole
backrest
lin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1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아스포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아스포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아스포츠
Priority to KR1020180031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21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2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219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8Devices for bench press exercises, e.g. supports,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Special Chair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이트 운동기구의 하단프레임에 연결되는 의자를 사용할 때 펼쳐 사용하고 의자를 사용하지 않을 때 세울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의자를 사용하지 않고 웨이트 운동기구를 이용한 다른 운동을 행할 때 의자에 의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자를 세울 수 있어 의자가 차지하는 공간에 대한 공간활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간단한 조작에 의해 쉽고 용이하게 의자를 펼치거나 세울 수 있도록 하여 사용성 및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웨이트 운동기구의 의자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웨이트 운동기구의 의자 어셈블리{chair assembly of weight exercise equipment}
본 발명은 웨이트 운동기구의 의자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하지 않을 경우 세워 고정하여 의자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뿐만 아니라 사용 시 의자를 펼쳐 사용하도록 하며 의자의 펼침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웨이트 운동기구의 의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웨이트 운동기구는 상체단련용 운동기구와 하체단련용 운동기구로 구분되어 있으며, 이들 운동기구에는 사용자에 따라 적절하게 무게를 조절할 수 있는 중량체가 구비되어 중량체에 의해 사용자의 상체 또는 하체의 근육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하체운동기구는 사용자의 하체부분의 종아리 근육과 허벅지 근육을 강화시키는 운동기구이고, 상체운동기구는 사용자의 등근육과 어깨근육을 강화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팔근육을 강화시키는 운동기구이다.
이와 같은 웨이트 운동기구는, 지면에 수직 설치되는 지지프레임체와 지지프레임체에 수직연결되는 가이드봉과 가이드봉에 베어링으로 연결되는 수직운동가이드와 수직운동가이드와 연결되는 바벨봉 및 상기 수직운동가이드와 연결되어 상기 운동바를 들어올리는 동작에 의해 들어올려지는 중량체와 운동자가 앉을 수 있는 의자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 웨이트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운동하는 방법 중, 운동자가 선 상태에서 자신의 다리를 어깨넓이보다 좁게 벌린 후 가슴과 허리를 곧게 편 상태에서 바벨봉을 천천히 들었다 내렸다 하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하는 데드리프트 운동방법이 있다.
즉, 운동자가 자신이 들 수 있는 중량만큼의 중량체를 선택한 후 바벨봉을 운동자의 뒷목부분에 위치한 상태에서 바벨봉이 운동자의 어깨에 위치되도록 바벨봉을 잡고 앉았다 일어서는 동작을 취하면서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바벨봉을 운동자가 들어올리는 동작에 의해 중량체를 들어올릴 때 베어링에 의해 바벨봉과 연결되는 수직운동가이드가 가이드봉을 따라 용이하게 승하강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하여 중량체를 용이하게 들어올리면서 운동이 진행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운동자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바벨봉이 운동자의 가슴에 위치하도록 하여 바벨봉을 들어올리는 동작에 의해 중량체를 들어올려주면서 상체운동을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웨이트 운동기구에 구비되는 의자는 운동자가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도 항상 고정된 상태로 위치되기 때문에 의자가 차지하고 있는 공간을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종래 웨이트 운동기구의 경우 의자가 고정되어 구비된 것과 의자가 구비되지 않은 것을 