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76500B1 - 리포머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리포머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6500B1
KR102476500B1 KR1020220005140A KR20220005140A KR102476500B1 KR 102476500 B1 KR102476500 B1 KR 102476500B1 KR 1020220005140 A KR1020220005140 A KR 1020220005140A KR 20220005140 A KR20220005140 A KR 20220005140A KR 102476500 B1 KR102476500 B1 KR 102476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rame
carriage
support
foot
foot ba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5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민관
서홍석
Original Assignee
서민관
서홍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민관, 서홍석 filed Critical 서민관
Priority to KR1020220005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65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6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650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87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a seat or torso support moving during the exercise, e.g. reform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포머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기구의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다양한 동작을 통한 필라테스 운동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각 형상의 베이스 프레임(10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된 캐리지(200)와; 상기 캐리지(200) 일측에서 다수개가 베이스 프레임(100)에 연결되는 탄성 스프링(30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 일측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어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풋 바(400)와; 상기 풋 바(400)가 위치되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면에 구비되어 발등의 지지가 이루어지는 길이 조절형 풋 스트랩(500)과; 상기 캐리지(200)의 타측에 2개가 쌍을 이루어 어깨부위 지지를 위해 돌출 구비되는 숄더블럭(230)과; 상기 숄더블럭(230) 사이에서 머리부위 지지를 위해 구비되는 헤드레스트(220)와; 상기 캐리지(200)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중단부는 베이스 프레임(100)에 구성된 도르레(110)를 경유하며, 타단부에는 손잡이 밴드(610)가 연결 구비된 로프(600);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리포머 운동기구{Reformer exercise equipment}
본 발명은 리포머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필라테스 운동기구 종류 중 하나인 리포머 운동기구의 구조 개선을 통해 운동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리포머 운동기구 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사람들은 체력유지, 건강관리, 재활치료 등을 위해 운동의 필요성을 절실하게 느끼고 있고, 이에 따라 가정이나 헬스클럽 등에서 운동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최근에 알려진 필라테스(pilates)는 다양한 소도구와 기구를 사용하여 신체 유연성과 근력을 기르는 운동법으로 몸의 긴장을 풀어주면서 동시에 강화시키는 운동법으로 1920년경 독일인 조셉 필라테스(Joseph H. Pilates)에 의해 처음 시작되었으며, 동양의 요가와 선(禪), 고대 로마 및 그리스에서 행해지던 양생법 등을 접목하여 만든 것으로 반복된 동작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근육의 약한 부분을 강화시키고 유연성을 증가시키는 신체 단련 운동법이다.
이러한 필라테스용 운동기구 종류 중 하나로 앉거나 기댄 자세에서 사용자의 몸통, 다리 및/또는 팔의 주요 근육을 운동시키는 리포머 운동기구가 있다. 이를 도 1 및 도 2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리포머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리포머 운동기구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리포머 운동기구는 사각형상의 베이스 프레임(10) 상에 올려지는 바퀴 달린 캐리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 프레임(10) 위를 주행하는 캐리지(20)는 베이스 프레임(10)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일련의 평행 스프링(30)들 또는 탄성 부재들에 연결된다.
그리고, 캐리지(20)는 베이스 프레임(10)의 장 변 측의 내부에 장착되는 평행한 레일 또는 트랙을 따라 주행하도록 설치되며 상면에는 평평한 매트리스(21)가 구비된다.
또한, 캐리지(20)는 사용자가 매트리스(21)에 누워 있을 때, 사용자의 어깨 및 머리를 지지하기 위해 한 쌍의 이격된 상태로 직립된 어깨 숄더블럭(23) 및 헤드레스트(22)가 마련된다.
또한, 헤드레스트(22)와 대향하여 사용자가 발을 올려놓는 풋 바(foot bar)(40)가 베이스 프레임(10)에 장착되고, 사용자는 상기 풋 바(40)를 밀어 베이스 프레임(10)의 트랙을 따라 캐리지(20)를 주행시키게 되며, 이때 캐리지(20)와 베이스 프레임(10)을 연결하는 평행 스프링(30)들의 저항에 따라 다리와 발 등의 하체 근육을 운동 시키게 된다.
