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06406B1 - 외부 서버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외부 서버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6406B1
KR102006406B1 KR1020120139262A KR20120139262A KR102006406B1 KR 102006406 B1 KR102006406 B1 KR 102006406B1 KR 1020120139262 A KR1020120139262 A KR 1020120139262A KR 20120139262 A KR20120139262 A KR 20120139262A KR 102006406 B1 KR102006406 B1 KR 102006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external server
url
applic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9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2385A (ko
Inventor
윤종하
스티븐 리븐굿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US14/019,762 priority Critical patent/US9635197B2/en
Priority to CN201380071947.5A priority patent/CN104956315B/zh
Priority to PCT/KR2013/008582 priority patent/WO2014084490A1/en
Priority to EP13189890.0A priority patent/EP2739029B1/en
Publication of KR20140072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2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40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38Secure printing, e.g. user identification, user rights for device usage, unallowed content, blanking portions or fields of a page, releasing held job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외부 서버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하는 방법은,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스톨 URL(Install URL)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인스톨 URL을 통해 상기 외부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외부 서버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메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메타 정보의 신뢰성을 검증하는 단계; 상기 신뢰성 검증이 완료되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상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상기 외부 서버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외부 서버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Method of using application installed in outside serv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은 외부 서버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합기에 오픈 플랫폼(open platform)을 지원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첫번째는 어플리케이션 전체를 복합기에 설치하는 방식이고, 두번째는 별도의 외부 서버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복합기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UI(User Interface)만을 보여줌으로써 사용자가 복합기에 표시된 UI를 통해 조작을 수행하면 복합기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외부 서버와 통신하여 어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는 방식이다.
두번째 방식에 따를 경우 일반적으로 복합기의 웹 브라우저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의 UI를 사용자에게 보여주며, 외부 서버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은 복합기의 오픈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외부에서 호출하는 방식으로 복합기에 명령을 내리게 된다. 이때, 서버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복합기가 인식하도록 하여야 하는데, 종래에는 복합기에서 사용자가 직접 어플리케이션의 메타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복합기와 외부 서버 사이에 방화벽이 존재하는 경우 외부 서버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복합기에 명령을 내리기 위해서는 복합기에서 자바스크립트 API(Javascript API)를 별도로 지원해야만 하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외부 서버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식하고, 화상형성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서버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하는 방법은,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스톨 URL(Install URL)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인스톨 URL을 통해 상기 외부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외부 서버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메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메타 정보의 신뢰성을 검증하는 단계; 상기 신뢰성 검증이 완료되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상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상기 외부 서버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타 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시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외부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홈 URL(Home URL)을 포함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아이콘을 선택받는 단계;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홈 URL을 통해 상기 외부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초기 화면을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초기 화면을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타 정보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외부 서버로 작업 명령 요청을 전송하기 위한 리버스 URL(Reverse URL)을 포함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리버스 URL을 통해 상기 외부 서버로 작업 명령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작업 명령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외부 서버가 전송하는 작업 명령을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작업 명령에 따라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타 정보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외부 서버로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전송하기 위한 이벤트 URL(Event URL)을 포함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이벤트를 상기 이벤트 URL을 통해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외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화상형성장치에서 상기 외부 서버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화상형성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화상형성작업을 수행하는 화상형성작업 수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 설치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설치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서 수신한 인스톨 URL을 통해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외부 서버에 접속하면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메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메타 정보의 신뢰성을 검증하여 검증이 완료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상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타 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시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외부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홈 URL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아이콘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홈 URL을 통해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외부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초기 화면을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상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타 정보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외부 서버로 작업 명령 요청을 전송하기 위한 리버스 URL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작업 명령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업 명령 관리부는 상기 리버스 URL을 통해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외부 서버로 작업 명령 요청을 전송하도록 하고, 상기 작업 명령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외부 서버가 전송하는 작업 명령을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작업 명령에 따라 화상형성작업을 수행하도록 상기 화상형성작업 수행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타 정보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외부 서버로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전송하기 위한 이벤트 URL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이벤트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관리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이벤트를 상기 이벤트 URL을 통해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된 바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에서 간단하게 인스톨 URL을 입력하는 동작만으로 화상형성장치가 외부 서버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인식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을 인식하는 과정에서 외부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메타 정보를 수신하고, 메타 정보에 포함된 서명 및 인증서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신뢰성 검증을 수행함으로써 신속하고 간편한 검증이 가능하다.
