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2821B1 - MgB2 초전도 선재 - Google Patents
MgB2 초전도 선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02821B1 KR102002821B1 KR1020190012877A KR20190012877A KR102002821B1 KR 102002821 B1 KR102002821 B1 KR 102002821B1 KR 1020190012877 A KR1020190012877 A KR 1020190012877A KR 20190012877 A KR20190012877 A KR 20190012877A KR 102002821 B1 KR102002821 B1 KR 1020028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gb
- wire
- tube
- superconducting wire
- superconduc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2/00—Superconductive or hyperconductive conductors, cables, or transmission lines
- H01B12/02—Superconductive or hyperconductive conductors, cables, or transmission lin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2/10—Multi-filaments embedded in normal conductors
-
- H01L39/12—
-
- H01L39/141—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60/00—Superconducting devices
- H10N60/20—Permanent superconducting devices
- H10N60/202—Permanent superconducting devices comprising metal borides, e.g. MgB2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60/00—Superconducting devices
- H10N6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60/85—Superconducting active materia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60—Superconducting electric elements or equipment; Power systems integrating superconducting elements or equipment
-
- Y02E40/644—
Landscapes
- Superconductor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MgB2 선재의 길이에 따른 임계전류밀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확산 방지층의 종류에 따른 MgB2 선재의 임계전류밀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확산방지층의 종류에 따른 MgB2의 단면형상을 나타낸 사진으로 (a)는 확산 방지층으로 Nb, (b)는 Ti 합금을 각각 사용한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Ti 합금을 확산 방지층으로 사용한 MgB2 선재의 인발가공에 따른 단면형상을 각기 도시한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확산 방지층의 종류에 따른 인발 가공이후 MgB2의 단면형상을 나타낸 사진으로 (a)는 확산 방지층으로 Nb, (b)는 Ti 합금을 각각 사용한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EDX분석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a)는 확산 방지층으로 Nb, (b)는 Ti합금을 각각 사용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확산 방지층의 표면조도 실험결과로 (a)는 확산 방지층으로 Nb, (b)는 Ti합금을 각각 사용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인발가공에 따른 확산 방지층의 경도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 내지 도 11은 종래의 조립 공정에 따라 제조된 MgB2 다심 선재의 조립 공정과 사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핑 방식에 의한 MgB2 초전도 선재 제조방법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핑 방식에 의한 MgB2 초전도 선재를 테이핑하는 방법의 개념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테이핑 방식을 통해 가공된 상태와 인발 가공된 상태의 사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테이핑 방식을 통해 가공된 상태와 인발 가공된 상태의 사진이다.
도 16은 본 발명과 비교예 2에 따른 임계전류밀도를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핑 각도에 따른 비교 사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전도 다심 선재를 제조하는 제조장치의 사시도이다.