각각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웨이트 운동기구를 각각 구비함에 따른 비용에 부담을 갖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실용 20-0361006호인 운동기기의 의자 위치 조절장치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운동기기의 메인 프레임에 고정되고 중앙에 통공이 형성된 브라켓과, 의자의 좌판 저면에 하방을 향하도록 결합된 한 쌍의 지지판과, 상기 브라켓과 지지판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2링크와, 상기 제2링크와 연동되도록 결합되며 동일 곡률선상에 소정 각도의 등간격을 이루며 다수의 위치조절공이 형성된 위치조절체와, 상기 브라켓의 일측면 중앙부위에 측방향을 향하도록 결합되고 내부에 텐션스프링이 내설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설된 텐션스프링에 의해 탄발력을 갖도록 결합되며 구동레버가 결합된 위치고정축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의자가 회동되면서 의자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여 힘을 가해 의자를 들어 올리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의자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 역시 의자가 고정된 상태로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의자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의자가 차지하는 공간에 의해 공간활용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은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등록실용 20-0361006호(2004.08.26. 등록) 대한민국등록실용 20-0379536호(2005.03.11. 등록)
본 발명은 웨이트 운동기구에 구비되는 의자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접어 세워 위치하도록 하고 사용할 때 펼쳐지도록 하여 의자를 사용하지 않고 상체운동이나 하체운동을 할 때 의자에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하여 운동자가 서서 바벨봉을 들어올리거나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바벨봉을 들어올려주는 운동을 하나의 웨이트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진행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의자가 차지하는 공간활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웨이트 운동기구의 의자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웨이트 운동기구의 의자 어셈블리는, 중량체가 구비되는 수직프레임과 수직프레임 상단을 연결하는 상단프레임과 수직프레임 하단을 연결하는 하단프레임을 갖는 웨이트 운동기구를 포함하고, 운동자가 앉거나 누운 상태에서 중량체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상기 하단프레임에 연결되는 의자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의자 어셈블리는, 상기 하단프레임에 고정되는 의자브라켓과; 상기 의자브라켓에 축설되어 상기 의자브라켓에 대해 힌지회전되는 연결링크체와; 상기 연결링크체에 일측이 연결되어 상기 연결링크체가 의자브라켓에 대해 힌지회전되는 것에 의해 상기 수직프레임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세워지거나 수직프레임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펼쳐지는 의자프레임체와; 상기 의자프레임체에 연결되는 등받이체와; 상기 의자프레임체에 연결되는 안착체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의자브라켓은, 상기 하단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축설되는 링크회전축으로 구비되고, 상기 연결링크체는, 상기 링크회전축에 축설되는 회전링크와; 상기 회전링크에 연결되고 상단에 제1핀구멍을 갖는 링크브라켓과; 상기 링크브라켓의 중앙에 구비되는 슬라이딩바로 구비되며, 상기 의자프레임체는, 상기 슬라이딩바에 하단이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바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되고 일측단에 손잡이가 구비되며 내측에 상기 등받이체와 안착체가 각각 연결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관통되되 상기 제1핀구멍과 대응되게 위치되는 복수개 길이가변구멍과; 상기 제1핀구멍과 상기 복수개 길이가변구멍 중 어느 하나의 길이가변구멍에 체결되는 제1조절핀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더 나아가, 상기 바디에는 1회전구멍과 제2핀구멍이 더 구비되고, 상기 등받이체는, 상기 제1회전구멍에 끼워져 축설되는 등받이회전축을 갖는 등받이프레임과; 상기 등받이프레임에 상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2핀구멍과 각각 대응되는 복수개 