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11845B1 - 포크인 커넥터 - Google Patents

포크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1845B1
KR102011845B1 KR1020170088523A KR20170088523A KR102011845B1 KR 102011845 B1 KR102011845 B1 KR 102011845B1 KR 1020170088523 A KR1020170088523 A KR 1020170088523A KR 20170088523 A KR20170088523 A KR 20170088523A KR 102011845 B1 KR102011845 B1 KR 102011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ire
bent
connector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8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7282A (ko
Inventor
진장범
신지수
홍사철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몰렉스 엘엘씨
Priority to KR1020170088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1845B1/ko
Priority to EP18182307.1A priority patent/EP3429031A1/en
Priority to US16/032,299 priority patent/US20190020143A1/en
Priority to CN201810766484.9A priority patent/CN109256628A/zh
Publication of KR20190007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7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84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15Terminal blocks providing connections to wir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3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cables except for 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1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having a circ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185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adapted for axial insertion of a wire end
    • H01R4/481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adapted for axial insertion of a wire end the spring shape allowing insertion of the conductor end when the spring is unbiased
    • H01R4/4823Multiblade sp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46Busbar details
    • H01R4/4848Busbar integrally formed with the sp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76Coupling devices for connection between PCB and component, e.g. display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에 안정적으로 실장될 수 있어 별도의 몰딩부가 구비되지 않는 단일 플레이트 구조의 포크인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판상의 플레이트가 통 형상으로 벤딩되면서 그 내부에 와이어 접속공간을 형성하고 전방에는 와이어 삽입구를 제공하며, 기판에 실장되는 마운팅 플레이트;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의 단부가 상측으로 벤딩되는 제1 지지 플레이트;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단부에서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와 마주하도록 벤딩되는 픽업 플레이트; 상기 픽업 플레이트의 단부에서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마주하도록 벤딩되면서 단부가 기판에 실장되는 제2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후방 단부에서 상기 와이어 접속공간으로 벤딩되어 상기 와이어 접속공간으로 삽입되는 와이어를 접속시키는 접속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포크인 커넥터{Poke-in Connector}
본 발명은 포크인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판에 안정적으로 실장될 수 있어 별도의 몰딩부가 구비되지 않는 단일 플레이트 구조의 포크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 중 와이어를 단자에 끼우는 동작만으로 와이어가 단자에 접촉 및 클램핑되는 형태를 포크인 커넥터라 한다.
종래의 일반적인 포크인 커넥터는 기판에 실장된 콘택트 단자를 몰딩부가 감싸면서 결합되고, 콘택트 단자와 몰딩부의 와이어 삽입구가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 삽입구를 통하여 수평 방향으로 삽입되면서 콘택트 단자에 접속되는 구조를 이룬다. 몰딩부는 와이어의 삽입을 가이드하여 와이어와 콘택트 단자의 불필요한 간섭을 방지하고 하고, 콘택트 단자의 실장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전기적 접촉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한편, 최근에는 전기장치들이 점차 소형화됨에 따라 커넥터가 장착되는 기판의 사이즈도 점차 소형화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콘택트 단자에 몰딩부가 결합되는 구조의 커넥터는 몰딩부가 기판상에서 상대적으로 큰 면적과 공간을 차지하여 기판과 전기장치의 소형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미국등록특허 US8,721,376B1 에는 'SINGLE ELEMENT WIRE TO BOARD CONNETOR'라는 명칭으로 콘택트 단자만으로 이루어진 단일 플레이트 구조의 포크인 커넥터를 소개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기 선행문헌의 포크인 커넥터를 도시하였고, 도 2는 도 1의 커넥터에 대한 와이어 삽입 구조를 나타낸 Ⅰ-Ⅰ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선행문헌의 커넥터(10)는 단일의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기판(20)에 솔더링되는 마운팅 플레이트(11)와, 전방으로 와이어 삽입구(12)를 형성하며 마운팅 플레이트(11)의 양측에서 상측으로 벤딩되는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13)와, 일측의 지지 플레이트(13)가 와이어 삽입구(12) 상부를 차폐하면서 벤딩되는 픽업 플레이트(15)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1)는 와이어 삽입구(11) 반대측 단부가 상측으로 벤딩되어 와이어(30)의 삽입을 저지하는 차단벽(16)를 제공하고,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13)는 삽입 방향 단부가 내측으로 벤딩되는 클램핑부(14)를 각각 제공한다.