확산 방지층 | 선경(mm) | nonSc/Sc | 4.2K, 5T | ||
Ic(A) | Jc(A/㎟) | n-value | |||
Nb | 1.03 | 1.99 | 215.0 | 771.9 | 53.9 |
Fe | 1.03 | 2.96 | 122.6 | 583.6 | 56 |
Ti 합금 | 1.03 | 2.3 | 252.4 | 1000.8 | 56.3 |
Ti | 0.9 | 2.19 | 234.1 | 1200.7 | 92.2 |
확산 방지층 | 선경(mm) | 임계전류밀도 (105A/㎠@4.2K, 4T) |
Nb | 1.03 | 1.95 |
0.90 | 1.86 | |
0.84 | 1.71 | |
Ti 합금 | 1.03 | 2.58 |
0.90 | 2.35 | |
0.84 | 2.27 |
확산방지층 | 선경(mm) | 임계전류밀도 (105A/㎠@4.2K, 4T) |
n-value |
Nb | 1.03 | 1.95 | 19 |
Ti 합금 | 1.03 | 2.58 | 43.1 |
표면조도 (Ra, ㎛) | ||
TD | ND | |
Nb | 14.89 | 3.85 |
Ti alloy | 4.51 | 2.07 |
테이핑 방식 |
선경 (mm) |
nonSc/Sc | 4.2K, 3T | ||
Ic(A) | Jc(A/mm2) | ||||
비교예 2 | 1.03 | 4.42 | 332.1 | 2044.7 | 테이핑 없음 |
실시예 3 | 1.03 | 4.61 | 423.8 | 2848.3 | 도 13(a) |
실시예 4 | 0.90 | 4.02 | 402.9 | 3180.0 | 도 13(b) |
Claims (7)
- MgB2 초전도 선재로서,
튜브;
상기 튜브 내로 장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MgB2 필라멘트 선재; 및
상기 MgB2 필라멘트 선재를 감싸는 확산방지층을 포함하며,
상기 확산 방지층은 Ti를 포함하고, 상기 확산방지층의 스트레인(ε)에 대한 경도 증가 지수가 0.3 이하이며, 초기 경도 값은 14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MgB2 초전도 선재.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방지층은 열처리에 의하여 초기 경도 값이 감소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MgB2 초전도 선재.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방지층은 N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gB2 초전도 선재.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방지층은 20 내지 60 wt.% Nb 및 잔량의 Ti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gB2 초전도 선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초전도 선재는 인발 가공 방식으로 제조되며, 상기 초전도 선재의 원주방향으로의 표면조도(Ra)는 5 μ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MgB2 초전도 선재.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MgB2 초전도 선재는 Nb를 확산방지층으로 사용한 초전도 선재에 대비하여 적어도 2.0X105A/㎠(4.2K, 4T)이상으로 높은 임계전류밀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gB2 초전도 선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12877A KR102002821B1 (ko) | 2019-01-31 | 2019-01-31 | MgB2 초전도 선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12877A KR102002821B1 (ko) | 2019-01-31 | 2019-01-31 | MgB2 초전도 선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02821B1 true KR102002821B1 (ko) | 2019-07-24 |
Family
ID=67481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12877A Active KR102002821B1 (ko) | 2019-01-31 | 2019-01-31 | MgB2 초전도 선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0282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53789A (ko) * | 2021-10-14 | 2023-04-24 | 한국재료연구원 | MgB2 초전도 선재용 복합체, 그의 제조방법 및 MgB2 초전도 선재의 제조방법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2939A (ja) * | 1991-06-29 | 1993-01-22 | Hitachi Cable Ltd | アルミニウム複合超電導線の製造方法 |
JP2006107841A (ja) * | 2004-10-01 | 2006-04-20 | National Institute For Materials Science | 複合シースニホウ化マグネシウム超電導線材とその製造方法 |
JP2006269277A (ja) * | 2005-03-24 | 2006-10-05 | Kobe Steel Ltd | 粉末法Nb3Sn超電導線材の製造方法 |
KR100797405B1 (ko) | 2006-12-12 | 2008-01-24 | 케이. 에이. 티. (주) | 초전도 선재와 그 제조방법 |
KR20100107927A (ko) | 2009-03-27 | 2010-10-06 | 케이. 에이. 티. (주) | 내부확산법에 의한 니오븀 주석 합금 초전도 복합 선재 |
JP2011090788A (ja) * | 2009-10-20 | 2011-05-06 | National Institute For Materials Science | Nb3Al超電導線材 |
JP2016126950A (ja) * | 2015-01-07 | 2016-07-11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多芯超電導線材 |
-
2019
