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08779B1 -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8779B1
KR102008779B1 KR1020120117267A KR20120117267A KR102008779B1 KR 102008779 B1 KR102008779 B1 KR 102008779B1 KR 1020120117267 A KR1020120117267 A KR 1020120117267A KR 20120117267 A KR20120117267 A KR 20120117267A KR 102008779 B1 KR102008779 B1 KR 102008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electrode
liquid crystal
driving
crystal pan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7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2175A (ko
Inventor
김성철
이정한
이정섭
표승은
이양식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7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8779B1/ko
Priority to US13/866,554 priority patent/US9405411B2/en
Priority to CN201310146778.9A priority patent/CN103777801B/zh
Publication of KR20140052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2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8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877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06F3/04184Synchronisation with the driving of the display or the backlighting unit to avoid interferences generated intern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65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using multistable liquid crystals, e.g. ferroelectric liquid crys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8Touch 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655Details of drivers for counter electrodes, e.g. common electrodes for pixel capacitors or supplementary storage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터치 구동에 따른 표시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이 일체화된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Display Device With Integrated Touch Screen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이 일체화된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입력 장치로서 종래에 적용되었던 마우스나 키보드 등의 입력 장치를 대체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펜을 이용하여 스크린에 직접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누구나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최근에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터치 스크린을 적용에 있어서, 슬림(slim)화를 위해 액정 패널 내부에 터치 스크린이 내장된 형태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터치 스크린 패널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서는 터치 스크린의 드라이빙 전극(10) 및 센싱 전극(20)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부기판(TFT 어레이 기판)에 형성된 공통 전극을 디스플레이를 위한 용도뿐만 아니라, 터치 전극으로 이용한다. 이때, 복수의 픽셀 단위로 공통 전극을 분할하여 복수의 터치 블록(touch block)을 형성한다.
복수의 터치 블록을 X축 방향으로 연결하여 복수의 터치 드라이빙 전극(10, TX)을 형성하고, 터치 센싱 전극(20, RX)은 스타라이프 형태로 Y축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복수의 터치 드라이빙 전극(10, TX)에는 터치 드라이빙 신호가 인가되고, 터치 센싱 전극(20, RX)을 이용하여 정전용량의 변화를 센싱 한다.
여기서, 터치 드라이빙 전극(10)은 게이트 라인의 방향과 동일하게 X축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터치 센싱 전극(20)은 데이터 라인 방향과 동일하게 Y축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공통 전극을 분할하여 터치 드라이빙 전극(10) 및 터치 센싱 전극(20)을 구성한다. 따라서, 터치 드라이빙 전극(10) 및 터치 센싱 전극(20)이 동일 레이어에 위치한다.
터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터치 드라이빙 전극(10)과 터치 센싱 전극(20)이 분리되어야 함으로, 컨택(30)과 브리지 라인(40)을 이용하여 터치 드라이빙 전극(10)을 X축 방향으로 연결한다.
터치 드라이빙 전극(10)을 X축 방향으로 연결하는 브리지 라인(40)을 액정 패널의 표시 영역 즉, 액티브 영역(active area)에 형성해야 하므로, 제조에 소요되는 마스크(Mask) 및 제조공정이 증가되어 생산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마스크와 제조공정의 증가는 제조비용을 높이게 되어 제품의 가격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터치 드라이빙 전극(10)과 터치 센싱 전극(20)의 로드(저항 및 커패시턴스)에 차이가 발생하는데, 이로 인해 블록 딤(block dim)이 발생되어 표시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터치 스크린의 터치 드라이빙 전극과 터치 센싱 전극을 서로 다른 레이어에 형성하여 제조에 소요되는 마스크 줄이고,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화상의 디스플레이 품질의 저하 없이 터치 센싱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블록 딤(block dim)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과 복수의 데이터 라인이 교차하도록 형성된 액정 패널의 하부기판;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하부기판과 합착된 액정 패널의 상부기판; 상기 하부기판에 형성된 픽셀 전극; 상기 하부기판 또는 상부기판에 형성된 공통 전극; 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에 스캔 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 드라이버; 상기 복수의 데이터 라인에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는 데이터 드라이버; 상기 게이트 라인, 상기 데이터 라인 또는 상기 공통 전극에 터치 드라이빙 신호를 공급하는 터치 IC; 표시 기간에는 화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 신호가 상기 액정 패널에 공급되도록 하고, 비 표시 기간에는 상기 터치 드라이빙 신호가 상기 액정 패널에 공급되도록 신호의 입출력을 스위칭하는 스위칭 유닛; 및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 및 상기 터치 IC의 구동을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터치 스크린이 액정 패널에 내장되어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및 터치 구동을 위한 구동회로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표시 기간에는 화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 신호들을 상기 액정 패널의 게이트 라인, 데이터 라인, 픽셀 전극 및 공통 전극에 공급하고, 비 표시 기간에는 상기 게이트 라인 또는 상기 데이터 라인에 터치 드라이빙 신호를 공급하여 상기 게이트 라인 또는 상기 데이터 라인을 터치 드라이빙 전극으로 구동시켜 터치를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 스크린의 터치 드라이빙 전극과 터치 센싱 전극을 서로 다른 레이어에 형성하여 제조에 소요되는 마스크 줄이고,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은 표시 품질의 저하 없이 터치 센싱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은 블록 딤(block dim)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은 터치 센싱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데이터 드라이브 IC와 터치 IC를 하나의 데이터 드라이버로 통합하여 제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새롭게 파악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터치 스크린 패널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액정 패널에 형성된 픽셀들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액정 패널에서 터치 스크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터치 드라이브 전극과 터치 센싱 전극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드라이브 IC와 터치 IC가 통합된 데이터 드라이버를 나타내는 것으로, 데이터 드라이버에 스위칭부가 내장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터치 센싱 전극의 적용 가능한 여러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데이터 드라이브 IC와 터치 IC가 통합된 데이터 드라이버 및 액정 패널에 스위칭부가 내장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게이트 라인을 터치 드라이빙 전극으로 이용하고, 터치 센싱 전극을 온-셀 또는 애드-온 방식으로 형성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데이터 라인을 터치 드라이빙 전극으로 이용하고, 게이트 라인을 터치 센싱 전극으로 이용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게이트 라인을 터치 드라이빙 전극으로 이용하고, 데이터 라인을 터치 센싱 전극으로 이용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어떤 구조물(전극, 라인, 배선, 레이어, 컨택)이 다른 구조물 '상부에 또는 상에' 및 '하부에 또는 아래에' 형성된다고 기재된 경우, 이러한 기재는 이 구조물들이 서로 접촉되어 있는 경우는 물론이고 이들 구조물들 사이에 제3의 구조물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 한다.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층의 배열을 조절하는 방식에 따라 TN(Twisted Nematic) 모드, VA(Vertical Alignment) 모드, IPS(In Plane Switching) 모드,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 등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다.
