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92002B1 - 편광판용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편광판용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2002B1
KR101992002B1 KR1020160158489A KR20160158489A KR101992002B1 KR 101992002 B1 KR101992002 B1 KR 101992002B1 KR 1020160158489 A KR1020160158489 A KR 1020160158489A KR 20160158489 A KR20160158489 A KR 20160158489A KR 101992002 B1 KR101992002 B1 KR 101992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ing plate
adhesive film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uring ag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8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9202A (ko
Inventor
나연주
정우진
김민정
신동윤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8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2002B1/ko
Publication of KR20180059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9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2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200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제1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및 제2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포함하는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고, 식 1의 모듈러스 차이가 0.1MPa 내지 0.3MPa이고, 식 2의 크립 차이가 200㎛ 내지 500㎛인 편광판용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편광판용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ADHESIVE FILM FOR POLARIZING PLATE,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편광판용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는 액정 패널 및 액정 패널의 양면에 부착된 편광판을 포함한다. 편광판은 편광자 및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어 편광자를 보호하는 보호필름을 포함한다. 편광판은 편광판용 점착 필름에 의해 액정 패널에 부착된다.
직사광선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차량용 디스플레이는 외부 환경 영향뿐만 아니라 BLU 밝기를 높이기 위한 높은 전압이 적용되므로 90℃ 이상의 고온에서도 강한 내구성을 요구된다. 액정표시장치 중 액정 패널은 고온에서 편광판의 응력에 의해 휨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패널휨은 액정표시장치의 화면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휨을 개선하기 위해 점착제의 모듈러스를 낮추게 되면 내열 또는 내습열 등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분자량 또는 가교도가 높은 점착 수지를 사용하는 방법이 일반적인데 패널 휨은 반대로 저하된다. 내구성과 패널 휨은 서로 trade-off 관계에 있어서 이를 동시에 개선하기 위한 점착제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일본등록특허 제5738967호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패널휨을 개선하고 내구성이 높은 편광판용 점착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온과 고온 간의 모듈러스와 크립의 차이가 특정 범위를 가져 패널 휨을 개선함과 동시에 90℃ 이상 고온에서도 신뢰성이 유지되는 고내구성 효과가 있는 편광판용 점착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편광판용 점착 필름은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제1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및 제2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포함하는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고, 상기 편광판용 점착 필름은 하기 식 1의 모듈러스 차이가 0.1MPa 내지 0.3MPa이고, 하기 식 2의 크립 차이가 200㎛ 내지 500㎛일 수 있다.
<식 1>
모듈러스 차이 = 모듈러스 1 - 모듈러스 2
(상기 식 1에서, 모듈러스 2 및 모듈러스 1은 하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식 2>
크립 차이 = 크립 2 - 크립 1
(상기 식 2에서, 크립 2 및 크립 1은 하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본 발명의 편광판용 점착필름 또는 본 발명의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표시장치는 상기 편광판용 점착 필름 또는 상기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패널휨을 개선하고 내구성이 높은 편광판용 점착필름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상온과 고온 간의 모듈러스와 크립의 차이가 특정 범위를 가져 패널 휨을 개선함과 동시에 90℃ 이상 고온에서도 신뢰성이 유지되는 고내구성 효과가 있는 편광판용 점착필름을 제공하였다.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크립의 측정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 "하부"는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으로서, 반드시 상부와 하부로 고정되는 것은 아니고, 보는 시각에 따라 "상부"가 "하부"로 "하부"가 "상부"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편광판용 점착 필름",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은 각각 "점착 필름", "점착제 조성물"로 표기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메트)아크릴"은 아크릴 및/또는 메타아크릴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크립"은 도 1을 참조하면, 소다 라임 무알칼리 유리판(20)의 말단에 점착필름 부착 편광판(23)을 a x b(예:15mm x 15mm)의 면적으로 합지하고, 하중 W로 1000초 동안 점착필름 부착 편광판(23)을 잡아당겼을 때, 점착필름 부착 편광판(23)이 소다 라임 무알칼리 유리판(20)으로부터 밀린 거리를 측정한 것이다. 점착필름 부착 편광판(23)은 점착필름(21) 상에 형성된 편광판(22)을 포함한다. 편광판(22)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트리아세틸셀룰로스 필름, 편광자, 및 트리아세틸셀룰로스 필름을 포함한다. 25℃에서의 크립은 25℃에서 2250gf의 일정한 힘 W로 1000초 동안 잡아당겼을 때 소다 라임 무알칼리 유리판(20)으로부터 편광판(23)의 점착필름의 밀린 거리를 측정한 것이다. 95℃에서의 크립은 95℃에서 1500gf의 일정한 힘 W로 1000초 동안 잡아당겼을 때 소다 라임 무알칼리 유리판(20)으로부터 편광판(23)의 점착필름의 밀린 거리를 측정한 것이다. 크립은 TEXTURE ANALYZER TA.XT PLUS(로드셀 5kg, EKO Instruments사)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점착필름은 점착제 조성물을 이형필름(PET 필름)에 도포하고, 90℃에서 4분 동안 건조시킨 후에, 35℃ 및 45% 상대습도에서 96시간 동안 숙성시켜 제조될 수 있다. 점착필름은 두께가 10㎛ 내지 40㎛가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모듈러스"는 저장 모듈러스(storage modulus)이다.
