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90319B1 - 정유압 변속장치용 복합 밸브 - Google Patents

정유압 변속장치용 복합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0319B1
KR101990319B1 KR1020170105217A KR20170105217A KR101990319B1 KR 101990319 B1 KR101990319 B1 KR 101990319B1 KR 1020170105217 A KR1020170105217 A KR 1020170105217A KR 20170105217 A KR20170105217 A KR 20170105217A KR 101990319 B1 KR101990319 B1 KR 101990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valve chamber
hydraulic
pressure
flow pat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0367A (ko
Inventor
차순용
Original Assignee
하이드로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이드로텍(주) filed Critical 하이드로텍(주)
Priority to KR1020170105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0319B1/ko
Publication of KR20190020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0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31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38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 F16H61/40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hydrostatic
    • F16H61/4008Control of circuit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ments of the control apparatus, e.g. valve assemblies or snapfittings of valves; Arrangements of the control unit on or in the transmission gearbox
    • F16H61/0009Hydraulic control units for transmission control, e.g. assembly of valve plates or valve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유압 변속장치용 복합밸브(10A, 10B)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변용량형 유압펌프(P)와, 1쌍의 메인 유로(L1, L2)를 통하여 유압펌프(P)에서 제공되는 압유의 유량에 따라 회전속도가 가변되는 유압모터(M)를 구비한 정유압 변속장치에서,
밸브 블록(1)에 형성된 1쌍의 밸브 설치구멍(3a, 3b)에 설치된 하나의 밸브축(11); 상기 밸브 설치구멍(3a, 3b)을 전방 밸브실(V1)과, 중심축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후방 밸브실(V2)로 구획하는 밸브 몸체(12); 상기 후방 밸브실(V2)의 내측에 구비된 중립밸브부(20A, 20B); 및 상기 전방 밸브실(V1)의 내부에 설치된 릴리프밸브부(30A, 30B);를 상기 하나의 밸브 설치 구멍(3a, 3b)에 설치하여, 하나의 밸브장치로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정유압 변속장치용 복합 밸브{Combination Valve for Hydrostatic Transmission}
본 발명은 유압장비, 예를 들면 트랙터, 콤바인, 이앙기 등의 정유압 변속장치(HST)에 구비되는 복합 밸브(combination valve)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유압 변속장치에서 각각 별개의 부품으로 분리 구성되어 있던 중립밸브와 릴리프밸브를 하나의 밸브장치로 통합하여 구성한 복합밸브에 관한 것이다.
트랙터, 콤바인 등과 같은 유압장비는, 아래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알려진 바와 같은 정유압 변속장치를 구비한다. 이러한 정유압 변속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판식 가변용량형 유압펌프(P)와, 유압장치의 전진 주행시 고압측 메인 유로와 저압측 메인 유로로 이루어지는 1쌍의 메인 유로(L1, L2)를 통하여 상기 가변용량형 유압펌프(P)에 연결되어 이 가변용량형 유압펌프(P)의 토출유량에 따라 회전속도가 가변되는 유압모터(M)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정유압 변속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펌프(P)에서 주행장치인 유압모터(M)로 압유를 공급하는 1쌍의 각 메인 유로(L1, L2)에 교차하게 형성된 상측의 밸브 설치구멍(3a, 3b)에 동일한 구조의 중립 밸브(100a, 100b)가 하나씩 설치되고, 아울러 상기 중립밸브와는 별도로, 밸브 블록(1)의 하부에 1쌍의 각 메인 유로(L1, L2)에 교차하게 마련된 각 하측 밸브 설치구멍(4a, 4b)에 릴리프밸브(200a, 200b)가 설치된다.