그리고, 베이스 프레임(10)에 장착된 풋 바(40)와 대향하여 캐리지(20)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팔 및 어깨 등의 상체 근육을 단련시킬 수 있게 로프(60)가 장착되는데, 캐리지(20)의 일측에 고정된 로프(60)는 베이스 프레임(10)의 일측에 직립된 상태로 설치되는 폴대(50)의 가이드 롤러(52)를 경유하며 로프(60)의 끝단은 사용자가 편하게 잡을 수 있게 손잡이 밴드(62)가 마련된다.
이와 같은 로프(60)는 사용자가 손잡이 밴드(62)를 잡고 당기는 것에 의해 캐리지(20)가 베이스 프레임(10)의 일측으로 이동하여 사용자의 팔 및 어깨 근육을 사용하게 되며, 사용자가 로프(60)를 당기는 것을 중단하는 것에 따라 베이스 프레임(10)과 캐리지(20)를 연결한 평행 스프링(30)에 의해 캐리지(20)는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리포머 운동기구는 전체적으로 획일화된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체 특성에 따라 다양한 동작 및 운동을 실행하는데 한계가 있는 불편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627358호(2016.05.30.등록)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2291552호(2021.08.12.등록)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688688호(2016.12.15.등록)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2305928호(2021.09.17.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사용상 불편사항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종래기술에 비해 개선된 구조를 이루는 리포머 운동기구 구성을 제공함으로써 기구를 이용한 운동 효율을 향상시킴과 함께 사용자 만족도를 극대화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리포머 운동기구는, 사각 형상의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된 캐리지와; 상기 캐리지 일측에서 베이스 프레임에 연결되는 탄성 스프링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 일측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는 풋 바와; 상기 풋 바가 위치되는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에 구비되어 발등의 지지가 이루어지는 길이 조절형 풋 스트랩과; 상기 캐리지의 타측에 2개가 쌍을 이루어 어깨부위 지지를 위해 돌출 구비되는 숄더블럭과; 상기 숄더블럭 사이에서 머리부위 지지를 위해 구비되는 헤드레스트와; 상기 캐리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중단부는 베이스 프레임에 구성된 도르레를 경유하며, 타단부에는 손잡이 밴드가 연결 구비된 로프;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 일측에는 점핑보드의 수직 설치가 가능하도록 보드 지지대의 삽입이 가능한 지지대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리포머 운동기구는, 기존에 비해 개선된 구조를 이루게 되어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다양한 동작을 통한 필라테스 운동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각 구성의 부분적인 각도 조절 및 위치 가변 구조를 이루게 되어 보다 편안한 자세에서 운동 효과를 누릴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낸다.
도 1은 종래 기술에서의 리포머 운동기구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서의 리포머 운동기구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포머 운동기구 외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리포머 운동기구 평면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 리포머 운동기구 단면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헤드레스트 각도 조절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리포머 운동기구 측면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 리포머 운동기구에 로프가 연결된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 리포머 운동기구에 점핑보드가 조립된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 리포머 운동기구에 점핌보드가 조립된 상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술의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포머 운동기구의 구성을 도 3 내지 도 10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서의 리포머 운동기구는, 사각 형상의 기본 틀을 이루는 베이스 프레임(10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된 캐리지(200)와, 상기 캐리지(200) 일측에서 다수개가 베이스 프레임(100)에 연결되는 탄성 스프링(30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 일측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는 풋 바(400)와, 상기 풋 바(400)가 위치되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면에 구비되어 발등의 지지가 이루어지는 길이 조절형 풋 스트랩(500)과, 상기 캐리지(200)의 타측에 2개가 쌍을 이루어 어깨부위 지지를 위해 돌출 구비되는 숄더블럭(230)과, 상기 숄더블럭(230) 사이에서 머리부위 지지를 위해 구비되는 헤드레스트(220)와, 상기 캐리지(200)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중단부는 베이스 프레임(100)에 구성된 도르레(110)를 경유하며, 타단부에는 손잡이 밴드(610)가 연결 구비된 로프(600)의 구성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 일측에는 점핑보드(700)의 수직 설치가 가능하도록 보드 지지대(710)의 삽입이 가능한 지지대 