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00030B1 - 보일러의 배기통 접속 장치 - Google Patents

보일러의 배기통 접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0030B1
KR102000030B1 KR1020170096551A KR20170096551A KR102000030B1 KR 102000030 B1 KR102000030 B1 KR 102000030B1 KR 1020170096551 A KR1020170096551 A KR 1020170096551A KR 20170096551 A KR20170096551 A KR 20170096551A KR 102000030 B1 KR102000030 B1 KR 102000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pipe
band
exhaust
boiler
pip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6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2882A (ko
Inventor
한상민
이헌재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6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0030B1/ko
Publication of KR20190012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2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0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003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3/00Fittings for chimneys or flues 
    • F23J13/04Joints;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3/00Chimneys or flues
    • F23J2213/20Joints; Connections
    • F23J2213/203Joints; Connections between stack/duct and combustion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3/00Chimneys or flues
    • F23J2213/20Joints; Connections
    • F23J2213/204Seal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imneys And Flues (AREA)

Abstract

보일러의 배기통 접속 장치에 관하여 개시한다. 보일러에 고정된 배기 파이프; 상기 배기 파이프의 상단 외주면을 감싸며 상부에서 조립되며 확관부를 구비하는 배기통; 상기 배기통은 실링제의 유동을 방지하는 실링제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실링제는 상기 배기 파이프와 상기 배기통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배기 파이프의 끝단부와 상기 배기통의 확관부와 대응되어 배기통의 하부 진입을 제어하고, 상기 배기통은 밴드를 통해 배기 파이트에 접속 체결된다.