상기한 중립밸브(100)는 유압장비의 주행을 정지시켰는데도 사판이 의도하지 않게 중립위치에 위치하지 않아 유압펌프가 미량이 유량을 토출하는 경우에도 그 유압펌프(P)에서 토출되는 미량의 유량을 전부 탱크(T)로 드레인시킴으로써 의도하지 않은 미량의 유량에 의한 유압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릴리프밸브(200a, 200b)는 유압 시스템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유압펌프(P)의 메인 유로(L1, L2)의 최고 압력을 제한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정유압 변속장치는 중립밸브(100a, 100b)와 릴리프밸브(200a, 200b)를 하나의 밸브 블록(1)에 각각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밸브 장치의 전체의 크기가 커지는 단점과, 각 밸브(100a,100b)(200a,200b)를 별도로 제작하여, 각각 별도로 밸브 블록(1)에 각 밸브의 조립을 위한 밸브 설치구멍(3a,3b)(4a,4b)가공을 한 후, 각 밸브를 밸브 블록에 조립을 하여야 하므로, 제조 및 조립에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JP2003-232443A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가진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중립밸브와 메인 릴리프밸브를 1개의 밸브 장치로 통합한 복합 밸브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정유압 변속장치용 복합밸브는,
사판의 경전각의 증감에 따라 토출 유량이 가변되는 가변용량형 유압펌프와, 1쌍의 메인 유로를 통하여 상기 유압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유압펌프에서 토출되는 압유의 유량에 따라 회전속도가 가변되는 유압모터를 구비한 정유압 변속장치에서,
밸브 블록에 형성된 1쌍의 밸브 설치구멍에 중심축방향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하나의 밸브축;
상기 밸브 설치구멍의 후단에 결합되어 밸브 설치구멍을 전방 밸브실과, 중심축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후방 밸브실로 구획하는 밸브 몸체;
상기 후방 밸브실의 내측에 구비된 중립밸브부; 및
상기 전방 밸브실의 내부에 설치된 릴리프밸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밸브실에는, 챠지 펌프의 압유를 상기 메인 유로에 보충공급하는 챠지 유로가 연결되고, 일측벽에는 상기 메인유로의 압유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후방 밸브실의 측벽에는 내부에 유입된 압유를 탱크로 배출하는 배출유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브축은, 상기 전방 밸브실과 후방 밸브실에 걸쳐 연장되게 배치되고, 전방 선단에는 챠지 유로의 입구를 선택적으로 차단 또는 개방하는 헤드 스풀이 구비되며, 후단에는 스프링 시트가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 시트와 플러그 사이에 압축설치된 스프링에 의해 챠지 유로쪽으로 편향된다.
상기 중립밸브부는 후방 밸브실 내측의 밸브축의 외측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설치되고, 밸브축의 후단에 결합된 스프링 시트에 대하여 스프링으로 탄력지지된 중립 스풀을 포함하고, 상기 중립 스풀은 오리피스를 구비하고 밸브축을 따라 슬라이드 전후진 이동하면서 상기 오리피스를 통하여 전방 밸브실과 후방 밸브실을 연통하거나 차단한다.
상기 릴리프 밸브부는, 중심축방향으로 중앙 구멍을 형성하여 전방 밸브실에서 밸브축의 외주에 끼워지는 포펫과, 상기 밸브축의 외주에 결합된 스프링시트와, 상기 포펫과 상기 스프링 시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포펫을 챠지 유로의 입구쪽으로 편향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복합밸브에 의하면, 중립밸브와 릴리프밸브를 하나의 밸브장치로 통합하여 구성함으로써 밸브 장치 전체 사이즈를 컴팩트하게 구현할 수 있어 소형 유압장비에서 설치위치에 제한을 받지 않고, 하나의 밸브장치만을 가공 및 조립할 수 있으므로 가공 및 조립에 생산성을 높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정유압 변속장치에 중립밸브와 릴리프밸브가 분리 구성된 종래 밸브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종래 밸브장치의 유압회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밸브가 설치된 정유압 변속장치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대응하는 유압 회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밸브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결합단면도이고,
도 6은 유압장비의 주행시 본 발명에 따른 복합밸브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결합단면도이고,
도 7은 유압장비의 주행정지를 위하여 유압펌프의 사판을 중립위치로 전환하였을 때, 본 발명의 복합밸브에서 중립밸브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결합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복합밸브의 릴리프밸브부가 챠지 유압을 메인 유로로 보충공급하는 작동 상태를 도시한 결합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밸브에서 릴리프밸브부의 릴리프 작동 상태를 나타낸 결합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밸브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유압 변속장치는 사판의 경전각을 가변시킴에 따라 사판과 미끄럼접촉하는 플런저가 작동하여 토출유량이 가변되는 사판식 가변용량형 유압펌프(P)(이하, "유압펌프"라 한다.)와, 1쌍의 메인 유로(L1,L2)를 통하여 상기 유압펌프(P)에 연결되어 유압펌프(P)의 토출유량에 따라 회전속도가 가변되는 유압모터(M)를 구비한다.