높이가변구멍이 관통된 높이가변구와; 상기 제2핀구멍과 상기 복수개 높이가변구멍 중 어느 하나의 높이가변구멍에 체결되는 제2조절핀과; 상기 등받이프레임에 고정되어 운동자의 등이 밀착되는 등받이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더 나아가, 상기 바디에는 제3핀구멍과 고정구멍이 더 구비되고, 상기 안착체는, 상기 고정구멍과 대응되는 연결구멍이 관통된 안착체프레임과; 상기 바디의 고정구멍과 상기 안착체프레임의 연결구멍에 끼워져 상기 안착체프레임을 상기 바디에 고정하는 바디고정축이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바디의 제3핀구멍에 끼워지는 지지구회전축이 구비되며 제1고정구멍과 제2고정구멍을 갖는 지지구와; 상기 제3핀구멍과 상기 제1고정구멍 또는 제2고정구멍 중 어느 하나의 고정구멍에 끼워지는 제3조절핀과; 상기 안착체프레임에 고정되어 운동자가 앉아 안착하는 안착구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웨이트 운동기구의 하단프레임에 연결되는 의자를 사용할 때 펼쳐 사용하고 의자를 사용하지 않을 때 세울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의자를 사용하지 않고 웨이트 운동기구를 이용한 다른 운동을 행할 때 의자에 의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자를 세울 수 있어 의자가 차지하는 공간에 대한 공간활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간단한 조작에 의해 쉽고 용이하게 의자를 펼치거나 세울 수 있도록 하여 사용성 및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웨이트 운동기구의 의자 어셈블리가 설치된 웨이트 운동기구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웨이트 운동기구의 의자 어셈블리가 세워진 상태의 측면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웨이트 운동기구의 의자 어셈블리가 펼쳐진 상태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인 웨이트 운동기구의 의자 어셈블리의 구성을 각각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웨이트 운동기구의 의자 어셈블리의 세워진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웨이트 운동기구의 의자 어셈블리의 펼쳐진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웨이트 운동기구의 의자 어셈블리의 등받이부 작용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이트 운동기구의 의자 어셈블리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웨이트 운동기구의 의자 어셈블리는, 중량체(1)가 구비되는 수직프레임(2)과 상기 수직프레임(2) 상단을 연결하는 상단프레임(3)과 상기 수직프레임(2) 하단을 연결하는 하단프레임(4)을 갖는 웨이트 운동기구를 포함하고, 운동자가 앉거나 누운 상태에서 중량체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상기 하단프레임에 연결되는 의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중량체(1)가 구비되는 수직프레임(2)과 상기 수직프레임(2) 상단을 연결하는 상단프레임(3)과 상기 수직프레임(2) 하단을 연결하는 하단프레임(4)을 갖는 웨이트 운동기구는,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의자 어셈블리(100)가 설치되는 웨이트 운동기구는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자 어셈블리(100)는, 상기 하단프레임(4)에 고정되는 의자브라켓(10)과, 상기 의자브라켓(10)에 축설되어 상기 의자브라켓(10)에 대해 힌지회전되는 연결링크체(20)와, 상기 연결링크체(20)에 일측이 연결되어 상기 연결링크체(20)가 의자브라켓(10)에 대해 힌지회전되는 것에 의해 상기 수직프레임(2)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세워지거나 수직프레임(2)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펼쳐지는 의자프레임체(30)와, 상기 의자프레임체(30)에 연결되는 등받이체(40)와, 상기 의자프레임체(30)에 연결되는 안착체(50)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의자브라켓(10)과 연결되는 연결링크체(20)가 힌지회전되는 것에 의해 상기 의자프레임체(30)와 등받이체(40) 및 안착체(50)가 힌지회전되어 웨이트 운동기구의 수직프레임(2)에 대해 펼쳐지거나 세워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의자 어셈블리(100)를 이용하여 운동을 할 경우에는 상기 의자프레임체(30)와 등받이체(40) 및 안착체(50)를 펼쳐 운동자가 등받이체(40)에 등을 받친 상태에서 안착체(50)에 앉아 웨이트 운동을 진행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의자 어셈블리(100)를 이용하여 운동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의자프레임체(30)와 등받이체(40) 및 안착체(50)를 세워 운동을 할 때 펼쳐진 상기 의자프레임체(30)와 등받이체(40) 및 안착체(50)의 공간을 비워준다.