Description

보일러의 배기통 접속 장치{Exhaust connection device of boiler}
본 발명은 보일러의 배기통 접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보일러 가동 시 발생 되는 일산화탄소의 배출을 억제하고 배기통의 접속 강도를 보강하는 보일러의 배기통 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일러를 가동하면 연소 과정에서 다량의 일산화탄소(CO)가 발생되는데 일산화탄소는 인체 유해성이 높은 유독성 가스로 분류되므로 보일러 가동에서는 연소 중 발생 되는 연소가스와 함께 실외로 안전하게 배출하도록 하는 배기계통의 설계가 권장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배기 계통의 연결 구조는 보일러에 고정된 배기 파이프 및 배기 파이트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내보내는 통로가 되는 배기통의 접속 부분에 대한 상하 고정강도가 취약한 구조로서, 구조적으로 보면, 설치시 배기파이프와 배기통의 오조립으로 인한 실링부의 이탈이 가능한 구조로, 설치 후에도 연도의 하중, 진동, 외력 등에 의해 실링부의 이탈이 가능하여, 보일러 연소 중 일산화탄소가 접속부 틈 사이로 세어나와 실내로 유입될 수 있고, 또한 안전한 실링 처리로 배기통을 설치한 이후에도 진동과 외부 충격 전달 등에 의해 배기통에 의도하지 않은 흔들림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배기통 접속 연결부의 실링 처리 상태가 보존되지 못하고 언제든지 실링 처리 부분이 파괴되어 배기가스가 누출될 수 있는 상태이다. 이에 따라 변화된 배기통 접속에 관한 제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허문헌 1. KR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6657호
특허문헌 1. KR 등록특허공보 제10-166872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일러의 배기통 연결구조에 있어서, 체결 안정성 및 실링 안전성을 확보하고, 배기통의 설치 및 접속 강도를 보강, 배기통의 설치 신뢰성을 높이는데 있다.
상기 목적들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보일러에 고정된 배기 파이프; 상기 배기
파이프의 상단 외주면을 감싸며 상부에서 조립되며 확관부를 구비하는 배기통; 상기 배기통은 실링제의 유동을 방지하는 실링제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실링제는 상기 배기 파이프와 상기 배기통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배기 파이프는 제1 축관부를 갖는 것으로 상기 배기통의 확관부와 대응되어 배기통의 하부 진입을 제어하고, 상기 배기통은 밴드를 통해 배기 파이트에 접속 체결되는, 보일러의 배기통 접속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배기 파이프는, 제2 축관부를 가지며, 상기 밴드는 상기 제2 축관부에 대응되는 절곡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바람직하게는, 배기 파이프의 제2 축관부와 상기 밴드의 끝단 각도는 배기 파이프의 중심선과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제2 축관부 하부에는 상광 하협의 제3 축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밴드는 상기 제3 축관부의 상부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배기통의 끝단은 밴드를 고정하는 밴드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밴드는 상기 밴드고정부에 대응되는 절곡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배기통의 밴드고정부는, 커링 또는 포밍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밴드는, 상기 배기통의 실링제 고정부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실링제 고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배기파이프의 끝단부는, 제1 축관부를 구비함으로써, 배기 파이프와 배기통 결합시 완충 효과 및 배기통 확관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배기 파이프는, 제2 축관부를 가지며, 상기 밴드의 끝단은 상기 제2 축관부에 대응되는 절곡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배기 파이프에 대한 배기통의 조립에서 밴드를 사용하고, 밴드의 조임력이 나사 조임 토크로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일러의 배기 파이프에 배기통을 연결 접속하는데 있어서 걸림턱 보강 구조에 의해 연결 접속부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일러의 배기 파이프에 배기통을 연결 접속하는데 있어서 정위치 체결을 위한 설치자의 작업 공수를 줄이며, 설치 후 빠짐 방지 등을 위한 실리콘 후처리 작업 등을, 밴드 체결로 대체하여 시공 및 설치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일러의 배기 파이프와 배기통의 연결 접속 구조가 구조적으로 취약부를 보강하고 실링 처리를 견고하게 하는 구조이므로, 일산화탄소의 누출을 완벽하게 차단, 안전사고에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보일러의 배기 파이프에 배기통을 연결 접속하는데 있어서 배기 유로 변경에 따른 제품의 성능 저하 가능성에 효과적으로 대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일러의 배기 파이프에 배기통을 연결 접속하는데 있어서 연결 조립 시 배기통의 상/하 고정 구조에 의해 배기통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보일러에서 배기 파이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이다.
도 2는 종래 보일러의 배기통 접속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정위치 조립 상태, (b)는 오 조립 접속 상태를 비교적으로 나타낸 예시이다.
도 3은 도 2의 'A'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일러의 배기통 접속 장치에 의한 배기 파이프와 배기통의 접속 구조를 설명하는 부분 단면의 예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일러의 배기통 접속 장치에 의한 배기 파이프와 배기통의 접속 구조를 설명하는 부분 단면의 예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일러의 배기 파이프와 배기통의 연결 접속 구조를 나타낸 참고도의 예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밴드 부품도로서, (a)는 나사 체결 전 사상태, (b)는 나타 체결 후 상태를 비교적으로 나타낸 예시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기통 부품도로서, (a)는 정면도, (b)는 단면 상태를 나타낸 예시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배기통이 접속되는 보일러의 배기 파이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일러(100)에는 배기 파이프(110)가 설치되어 배기통(200)을 통해 보일러 가동 중 연소 가스를 외부 흐름으로 유도하여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보일러(100)의 배기 파이프(110)에 배기통(200)을 연결 접속하는데 있어서 접속부의 가스 누출을 실링제(300)를 통해 차단하고 연결 접속의 견고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다양한 접속 구조가 적용되고 있다.