본 명세서에서 "고형분"은 점착제 조성물 중 용매를 제외한 나머지 전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량체의 "유리전이온도"는 측정 대상 단량체의 호모폴리머에 대하여 TA Instrument사의 DSC Discovery를 이용하여 측정한 유리전이온도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측정 대상 단량체의 호모폴리머에 대하여 20℃/분의 속도로 180℃까지 온도를 올린 후, 동일한 속도로 -120℃까지 냉각시킨 후, 10℃/분의 속도로 300℃까지 승온하였을 때의 흡열 전이곡선을 데이터를 얻은 후, 상기 흡열전이 곡선의 변곡점을 유리전이온도로 결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용 점착필름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용 점착 필름은 하기 식 1의 모듈러스 차이가 0.1MPa 내지 0.3MPa이고, 하기 식 2의 크립 차이가 200㎛ 내지 500㎛일 수 있다:
<식 1>
모듈러스 차이 = 모듈러스 1 - 모듈러스 2
(상기 식 1에서, 상기 모듈러스 1은 상기 편광판용 점착필름의 25℃에서의 모듈러스(단위:MPa),
상기 모듈러스 2는 상기 편광판용 점착필름의 95℃에서 모듈러스(단위:MPa))
<식 2>
크립 차이 = 크립 2 - 크립 1
(상기 식 2에서, 상기 크립 1은 상기 편광판용 점착필름의 25℃에서 크립(단위:㎛),
상기 크립 2는 상기 편광판용 점착필름의 95℃에서 크립(단위:㎛)).
편광판용 점착필름은 상기 식 1의 모듈러스 차이와 상기 식 2의 크립 차이를 확보함으로써 고온에서 패널 휨을 개선하고 내열 및 내습열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 1의 모듈러스 차이는 0.1MPa 내지 0.2MPa이고, 상기 식 2의 크립 차이가 200㎛ 내지 400㎛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패널 휨 개선, 보다 가혹한 조건에서도 신뢰성 개선뿐만 아니라 휨 효과가 더 있을 수 있다.
편광판용 점착필름은 95℃에서 모듈러스가 0.001MPa 이상, 구체적으로 0.004MPa 이상 0.1MPa 이하, 95℃에서 크립이 400㎛ 이상 구체적으로 400㎛ 이상 800㎛ 이하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패널 휨을 개선할 수 있고, 내구성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편광판용 점착필름은 25℃에서 모듈러스가 0.1MPa 이상, 구체적으로 0.1MPa 이상 0.4MPa 이하, 25℃에서 크립이 100㎛ 이상 구체적으로 100㎛ 이상 500㎛ 이하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고온에서도 신뢰성이 좋고, 휨 효과가 있을 수 있다.
편광판용 점착필름은 95℃에서의 모듈러스: 25℃에서의 모듈러스의 비가 1:10 내지 1:30, 구체적으로 1:20 내지 1:30이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패널 휨 개선과 신뢰성 개선 효과가 있고, 기재 밀착력 상승 효과가 있을 수 있다.
편광판용 점착필름은 광학적으로 투명하여, 광학 표시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점착필름은 가시광선 영역 예를 들면 파장 380nm 내지 780nm에서, 광투과도가 85% 이상, 더 구체적으로 85% 내지 99.9%가 될 수 있다.