또한,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한 어플리케이션의 메타 정보에 포함된 리버스 URL 및 이벤트 URL을 통해서 각각 작업 명령 요청 및 발생한 이벤트를 외부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와 외부 서버 사이에 방화벽이 존재하는 환경에서도 어플리케이션을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방법에 있어서 화상형성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인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방법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실행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방법에 있어서 작업 명령의 전송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방법에 있어서 화상형성장치에서 발생한 이벤트의 전송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서버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들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 제어부(1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 및 화상형성작업 수행부(140)를 포함하며, 제어부(120)는 작업 명령 관리부(121), 이벤트 관리부(122) 및 어플리케이션 설치 관리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화상형성장치(100)가 외부 서버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화상형성장치(100)는 외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여 외부 서버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인식할 수 있으며, 화상형성장치(100)가 외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를 송수신함으로써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외부 서버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서버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이란 화상형성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스캔한 문서를 이메일로 전송하는 스캔 투 이메일 등이 있다.
제어부(120)는 외부 서버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화상형성장치(100)가 인식하고, 화상형성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사용자가 외부 서버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일련의 제어 동작들을 수행한다. 제어부(120)에 포함된 작업 명령 관리부(121), 이벤트 관리부(122) 및 어플리케이션 설치 관리부(123)는 각각 어플리케이션의 인식, 작업 명령 요청의 전송과 작업 명령의 수신, 이벤트의 감지 및 전송 등의 역할을 수행하며 자세한 동작 내용은 아래의 도 2 내지 도 5에 대한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에서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는,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상에 표시되는 웹 브라우저일 수 있다. 화상형성작업 수행부(14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화상형성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서버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방법에 있어서 화상형성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인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S201 단계에서 외부 서버(200)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다.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개발업체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구매하여 사용자의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설치할 수 있다. 이렇게 외부 서버(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인식하기 위해서 S202 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인스톨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입력받는다. 이때, 인스톨 URL은 외부 서버(200)의 IP 주소일 수 있다.
인스톨 URL을 입력받았으면 화상형성장치(100)의 어플리케이션 설치 관리부(123)는 S203 단계에서 입력받은 인스톨 URL을 통해서 외부 서버(200)에 접속하고, S204 단계에서 외부 서버(200)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메타 정보를 전송받는다.
이때, 어플리케이션의 메타 정보란 어플리케이션을 인식하기 위한 정보로서 어플리케이션 아이덴티티(application identity), 아이콘(icon), 홈 URL(Home URL), 환경 설정 정보 등을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아이덴티티란 어플리케이션의 이름 및 버전 등의 정보를 의미하고, 아이콘이란 화상형성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상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아이콘을 의미하고, 홈 URL이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시 화상형성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에 표시되는 초기 화면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주소를 의미하고, 환경 설정 정보란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설정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종래에는 외부 서버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식하도록 할 경우 사용자가 직접 화상형성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의 메타 정보를 입력해야만 하였다. 그러면 화상형성장치는 입력된 메타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서버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인식하고, 메타 정보에 포함된 아이콘을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으로서 화상형성장치의 디스플레이부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상에 생성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이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자가 직접 메타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은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고자 하는 화상형성장치가 여러 대일 경우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메타 정보에 변경이 있을 때마다 다시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에 인스톨 URL만을 입력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의 메타 정보를 외부 서버(200)로부터 전송받아 간편하게 어플리케이션을 인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의 메타 정보가 상기의 어플리케이션 아이덴티티, 아이콘, 홈 URL 및 환경 설정 정보 이외에 리버스 URL(Reverse URL) 및 이벤트 URL(Event UR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리버스 URL이란 화상형성장치(100)가 외부 서버(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작업 명령 요청을 전송하기 위한 네트워크 주소를 의미한다. 또한, 이벤트 URL이란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외부 서버(200)로 감지된 이벤트를 전송할 때 사용되는 네트워크 주소를 의미한다. 리버스 URL 및 이벤트 URL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에서 각각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다시 도 2로 돌아와서, 외부 서버(200)로부터 메타 정보를 수신하였으면 S205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100)의 어플리케이션 설치 관리부(123)는 수신한 메타 정보의 신뢰성을 검증한다. 화상형성장치(100)는 메타 정보에 포함된 서명(sign), 외부 서버(200)의 인증서 및 화상형성장치(100)에 포함된 공유키를 사용하여 메타 정보의 신뢰성을 검증할 수 있다.
