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68726B1 - 보일러의 배기구 장착장치 - Google Patents

보일러의 배기구 장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8726B1
KR101668726B1 KR1020150134094A KR20150134094A KR101668726B1 KR 101668726 B1 KR101668726 B1 KR 101668726B1 KR 1020150134094 A KR1020150134094 A KR 1020150134094A KR 20150134094 A KR20150134094 A KR 20150134094A KR 101668726 B1 KR101668726 B1 KR 101668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exhaust pipe
exhaust port
exhaust
insertion groo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4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선우
이헌재
문창현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4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87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8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872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3/00Fittings for chimneys or flues 
    • F23J13/04Joints;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3/00Fittings for chimneys or flues 
    • F23J13/06Mouths; Inlet ho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3/00Chimneys or flues
    • F23J2213/20Joints; Connections
    • F23J2213/204Seal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imneys And Flu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일러를 가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폐가스를 배출하는 보일러의 배기구 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배기구의 구조를 개선하여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폐가스 중 일부가 배기구가 설치되는 케이스와의 틈새를 통해 실내로 누설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플랜지(13a)가 케이스(11)에 접속되게 고정되는 배기구(13)에는 돌출부(20) 사이에 배기파이프(12)가 수용되는 환형의 삽입공간(15)을 형성하고 상단에는 연통이 끼워지는 삽입공(18)을 형성하며 플랜지(13a)의 내측에는 제1 패킹 삽입홈(17)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제1 패킹 삽입홈(17)에는 케이스(11)와의 기밀을 유지하는 제1 패킹(16)을 설치하고, 구조물(14)에 고정되어 배기구(13)의 삽입공간(15)에 수용되는 배기파이프(12)에는 제2 패킹 삽입홈(19)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2 패킹 삽입홈(19)에는 제2 패킹(21)을 설치하여 상기 제2 패킹(21)이 돌출부(20)의 외주면에 긴밀히 접속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일러의 배기구 장착장치{Device of Mounting Exhaust Pipe of Boiler}
본 발명은 보일러를 가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폐가스를 배출하는 배기구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배기구의 구조를 개선하여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폐가스 중 일부가 배기구가 설치되는 케이스와의 틈새를 통해 실내로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보일러의 배기구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는 난방과 온수의 공급을 위하여 설치되는 기기로써, 각종 연료를 연소시키면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물을 데우고, 데워진 물을 직접 이용하거나, 가정 또는 각종 건물들의 난방에 이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보일러는, 그 크기에 따라 가정용으로 이용되는 소형보일러에서부터 산업용으로 이용되는 대형 보일러까지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보일러는 석탄, 석유, 가스 등의 화석연료를 연소시킴에 따라 일산화탄소 등의 인체에 유해한 폐가스가 발생하게 되기 때문에 이에 따른 가스 중독사고 등을 방지하기 위해 보일러 본체에서 연소된 폐가스가 빠져나오는 배기관을 설치하고, 배기관에 폐가스를 실외로 배출하는 연통을 연결하여 폐가스가 배출되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기관이 케이스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써, 배기파이프(2)를 케이스(1)에 형성된 통공(3)의 내부에 끼워 상기 배기파이프(2)의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2a)를 케이스(1)의 내부에 위치하는 구조물(4)에 고정하는 타입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보일러의 가동에 따라 발생된 폐가스는 배기파이프(2)를 거쳐 상기 배기파이프(2)에 연결되는 연도(도시는 생략함)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20-2011-0011805호(2011.12.22.공개)
(특허문헌 000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8-0059968호(2008.07.01.공개)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장치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첫째, 배기파이프를 케이스에 형성된 통공에 단순히 억지끼움에 의해 설치하였기 때문에 폐가스의 일부가 배기파이프 및 케이스의 틈새 사이를 통해 실내로 누설될 경우 안전사고의 위험이 내포되어 있다.