삽입홈(120)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사이드 핸들(130)이 구비되어 스트레칭 및 스트랩을 이용한 다양한 필라테스 응용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풋 바(400)는 회동축(410)을 중심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각도 조절 레버(42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헤드레스트(220)에는 도 6에서와같이 각도 조절을 위한 조절 레버(221)가 하부에 힌지핀(221a)에 의해 연결 구성되며, 상기 조절 레버(221) 중단에는 걸림홈(221b)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22는 받침 플레이트이고, 310은 탄성 스프링(300)의 일단부가 걸려지는 스프링 걸이구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 리포머 운동기구의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리포머 운동기구는 캐리지(200) 하부에 구성된 복수의 스프링(300)을 스프링 걸이구(310)에 걸어서 일정 탄성력이 작용되도록 함과 함께 로프(600)를 도르레(110)에 거치하여 다양한 운동 동작을 실시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캐리지(200) 위에 앉은 상태에서 손잡이 밴드(610)를 잡고 일정 힘으로 당김력을 가하게 되면 캐리지(200)가 당김력에 의해 일측(도면상 왼쪽)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고, 상기 당김력을 해제하게 되면 탄성 스프링(300)의 탄성 작용에 의해 캐리지(200)가 원위치(도면상 오른쪽)로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어 반복 동작을 통해 근력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캐리지(200)에 누운 상태에서는 양측 어깨가 숄더블럭(230)에 지지됨과 함께 머리는 헤드레스트(220) 상부에 위치되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헤드레스트(220)의 하부에 구성된 조절레버(221)를 힌지핀(221a)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로 회동 조절하여 헤드레스트(220)의 각도를 3단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가장 높은 각도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걸림홈(221b)에 받침 플레이트(222)의 단부가 걸려지는 상태가 중단 높이며, 최 하단 높이에서는 헤드레스트(220)가 수평 상태를 이루게 된다.
또한, 풋 바(400)의 각도 조절은 각도 조절레버(42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기구 일측에는 풋 스트랩(500)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발 부위의 지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데, 본 실시 예에서의 풋 스트랩(500)은 벨크로 테이프에 의한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발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풋 스트랩(500) 길이의 가변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운동 중 풋 스트랩(500)으로 부터 발이 빠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캐리지(200)에 누운 상태에서 점핑 동작을 위해 점핑보드(700)를 설치코자 하는 경우에는 지지대 삽입홈(120)을 이용하게 된다.
즉, 점핑보드(700)에 결합되어 있는 양측 보드 지지대(710)를 지지대 삽입홈(120)에 삽입시키게 되면 도 9 및 도 10에서와같이 점핑보드(700)의 설치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에는 풋 바(400)에 의해 점핑보드(700)의 지지가 이루어지는 구조를 이루게 되어 발을 이용하여 점핑보드(700)를 구르더라도 점핑보드(700)의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리포머 운동기구는, 기존에 비해 개선된 구조를 이루게 되어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다양한 동작을 통한 필라테스 운동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리포머 운동기구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리포머 운동기구의 기능성 향상을 위해 부분적으로 추가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00 : 베이스 프레임 110 : 도르레
120 : 지지대 삽입홈 130 : 사이드 핸들
200 : 캐리지 220 : 헤드레스트
221 : 조절레버 230 : 숄더블럭
300 : 탄성 스프링 310 : 스프링 걸이구
400 : 풋 바 410 : 회동축
420 : 각도조절 레버 500 : 풋 스트랩
600 : 로프 610 : 손잡이 밴드
700 : 점핑보드 710 : 보드 지지대

Claims (4)

  1. 사각 형상의 베이스 프레임(10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된 캐리지(200)와;
    상기 캐리지(200) 일측에서 다수개가 베이스 프레임(100)에 연결되는 탄성 스프링(30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 일측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어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풋 바(400)와;
    상기 풋 바(400)가 위치되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면에 구비되어 발등의 지지가 이루어지며, 벨크로 테이프에 의한 길이 조절이 가능한 풋 스트랩(500)과;
    상기 캐리지(200)의 타측에 2개가 쌍을 이루어 어깨부위 지지를 위해 돌출 구비되는 숄더블럭(230)과;
    상기 숄더블럭(230) 사이에서 머리부위 지지를 위해 구비되는 헤드레스트(220)와;
    상기 캐리지(200)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중단부는 베이스 프레임(100)에 구성된 도르레(110)를 경유하며, 타단부에는 손잡이 밴드(610)가 연결 구비된 로프(600);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 일측에는 점핑보드(700)의 수직 설치가 가능하도록 보드 지지대(710)의 삽입이 가능한 지지대 삽입홈(120)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사이드 핸들(130)이 구비되며,