그 중에서, TN 모드와 VA 모드는 하부기판에 픽셀 전극을 형성하고 상부기판(컬러필터 어레이 기판)에 공통 전극을 형성하여 수직 전계를 통해 액정층의 배열을 조절하는 방식이다.
한편, IPS 모드와 상기 FFS 모드는 하부기판 상에 픽셀 전극과 공통 전극을 배치하여 상기 픽셀 전극과 공통 전극 사이의 전계에 의해 액정층의 배열을 조절하는 방식이다.
IPS 모드는 상기 픽셀 전극과 공통 전극을 평행하게 교대로 배열함으로써 양 전극 사이에서 횡전계를 일으켜 액정층의 배열을 조절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IPS 모드는 상기 픽셀 전극과 상기 공통 전극 상측 부분에서 액정층의 배열이 조절되지 않아 그 영역에서 광의 투과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IPS 모드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 FFS 모드이다. FFS 모드는 상기 픽셀 전극과 상기 공통 전극을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도록 형성시킨다.
이때, 하나의 전극은 판(plate) 형상 또는 패턴으로 구성하고 다른 하나의 전극은 핑거(finger) 형상으로 구성하여 양 전극 사이에서 발생되는 프린지 필드(Fringe Field)를 통해 액정층의 배열을 조절하는 방식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드(mode)의 제한 없이 수직 전계 방식(TN 모드, VA 모드) 및 수평 전계 방식(IPS 모드, FFS 모드)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액정 패널에 형성된 픽셀들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액정 패널에서 터치 스크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서는 전체 픽셀 중 일부 픽셀의 평면도를 도시하였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액정 패널에 내장된 터치 스크린의 구조를 도시하였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 스크린이 내장된 액정 패널(100), 백라이트 유닛 및 구동회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 내지 도5 에서 백라이트 유닛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도 3에서는 데이터 드라이버(200) 내부에 데이터 드라이빙 유닛(210)과 터치 드라이빙 유닛(220)이 결합(merge)되어 형성된 것을 하나의 예로서 도시하고 있다.
액정 패널(100)은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며, 표시 영역에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픽셀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 있다.
액정 패널(100)은 상부기판(컬러필터 어레이 기판), 하부기판(TFT 어레이 기핀) 및 두 기판 사이에 개재되는 액정층(liquid crystal layer)을 포함한다.
상부기판에는 풀 컬러(full color)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레드(red), 그린(green), 블루(blue) 컬러필터들(미도시)이 형성되어 있고, 컬러필터들 사이에는 픽셀들을 구분시키기 위한 블랙 매트릭스(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기판에는 복수의 픽셀이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픽셀 각각은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110)과 복수의 게이트 라인(120)에 의해 정의된다. 데이터 라인(110)은 Y축 방향으로 형성되고, 게이트 라인(120)은 X축 방향으로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데이터 라인(110)과 게이트 라인(120)은 비저항(Resistivity)이 낮은 은(Ag), 알루미늄(Al), 구리(Cu), 몰리브덴(Mo) 또는 크롬(Cr)을 재료 한 단일층으로 형성되거나, 합금(Alloy)으로 이루어진 단일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라인(110)과 게이트 라인(120)은 비저항이 낮은 은(Ag), 알루미늄(Al), 구리(Cu), 몰리브덴(Mo) 및 크롬(Cr)들 중에서 2개 이상의 물질의 합금을 재료로 한 단일막 또는 다층막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하나의 픽셀은 3색의 서브픽셀 즉, 레드, 그린 및 블루 서브픽셀로 구성된다. 데이터 라인(110)들과 게이트 라인(120)들이 교차되는 영역 마다 TFT(thin film transistor)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가 형성된다.