상기 선행문헌의 커넥터는 몰딩부가 제거된 단일 플레이트 구조로 이루어져 작은 사이즈의 기판에 용이하게 실장될 수 있어, 전기장치의 소형화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커넥터에서 상기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13)는 하측에서 마운팅 플레이트(11)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지만, 상측에서 픽업 플레이트(15)와 타측의 지지 플레이트(13) 사이에서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와이어(30)가 한 쌍의 클램핑부(14) 사이에서 반복적으로 접속 및 발거될 때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13) 및 한 쌍의 클램핑부(14)는 소성 변형이 쉽게 나타나 접촉의 신뢰성과 내구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커넥터(10)는 마운팅 플레이트(11),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13) 및 픽업 플레이트(15)의 전방측 단부가 수직 방향의 동일면 상에서 와이어 삽입구(12)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수평 접속 방향의 포크인 커넥터에서 와이어(30)는 약간 경사를 이루는 방향으로 커넥터(10)에 삽입된다. 따라서, 종래의 커넥터(10)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삽입 과정에서 와이어(30)를 감싸는 피복(31)이 상측의 픽업 플레이트(15) 단부에 충돌되거나 간섭되어 접속이 어렵게 이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커넥터(10)와 와이어 피복(31)의 충돌이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와이어(30)가 대략 8° 이하의 수평 경사각(θ1)으로만 삽입되어야 한다.
미국등록특허 US8,721,376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커넥터의 몰딩부를 제거하여 전기장치의 소형화에 유리하면서 접속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단일 플레이트 구조의 포크인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포크인 커넥터는, 판상의 플레이트가 통 형상으로 벤딩되면서 그 내부에 와이어 접속공간을 형성하고 전방에는 와이어 삽입구를 제공하며, 기판에 실장되는 마운팅 플레이트;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의 단부가 상측으로 벤딩되는 제1 지지 플레이트;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단부에서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와 마주하도록 벤딩되는 픽업 플레이트; 상기 픽업 플레이트의 단부에서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마주하도록 벤딩되면서 단부가 기판에 실장되는 제2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후방 단부에서 상기 와이어 삽입공간으로 벤딩되어 상기 와이어 접속공간으로 삽입되는 와이어를 접속시키는 접속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는 단부가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 방향으로 벤딩되는 마운팅 단자를 형성하고, 상기 마운팅 단자가 기판에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 삽입구는 상기 픽업 플레이트의 단부가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의 단부에 비하여 후방으로 후퇴되는 회피 홈을 갖는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속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후방 단부에서 벤딩되는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의 단부에서 벤딩되는 클램핑부를 포함하는 2단 벤딩 구조를 이루고, 상기 탄성부와 상기 클램핑부는 연결부를 매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포크인 커넥터는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의 후방 단부가 상측으로 벤딩되어 상기 와이어의 과삽입을 저지하는 차단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포크인 커넥터는 단일 구조의 판상 플레이트가 통 형상으로 벤딩되면서 양 단부가 기판에 실장되어 기판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소형화되는 기판이나 전기장치에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커넥터에 대한 와이어 삽입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가 기판에 실장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커넥터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도 4의 커넥터를 와이어 삽입구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커넥터에 대한 와이어 삽입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커넥터에 대한 와이어 절곡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커넥터에 대한 클램핑 해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전, 후, 상, 하, 좌, 우, 제1 및 제2 등과 같은 표현은 서로 상대적인 위치나 방향에 따른 표현으로 발명의 구성이 반드시 그 사전적인 의미에 구속되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가 기판에 실장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0)는 기판(20)에 실장된 상태에서 와이어(30)를 수용하여 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별도의 몰딩부 없이 기판(20)에 실장된다.
상기 커넥터(100)는 소정 형상으로 가공된 판상의 플레이트가 소정의 위치에서 벤딩되는 통 형상을 이루며, 일측이 개구된 와이어 삽입구(100a)를 제공한다. 상기 기판(20)은 전기장치 구동을 위한 각종 소자를 실장하고, 표면에는 각 소자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회로들이 인쇄되며, 특히, 커넥터(100)가 실장되기 위한 실장 패드(21)가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30)는 소정의 길이로 절연 피복(31) 외부로 노출되어 커넥터(100)에 삽입된다.