이와 같이 의자브라켓(10)과 연결되는 연결링크체(20)가 힌지회전되는 것에 의해 상기 의자프레임체(30)와 등받이체(40) 및 안착체(50)가 힌지회전되어 웨이트 운동기구의 수직프레임(2)에 대해 펼쳐지거나 세워짐에 따라, 본 발명의 의자 어셈블리(100)를 이용하여 운동을 진행하지 않을 때 펼쳐졌던 상기 의자프레임체(30)와 등받이체(40) 및 안착체(50)의 공간이 비워짐에 따라 웨이트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운동을 할 때의 공간 활용성은 물론 운동자가 펼쳐진 의자에 의해 간섭을 받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자브라켓(10)은, 상기 하단프레임(4)에 고정되는 고정판(11)과, 상기 고정판(11)에 축설되는 링크회전축(12)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연결링크체(20)는, 상기 링크회전축(12)에 축설되는 회전링크(21)와, 상기 회전링크(21)에 연결되고 상단에 제1핀구멍(22)을 갖는 링크브라켓(23)과, 상기 링크브라켓(23)의 중앙에 구비되는 슬라이딩바(24)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링크체(20)의 회전링크(21)가 상기 의자브라켓(10)의 링크회전축(12)에 축설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연결링크체(20)의 회전링크(21)가 상기 링크회전축(12)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에 의해 상기 연결링크체(20)는 물론 상기 의자프레임체(30)와 등받이체(40) 및 안착체(50)를 수직프레임(2)에 대해 펼쳐주거나 세워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자프레임체(30)는, 상기 슬라이딩바(24)에 하단이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바(24)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되고 일측단에 손잡이(31)가 구비되며 내측에 상기 등받이체(40)와 안착체(50)가 각각 연결되는 바디(32)와, 상기 바디(32)에 관통되되 상기 제1핀구멍(22)과 대응되게 위치되는 복수개 길이가변구멍(33)과, 상기 제1핀구멍(22)과 상기 복수개 길이가변구멍(33) 중 어느 하나의 길이가변구멍에 체결되는 제1조절핀(34)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의자프레임체(30)는, 상기 바디(32)가 상기 슬라이딩바(24)에 하단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연결링크체(20)가 링크회전축(12)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짐은 물론, 상기 슬라이딩바(24)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바디(32)가 슬라이딩바(24)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의자프레임체(30)를 펼친 상태에서 의자프레임체(30)를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어 운동자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상기 의자프레임체(30)와 연결된 등받이체(40) 및 안착체(5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조절핀(34)은 상기 복수개 길이가변구멍(33) 중 어느 하나의 길이가변구멍과 대응되게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바디(32)를 슬라이딩바(24)를 이용하여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1조절핀(34)을 길이가변구멍(33)으로부터 분리한 후, 바디(32)를 슬라이딩바(24)를 이용하여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의자프레임체(30)를 이동시킨 후 상기 복수개 길이가변구멍(33) 중 어느 하나의 길이가변구멍 중 상기 제1핀구멍(22)과 대응되는 길이가변구멍(33)에 상기 제1조절핀(34)을 끼워 체결함으로써 길이가 가변된 의자프레임체(30)를 견고하게 고정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바디(32)에는 1회전구멍(41)과 제2핀구멍(42)이 더 구비되고, 상기 등받이체(40)는, 상기 제1회전구멍(41)에 끼워져 