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06300B1 -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 Google Patents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6300B1
KR102006300B1 KR1020180153212A KR20180153212A KR102006300B1 KR 102006300 B1 KR102006300 B1 KR 102006300B1 KR 1020180153212 A KR1020180153212 A KR 1020180153212A KR 20180153212 A KR20180153212 A KR 20180153212A KR 102006300 B1 KR102006300 B1 KR 102006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space
protective case
folding space
axi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3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유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761563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00630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Priority to KR1020180153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6300B1/ko
Priority to US16/428,459 priority patent/US1119987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300B1/ko
Priority to CN201980090593.6A priority patent/CN113382657A/zh
Priority to PCT/KR2019/016795 priority patent/WO2020116869A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45C11/182Credit card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8Devices to prevent theft or loss of purses, luggage or hand carried bags
    • A45C13/20Chains or ba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7Hygienic or sanitary devices on telephone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storing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pagers or smart phones
    • A45C2011/002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0Transparent wa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3Protecting arrangement for the entire housing of the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상태시 허용 범위 이상의 외력 작용으로 인한 힌지 파손 및 폴딩 안쪽면 측에 형성된 폴딩 공간 간극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에 의한 화면표시면의 긁힘, 찍힘, 봉지 손상등을 방지하기 위해 적용되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 및 보호케이스로서 접힘 상태시 힌지 부분에 외력이 가해져도 보호케이스가 1차적으로 지탱하고 분산시키는 특징을 갖으며 빈 공간 영역인 폴딩 공간 간극을 보호케이스가 점유하며 폐쇄시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및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Protection Case for Folda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접힘 상태시 밀착이 이루어 지지않는 내측면의 간격이 접힘 발생 축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좁아지는 콘(Cone) 형상의 폴딩 공간 간극이 접힘 발생 축을 따라 형성되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되는 보호케이스로서,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 보호케이스가 적용되어도 접힘 및 펼침이 제한을 받지 않고 접힘 상태시 힌지 부분에 외력이 가해져도 힌지 구성품들이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케이스가 외력을 지탱하고 분산시키는 특징을 갖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판상형 스마트폰 및 테블릿 장치와 같은 형상불변 영상표시장치들의 보편화로 인해 충격으로부터 액정화면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범퍼 케이스(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29079), 다이어리 형태의 커버 내측 공간에 영상표시장치를 수납 보관하며 카드 수납기능도 가능한 다이어리형 케이스(대한민국 등록특허:10-1192287,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30-0473451), 범퍼 케이스에 다이어리 형 케이스 기능을 결합시킨 범퍼 일체형 케이스(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20-0460260)와 같은 부가제품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관련하여 다양한 특허들이 제시되고 있다.
상기의 기존의 범퍼 케이스, 다이어리형 케이스 및 범퍼 일체형 케이스는 모두 판상형태로 형상불변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될 수 있도록 제안된 것이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접힘 및 펼침이 수행되어 둘레 형상이 변경되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는 적용될 수가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둘레 형상이 변경되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보호케이스들이 본 발명인에 의해 특허로 제시되었다.(대한민국 출원특허: 10-2015-0109280, 10-2016-0098862, 10-2016-0138950)
또한 접힘 상태시 밀착이 이루어 지지않는 내측면의 간격이 접힘 발생 축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좁아지는 콘(Cone) 형상의 폴딩 공간 간극이 접힘 발생 축을 따라 형성되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상태시 외력에 의한 힌지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인에 의해 대한민국 출원특허(10-2018-0139604)가 제시되었다.
그러나 대한민국 출원특허(10-2018-0139604)는 접힘상태시 외력에 의한 힌지 파손을 제한적으로만 보호할 수 있고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 대한 포괄적인 보호기능은 얻을 수 없는 단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콘(Cone) 형상의 폴딩 공간 간극이 접힘 발생 축을 따라 형성되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되어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및 펼침이 자유롭고 접힘 상태시 힌지 부위에 외력이 가해질 때 힌지 구성품이 파손되지 않도록 하고자 한다.
둘째, 접힘 상태시 형성되는 콘(Cone) 형상의 폴딩 공간 간극으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자 한다.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는 폴딩 공간 간극이 접힘 발생 축을 따라 형성되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되는 보호케이스로서, 접힘 발생 축을 기준으로 임의 거리 떨어진 상태로 폴딩 바깥면1을 감싸며 지지되는 고정면1과 폴더블 몸체의 접힘 발생 축 부분을 제외한 바깥 둘레면을 감싸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화면표시면은 노출 상태로 유지되고 고정면1로부터 폴딩 안쪽면1을 벗어나 폴딩 공간 간극 측으로 돌출된 폴딩 공간 경사면1이 형성되어있는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1을 갖는 보호케이스1 및 접힘 발생 축을 기준으로 임의 거리 떨어진 상태로 폴딩 바깥면2를 감싸며 지지되는 고정면2와 폴더블 몸체의 접힘 발생 축 부분을 제외한 바깥 둘레면을 감싸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화면표시면은 노출 상태로 유지되고 고정면2로부터 폴딩 안쪽면2를 벗어나 폴딩 공간 간극 측으로 돌출된 폴딩 공간 경사면2이 형성되어있는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2를 갖는 보호케이스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1 및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2의 돌출 높이는 접힘 발생 축으로부터 멀어지며 낮아지고, 접힘 상태시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1 및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2는 폴딩 공간 경사면1 및 폴딩 공간 경사면2가 밀착되어 접힘 발생 축 끝단의 폴딩 공간 간극 일부 또는 전부분을 점유하여 폐쇄시키며, 펼침 상태시 폴딩 공간 경사면1 및 폴딩 공간 경사면2가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화면표시면 밖으로 돌출 유지된다.
폴더블 몸체의 접힘 상태시 보호케이스1 및 보호케이스2에 의해 덮혀지지 않은 바깥측 원주면을 덮을 수 있는 터널 형상의 원주면과 폴더블 몸체의 접힘 발생 축 양측 끝단 부분을 덮을수 있는 벽면을 갖는 에지커버가 접힘 발생 축에 적용되며 에지커버는 펼침 상태시 접힘 발생 축 부분으로부터 이탈되는 특징을 갖는다.
에지커버와는 별개의 구성품으로서 접힘 발생 축을 기준으로 상호 분리된 보호케이스1 및 보호케이스2는 폴더블 몸체의 바깥측 원주면을 덮어주는 연결판에 의해 연결되고 연결판은 접힘이 자유롭고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된다.
에지커버 및 연결판과는 별개의 구성품으로서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1 또는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2의 둘레 벽면에는 일측 끝단이 연결 또는 고정되고 반대편 자유단은 폴더블 몸체의 접힘 상태시 폴딩 공간 간극에 위치되어 일면이 폴딩 공간 간극을 이루는 폴딩 안쪽면1 및 폴딩 안쪽면2에 지지되고, 폴더블 몸체의 펼침 상태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화면표시면에 일면이 지지된 상태로 펼침 유지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화면표시면 밖으로 이동될 수 있는 폴딩 공간 삽입물이 적용될 수 있다.
접힘 발생 축 측으로 위치되는 보호케이스1의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1 또는 보호케이스2의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2 끝단에는 폴더블 몸체의 접힘 상태시 접힘 발생 축 끝단 수직면에 형성되는 폴더블 몸체의 반원형 둘레면을 접힘 발생 축으로부터 내측 원주면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어 폴더블 몸체 두께의 절반 이내의 영역을 덮어주는 역방향 꺽임 방지 형상이 형성되어있고, 역방향 꺽임 방지 형상의 내측 원주면 측 끝단에는 폴더블 몸체의 펼침 상태시 접힘 발생 축에 끝단 수직면이 위치되어 상호 마주보며 밀착되는 역방향 꺽임 방지 수직면이 형성되어있다.
폴딩 공간 경사면1 및 폴딩 공간 경사면2의 돌출 끝단부 내측 둘레에는 폴딩 안쪽면1 및 폴딩 안쪽면2의 모서리 부분을 감싸며 고정되는 베젤 걸림턱이 형성되어있으며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1 또는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2에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외부장치 연결을 위해 관통 또는 개방 형성된 연결 개방부,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물리버튼 조작을 위해 관통 또는 개방 형성된 버튼 개방부 또는 터치펜의 수납을 위한 터치펜 인출구가 형성되어있다.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1 또는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2에는 보호케이스1 및 보호케이스2가 적용된 폴더블 영상표시장치가 폴더블 몸체의 펼침 및 접힘 기능이 구비된 거치대의 걸림 고정 부분에 선택적 고정 또는 고정 해제될 수 있도록 거치대 걸림 고정형상이 형성되어있다.
접힘 발생 축 측으로 위치되는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1 및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2의 끝단 부분에는 보호케이스1 및 보호케이스2의 고정을 위해 폴더블 몸체의 둘레 벽면에 형성된 보호케이스 고정구에 보호케이스1 및 보호케이스2가 걸림 고정 또는 나사 고정될 수 있도록 보호케이스 고정 관통구가 형성되어있다.
고정면1 또는 고정면2의 어느 하나에는 폴딩 바깥면1 또는 폴딩 바깥면2의 어느 하나에 적용된 바깥면 디스플레이의 화면표시면을 투과시키는 디스플레이 관통창 또는 투과창이 형성되어있다.
보호케이스1 또는 보호케이스2에는 판상 형태의 카드 수납을 위해 카드 수납공간이 형성되어있고 보호케이스1 또는 보호케이스2의 어느 한쪽에는 에지커버의 분실 방지를 위해 에지커버에 일측 끝단이 연결된 분실 방지줄의 연결을 위한 분실 방지줄 연결구가 형성되어있다.
폴딩 공간 삽입물은 접힘 상태시 폴딩 공간 간극을 이루는 폴딩 안쪽면1 및 폴딩 안쪽면2에 밀착 접촉될 수 있도록 폴딩 안쪽면1 및 폴딩 안쪽면2의 경사를 반영한 접촉면인 삽입물 접촉면을 갖으며 폴딩 공간 삽입물의 자유단 부분은 꾸밈 모양(하트, 클로버, 구름 모양, 동물 모양, 기호 포함), 케릭터 모양(인물, 국기, 상호, 로고, 창조물 포함), 도형 모양(다각형, 원, 타원 포함) 또는 천공 모양(중앙 또는 일부분이 천공)중 어느 하나의 모양을 갖는다.
삽입물 접촉면은 폴딩 공간 간극을 이루는 폴딩 안쪽면에 잔류하는 지문 및 터치 잔류 물질을 닦아 낼 수 있도록 천 또는 극세사 재질로 덮여있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기술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되는 본 발명인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는 폴딩 공간 간극이 접힘 발생 축을 따라 형성되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되는 보호케이스로서, 접힘 발생 축을 기준으로 임의 거리 떨어진 상태로 폴딩 안쪽면1에 일부분 또는 전면이 지지되는 고정면3, 폴딩 바깥면1과 고정면3의 모서리 라인을 따라 접힘 발생 축 부분을 제외한 폴더블 몸체의 둘레 부분을 감싸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화면표시면은 노출 상태로 유지되는 보호케이스 둘레 벽면1과 고정면3으로부터 폴딩 안쪽면1을 벗어나 폴딩 공간 간극 측으로 돌출된 폴딩 공간 경사면3이 형성되어있는 폴딩 공간 돌출부1을 갖는 보호케이스1 및 접힘 발생 축을 기준으로 임의 거리 떨어진 상태로 폴딩 안쪽면2에 일부분 또는 전면이 지지되는 고정면4, 폴딩 바깥면2와 고정면4의 모서리 라인을 따라 접힘 발생 축 부분을 제외한 폴더블 몸체의 둘레 부분을 감싸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화면표시면은 노출 상태로 유지되는 보호케이스 둘레 벽면2와 고정면4로부터 폴딩 안쪽면2을 벗어나 폴딩 공간 간극 측으로 돌출된 폴딩 공간 경사면4가 형성되어있는 폴딩 공간 돌출부2를 갖는 보호케이스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폴딩 공간 돌출부1 및 폴딩 공간 돌출부2의 돌출 높이는 접힘 발생 축으로부터 멀어지며 낮아지고, 접힘 상태시 폴딩 공간 돌출부1 및 폴딩 공간 돌출부2는 폴딩 공간 경사면3 및 폴딩 공간 경사면4가 밀착되어 접힘 발생 축을 따라 폴딩 공간 간극의 일부 또는 전부분을 점유하며 펼침 상태시 폴딩 공간 경사면3 및 폴딩 공간 경사면4가 접힘 발생 축을 기준으로 V자 형상의 하방향 돌출된 경사 상태를 유지한다.
접힘 발생 축 측으로 위치하는 고정면3 및 고정면4의 끝단에는 폴딩 공간 간극의 내측 원주면을 지지할 수 있는 폴딩 지지 원주면이 형성된다.
폴딩 공간 돌출부1의 임의 영역에는 폴딩 공간 돌출부1로부터 폴딩 공간 경사면3을 벗어나 내측 원주면 또는 폴딩 안쪽면2 측으로 폴딩 안쪽면1과 평행한 상태로 돌출 형성된 펼침 지지면1 및 펼침 지지면1의 돌출 끝단으로부터 폴딩 공간 간극 꼭지점 측 폴딩 공간 경사면3 측의 임의 부분을 연결하여 형성된 펼침 지지면2가 형성되어있는 펼침 돌출부1 및 펼침 돌출부1가 형성되지 않은 폴딩 공간 돌출부1의 임의 영역에는 폴딩 공간 돌출부1로부터 폴딩 공간 경사면3을 벗어나 내측 원주면 또는 폴딩 안쪽면1 측으로 폴딩 안쪽면2와 평행한 상태로 함몰 형성된 접힘 지지면1 및 접힘 지지면1의 함몰 끝단으로부터 폴딩 공간 간극 꼭지점 측 폴딩 공간 경사면3 측의 임의 부분을 연결하여 형성된 접힘 지지면2가 형성되어있는 접힘 함몰부1가 형성되어있다.
폴딩 공간 돌출부2의 임의 영역에는 폴딩 공간 돌출부2로부터 폴딩 공간 경사면4를 벗어나 내측 원주면 또는 폴딩 안쪽면1 측으로 폴딩 안쪽면2와 평행한 상태로 돌출 형성된 펼침 지지면3 및 펼침 지지면3의 돌출 끝단으로부터 폴딩 공간 간극 꼭지점 측 폴딩 공간 경사면2 측의 임의 부분을 연결하여 형성된 펼침 지지면4가 형성되어있는 펼침 돌출부2 및 펼침 돌출부2가 형성되지 않은 폴딩 공간 돌출부2의 임의 영역에는 폴딩 공간 돌출부2로부터 폴딩 공간 경사면4를 벗어나 내측 원주면 또는 폴딩 안쪽면2 측으로 폴딩 안쪽면1과 평행한 상태로 함몰 형성된 접힘 지지면3 및 접힘 지지면3의 함몰 끝단으로부터 폴딩 공간 간극 꼭지점 측 폴딩 공간 경사면4측의 임의 부분을 연결하여 형성된 접힘 지지면4가 형성되어있는 접힘 함몰부2가 형성되어있다.