편광판용 점착필름은 두께가 40㎛ 이하, 구체적으로 5㎛ 내지 3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광학 표시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편광판용 점착필름은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제1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및 제2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포함하는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은 제1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및 제2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특정 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상기 식 1의 모듈러스 차이와 상기 식 2의 크립 차이를 가져 패널 휨 개선과 내구성 개선을 동시에 얻고 제품에 적용가능한 박리강도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제2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편광판용 점착필름의 25℃ 대비 95℃에서의 모듈러스를 현저하게 낮춤으로써 패널휨을 개선하고, 고온에서도 점착필름이 적용 가능한 박리강도를 확보하게 할 수 있다. 제1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와 제2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전체는 semi-IPN(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95℃에서도 가교 밀도를 높여 주어 내구성을 좋게 하면서도 휨의 개선 효과가 있을 수 있다.
편광판용 점착 필름은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을 소정의 두께로 코팅하고 건조(용매 휘발)시킨 후, 커팅(cutting)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은 코팅 및 건조 직후에도 충분히 숙성될 수 있어, 점착 필름의 제조 공정성을 개선할 수 있고, 재단성(cutting성)을 좋게 할 수 있다.
이하,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을 상세히 설명한다.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는 편광판용 점착 필름의 매트릭스를 형성할 수 있다.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수산기, 카르복시산기 및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일 수 있다.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카르복시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및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공중합체 예를 들면 랜덤 공중합체일 수 있다.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제1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및 제2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와 반응하여 박리강도를 구현할 수 있다.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하나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C1 내지 C20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하나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C3 내지 C20의 시클로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하나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C6 내지 C20의 방향족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모노 (메트)아크릴레이트, 1-클로로-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페닐옥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사이클로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포함될 수 있다.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단량체 혼합물 중 0.1중량% 내지 5중량%, 구체적으로 0.5중량% 내지 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수산기와 반응하는 경화제와의 반응에 의해 내구성이 개선되어 들뜸, 박리 등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카르복시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메트)아크릴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르복시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단량체 혼합물 중 0.1중량% 내지 15중량%, 구체적으로 0.1중량% 내지 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카르록시산기와 반응하는 경화제와의 반응에 의해 숙성기간 단축 및 내구성이 개선되어 들뜸, 박리 등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호모폴리머의 유리전이온도가 서로 다른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의 혼합물을 포함함으로써, 편광판용 점착필름의 Tg 조절 및 경도 개선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은 제1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와 제2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의 혼합물이고, 제1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제2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대비 호모폴리머의 유리전이온도가 낮을 수 있다. 이때, 제1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제2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대비 과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혼합물 100중량부 중 제1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55중량부 내지 95중량부 구체적으로 60중량부 내지 80중량부, 제2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5중량부 내지 45중량부 구체적으로 20중량부 내지 4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유리전이 온도(Tg) 상승 효과에 따른 경도 및 tackiness 제어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제1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iso-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헵틸(메트)아크릴레이트, 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iso-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도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n-부틸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제1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호모폴리머의 유리전이온도가 0℃ 이하, 구체적으로 -10℃ 내지 -100℃인 것이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유리전이 온도(Tg) 상승 효과에 따른 경도 및 tackiness 제어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제2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iso-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포함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제2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호모폴리머의 유리전이온도가 5℃ 이상, 구체적으로 5℃ 내지 150℃, 5℃ 내지 100℃인 (메트)아크릴계 단량체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유리전이 온도(Tg) 상승 효과에 따른 경도 및 tackiness 제어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단량체 혼합물 중 80중량% 내지 99중량%, 구체적으로 90중량% 내지 99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점착제층의 헤이즈가 낮아지고, 포트라이프의 안정성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는 단량체 혼합물을 통상의 중합 방법으로 중합시켜 제조될 수 있다. 중합 방법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는 단량체 혼합물에 개시제를 첨가한 후, 통상의 공중합체 중합 예를 들면 현탁중합, 유화중합, 용액 중합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중합온도는 50℃ 내지 70℃, 중합시간은 6시간 내지 10시간이 될 수 있다. 개시제는 아조계 중합 개시제; 및/또는 과산화 벤조일 또는 과산화 아세틸과 같은 과산화물 등을 포함하는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200만 이하, 구체적으로 80만 내지 120만이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내구성을 높일 수 있고 점착제 조성물의 고속 코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중량평균분자량은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 법에서의 폴리스티렌 환산에 의해 구한 값이 될 수 있다.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유리전이온도가 -60℃ 내지 0℃, 구체적으로 -45℃ 내지 -5℃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점착제로서의 유동성을 가지며, 높은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는 다분산도가 2.5 내지 9.0 구체적으로 3 내지 6이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중합이 안정적이며, 내구성의 저하를 배제할 수 있다.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산가가 5mg KOH/g 이하, 더 구체적으로 0.01mg KOH/g 내지 3mg KOH/g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피착체에 대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부식 방지 억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경화제는 제1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와 제2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와 제2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서로 다르다. 제1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만 포함하는 점착필름은 25℃와 95℃ 모두 점착필름의 모듈러스가 높아서 패널 휨 개선 효과가 미약하였다. 제2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만 포함하는 점착필름은 신뢰성 개선 효과가 미약하였다. 제1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제2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1.5:1 내지 10:1의 중량비, 구체적으로 1.5:1 내지 6:1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상기 식 1의 모듈러스 차이와 상기 식 2의 크립 차이를 동시에 만족시켜 패널 휨 개선과 내구신뢰성 개선을 얻을 수 있다.