메타 정보의 신뢰성이 검증되면 외부 서버(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검증된 어플리케이션 개발업체에 의해 제작되었음을 의미한다. 이때, 어플리케이션 전체에 서명이 포함된다면 신뢰성 검증을 위해서는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어플리케이션 전체를 다운받아서 검증을 수행해야만 한다. 이럴 경우 소스 코드 노출로 인한 보안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의 용량이 클 경우 네트워크 트래픽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플리케이션 전체가 아닌 메타 정보에만 서명이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한다.
메타 정보의 신뢰성 검증이 완료되면 화상형성장치(100)의 어플리케이션 설치 관리부(123)는 S206 단계에서 외부 서버(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웹 브라우저와 같은 화상형성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상에 생성한다. 이때, 생성되는 아이콘은 S204 단계에서 수신한 메타 정보에 포함된 아이콘일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상에서 아이콘을 선택함으로써 외부 서버(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방법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실행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S301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상에서 사용자로부터 아이콘 선택 입력을 수신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S302 단계에서 메타 정보에 포함된 홈 URL을 통해서 외부 서버(200)에 접속한다. 이어서 S303 단계에서 외부 서버(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S304 단계에서 외부 서버(200)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초기 화면을 화상형성장치(100)로 전송한다. S305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어부(120)는 수신한 초기 화면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상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여주게 된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상에 표시된 초기 화면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이때 홈 URL은 인스톨 URL을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서버(200)의 IP 주소인 인스톨 URL이 "211.244.110.000"이라면 홈 URL은 "211.244.110.000/Home"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홈 URL이 인스톨 URL을 포함하는 형태를 취함으로써 인스톨 URL, 즉 외부 서버(200)의 IP 주소가 변경되더라도 이에 따라 홈 URL도 자동적으로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방법에 있어서 작업 명령의 전송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00)의 작업 명령 관리부(121)는 메타 정보에 포함된 리버스 URL을 통해서 외부 서버(200)로 작업 명령 요청을 전송한다. 작업 명령 요청을 수신한 외부 서버(200)는 S402 단계에서 작업 명령의 발생시까지 대기하고 작업 명령 요청에 대한 응답을 전송하지 않는다. 그리고 외부 서버(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서 작업 명령이 발생하면 외부 서버(200)는 S403 단계에서 작업 명령을 화상형성장치(100)로 전송한다. 화상형성장치(100)의 작업 명령 관리부(121)는 외부 서버(200)로부터 작업 명령을 수신하면 화상형성작업 수행부(140)를 제어하여 작업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00)가 리버스 URL을 통해서 작업 명령 요청을 외부 서버(200)로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서 작업 명령을 수신하는 이유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화상형성장치(100)가 인트라넷과 같은 내부망에 연결되고, 어플리케이션은 클라우드와 같은 외부망에 연결된 외부 서버(200)에 설치되어 화상형성장치(100)와 외부 서버(200) 사이에 방화벽이 존재하는 경우라면 외부 서버(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화상형성장치(100)에 직접 명령을 내리면 방화벽에 의해 차단된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화상형성장치(100)는 자바스크립트(Javascript)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지원해야만 하므로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업체는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을 위해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기반의 API 외에 자바스크립트 API도 익혀야만 하는 부담을 안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화상형성장치(100)에서 먼저 리버스 URL을 통해서 외부 서버(200)에 접속하여 작업 명령 요청을 전송한다. 방화벽이 존재하더라도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먼저 요청을 전송받은 외부 서버(200)는 이에 대한 응답을 화상형성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서버(200)는 작업 명령 요청을 수신하면 이에 대해 바로 응답하지 않고 작업 명령이 발생할 때까지 기다렸다가 작업 명령이 발생하면 이를 화상형성장치(100)로 전송한다.
한편, 이때 리버스 URL은 인스톨 URL을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서버(200)의 IP 주소인 인스톨 URL이 "211.244.110.000"이라면 리버스 URL은 "211.244.110.000/Reverse"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리버스 URL이 인스톨 URL을 포함하는 형태를 취함으로써 인스톨 URL, 즉 외부 서버(200)의 IP 주소가 변경되더라도 이에 따라 리버스 URL도 자동적으로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방법에 있어서 화상형성장치에서 발생한 이벤트의 전송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S501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벤트 관리부(122)는 발생한 이벤트를 감지한다. 그리고 S502 단계에서 이벤트 관리부(122)는 감지된 이벤트를 메타 정보에 포함된 이벤트 URL을 통해서 외부 서버(200)로 전송한다. 외부 서버(200)는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이벤트를 전송받으면 S503 단계에서 이를 외부 서버(200) 내의 저장부에 저장한다.