축설되는 등받이회전축(43)을 갖는 등받이프레임(44)과, 상기 등받이프레임(44)에 상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2핀구멍(42)과 각각 대응되는 복수개 높이가변구멍(45)이 관통된 높이가변구(46)와, 상기 제2핀구멍(42)과 상기 복수개 높이가변구멍(45) 중 어느 하나의 높이가변구멍에 체결되는 제2조절핀(47)과, 상기 등받이프레임(44)에 고정되어 운동자의 등이 밀착되는 등받이(48)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등받이프레임(44)은, 상기 등받이회전축(43)이 상기 바디(32)에 구비되는 제1회전구멍(41)에 축설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등받이회전축(43)을 축으로 하여 세워지거나 눕혀지는 것으로, 이에 따라 상기 등받이프레임(44)에 고정되는 등받이(48)가 상기 등받이회전축(43)을 축으로 하여 힌지회전되어 세워지거나 눕혀질 수 있어 운동자가 자신에 맞는 경사각도로 상기 등받이(48)를 눕히거나 세워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등받이(48)를 세우거나 눕히는 과정에서 상기 제2조절핀(47)을 상기 높이가변구멍(45)으로부터 분리한 후 등받이(48)를 세우거나 눕혀 등받이(48)의 경사각도를 조절한 다음, 상기 복수개 높이가변구멍(45) 중 상기 제2핀구멍(42)과 대응되는 위치에 오는 높이가변구멍(45)에 상기 제2조절핀(47)을 끼워 경사각도가 조절된 등받이(48)를 고정하면 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바디(32)에는 제3핀구멍(51)과 고정구멍(52)이 더 구비되고, 상기 안착체(50)는, 상기 고정구멍(52)과 대응되는 연결구멍(53)이 관통된 안착체프레임(54)과, 상기 바디(32)의 고정구멍(52)과 상기 안착체프레임(54)의 연결구멍(53)에 끼워져 상기 안착체프레임(54)을 상기 바디(32)에 고정하는 바디고정축(55)이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바디(32)의 제3핀구멍(51)에 끼워지는 지지구회전축(56)이 구비되며 제1고정구멍(571)과 제2고정구멍(572)을 갖는 지지구(57)와, 상기 제3핀구멍(51)과 상기 제1고정구멍(571) 또는 제2고정구멍(572) 중 어느 하나의 고정구멍에 끼워지는 제3조절핀(58)과, 상기 안착체프레임(54)에 고정되어 운동자가 앉아 안착하는 안착구(59)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구(57)는, 지지구회전축(56)이 상기 안착체프레임(54)의 연결구멍(53)에 끼워져 축설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의자브라켓(10)과 연결되는 연결링크체(20)가 힌지회전되는 것에 의해 상기 의자프레임체(30)와 등받이체(40) 및 안착체(50)가 힌지회전되어 웨이트 운동기구의 수직프레임(2)에 대해 펼쳐질 때 상기 안착체프레임(54)의 하부측으로 펼쳐져 상기 의자프레임체(30)의 바디(32)를 바닥면에 대해 지지하여 주고, 상기 의자브라켓(10)과 연결되는 연결링크체(20)가 힌지회전되는 것에 의해 상기 의자프레임체(30)와 등받이체(40) 및 안착체(50)가 힌지회전되어 웨이트 운동기구의 수직프레임(2)에 대해 세워질 때 상기 안착체프레임(54)측으로 접어진다.
또한, 상기 지지구(57)가 펼쳐질 때 상기 제3조절핀(58)을 제1고정구멍(571)에 끼워 펼쳐진 지지구(57)를 고정하여 운동자가 등받이(48)에 등을 대고 안착구(59)에 앉거나 또는 누워 운동을 할 때 펼쳐진 지지구(57)가 접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구(57)가 접어질 때 상기 제3조절핀(58)을 제2고정구멍(572)에 끼워 접어진 지지구(57)를 고정하여 상기 의자프레임체(30)과 등받이체(40) 및 안착체(50)의 비워진 공간에 위치하여 운동자가 운동을 할 때 접어진 지지구(57)가 펼쳐져 운동에 간섭을 주거나 운동자가 부딪혀 상해사고를 입게 되는 것을 이명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의자브라켓 11 : 고정판
12 : 링크회전축 20 : 연결링크체
21 : 회전링크 22 : 제1핀구멍
23 : 링크브라켓 24 : 슬라이딩바
30 : 의자프레임체 31 : 손잡이
32 : 바디 33 : 길이가변구멍
34 : 제1조절핀 40 : 등받이체
41 : 제1회전구멍 42 : 제2핀구멍
43 : 등받이회전축 44 : 등받이프레임
45 : 높이가변구멍 46 : 높이가변구
47 : 제2조절핀 48 : 등받이