상기 커넥터(100)는 기판(20)의 실장 패드(21) 상에 솔더링 등의 공정으로 실장되고, 와이어(30)가 와이어 삽입구(100a)를 통하여 삽입된 후 클램핑되어, 기판(20)과 와이어(30) 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내부 구조를 보인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커넥터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커넥터를 와이어 삽입구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커넥터(100)는 전도성의 금속 플레이트가 성형 및 벤딩되며, 기판(20)에 고정되는 마운팅 플레이트(110)와,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의 양 측부에 형성되는 수직 방향의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130)와,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 상단을 연결하는 픽업 플레이트(15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커넥터(100)는 마운팅 플레이트(110),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130) 및 픽업 플레이트(150) 사이에 형성되는 와이어 접속공간(100b)으로 와이어(30)를 수용한다. 여기서, 와이어의 삽입이 시작되는 방향을 전방이라 하고, 와이어의 삽입이 끝나는 방향을 후방이라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커넥터(100)는 단일 구조의 판상의 플레이트로서, 상기 판상의 플레이트는 기판(20) 표면과 나란한 수평 방향의 마운팅 플레이트(110)와, 마운팅 플레이트(110)의 일측 단부(일 예로, 도면상 우측 단부)에서 상측 방향으로 벤딩되는 제1 지지 플레이트(130-1)와, 제1 지지 플레이트(130-1)의 상측 단부에서 마운팅 플레이트(110)와 마주하는 수평 방향으로 벤딩되는 픽업 플레이트(150)와, 픽업 플레이트(150)의 타측 단부(일 예로, 도면상 좌측 단부)에서 제1 지지 플레이트(130-1)와 마주하는 하측 방향으로 벤딩되는 제2 지지 플레이트(130-2)를 연속으로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커넥터(100)는 판상의 플레이트가 사각 통 형상으로 벤딩되어 그 내부에 와이어(30)의 접속과 클램핑이 이루어지는 와이어 접속공간(100b)을 제공하고, 와이어 접속공간(100b)의 전방에는 와이어(30)가 삽입되는 와이어 삽입구(100a)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10)는 하면이 기판(20)의 실장 패드(21)에 실장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커넥터(100)가 기판(20)에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마운팅 플레이트(110)는 솔더링으로 실장 패드(21)에 결합될 수 있으며, 판상의 플레이트 가장자리를 따라 솔더링되어 기판(20)과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10)는 후방의 단부가 상측으로 벤딩되어 와이어(30)의 과삽입을 저지하는 차단 플레이트(120)를 형성하고, 상기 차단 플레이트(120)의 상측 및 좌우측 단부에서 전면으로 벤딩되면서 돌출되어 와이어 접속공간(100b)을 차폐하는 차폐벽(121)을 형성한다. 상기 차폐벽(121)에는 도 5와 같이 와이어 접속공간(100b) 내부에서 클램핑부(142)와 와이어(30)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관통구(12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구(122)는 상측 차폐벽(121)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측 차폐벽(122)은 후술하는 해제 툴(도 9의 40)의 과삽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방으로 연장되는 스토퍼 면(123)을 형성한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130)는 마운팅 플레이트(110)의 우측 단부에서 상측의 대략 수직 방향으로 벤딩되는 제1 지지 플레이트(130-1)와, 픽업 플레이트(150)의 좌측 단부에서 하측의 대략 수직 방향으로 벤딩되는 제2 지지 플레이트(130-2)의 한 쌍의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제1 지지 플레이트(130-1)와 제2 지지 플레이트(130-2)는 서로 마주하는 대칭 구조를 이룬다. 각 지지 플레이트(130)의 후방 단부에는 내측의 와이어 접속공간(100b)으로 소정의 경사각으로 벤딩되는 접속 플레이트(140)를 형성한다. 상기 한 쌍의 접속 플레이트(140)는 마운팅 플레이트(110) 및 픽업 플레이트(150)와 분리되어 지지 플레이트(130)를 축으로 탄성을 갖게 되며, 와이어(30)의 삽입을 가이드하고, 와이어(30)와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삽입된 와이어(30)가 이탈되지 않도록 클램핑시킨다.
이러한 접속 플레이트(140)는 지지 플레이트(130)의 단부에서 1차 벤딩되는 탄성부(141)와, 탄성부(141)의 단부에서 2차 벤딩되는 클램핑부(142)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141)와 클램핑부(142) 사이에는 지지 플레이트(130)와 나란한 방향의 연결부(143)가 더 개입되어 탄성부(141)와 클램핑부(142)를 연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속 플레이트(140)는 적어도 2단 벤딩 구조를 이루며, 2단 벤딩 구조의 접속 플레이트는 단부의 클램핑부(142)에서 1단 벤딩 구조에 비하여 와이어(30)를 더욱 강한 힘으로 탄성 가압하고, 소성 변형에도 더욱 강한 내성을 나타낸다.