제1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탄소수 10 내지 20의 선형 알킬렌기를 포함하지 않는다. 반면에, 제2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탄소수 10 내지 20의 선형 알킬렌기를 포함한다.
제1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수산기와 반응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경화시켜 박리강도를 확보하고 모듈러스를 높일 수 있다. 제1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3관능 이상, 구체적으로 3관능 내지 6관능의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3관능의 트리메틸올프로판 변성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어덕트, 3관능의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트라이머, 트리메틸올프로판 변성 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어덕트 등을 포함하는 3관능의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6관능 트리메틸올프로판 변성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6관능 이소시아누레이트 변성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 다이이소시아네이트, 클로로페닐렌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렌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자일릴렌 다이이소시아네이트, 다이페닐메탄 다이이소시아네이트, 수첨된 다이페닐메탄 다이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 또는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를 트라이메틸올프로판 등과 부가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이소시아누레이트화물 또는 이소시아네이트 뷰렛형 화합물과 폴리에테르 폴리올이나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아크릴폴리올, 폴리뷰타다이엔 폴리올, 폴리아이소프렌 폴리올 등 부가 반응시킨 우레탄 프레폴리머형(prepolymer)의 이소시아네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3관능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제1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방향족기가 있는 방향족계 경화제이고, 제2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방향족기가 없는 비-방향족계 경화제일 수 있다.
제1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해 10중량부 이하, 구체적으로 0.001중량부 내지 10중량부, 더 구체적으로 0.01중량부 내지 10중량부, 0.01중량부 내지 5중량부, 1.3중량부 내지 5중량부, 1.3중량부 내지 4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내구성(내열성) 및 박리력 상승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제2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수산기와 반응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경화시켜 박리강도를 확보하고, 95℃에서 점착필름의 모듈러스를 낮춤으로써 점착필름에 유연성(flexibility)을 부여하여 패널 휨을 개선할 수 있다. 제2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하기 화학식 1의 모이어티를 1개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 (CH2)n - O - C(=O)-NH - (CH2)m - NCO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10 내지 20의 정수, m은 1 내지 20의 정수, *은 연결 부위).
상기 화학식 1에서 NCO기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와 경화 반응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에서 - (CH2)n -은 flexible unit으로서 점착필름에 유연성을 부여하여 패털 휨을 개선할 수 있다.