50 : 안착체 51 : 제3핀구멍
52 : 고정구멍 53 : 연결구멍
54 : 안착체프레임 55 : 바디고정축
56 : 지지구회전축 57 : 지지구
58 : 제3조절핀 59 : 안착구
571 : 제1고정구멍 572 : 제2고정구멍

Claims (4)

  1. 중량체(1)가 구비되는 수직프레임(2)과 상기 수직프레임(2) 상단을 연결하는 상단프레임(3)과 상기 수직프레임(2) 하단을 연결하는 하단프레임(4)을 갖는 웨이트 운동기구를 포함하고, 운동자가 앉거나 누운 상태에서 중량체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상기 하단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하단프레임(4)에 고정되는 의자브라켓(10)과 상기 의자브라켓(10)에 축설되어 상기 의자브라켓(10)에 대해 힌지회전되는 연결링크체(20)와 상기 연결링크체(20)에 일측이 연결되어 상기 연결링크체(20)가 의자브라켓(10)에 대해 힌지회전되는 것에 의해 상기 수직프레임(2)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세워지거나 수직프레임(2)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펼쳐지는 의자프레임체(30)와 상기 의자프레임체(30)에 연결되는 등받이체(40)와 상기 의자프레임체(30)에 연결되는 안착체(50)를 갖는 의자 어셈블리(100)에 있어서,
    상기 의자브라켓(10)은,
    상기 하단프레임(4)에 고정되는 고정판(11)과;
    상기 고정판(11)에 축설되는 링크회전축(12)으로 구비되고,
    상기 연결링크체(20)는,
    상기 링크회전축(12)에 축설되는 회전링크(21)와;
    상기 회전링크(21)에 연결되고 상단에 제1핀구멍(22)을 갖는 링크브라켓(23)과;
    상기 링크브라켓(23)의 중앙에 구비되는 슬라이딩바(24)로 구비되며,
    상기 의자프레임체(30)는,
    상기 슬라이딩바(24)에 하단이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바(24)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되고 일측단에 손잡이(31)가 구비되며 내측에 상기 등받이체(40)와 안착체(50)가 각각 연결되는 바디(32)와;
    상기 바디(32)에 관통되되 상기 제1핀구멍(22)과 대응되게 위치되는 복수개 길이가변구멍(33)과;
    상기 제1핀구멍(22)과 상기 복수개 길이가변구멍(33) 중 어느 하나의 길이가변구멍에 체결되는 제1조절핀(34)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트 운동기구의 의자 어셈블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32)에는 제1회전구멍(41)과 제2핀구멍(42)이 더 구비되고,
    상기 등받이체(40)는,
    상기 제1회전구멍(41)에 끼워져 축설되는 등받이회전축(43)을 갖는 등받이프레임(44)과;
    상기 등받이프레임(44)에 상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2핀구멍(42)과 각각 대응되는 복수개 높이가변구멍(45)이 관통된 높이가변구(46)와;
    상기 제2핀구멍(42)과 상기 복수개 높이가변구멍(45) 중 어느 하나의 높이가변구멍에 체결되는 제2조절핀(47)과;
    상기 등받이프레임(44)에 고정되어 운동자의 등이 밀착되는 등받이(48)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트 운동기구의 의자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32)에는 제3핀구멍(51)과 고정구멍(52)이 더 구비되고,
    상기 안착체(50)는,
    상기 고정구멍(52)과 대응되는 연결구멍(53)이 관통된 안착체프레임(54)과;
    상기 바디(32)의 고정구멍(52)과 상기 안착체프레임(54)의 연결구멍(53)에 끼워져 상기 안착체프레임(54)을 상기 바디(32)에 고정하는 바디고정축(55)이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바디(32)의 제3핀구멍(51)에 끼워지는 지지구회전축(56)이 구비되며 제1고정구멍(571)과 제2고정구멍(572)을 갖는 지지구(57)와;
    상기 제3핀구멍(51)과 상기 제1고정구멍(571) 또는 제2고정구멍(572) 중 어느 하나의 고정구멍에 끼워지는 제3조절핀(58)과;
    상기 안착체프레임(54)에 고정되어 운동자가 앉아 안착하는 안착구(59)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트 운동기구의 의자 어셈블리.