폴더블 몸체의 접힘 상태시 펼침 돌출부1은 접힘 함몰부2의 함몰 영역에 수납되고, 펼침 돌출부2는 접힘 함몰부1의 함몰 영역에 수납되며 폴더블 몸체의 펼침 상태시 펼침 지지면1 및 펼침 지지면3은 동일 평면을 유지한다.
폴딩 지지 원주면과 폴딩 공간 경사면3 및 폴딩 지지 원주면과 폴딩 공간 경사면4가 교차하는 모서리 부분에는 손가락 상처 방지 또는 내측 원주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챔퍼 또는 곡면처리를 포함하는 손상방지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폴더블 몸체의 접힘 상태시 보호케이스1 및 보호케이스2에 의해 덮혀지지 않은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원주면을 덮을 수 있는 터널 형상의 원주면과 폴더블 몸체의 베젤 원주면 또는 접힘 발생 축의 양측 끝단 부분을 덮을수 있는 벽면을 갖는 에지커버가 적용되고 에지커버는 펼침 상태시 접힘 발생 축 부분으로부터 이탈되는 특징을 갖는다.
에지커버와는 별도의 구성품으로서 접힘 발생 축 반대편의 보호케이스 둘레 벽면1 또는 보호케이스 둘레 벽면2 임의 부분에는 일측 끝단이 고정 또는 회전 가능한 상태로 적용되고 반대편 자유단 부분은 접힘 발생 축 부분으로 회전 또는 접힘 이동되어 유연성있는 표시장치를 덮어주는 접힘이 가능한 판상의 형상을 갖으며 폴더블 몸체의 접힘 상태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평면 부분 중 어느 한쪽과 바깥측 원주면을 덮어주는 회전커버가 고정 또는 조립적용된다.
접힘 발생 축 측으로 위치되는 보호케이스 둘레 벽면1 및 보호케이스 둘레 벽면2의 끝단에는 접폴더블 몸체의 접힘 상태시 접힘 발생 축 끝단 수직면에 형성되는 폴더블 몸체의 반원형 둘레면을 접힘 발생 축으로부터 내측 원주면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어 폴더블 몸체 두께의 절반 이내의 영역을 덮어주는 역방향 꺽임 방지 형상이 형성되어있고, 역방향 꺽임 방지 형상의 내측 원주면 측 끝단에는 폴더블 몸체의 펼침 상태시 접힘 발생 축에 끝단 수직면이 위치되어 상호 마주보며 밀착되는 역방향 꺽임 방지 수직면이 형성되어있다.
접힘 발생 축 측으로 위치되는 보호케이스 둘레 벽면1 및 보호케이스 둘레 벽면2의 끝단 부분에는 보호케이스의 고정을 위해 폴더블 몸체의 둘레 벽면에 형성된 보호케이스 고정구에 보호케이스1 및 보호케이스2가 걸림 고정 또는 나사 고정될 수 있도록 보호케이스 고정 관통구가 형성되어있다.
보호케이스 둘레 벽면1 및 보호케이스 둘레 벽면2에는 폴더블 몸체의 폴딩 바깥면1 또는 폴딩 바깥면2의 모서리 부분을 감싸며 고정되는 베젤 걸림턱이 형성되어있으며 고정면3 또는 고정면4의 어느 하나에는 폴딩 안쪽면1 또는 폴딩 안쪽면2의 어느 하나에 적용된 후방 카메라 노출을 위한 후방 카메라 노출구가 형성되어있다.
보호케이스 둘레 벽면1 및 보호케이스 둘레 벽면2에는 폴더블 몸체의 둘레 벽면에 적용된 마이크 또는 통화 스피커의 노출을 위한 관통구1, 물리버튼의 노출을 위한 버튼 개방부,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외부장치 연결을 위해 관통 또는 개방 형성된 연결 개방부 또는 터치펜의 수납을 위한 터치펜 인출구가 형성되어있다.
보호케이스 둘레 벽면1 및 보호케이스 둘레 벽면2에는 보호케이스1 및 보호케이스2가 적용된 폴더블 영상표시장치가 폴더블 몸체의 펼침 및 접힘 기능이 구비된 거치대의 걸림 고정 부분에 선택적 고정 또는 고정 해제될 수 있도록 거치대 걸림 고정형상이 형성되어있으며 펼침 돌출부1 또는 펼침 돌출부2의 어느 하나에는 판상 형태의 카드 수납을 위해 카드 수납공간이 형성되어있다.
펼침 돌출부1를 포함한 폴딩 공간 돌출부1 또는 펼침 돌출부2를 포함한 폴딩 공간 돌출부2의 어느 하나에는 무게 감소 개방공간이 형성되어있다.
보호케이스1 또는 보호케이스2의 어느 한쪽에는 에지커버의 분실 방지를 위해 에지커버에 일측 끝단이 연결된 분실 방지줄의 연결을 위한 분실 방지줄 연결구가 형성되어있다.
회전커버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화면표시면 투과를 위해 투명한 재질 특성을 갖거나 또는 불투명 재질을 갖는 경우에는 폴더블 몸체의 접힘 상태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평면 화면표시면을 투과하는 제1투과창 또는 폴더블 몸체의 접힘 상태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바깥측 원주면 부분을 투과하는 제2투과창을 갖는다.
폴더블 몸체의 접힘 상태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바깥측 원주면 부분을 덮고있는 회전커버의 접힘 발생 축 측 끝단 부분에는 자석, 벨크로 또는 걸림형상이 적용된다.
상기 기술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폴더블 영상표시장치는 접힘 상태시 접힘 기준이 되는 접힘 발생 축, 내측 원주면의 양쪽 끝단이 연장되어 마주보는 폴딩 안쪽면1 및 폴딩 안쪽면2, 바깥측 원주면의 양쪽 끝단이 연장되어 마주보는 폴딩 바깥면1 및 폴딩 바깥면2를 갖는 폴더블 몸체 및 폴딩 바깥면1 및 폴딩 바깥면2에 적용되는 단일의 유연성있는 표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접힘 상태시 접힘 발생 축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상호간의 간격이 좁아지는 폴딩 안쪽면1 및 폴딩 안쪽면2와 내측 원주면에 의해 형성되는 콘(Cone) 형상의 폴딩 공간 간극이 접힘 발생 축을 따라 형성되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로서,
접힘 발생 축을 기준으로 임의 거리 떨어진 상태로 폴딩 안쪽면1로부터 폴딩 안쪽면1을 벗어나 폴딩 공간 간극 측으로 돌출된 폴딩 공간 경사면1이 형성되어있는 폴딩 공간 돌출부1 및 접힘 발생 축을 기준으로 임의 거리 떨어진 상태로 폴딩 안쪽면2로부터 폴딩 안쪽면2을 벗어나 폴딩 공간 간극 측으로 돌출된 폴딩 공간 경사면2가 형성되어있는 폴딩 공간 돌출부2를 포함하며 폴딩 공간 돌출부1 및 폴딩 공간 돌출부2의 돌출 높이는 접힘 발생 축으로부터 멀어지며 낮아지고, 접힘 상태시 폴딩 공간 돌출부1 및 폴딩 공간 돌출부2는 폴딩 공간 경사면1 및 폴딩 공간 경사면2가 밀착되어 접힘 발생 축을 따라 폴딩 공간 간극의 일부 또는 전부분을 점유하며 펼침 상태시 폴딩 공간 경사면1 및 폴딩 공간 경사면2가 접힘 발생 축을 기준으로 V자 형상의 하방향 돌출된 경사 상태를 유지하는 특징을 갖는다.
폴딩 공간 돌출부1의 임의 영역에는 폴딩 공간 돌출부1로부터 폴딩 공간 경사면1을 벗어나 내측 원주면 또는 폴딩 안쪽면2 측으로 폴딩 안쪽면1과 평행한 상태로 돌출 형성된 펼침 지지면1 및 펼침 지지면1의 돌출 끝단으로부터 폴딩 공간 간극 꼭지점 측 폴딩 공간 경사면1 측의 임의 부분을 연결하여 형성된 펼침 지지면2가 형성되어있는 펼침 돌출부1 및 펼침 돌출부1가 형성되지 않은 폴딩 공간 돌출부1의 임의 영역에는 폴딩 공간 돌출부1로부터 폴딩 공간 경사면1을 벗어나 내측 원주면 또는 폴딩 안쪽면1 측으로 폴딩 안쪽면2와 평행한 상태로 함몰 형성된 접힘 지지면1 및 접힘 지지면1의 함몰 끝단으로부터 폴딩 공간 간극 꼭지점 측 폴딩 공간 경사면1 측의 임의 부분을 연결하여 형성된 접힘 지지면2가 형성되어있는 접힘 함몰부1가 형성되어있다.
폴딩 공간 돌출부2의 임의 영역에는 폴딩 공간 돌출부2로부터 폴딩 공간 경사면2를 벗어나 내측 원주면 또는 폴딩 안쪽면1 측으로 폴딩 안쪽면2와 평행한 상태로 돌출 형성된 펼침 지지면3 및 펼침 지지면3의 돌출 끝단으로부터 폴딩 공간 간극 꼭지점 측 폴딩 공간 경사면2 측의 임의 부분을 연결하여 형성된 펼침 지지면4가 형성되어있는 펼침 돌출부2 및 펼침 돌출부2가 형성되지 않은 폴딩 공간 돌출부2의 임의 영역에는 폴딩 공간 돌출부2로부터 폴딩 공간 경사면2를 벗어나 내측 원주면 또는 폴딩 안쪽면2 측으로 폴딩 안쪽면1과 평행한 상태로 함몰 형성된 접힘 지지면3 및 접힘 지지면3의 함몰 끝단으로부터 폴딩 공간 간극 꼭지점 측 폴딩 공간 경사면2측의 임의 부분을 연결하여 형성된 접힘 지지면4가 형성되어있는 접힘 함몰부2;가 형성되어있다.
폴더블 몸체의 접힘 상태시 펼침 돌출부1은 접힘 함몰부2의 함몰 영역에 수납되고, 펼침 돌출부2는 접힘 함몰부1의 함몰 영역에 수납되며 폴더블 몸체의 펼침 상태시 펼침 지지면1 및 펼침 지지면3은 동일 평면을 유지한다.
펼침 돌출부1를 포함한 폴딩 공간 돌출부1 또는 펼침 돌출부2를 포함한 폴딩 공간 돌출부2의 어느 하나에는 무게 감소 개방공간이 형성되어있고 무게 감소 개방공간을 덮는 덮개판이 적용되어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게 된다.
첫째, 콘(Cone) 형상의 폴딩 공간 간극이 접힘 발생 축을 따라 형성되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상태시 힌지 부위에 외력이 가해져도 보호케이스가 외력을 지탱하고 분산시킴으로 인해 힌지 구성품의 파손 가능성을 감소시키며 낙하 충격의 흡수 및 힌지 원주면의 손상 보호가 가능하게 된다.
둘째, 베젤 부분에 적용된 카메라 및 센서류의 간섭없이 보호케이스의 둘레 부분이 접힘 상태시 폴딩 안쪽면에 형성되는 콘(Cone) 형상의 폴딩 공간 간극을 폐쇄시킴으로 인해 화면 표시면의 긁힘 또는 찍힘을 초래할 수 있는 이물질의 폴딩 공간 간극 측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폴딩 공간 간극이 접힘 발생 축을 따라 형성되는 인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접힘상태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의 SECTION CUT A-A의 단면도이며,
도 3은 폴딩 공간 간극이 접힘 발생 축을 따라 형성되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접힘상태 개념도이고,
도 4는 도 2의 SECTION CUT B-B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인폴딩 영상표시장치에 폴딩 공간 돌출부가 적용된 개념도이고,
도 6은 도 3의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폴딩 공간 돌출부가 적용된 개념도이며,
도 7은 도 1의 영상표시장치에 본 발명의 보호케이스1, 보호케이스2 및 에지커버가 적용된 실시예이고,
도 8은 도 7의 SECTION CUT C-C 및 SECTION CUT D-D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7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7의 완전 평면 펼침 상태에 대한 사시도 이며,
도 11은 도 도 10의 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7의 SECTION CUT E-E, SECTION CUT F-F 및 SECTION CUT G-G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13은 도 7에 적용된 보호케이스1의 정면도, 평면도, 좌측면도, 우측면도, 밑면도 및 배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SECTION CUT H-H 및 SECTION CUT I-I에 대한 단면도 및 부분 상세도이며,
도 15는 도 7에 적용된 보호케이스2의 개념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SECTION CUT J-J 및 SECTION CUT K-K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17은 도 7에 적용된 에지커버의 개념도 및 SECTION CUT L-L 및 SECTION CUTM-M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8은 도 1의 영상표시장치에 본 발명의 보호케이스1, 보호케이스2 및 연결판이 적용된 실시예이며,
도 19는 도 18의 펼침 상태에 대한 개념도 및 SECTION CUT N-N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20은 도 1의 영상표시장치에 역방향 꺽임 방지 형상이 반영된 본 발명의 보호케이스1 및 보호케이스2가 적용된 실시예이며,
도 21은 도 7의 실시예에 폴딩 공간 삽입물이 적용된 상태의 접힘상태를 보여주는 실시예 및 SECTION CUT O-O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펼침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및 SECTION CUT P-P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23은 도 22의 펼침상태에서 폴딩 공간 삽입물의 자유단이 회전하여 이동된 상태의 평면도 및 SECTION CUT Q-Q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24는 도 7에 적용된 보호케이스1에 거치대 걸림 고정형상과 보호케이스 고정 관통구가 추가 적용된 개념도 및 SECTION CUT R-R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25는 도 3의 영상표시장치에 본 발명의 보호케이스1, 보호케이스2 및 에지커버가 적용된 실시예이고,
도 26은 도 25의 SECTION CUT S-S, SECTION CUT T-T 및 SECTION CUT U-U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27은 도 26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8은 도 25의 완전 평면 펼침 상태에 대한 평면도 및 정면도 이며,
도 29는 도 28의 SECTION CUT V-V, SECTION CUT W-W 및 SECTION CUT X-X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0은 도 25에 적용된 보호케이스1의 정면도, 평면도, 좌측면도, 밑면도 및 배면도이며,
도 31은 도 30의 SECTION CUT Y-Y, SECTION CUT Z-Z 및 SECTION CUT AA-AA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2는 도 30의 SECTION CUT AB-AB, SECTION CUT AC-AC 및 SECTION CUT AD-AD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33은 도 25에 적용된 보호케이스1의 사시도이고,
도 34는 도 25에 적용된 보호케이스2의 정면도, 평면도, 우측면도, 밑면도 및 배면도이며,
도 35는 도 34의 SECTION CUT AE-AE, SECTION CUT AF-AF 및 SECTION CUT AG-AG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6은 도 34의 SECTION CUT AH-AH, SECTION CUT AI-AI 및 SECTION CUT AJ-AJ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37은 도 34에 적용된 보호케이스2의 사시도이고,
도 38은 도 25에 적용된 에지커버의 개념도 및 SECTION CUT AK-AK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39는 도 3의 영상표시장치에 본 발명의 보호케이스1, 보호케이스2 및 회전커버가 적용된 실시예이고,
도 40은 도 39의 SECTION CUT AL-AL 및 SECTION CUT AM-AM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41은 도 39의 펼침상태시 회전커버의 화면표시면 위의 배치상태 및 회전 이동후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42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거치대 걸림 고정형상과 보호케이스 고정 관통구가 반영된 보호케이스1 및 보호케이스2가 고정되는 개념도이며,
도 43은 도 42의 적용상태에 대한 접힘 상태의 배면도 및 SECTION CUT AN-AN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44는 도 3의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도 25에 적용된 보호케이스1 및 보호케이스2의 폴딩 공간 간극 관련된 형상이 폴더블 몸체에 반영된 실시예의 정면도 및 배면도이며,
도 45는 도 44의 SECTION CUT AO-AO 및 SECTION CUT AP-AP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46은 도 44의 펼침상태에 대한 후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설명의 순서에 따라 제시되는 참조 부호는 그 순서에 반드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폴딩 공간 간극이 접힘 발생 축을 따라 형성되는 인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접힘상태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의 SECTION CUT A-A의 단면도이며, 도 3은 폴딩 공간 간극이 접힘 발생 축을 따라 형성되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접힘상태 개념도이고, 도 4는 도 2의 SECTION CUT B-B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인폴딩 영상표시장치는 접힘 상태시 접힘 기준이 되는 접힘 발생 축(111), 접힘 상태시 접힘 측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원주면(112)의 양쪽 끝단이 연장되어 마주보는 폴딩 안쪽면1(113) 및 폴딩 안쪽면2(114), 접힘 상태시 접힘 측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바깥측 원주면(115)의 양쪽 끝단이 연장되어 마주보는 폴딩 바깥면1(116) 및 폴딩 바깥면2(117)를 갖는 폴더블 몸체(110) 및 폴딩 안쪽면1(113)과 폴딩 안쪽면2(114)에 적용되는 단일의 유연성있는 표시장치(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폴딩 바깥면1(116) 또는 폴딩 바깥면2(117)에는 추가 디스플레이 장치인 바깥면 디스플레이(130)가 적용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는 접힘 상태시 접힘 기준이 되는 접힘 발생 축(111), 접힘 상태시 접힘 측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원주면(112)의 양쪽 끝단이 연장되어 마주보는 폴딩 안쪽면1(113) 및 폴딩 안쪽면2(114), 접힘 상태시 접힘 측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바깥측 원주면(115)의 양쪽 끝단이 연장되어 마주보는 폴딩 바깥면1(116) 및 폴딩 바깥면2(117)를 갖는 폴더블 몸체(110) 및 폴딩 바깥면1(116)과 폴딩 바깥면2(117)에 적용되는 단일의 유연성있는 표시장치(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무터 도 4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폴딩 안쪽면1(113) 및 폴딩 바깥면1(116)와 폴딩 안쪽면2(114) 및 폴딩 바깥면2(117)의 둘레를 따라 폴더블 몸체 바깥 둘레면(118)이 형성되어 있으며 폴더블 몸체 바깥 둘레면(118)의 접힙 발생 축 부분은 접힘 및 펼침 상태 전환시 길이 변화에 따른 신장 및 수축이 발생하므로 고무 또는 천과 같은 신축성 있는 재질이 적용된다.