서브 픽셀에는 픽셀 전극(140)이 형성되어 있고, 전체 픽셀 또는 일정 개수의 픽셀 단위로 공통 전극(130)이 형성되어 있다. 액정 패널(100)이 IPS 또는 FFS 모드로 구동되는 경우에 픽셀 전극(140)과 공통 전극(130)은 하부기판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액정 패널(100)이 TN 또는 VA 모드로 구동되는 경우에 픽셀 전극(140)은 하부기판에 형성되고, 공통 전극(130)은 상부기판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액정 패널(100)은 자체적으로 빛을 생성시키지 못하므로 백라이트 유닛(미도시)에서 공급되는 빛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한다. 백라이트 유닛은 빛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백라이트(예로서, LED 또는 CCFL)와, 백라이트에서 발생된 빛을 상기 액정 패널 방향으로 안내함과 아울러, 빛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광학 부재(도광판 또는 확산판 및 복수의 광학 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동 회로부는 게이트 드라이버(미도시), 데이터 드라이버(200) 및 타이밍 컨트롤러(300, T-con)를 포함한다. 구동 회로부의 전체 또는 일부는 COG(Chip On Glass) 또는 COF(Chip On Flexible Printed Circuit, Chip On Film) 방식으로 액정 패널(100)에 형성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30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메인 컨트롤러(main controller)로써, 게이트 드라이버, 데이터 드라이버(200)의 구동을 제어한다.
타이밍 컨트롤러(300)는 수직 동기신호(Vsync), 수평 동기신호(Hsync) 및 클럭신호(CLK)를 이용하여 게이트 드라이버 및 데이터 드라이버(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공급한다.
타이밍 컨트롤러(300)는 입력된 수직 동기신호(V-sync), 수평 동기신호(H-sync) 및 클럭신호(CLK)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data)를 프레임 단위의 디지털 영상 데이터(R, G, B)로 변환하고,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드라이버(200)의 데이터 드라이빙 유닛(210)에 공급한다.
구동 회로부 중에서, 게이트 드라이버는 액정 패널(100)의 하부기판에 GIP(gate in pane)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게이트 드라이버는 인쇄회로기판(PCB)에 별도의 드라이버 IC로 실장된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게이트 드라이버는 타이밍 컨트롤러(300)로부터의 제어신호 및 구동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픽셀 각각에 형성된 TFT를 구동시키기 위한 스캔 신호(scan signal, 게이트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게이트 드라이버는 스캔 신호를 한 프레임 기간 중 액정 패널에 형성된 복수의 게이트 라인(120)에 순차적으로 공급하고, 상기 스캔 신호에 의해 각 픽셀에 형성된 TFT가 구동되어 픽셀의 스위칭이 이루어진다.
데이터 드라이버(200)는 액정 패널(100)에 형성된 픽셀들에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 드라이빙 유닛(210)과, 터치를 검출하기 위한 터치 드라이빙 유닛(220)을 포함한다. 이때, 데이터 드라이빙 유닛(210)은 데이터 드라이브 IC가 적용되고, 터치 드라이빙 유닛(220)은 터치 IC가 적용 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드라이버(200)는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230), 통신을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유닛(240), 데이터 전압을 높이는 DC-DC 컨버터(250), 영상 데이터 및 터치 드라이빙 신호를 액정 패널의 픽셀들로 출력하는 출력부(260, output) 및 영상 데이터와 터치 드라이브 신호의 출력을 스위칭하는 스위칭 유닛(270)을 포함한다.
데이터 드라이빙 유닛(210)은 타이밍 컨트롤러(300)로부터 공급되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R, G, B)를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타이밍 컨트롤러(300)로부터의 데이터 제어신호(DCS)에 기초하여 각 픽셀의 TFT가 턴-온되는 시점에 맞춰 데이터 전압을 액정 패널에 형성된 복수의 데이터 라인(110)에 공급한다.
터치 드라이빙 유닛(220)은 터치 검출을 위한 터치 드라이빙 신호(touch driving signal)를 액정 패널에 형성된 복수의 터치 드라이빙 전극(TX)에 공급한다. 또한, 복수의 터치 센싱 전극(RX)을 통해 정전용량의 변화를 센싱하여 터치 위치를 검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 패널(100)에 형성된 기존의 구성을 이용하여 터치 드라이빙 전극(TX)과 터치 센싱 전극(RX)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구성할 수 있다.
액정 패널(100)에 형성된 데이터 라인(110), 게이트 라인(120) 또는 공통 전극(130)을 터치 드라이빙 전극(TX)으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액정 패널(100)에 형성된 데이터 라인(110), 게이트 라인(120) 또는 공통 전극(130)을 터치 센싱 전극(RX)으로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 예로서 도 5를 참조하면, 액정 패널(100)의 하부기판에 형성된 데이터 라인(110)을 서브 픽셀에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터치 센싱을 위한 터치 드라이빙 신호가 인가되는 터치 드라이빙 전극(TX)으로 이용한다.
여기서, 전체 데이터 라인(110)을 일정 개수 단위로 그룹핑하여 하나의 터치 드라이빙 전극(TX)을 구성할 수 있다. 예로서, 10개의 데이터 라인을 묶어서 하나의 터치 드라이빙 전극을 구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전체 데이터 라인의 개수의 1/10에 해당하는 터치 드라이빙 전극을 구성할 수 있다.