둘째, 외부의 수분이 배기파이프 및 케이스의 틈새 사이를 통해 보일러의 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금속재질의 부품이 부식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안출한 것으로써, 배기파이프의 구조를 개선함과 동시에 별도의 배기구를 개발하여 연도를 통해 배출되는 폐가스가 배기파이프의 설치부위를 통해 누설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기구에 폐가스 체크공을 형성하여 수시로 폐가스 체크공을 통해 배기되는 폐가스를 체크함으로써, 최적의 운전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플랜지가 케이스에 접속되게 고정되는 배기구에는 돌출부 사이에 배기파이프가 수용되는 환형의 삽입공간을 형성하고 상단에는 연통이 끼워지는 삽입공을 형성하며 플랜지의 내측에는 제1 패킹 삽입홈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제1 패킹 삽입홈에는 케이스와의 기밀을 유지하는 제1 패킹을 설치하고, 구조물에 고정되어 배기구의 삽입공간에 수용되는 배기파이프에는 제2 패킹 삽입홈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2 패킹 삽입홈에는 제2 패킹을 설치하여 상기 제2 패킹이 돌출부의 외주면에 긴밀히 접속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배기구 장착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장치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첫째, 배기파이프에 별도의 배기구를 고정하면서 제1, 2 패킹에 의해 이들의 틈새를 완벽하게 실링하여 기밀을 유지하게 되므로 배기파이프를 통해 배출되는 폐가스가 실내로 누설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둘째, 외부의 수분이 배기파이프 및 케이스의 틈새 사이를 통해 보일러의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셋째, 제2 패킹에 날개편이 형성되어 있어 배기구의 삽입은 용이한 반면 배기파이프에 결합된 배기구는 날개편의 변형으로 인해 이탈되지 않게 된다.
넷째, 배기구에 폐가스 체크공이 형성되어 있어 간단하게 배출되는 폐가스를 체크할 수 있게 되므로 보일러를 항상 최상의 상태로 운전할 수 있게 된다.
다섯째, 배기파이프의 하단에 확관부가 형성되어 있어 배기구의 단면적이 줄어드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배기관이 케이스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패킹을 나타낸 종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2 패킹을 나타낸 종단면도로써, 본 발명은 구조물(14)에 종래의 배기파이프보다 짧은 배기파이프(12)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배기파이프(12)에는 배기구(13)에 형성된 환형의 삽입공간(15)이 끼워져 있는데, 상기 배기구(13)의 외측 플랜지(13a)에는 제1 패킹 삽입홈(17)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에는 연통(도시는 생략함)이 끼워지는 삽입공(18)이 형성되어 케이스(11)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패킹 삽입홈(17)에는 케이스(11)와의 기밀을 유지하는 제1 패킹(16)이 끼워져 있다.
그리고 상기 배기파이프(12)의 내주면에 제2 패킹 삽입홈(19)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패킹 삽입홈(19)에는 돌출부(20)의 외주면에 기밀이 유지되게 제2 패킹(21)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2 패킹(21)에 도 4와 같은 날개편(21a)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배기구(13)의 삽입시 날개편(21a)이 배기구(13)의 삽입방향으로 변형되므로 별도의 고정수단을 강구하지 않아도 배기파이프(12)에 조립된 배기구(13)가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배기구(13)의 일 측에 폐가스를 체크하는 폐가스 체크공(22)이 형성되어 평상시에 상기 폐가스 체크공(22)을 마개(23)로 폐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배기파이프(12)의 하부에 확관부(2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기파이프(12)의 상부에는 깔대기형태의 제2 확관부(25)가 형성되어 있다.
또, 배기구(13)의 내부에는 연도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26)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배기구(13)에 형성된 제1 패킹 삽입홈(17)에 제1 패킹(16)을 끼우고, 배기파이프(12)에 형성된 제2 패킹 삽입홈(19)에는 도 4와 같이 날개편(21a)을 갖는 제2 패킹(21)을 끼운 상태에서 배기구(13)의 돌출부(20)를 배기파이프(12)에 조립하면 배기파이프(12)의 상부에 갈대기형태의 확관부(25)가 형성되어 있어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배기파이프(12)에 배기구(13)를 조립하면 돌출부(20)의 하단에 의해 제2 패킹(21)의 날개편(21a)이 배기구(13)의 삽입방향으로 변형되므로 별도의 고정수단을 강구하지 않아도 배기파이프(12)에서 배기구(13)가 빠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배기구(13)를 배기파이프(12)에 조립하고 나면 제2 패킹(21)이 배기구(13)의 돌출부(20)에 긴밀히 접속되어 기밀을 유지함과 동시에 플랜지(13a)에 형성된 제1 패킹 삽입홈(17)에 끼워진 제1 패킹(16)이 케이스(11)에 밀착되므로 폐가스가 배기파이프(12) 및 배기구(13)를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외부로 누설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배기파이프(12)에 배기구(13)를 조립하여 배기구(13)에 형성된 삽입공간(15)에 배기파이프(12)가 위치되고 나면 배기파이프(12)의 하단에 확관부(24)가 형성되어 있어 배기구(12)의 단면적이 줄어드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보일러를 가동하는 과정에서 폐가스의 상태, 즉 보일러의 연소상태를 확인하고자 할 경우에는 폐가스 체크공(22)을 폐쇄하고 있던 마개(23)를 제거한 다음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함으로써, 보일러의 운전상태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 : 케이스 12 : 배기파이프
13 : 배기구 14 : 구조물
15 : 삽입공간 16 : 제1 패킹
17 : 제1 패킹 삽입홈 19 : 제2 패킹 삽입홈
20 : 돌출부 21 : 제2 패킹
21a : 날개편 22 : 폐가스 체크공
23 : 마개 24, 25 : 제1, 2 확관부
26 : 스토퍼