도 1의 인폴딩 영상표시장치 및 도 3의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상태시 접힘 발생 축(111)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상호간의 간격이 좁아지는 폴딩 안쪽면1(113) 및 폴딩 안쪽면2(114)와 내측 원주면(112)에 의해 형성되는 콘(Cone) 형상의 폴딩 공간 간극(140)이 접힘 발생 축(111)을 따라 접힘 발생 축(111)의 일측 끝단부터 반대편 끝단까지 막힘없이 개방 형성되며 펼침 상태로의 전환시 폴딩 공간 간극(140)은 개방되며 사라진다.
도 1 및 도 3과 같이 접힘 상태시 폴딩 공간 간극(140)이 형성되는 인폴딩 영상표시장치 또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상태 힌지 관련 부분에 외력이 작용하면 폴딩 공간 간극(140) 영역에 하중 지지면 또는 지지점을 갖지 않는 구조로 인해 폴딩 안쪽면1(113) 및 폴딩 안쪽면2(114) 또는 내측 원주면(112)이 폴딩 공간 간극(140) 측으로 밀리는 변형이 발생되고 변형 정도가 힌지가 버틸 수 있는 한계치를 초과하면 힌지의 파손 또는 원상회복 불가능한 변형이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힌지의 파손 또는 변형은 유연성있는 표시장치(120)의 손상 또는 뒤틀림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접힘 상태시 개방 형성된 폴딩 공간 간극(140) 측으로 날카로운 이물질이 유입되면 유연성있는 표시장치(120)의 화면표시면 찍힘 또는 탄성 성질을 갖는 내측 원주면(112)의 찢어짐이 발생할 수 있다.
폴딩 공간 간극(140)으로 인한 인폴딩 영상표시장치 또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인에 의해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악세사리 특허(대한민국 출원특허 : 10-2018-0139604)가 제시되었다.
본 발명인에 의해 제시된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악세사리는 폴딩 공간 간극 영역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폴딩 공간 삽입물과 화면표시면 영역 밖의 폴딩 안쪽면에 적용되는 폴딩 공간 지지물이 제시되었고 폴딩 공간 지지물은 폴더블 몸체(110)에 직접 반영될 수 도 있음이 제시되었다.
도 5는 도 1의 인폴딩 영상표시장치에 폴딩 공간 돌출부가 적용된 개념도이고, 도 6은 도 3의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폴딩 공간 돌출부가 적용된 개념도이다.
도 5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폴더블 몸체(110)의 화면표시면 영역 밖의 폴딩 안쪽면1(113) 및 폴딩 안쪽면(114)에 폴딩 공간 지지물이 직접 반영될 수 있고 도 6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폴더블 몸체(110)의 폴딩 안쪽면1(113) 및 폴딩 안쪽면(114) 임의 위치에 폴딩 공간 지지물이 직접 반영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도 1의 인폴딩 영상표시장치에 폴딩 공간 지지물이 적용되면 폴딩 안쪽면1(113) 또는 폴딩 안쪽면2(114)의 베젤 부분에 배치되있는 카메라 또는 센서류와 간섭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과 함께 베젤이 없는 경우에는 폴딩 공간 지지물이 적용될 위치 확보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도 6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도 3의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폴딩 안쪽면1(113) 또는 폴딩 안쪽면2(114)에 폴딩 공간 돌출부1(150) 또는 폴딩 공간 돌출부2(150a) 형상을 갖는 폴딩 공간 지지물이 적용되면 접힘 상태시 발생되는 폴딩 공간 간극(140)으로 인한 일부 문제점은 해결 될 수 있다.
그러나 도 6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접힘 상태시 폴딩 공간 간극(140)의 접힘 발생 축(111) 부분의 내측 원주면(112) 부분은 여전히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고 하중 지지점도 없는 상태이다.
또한 펼침 상태시 폴딩 공간 돌출부1(150)의 폴딩 공간 경사면1(151) 및 폴딩 공간 돌출부2(150a)의 폴딩 공간 경사면2(151a)의 경사진 특징으로 인해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않고 사용자의 터치 조작시 시소 동작(SEESAW MOVEMENT)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폴딩 공간 지지물이 적용되어도 접힘 상태시 인장 상태로 유지되는 폴더블 몸체(110)의 바깥측 원주면(115)의 보호는 이루어지지 않아 외부 충격에 의해 터짐이 발생할 문제점이 존재한다.
상기의 해결되지 않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인에 의해 폴더블 영상표시장치 및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가 제시된다.
도 7은 도 1의 영상표시장치에 본 발명의 보호케이스1, 보호케이스2 및 에지커버가 적용된 실시예이고, 도 8은 도 7의 SECTION CUT C-C 및 SECTION CUT D-D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7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7의 완전 평면 펼침 상태에 대한 사시도 이며, 도 11은 도 도 10의 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7의 SECTION CUT E-E, SECTION CUT F-F 및 SECTION CUT G-G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13은 도 7에 적용된 보호케이스1의 정면도, 평면도, 좌측면도, 우측면도, 밑면도 및 배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SECTION CUT H-H 및 SECTION CUT I-I에 대한 단면도 및 부분 상세도이며, 도 15는 도 7에 적용된 보호케이스2의 개념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SECTION CUT J-J 및 SECTION CUT K-K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17은 도 7에 적용된 에지커버의 개념도 및 SECTION CUT L-L 및 SECTION CUTM-M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8은 도 1의 영상표시장치에 본 발명의 보호케이스1, 보호케이스2 및 연결판이 적용된 실시예이며, 도 19는 도 18의 펼침 상태에 대한 개념도 및 SECTION CUT N-N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20은 도 1의 영상표시장치에 역방향 꺽임 방지 형상이 반영된 본 발명의 보호케이스1 및 보호케이스2가 적용된 실시예이며, 도 21은 도 7의 실시예에 폴딩 공간 삽입물이 적용된 상태의 접힘상태를 보여주는 실시예 및 SECTION CUT O-O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펼침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및 SECTION CUT P-P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23은 도 22의 펼침상태에서 폴딩 공간 삽입물의 자유단이 회전하여 이동된 상태의 평면도 및 SECTION CUT Q-Q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24는 도 7에 적용된 보호케이스1에 거치대 걸림 고정형상과 보호케이스 고정 관통구가 추가 적용된 개념도 및 SECTION CUT R-R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7부터 도 24는 도 1의 인폴딩 영상표시장치에 본 발명인이 제시하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가 적용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도 7, 도 9, 도 10, 도 11, 도 13, 도 15 및 도 17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인이 제시하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에 대한 제 1실시예는 폴더블 몸체(110)의 접힘 발생 축(111)을 기준으로 임의 거리 떨어진 상태로 폴딩 바깥면1(113)을 감싸며 지지되는 고정면1(210)과 폴더블 몸체(110)의 접힘 발생 축(111) 부분을 제외한 폴더블 몸체 바깥 둘레면(118)을 감싸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120)의 화면표시면은 노출 상태로 유지되고 고정면1(210)로부터 폴딩 안쪽면1(113)을 벗어나 폴딩 공간 간극(140) 측으로 돌출된 폴딩 공간 경사면1(221)이 형성되어있는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1(220)을 갖는 보호케이스1(200) 및 접힘 발생 축(111)을 기준으로 임의 거리 떨어진 상태로 폴딩 바깥면2(117)을 감싸며 지지되는 고정면2(310)와 폴더블 몸체(110)의 접힘 발생 축(111) 부분을 제외한 폴더블 몸체 바깥 둘레면(118)을 감싸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120)의 화면표시면은 노출 상태로 유지되고 고정면2(310)로부터 폴딩 안쪽면2(114)을 벗어나 폴딩 공간 간극(140) 측으로 돌출된 폴딩 공간 경사면2(321)이 형성되어있는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2(320)를 갖는 보호케이스2(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7, 도 9,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 1실시예의 보호케이스1(200) 및 보호케이스2(300)는 기존 판상형 스마트폰을 위한 보호케이스가 판상형 스마트폰의 바깥 둘레를 끊김없이 연속된 사각형의 폐쇄된 둘레 형상을 갖는 것과 달리 폴더블 몸체(110)의 접힘 및 펼침시 길이 변화가 요구되는 접힘 발생 축(111) 부분에서 보호케이스1(200) 및 보호케이스2(300)가 분리되어 구성되며 분리 결과로 인해 보호케이스1(200) 및 보호케이스2(300)의 접힘 발생 축(111) 측에는 폴더블 몸체 바깥 둘레면(118)을 감싸는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1(220) 및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2(320)이 형성되지 않고 개방된 상태를 갖는다.
도 12, 도 13,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1(220) 및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2(320)의 돌출 높이는 접힘 발생 축(111)으로부터 멀어지며 낮아지고, 접힘 상태시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1(220) 및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2(320)는 폴딩 공간 경사면1(221) 및 폴딩 공간 경사면2(321)가 밀착되어 접힘 발생 축(111) 끝단의 폴딩 공간 간극(140) 일부 또는 전부분을 점유하여 폐쇄시킨다.
접힘 상태시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1(220) 및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2(320)는 폴딩 공간 경사면1(221) 및 폴딩 공간 경사면2(321)가 밀착되어 접힘 발생 축(111)을 따라 폴딩 공간 간극(140)의 일부 또는 전부분을 점유하며 접힘 발생 축(111) 양측 끝단에 개방 형성된 폴딩 공간 간극(140)을 폐쇄시키므로 폴딩 공간 간극(140) 측으로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시킬 수 있으며 폴더블 몸체(110)의 반복되는 접힘 및 펼침 상태 전환시 내측 원주면(112)의 찍힘 및 터짐과 같은 외부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0부터 도 12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폴더블 몸체(110)의 펼침 상태시 폴딩 공간 경사면1(221) 및 폴딩 공간 경사면2(321)가 유연성있는 표시장치(120)의 화면표시면 밖으로 돌출 유지된다.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1(220) 및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2(320)의 돌출 높이가 접힘 발생 축(111)으로부터 멀어지며 낮아지는 것은 도 13 및 도 15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높이 h2가 높이 h1보다 큰 값을 갖음(h2 > h1)으로 알 수 있으며 이는 도 12에 제시된 T1 치수가 T2 치수보다 큼(T1 > T2)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도 7 및 도 10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폴더블 몸체(110)의 접힘 상태시 폴딩 공간 경사면1(221) 및 폴딩 공간 경사면2(321)의 밀착 으로 인해 폴딩 공간 간극(140) 측으로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또한 폴더블 몸체(110)의 폴딩 바깥면1(116) 또는 폴딩 바깥면2(117) 측으로부터 폴딩 공간 간극(140) 측으로 외력이 가해질 경우 밀착하고 있는 폴딩 공간 경사면1(221) 및 폴딩 공간 경사면2(321)에 의해 외력이 분산되는 효과를 얻어 힌지 부분의 파손을 억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적용된 보호케이스1(200) 및 보호케이스2(300)는 도 5와의 경우와 같이 베젤 부분에 적용된 카메라 또는 센서들과 간섭을 이루는 문제도 발생하지 않으며 베젤의 폭이 축소되어도 적용상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도 갖는다.
도 1의 인폴딩 영상표시장치에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이루는 보호케이스1(200) 및 보호케이스2(300)를 적용하여도 접힘 상태시 폴더블 몸체(110)의 바깥측 원주면(115)을 낙하를 포함한 외부 충격 또는 찍힘과 같은 손상을 방지 할 수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는 도 7,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접힘 발생 축(111) 부위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적용 및 적용해제 되는 에지커버(400)가 적용된다.
에지커버(400)는 폴더블 몸체(110)의 접힘 상태시 보호케이스1(200) 및 보호케이스29300)에 의해 덮혀지지 않은 바깥측 원주면(115)을 덮을 수 있는 터널 형상의 원주면과 폴더블 몸체(110)의 접힘 발생 축(111) 양측 끝단 부분을 덮을수 있는 벽면을 갖으며 접힘 상태시 사용자에 의해 적용되고 펼침 상태 전환시 접힘 발생 축 부분으로부터 자동 이탈되는 특징을 갖는다.
폴더블 몸체(110)의 접힘 상태시 적용된 에지커버(400)가 접힘 발생 축(11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내측 원주면(112)에 걸림 유지되도록 에지커버(400)의 접힘 발생 축(111) 끝단 양측 부분에는 걸림 돌출부(42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접힘 발생 축(111)으로부터 이탈된 에지커버(400)가 최소화되어 유지될 수 있도록 에지커버(400)는 수축이 가능한 재질 또는 접힘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접힘 발생 축(111)으로부터 이탈된 에지커버(400)가 분실되지 않도록 보호케이스1(200) 또는 보호케이스2(300)의 어느 한쪽에는 에지커버(400)에 일측 끝단이 연결된 분실 방지줄(410)의 연결을 위한 분실 방지줄 연결구(270)가 형성되어있다.
도 7, 도 8, 도 9, 도 12, 도 13, 도 14, 도 15, 도 16 및 도 24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적용된 보호케이스1(200) 또는 보호케이스2(300)는 이하 서술되는 특징을 갖는다.
폴딩 공간 경사면1(221) 및 폴딩 공간 경사면2(321)의 돌출 끝단부 내측 둘레에는 폴딩 안쪽면1(113) 및 폴딩 안쪽면2(114)의 모서리 부분을 감싸며 고정되는 베젤 걸림턱(224)이 형성되어있다.
베젤 걸림턱(224) 형상을 이용해 보호케이스1(200) 및 보호케이스2(300)가 접힘 발생 축(111) 부분을 제외한 폴더블 몸체(110)의 폴더블 몸체 바깥 둘레면(118)을 압박하며 유지된다.
그러나 보호케이스1(200) 및 보호케이스2(300)의 접힘 발생 축(111) 부분이 개방된 구조를 갖음으로 인해 보호케이스1(200) 및 보호케이스2(300)의 접힘 발생 축(111) 끝단 부분이 폴더블 몸체 바깥 둘레면(118)으로부터 이탈되며 벌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보호케이스1(200) 및 보호케이스2(300)를 폴더블 몸체(110)에 고정시키는 접착제의 적용이 고려될 수 있다.