구 분 2 step bending 1 step bending
Push(mm) 0.3
Force(N) 6.012 3.975
Plasticity(mm) 0.011 0.078
위 [표 1]과 같이, 와이어가 삽입된다는 가정에 따라 편측으로 0.3mm 폭의 변형을 갖도록 클램핑부 단부를 푸쉬할 때, 1단 벤딩 구조에서는 3.975N의 힘으로 변형이 가능하지만, 2단 벤딩 구조에서는 6.012N의 힘이 가해져야 동일한 폭의 변형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2단 벤딩 구조의 접속 플레이트(140)에서 클램핑부(142)는 상대적으로 더 큰 가압력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푸쉬가 가해진 후 복원 상태에 따른 클램핑부의 소성 변형을 살펴보면, 1단 벤딩 구조에서는 0.078mm의 소성 변형을 나타내지만 2단 벤딩 구조에서는 0.011mm의 소성 변형을 나타내어, 2단 벤딩 구조의 접속 플레이트(140)에서 클램핑부(142)는 소성 변형에도 우수한 특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 플레이트(140)는 연결부(143) 상단이 내측으로 '∩' 형상으로 벤딩되는 클램핑 해제부(144)를 포함한다. 한 쌍의 클램핑 해제부(144)는 소정의 간격을 이루면서 내측으로 서로 대응하는 곡면 형상을 이루고, 그 사이로 해제 툴(40)이 삽입될 때 한 쌍의 접속 플레이트(140)를 서로 이격시켜 와이어(30)가 접속 플레이트(140)로부터 쉽게 발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 플레이트(130)는 접속 플레이트(140)가 연결되는 측면에 형성되는 요철부(13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요철부(131)는 지지 플레이트(130)와 접속 플레이트(140)가 연결되는 플레이트의 표면에서 오목하게 함몰되거나 볼록하게 돌출되는 형상을 이루며, 지지 플레이트(130) 단부를 축으로 하는 접속 플레이트(140)의 탄성 변형에 내성을 부가하여 접속 플레이트(140)가 더욱 큰 탄성 가압력을 갖도록 한다.
상기 픽업 플레이트(150)는 제1 지지 플레이트(130-1)의 상단부에서 내측으로 대략 수평 방향으로 벤딩된다. 픽업 플레이트(150)는 마운팅 플레이트(110)와 나란하게 마주하며, 그 상면은 커넥터(100)를 실장 툴에 흡착시키기 위한 픽업 면을 제공한다. 또한, 픽업 플레이트(150)는 해제 툴(40)의 과삽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후방측 단부로 돌출 연장되는 스토퍼 면(151)을 형성한다.
한편,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130-2)는 픽업 플레이트(150)의 좌측 단부에서 벤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130-1)와 나란하게 마주하며, 그 하측 단부는 다시 내측으로 벤딩되는 마운팅 단자(132)를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10)는 마운팅 단자(132)가 회피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10)와 상기 마운팅 단자(132)는 소정의 간격을 이루면서 동일 평면을 형성하고, 각 가장자리(110-1, 132-1)를 따라 솔더링되어 실장 패드(21)에 실장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커넥터(100)는 판상의 플레이트가 통 형상으로 벤딩되면서 양측 단부가 기판(20)에 실장되는 밀폐 구조를 이루므로, 와이어(30)가 반복적으로 접속 및 발거되더라도 소성 변형이 거의 나타나지 않고 접촉의 신뢰성과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커넥터에 대한 와이어 삽입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커넥터에 대한 와이어 절곡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100)는 하측의 마운팅 플레이트(110), 양측의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130)와 상측의 픽업 플레이트(150)가 통 형상을 이루면서 전방은 대략 사각 형상으로 개구된 와이어 삽입구(100a)를 형성한다. 