화상형성장치(100)와 외부 서버(200) 사이에 방화벽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라면 외부 서버(200)에서 직접 화상형성장치(100)에 접속하여 화상형성장치(1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나, 방화벽이 존재한다면 이와 같은 방법이 불가하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00)가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하고 감지된 이벤트를 외부 서버(200)로 전송한다면 방화벽의 존재 유무와 상관없이 동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한편, 이때 이벤트 URL은 인스톨 URL을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서버(200)의 IP 주소인 인스톨 URL이 "211.244.110.000"이라면 이벤트 URL은 "211.244.110.000/Event"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벤트 URL이 인스톨 URL을 포함하는 형태를 취함으로써 인스톨 URL, 즉 외부 서버(200)의 IP 주소가 변경되더라도 이에 따라 이벤트 URL도 자동적으로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서버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복합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들이다.
도 6을 참조하면, S601 단계에서 복합기의 웹 브라우저에서 사용자로부터 인스톨 URL을 입력받으면, 복합기는 S602 단계에서 입력된 인스톨 URL을 통해서 외부 서버에 접속한다. 이어서 복합기는 S603 단계에서 외부 서버로부터 외부 서버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메타 정보를 수신한다. 외부 서버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검증된 어플리케이션 개발업체에 의해서 제작된 것인지를 알기 위해 S604 단계에서 복합기는 수신한 메타 정보에 포함된 서명, 외부 서버의 인증서 및 복합기에 저장된 공유키를 이용해서 메타 정보의 신뢰성을 검증한다. 이때, 신뢰성 검증을 위한 서명은 메타 정보에만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복합기는 외부 서버로부터 메타 정보만을 수신하여 신뢰성을 검증할 수 있다.
메타 정보의 신뢰성이 검증되면 S605 단계로 진행하여 복합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상에 외부 서버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생성한다. 이와 같이 복합기에서의 어플리케이션의 인식 및 대응되는 아이콘 생성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S605 단계에서 복합기에서 외부 서버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S606 단계에 포함되는 구체적인 단계들을 도시한 순서도로,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실행시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S701 단계에서 복합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상에 생성된 아이콘을 선택하는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한다. 아이콘 선택 입력이 수신되면 S702 단계에서 복합기는 도 6의 S603 단계에서 수신한 메타 정보에 포함된 홈 URL을 통해 외부 서버에 접속한다. 이에 응답하여 외부 서버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S703 단계에서 외부 서버는 복합기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초기 화면을 전송하고 복합기는 이를 수신한다. 마지막으로 S704 단계에서 복합기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한 초기 화면을 웹 브라우저와 같은 복합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상에 표시한다.
한편, 이때 홈 URL은 인스톨 URL을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서버의 IP 주소인 인스톨 URL이 "211.244.110.000"이라면 홈 URL은 "211.244.110.000/Home"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홈 URL이 인스톨 URL을 포함하는 형태를 취함으로써 인스톨 URL, 즉 외부 서버의 IP 주소가 변경되더라도 이에 따라 홈 URL도 자동적으로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도 6의 S606 단계에 포함되는 구체적인 단계들을 도시한 순서도로, 작업 명령의 전송 과정을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S801 단계에서 복합기는 도 6의 S603 단계에서 수신한 메타 정보에 포함된 리버스 URL을 통해 외부 서버로 작업 명령 요청을 전송한다. 외부 서버는 복합기로부터 리버스 URL을 통해서 작업 명령 전송 요청을 수신하면 이에 바로 응답하지 않고 어플리케이션에서 작업 명령이 발생할 때까지 대기한다. 작업 명령이 발생하면 수신한 작업 명령 전송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복합기로 작업 명령을 전송하고, 복합기는 S802 단계에서 이를 수신한다. 복합기는 작업 명령을 수신하면 S803 단계에서 작업 명령에 따라 작업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복합기가 먼저 외부 서버로 리버스 URL을 통해 작업 명령 요청을 전송하고, 외부 서버는 작업 명령 요청을 수신한 후 작업 명령이 발생할 때까지 대기하였다가 작업 명령이 발생하면 수신한 작업 명령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작업 명령을 복합기로 전송함으로써 복합기와 외부 서버 사이에 방화벽이 존재하더라도 작업 명령의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이때 리버스 URL은 인스톨 URL을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서버의 IP 주소인 인스톨 URL이 "211.244.110.000"이라면 리버스 URL은 "211.244.110.000/Reverse"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리버스 URL이 인스톨 URL을 포함하는 형태를 취함으로써 인스톨 URL, 즉 외부 서버의 IP 주소가 변경되더라도 이에 따라 리버스 URL도 자동적으로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도 6의 S606 단계에 포함되는 구체적인 단계들을 도시한 순서도로, 복합기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전송 과정을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S901 단계에서 복합기는 복합기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감지한다. 이벤트가 감지되면 S902 단계에서 복합기는 도 6의 S603 단계에서 수신한 메타 정보에 포함된 이벤트 URL을 통해 외부 서버로 감지된 이벤트를 전송한다. 외부 서버는 복합기로부터 전송받은 이벤트를 저장하여 복합기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들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복합기와 외부 서버 사이에 방화벽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라면 외부 서버에서 직접 복합기에 접속하여 복합기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나, 방화벽이 존재한다면 이와 같은 방법이 불가하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복합기가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하고 감지된 이벤트를 외부 서버로 전송한다면 방화벽의 존재 유무와 상관없이 동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한편, 이때 이벤트 URL은 인스톨 URL을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서버의 IP 주소인 인스톨 URL이 "211.244.110.000"이라면 이벤트 URL은 "211.244.110.000/Event"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벤트 URL이 인스톨 URL을 포함하는 형태를 취함으로써 인스톨 URL, 즉 외부 서버의 IP 주소가 변경되더라도 이에 따라 이벤트 URL도 자동적으로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상기의 실시예에 따를 경우 화상형성장치에서 간단하게 인스톨 URL을 입력하는 동작만으로 화상형성장치가 외부 서버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인식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을 인식하는 과정에서 외부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메타 정보를 수신하고, 메타 정보에 포함된 서명 및 인증서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신뢰성 검증을 수행함으로써 신속하고 간편한 검증이 가능하다.