    상기 풋 바(400)는 회동축(410)을 중심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각도 조절 레버(420)가 구비되고,
    상기 헤드레스트(220)에는 각도 조절을 위한 조절 레버(221)가 하부에 힌지핀(221a)에 의해 연결 구성되며, 상기 조절 레버(221) 중단에는 걸림홈(221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머 운동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20005140A 2022-01-13 2022-01-13 리포머 운동기구 Active KR102476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140A KR102476500B1 (ko) 2022-01-13 2022-01-13 리포머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140A KR102476500B1 (ko) 2022-01-13 2022-01-13 리포머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6500B1 true KR102476500B1 (ko) 2022-12-12

Family

ID=84391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5140A Active KR102476500B1 (ko) 2022-01-13 2022-01-13 리포머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65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4922B1 (ko) 2023-05-03 2024-01-12 박정열 필라테스용 리포머의 로프 구조
KR20250016834A (ko) 2023-07-26 2025-02-04 박정열 필라테스 운동기구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32534A1 (en) * 2001-08-07 2003-02-13 Mcafee Joseph P. Exercise apparatus having a sliding carriage
KR20150059803A (ko) * 2011-07-13 2015-06-02 밸런스드 바디, 인크. 리포머 운동 장치
KR20150103539A (ko) * 2014-03-03 2015-09-11 장경원 리포머 운동기구
KR101627358B1 (ko) 2014-03-04 2016-06-07 장경원 리포머 운동기구
US20200129803A1 (en) * 2016-12-21 2020-04-30 Brian Patrick Janowski Translating carriage exercise machines and methods of use
KR102291552B1 (ko) 2021-02-08 2021-08-20 주식회사 이에스테크놀러지 필라테스용 리포머
KR102305928B1 (ko) 2021-02-22 2021-09-28 장경원 리포머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32534A1 (en) * 2001-08-07 2003-02-13 Mcafee Joseph P. Exercise apparatus having a sliding carriage
KR20150059803A (ko) * 2011-07-13 2015-06-02 밸런스드 바디, 인크. 리포머 운동 장치
KR101688688B1 (ko) 2011-07-13 2016-12-21 밸런스드 바디, 인크. 리포머 운동 장치
KR20150103539A (ko) * 2014-03-03 2015-09-11 장경원 리포머 운동기구
KR101627358B1 (ko) 2014-03-04 2016-06-07 장경원 리포머 운동기구
US20200129803A1 (en) * 2016-12-21 2020-04-30 Brian Patrick Janowski Translating carriage exercise machines and methods of use
KR102291552B1 (ko) 2021-02-08 2021-08-20 주식회사 이에스테크놀러지 필라테스용 리포머
KR102305928B1 (ko) 2021-02-22 2021-09-28 장경원 리포머 운동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4922B1 (ko) 2023-05-03 2024-01-12 박정열 필라테스용 리포머의 로프 구조
KR20250016834A (ko) 2023-07-26 2025-02-04 박정열 필라테스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023538B2 (en) Adjustable reformer
US4844448A (en) Stand up exerciser
EP1583590B1 (en) Exercise apparatus with resilient foot support
US7648473B1 (en) Traction extension table
KR100995230B1 (ko) 운동 기구
KR101166981B1 (ko) 멀티 다관절 웨이트 트레이닝 장치
KR101518197B1 (ko) 웨이트 운동기구
KR102476500B1 (ko) 리포머 운동기구
EA021697B1 (ru) Устройство-тренажер изменения направления и способ тренировки для него
KR100973650B1 (ko) 시각적 효과가 개선된 하지재활 운동기구
KR101627359B1 (ko) 리포머 운동기구
KR101952162B1 (ko) 요가용 어셈블리
KR101600627B1 (ko) 탄력밴드를 이용한 스트레칭 및 근력강화기구
KR200463833Y1 (ko) 복근운동기구
US11890504B2 (en) Arm curl fitness apparatus
KR200485627Y1 (ko) 내전근 및 괄약근 강화 운동기구
KR101535753B1 (ko) 의자장착용 운동기구
KR101903711B1 (ko) 푸시업 보조용 운동기구
KR200463831Y1 (ko) 손잡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상체운동기구
CA2627775C (en) Adjustable reformer
KR101540538B1 (ko) 허리운동기구
KR20150132658A (ko) 운동 기구
KR20190002555U (ko) 다기능 운동기구
KR101527865B1 (ko) 운동기구
KR101837100B1 (ko) 수평 슬라이딩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1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7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12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