접착제가 적용되는 경우 보호케이스1(200) 및 보호케이스2(300)의 고정 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 될 수 있으나 완벽한 고정은 어려우며 보호케이스1(200) 또는 보호케이스2(300)의 교체시 접착제를 제거해야는 문제점과 함께 접착제 제거시 폴더블 몸체(110)의 접착면 적용 부위가 손상될 수 잇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베젤 걸림턱(224)와 함께 적용되어 보호케이스1(200) 및 보호케이스2(300)를 폴더블 몸체 바깥 둘레면(118) 또는 폴딩 바깥면(116, 117)에 걸림 고정시키는 형상의 적용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도 1 및 도 24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접힘 발생 축(111) 측으로 위치되는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1(220) 및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2(320)의 끝단 부분에는 보호케이스1(200) 및 보호케이스2(300)의 고정을 위해 폴더블 몸체 바깥 둘레면(118)에 형성된 보호케이스 고정구(190)에 보호케이스1(200) 및 보호케이스2(300)가 걸림 고정 또는 나사 고정될 수 있도록 보호케이스 고정 관통구(229)이 형성된다.
보호케이스 고정 관통구(229)에는 폴더블 몸체(110)의 보호케이스 고정구(190)에 나사 결합되는 보호케이스 고정나사(900)가 적용된다.
보호케이스 고정나사(900)와 보호케이스 고정 관통구(229)를 하나의 형상으로 결합하여 나사 결합이 아닌 끼움 방식으로 보호케이스 고정구(190)에 고정되는 방식의 고려 또한 가능하며 이는 보호케이스 고정 관통구(229)와 동일한 개념이다.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1(220) 또는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2(320)에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외부장치 연결을 위해 관통 또는 개방 형성된 연결 개방부(225),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물리버튼 조작을 위해 관통 또는 개방 형성된 버튼 개방부(226) 또는 터치펜의 수납을 위한 터치펜 인출구(227)가 형성되어있다.
도 24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1(220) 또는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2(320)에는 보호케이스1(200) 및 보호케이스2(300)가 적용된 폴더블 영상표시장치가 폴더블 몸체(110)의 펼침 및 접힘 기능이 구비된 거치대의 걸림 고정 부분에 선택적 고정 또는 고정 해제될 수 있도록 거치대 걸림 고정형상(228)이 1개 이상 형성되어있다.
도 7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폴더블 몸체(110)에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구성품인 보호케이스1(200), 보호케이스2(300) 및 에지커버(400)가 적용된 접힘 상태에서는 폴더블 몸체(110)의 펼침 및 접힘 기능이 구비된 거치대가 보호케이스1(200) 부분과 보호케이스2(300) 부분을 분리하여 거치하기가 어렵다.
이를 위해서는 폴더블 몸체(110)의 펼침 및 접힘 기능이 구비된 거치대에 사용자가 폴더블 영상표시장치를 접힘 상태에서 거치시 보호케이스1(200) 부분과 보호케이스2(300) 부분을 분리하여 걸림할 기준 형상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1(220) 및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2(320)에 하나 이상의 거치대 걸림 고정형상(228)이 형성되어진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제시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으나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1(220) 또는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2(320)의 둘레 벽면 모서리 부분에는 낙하 충격 흡수를 위해 둘레 벽면 바깥으로 돌출된 모서리 범퍼가 형성됨이 바람직 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제시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으나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1(220) 또는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2(220) 중 접힘 발생 축(111)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평행한 둘레 벽면에는 사용자의 펼침 조작시 손가락 미끄러짐 방지를 위해 손가락 걸림형상의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폴딩 안쪽면(113, 114)에 적용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120)과 별도로 폴딩 바깥면(116, 117)의 어느 한쪽에 바깥면 디스플레이(130)가 별도로 적용될 수 있다.
도 7, 도 8, 도 9, 도 12,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보호케이스1(200)의 고정면1 또는 보호케이스2(300)의 고정면2 중 어느 하나에는 폴딩 바깥면1(116) 또는 폴딩 바깥면2(117)의 어느 하나에 적용된 바깥면 디스플레이(130)의 화면표시면을 투과시키는 디스플레이 관통창 또는 투과창(240)이 형성되어있다.
디스플레이 관통창 또는 투과창(240)에는 관통 형상을 이룰 경우 화면표시면을 보호하는 별도의 보호필름이 적용될 수 있으며 보호케이스1(200) 또는 보호케이스2(300)가 투명한 재질인 경우에는 관통형상없이 투명 특성을 이용하여 화면표시면의 확인이 가능하게된다.
도 13 및 도 15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고정면1(210) 또는 고정면2(310)의 어느 하나에는 폴딩 바깥면1(116) 또는 폴딩 바깥면2(117)의 어느 하나에 적용된 근접센서, 전방 카메라, 홈버튼, 마이크 또는 통화 스피커의 노출을 위한 관통구1(250) 및 고정면1(210) 또는 고정면2(310)의 어느 하나에는 폴딩 바깥면1(116) 또는 폴딩 바깥면2(117)의 어느 하나에 적용된 후방 카메라(180) 노출을 위한 후방 카메라 노출구(252)가 형성되어있다.
도 7, 도 8, 도 9,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보호케이스1(200)의 고정면1(210) 또는 보호케이스2(300)의 고정면2(310) 내측에는 판상 형태의 카드(800) 수납을 위해 폴딩 바깥면1(116) 또는 폴딩 바깥면2(117) 측으로 일면이 개방 되어있는 카드 수납공간(260)이 형성되어으며 고정면1(210) 또는 고정면2(310)의 일부분이 인출구를 갖는 형태의 함몰 형상 또는 카드 인출 트레이의 적용을 위한 카드 인출구 형상(261) 형성되어있다.
도 7, 도 8, 도 9, 도 12, 도 13, 도 14, 도 15, 도 16 및 도 24에 나타내어진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적용된 보호케이스1(200) 또는 보호케이스2(300)의 서술은 이상으로 마친다.
도 18은 도 1의 인폴딩 영상표시장치에 보호케이스1(200) 및 보호케이스2(200)가 적용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이다.
도 18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 2실시예는 폴더블 몸체(110)의 접힘 발생 축(111)을 기준으로 임의 거리 떨어진 상태로 폴딩 바깥면1(113)을 감싸며 지지되는 고정면1(210)과 폴더블 몸체(110)의 접힘 발생 축(111) 부분을 제외한 폴더블 몸체 바깥 둘레면(118)을 감싸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120)의 화면표시면은 노출 상태로 유지되고 고정면1(210)로부터 폴딩 안쪽면1(113)을 벗어나 폴딩 공간 간극(140) 측으로 돌출된 폴딩 공간 경사면1(221)이 형성되어있는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1(220)을 갖는 보호케이스1(200) 및 접힘 발생 축(111)을 기준으로 임의 거리 떨어진 상태로 폴딩 바깥면2(117)을 감싸며 지지되는 고정면2(310)와 폴더블 몸체(110)의 접힘 발생 축(111) 부분을 제외한 폴더블 몸체 바깥 둘레면(118)을 감싸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120)의 화면표시면은 노출 상태로 유지되고 고정면2(310)로부터 폴딩 안쪽면2(114)을 벗어나 폴딩 공간 간극(140) 측으로 돌출된 폴딩 공간 경사면2(321)이 형성되어있는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2(320)를 갖는 보호케이스2(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접힘 발생 축(111)을 기준으로 상호 분리된 보호케이스1(200) 및 보호케이스2(300)는 폴더블 몸체(110)의 바깥측 원주면(115)을 덮어주는 연결판(500)에 의해 연결되고 연결판(500)은 접힘이 자유롭고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된다.
도 19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 2실시예의 보호케이스1(200) 및 보호케이스2(300)는 제 1실시예에서 언급된 보호케이스1(200) 및 보호케이스2(300)의 특징을 동일하게 갖으며 이에 대한 별도의 서술은 생략한다.
도 20은 도 1의 인폴딩 영상표시장치에 보호케이스1(200) 및 보호케이스2(200)가 적용된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이다.
도 20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 3실시예는 폴더블 몸체(110)의 접힘 발생 축(111)을 기준으로 임의 거리 떨어진 상태로 폴딩 바깥면1(113)을 감싸며 지지되는 고정면1(210)과 폴더블 몸체(110)의 접힘 발생 축(111) 부분을 제외한 폴더블 몸체 바깥 둘레면(118)을 감싸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120)의 화면표시면은 노출 상태로 유지되고 고정면1(210)로부터 폴딩 안쪽면1(113)을 벗어나 폴딩 공간 간극(140) 측으로 돌출된 폴딩 공간 경사면1(221)이 형성되어있는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1(220)을 갖는 보호케이스1(200) 및 접힘 발생 축(111)을 기준으로 임의 거리 떨어진 상태로 폴딩 바깥면2(117)을 감싸며 지지되는 고정면2(310)와 폴더블 몸체(110)의 접힘 발생 축(111) 부분을 제외한 폴더블 몸체 바깥 둘레면(118)을 감싸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120)의 화면표시면은 노출 상태로 유지되고 고정면2(310)로부터 폴딩 안쪽면2(114)을 벗어나 폴딩 공간 간극(140) 측으로 돌출된 폴딩 공간 경사면2(321)이 형성되어있는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2(320)를 갖는 보호케이스2(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0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접힘 발생 축(111) 측으로 위치되는 보호케이스1(200)의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1(220) 또는 보호케이스2(300)의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2(320) 끝단에는 폴더블 몸체(110)의 접힘 상태시 접힘 발생 축(111) 끝단 수직면에 형성되는 폴더블 몸체(110)의 반원형 둘레면을 접힘 발생 축(111)으로부터 내측 원주면(112)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어 폴더블 몸체(110) 두께의 절반 이내의 영역을 덮어주는 역방향 꺽임 방지 형상(222, 322)이 형성되어있고, 역방향 꺽임 방지 형상(222, 322)의 내측 원주면(112) 측 끝단에는 폴더블 몸체(110)의 펼침 상태시 접힘 발생 축(111)에 끝단 수직면이 위치되어 상호 마주보며 밀착되는 역방향 꺽임 방지 수직면(223, 323)이 형성되어있다.
도 20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역방향 꺽임 방지 형상(222)이 형성된 보호케이스1(200)와 역방향 꺽임 방지 형상(322)이 형상된 보호케이스2(300)가 폴더블 몸체(110)에 적용되면 제 2실시예에 적용된 연결판(500)이 없어도 폴더블 몸체(110)의 펼침 상태시 폴딩 바깥면1(116), 폴딩 바깥면2(117) 및 펴염 상태로 전환된 바깥측 원주면(115) 부분을 모두 덮을 수 있다.
또한 폴더블 몸체(110)의 펼침 상태시 보호케이스1(200)의 역방향 꺽임 방지 수직면(223)과 보호케이스2(300)의 역방향 꺽임 방지 수직면(323)이 접힘 발생 축(111) 측에 위치되며 상호 밀착 지지되는 형상을 갖음으로 인해 사용자가 평면 펼침상태에서 접는 방향이 아닌 혼동하여 역방향으로 접는 회전력을 작용한다 하여도 회전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를 통해 역방향 회전시 파손될 수 있는 힌지 구조물을 원천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20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 3실시예의 보호케이스1(200) 및 보호케이스2(300)는 제 1실시예에서 언급된 보호케이스1(200) 및 보호케이스2(300)의 특징을 동일하게 갖으며 이에 대한 별도의 서술은 생략한다.
도 7부터 도 20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 1실시예, 제 2실시예 및 제 3 실시예 모두 폴더블 몸체 바깥 둘레면(118)을 감싸는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1(220) 및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2(320)이 적용된 보호케이스1(200)과 보호케이스2(300)가 적용되어있으며 폴더블 몸체(110)의 접힘 상태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120)의 화면표시면측에 위치하는 폴딩 공간 간극(140)의 외력지지 방안은 고려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인에 의해 출원된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악세사리 특허(대한민국 출원특허 : 10-2018-0139604)에 제시된 폴딩 공간 삽입물은 폴더블 몸체(110)의 접힘 상태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120)의 화면표시면측에 형성되는 폴딩 공간 간극(140)에 사용자에 의해 적용되어 일부분을 점유하며 외력을 지탱하고 폴더블 몸체(110)의 펼침 상태 전환시 사용자에 의해 화면표시면 영역 밖으로 이동배치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폴딩 공간 삽입물은 폴더블 몸체(110)의 접힘 상태시 형성되는 바깥측 원주면(115)을 보호하지 못하며 신축성있는 재질 특성을 갖는 폴더블 몸체 바깥 둘레면(118) 또한 보호할 수 없다.
폴더블 몸체(110)의 접힘 상태시 폴더블 몸체(110)의 바깥측 원주면(115)과 신축성있는 재질 특성을 갖는 폴더블 몸체 바깥 둘레면(118)을 보호하고 더불어 유연성있는 표시장치(120)의 화면표시면측에 형성되는 폴딩 공간 간극(140)의 하중 지지능력을 얻을 수 있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가 제시된다.
도 21,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는 폴더블 몸체(110)의 접힘 발생 축(111)을 기준으로 임의 거리 떨어진 상태로 폴딩 바깥면1(113)을 감싸며 지지되는 고정면1(210)과 폴더블 몸체(110)의 접힘 발생 축(111) 부분을 제외한 폴더블 몸체 바깥 둘레면(118)을 감싸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120)의 화면표시면은 노출 상태로 유지되고 고정면1(210)로부터 폴딩 안쪽면1(113)을 벗어나 폴딩 공간 간극(140) 측으로 돌출된 폴딩 공간 경사면1(221)이 형성되어있는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1(220)을 갖는 보호케이스1(200) 및 접힘 발생 축(111)을 기준으로 임의 거리 떨어진 상태로 폴딩 바깥면2(117)을 감싸며 지지되는 고정면2(310)와 폴더블 몸체(110)의 접힘 발생 축(111) 부분을 제외한 폴더블 몸체 바깥 둘레면(118)을 감싸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120)의 화면표시면은 노출 상태로 유지되고 고정면2(310)로부터 폴딩 안쪽면2(114)을 벗어나 폴딩 공간 간극(140) 측으로 돌출된 폴딩 공간 경사면2(321)이 형성되어있는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2(320)를 갖는 보호케이스2(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1(220) 또는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2(320)의 둘레 벽면에는 폴딩 공간 삽임물 고정부(620)에 의해 일측 끝단이 연결 또는 고정되고 반대편 자유단은 폴더블 몸체(110)의 접힘 상태시 사용자에 의해 폴딩 공간 간극(140)에 위치되어 일면이 폴딩 공간 간극(140)을 이루는 폴딩 안쪽면1인 유연성있는 표시장치(120)의 화면표시면 및 폴딩 안쪽면2인 유연성있는 표시장치(120)의 화면표시면에 지지되고, 폴더블 몸체(110)의 펼침 상태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120)의 화면표시면에 일면이 지지된 상태로 펼침 유지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화면표시면 밖으로 이동되는 폴딩 공간 삽입물(600)이 적용된다.
폴딩 공간 삽입물(600)은 접힘 상태시 폴딩 공간 간극(140)을 이루는 폴딩 안쪽면1(113) 및 폴딩 안쪽면2(114)에 밀착 접촉될 수 있도록 폴딩 안쪽면1(113) 및 폴딩 안쪽면2(114)의 경사를 반영한 접촉면인 삽입물 접촉면(610)을 갖는다.
폴딩 공간 삽입물(600)의 자유단 부분은 꾸밈 모양(하트, 클로버, 구름 모양, 동물 모양, 기호 포함), 케릭터 모양(인물, 국기, 상호, 로고, 창조물 포함), 도형 모양(다각형, 원, 타원 포함) 또는 천공 모양(중앙 또는 일부분이 천공)중 어느 하나의 모양을 갖는다.
삽입물 접촉면(610)은 폴딩 공간 간극(140)을 이루는 폴딩 안쪽면(113, 114)에 잔류하는 지문 및 터치 잔류 물질을 닦아 낼 수 있도록 천 또는 극세사 재질로 덮여있는 특징을 갖는다.