이때,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 삽입구(100a)에는 픽업 플레이트(150)의 단부(B)가 마운팅 플레이트(110)의 단부(B)에 비하여 후방으로 후퇴되는 회피 홈(100c)이 형성된다. 회피 홈(100c)은 마운팅 플레이트(110)의 단부(A)와 픽업 플레이트(150)의 단부(B)를 연결하는 지지 플레이트(130)의 단부에 경사를 부여하거나 하측의 제1 수직단부(133)에 비하여 상측의 제2 수직단부(134)를 후방에 위치시키고, 픽업 플레이트(150)의 단부(B)를 지지 플레이트(130)의 상측 단부에 일치시키는 구성에 의해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피 홈(100c)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30)가 경사 방향에서 삽입될 때 와이어 피복(31)이 커넥터(100)의 상단부(즉, 픽업 플레이트의 단부)와 충돌되거나 간섭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회피 홈(100c)은 수평 방향에 대하여 와이어(30)가 삽입되는 경사각(θ2)을 증가시켜 와이어(30)의 접속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30)는 커넥터(100)에 접속된 상태에서 대부분 상측으로 90°정도 꺾인 상태로 전기장치에 조립된다. 이때, 와이어 피복(31)이 픽업 플레이트(150)의 단부(B)와 충돌 및 간섭될 수 있으며, 이러한 충돌이나 간섭에 의하여 픽업 플레이트(150) 단부는 상측으로 외력을 받게 되고, 상측 방향의 외력은 하면의 마운팅 플레이트(110)와 마운팅 단자(132)에 전달되어 기판(20)과의 솔더링을 손상시키거나 커넥터(100)와 기판(20)의 결합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피 홈(100c)은 와이어(30)가 상측으로 꺾일 때 와이어 피복(31)과 픽업 플레이트(150) 단부의 충돌 및 간섭을 최소로 하여 커넥터(100)의 접촉 신뢰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구 분 실시예 비교예
Push(mm) 0.5
Force(N) 97.27 87.08
Plasticity(mm) 0.2193 0.3148
위 [표 2]와 같이, 접속된 와이어가 상측으로 90°꺾이는 가정에 따라 와이어 삽입구의 픽업 플레이트 단부를 상측으로 0.5mm 높이의 변형이 이루어지도록 푸쉬할 때, 회피 홈이 형성되지 않은 박스 구조의 픽업 플레이트(비교예)에서는 87.08N으로 변형이 가능하지만, 회피 홈이 형성된 단차 구조의 픽업 플레이트(실시예)에서는 97.27N의 힘이 가해져야 동일한 높이의 변형이 이루어진다. 또한, 변형이 가해진 후 복원 상태에 따른 소성 변형을 살펴보면, 비교예에서는 0.3148의 소성 변형을 나타내지만, 실시예에서는 0.2193의 소성 변형을 나타낸다.
이러한 사실에 따라 와이어 삽입구 상측으로 동일한 외력이 가해질 때 회피 홈이 형성된 커넥터의 상단부가 회피 홈이 형성되지 않은 커넥터의 상단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변형이 발생될 것이고, 결국 회피 홈이 형성된 커넥터에 상대적으로 작은 외력이 전달되는 것이므로 커넥터의 접촉 신뢰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커넥터에 대한 클램핑 해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접속된 와이어(30)는 와이어 접속공간(100b) 내에서 클램핑부(142)의 날카로운 단부에 클램핑되어 쉽게 발거되지 않는다. 이는 한 쌍의 클램핑부(142)가 강한 탄성으로 와이어(30)의 양면을 가압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와이어(30)를 발거하기 위해서는 한 쌍의 클램핑부(142)를 서로 이격시켜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클램핑부(142)를 서로 이격시킬 수 있도록 연결부(143) 상단에 곡면 형상으로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클램핑 해제부(144)가 형성된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클램핑 해제부(144) 사이로 해제 툴(40)을 삽입시키면 클램핑 해제부(144)와 함께 한 쌍의 클램핑부(142) 단부도 서로 이격되어 와이어(30)가 쉽게 발거될 수 있다.