제2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탄소수 10 내지 20의 알킬렌기를 포함하여 95℃에서 점착필름의 모듈러스를 낮춤으로써 점착필름에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제2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Asahi KASEI사의 DURANATE, Urethane adduct 또는 Biuret, E402-80B, E402-100, TSE-100, AE700-100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2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해 5중량부 이하, 구체적으로 0.001중량부 내지 5중량부, 더 구체적으로 0.01중량부 내지 5중량부, 0.4중량부 내지 5중량부, 0.4중량부 내지 3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패널 휨 개선 및 가교밀도 상승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제1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와 제2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전체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해 20중량부 이하, 구체적으로 0.01중량부 내지 15중량부, 더 구체적으로 1중량부 내지 1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내구성과 패널휨 개선 효과가 있고, 적용가능한 박리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은 실란커플링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란커플링제는 유리와 같은 피착체에 대한 편광판용 점착필름의 점착력을 높일 수 있다. 실란커플링제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실란커플링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란커플링제는 3-글리시드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드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실란 등의 에폭시 구조를 갖는 규소 화합물; 비닐 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메트)아크릴옥시 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중합성 불포화기 함유 규소 화합물; 3-아미노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등의 아미노기 함유 규소 화합물; γ-메르캅토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γ-메르캅토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 γ-메르캅토부필 트리메톡시실란, γ-메르캅토프로필 메틸디메톡시 실란 등의 메르캅토기 함유 규소 화합물 등의 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란커플링제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해 0.01중량부 내지 5중량부, 구체적으로 0.01중량부 내지 2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내구성이 우수하며, 특히 내습 신뢰성 조건하에서 들뜸 현상이 양호하며 glass 박리력 등의 시간 경과에 따른 물성 변화가 적을 수 있다. 특히, 에폭시기 또는 메르캅토기 함유 실란커플링제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효과가 더 좋아질 수 있다.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은 점착부여수지, 대전방지제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점착부여수지는 점착 필름의 점착력을 높이는 것으로,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이 점착부여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대전방지제는 점착 필름을 피착체로부터 제거시 정전기 발생을 억제하는 것으로, 4급 암모늄계 대전방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점착부여수지, 대전방지제 중 하나 이상은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해 0.1중량부 내지 2중량부, 구체적으로 0.1중량부 내지 1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점착필름의 물성에 영향을 주지 않고 해당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은 통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는 자외선흡수제, 산화방지제, 점착부여수지, 가소제, 리워크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해 0.001중량부 내지 5중량부, 구체적으로 0.01중량부 내지 1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편광판용 점착필름의 물성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첨가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은 용매 예를 들면 메틸에틸케톤을 더 포함하여 조성물의 도포성을 좋게 할 수 있다.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은 25℃에서 점도가 1,000cPs 내지 4,000cPs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점착 필름의 두께 조절이 용이할 수 있고, 점착필름에 얼룩이 없으며, 코팅면이 균일한 효과가 있으며 고속 코팅에 적합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편광판용 점착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편광판의 일면에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편광판용 점착 필름을 점착시키거나 또는 편광판의 일면에 상술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을 소정의 두께로 코팅한 후 숙성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편광판은 편광자, 및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광학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편광자, 광학필름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내용에 의한다.
편광판은 두께가 30㎛ 내지 250㎛, 구체적으로 140㎛ 내지 20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광학표시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 일 실시예의 편광판(100)은 편광자(110), 편광자(110)의 상부면에 형성된 제1광학필름(120), 편광자(110)의 하부면에 형성된 점착필름(130)을 포함하고, 점착필름(130)은 본 발명의 편광판용 점착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점착 필름(130)은 액정표시패널에 점착될 수 있다.
편광자(110)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으로 이루어지며, 제조 방법에 관계 없이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편광자는 부분 포르말화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아세토아세틸기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등의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에 요오드나 이색성 염료를 염색시키고, 이를 일정방향으로 연신시켜 제조된다. 구체적으로, 팽윤 과정, 염색 단계, 연신 단계를 거쳐 제조된다. 각 단계를 수행하는 방법은 당업자들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다. 편광자(110)는 두께가 5㎛ 내지 5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광학표시장치에 사용할 수 있다. 제1광학필름(120)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수지, 구체적으로 비정성 환상 폴리올레핀(cyclic olefin polymer, COP) 등을 포함하는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계,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트리아세틸셀룰로스(TAC) 등을 포함하는 셀룰로스 에스테르계, 폴리에테르술폰계, 폴리술폰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이미드계, 폴리올레핀계, 폴리아릴레이트계, 폴리비닐알코올계, 폴리염화비닐계,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 중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광학필름(120)은 두께가 10㎛ 내지 200㎛, 예를 들면 20㎛ 내지 120㎛가 될 수 있고, 상기 범위에서 광학표시장치에 사용할 수 있다.