도 25는 도 3의 영상표시장치에 본 발명의 보호케이스1, 보호케이스2 및 에지커버가 적용된 실시예이고, 도 26은 도 25의 SECTION CUT S-S, SECTION CUT T-T 및 SECTION CUT U-U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27은 도 26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8은 도 25의 완전 평면 펼침 상태에 대한 평면도 및 정면도 이며, 도 29는 도 28의 SECTION CUT V-V, SECTION CUT W-W 및 SECTION CUT X-X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0은 도 25에 적용된 보호케이스1의 정면도, 평면도, 좌측면도, 밑면도 및 배면도이며, 도 31은 도 30의 SECTION CUT Y-Y, SECTION CUT Z-Z 및 SECTION CUT AA-AA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2는 도 30의 SECTION CUT AB-AB, SECTION CUT AC-AC 및 SECTION CUT AD-AD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33은 도 25에 적용된 보호케이스1의 사시도이고, 도 34는 도 25에 적용된 보호케이스2의 정면도, 평면도, 우측면도, 밑면도 및 배면도이며, 도 35는 도 34의 SECTION CUT AE-AE, SECTION CUT AF-AF 및 SECTION CUT AG-AG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6은 도 34의 SECTION CUT AH-AH, SECTION CUT AI-AI 및 SECTION CUT AJ-AJ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37은 도 34에 적용된 보호케이스2의 사시도이고, 도 38은 도 25에 적용된 에지커버의 개념도 및 SECTION CUT AK-AK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39는 도 3의 영상표시장치에 본 발명의 보호케이스1, 보호케이스2 및 회전커버가 적용된 실시예이고, 도 40은 도 39의 SECTION CUT AL-AL 및 SECTION CUT AM-AM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41은 도 39의 펼침상태시 회전커버의 화면표시면 위의 배치상태 및 회전 이동후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42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거치대 걸림 고정형상과 보호케이스 고정 관통구가 반영된 보호케이스1 및 보호케이스2가 고정되는 개념도이며, 도 43은 도 42의 적용상태에 대한 접힘 상태의 배면도 및 SECTION CUT AN-AN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5부터 도 43은 도 3의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본 발명인이 제시하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가 적용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도 25부터 도 29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인이 제시하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에 대한 제 5실시예는 폴더블 몸체(110)의 접힘 발생 축(111)을 기준으로 임의 거리 떨어진 상태로 폴딩 안쪽면1(113)을 감싸며 지지되는 고정면3(280), 폴딩 바깥면1(116)과 고정면3(280)의 모서리 라인을 따라 접힘 발생 축(111) 부분을 제외한 폴더블 몸체(110)의 폴더블 몸체 바깥 둘레면(118)을 감싸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120)의 화면표시면은 노출 상태로 유지되는 보호케이스 둘레 벽면1(281)과 고정면3(280)으로부터 폴딩 안쪽면1(113)을 벗어나 폴딩 공간 간극(140) 측으로 돌출된 폴딩 공간 경사면3(282)이 형성되어있는 폴딩 공간 돌출부1(283)을 갖는 보호케이스1(200) 및 접힘 발생 축(111)을 기준으로 임의 거리 떨어진 상태로 폴딩 안쪽면2(114)를 감싸며 지지되는 고정면4(380), 폴딩 바깥면2(117)와 고정면4(380)의 모서리 라인을 따라 접힘 발생 축(111) 부분을 제외한 폴더블 몸체(110)의 폴더블 몸체 바깥 둘레면(118)을 감싸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120)의 화면표시면은 노출 상태로 유지되는 보호케이스 둘레 벽면2(381)와 고정면4(380)로부터 폴딩 안쪽면2(114)을 벗어나 폴딩 공간 간극(140) 측으로 돌출된 폴딩 공간 경사면4(382)가 형성되어있는 폴딩 공간 돌출부2(383)를 갖는 보호케이스2(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5, 도 27, 도 28, 도 30, 도 33, 도 34 및 도 37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 5실시예의 보호케이스1(200) 및 보호케이스2(300)는 기존 판상형 스마트폰을 위한 보호케이스가 판상형 스마트폰의 바깥 둘레를 끊김없이 연속된 사각형의 폐쇄된 둘레 형상을 갖는 것과 달리 폴더블 몸체(110)의 접힘 및 펼침시 길이 변화가 요구되는 접힘 발생 축(111) 부분에서 보호케이스1(200) 및 보호케이스2(300)가 분리되어 구성되며 분리 결과로 인해 보호케이스1(200) 및 보호케이스2(300)의 접힘 발생 축(111) 측에는 폴더블 몸체 바깥 둘레면(118)을 감싸는 보호케이스 둘레 벽면1(281) 및 보호케이스 둘레 벽면2(381)이 형성되지 않고 개방된 상태를 갖는다.
도 25, 도 26, 도 29, 도 31 및 도 35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폴딩 공간 돌출부1(283) 및 폴딩 공간 돌출부2(383)의 돌출 높이는 폴더블 몸체(110)의 접힘 발생 축(111)으로부터 멀어지며 낮아지고, 접힘 상태시 폴딩 공간 돌출부1(283) 및 폴딩 공간 돌출부2(383)는 폴딩 공간 경사면3(282) 및 폴딩 공간 경사면4(382)가 밀착되어 접힘 발생 축(111)을 따라 폴딩 공간 간극(140)의 일부 또는 전부분을 점유하며 펼침 상태시 폴딩 공간 경사면3(282) 및 폴딩 공간 경사면4(382)가 접힘 발생 축(111)을 기준으로 V자 형상의 하방향 돌출된 경사 상태를 유지하는 특징을 갖는다.
접힘 상태시 폴딩 공간 돌출부1(283) 및 폴딩 공간 돌출부2(383)는 폴딩 공간 경사면3(282) 및 폴딩 공간 경사면4(382)가 밀착되어 접힘 발생 축(111)을 따라 폴딩 공간 간극(140)의 일부 또는 전부분을 점유하며 접힘 발생 축(111) 양측 끝단에 개방 형성된 폴딩 공간 간극(140)을 폐쇄시키므로 인해 폴딩 공간 간극(140) 측으로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시킬 수 있으며 폴더블 몸체(110)의 반복되는 접힘 및 펼침 상태 전환시 내측 원주면(112)의 찍힘 및 터짐과 같은 외부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펼침 상태시 평면 상태로 전환된 내측 원주면(112) 부분이 바닥면에 직접 접촉되지 않고 바닥으로부터 일정 공간을 유지하며 떠있는 상태로 유지되며 이를 통해 평면 펼침 상태로 사용중 책상 위 이물질로 인한 오염 및 손상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26 및 도 28부터 도 37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폴딩 공간 돌출부1(283)의 임의 영역에는 폴딩 공간 돌출부1(283)로부터 폴딩 공간 경사면3(282)을 벗어나 내측 원주면(112) 또는 폴딩 안쪽면2(114) 측으로 폴딩 안쪽면1(113)과 평행한 상태로 돌출 형성된 펼침 지지면1(284) 및 펼침 지지면1(284)의 돌출 끝단으로부터 폴딩 공간 간극 꼭지점(141) 측 폴딩 공간 경사면3(282) 측의 임의 부분을 연결하여 형성된 펼침 지지면2(285)가 형성되어있는 펼침 돌출부1(286) 및 펼침 돌출부1(286)가 형성되지 않은 폴딩 공간 돌출부1(283)의 임의 영역에는 폴딩 공간 돌출부1(283)로부터 폴딩 공간 경사면3(282)을 벗어나 내측 원주면(112) 또는 폴딩 안쪽면1(113) 측으로 폴딩 안쪽면2(114)와 평행한 상태로 함몰 형성된 접힘 지지면1(287) 및 접힘 지지면1(287)의 함몰 끝단으로부터 폴딩 공간 간극 꼭지점(141) 측 폴딩 공간 경사면3(282) 측의 임의 부분을 연결하여 형성된 접힘 지지면2(288)가 형성되어있는 접힘 함몰부1(289)가 형성되어있다.
또한 폴딩 공간 돌출부2(383)의 임의 영역에는 폴딩 공간 돌출부2(383)로부터 폴딩 공간 경사면4(382)를 벗어나 내측 원주면(112) 또는 폴딩 안쪽면1(113) 측으로 폴딩 안쪽면2(114)와 평행한 상태로 돌출 형성된 펼침 지지면3(384) 및 펼침 지지면3(384)의 돌출 끝단으로부터 폴딩 공간 간극 꼭지점(141) 측 폴딩 공간 경사면4 (382)측의 임의 부분을 연결하여 형성된 펼침 지지면4(385)가 형성되어있는 펼침 돌출부2(386) 및 펼침 돌출부2(386)가 형성되지 않은 폴딩 공간 돌출부2(383)의 임의 영역에는 폴딩 공간 돌출부2(383)로부터 폴딩 공간 경사면4(382)를 벗어나 내측 원주면(112) 또는 폴딩 안쪽면2(114) 측으로 폴딩 안쪽면1(113)과 평행한 상태로 함몰 형성된 접힘 지지면3(387) 및 접힘 지지면3(387)의 함몰 끝단으로부터 폴딩 공간 간극 꼭지점(141) 측 폴딩 공간 경사면4(382) 측의 임의 부분을 연결하여 형성된 접힘 지지면4(388)가 형성되어있는 접힘 함몰부2(389)가 형성되어있다.
그리고 폴더블 몸체(110)의 접힘 상태시 펼침 돌출부1(286)은 접힘 함몰부2(389)의 함몰 영역에 수납되고, 펼침 돌출부2(386)는 접힘 함몰부1(289)의 함몰 영역에 수납되며 폴더블 몸체(110)의 펼침 상태시 펼침 지지면1(284) 및 펼침 지지면3(384)은 동일 평면을 유지하는 특징을 갖는다.
폴더블 몸체(110)의 접힘 상태시 펼침 돌출부1(286)은 접힘 함몰부2(389)의 함몰 영역에 밀착 수납되고, 펼침 돌출부2(386)는 접힘 함몰부1(289)의 함몰 영역에 밀착 수납되는 특징을 갖음으로 인해 폴딩 공간 간극(140)은 빈공간 없이 메워져 폴딩 바깥면1(116) 또는 폴딩 바깥면2(117) 측으로부터 폴딩 공간 간극(140)을 향하여 외력이 가해져도 유연성잇는 표시장치(120), 힌지 구성품 및 폴더블 몸체(110) 자체의 손상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접힘 상태시 폴딩 공간 간극(140)을 빈 공간 없이 점유하여 지탱하고 있던 부분들이 펼침 상태 전환시 분리 되고 평면 거치 상태시 기준면을 이루는 펼침 지지면1(284) 및 펼침 지지면3(384)이 동일 평면을 유지하므로 인해 사용자의 터치 조작시 도 6의 펼침상태에서 나타날 수 있는 시소 동작(SEESAW MOVEMENT)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6, 도 29, 도 30, 도 31, 도 33, 도 34, 도 35 및 도 37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폴더블 몸체(110)의 접힘 발생 축(111) 측으로 위치하는 고정면3(280) 및 고정면4(380)의 끝단에는 폴딩 공간 간극(140)의 내측 원주면(112)을 지지할 수 있는 폴딩 지지 원주면(290, 390)이 형성되어있다.
또한 폴딩 지지 원주면(290)과 폴딩 공간 경사면3(282) 및 폴딩 지지 원주면(390)과 폴딩 공간 경사면4(382)가 교차하는 모서리 부분에는 손가락 상처 방지 또는 내측 원주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챔퍼 또는 곡면처리를 포함하는 손상방지 형상(291, 391)이 형성되어 있다.
접힘 발생 축(111) 측으로 위치하는 고정면3(280) 및 고정면4(380)의 끝단에 형성된 폴딩 지지 원주면(290) 및 폴딩 지지 원주면(390)은 폴딩 공간 간극(140)의 내측 원주면(112)에 각각 밀착 지지되며 빈 공간을 폐쇄시켜 힌지 부분에 가해지는 외력을 지탱하므로 이전에 제시한 제 4실시예에 적용된 폴딩 공간 삽입물(600)의 자유단 끝단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도 25, 도 27 및 도 38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 5실시예에 적용된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에는 폴더블 몸체(110)접힘 상태시 보호케이스1(200) 및 보호케이스2(300)에 의해 덮혀지지 않은 유연성있는 표시장치(120)의 원주면을 덮을 수 있는 터널 형상의 원주면과 폴더블 몸체(110)의 베젤 원주면 또는 접힘 발생 축(111)의 양측 끝단 부분을 덮을수 있는 벽면을 갖는 에지커버(400)가 적용되고 에지커버(400)는 펼침 상태시 접힘 발생 축(111) 부분으로부터 자동 이탈되는 특징을 갖는다.
폴더블 몸체(110)의 접힘 상태시 적용된 에지커버(400)가 접힘 발생 축(11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내측 원주면(112) 또는 보호케이스1(200) 및 보호케이스2(300)에 걸림 유지되도록 에지커버(400)의 접힘 발생 축(111) 끝단 벽면 양측 부분에는 걸림 돌출부(420)가 형성되어 있다.
도 30, 도 32, 도 33, 도 34, 도 36 및 도 37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에지커버(400)의 걸림 돌출부(420)가 보호케이스1(200)의 접힘 발생 축(111) 끝단에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보호케이스1(200)의 접힘 발생 축(111)의 끝단 수직면 부분에는 에지커버 걸림부(293)가 함몰 형성되어있으며 보호케이스2(300)의 접힘 발생 축(111)의 끝단 수직면 부분에도 대응하여 에지커버 걸림부(393)가 함몰 형성되어있다.
또한 접힘 발생 축(111)으로부터 이탈된 에지커버(400)가 최소화되어 유지될 수 있도록 에지커버(400)는 제 1실시예의 에지커버(400)와 동일하게 수축이 가능한 재질 또는 접힘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접힘 발생 축(111)으로부터 이탈된 에지커버(400)가 분실되지 않도록 보호케이스1(200) 또는 보호케이스2(300)의 어느 한쪽에는 에지커버(400)에 일측 끝단이 연결된 분실 방지줄(410)의 연결을 위한 분실 방지줄 연결구(270)가 형성되어있다.
도 26, 도 31, 도 32, 도 35 및 도 36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보호케이스 둘레 벽면1(281) 및 보호케이스 둘레 벽면2(381)에는 폴더블 몸체(110)의 폴딩 바깥면1(116) 또는 폴딩 바깥면2(117)의 모서리 부분을 감싸며 고정되는 베젤 걸림턱(224)이 형성되어있다.
제 5실시예의 제시된 도면들에 나타내어지지는 않았지만 보호케이스 둘레 벽면1(281) 및 보호케이스 둘레 벽면2(381) 모서리 부분에는 낙하 충격 흡수를 위해 둘레 벽면 바깥으로 돌출된 모서리 범퍼가 형성됨이 바람직 하다.
도 25, 도 26, 도 27, 도 30, 도 31 및 도 3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보호케이스 둘레 벽면1(281) 또는 보호케이스 둘레 벽면2(381)의 접힘 발생 축(111)에 평행한 둘레 벽면에는 펼침시 사용자의 손가락 미끄러짐 방지를 위해 손가락 걸림형상(230)이 형성되어있다.
제 5실시예의 제시된 도면들에 나타내어지지는 않았지만 고정면3(280) 또는 고정면4(380)의 어느 하나에는 폴딩 안쪽면1(113) 또는 폴딩 안쪽면2(114)의 어느 하나에 적용된 후방 카메라(180) 노출을 위한 후방 카메라 노출구(25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는 제 1실예의 도 15와 동일한 개념이 적용된다.
보호케이스 둘레 벽면1(281) 및 보호케이스 둘레 벽면2(381)에는 폴더블 몸체(110)의 폴더블 몸체 바깥 둘레면(118)에 적용된 마이크 또는 통화 스피커의 노출을 위한 관통구1(250), 물리버튼의 노출을 위한 버튼 개방부(226),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외부장치 연결을 위해 관통 또는 개방 형성된 연결 개방부(225) 또는 터치펜의 수납을 위한 터치펜 인출구(227)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5, 도 27, 도 30 및 도 34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보호케이스 둘레 벽면1(281) 및 보호케이스 둘레 벽면2(381)에는 보호케이스1(200) 및 보호케이스2(300)가 적용된 폴더블 영상표시장치가 폴더블 몸체(110)의 펼침 및 접힘 기능이 구비된 거치대의 걸림 고정 부분에 선택적 고정 또는 고정 해제될 수 있도록 거치대 걸림 고정형상(228)이 형성되어있다.
도 25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폴더블 몸체(110)에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의 구성품인 보호케이스1(200), 보호케이스2(300) 및 에지커버(400)가 적용된 접힘 상태에서는 폴더블 몸체(110)의 펼침 및 접힘 기능이 구비된 거치대가 보호케이스1(200) 부분과 보호케이스2(300) 부분을 분리하여 거치하기가 어렵다.
이를 위해서는 폴더블 몸체(110)의 펼침 및 접힘 기능이 구비된 거치대에 사용자가 폴더블 영상표시장치를 접힘 상태에서 거치시 보호케이스1(200) 부분과 보호케이스2(300) 부분을 분리하여 걸림할 기준 형상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1(220) 및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2(320)에 하나 이상의 거치대 걸림 고정형상(228)이 형성되어진다.
도 26, 도 27 및 도 34부터 도 37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펼침 돌출부1(286) 또는 펼침 돌출부2(386)의 어느 하나에는 판상 형태의 카드 수납을 위해 카드 수납공간(260)이 형성되어있다.
펼침 돌출부1(286) 및 펼침 돌출부2(386)가 보호케이스1(200) 및 보호케이스(200)에 형성되지 않는 경우 폴딩 공간 돌출부1(283) 또는 폴딩 공간 돌출부2(383)의 어느 하나에는 판상 형태의 카드(800) 수납을 위해 카드 수납공간(26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도시는 생략한다.
제 5실시예의 제시된 도면들에 나타내어지지는 않았지만 펼침 돌출부1(286)을 포함한 폴딩 공간 돌출부1(283) 또는 펼침 돌출부2(386)를 포함한 폴딩 공간 돌출부2(383)의 어느 하나에는 보조 베터리가 적용될 수 있다.
도 30 및 도 34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펼침 돌출부1(286)를 포함한 폴딩 공간 돌출부1(283) 또는 펼침 돌출부2(386)를 포함한 폴딩 공간 돌출부2(383)의 어느 하나에는 무게 감소 개방공간(292, 392) 이 형성되어있고 외관 향상을 위해 무게 감소 개방공간(292, 392)을 덮는 덮개판이 적용됨이 바람직하다.(덮개판의 적용 도시는 생략)