또한,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한 어플리케이션의 메타 정보에 포함된 리버스 URL 및 이벤트 URL을 통해서 각각 작업 명령 요청 및 발생한 이벤트를 외부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와 외부 서버 사이에 방화벽이 존재하는 환경에서도 어플리케이션을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화상형성장치 110: 통신 인터페이스부
120: 제어부 121: 작업 명령 관리부
122: 이벤트 관리부 123: 어플리케이션 설치 관리부
13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40: 화상형성작업 수행부
200: 외부 서버

Claims (20)

  1. 외부 서버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스톨 URL(Install URL)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인스톨 URL을 통해 상기 외부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외부 서버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메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메타 정보의 신뢰성을 검증하는 단계;
    상기 신뢰성 검증이 완료되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상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상기 외부 서버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메타 정보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상기 외부 서버 사이에 방화벽을 회피하기 위해 상기 외부 서버로 작업 명령 요청을 전송하기 위한 리버스 URL(Reverse URL)을 포함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리버스 URL을 통해 상기 외부 서버로 상기 작업 명령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작업 명령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외부 서버가 전송하는 작업 명령을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작업 명령에 따라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정보의 신뢰성을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메타 정보에 포함된 서명, 인증서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저장된 공유키를 이용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검증된 어플리케이션 제작자에 의해 제작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뢰성 검증을 위한 서명은 상기 메타 정보에만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시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외부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홈 URL(Home URL)을 포함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아이콘을 선택받는 단계;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홈 URL을 통해 상기 외부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초기 화면을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초기 화면을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홈 URL은 상기 인스톨 URL을 포함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버스 URL은 상기 인스톨 URL을 포함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정보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외부 서버로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전송하기 위한 이벤트 URL(Event URL)을 포함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이벤트를 상기 이벤트 URL을 통해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URL은 상기 인스톨 URL을 포함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메타 정보에 포함된 아이콘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상에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 내지 제5항 및 제7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12.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외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화상형성장치에서 상기 외부 서버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화상형성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화상형성작업을 수행하는 화상형성작업 수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 설치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설치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서 수신한 인스톨 URL을 통해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외부 서버에 접속하면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메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메타 정보의 신뢰성을 검증하여 검증이 완료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상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생성하고,
    상기 메타 정보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상기 외부 서버 사이에 방화벽을 회피하기 위해 상기 외부 서버로 작업 명령 요청을 전송하기 위한 리버스 URL(Reverse URL)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리버스 URL을 통해 상기 외부 서버로 상기 작업 명령 요청을 전송하도록 하고, 상기 작업 명령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외부 서버가 전송하는 작업 명령을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작업 명령에 따라 화상형성작업을 수행하도록 상기 화상형성작업 수행부를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설치 관리부는 상기 메타 정보에 포함된 서명, 인증서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저장된 공유키를 이용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검증된 어플리케이션 제작자에 의해 제작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으로 상기 메타 정보의 신뢰성을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정보의 신뢰성 검증을 위한 서명은 상기 메타 정보에만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시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외부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홈 URL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서 상기 아이콘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홈 URL을 통해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외부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초기 화면을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홈 URL은 상기 인스톨 URL을 포함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삭제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리버스 URL은 상기 인스톨 URL을 포함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정보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외부 서버로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전송하기 위한 이벤트 URL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이벤트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관리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이벤트를 상기 이벤트 URL을 통해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URL은 상기 인스톨 URL을 포함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120139262A 2012-11-30 2012-12-03 외부 서버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2006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019,762 US9635197B2 (en) 2012-11-30 2013-09-06 Method of executing application installed in outside serv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to perform the same