액정 패널(100)의 하부기판에 형성된 데이터 라인(110)을 터치 드라이빙 전극(TX)으로 이용함과 아울러, 데이터 라인(110)을 제외한 다른 구성을 터치의 센싱을 위한 터치 센싱 전극(RX)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하부기판 또는 상부기판에 형성된 공통 전극(130)을 화상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전극의 기능뿐만 아니라, 터치의 센싱을 위한 터치 센싱 전극(RX)으로 이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터치 드라이브 전극과 터치 센싱 전극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결부하면, 공통 전극(130)을 데이터 라인(110)과 직교하는 방향, 즉, 터치 드라이빙 전극(TX)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공통 전극(130, 터치 센싱 전극)을 스트라이프 형태 즉, 복수의 바(bar)로 형성하여 터치 드라이빙 전극(TX)과 터치 센싱 전극(RX)을 상호 직교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 라인(110)이 하부기판에 형성하고, 공통 전극(130)을 상부기판에 형성하면 터치 드라이빙 전극(TX)과 터치 센싱 전극(RX)을 서로 다른 레이어에서 상호 직교시킬 수 있다.
한편, 데이터 라인(110)과 공통 전극(130)을 모두 하부기판에 형성하는 경우, 터치 드라이빙 전극(TX)과 터치 센싱 전극(RX)을 서로 다른 레이어에 형성시킬 수도 있고, 동일 레이어에 형성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터치 센싱 전극(RX)들 간의 간섭을 줄이기 위해서, 일정 간격을 두고 터치 센싱 전극(RX)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싱 전극(RX)들 사이에 더미 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드라이브 IC와 터치 IC가 통합된 데이터 드라이버를 나타내는 것으로, 데이터 드라이버에 스위칭부가 내장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라인(110)을 일정 개수 단위로 그룹핑하여 하나의 터치 드라이빙 전극(TX)을 구성하였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구동 시에는 데이터 라인(110)에 데이터 전압이 공급되어야 하고, 디스플레이 비 구동 시에는 터치 드라이빙 전극(TX)에 터치 드라이빙 신호가 공급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터치 드라이빙 전극(TX) 단위로 스위치(272)가 배치되어 데이터 라인(110)의 출력을 스위칭 한다. 즉, 스위칭 유닛(270)에는 터치 드라이빙 전극(TX)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복수의 스위치(272)가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스위칭 유닛(270)에 구성된 복수의 스위치(272)는 데이터 드라이버(200)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스위칭 유닛(270)에 구성된 복수의 스위치(272)를 이용하여, 시간 분할 방식으로 데이터 라인(110)을 두가지 용도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1) 디스플레이 구동 시에는 데이터 라인(110)에 데이터 전압이 공급되도록 하고, 2) 디스플레이 비 구동 시에는 터치 드라이빙 전극(TX), 즉, 데이터 라인(110)에 터치 드라이빙 신호가 공급되도록 한다.
여기서, 스위칭 유닛(270)에 구성된 복수의 스위치(272)의 제어는 터치 드라이빙 유닛(220)이 수행할 수도 있고, 타이밍 컨트롤러(300)가 복수의 스위치(272)를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같이, 데이터 드라이브 IC와 터치 IC가 통합된 데이터 드라이버(200)를 적용하면 메모리(230) 및 DC-DC 컨버터(250)를 공용으로 이용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1 프레임 기간 중 표시 기간에는 스위칭 유닛(270)에 구성된 복수의 스위칭 블록(272)이 출력부(260)로부터의 데이터 전압을 데이터 라인(110)에 공급하도록 스위칭 된다. 또한, 공통 전극(130)에는 공통 전압을 공급한다. 이를 통해, 픽셀에 인가된 데이터 전압 및 공통 전압(Vcom)에 따라 액정층을 투과하는 광의 투과율을 조절하여 영상 신호에 따른 화상을 표시한다.
한편, 비 표시 기간에는 스위칭 유닛(270)에 구성된 복수의 스위칭 블록(272)이 터치 드라이빙 유닛(220)으로부터의 터치 드라이빙 신호를 터치 드라이빙 전극(TX)에 공급하도록 스위칭 된다. 여기서, 스위칭 유닛(270)은 데이터 드라이버(200) 내에 내장되어 있고, 일정 개수의 데이터 라인(110)들이 그룹핑되어 하나의 터치 드라이빙 전극(TX)을 구성하고 있다. 이때, 공통 전극(130)에는 공통 전압 또는 기저전압(GND)을 공급한다. 이를 통해, 데이터 라인(110)을 터치 드라이빙 전극(TX)으로 이용하여 전체 화면에 균일하게 터치 드라이빙 신호를 공급한다.
한편,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수평주기(1Hsync) 단위 또는 복수의 수평주기 단위로 터치 드라이빙 전극(TX)에 터치 드라이빙 신호를 공급할 수도 있다. 즉, 1수평주기를 표시 기간과 터치 센싱 기간으로 분할하여, 표시 기간에는 데이터 라인(110)에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고, 터치 센싱 기간에는 터치 드라이빙 전극(TX)으로 구동하는 데이터 라인(110)에 터치 드라이빙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드라이빙 전극(TX)으로 구동하는 데이터 라인(110)에 터치 드라이빙 신호가 공급되면,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터치 센싱 전극(RX)에 형성되는 정전용량이 변화하게 된다.