KR1020180031180A 2018-03-16 2018-03-16 웨이트 운동기구의 의자 어셈블리 Active KR102012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180A KR102012192B1 (ko) 2018-03-16 2018-03-16 웨이트 운동기구의 의자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180A KR102012192B1 (ko) 2018-03-16 2018-03-16 웨이트 운동기구의 의자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2192B1 true KR102012192B1 (ko) 2019-10-21

Family

ID=68460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180A Active KR102012192B1 (ko) 2018-03-16 2018-03-16 웨이트 운동기구의 의자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219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3308A (ko) 2020-11-26 2022-06-03 노환영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
US11446539B1 (en) 2021-04-19 2022-09-20 Prx Performance, Llc Retractable wall mountable inclinable bench system
US11865402B2 (en) 2016-02-19 2024-01-09 Prx Performance, Llc Retractable wall mounted weightlifting bench system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6015A (ja) * 2000-02-10 2001-09-11 Nautilus Inc 運動用機械
US20020091043A1 (en) * 2000-12-20 2002-07-11 Rexach Marco L. Space efficient multi-use exercise apparatus
US20030114281A1 (en) * 1999-04-13 2003-06-19 Mackert Ross A. Multi-purpose exercise apparatus
KR200361006Y1 (ko) 2004-06-17 2004-09-07 김형태 운동기기의 의자 위치 조절장치
KR200379536Y1 (ko) 2004-12-30 2005-03-18 김훈선 하체 운동기구의 의자 위치 조절장치
KR20110085919A (ko) * 2010-01-19 2011-07-27 쩐타이 위 인버전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14281A1 (en) * 1999-04-13 2003-06-19 Mackert Ross A. Multi-purpose exercise apparatus
JP2001246015A (ja) * 2000-02-10 2001-09-11 Nautilus Inc 運動用機械
US20020091043A1 (en) * 2000-12-20 2002-07-11 Rexach Marco L. Space efficient multi-use exercise apparatus
KR200361006Y1 (ko) 2004-06-17 2004-09-07 김형태 운동기기의 의자 위치 조절장치
KR200379536Y1 (ko) 2004-12-30 2005-03-18 김훈선 하체 운동기구의 의자 위치 조절장치
KR20110085919A (ko) * 2010-01-19 2011-07-27 쩐타이 위 인버전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65402B2 (en) 2016-02-19 2024-01-09 Prx Performance, Llc Retractable wall mounted weightlifting bench system
KR20220073308A (ko) 2020-11-26 2022-06-03 노환영 운동기구용 벤치 어셈블리
US11446539B1 (en) 2021-04-19 2022-09-20 Prx Performance, Llc Retractable wall mountable inclinable bench system
WO2022225594A1 (en) * 2021-04-19 2022-10-27 Prx Performance, Llc Retractable wall mountable inclinable bench system
US11617916B2 (en) 2021-04-19 2023-04-04 Prx Performance, Llc Retractable wall mountable inclinable bench system
US11771945B2 (en) 2021-04-19 2023-10-03 Prx Performance, Llc Retractable wall mountable inclinable bench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04179A (en) Multi function foldable exercise machine
US7648473B1 (en) Traction extension table
US9919183B1 (en) Exercise equipment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6558303B1 (en) Combination leg exercise machine with adjustable seat assembly
US9545540B1 (en) Exercise equipment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9878201B1 (en) Exercise equipment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100995230B1 (ko) 운동 기구
US6575884B1 (en) Abdominal exercise machine
US5429569A (en) Training apparatus
US7678033B2 (en) Exercise equipment with system to position elastic bands to assist or oppose one another
US8968164B2 (en)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with sliding handle assembly
US4815746A (en) Bench press frame with barbell assist
KR200487600Y1 (ko) 다목적 운동기구
RU2566309C2 (ru) Механический тренажер для брюшного пресса
US7794372B1 (en) Leg press exercise machine with self-aligning pivoting seat
WO2002056973A2 (en) Space efficient multi-use exercise apparatus
US20070275833A1 (en) Tibialis Anterior Strength Training Machine
KR102012192B1 (ko) 웨이트 운동기구의 의자 어셈블리
KR102112966B1 (ko) 하체운동기구
KR102476500B1 (ko) 리포머 운동기구
KR102191270B1 (ko) 하체 운동기구
KR102071893B1 (ko) 스쿼트 및 로망체어 운동이 가능한 복합운동기구
KR200463833Y1 (ko) 복근운동기구
US11833390B2 (en) Controlled squat strength-training machine
KR20180050032A (ko) 손잡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상체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2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13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8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8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