도 2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편광자와 제1광학필름 사이에는 편광판용 접착제로 형성된 접착층이 포함될 수 있고, 편광판용 접착제는 수계 접착제, 감압 접착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점착필름(130), 편광자(110), 제1광학필름(120)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편광판을 나타낸 것이나, 점착필름(130), 제2광학필름, 편광자(110), 제1광학필름(120)의 순서로 적층되는 편광판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제2광학필름은 제1광학필름(120)과 동일 또는 이종의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광학필름은 제1광학필름(120)과 두께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본 발명 일 실시예의 광학표시장치는 본 발명의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학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 유기발광표시장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 액정표시패널의 상부면에 형성된 제1편광판, 액정표시패널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2편광판, 제2편광판의 하부에 형성된 백라이트유닛을 포함하고, 제1편광판, 제2편광판 중 하나 이상은 본 발명 실시예의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액정표시패널은 TN(twisted nematic) 모드, VA(vertical alignment) 모드, PVA(patterned vertical alignment) 모드, IPS 모드 또는 S-PVA(super-patterned vertical alignment) 모드를 채용할 수 있다. 특히, TN 모드의 액정표시패널은 빛샘 개선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하기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사용된 성분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A)(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하기 제조예의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B)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B1)제1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Coronate L (일본폴리우레탄, 고형분 75%)
(B2)제2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Duranate(Asahi KASEI, AE700-100 고형분100%)
(C)실란커플링제: KBM403(신예츠, 고형분:100중량%)
제조예
질소가스가 환류되고 온도 조절이 용이하도록 냉각 장치가 설치된 1L의 반응기에 n-부틸아크릴레이트(BA) 63중량부, 메틸아크릴레이트(MA) 34중량부,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2-HEMA) 1중량부, 아크릴산(AA) 2중량부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 및 용매로 에틸아세테이트(EA) 100중량부를 투입하였다. 그 후 산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질소 가스를 1시간 동안 투입하여 상기 반응기를 치환시킨 후 온도를 62℃로 유지하였다. 단량체 혼합물을 균일하게 교반한 후 반응 개시제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0.07중량부를 투입하고 8시간 동안 반응시켜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중량평균분자량: 80만 내지 110만, 다분산도: 4.0, 유리전이온도: -31℃)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메틸에틸케톤 20중량부에, 제조예의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 제1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2.50중량부(고형분 기준), 제2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0.67중량부(고형분 기준)를 넣고 3분 동안 교반하였다. 실란커플링제 0.03중량부(고형분 기준)를 더 넣고 20분 동안 더 교반하여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하였다.
제조한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을 이형필름에 도포하고, 건조시킨 후 두께 26㎛의 점착층을 제조하고 편광판에 라미네이션시키고, 35℃ 및 45% 상대습도에서 48시간 동안 숙성시켜 편광판용 점착필름이 부착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이때, 편광판은 트리아세틸셀룰로스 필름(두께:40㎛), 편광자(두께:5㎛), 및 트리아세틸셀룰로스 필름(두께:40㎛)이 순차로 적층시켜 제조되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제1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와 제2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의 함량을 하기 표 1(단위: 중량부)과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용 점착필름이 부착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
실시예 1에서, 제1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와 제2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의 함량을 하기 표 1과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용 점착필름이 부착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한 편광판에 대해 하기 표 1의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1)모듈러스: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한 편광판 중 편광판용 점착필름을 분리하였다. 얻은 편광판용 점착필름을 복수 개 적층하고 절단하여 두께 500㎛ 및 직경 8mm의 원형의 시편을 제조하고, 제조한 시편에 대해 Physica MCR501(Anton parr)를 사용하여 직경 8mm의 디스크 상에서 0℃에서 100℃까지 5℃/분의 승온 속도로 승온하면서 1Hz 및 5% strain에서 평가하였을 때 25℃, 95℃에서의 값을 측정하였다.
상기 식 1에 따라 모듈러스 차이를 계산하였다.
(2)크립: 크립 1은 도 1을 참조하고, 인장시험 측정기 TEXTURE ANALYZER TA.XT PLUS(로드셀 5kg, EKO Instruments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와 비교예의 편광판용 점착필름이 부착된 편광판을 가로 x 세로(15mm x 120mm) 크기의 직사각형으로 절단하여 편광판(23)을 제조하였다. 소다 라임 무알칼리 유리판(20)의 말단에 편광판(23)을 a x b(예:15mm x 15mm)의 면적으로 합지하고, 50℃ 및 3.5기압에서 밀착시키고, 25℃에서 1일 동안 방치하여 크립 측정용 시편을 제조하였다. 상기 인장시험 측정기에 제조한 시편을 고정시키고, 25℃에서 상기 편광판을 2250gf의 일정한 힘 W로 1000초 동안 잡아당겼을 때 소다 라임 무알칼리 유리판(20)으로부터 편광판(23)의 점착필름의 밀린 거리를 측정하였다.