터치 드라이빙 유닛(220)은 액정 패널(100)에 내장 또는 외부에 형성된 터치 센싱 전극(RX)을 통해 인가되는 터치 센싱 신호 즉, 터치 전극에 형성된 정전용량을 기준 값과 비교하여 사용자의 터치 유무를 센싱 한다. 또한, 정전용량의 변화가 기준 값 이상으로 변화된 터치 드라이빙 라인(TX), 및 터치 센싱 라인(RX)을 검출하여 사용자의 터치가 발생된 위치를 센싱 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전 프레임과 다음 프레임을 구분하는 기준 신호(블랜크 신호) 기간에 사용자의 터치 유무 및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사용자의 터치 위치 검출의 시작과 종료는 수직 동기 신호(V-Sync)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터치 유무 및 터치 위치의 검출은 이전 프레임과 다음 프레임의 경계를 구분하는 수직 블랜크(V-blank) 기간에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하부기판 또는 상부기판에 형성된 공통 전극을 터치 센싱 전극(RX)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들 중에서 하나의 실시 예를 설명한 것이다.
도 10은 터치 센싱 전극의 적용 가능한 여러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 센싱 전극(RX)을 애드-온(add-on) 방식으로 액정 패널(100) 상부에 배치할 수 있다. 이때, 글래스 기판, 플라스틱 기판 또는 필름에 터치 센싱 전극(RX)을 형성한 후, 액정 패널 상부에 배치시킬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 센싱 전극(RX)을 상부기판(upper substrate)의 상면에 형성할 수 있다. 즉, 컬러 필터(CF) 위쪽에 터치 센싱 전극(RX)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0(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 센싱 전극(RX)을 상부기판의 하면에 형성할 수 있다. 즉, 컬러 필터(CF) 아래에 터치 센싱 전극(RX)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0(A)~(C)의 실시 예에서, 화면에 표시되는 면에 터치 센싱 전극(RX)이 위치함으로, 산화 인듐 주석(ITO: Indium Tin Oxide) 또는 산화 인듐 아연(IZO: Indium Zinc Oxide)과 같은 투명 전도성 물질로 터치 센싱 전극(RX)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FPC(Flexible Printed Circuit)를 이용하여 터치 드라이빙 유닛(220)을 포함하는 데이터 드라이버(220)와 터치 센싱 전극(RX)을 연결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터치 드라이빙 유닛(220)을 포함하는 데이터 드라이버(200)는 액정 패널(100)의 하부기판의 패드와 연결하고, 터치 센싱 전극(RX)은 하부기판의 패드(pad)와 연결하여 터치 드라이빙 유닛(220)과 터치 센싱 전극(RX)을 연결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데이터 드라이브 IC와 터치 IC가 통합된 데이터 드라이버 및 액정 패널에 스위칭부가 내장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데이터 라인(110)을 일정 개수 단위로 그룹핑하여 하나의 터치 드라이빙 전극(TX)을 구성하고, 하나의 터치 드라이빙 전극(TX) 단위로 스위치(272)가 배치되어 데이터 라인(110)의 출력을 스위칭 한다.
여기서, 데이터 라인(110)의 출력을 스위칭하는 복수의 스위치(272)가 구성된 스위칭 유닛(270)은 액정 패널(100)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GIP 방식으로 게이트 드라이버를 액정 패널(100)의 하부기판에 형성한 것과 유사하게, 스위칭 유닛(270)의 복수의 스위치를 액정 패널(100)의 하부기판에 형성할 수 있다.
스위칭 유닛(270)이 액정 패널(100) 내부에 형성되더라도, 시간 분할 방식으로 데이터 라인(110)을 두가지 용도로 이용할 수 있다. 1) 디스플레이 구동 시에는 데이터 라인(110)에 데이터 전압이 공급되도록 하고, 2) 디스플레이 비 구동 시에는 터치 드라이빙 전극(TX), 즉, 데이터 라인(110)에 터치 드라이빙 신호가 공급되도록 한다.
여기서, 스위칭 유닛(270)에 구성된 복수의 스위치(272)의 제어는 터치 드라이빙 유닛(220)이 수행할 수도 있고, 타이밍 컨트롤러(300)가 복수의 스위치(272)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2 및 도 13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데이터 드라이버(200)와 터치 IC(400)를 분리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라인(110)을 터치 드라이빙 전극(TX)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스위칭 유닛(270)은 도 3 및 도 7과 동일하게 데이터 드라이버(200) 내부에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센싱 전극(RX)은 도 5, 도 6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구동 및 터치 센싱 구동 또한 상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3은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데이터 드라이버(200)와 터치 IC(400)를 분리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라인(110)을 터치 드라이빙 전극(TX)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스위칭 유닛(270)은 도 11과 동일하게 액정 패널(100) 내부에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센싱 전극(RX)은 도 5, 도 6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구동 및 터치 센싱 구동 또한 상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게이트 라인을 터치 드라이빙 전극으로 이용하고, 터치 센싱 전극을 온-셀 또는 애드-온 방식으로 형성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 패널(100)에 형성된 게이트 라인(120)을 터치 드라이빙 전극(TX)으로 이용하고, 터치 센싱 전극(RX)을 도 10에 도시된 온-셀 또는 애드-온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액정 패널(100)에 형성된 게이트 라인(120)을 터치 드라이빙 전극(TX)으로 이용하고, 하부기판 또는 상부기판에 형성된 공통 전극(130)을 터치 센싱 전극(RX)으로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드라이빙 전극(TX)으로 이용되는 게이트 라인(120)의 출력은 상술한 스위칭 유닛(270)을 이용하여 제어한다. 표시 기간에는 게이트 라인(120)에 스캔 신호가 공급되도록 하고, 비 표시 기간에는 게이트 라인(120), 즉, 터치 드라이빙 전극(TX)에 터치 드라이빙 신호가 공급되도록 한다.