도 39, 도 40 및 도 41은 도 3의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보호케이스1(200), 보호케이스2(300) 및 회전커버(700)가 적용된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이다.
도 39, 도 40 및 도 4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인이 제시하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에 대한 제 6실시예는 제 5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폴더블 몸체(110)의 접힘 발생 축(111)을 기준으로 임의 거리 떨어진 상태로 폴딩 안쪽면1(113)을 감싸며 지지되는 고정면3(280), 폴딩 바깥면1(116)과 고정면3(280)의 모서리 라인을 따라 접힘 발생 축(111) 부분을 제외한 폴더블 몸체(110)의 폴더블 몸체 바깥 둘레면(118)을 감싸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120)의 화면표시면은 노출 상태로 유지되는 보호케이스 둘레 벽면1(281)과 고정면3(280)으로부터 폴딩 안쪽면1(113)을 벗어나 폴딩 공간 간극(140) 측으로 돌출된 폴딩 공간 경사면3(282)이 형성되어있는 폴딩 공간 돌출부1(283)을 갖는 보호케이스1(200) 및 접힘 발생 축(111)을 기준으로 임의 거리 떨어진 상태로 폴딩 안쪽면2(114)를 감싸며 지지되는 고정면4(380), 폴딩 바깥면2(117)와 고정면4(380)의 모서리 라인을 따라 접힘 발생 축(111) 부분을 제외한 폴더블 몸체(110)의 폴더블 몸체 바깥 둘레면(118)을 감싸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120)의 화면표시면은 노출 상태로 유지되는 보호케이스 둘레 벽면2(381)와 고정면4(380)로부터 폴딩 안쪽면2(114)을 벗어나 폴딩 공간 간극(140) 측으로 돌출된 폴딩 공간 경사면4(382)가 형성되어있는 폴딩 공간 돌출부2(383)를 갖는 보호케이스2(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제 5실시예에 나타내어진 바와 마찬가지로 폴딩 공간 돌출부1(283)의 임의 영역에는 폴딩 공간 돌출부1(283)로부터 폴딩 공간 경사면3(282)을 벗어나 내측 원주면(112) 또는 폴딩 안쪽면2(114) 측으로 폴딩 안쪽면1(113)과 평행한 상태로 돌출 형성된 펼침 지지면1(284) 및 펼침 지지면1(284)의 돌출 끝단으로부터 폴딩 공간 간극 꼭지점(141) 측 폴딩 공간 경사면3(282) 측의 임의 부분을 연결하여 형성된 펼침 지지면2(285)가 형성되어있는 펼침 돌출부1(286) 및 펼침 돌출부1(286)가 형성되지 않은 폴딩 공간 돌출부1(283)의 임의 영역에는 폴딩 공간 돌출부1(283)로부터 폴딩 공간 경사면3(282)을 벗어나 내측 원주면(112) 또는 폴딩 안쪽면1(113) 측으로 폴딩 안쪽면2(114)와 평행한 상태로 함몰 형성된 접힘 지지면1(287) 및 접힘 지지면1(287)의 함몰 끝단으로부터 폴딩 공간 간극 꼭지점(141) 측 폴딩 공간 경사면3(282) 측의 임의 부분을 연결하여 형성된 접힘 지지면2(288)가 형성되어있는 접힘 함몰부1(289)가 형성되어있다.
또한 폴딩 공간 돌출부2(383)의 임의 영역에는 폴딩 공간 돌출부2(383)로부터 폴딩 공간 경사면4(382)를 벗어나 내측 원주면(112) 또는 폴딩 안쪽면1(113) 측으로 폴딩 안쪽면2(114)와 평행한 상태로 돌출 형성된 펼침 지지면3(384) 및 펼침 지지면3(384)의 돌출 끝단으로부터 폴딩 공간 간극 꼭지점(141) 측 폴딩 공간 경사면4 (382)측의 임의 부분을 연결하여 형성된 펼침 지지면4(385)가 형성되어있는 펼침 돌출부2(386) 및 펼침 돌출부2(386)가 형성되지 않은 폴딩 공간 돌출부2(383)의 임의 영역에는 폴딩 공간 돌출부2(383)로부터 폴딩 공간 경사면4(382)를 벗어나 내측 원주면(112) 또는 폴딩 안쪽면2(114) 측으로 폴딩 안쪽면1(113)과 평행한 상태로 함몰 형성된 접힘 지지면3(387) 및 접힘 지지면3(387)의 함몰 끝단으로부터 폴딩 공간 간극 꼭지점(141) 측 폴딩 공간 경사면4(382) 측의 임의 부분을 연결하여 형성된 접힘 지지면4(388)가 형성되어있는 접힘 함몰부2(389)가 형성되어있다.
그리고 폴더블 몸체(110)의 접힘 상태시 펼침 돌출부1(286)은 접힘 함몰부2(389)의 함몰 영역에 수납되고, 펼침 돌출부2(386)는 접힘 함몰부1(289)의 함몰 영역에 수납되며 폴더블 몸체(110)의 펼침 상태시 펼침 지지면1(284) 및 펼침 지지면3(384)은 동일 평면을 유지하는 특징을 갖는다.
도 39, 도 40 및 도 4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접힘 발생 축(111) 측으로 위치되는 보호케이스 둘레 벽면1(281) 및 보호케이스 둘레 벽면2(381)의 끝단에는 폴더블 몸체(110)의 접힘 상태시 접힘 발생 축(111) 끝단 수직면에 형성되는 폴더블 몸체(110)의 반원형 둘레면을 접힘 발생 축(111)으로부터 내측 원주면(112)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어 폴더블 몸체(110) 두께의 절반 이내의 영역을 덮어주는 역방향 꺽임 방지 형상(222, 322)이 형성되어있고, 역방향 꺽임 방지 형상(222, 322)의 내측 원주면(112) 측 끝단에는 폴더블 몸체(110)의 펼침 상태시 접힘 발생 축(111)에 끝단 수직면이 위치되어 상호 마주보며 밀착되는 역방향 꺽임 방지 수직면(223, 323)이 형성되어있다.
도 39, 도 40 및 도 4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접힘 발생 축(111) 반대편의 보호케이스 둘레 벽면1(281) 또는 보호케이스 둘레 벽면2(381) 임의 부분에는 일측 끝단이 고정 또는 회전 가능한 상태로 적용되고 반대편 자유단 부분은 접힘 발생 축(111) 부분으로 회전 또는 접힘 이동되어 유연성있는 표시장치(120)을 덮어주는 접힘이 가능한 판상의 형상을 갖으며 폴더블 몸체(110)의 접힘 상태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120)의 평면 부분 중 어느 한쪽과 바깥측 원주면(115)을 덮어주는 회전커버(700)가 적용된다.
회전커버(700)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120)의 화면표시면 투과를 위해 투명한 재질 특성을 갖거나 또는 불투명 재질을 갖는 경우에는 폴더블 몸체(110)의 접힘 상태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평면 화면표시면을 투과하는 제1투과창(710) 또는 폴더블 몸체(110)의 접힘 상태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120)의 바깥측 원주면(115) 부분을 투과하는 제2투과창(720)을 포함한다.
또한 폴더블 몸체(110)의 접힘 상태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120)의 바깥측 원주면(115) 부분을 덮고있는 회전커버(700)가 바깥측 원주면(115) 부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회전커버(700)의 접힘 발생 축(111) 측 끝단 부분에는 자석, 벨크로 또는 걸림형상(730)이 적용되며 상대물인 보호케이스1(200) 또는 보호케이스2(300)의 대응 부분에도 관련된 구성품이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도 42 및 도 43은 도 3의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보호케이스1(200) 및 보호케이스2(300)가 적용된 본 발명의 제 7실시예로서 제 5 실시예 및 제 6실시예의 보호케이스1(200) 및 보호케이스2(300)에 보호케이스 고정 관통구(229)가 추가 적용된 부분 개선 실시예이다.
상기의 제 5실시예에서 언급한 것처럼 베젤 걸림턱(224) 형상을 이용해 보호케이스1(200) 및 보호케이스2(300)가 접힘 발생 축(111) 부분을 제외한 폴더블 몸체(110)의 폴더블 몸체 바깥 둘레면(118)을 압박하며 유지되면 이는 제 6실시예도 동일하다.
그러나 제 5실시예 및 제 6실시예 모두 보호케이스1(200) 및 보호케이스2(300)의 접힘 발생 축(111) 부분이 개방된 구조를 갖음으로 인해 보호케이스1(200) 및 보호케이스2(300)의 접힘 발생 축(111) 끝단 부분이 폴더블 몸체 바깥 둘레면(118)으로부터 이탈되며 벌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보호케이스1(200) 및 보호케이스2(300)를 폴더블 몸체(110)에 고정시키는 접착제의 적용이 고려될 수 있다.
접착제가 적용되는 경우 보호케이스1(200) 및 보호케이스2(300)의 고정 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 될 수 있으나 완벽한 고정은 어려우며 보호케이스1(200) 또는 보호케이스2(300)의 교체시 접착제를 제거해야는 문제점과 함께 접착제 제거시 폴더블 몸체(110)의 접착면 적용 부위가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 베젤 걸림턱(224)과 함께 적용되어 보호케이스1(200) 및 보호케이스2(300)를 폴더블 몸체 바깥 둘레면(118) 또는 폴딩 안쪽면(113, 114)에 걸림 고정시키는 본 발명의 제 7실시예가 제시된다.
제 7실시예는 도 42 및 도 4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접힘 발생 축(111) 측으로 위치되는 보호케이스 둘레 벽면1(281) 및 보호케이스 둘레 벽면2(381)의 끝단 부분에는 보호케이스의 고정을 위해 폴더블 몸체(110)의 폴더블 몸체 바깥 둘레면(118)에 형성된 보호케이스 고정구(190)에 보호케이스1(200) 및 보호케이스2(300)가 걸림 고정 또는 나사 고정될 수 있도록 보호케이스 고정 관통구(229)이 형성되어있다.
보호케이스 고정 관통구(229)에는 폴더블 몸체(110)의 보호케이스 고정구(190)에 나사 결합되는 보호케이스 고정나사(900)가 적용된다.
보호케이스 고정나사(900)와 보호케이스 고정 관통구(229)를 하나의 형상으로 결합하여 나사 결합이 아닌 끼움 방식으로 보호케이스 고정구(190)에 고정되는 방식의 고려 또한 가능하며 이는 보호케이스 고정 관통구(229)와 동일한 개념이다.
본 발명인에 제시된 제 5실시예의 보호케이스1(200) 및 보호케이스2(300)의 형상들 중 일부분은 도3의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폴더블 몸체(110)에 흡수 적용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본 발명인의 제 8 실시예가 제시된다.
도 44는 도 3의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도 25에 적용된 보호케이스1 및 보호케이스2의 폴딩 공간 간극 관련된 형상이 폴더블 몸체에 반영된 실시예의 정면도 및 배면도이며, 도 45는 도 44의 SECTION CUT AO-AO 및 SECTION CUT AP-AP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46은 도 44의 펼침상태에 대한 후면 사시도이다.
도 44, 도 45 및 도 46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인의 제 8실시예는 접힘 상태시 접힘 기준이 되는 접힘 발생 축(111), 내측 원주면(112)의 양쪽 끝단이 연장되어 마주보는 폴딩 안쪽면1(113) 및 폴딩 안쪽면2(114), 바깥측 원주면(115)의 양쪽 끝단이 연장되어 마주보는 폴딩 바깥면1(116) 및 폴딩 바깥면2(117)를 갖는 폴더블 몸체(110) 및 폴딩 바깥면1(116) 및 폴딩 바깥면2(117)에 적용되는 단일의 유연성있는 표시장치(1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접힘 상태시 접힘 발생 축(111)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상호간의 간격이 좁아지는 폴딩 안쪽면1(113) 및 폴딩 안쪽면2(114)와 내측 원주면(112)에 의해 형성되는 콘(Cone) 형상의 폴딩 공간 간극(140)이 접힘 발생 축(111)을 따라 형성되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이다.
폴더블 몸체(110)은 접힘 발생 축(111)을 기준으로 임의 거리 떨어진 상태로 폴딩 안쪽면1(113)로부터 폴딩 안쪽면1(113)을 벗어나 폴딩 공간 간극(140) 측으로 돌출된 폴딩 공간 경사면1(151)이 형성되어있는 폴딩 공간 돌출부1(150) 형상 및 접힘 발생 축(111)을 기준으로 임의 거리 떨어진 상태로 폴딩 안쪽면2(114)로부터 폴딩 안쪽면2(114)을 벗어나 폴딩 공간 간극(140) 측으로 돌출된 폴딩 공간 경사면2(151a)가 형성되어있는 폴딩 공간 돌출부2(150a) 형상을 포함한다.
폴딩 공간 돌출부1(150) 및 폴딩 공간 돌출부2(150a)의 돌출 높이는 접힘 발생 축(111)으로부터 멀어지며 낮아지고, 접힘 상태시 폴딩 공간 돌출부1(150) 및 폴딩 공간 돌출부2(150a)는 폴딩 공간 경사면1(151) 및 폴딩 공간 경사면2(151a)가 밀착되어 접힘 발생 축(111)을 따라 폴딩 공간 간극(140)의 일부 또는 전부분을 점유하며 빈 공간을 메꾸며, 펼침 상태시 폴딩 공간 경사면1(151) 및 폴딩 공간 경사면2(151a)가 접힘 발생 축(111)을 기준으로 V자 형상의 하방향 돌출된 경사 상태를 유지하는 특징을 갖는다.
폴딩 공간 돌출부1(150)의 임의 영역에는 폴딩 공간 돌출부1(150)으로부터 폴딩 공간 경사면1(151)을 벗어나 내측 원주면(112) 또는 폴딩 안쪽면2(114) 측으로 폴딩 안쪽면1(113)과 평행한 상태로 돌출 형성된 펼침 지지면1(161) 및 펼침 지지면1(161)의 돌출 끝단으로부터 폴딩 공간 간극 꼭지점 측(141) 폴딩 공간 경사면1(151) 측의 임의 부분을 연결하여 형성된 펼침 지지면2(162)가 형성되어있는 펼침 돌출부1(160) 및 펼침 돌출부1(160)가 형성되지 않은 폴딩 공간 돌출부1(150)의 임의 영역에는 폴딩 공간 돌출부1(150)로부터 폴딩 공간 경사면1(151)을 벗어나 내측 원주면(112) 또는 폴딩 안쪽면1(113) 측으로 폴딩 안쪽면2(114)와 평행한 상태로 함몰 형성된 접힘 지지면1(171) 및 접힘 지지면1(171)의 함몰 끝단으로부터 폴딩 공간 간극 꼭지점(141) 측 폴딩 공간 경사면1(151) 측의 임의 부분을 연결하여 형성된 접힘 지지면2(172)가 형성되어있는 접힘 함몰부1(170)가 형성되어있다.
폴딩 공간 돌출부2(150a)의 임의 영역에는 폴딩 공간 돌출부2(150a)로부터 폴딩 공간 경사면2(151a)를 벗어나 내측 원주면(112) 또는 폴딩 안쪽면1(113) 측으로 폴딩 안쪽면2(114)와 평행한 상태로 돌출 형성된 펼침 지지면3(161a) 및 펼침 지지면3(161a)의 돌출 끝단으로부터 폴딩 공간 간극 꼭지점(141) 측 폴딩 공간 경사면2(151a) 측의 임의 부분을 연결하여 형성된 펼침 지지면4(162a)가 형성되어있는 펼침 돌출부2(160a) 및 펼침 돌출부2(160a)가 형성되지 않은 폴딩 공간 돌출부2(150a)의 임의 영역에는 폴딩 공간 돌출부2(150a)로부터 폴딩 공간 경사면2(151a)를 벗어나 내측 원주면(112) 또는 폴딩 안쪽면2(114) 측으로 폴딩 안쪽면1(113)과 평행한 상태로 함몰 형성된 접힘 지지면3(171a) 및 접힘 지지면3(171a)의 함몰 끝단으로부터 폴딩 공간 간극 꼭지점(141) 측 폴딩 공간 경사면2(151a)측의 임의 부분을 연결하여 형성된 접힘 지지면4(172a)가 형성되어있는 접힘 함몰부2(170a)가 형성되어있다.
폴더블 몸체(110)의 접힘 상태시 펼침 돌출부1(160)은 접힘 함몰부2(170a)의 함몰 영역에 수납되고, 펼침 돌출부2(160a)는 접힘 함몰부1(170)의 함몰 영역에 밀착 수납되며 폴더블 몸체(110)의 펼침 상태시 펼침 지지면1(161) 및 펼침 지지면3(161a)은 동일 평면을 유지하는 특징을 갖는다.
펼침 돌출부1(160)를 포함한 폴딩 공간 돌출부1(150) 또는 펼침 돌출부2(160a)를 포함한 폴딩 공간 돌출부2(150a)의 어느 하나에는 무게 감소 개방공간이 형성되어있고 무게 감소 개방공간을 덮는 덮개판이 적용되어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잇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잇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첨부된 도면들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00: 폴더블 영상표시장치 110: 폴더블 몸체
111: 접힘 발생 축 112: 내측 원주면
113: 폴딩 안쪽면1 114: 폴딩 안쪽면2
115: 바깥측 원주면 116: 폴딩 바깥면1
117: 폴딩 바깥면2 118: 폴더블 몸체 바깥 둘레면
120: 유연성있는 표시장치 130: 바깥면 디스플레이
140: 폴딩 공간 간극 141: 폴딩 공간 간극 꼭지점
150: 폴딩 공간 돌출부1 150a: 폴딩 공간 돌출부2
151: 폴딩 공간 경사면1 151a: 폴딩 공간 경사면2
160: 펼침 돌출부1 160a: 펼침 돌출부2
161: 펼침 지지면1 161a: 펼침 지지면3
162: 펼침 지지면2 162a: 펼침 지지면4
170: 접힘 함몰부1 170a: 접힘 함몰부2
171: 접힘 지지면1 171a: 접힘 지지면3
172: 접힘 지지면2 172a: 접힘 지지면4
180: 후방 카메라
190: 보호케이스 고정구 191: 폴딩 공간 지지물
200: 보호케이스1 210: 고정면1
220: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1 221: 폴딩 공간 경사면1
222: 역방향 꺽임 방지 형상 223: 역방향 꺽임 방지 수직면
224: 베젤 걸림턱 225: 연결 개방부
226: 버튼 개방부 227: 터치펜 인출구
228: 거치대 걸림 고정형상 229: 보호케이스 고정 관통구
230: 손가락 걸림형상 240: 디스플레이 관통창 또는 투과창
250: 관통구1 252: 후방 카메라 노출구
260: 카드 수납공간 261: 카드 인출구 형상
270: 분실 방지줄 연결구
280: 고정면3 281: 보호케이스 둘레 벽면1
282: 폴딩 공간 경사면3 283: 폴딩 공간 돌출부1
284: 펼침 지지면1 285: 펼침 지지면2
286: 펼침 돌출부1 287: 접힘 지지면1
288: 접힘 지지면2 289: 접힘 함몰부1
290: 폴딩 지지 원주면 291: 손상방지 형상
292: 무게 감소 개방공간 293: 에지커버 걸림부
300: 보호케이스2 310: 고정면2
320: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2 321: 폴딩 공간 경사면2
322: 역방향 꺽임 방지 형상 323: 역방향 꺽임 방지 수직면
380: 고정면4 381: 보호케이스 둘레 벽면2
382: 폴딩 공간 경사면4 383: 폴딩 공간 돌출부2
384: 펼침 지지면3 385: 펼침 지지면4
386: 펼침 돌출부2 387: 접힘 지지면3
388: 접힘 지지면4 389: 접힘 함몰부2
390: 폴딩 지지 원주면 391: 손상방지 형상
392: 무게 감소 개방공간 393: 에지커버 걸림부
400: 에지커버 410: 분실 방지줄
420: 걸림 돌출부 500: 연결판
600: 폴딩 공간 삽입물 610: 삽입물 접촉면
620: 폴딩 공간 삽입물 고정부
700: 회전 커버 710: 제1투과창
720: 제2투과창 730: 자석, 벨크로 또는 걸림형상
800: 카드 900: 보호케이스 고정나사