도 2는 기존 적용되는 보일러의 배기통 접속 구조로서 (a)는 정 위치 조립 상태를, (b)는 오 조립 접속 상태를 비교적으로 나타낸 예시이다. 도 3은 도 2의 'A'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 보일러의 배기통 접속 구조에 의하면, 배기 파이프(110)를 따라 상부에서 배기통(200)을 삽입하여 밀어 끼우는 방식으로서, 도 2의 (a)와 같은 정 위치 조립 상태에서, 도 2의 (b)와 같이 배기통(200)의 상부에서 하중을 가하면 배기통(200)의 스토퍼(111)가 연결부 홈에 걸리지 않고 이탈될 수 있다. 이렇게 이탈된 배기통(200)은 상부에 맞닿아 실리콘 도포와 같은 추가 실링 작업을 필요로 하고, 실리콘 작업 정도에 따라서 배기통을 유동하는 일산화탄소가 외부로 누출될 수 있는 접속 구조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일러의 배기통 접속 장치에 의하면, 현재의 배기 유로 변경 없이 배기통의 접속 조립을 가능하게 하고, 배기통 연결 구조의 취약부를 보강하여 연결부 걸림턱의 이탈을 방지하고, 보일러 설치 시공 시 배기 파이프와 배기통의 연결 접속 부분에 대한 실리콘 도포 작업에 따른 작업 오류에 의한 가스 누출 가능성을 최소화하고, 배기 파이프와 배기통 간 접속 연결부에 밴드를 체결하여 진동과 충격에도 연결부의 와해나 실링 처리부의 변형이 없는 견고한 배기통의 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일러의 배기통 접속 장치에 의한 배기 파이프와 배기통의 접속 구조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일러의 배기통 접속 장치에 의한 배기 파이프와 배기통의 접속 구조를 설명하는 부분 단면의 예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일러의 배기통 접속 장치에 의한 배기 파이프와 배기통의 접속 구조를 설명하는 부분 단면의 예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일러의 배기 파이프와 배기통의 연결 접속 구조를 나타낸 참고도의 예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밴드 부품도로서, (a)는 나사 체결 전 사상태, (b)는 나타 체결 후 상태를 비교적으로 나타낸 예시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기통 부품도로서, (a)는 정면도, (b)는 단면 상태를 나타낸 예시이다.
본 발명은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일러(100)에 고정된 배기 파이프(110)에 대하여 배기통(200)은 배기 파이프(110)의 상단 외주면을 감싸며 상부에서 조립되고 확관부(210)를 구비한다. 배기통(200)은 실링제(310)의 유동을 방지하는 실링제 고정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링제(310)로는 오-링(o-ring)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그 밖의 밀폐 및 패킹제 및 유사 실링제들이 포함될 수 있다.
실링제(310)는 배기 파이프(110)와 배기통(200)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배기 파이프(110)의 끝단은 제1 축관부(120)를 갖으며, 배기통(200)의 확관부(210)와 대응되어 하부로의 진입을 제한하도록 구성되고, 배기통(200)의 끝단부는 밴드(400)로 체결된다.
배기파이프(110)의 끝단에 형성되는 제1 축관부(120)는 배기 파이프(110)와 배기통(200) 결합시 완충 효과 및 배기통 확관부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배기 파이프(110)와 배기통(200)의 접속 체결에 적용 가능한 밴드(400)로는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고리형 띠-형 밴드(도 7 참조)가 바람직한 체결 밴드로 사용될 수 있다. 밴드(400)는 적소(예를 들면, 끝단)에 절곡부(410)를 둘 수 있고, 띠-형 밴드(400)에 나사 홀(401)을 형성하여 나사(500) 체결 조임 결합으로 조여서 체결하기 위한 한 쌍의 브라켓(402), 배기 파이프(110) 또는 배기통(200)의 외벽과 밀착되는 플랜지(40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배기 파이프(110)는, 제2 축관부(130)를 가지며, 밴드(400)는 제2 축관부(130)에 대응되는 절곡부(41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배기 파이프(110) 및 밴드(400)는 배기통(200)의 하부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배기 파이프(110)의 제2 축관부(130)와 밴드(400)의 끝단 각도는 배기 파이프(110)의 중심선과 대응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기 파이프(110)의 제2 축관부(130) 하부에는 상광하협의 제3 축관부(140)를 더 구비하고, 밴드(400)는 제3 축관부(140)의 상부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하여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배기통(200)의 끝단은 밴드(400)를 고정하는 밴드고정부(230)가 형성되고, 밴드(400)는 배기통의 밴드고정부(230)에 대응되는 절곡부(410)를 구비함으로써, 연결시 견고한 조립 상태의 유지와 조립 구조로 완성될 수 있다.
배기통(200)의 밴드고정부(230)는, 커링 또는 포밍된 형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어느 형상이거나 밴드(400)의 이탈을 방지하고 견고한 조립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일러의 배기통 접속 장치에 의한 배기 파이프와 배기통의 접속 구조를 설명하는 부분 단면의 예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일러의 배기 파이프와 배기통의 연결 접속 구조를 나타낸 참고도의 예시이다.
바람직하게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통(200)에는 실링제(311)의 유동을 방지하는 실링제 고정부(221)를 둘 수 있다. 실링제(311)는 밴드(400a)로 조여져 상기 배기통(200)과 배기 파이프(110)의 하부 실링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밴드(400a)는, 배기통(200)의 실링제 고정부(221)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실링제 고정부(411)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배기 파이프(110)는, 제2 축관부(130)를 두고, 밴드(410)의 끝단은 제2 축관부(130)에 대응되는 절곡부(412)를 더 구비함으로써, 걸림턱 보강 구조에 의해 연결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밴드(400)(400a)는 나사(500)의 조임 토크를 조절하여 조임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배기 파이프(110)와 배기통(200)을 견고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연결하고 접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일러의 배기통 접속 장치에 의하면, 배기 파이프와 배기통 간 연결 접속에서 걸림턱 보강에 의해 연결 접속부분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배기 파이프와 배기통의 연결 접속에서 보일러의 시공 설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배기 파이프와 배기통 간 연결 접속부의 취약부 보강을 통해 보일러 가동 중 일산화탄소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배기 유로 변경에 따른 제품의 성능 저하 가능성을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배기 파이프에 배기통 연결 조립시 배기통의 상/하 고정 구조를 통한 배기통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실시 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진 것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된다.
100: 보일러 110: 배기 파이프
120: 제1 축관부 130: 제2 축관부
140: 제3 축관부 200: 배기통
210: 확관부
220.221: 실링제 고정부(배기통측) 230: 밴드 고정부
300.311: 실링제 400.400a: 밴드
410.412: 절곡부 411: 실링제 고정부(밴드측)