또한, 해제 툴(40)이 클램핑 해제부(144) 사이로 과삽입되면 해제 툴(40)의 단부가 와이어(30)를 가압하게 되어 오히려 와이어(30)의 발거가 어려워지거나 와이어(30)가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픽업 플레이트(150)와 차폐벽(121)의 단부에는 해제 툴(40)의 과삽입을 방지하여 와이어(30)를 보호하는 스토퍼 면(151,123)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100)에서 상기 클램핑 해제부(144)는 해제 툴(40)의 외형에 대응하도록 단면이 서로 대응하는 한 쌍의 반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30)의 클램핑을 해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별도의 툴을 사용하지 않고 커넥터(100)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픽업 플레이트(150)는 후방 단부에서 연장되는 누름부(152)를 형성하고, 누름부(152)의 단부 하측으로는 쐐기 형상의 삽입돌기(154)가 마련된다. 또한, 누름부(152)는 굴곡 형상을 이루는 탄성편(153)에 의하여 픽업 플레이트(150)와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커넥터(100)는 와이어(152)가 접속된 상태에서 누름부(152)를 누를 때, 삽입돌기(154)가 한 쌍의 클램핑부(142) 사이에 삽입되면서 클램핑부(142)를 이격시키므로 와이어(30)의 클램핑이 해제되어 쉽게 발거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커넥터(100)에 형성되는 누름부(152)는 차단 플레이트(120)의 상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구성도 가능하고, 삽입돌기(154)도 누름부(152)의 양 측부에 형성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 커넥터
110 : 마운팅 플레이트 120 : 차단 플레이트
130 : 지지 플레이트 130-1 : 제1 지지 플레이트
130-2 : 제2 지지 플레이트 132 : 마운팅 단자
140 : 접속 플레이트 141 : 탄성부
142 : 클램핑부 143 : 연결부
144 : 클램핑 해제부 150 : 픽업 플레이트

Claims (6)

  1. 판상의 플레이트가 통 형상으로 벤딩되어 그 내부에 와이어 접속공간을 형성하고, 전방에는 와이어 삽입구를 제공하면서 기판에 실장되며,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마운팅 플레이트;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의 단부가 상측으로 벤딩되는 제1 지지 플레이트;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단부에서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와 마주하도록 벤딩되고, 단부가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의 단부에 비하여 후방으로 후퇴되는 회피 홈을 갖는 픽업 플레이트;
    상기 픽업 플레이트의 단부에서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마주하도록 벤딩되면서 단부가 기판에 실장되는 제2 지지 플레이트;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후방 단부에서 상기 와이어 접속공간으로 벤딩되어 상기 와이어 접속공간으로 삽입되는 와이어를 접속시키는 접속 플레이트; 및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의 후방 단부가 상측으로 벤딩되어 상기 와이어의 과삽입을 저지하는 차단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차단 플레이트의 상측 단부는 전면으로 벤딩되면서 상기 와이어 접속공간을 차폐하는 차폐벽을 형성하고, 상기 차폐벽은 와이어의 접속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와이어 접속위치에 관통구를 형성하는 포크인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는,
    단부가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 방향으로 벤딩되는 마운팅 단자를 형성하고, 상기 마운팅 단자가 기판에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인 커넥터.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후방 단부에서 벤딩되는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의 단부에서 벤딩되는 클램핑부를 포함하는 2단 벤딩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인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와 상기 클램핑부는 연결부를 매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인 커넥터.
  6. 삭제
KR1020170088523A 2017-07-12 2017-07-12 포크인 커넥터 Active KR102011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523A KR102011845B1 (ko) 2017-07-12 2017-07-12 포크인 커넥터
EP18182307.1A EP3429031A1 (en) 2017-07-12 2018-07-06 Poke-in connector
US16/032,299 US20190020143A1 (en) 2017-07-12 2018-07-11 Poke-in connector
CN201810766484.9A CN109256628A (zh) 2017-07-12 2018-07-12 插入式连接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523A KR102011845B1 (ko) 2017-07-12 2017-07-12 포크인 커넥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3543A Division KR102133399B1 (ko) 2019-07-31 2019-07-31 포크인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7282A KR20190007282A (ko) 2019-01-22
KR102011845B1 true KR102011845B1 (ko) 2019-08-19

Family

ID=62874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8523A Active KR102011845B1 (ko) 2017-07-12 2017-07-12 포크인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90020143A1 (ko)
EP (1) EP3429031A1 (ko)
KR (1) KR102011845B1 (ko)
CN (1) CN10925662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02759B (zh) * 2019-11-25 2020-08-21 陳石火 線對板連接器
DE102020101857B3 (de) * 2020-01-27 2021-03-04 Bjb Gmbh & Co. Kg Elektrische Anschlussklemme
TWI843452B (zh) * 2023-02-23 2024-05-21 瀚荃股份有限公司 改良式夾線端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0960B1 (ko) * 2013-03-29 2014-05-02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포크인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53330B1 (de) * 1988-08-05 1993-08-04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Buchsenkontakt
JP3119418B2 (ja) * 1994-04-20 2000-12-18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用端子