Claims (34)

  1. 접힘 상태시 접힘 기준이 되는 접힘 발생 축, 내측 원주면의 양쪽 끝단이 연장되어 마주보는 폴딩 안쪽면1 및 폴딩 안쪽면2, 바깥측 원주면의 양쪽 끝단이 연장되어 마주보는 폴딩 바깥면1 및 폴딩 바깥면2를 갖는 폴더블 몸체; 및
    폴딩 안쪽면1 및 폴딩 안쪽면2에 적용되는 단일의 유연성있는 표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접힘 상태시 접힘 발생 축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상호간의 간격이 좁아지는 폴딩 안쪽면1 및 폴딩 안쪽면2와 내측 원주면에 의해 형성되는 콘(Cone) 형상의 폴딩 공간 간극이 접힘 발생 축을 따라 형성되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되는 보호케이스로서,
    접힘 발생 축을 기준으로 임의 거리 떨어진 상태로 폴딩 바깥면1을 감싸며 지지되는 고정면1;과
    폴더블 몸체의 접힘 발생 축 부분을 제외한 바깥 둘레면을 감싸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화면표시면은 노출 상태로 유지되고 고정면1로부터 폴딩 안쪽면1을 벗어나 폴딩 공간 간극 측으로 돌출된 폴딩 공간 경사면1이 형성되어있는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1;을 갖는 보호케이스1 및
    접힘 발생 축을 기준으로 임의 거리 떨어진 상태로 폴딩 바깥면2를 감싸며 지지되는 고정면2;와
    폴더블 몸체의 접힘 발생 축 부분을 제외한 바깥 둘레면을 감싸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화면표시면은 노출 상태로 유지되고 고정면2로부터 폴딩 안쪽면2를 벗어나 폴딩 공간 간극 측으로 돌출된 폴딩 공간 경사면2이 형성되어있는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2;를 갖는 보호케이스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1 및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2의 돌출 높이는 접힘 발생 축으로부터 멀어지며 낮아지고,
    접힘 상태시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1 및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2는 폴딩 공간 경사면1 및 폴딩 공간 경사면2가 밀착되어 접힘 발생 축 끝단의 폴딩 공간 간극 일부 또는 전부분을 점유하여 폐쇄시키며,
    펼침 상태시 폴딩 공간 경사면1 및 폴딩 공간 경사면2가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화면표시면 밖으로 돌출 유지되며 폴딩 공간 경사면1 및 폴딩 공간 경사면2가 접힘 발생 축을 기준으로 V자 역형상의 상방향 돌출된 경사 상태를 유지하는 특징을 갖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폴더블 몸체의 접힘 상태시 보호케이스1 및 보호케이스2에 의해 덮혀지지 않은 바깥측 원주면을 덮을 수 있는 터널 형상의 원주면과 폴더블 몸체의 접힘 발생 축 양측 끝단 부분을 덮을수 있는 벽면을 갖는 에지커버;가 적용되고
    에지커버는 펼침 상태시 접힘 발생 축 부분으로부터 이탈되는 특징을 갖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3. 제 1항에 있어서
    접힘 발생 축을 기준으로 상호 분리된 보호케이스1 및 보호케이스2는 폴더블 몸체의 바깥측 원주면을 덮어주는 연결판;에 의해 연결되고
    연결판은 접힘이 자유롭고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4. 제 1항에 있어서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1 또는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2의 둘레 벽면에는 일측 끝단이 연결 또는 고정되고 반대편 자유단은 폴더블 몸체의 접힘 상태시 폴딩 공간 간극에 위치되어 일면이 폴딩 공간 간극을 이루는 폴딩 안쪽면1 및 폴딩 안쪽면2에 지지되고,
    폴더블 몸체의 펼침 상태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화면표시면에 일면이 지지된 상태로 펼침 유지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화면표시면 밖으로 이동될 수 있는 폴딩 공간 삽입물;이 적용되는 특징을 갖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5. 제 1항에 있어서
    접힘 발생 축 측으로 위치되는 보호케이스1의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1 또는 보호케이스2의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2 끝단에는 폴더블 몸체의 접힘 상태시 접힘 발생 축 끝단 수직면에 형성되는 폴더블 몸체의 반원형 둘레면을 접힘 발생 축으로부터 내측 원주면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어 폴더블 몸체 두께의 절반 이내의 영역을 덮어주는 역방향 꺽임 방지 형상;이 형성되어있고,
    역방향 꺽임 방지 형상의 내측 원주면 측 끝단에는 폴더블 몸체의 펼침 상태시 접힘 발생 축에 끝단 수직면이 위치되어 상호 마주보며 밀착되는 역방향 꺽임 방지 수직면;이 형성되어있는 특징을 갖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6. 제 1항에 있어서
    폴딩 공간 경사면1 및 폴딩 공간 경사면2의 돌출 끝단부 내측 둘레에는 폴딩 안쪽면1 및 폴딩 안쪽면2의 모서리 부분을 감싸며 고정되는 베젤 걸림턱;이 형성되어있는 특징을 갖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7. 삭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접힘 발생 축 측으로 위치되는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1 및 폴딩 공간 돌출 둘레면2의 끝단 부분에는 보호케이스1 및 보호케이스2의 고정을 위해 폴더블 몸체의 둘레 벽면에 형성된 보호케이스 고정구에 보호케이스1 및 보호케이스2가 걸림 고정 또는 나사 고정될 수 있도록 보호케이스 고정 관통구;이 형성되어있는 특징을 갖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 1항에 있어서
    폴딩 공간 삽입물의 자유단 부분은 꾸밈 모양(하트, 클로버, 구름 모양, 동물 모양, 기호 포함), 케릭터 모양(인물, 국기, 상호, 로고, 창조물 포함), 도형 모양(다각형, 원, 타원 포함) 또는 천공 모양(중앙 또는 일부분이 천공)중 어느 하나의 모양을 갖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16. 삭제
  17. 접힘 상태시 접힘 기준이 되는 접힘 발생 축, 내측 원주면의 양쪽 끝단이 연장되어 마주보는 폴딩 안쪽면1 및 폴딩 안쪽면2, 바깥측 원주면의 양쪽 끝단이 연장되어 마주보는 폴딩 바깥면1 및 폴딩 바깥면2를 갖는 폴더블 몸체; 및
    폴딩 바깥면1 및 폴딩 바깥면2에 적용되는 단일의 유연성있는 표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접힘 상태시 접힘 발생 축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상호간의 간격이 좁아지는 폴딩 안쪽면1 및 폴딩 안쪽면2와 내측 원주면에 의해 형성되는 콘(Cone) 형상의 폴딩 공간 간극이 접힘 발생 축을 따라 형성되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되는 보호케이스로서,
    접힘 발생 축을 기준으로 임의 거리 떨어진 상태로 폴딩 안쪽면1에 일부분 또는 전면이 지지되는 고정면3;
    폴딩 바깥면1과 고정면3의 모서리 라인을 따라 접힘 발생 축 부분을 제외한 폴더블 몸체의 둘레 부분을 감싸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화면표시면은 노출 상태로 유지되는 보호케이스 둘레 벽면1;과
    고정면3으로부터 폴딩 안쪽면1을 벗어나 폴딩 공간 간극 측으로 돌출된 폴딩 공간 경사면3이 형성되어있는 폴딩 공간 돌출부1;을 갖는 보호케이스1 및
    접힘 발생 축을 기준으로 임의 거리 떨어진 상태로 폴딩 안쪽면2에 일부분 또는 전면이 지지되는 고정면4;
    폴딩 바깥면2와 고정면4의 모서리 라인을 따라 접힘 발생 축 부분을 제외한 폴더블 몸체의 둘레 부분을 감싸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화면표시면은 노출 상태로 유지되는 보호케이스 둘레 벽면2;와
    고정면4로부터 폴딩 안쪽면2을 벗어나 폴딩 공간 간극 측으로 돌출된 폴딩 공간 경사면4가 형성되어있는 폴딩 공간 돌출부2;를 갖는 보호케이스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폴딩 공간 돌출부1 및 폴딩 공간 돌출부2의 돌출 높이는 접힘 발생 축으로부터 멀어지며 낮아지고,
    접힘 상태시 폴딩 공간 돌출부1 및 폴딩 공간 돌출부2는 폴딩 공간 경사면3 및 폴딩 공간 경사면4가 밀착되어 접힘 발생 축을 따라 폴딩 공간 간극의 일부 또는 전부분을 점유하며,
    펼침 상태시 폴딩 공간 경사면3 및 폴딩 공간 경사면4가 접힘 발생 축을 기준으로 V자 형상의 하방향 돌출된 경사 상태를 유지하는 특징을 갖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18. 삭제
  19. 제 17항에 있어서
    접힘 발생 축 측으로 위치하는 고정면3 및 고정면4의 끝단에는 폴딩 공간 간극의 내측 원주면을 지지할 수 있는 폴딩 지지 원주면;이 형성되는 특징을 갖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20. 제 17항에 있어서
    폴딩 공간 돌출부1의 임의 영역에는 폴딩 공간 돌출부1로부터 폴딩 공간 경사면3을 벗어나 내측 원주면 또는 폴딩 안쪽면2 측으로 폴딩 안쪽면1과 평행한 상태로 돌출 형성된 펼침 지지면1 및 펼침 지지면1의 돌출 끝단으로부터 폴딩 공간 간극 꼭지점 측 폴딩 공간 경사면3 측의 임의 부분을 연결하여 형성된 펼침 지지면2가 형성되어있는 펼침 돌출부1; 및
    펼침 돌출부1가 형성되지 않은 폴딩 공간 돌출부1의 임의 영역에는 폴딩 공간 돌출부1로부터 폴딩 공간 경사면3을 벗어나 내측 원주면 또는 폴딩 안쪽면1 측으로 폴딩 안쪽면2와 평행한 상태로 함몰 형성된 접힘 지지면1 및 접힘 지지면1의 함몰 끝단으로부터 폴딩 공간 간극 꼭지점 측 폴딩 공간 경사면3 측의 임의 부분을 연결하여 형성된 접힘 지지면2가 형성되어있는 접힘 함몰부1;가 형성되어있고
    폴딩 공간 돌출부2의 임의 영역에는 폴딩 공간 돌출부2로부터 폴딩 공간 경사면4를 벗어나 내측 원주면 또는 폴딩 안쪽면1 측으로 폴딩 안쪽면2와 평행한 상태로 돌출 형성된 펼침 지지면3 및 펼침 지지면3의 돌출 끝단으로부터 폴딩 공간 간극 꼭지점 측 폴딩 공간 경사면2 측의 임의 부분을 연결하여 형성된 펼침 지지면4가 형성되어있는 펼침 돌출부2; 및
    펼침 돌출부2가 형성되지 않은 폴딩 공간 돌출부2의 임의 영역에는 폴딩 공간 돌출부2로부터 폴딩 공간 경사면4를 벗어나 내측 원주면 또는 폴딩 안쪽면2 측으로 폴딩 안쪽면1과 평행한 상태로 함몰 형성된 접힘 지지면3 및 접힘 지지면3의 함몰 끝단으로부터 폴딩 공간 간극 꼭지점 측 폴딩 공간 경사면4측의 임의 부분을 연결하여 형성된 접힘 지지면4가 형성되어있는 접힘 함몰부2;가 형성되어있으며
    폴더블 몸체의 접힘 상태시 펼침 돌출부1은 접힘 함몰부2의 함몰 영역에 수납되고, 펼침 돌출부2는 접힘 함몰부1의 함몰 영역에 수납되며
    폴더블 몸체의 펼침 상태시 펼침 지지면1 및 펼침 지지면3은 동일 평면을 유지하는 특징을 갖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21. 제 19항에 있어서
    폴딩 지지 원주면과 폴딩 공간 경사면3 및 폴딩 지지 원주면과 폴딩 공간 경사면4가 교차하는 모서리 부분에는 손가락 상처 방지 또는 내측 원주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챔퍼 또는 곡면처리를 포함하는 손상방지 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특징을 갖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22. 제 17항에 있어서
    폴더블 몸체의 접힘 상태시 보호케이스1 및 보호케이스2에 의해 덮혀지지 않은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원주면을 덮을 수 있는 터널 형상의 원주면과 폴더블 몸체의 베젤 원주면 또는 접힘 발생 축(111)의 양측 끝단 부분을 덮을수 있는 벽면을 갖는 에지커버;가 적용되고
    에지커버는 펼침 상태시 접힘 발생 축 부분으로부터 이탈되는 특징을 갖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23. 제 17항에 있어서
    접힘 발생 축 반대편의 보호케이스 둘레 벽면1 또는 보호케이스 둘레 벽면2 임의 부분에는 일측 끝단이 고정 또는 회전 가능한 상태로 적용되고 반대편 자유단 부분은 접힘 발생 축 부분으로 회전 또는 접힘 이동되어 유연성있는 표시장치를 덮어주는 접힘이 가능한 판상의 형상을 갖으며 폴더블 몸체의 접힘 상태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평면 부분 중 어느 한쪽과 바깥측 원주면을 덮어주는 회전커버;가 고정 또는 조립되는 특징을 갖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24. 접힘 상태시 접힘 기준이 되는 접힘 발생 축, 내측 원주면의 양쪽 끝단이 연장되어 마주보는 폴딩 안쪽면1 및 폴딩 안쪽면2, 바깥측 원주면의 양쪽 끝단이 연장되어 마주보는 폴딩 바깥면1 및 폴딩 바깥면2를 갖는 폴더블 몸체; 및
    폴딩 바깥면1 및 폴딩 바깥면2에 적용되는 단일의 유연성있는 표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접힘 상태시 접힘 발생 축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상호간의 간격이 좁아지는 폴딩 안쪽면1 및 폴딩 안쪽면2와 내측 원주면에 의해 형성되는 콘(Cone) 형상의 폴딩 공간 간극이 접힘 발생 축을 따라 형성되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되는 보호케이스로서,
    접힘 발생 축을 기준으로 임의 거리 떨어진 상태로 폴딩 안쪽면1에 일부분 또는 전면이 지지되는 고정면3;
    폴딩 바깥면1과 고정면3의 모서리 라인을 따라 접힘 발생 축 부분을 제외한 폴더블 몸체의 둘레 부분을 감싸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화면표시면은 노출 상태로 유지되는 보호케이스 둘레 벽면1;과
    고정면3으로부터 폴딩 안쪽면1을 벗어나 폴딩 공간 간극 측으로 돌출된 폴딩 공간 경사면3이 형성되어있는 폴딩 공간 돌출부1;을 갖는 보호케이스1 및
    접힘 발생 축을 기준으로 임의 거리 떨어진 상태로 폴딩 안쪽면2에 일부분 또는 전면이 지지되는 고정면4;
    폴딩 바깥면2와 고정면4의 모서리 라인을 따라 접힘 발생 축 부분을 제외한 폴더블 몸체의 둘레 부분을 감싸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화면표시면은 노출 상태로 유지되는 보호케이스 둘레 벽면2;와
    고정면4로부터 폴딩 안쪽면2을 벗어나 폴딩 공간 간극 측으로 돌출된 폴딩 공간 경사면4가 형성되어있는 폴딩 공간 돌출부2;를 갖는 보호케이스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접힘 발생 축 측으로 위치되는 보호케이스 둘레 벽면1 및 보호케이스 둘레 벽면2의 끝단에는 접폴더블 몸체의 접힘 상태시 접힘 발생 축 끝단 수직면에 형성되는 폴더블 몸체의 반원형 둘레면을 접힘 발생 축으로부터 내측 원주면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어 폴더블 몸체 두께의 절반 이내의 영역을 덮어주는 역방향 꺽임 방지 형상;이 형성되어있고,
    역방향 꺽임 방지 형상의 내측 원주면 측 끝단에는 폴더블 몸체의 펼침 상태시 접힘 발생 축에 끝단 수직면이 위치되어 상호 마주보며 밀착되는 역방향 꺽임 방지 수직면;이 형성되어있는 특징을 갖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25. 제 17항에 있어서
    접힘 발생 축 측으로 위치되는 보호케이스 둘레 벽면1 및 보호케이스 둘레 벽면2의 끝단 부분에는 보호케이스의 고정을 위해 폴더블 몸체의 둘레 벽면에 형성된 보호케이스 고정구에 보호케이스1 및 보호케이스2가 걸림 고정 또는 나사 고정될 수 있도록 보호케이스 고정 관통구;이 형성되어있는 특징을 갖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26. 제 17항에 있어서
    보호케이스 둘레 벽면1 및 보호케이스 둘레 벽면2에는 폴더블 몸체의 폴딩 바깥면1 또는 폴딩 바깥면2의 모서리 부분을 감싸며 고정되는 베젤 걸림턱;이 형성되어있는 특징을 갖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KR1020180153212A 2018-12-02 2018-12-02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Active KR102006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212A KR102006300B1 (ko) 2018-12-02 2018-12-02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US16/428,459 US11199873B2 (en) 2018-12-02 2019-05-31 Protective case for foldable image display apparatus
CN201980090593.6A CN113382657A (zh) 2018-12-02 2019-11-29 可折叠图像显示装置的保护壳
PCT/KR2019/016795 WO2020116869A1 (ko) 2018-12-02 2019-11-29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212A KR102006300B1 (ko) 2018-12-02 2018-12-02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6300B1 true KR102006300B1 (ko) 2019-08-01