이때, 스위칭 유닛(270)은 도 3 및 도 7과 동일하게 데이터 드라이버(200) 내부에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게이트 드라이버가 GIP 방식으로 액정 패널(100)의 하부 기판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실시 예와 유사한 방식으로 스위칭 유닛(270)을 액정 패널(100) 내부에 형성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데이터 라인을 터치 드라이빙 전극으로 이용하고, 게이트 라인을 터치 센싱 전극으로 이용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 패널(100)에 형성된 데이터 라인(110)을 터치 드라이빙 전극(TX)으로 이용하고, 게이트 라인(120)을 터치 센싱 전극(RX)으로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드라이빙 전극(TX)으로 이용되는 데이터 라인(110)의 출력 및 터치 센싱 전극(RX)으로 이용되는 게이트 라인(120)의 입출력은 스위칭 유닛(270)을 이용하여 제어한다.
표시 기간에는 데이터 라인(110)에 데이터 전압이 공급되도록 하고, 비 표시 기간에는 데이터 라인(110) 즉, 터치 드라이빙 전극(TX)에 터치 드라이빙 신호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표시 기간에는 게이트 라인(120)에 스캔 신호가 공급되도록 하고, 비 표시 기간에는 게이트 라인(120) 즉, 터치 센싱 전극(RX)을 데이터 드라이버(200) 또는 터치 IC(400)로 연결시킬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게이트 라인을 터치 드라이빙 전극으로 이용하고, 데이터 라인을 터치 센싱 전극으로 이용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 패널(100)에 형성된 게이트 라인(120)을 터치 드라이빙 전극(TX)으로 이용하고, 데이터 라인(110)을 터치 센싱 전극(RX)으로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드라이빙 전극(TX)으로 이용되는 게이트 라인(110)의 출력 및 터치 센싱 전극(RX)으로 이용되는 데이터 라인(120)의 입출력은 스위칭 유닛(270)을 이용하여 제어한다.
표시 기간에는 게이트 라인(120)에 스캔 신호가 공급되도록 하고, 비 표시 기간에는 게이트 라인(120) 즉, 터치 드라이빙 전극(TX)에 터치 드라이빙 신호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표시 기간에는 데이터 라인(110)에 스캔 신호가 공급되도록 하고, 비 표시 기간에는 데이터 라인(110) 즉, 터치 센싱 전극(RX)을 데이터 드라이버(200) 또는 터치 IC(400)로 연결시킬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스위칭 유닛(270)은 도 3 및 도 7과 동일하게 데이터 드라이버(200) 내부에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게이트 드라이버가 GIP 방식으로 액정 패널(100)의 하부 기판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실시 예와 유사한 방식으로 스위칭 유닛(270)을 액정 패널(100) 내부에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 스크린의 터치 드라이빙 전극(TX)과 터치 센싱 전극(RX)을 서로 다른 레이어에 형성하여 제조에 소요되는 마스크 줄이고,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은 액정 패널(100)에 형성된 데이터 라인(110) 또는 게이트 라인(120)을 터치 드라이빙 전극(TX)으로 이용하고, 공통 전극을 터치 센싱 전극(RX)으로 이용하여 터치 드라이빙 전극(TX)과 터치 센싱 전극(RX)의 로드 차이로 인한 블록 딤 현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표시 품질의 저하 없이 터치 센싱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은 액정 패널(100)에 형성된 데이터 라인(110) 또는 게이트 라인(120)을 터치 드라이빙 전극(TX)으로 이용하고, 터치 드라이빙 전극(TX)을 액정 패널(100)의 상부기판에 형성하거나 또는 액정 패널(100) 상부에 별도로 구성하여 터치 드라이빙 전극(TX)과 터치 센싱 전극(RX)의 로드 차이로 인한 블록 딤 현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데이터 드라이브 IC와 터치 IC를 하나의 데이터 드라이버로 통합하여 제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 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액정 패널 110: 데이터 라인
120: 게이트 라인 130: 공통 전극
140: 화소 전극 200: 데이터 드라이버
210: 데이터 드라이빙 유닛 220: 터치 드라이빙 유닛
230: 메모리 240: 인터페이스 유닛
250: DC-DC 컨버터 260: 출력부
270: 스위칭 유닛 272: 스위치
300: 타이밍 컨트롤러 400: 터치 드라이브 IC
TX: 터치 드라이빙 전극 RX: 터치 센싱 전극

Claims (14)

  1. 복수의 게이트 라인과 복수의 데이터 라인이 교차하도록 형성된 액정 패널의 하부기판;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하부기판과 합착된 액정 패널의 상부기판;
    상기 하부기판에 형성된 픽셀 전극;
    상기 하부기판 또는 상부기판에 형성된 공통 전극;
    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에 스캔 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 드라이버;
    상기 복수의 데이터 라인에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는 데이터 드라이버;
    상기 게이트 라인, 상기 데이터 라인 또는 상기 공통 전극에 터치 드라이빙 신호를 공급하는 터치 IC;
    표시 기간 동안 화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 신호가 상기 액정 패널에 공급되고, 비표시 기간 동안 상기 터치 드라이빙 신호가 상기 액정 패널에 공급되도록 신호의 입출력을 스위칭하는 스위칭 유닛; 및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 및 상기 터치 IC의 구동을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라인 또는 상기 게이트 라인이 상기 터치 드라이빙 신호를 수신하여 터치 드라이빙 전극으로 구동되는 경우, 상기 공통 전극이 터치 센싱 전극으로 구동되며,
    상기 공통 전극이 상기 터치 드라이빙 신호를 수신하여 터치 드라이빙 전극으로 구동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 라인 또는 상기 게이트 라인이 터치 센싱 전극으로 구동되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유닛은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유닛은 상기 액정 패널의 하부기판에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 내부에 형성된,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 내부에 상기 터치 IC가 내장된,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라인을 일정 개수로 그룹핑하여 터치 드라이빙 전극으로 구동시키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을 일정 개수로 그룹핑하여 터치 드라이빙 전극으로 구동시키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 표시 기간에 상기 스위칭 유닛은 상기 게이트 라인, 상기 데이터 라인 또는 상기 공통 전극에 상기 터치 IC로부터의 터치 드라이빙 신호가 공급되도록 신호의 입출력을 스위칭하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유닛은 상기 게이트 라인, 상기 데이터 라인 또는 상기 공통 전극의 신호 입출력을 스위칭하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판의 상면 또는 하면에 터치 센싱 전극이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액정 패널의 상부에 터치 센싱 전극이 형성된,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
  10. 터치 스크린이 액정 패널에 내장되어 있고, 화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 구동 및 터치 센싱을 위한 터치 구동을 수행하는 구동 회로부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표시 기간에는 화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 신호들을 상기 액정 패널의 게이트 라인, 데이터 라인, 픽셀 전극 및 공통 전극에 공급하고,