CN201380071947.5A CN104956315B (zh) 2012-11-30 2013-09-25 运行安装在外部服务器中的应用的方法和执行该方法的图像形成装置
PCT/KR2013/008582 WO2014084490A1 (en) 2012-11-30 2013-09-25 Method of executing application installed in outside serv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to perform the same
EP13189890.0A EP2739029B1 (en) 2012-11-30 2013-10-23 Method of executing application installed in outside serv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to perform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731572P 2012-11-30 2012-11-30
US61/731,572 2012-1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2385A KR20140072385A (ko) 2014-06-13
KR102006406B1 true KR102006406B1 (ko) 2019-08-02

Family

ID=51126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9262A Expired - Fee Related KR102006406B1 (ko) 2012-11-30 2012-12-03 외부 서버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06406B1 (ko)
CN (1) CN104956315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0782A (ja) * 2002-07-22 2004-04-08 Ricoh Co Ltd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2131A (ko) * 2008-01-21 2010-10-18 소니 주식회사 정보 처리 장치, 디스크, 및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KR101456624B1 (ko) * 2008-10-28 2014-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웹 어플리케이션 설치 방법
KR101310218B1 (ko) * 2008-10-28 2013-09-2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파일 통합 설치 방법 및 파일 통합 설치가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JP5056874B2 (ja) * 2010-03-17 2012-10-24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連携ジョブ実行方法および連携ジョブ実行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0782A (ja) * 2002-07-22 2004-04-08 Ricoh Co Ltd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956315B (zh) 2018-09-07
CN104956315A (zh) 2015-09-30
KR20140072385A (ko) 2014-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39688B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er termin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US9507489B2 (en) Remote editing of a user interface with validity confirmation
JP5987656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9075627B2 (en) Server connected to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lient, client, and method of remotely installing driver of image forming apparatus
EP2739029B1 (en) Method of executing application installed in outside serv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to perform the same
US9513847B2 (en) Tools for facilitating printer installation
KR102002541B1 (ko) 클라우드 기반 어플리케이션의 로그인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
KR20160027803A (ko) 근거리 무선 통신(nfc) 기능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에서 스캔된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에서 프리뷰하는 방법
JP6098588B2 (ja) 印刷システム、携帯端末装置及び印刷制御プログラム
KR20170019226A (ko)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20150085667A (ko) 외부 인증 서버를 이용한 인증 장애시 임시 인증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
US983838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device control method
KR20150042098A (ko) 엔에프씨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초기 설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
US20170034385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JP2016192238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10205852B2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wing a program to cache user information
KR102006406B1 (ko) 외부 서버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
JP6238659B2 (ja) 管理システム、監視装置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
JP6484405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管理システム
KR20140145051A (ko)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풀 프린팅 방법 및 장치
JP712460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20082576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WO2023075831A1 (en) Onboarding of secondary device through primary device
JP2016072702A (ja) 電子機器
KR20160050640A (ko) 무인 복합기 제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0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611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11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12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2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906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03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7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7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