Family

ID=67615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3212A Active KR102006300B1 (ko) 2018-12-02 2018-12-02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199873B2 (ko)
KR (1) KR102006300B1 (ko)
CN (1) CN113382657A (ko)
WO (1) WO2020116869A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6869A1 (ko) * 2018-12-02 2020-06-11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KR102165647B1 (ko) * 2019-08-25 2020-10-14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방수케이스
KR102228224B1 (ko) 2019-11-06 2021-03-18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폴더블폰 커버
KR200493571Y1 (ko) * 2021-01-05 2021-04-26 (주)케이디랩 폴더블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유닛
KR20210058148A (ko) * 2019-11-13 2021-05-24 권정우 형상기억부재를 이용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1117952A1 (ko) * 2019-12-13 2021-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1162455A1 (ko) * 2020-02-11 2021-08-19 삼성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장치용 보호 케이스
CN113534890A (zh) * 2020-04-15 2021-10-22 华为技术有限公司 折叠机构及终端
WO2021246560A1 (ko) * 2020-06-05 2021-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14615837A (zh) * 2020-12-07 2022-06-1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保护壳和电子设备
CN114827324A (zh) * 2022-05-31 2022-07-2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KR20220162010A (ko) 2021-05-31 2022-12-07 (주)서원인텍 폴더블폰의 힌지 보호케이스
WO2025089621A1 (ko) * 2023-10-23 2025-05-0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78822B2 (en) * 2017-07-12 2020-09-15 Hangzhou Amphenol Phoenix Telecom Parts Co., Ltd. Hinge of mobile terminal with flexible screen and mobile terminal with flexible screen
JP1654802S (ja) * 2019-04-10 2020-03-09 携帯電話機
JP1654795S (ja) * 2019-04-10 2020-03-09 携帯電話機
JP1654801S (ja) * 2019-04-10 2020-03-09 携帯電話機
JP1654799S (ja) * 2019-04-10 2020-03-09 携帯電話機
USD951896S1 (en) * 2019-08-26 2022-05-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JP1663479S (ja) * 2019-10-24 2020-07-13 携帯電話機
US10806227B1 (en) * 2020-01-14 2020-10-20 Randy Medeiros Cell phone case
CN111179762A (zh) * 2020-03-06 2020-05-19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折叠显示装置
USD943565S1 (en) * 2020-04-27 2022-0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se for electronic device
KR20210156893A (ko) * 2020-06-18 2021-12-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815961B1 (ko) * 2020-06-22 2025-06-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D1051112S1 (en) * 2020-07-22 2024-11-12 Spigen Korea Co., Ltd. Case for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USD999199S1 (en) * 2020-07-22 2023-09-19 Spigen Korea Co., Ltd. Case for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USD999198S1 (en) * 2020-07-22 2023-09-19 Spigen Korea Co., Ltd. Case for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USD1001113S1 (en) * 2020-07-22 2023-10-10 Spigen Korea Co., Ltd. Case for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USD999200S1 (en) * 2020-07-22 2023-09-19 Spigen Korea Co., Ltd. Case for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USD1001114S1 (en) * 2020-09-24 2023-10-10 Spigen Korea Co., Ltd. Case for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CN114464082A (zh) 2020-11-09 2022-05-10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可折叠结构件及显示装置
CN118338569A (zh) 2020-11-23 2024-07-12 投机性产品设计有限责任公司 用于可折叠移动设备的外壳
USD986869S1 (en) * 2020-12-01 2023-05-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se for electronic device
USD986870S1 (en) * 2020-12-01 2023-05-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se for electronic device
USD986868S1 (en) * 2020-12-01 2023-05-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se for electronic device
BR112023017649A2 (pt) * 2021-03-05 2023-09-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ositivo eletrônico compreendendo placa flexível dobrável
US20240250708A1 (en) * 2021-05-27 2024-07-25 Popsockets Llc Case for foldable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D991240S1 (en) 2021-08-10 2023-07-04 Speculative Product Design, Llc Foldable case for an electronic device
WO2023130955A1 (zh) * 2022-01-04 2023-07-13 荣耀终端有限公司 电子设备显示方法及电子设备
USD970492S1 (en) * 2022-05-31 2022-11-22 Guangzhou Huiyue Technology Development Co., Ltd. Phone case
USD1024044S1 (en) * 2022-06-08 2024-04-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s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USD1024045S1 (en) * 2022-06-08 2024-04-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s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USD1018513S1 (en) * 2022-06-08 2024-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s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USD1024043S1 (en) * 2022-06-08 2024-04-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s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USD1018551S1 (en) * 2022-06-08 2024-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s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USD1042426S1 (en) * 2022-06-08 2024-09-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s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CN115527445A (zh) * 2022-09-20 2022-12-2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折叠显示装置和电子设备
USD1006007S1 (en) * 2023-08-11 2023-11-28 Shenzhen Guangyipeng Technology Co., Ltd. Case for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220B1 (ko) * 2013-07-16 2014-07-25 이유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KR20160024151A (ko) * 2014-08-25 2016-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60124318A (ko) * 2015-04-16 2016-10-27 주식회사 세네카 케이스 장치
KR101837570B1 (ko) * 2017-01-25 2018-03-13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19792C2 (de) * 1991-06-15 1994-06-16 Kurz Kunststoffe Gmbh Tragbarer aufklappbarer Behälter oder Box in Brieftaschenform aus Kunststoff
US5983073A (en) * 1997-04-04 1999-11-09 Ditzik; Richard J. Modular notebook and PDA computer systems for personal computing and wireless communications
JP4035051B2 (ja) * 2000-08-09 2008-01-16 キム、シハン 携帯用情報表示装置用折り畳み式ケース
KR100385670B1 (ko) * 2000-09-19 2003-05-27 김시환 멀티 디스플레이장치
AU2001294286A1 (en) * 2000-09-19 2002-04-02 Si Han Kim Multi display device
AU2002218550A1 (en) * 2000-11-22 2002-06-03 Si Han Kim Folder type multi display device
BRPI0412475A (pt) * 2003-07-10 2006-09-19 Nokia Corp estação móvel dobrável, unidade de tensão, e, método para montar a estação móvel dobrável
US20080045093A1 (en) * 2003-10-31 2008-02-21 Richard Terrence Tamba De-Coupling Clutch, Particularly for Marine Use
KR100614898B1 (ko) * 2004-06-01 2006-08-25 김시환 휴대용 표시장치
KR101221428B1 (ko) * 2004-07-20 2013-01-11 김시환 휴대용 표시장치
EP1839519A4 (en) * 2005-01-18 2008-02-27 Vodafone Plc COVER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US7570483B2 (en) * 2005-06-01 2009-08-04 Kim Si-Han Portable display device
JP4257921B2 (ja) * 2006-03-02 2009-04-30 シャープ株式会社 折畳み式携帯電子機器
US20070227923A1 (en) * 2006-03-29 2007-10-04 Michael Kidakarn Protecting case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TWI441116B (zh) 2008-04-22 2014-06-11 Creator Technology Bv 附加具有能有進一步功能之本體的可撓性顯示器之電子裝置
US9042950B1 (en) 2013-11-19 2015-05-26 Heidi OH Detachable front flip cover for cell-phone case
US9442530B2 (en) * 2013-12-04 2016-09-13 Nokia Technologies Oy Foldable device
JP6425114B2 (ja) * 2014-07-02 2018-11-21 Tianma Japan株式会社 折り畳み式表示装置及び電気機器
US9857832B2 (en) * 2015-06-23 2018-0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electronic apparatus having display panel with variable curvature
WO2017023069A1 (ko) * 2015-08-03 2017-02-09 임유섭 유연성있는 표시장치가 구비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및 보호케이스 적용방안
US10849398B2 (en) * 2016-10-26 2020-12-01 Urban Armor Gear, Llc Protective case for a computing device
CA3042717C (en) * 2016-11-14 2024-01-09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enclosure for encasing an electronic device
CN108109527B (zh) * 2016-11-24 2020-05-19 元太科技工业股份有限公司 可折叠显示装置及其承载结构
JP6507183B2 (ja) * 2017-01-10 2019-04-24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携帯用情報機器
KR102488120B1 (ko) * 2018-10-30 2023-01-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006300B1 (ko) * 2018-12-02 2019-08-01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220B1 (ko) * 2013-07-16 2014-07-25 이유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KR20160024151A (ko) * 2014-08-25 2016-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60124318A (ko) * 2015-04-16 2016-10-27 주식회사 세네카 케이스 장치
KR101837570B1 (ko) * 2017-01-25 2018-03-13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6869A1 (ko) * 2018-12-02 2020-06-11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KR102165647B1 (ko) * 2019-08-25 2020-10-14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방수케이스
WO2021040311A1 (ko) * 2019-08-25 2021-03-04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방수케이스
KR102228224B1 (ko) 2019-11-06 2021-03-18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폴더블폰 커버
KR102391171B1 (ko) 2019-11-13 2022-04-27 권정우 형상기억부재를 이용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58148A (ko) * 2019-11-13 2021-05-24 권정우 형상기억부재를 이용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1117952A1 (ko) * 2019-12-13 2021-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11122696B2 (en) 2019-12-13 2021-09-14 Lg Electronics Inc. Flexible display device
EP4075765A4 (en) * 2019-12-13 2023-11-08 LG Electronics Inc. FLEXIBLE DISPLAY DEVICE
WO2021162455A1 (ko) * 2020-02-11 2021-08-19 삼성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장치용 보호 케이스
CN113534890A (zh) * 2020-04-15 2021-10-22 华为技术有限公司 折叠机构及终端
CN113534890B (zh) * 2020-04-15 2024-06-11 华为技术有限公司 折叠机构及终端
WO2021246560A1 (ko) * 2020-06-05 2021-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14615837A (zh) * 2020-12-07 2022-06-1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保护壳和电子设备
CN114615837B (zh) * 2020-12-07 2023-09-1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保护壳和电子设备
KR200493571Y1 (ko) * 2021-01-05 2021-04-26 (주)케이디랩 폴더블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유닛
KR20220162010A (ko) 2021-05-31 2022-12-07 (주)서원인텍 폴더블폰의 힌지 보호케이스
CN114827324A (zh) * 2022-05-31 2022-07-2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WO2025089621A1 (ko) * 2023-10-23 2025-05-0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74522A1 (en) 2020-06-04
US11199873B2 (en) 2021-12-14
CN113382657A (zh) 2021-09-10
WO2020116869A1 (ko) 2020-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6300B1 (ko)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KR102448047B1 (ko)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
US8424829B2 (en)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6662744B (zh) 用于头部安装设备的紧凑折叠结构
US20150229746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case with front cover camera opening
CN209545667U (zh) 折叠屏手机保护壳
KR20200097385A (ko)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KR102006301B1 (ko) 인앤아웃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US5997145A (en) Computer screen enhancing device
CN101147113A (zh) 具有可滑动盖的设备
KR101837570B1 (ko)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
KR102075846B1 (ko)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악세사리
KR20180087826A (ko)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
KR20200114958A (ko) 인앤아웃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KR200461377Y1 (ko) 태블릿피씨용 케이스
KR102108908B1 (ko)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US20210052053A1 (en) Cover for a mobile device with a screen and a case having such a cover
KR200488559Y1 (ko) 휴대 단말기 케이스
KR102532134B1 (ko) 고정 및 크기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가림판
CN216122534U (zh) 折叠保护壳
KR101547637B1 (ko) 접이식 멀티 케이스
KR101531794B1 (ko) 형상복원이 가능한 플립커버 케이스
KR101260044B1 (ko) 와이드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기 위한 폴더형 휴대단말기
KR20180106012A (ko) 휴대폰 케이스
KR20150115536A (ko) 자동 닫힘 기능을 갖는 모바일 전자기기용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E0801 Dismissal of amend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2-nap-PE08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6-div-PA0107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8-div-PA0107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22072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K11-X000 Ip right revival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1-oth-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20727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3-oth-PR04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PJ0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5-5-V10-V11-apl-PJ020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4100000332;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40131

Effective date: 20241017

PJ1301 Trial decision

Decision date: 20241017

Appeal event data comment text: Appeal Kind Category : Invalidation, Appeal Ground Text : 2006300

Appeal request date: 20240131

Appellate body name: Patent Examination Board

Decision authority category: Office appeal board

Decision identifier: 2024100000332

St.27 status event code: A-5-5-V10-V15-crt-PJ1301

PJ2001 Appeal

St.27 status event code: A-5-5-V10-V12-crt-PJ20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