또한, 실시예와 비교예의 편광판용 점착필름이 부착된 편광판을 가로 x 세로(15mm x 80mm) 크기의 직사각형으로 절단하여 편광판(23)을 제조하였다. 소다 라임 무알칼리 유리판(20)의 말단에 편광판(23)을 a x b(예:15mm x 15mm)의 면적으로 합지하고, 50℃ 및 3.5기압에서 밀착시키고, 25℃에서 1일 동안 방치하여 크립 측정용 시편을 제조하였다. 상기 인장시험 측정기에 오븐을 추가 설치하여 상기 인장시험 측정기 내부를 95℃로 유지하고, 상기 제조한 시편을 상기 인장시험 측정기에 고정시키고, 95℃에서 상기 편광판을 1500gf의 일정한 힘 W로 1000초 동안 잡아당겼을 때 소다 라임 무알칼리 유리판(20)으로부터 편광판(23)의 점착필름의 밀린 거리를 측정하였다.
상기 식 2에 따라 크립 차이를 계산하였다.
(3)패널 휨: 실시예와 비교예의 점착필름이 부착된 편광판(가로x세로, 180mm x 110mm, 직사각형)을 점착필름을 매개로 액정셀(가로x세로, 190mm x 120mm, 직사각형)에 부착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시편을 95℃ 오븐에 투입하고 24시간, 120시간, 250시간, 500시간, 1000시간에 맞추어 꺼낸 후 패널 휨을 측정하였다. 상기 시편을 편평한 곳에 놓고, 한쪽 모서리 위쪽에 추를 놓고 대각선 방향의 모서리에서 상기 편평한 곳과 패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였다. 상기 편평한 곳과 패널 사이의 거리가 0mm 이상 2mm 이하이면 ○, 2mm 초과 5mm 이하이면 △, 5mm 초과이면 x로 평가하였다.
(4)내구 신뢰성: 실시예와 비교예의 점착필름이 부착된 편광판(가로x세로, 100mm x 80mm)을 점착필름을 매개로 유리판에 부착하고 50℃ 및 3.5기압에서 밀착시켜 시편을 제조하였다. 상기 시편을 95℃에서 1000시간 동안 방치하여 내열 신뢰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상기 시편을 60℃ 및 상대습도 90%에서 500시간 동안 방치하고 1시간 동안 상온에서 방치한 후 내습열 신뢰성을 평가하였다. 시편을 육안으로 관찰하였을 때 점착필름 또는 점착필름과 편광판 사이에 기포나 단부 들뜸이 없으면 ○, 기포나 단부 들뜸이 다소 있다면 △, 기포나 단부 들뜸이 많이 있으면 ×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1 2 1 2 3 4
(A)(중량부) 100 100 100 100 100 100
(B1)(중량부) 2.50 1.87 1.25 - 3.62 3.00
(B2)(중량부) 0.67 1.07 1.43 2.16 - 0.37
(C)(중량부) 0.03 0.03 0.03 0.03 0.03 0.03
모듈러스
(MPa, @25℃)
0.13 0.12 0.10 0.08 0.70 0.49
모듈러스
(MPa, @95℃)
0.005 0.0045 0.003 0.0015 0.550 0.075
식 1의 모듈러스 차이(MPa) 0.125 0.1155 0.097 0.0785 0.150 0.415
크립(㎛, @25℃) 113 124 155 237 58 97
크립(㎛, @95℃) 412 486 593 885 80 284
식 2의 크립 차이
(㎛)
299 362 438 648 22 187
패널 휨 x x
내열 신뢰성 x
내습열 신뢰성 x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편광판용 점착필름은 패널 휨을 개선하고 내열 및 내습열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다.