Claims (7)

  1. 보일러에 고정된 배기 파이프; 상기 배기 파이프의 상단 외주면을 감싸며 상부에서 조립되며 확관부를 구비하는 배기통; 상기 배기통은 실링제의 유동을 방지하는 실링제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실링제는 상기 배기 파이프와 상기 배기통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배기 파이프의 끝단부는 제1 축관부를 구비하여 상기 배기통의 확관부와 대응되어 상기 배기통의 하부 진입을 내측 방향에서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배기통은 밴드를 통해 배기 파이트에 접속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배기 파이프는, 제2 축관부를 가지며, 상기 제2 축관부 하부에는 상광 하협의 제3 축관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밴드는 상기 제2 축관부에 대응되는 절곡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밴드의 절곡부 내경은 상광하협하게 형성된 상기 제3 축관부의 상부의 외경보다 작고 하부 외경보다는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밴드에는 나사홀을 형성하여 나사를 체결 조임 결합시 상기 밴드의 절곡부가 상기 제3 축관부로 진입되어 조임 체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배기통 접속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통의 끝단은 밴드를 고정하는 밴드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밴드는 상기 밴드고정부에 대응되는 절곡부를 구비하는, 보일러의 배기통 접속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통의 밴드고정부는, 커링 또는 포밍된 형상을 포함하는 보일러의 배기통 접속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상기 배기통의 실링제 고정부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실링제 고정부를 구비하는, 보일러의 배기통 접속 장치.
  7. 삭제
KR1020170096551A 2017-07-28 2017-07-28 보일러의 배기통 접속 장치 Active KR102000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551A KR102000030B1 (ko) 2017-07-28 2017-07-28 보일러의 배기통 접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551A KR102000030B1 (ko) 2017-07-28 2017-07-28 보일러의 배기통 접속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882A KR20190012882A (ko) 2019-02-11
KR102000030B1 true KR102000030B1 (ko) 2019-07-15

Family

ID=65369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6551A Active KR102000030B1 (ko) 2017-07-28 2017-07-28 보일러의 배기통 접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00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6242B1 (ko) * 2019-05-17 2020-04-02 (주)세원 배기연통 연결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3341A (ja) * 1999-11-29 2001-06-08 Taihei:Kk 燃焼器具用煙突
KR200431367Y1 (ko) * 2006-09-07 2006-11-23 이호경 보일러연도의 이탈방지용 클램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87039A5 (de) * 1993-01-19 1996-08-30 Bartholet Ag Steckverbindung fuer Rohre, insbesondere Kaminrohre.
KR200436657Y1 (ko) 2006-11-17 2007-09-17 대성쎌틱 주식회사 플랜지로 연결되는 보일러 배기연통의 연결구조
KR101537107B1 (ko) * 2013-12-05 2015-07-1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의 배기관과 연도관의 연결구조
KR101668726B1 (ko) 2015-09-22 2016-10-25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의 배기구 장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3341A (ja) * 1999-11-29 2001-06-08 Taihei:Kk 燃焼器具用煙突
KR200431367Y1 (ko) * 2006-09-07 2006-11-23 이호경 보일러연도의 이탈방지용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882A (ko) 201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0898B2 (en) Single-bolt band clamp with gasketed center rib and pipe lap joint using the same
JP5507722B2 (ja) ボールジョイントパイプクランプ
KR101553914B1 (ko) 사전 위치 설정부를 가진 프로파일 클램프
KR101537107B1 (ko) 보일러의 배기관과 연도관의 연결구조
WO2006086616A3 (en) Pipe clamp with gasketed center rib
US9309798B2 (en) Multi-piece muffler housing
JP6789405B2 (ja) パイプクランプおよびセンサ収容部付きパイプ継手
ITTO20090978A1 (it) Tubo con connessione perfezionata preferibilmente per un circuito di aria condizionata
KR102000030B1 (ko) 보일러의 배기통 접속 장치
US20210324982A1 (en) Clamp locating system and method
KR101449428B1 (ko) 파이프 커플링
JP2009243601A (ja) 伸縮ユニオン継手及び流体移送配管系
KR20190026101A (ko) 입상배관 연결용 클램핑 장치
KR20120018888A (ko) 벨로우즈 대용 지그
WO2020066966A1 (ja) ガスケットの仮保持構造
RU2285191C1 (ru) Эластичная оболочка и способ ее установки в трубопроводе
KR20210066259A (ko) 배기 파이프용 클램프 및 이를 갖는 배기 파이프 구조물
JP6163099B2 (ja) 調整バンド及び筒形金具の装着方法
KR200276843Y1 (ko)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조립체
JP7233934B2 (ja) 漏洩防止装置
WO2020066884A1 (ja) ガスケットの仮保持構造
KR101848791B1 (ko) 이종재질 덕트-댐퍼의 연결구
JP2010139016A (ja) パイプの接続部構造
KR101896098B1 (ko) 플랜지
JP2006077895A (ja) パイプの接続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9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4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9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4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112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2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9053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4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112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7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7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7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