    비 표시 기간에는 상기 게이트 라인 또는 상기 데이터 라인을 터치 드라이빙 신호를 수신하는 터치 드라이빙 전극으로 구동시키고 상기 공통 전극을 터치 센싱 전극으로 구동시켜 터치를 센싱하거나, 상기 공통 전극을 터치 드라이빙 신호를 수신하는 터치 드라이빙 전극으로 구동시키고 상기 게이트 라인 또는 상기 데이터 라인을 터치 센싱 전극으로 구동시켜 터치를 센싱하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제 10 항에 있어서,
    한 프레임 중에서 상기 표시 기간에는 화상의 표시를 위한 상기 디스플레이 신호들을 상기 액정 패널에 공급하고,
    비 표시 기간에는 터치 센싱을 위한 터치 드라이빙 신호를 상기 게이트 라인, 상기 데이터 라인, 또는 상기 공통 전극에 공급하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1수평주기를 표시 기간과 터치 센싱 기간으로 분할하고,
    표시 기간에는 화상의 표시를 위한 상기 디스플레이 신호들을 상기 액정 패널에 공급하고,
    비 표시 기간에는 터치 센싱을 위한 터치 드라이빙 신호를 상기 게이트 라인, 상기 데이터 라인, 또는 상기 공통 전극에 공급하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120117267A 2012-10-22 2012-10-22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Active KR102008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267A KR102008779B1 (ko) 2012-10-22 2012-10-22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US13/866,554 US9405411B2 (en) 2012-10-22 2013-04-19 Display device integrated with touch screen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CN201310146778.9A CN103777801B (zh) 2012-10-22 2013-04-25 集成有触摸屏的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267A KR102008779B1 (ko) 2012-10-22 2012-10-22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175A KR20140052175A (ko) 2014-05-07
KR102008779B1 true KR102008779B1 (ko) 2019-08-09

Family

ID=50484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7267A Active KR102008779B1 (ko) 2012-10-22 2012-10-22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405411B2 (ko)
KR (1) KR102008779B1 (ko)
CN (1) CN10377780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94676B (zh) * 2012-11-22 2015-08-01 Innocom Tech Shenzhen Co Ltd 觸控顯示裝置及其驅動方法
CN103279237B (zh) * 2012-11-23 2016-12-21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内嵌式触摸屏及触摸显示装置
JP6121812B2 (ja) * 2013-06-25 2017-04-2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タッチパネル付液晶表示装置
US10133419B2 (en) * 2013-08-07 2018-11-20 Synaptics Incorporated Flexible processing module for different integrated touch and display configurations
WO2015037399A1 (ja) * 2013-09-10 2015-03-19 シャープ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および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KR20150039933A (ko) * 2013-10-04 2015-04-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표시 장치
CN103761014B (zh) * 2013-11-20 2018-05-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摸屏及其驱动方法和显示装置
CN104678628A (zh) * 2013-11-26 2015-06-03 瀚宇彩晶股份有限公司 内嵌式触控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
CN103698949A (zh) * 2013-12-27 2014-04-02 合肥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阵列基板、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CN103760708B (zh) * 2014-01-09 2017-08-11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电容式触摸屏和触控显示装置
US9626048B2 (en) * 2014-01-13 2017-04-18 Himax Technologies Limited Touch screen and related touch sensing control circuit
CN104020910B (zh) * 2014-05-30 2017-12-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内嵌式触摸屏及显示装置
CN104020906B (zh) 2014-05-30 2016-09-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内嵌式触摸屏以及显示装置
KR102171104B1 (ko) * 2014-06-10 2020-10-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TWI554916B (zh) * 2014-07-21 2016-10-21 晨星半導體股份有限公司 觸控顯示面板
CN104123054B (zh) * 2014-07-22 2017-10-20 昆山龙腾光电有限公司 触控显示装置
KR102208993B1 (ko) * 2014-09-01 2021-01-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감지 기능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347852B1 (ko) * 2014-09-05 2022-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전자 노트 및 휴대용 단말기
US9471168B2 (en) * 2014-10-09 2016-10-18 Himax Technologies Ltd. Touch screen, touch sensing device and a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10088718B2 (en) 2014-12-22 2018-10-02 Shanghai Tianma Micro-electronics Co., Ltd. Touch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4484085B (zh) * 2014-12-22 2018-05-25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电容式触摸屏、其触摸定位方法及显示装置
CN104571695A (zh) * 2014-12-24 2015-04-29 深圳莱宝高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触控显示装置
CN104571701B (zh) * 2014-12-29 2017-12-1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图像均匀性显示的方法、装置及系统
JP6486692B2 (ja) * 2015-01-09 2019-03-2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CN104536631B (zh) * 2015-01-26 2018-01-1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显示基板、触控显示装置
KR102302547B1 (ko) * 2015-01-29 2021-09-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패널을 구비한 표시패널 및 표시장치
KR102316349B1 (ko) * 2015-01-30 2021-10-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11579B1 (ko) * 2015-01-30 2022-06-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US10824279B2 (en) * 2015-02-06 2020-11-03 Apple Inc. Remote feedback tapping for a touch sensor panel driving circuit
JP6416687B2 (ja) * 2015-04-17 2018-10-3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およびタッチ検出装置
CN104866158B (zh) * 2015-06-18 2017-12-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内嵌式触摸屏及显示装置