US5681190A (en) * 1995-05-23 1997-10-28 Cardell Corporation Torsional blade receptacle
DE69622369T2 (de) * 1996-03-11 2003-03-27 Molex Inc., Lisle Elektrische Aufnahmebuchse für Stift mit hoher Kontaktkraft
JP4013151B2 (ja) * 2004-04-13 2007-11-28 住友電装株式会社 雌端子金具
JP4514645B2 (ja) * 2004-07-12 2010-07-28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雌型端子
CN201041875Y (zh) * 2007-05-07 2008-03-2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5906537B2 (ja) * 2010-09-06 2016-04-20 矢崎総業株式会社 導電路構造及びワイヤハーネス
DE202011005034U1 (de) * 2011-04-08 2014-04-28 Ptr Messtechnik Gmbh & Co. Kg Leiterklemme für zwei gegenüberliegende Leiterplatten
US8721376B1 (en) 2012-11-01 2014-05-13 Avx Corporation Single element wire to board connector
CN104981948B (zh) * 2013-02-12 2017-04-12 矢崎总业株式会社 连接器
US8968022B2 (en) * 2013-02-25 2015-03-0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poke-in wire contact
KR101978927B1 (ko) * 2013-04-11 2019-05-15 몰렉스 엘엘씨 포크인 커넥터
JP5604575B1 (ja) * 2013-09-25 2014-10-08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線状導体接続用端子
CN105934855B (zh) * 2013-12-03 2020-01-17 富加宜(亚洲)私人有限公司 连接器和用于这种连接器的插针接收接触件
WO2015115093A1 (ja) * 2014-01-31 2015-08-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装置
USD781239S1 (en) * 2014-03-25 2017-03-14 Molex, Llc Terminal fitting for electric connector
US9306297B2 (en) * 2014-04-29 2016-04-05 Avx Corporation Interlocking poke home contact
TWI511394B (zh) * 2014-06-10 2015-12-01 Tarn Yu Entpr Co Ltd Activation of electrical connectors
US9647368B2 (en) * 2014-09-22 2017-05-09 Ideal Industries, Inc. Terminals for electrical connectors
TWI568114B (zh) * 2014-10-03 2017-01-21 Excel Cell Electronic Co Ltd Terminal block
KR20160135882A (ko) * 2015-05-18 2016-11-29 (주)씨엘 전선 접속용 전기 커넥터
CN204966753U (zh) * 2015-07-31 2016-01-13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连接器和连接器组件
TWM517439U (zh) * 2015-10-16 2016-02-11 唐虞企業股份有限公司 單一元件線對板連接端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0960B1 (ko) * 2013-03-29 2014-05-02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포크인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20143A1 (en) 2019-01-17
CN109256628A (zh) 2019-01-22
KR20190007282A (ko) 2019-01-22
EP3429031A1 (en) 2019-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93452B (zh) 软扁平电缆电连接器
CN100486047C (zh) 接触件和电连接器
US7223125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retaining shell
US20190229445A1 (en) Conductive Terminal And Connector Assembly
CN100553043C (zh) 带有配合保护的插塞接头
KR102011845B1 (ko) 포크인 커넥터
KR970702596A (ko) 낮은 프로파일 전기 커넥터(Low Profile Electrical Connector)
US7377821B2 (en) Electrical connector
US6843662B2 (en) Electric connector housing supporting a plurality of solder balls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protruding blocks respectively supporting the plurality of solder balls
US20120270422A1 (en) Vertical connector and assembly having the same
KR102010328B1 (ko) 포크인 커넥터
KR100567587B1 (ko) 접지 연결용 홀드다운을 갖춘 전기 커넥터
US8481854B2 (en) Electronic component device and connector assembly having same
US7867007B2 (en) PGA contact with inclined flexible arm
KR102133399B1 (ko) 포크인 커넥터
US20160120024A1 (en) Linear Conductor Connection Terminal
CN108879162B (zh) 电连接器
CN209298392U (zh) 柔性软板电连接器组件
JP4097513B2 (ja) コネクタ
KR102302284B1 (ko) 전기접속장치
TWI858074B (zh) 電連接器及其製造方法
US6478598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contacts
US9210824B2 (en) Support device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ed thereof
KR102723264B1 (ko) 플러그 커넥터
CN114256667B (zh) 电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12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12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7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0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3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10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3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120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2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904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3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120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731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8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8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