Claims (7)

  1. 플랜지(13a)가 케이스(11)에 접속되게 고정되는 배기구(13)에는 돌출부(20) 사이에 배기파이프(12)가 수용되는 환형의 삽입공간(15)을 형성하고 상단에는 연통이 끼워지는 삽입공(18)을 형성하며 플랜지(13a)의 내측에는 제1 패킹 삽입홈(17)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제1 패킹 삽입홈(17)에는 케이스(11)와의 기밀을 유지하는 제1 패킹(16)을 설치하고, 구조물(14)에 고정되어 배기구(13)의 삽입공간(15)에 수용되는 배기파이프(12)에는 제2 패킹 삽입홈(19)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2 패킹 삽입홈(19)에는 제2 패킹(21)을 설치하여 상기 제2 패킹(21)이 돌출부(20)의 외주면에 긴밀히 접속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배기구 장착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패킹(21)에 날개편(21a)을 일체로 형성하여 배기구(13)의 삽입시 날개편(21a)이 배기구(13)의 삽입방향으로 변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배기구 장착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13)의 일 측에 폐가스를 체크하는 폐가스 체크공(22)을 형성하고 상기 폐가스 체크공(22)을 마개(23)로 폐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배기구 장착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기파이프(12)의 하부에 제1 확관부(24)를 형성하여 하단을 구조물(14)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배기구 장착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기파이프(12)의 상부에 깔대기형태의 제2 확관부(2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배기구 장착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13)의 내부에 연도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2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배기구 장착장치.
KR1020150134094A 2015-09-22 2015-09-22 보일러의 배기구 장착장치 Active KR101668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094A KR101668726B1 (ko) 2015-09-22 2015-09-22 보일러의 배기구 장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094A KR101668726B1 (ko) 2015-09-22 2015-09-22 보일러의 배기구 장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8726B1 true KR101668726B1 (ko) 2016-10-25

Family

ID=57446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4094A Active KR101668726B1 (ko) 2015-09-22 2015-09-22 보일러의 배기구 장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872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7263B1 (ko) 2017-09-01 2018-12-11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과삽입 방지용 배기덕트를 구비한 가스보일러
KR101932998B1 (ko) * 2017-09-01 2018-12-27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서미스터 파손방지용 배기덕트를 구비한 가스보일러
KR101932992B1 (ko) 2017-09-01 2018-12-27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물유입 방지용 배기덕트를 구비한 가스보일러
KR20190012882A (ko) 2017-07-28 2019-02-11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의 배기통 접속 장치
KR20200025597A (ko) 2018-08-31 2020-03-1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의 연도 조립 유닛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871Y1 (ko) * 2004-06-29 2004-09-22 주식회사 롯데기공 배기가스 측정구가 형성된 보일러의 연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871Y1 (ko) * 2004-06-29 2004-09-22 주식회사 롯데기공 배기가스 측정구가 형성된 보일러의 연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2882A (ko) 2017-07-28 2019-02-11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의 배기통 접속 장치
KR101927263B1 (ko) 2017-09-01 2018-12-11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과삽입 방지용 배기덕트를 구비한 가스보일러
KR101932998B1 (ko) * 2017-09-01 2018-12-27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서미스터 파손방지용 배기덕트를 구비한 가스보일러
KR101932992B1 (ko) 2017-09-01 2018-12-27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물유입 방지용 배기덕트를 구비한 가스보일러
KR20200025597A (ko) 2018-08-31 2020-03-1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의 연도 조립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8726B1 (ko) 보일러의 배기구 장착장치
JP6529364B2 (ja) 給湯器
US9140450B2 (en) Retrofitted corrosive resistant venting system
KR20180073614A (ko) 연소 장치
KR101778589B1 (ko) 보일러의 연통 이탈 감지장치
ITVI20120304A1 (it) Struttura di supporto per serranda tagliafuoco e serranda tagliafuoco comprendente tale struttura di supporto
KR20100005323U (ko) 보일러용 연통과 연도의 고정장치
KR101679679B1 (ko) 이중관 연도의 응축수배출장치
CN205133528U (zh) 一种煤气发生炉探火孔水封装置
KR101734783B1 (ko) 일체형 에어타이트 소켓 이중배기연도
KR101989176B1 (ko) 배기가스 정화형 가정용 보일러배기관
KR101563579B1 (ko) 보일러의 이중 연도
KR200473890Y1 (ko) 이중 배기연도
KR100856860B1 (ko) 보일러의 역풍방지용 급배기관
CN207229450U (zh) 一种电蒸烤一体箱的风机轴密封圈
KR20110011805U (ko) 보일러용 연도와 연통의 고정장치
KR102173261B1 (ko) 콘덴싱보일러용 흡기파이프의 하단부에 방수부가 설치된 2중연도구조체
KR200366677Y1 (ko) 보일러의 연통 결합용 패킹
US20100007139A1 (en) Coupler for connecting metal and plastic pipes
US5315984A (en) Through the wall insulated flue
CN209054128U (zh) 一种安全防火式排油烟止逆阀
KR101945256B1 (ko) 침관식 가스 튀김기
KR102440992B1 (ko) 보일러의 배연관 연결구조
KR200453413Y1 (ko) 연도 조립체
CN206593125U (zh) 燃油燃气锅炉烟箱密封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6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0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0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