CN104882092B (zh) * 2015-06-29 2017-12-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内嵌式触控显示屏及其驱动方法、显示装置
KR102216705B1 (ko) * 2015-06-30 2021-02-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 컨트롤러, 유기발광표시패널,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TWI582737B (zh) * 2015-07-17 2017-05-11 群創光電股份有限公司 閘極驅動電路
KR102316560B1 (ko) * 2015-07-29 2021-10-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기판 및 그를 가지는 표시 패널
KR102331587B1 (ko) * 2015-07-30 2021-11-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인셀 터치 방식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ic
KR102364097B1 (ko) * 2015-08-07 2022-02-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CN105093722B (zh) * 2015-08-10 2018-07-31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触控显示基板、电子设备及驱动方法
KR102326169B1 (ko) * 2015-08-14 2021-11-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CN105094442A (zh) * 2015-08-20 2015-11-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内嵌式触控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触控显示装置
CN105301822B (zh) * 2015-12-11 2018-10-23 上海中航光电子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2474202B1 (ko) * 2016-01-08 2022-1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CN106325603B (zh) * 2016-08-26 2019-11-22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触控显示面板及装置
KR102636679B1 (ko) 2016-08-31 2024-02-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WO2018073706A1 (en) * 2016-10-21 2018-04-2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364630B1 (ko) * 2017-09-11 2022-02-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표시장치
KR102407758B1 (ko) * 2017-10-27 2022-06-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표시장치 및 표시패널
KR102476468B1 (ko) * 2017-12-13 2022-12-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표시장치
WO2022092297A1 (ja) * 2020-10-30 2022-05-05 三国電子有限会社 タッチ及び指紋センサ付き表示装置
CN115509391A (zh) * 2022-09-30 2022-12-23 昆山龙腾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触控防窥屏及控制方法
TWI869125B (zh) * 2023-12-19 2025-01-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觸控顯示裝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28828A (ja) * 2008-07-21 2011-11-24 インファポイント システムズ リミテッド タッチ型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22715B2 (ja) 2004-02-12 2010-08-11 シチズ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1478045B1 (ko) * 2007-11-26 2014-12-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JP4816668B2 (ja) 2008-03-28 2011-11-16 ソニー株式会社 タッチセンサ付き表示装置
JP5523191B2 (ja) * 2010-04-30 2014-06-1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タッチ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
KR20120014808A (ko) * 2010-08-10 2012-02-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가 내장된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과 그 제조 방법
TWI407349B (zh) * 2010-12-17 2013-09-01 Au Optronics Corp 觸控面板的觸控訊號掃描次數決定方法
US8994673B2 (en) * 2011-12-09 2015-03-31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integrated touch screen having electrical connections provided in inactive regions of display panel
KR101364075B1 (ko) * 2012-03-14 2014-02-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28828A (ja) * 2008-07-21 2011-11-24 インファポイント システムズ リミテッド タッチ型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05411B2 (en) 2016-08-02
KR20140052175A (ko) 2014-05-07
US20140111466A1 (en) 2014-04-24
CN103777801A (zh) 2014-05-07
CN103777801B (zh) 2017-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8779B1 (ko)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102068588B1 (ko)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94555B1 (ko)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US9678589B2 (en) Touch panel and apparatus for driving thereof
KR101464172B1 (ko)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
EP2492783B1 (en) Touch integrated display device
KR102381130B1 (ko)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 방법 및 디스플레이 패널
US9575351B2 (en) Touch sensor integrated type display device
KR101710407B1 (ko) 터치 스크린이 내장된 액정 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101360782B1 (ko)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KR101843462B1 (ko)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120006A (ko) 터치 검출기 부착 표시 패널, 터치 패널 및 전자 기기
KR102435900B1 (ko) 표시 장치
KR102388990B1 (ko)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 방법 및 터치 구동 회로
KR20140087481A (ko) 인셀 타입 터치인식 액정표시장치
KR102161084B1 (ko) 터치 IC(integrated circuit) 및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 방법
KR20190029045A (ko) 터치 표시장치
KR20130024470A (ko) 터치 스크린의 내장된 액정표시장치
KR20160094570A (ko)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2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10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10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2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2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8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8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