반면에, 제1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만 포함하는 비교예 3은 25℃와 95℃ 모두 점착필름의 모듈러스가 높아서 패널 휨 개선 효과가 미약하였다. 제2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만 포함하는 비교예 2는 신뢰성 개선 효과가 미약하였다. 제1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와 제2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모두 포함하더라도 식 1의 모듈러스 차이, 식 2의 크립 차이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비교예 1, 비교예 4는 신뢰성이 좋지 않거나, 패널 휨이 생겼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3)

  1.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제1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및 제2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포함하는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는 편광판용 점착필름이고,
    상기 편광판용 점착필름은 하기 식 1의 모듈러스 차이가 0.1MPa 내지 0.3MPa이고, 하기 식 2의 크립 차이가 200㎛ 내지 500㎛인 것인, 편광판용 점착필름:
    <식 1>
    모듈러스 차이 = 모듈러스 1 - 모듈러스 2
    (상기 식 1에서, 상기 모듈러스 1은 상기 편광판용 점착필름의 25℃에서의 모듈러스(단위:MPa),
    상기 모듈러스 2는 상기 편광판용 점착필름의 95℃에서 모듈러스(단위:MPa)),
    <식 2>
    크립 차이 = 크립 2 - 크립 1
    (상기 식 2에서, 상기 크립 1은 상기 편광판용 점착필름의 25℃에서 크립(단위:㎛),
    상기 크립 2는 상기 편광판용 점착필름의 95℃에서 크립(단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용 점착필름은 95℃에서 모듈러스가 0.004MPa 이상 0.1MPa 이하인 것인, 편광판용 점착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용 점착필름은 95℃에서 크립이 400㎛ 이상 800㎛ 이하인 것인, 편광판용 점착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용 점착필름은 95℃에서의 모듈러스: 25℃에서의 모듈러스의 비가 1:10 내지 1:30인 것인, 편광판용 점착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와 상기 제2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상기 편광판용 점착필름 중 semi-IPN(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 구조를 형성하는 것인, 편광판용 점착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방향족기가 있으며, 3관능 내지 6관능의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용 점착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하기 화학식 1의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용 점착필름:
    <화학식 1>
    *- (CH2)n - O - C(=O)-NH - (CH2)m - NCO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10 내지 20의 정수, m은 1 내지 20의 정수, *은 연결 부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상기 제2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1.5:1 내지 10:1의 중량비로 상기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것인, 편광판용 점착필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카르복시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및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공중합체인 것인, 편광판용 점착필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와 제2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전체는 상기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해 20중량부 이하로 포함되는 것인, 편광판용 점착 필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은 실란커플링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용 점착 필름.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편광판용 점착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
  13. 제12항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20160158489A 2016-11-25 2016-11-25 편광판용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Active KR101992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489A KR101992002B1 (ko) 2016-11-25 2016-11-25 편광판용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489A KR101992002B1 (ko) 2016-11-25 2016-11-25 편광판용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202A KR20180059202A (ko) 2018-06-04
KR101992002B1 true KR101992002B1 (ko) 2019-06-21

Family

ID=62628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8489A Active KR101992002B1 (ko) 2016-11-25 2016-11-25 편광판용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20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714B1 (ko) * 2001-07-20 2004-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1281B1 (ko) * 2018-06-25 2021-09-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용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2475814B1 (ko) * 2019-05-22 2022-12-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KR102612238B1 (ko) * 2019-12-24 2023-12-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7431A (ja) * 2008-08-05 2010-02-18 Nippon Shokubai Co Ltd 溶剤型再剥離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再剥離用粘着製品
WO2010110254A1 (ja) 2009-03-24 2010-09-30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
JP2015025132A (ja) 2008-09-01 2015-02-05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光学フィルム
JP2016121309A (ja) * 2014-12-25 2016-07-07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および、光学部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621B1 (ko) * 2010-12-29 2014-01-15 제일모직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 부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7431A (ja) * 2008-08-05 2010-02-18 Nippon Shokubai Co Ltd 溶剤型再剥離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再剥離用粘着製品
JP2015025132A (ja) 2008-09-01 2015-02-05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光学フィルム
WO2010110254A1 (ja) 2009-03-24 2010-09-30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
JP2016121309A (ja) * 2014-12-25 2016-07-07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および、光学部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714B1 (ko) * 2001-07-20 2004-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202A (ko) 2018-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5379B1 (ko) 점착제
KR101757962B1 (ko) 점착제 조성물
KR101023842B1 (ko) 점착제 조성물, 상기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101351621B1 (ko)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 부재
KR20140109265A (ko) 점착성 조성물, 점착제 및 점착시트
KR102047288B1 (ko) 점착제 조성물
KR101882563B1 (ko) 편광판용 점착 필름, 이를 위한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20110068888A (ko)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 부재
KR101992002B1 (ko) 편광판용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1822698B1 (ko)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20170101785A (ko) 점착제 및 점착 시트
KR101584840B1 (ko)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US20210031491A1 (en) Display device and optically clear adhesive
KR101780547B1 (ko) 편광판용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20080071743A (ko) 빛샘 현상이 개선된 점착층을 가지는 편광판
KR101509855B1 (ko) 점착제 조성물
KR20120109411A (ko)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KR101908175B1 (ko) 편광판용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077667A (ko)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 부재
KR102469376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1023845B1 (ko) 점착제 조성물, 상기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20130023181A (ko) 편광판
KR101955761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2338420B1 (ko)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1943700B1 (ko) 편광판용 점착 필름, 이를 위한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25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11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112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9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6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6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