- 2019-01-31 KR KR1020190012877A patent/KR102002821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2939A (ja) * | 1991-06-29 | 1993-01-22 | Hitachi Cable Ltd | アルミニウム複合超電導線の製造方法 |
JP2006107841A (ja) * | 2004-10-01 | 2006-04-20 | National Institute For Materials Science | 複合シースニホウ化マグネシウム超電導線材とその製造方法 |
JP2006269277A (ja) * | 2005-03-24 | 2006-10-05 | Kobe Steel Ltd | 粉末法Nb3Sn超電導線材の製造方法 |
KR100797405B1 (ko) | 2006-12-12 | 2008-01-24 | 케이. 에이. 티. (주) | 초전도 선재와 그 제조방법 |
KR20100107927A (ko) | 2009-03-27 | 2010-10-06 | 케이. 에이. 티. (주) | 내부확산법에 의한 니오븀 주석 합금 초전도 복합 선재 |
JP2011090788A (ja) * | 2009-10-20 | 2011-05-06 | National Institute For Materials Science | Nb3Al超電導線材 |
JP2016126950A (ja) * | 2015-01-07 | 2016-07-11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多芯超電導線材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53789A (ko) * | 2021-10-14 | 2023-04-24 | 한국재료연구원 | MgB2 초전도 선재용 복합체, 그의 제조방법 및 MgB2 초전도 선재의 제조방법 |
KR102694449B1 (ko) | 2021-10-14 | 2024-08-14 | 한국재료연구원 | MgB2 초전도 선재용 복합체, 그의 제조방법 및 MgB2 초전도 선재의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588303B2 (ja) | Nb3Sn超電導線材の前駆体及びそれを用いたNb3Sn超電導線材 | |
EP1701390A2 (en) | Precursor for fabricating Nb3Sn superconducting wire, and Nb3Sn superconducting wire, and method for fabricating same | |
EP1903620B1 (en) | Nb3Sn superconducting wire and precursor therefor | |
US20230008754A1 (en) | Superconducting wire, method for manufacturing superconducting wire, and mri device | |
US8626254B2 (en) | Metal assembly constituting a precursor for a superconductor, a superconductor and a method suitable for the production of a superconductor | |
EP2006863B1 (en) | PRECURSOR FOR MANUFACTURE OF Nb3Sn SUPERCONDUCTING WIRE ROD, AND Nb3Sn SUPERCONDUCTING WIRE ROD | |
EP2099080A1 (en) | Nb3Sn superconducting wire manufactured by internal Sn process and precursor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JP2008091136A (ja) | NbTi系超電導線材 | |
US3570118A (en) | Method of producing copper clad superconductors | |
JP6585519B2 (ja) | Nb3Sn超電導線材製造用前駆体、およびNb3Sn超電導線材の製造方法 | |
EP1780812A2 (en) | Internal diffusion process Nb3Sn superconducting wire | |
KR102002821B1 (ko) | MgB2 초전도 선재 | |
US20230215604A1 (en) | Methods for manufacturing a superconductor | |
US7569520B2 (en) | Metal sheath magnesium diboride superconducting wir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US20120083415A1 (en) | Process of superconducting wire and superconducting wire | |
KR102002372B1 (ko) | 테이핑 방식에 의한 MgB2 초전도 선재 제조방법, 이에 의하여 제조된 MgB2 초전도 선재 및 초전도 다심선재 제조장치 | |
JP2019186167A (ja) | Nb3Sn超電導線材の前駆体及びNb3Sn超電導線材 | |
US12255000B2 (en) | Compound superconducting twisted wire and rewinding method for compound superconducting twisted wire | |
JP4791346B2 (ja) | Nb3Sn超電導線材およびそのための前駆体並びに前駆体用Nb複合単芯線 | |
JP2021516428A (ja) | 金属超伝導ワイヤのための拡散障壁 | |
JP3520699B2 (ja) | 酸化物超電導線材及びその製造方法 | |
JP3182978B2 (ja) | 永久電流で運転されるマグネット用Nb▲3▼Sn超電導線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2010135215A (ja) | Nb3Sn超電導線材製造用前駆体およびNb3Sn超電導線材 | |
Park et al. | Status of Nb3Sn strand development in Korea | |
JP2004342561A (ja) | Nb▲3▼Sn超電導線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13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2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7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7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