상기 유압펌프(P)에서 유압모터(M)로 압유를 공급하는 1쌍의 메인 유로(L1, L2)에는 각각 동일한 구조의 복합밸브(10A, 10B)가 하나씩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유압펌프(P)가 한쪽 방향으로 구동되어 1쌍의 메인 유로(L1,L2)중 한쪽 메인유로(L1)를 통하여 유압펌프에서 토출되는 고압의 압유를 유압모터(M)로 공급되어 유압모터(M)를 구동하고, 다른 하나의 메인 유로(L2)는 유압모터(M)을 구동한 후 배출되는 저압의 압유를 유압펌프(P)로 순환시키는 저압측 메인 유로로 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고, 본 발명의 복합밸브도 고압측 메인 유로(L1)에 설치된 하나의 복합밸브(10A)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그러나, 유압장비를 후진시키기 위하여 유압펌프(P)를 역회전시키는 경우는 상기 유압펌프의 정회전 경우의 저압측 메인유로(L2)가 고압측 메인유로(L1)로 전환되고, 복합밸브(10A)는 동일하게 작동한다.
본 발명의 복합밸브(10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블록(1)에 형성된 고압측 메인 유로(L1)를 교차하게 형성된 하나의 밸브 설치구멍(3a)에 설치된다.
상기 밸브 설치구멍(3a)은 한쪽 선단에서 챠지 유로(2)에 연결되고, 상기 챠지 유로(2)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챠지 펌프(도시생략)의 압유를 감압밸브(40)에 의해 일정한 압력으로 감압하여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복합밸브(10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 설치구멍(3a)에 중심축방향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하나의 밸브축(11); 상기 밸브 설치구멍(3a)의 후단에 결합되어 밸브 설치구멍(3a)을 전방 밸브실(V1)과 중심축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후방 밸브실(V2)로 구획하는 밸브 몸체(12); 상기 후방 밸브실(V2)의 내측에 구비된 중립밸브부(20A); 및 상기 전방 밸브실(V1)의 내부에 설치된 릴리프밸브부(30A);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밸브(10A)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별로 설명한다.
<밸브 몸체(12)>
상기 밸브 몸체(12)는 상기 밸브 설치구멍(3a)를 전방 밸브실(V1)과, 내부에 중심축방향을 따라 관통하게 형성된 후방 밸브실(V2)로 구획하고, 상기 후방 밸브실(V2)의 후단을 밀폐하도록 플러그(13)가 결합된다.
상기 밸브 몸체(12)는 후방 밸브실(V2)의 전방 선단 측벽에 구비된 입구(14)를 통하여 후방 밸브실(V2)을 전방 밸브실(V1)에 연통시키고, 측벽에는 밸브 블록(1)에 형성된 배출유로(6)와 연통되는 배출구(7)가 형성된다.
<밸브축(11)>
밸브축(1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밸브실(V1)과 후방 밸브실(V2)에 걸쳐 연장되게 배치되고, 전방 선단에는 챠지 유로(2)의 입구를 선택적으로 차단 또는 개방하는 헤드 스풀(16)이 구비되며, 후단에는 스프링 시트(15)가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 시트(15)와 플러그(13) 사이에 압축설치된 스프링(SP1)에 의해 챠지 유로(2)쪽으로 편향된다.
<릴리프 밸브부(30A)>
릴리프 밸브부(30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축방향으로 중앙 구멍(32)을 형성하고, 전방 밸브실(V1)에서 밸브축(11)의 외주에 끼워지는 포펫(31)과, 상기 밸브축(11)의 외주에 결합된 스프링시트(35)와, 상기 포펫(31)과 상기 스프링 시트(35)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포펫(31)을 챠지 유로(2)의 입구쪽으로 편향시키는 스프링(SP3)를 포함한다.
<중립밸브부(20A)>
중립밸브부(20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밸브실(V2)내측의 밸브축(11)의 외측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설치되고, 밸브축(11)의 후단에 결합된 스프링 시트(15)에 대하여 스프링(SP2)으로 탄력지지된 중립 스풀(21)을 포함한다. 이 중립 스풀(21)은 오리피스(22)을 구비하고 밸브축(11)을 따라 슬라이드 전후진 이동하면서 상기 오리피스(22)를 통하여 전방 밸브실(V1)과 후방 밸브실(V2)을 연통하거나 차단한다.
이하,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기한 구조의 복합밸브의 작동을 각 밸브부의 작동별로 나누어 설명한다.
<유압장비의 주행시>
유압장비의 주행시 본 발명의 복합밸브가 유압펌프에서 토출되는 압유의 방향을 제어하는 작동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유압장비의 주행을 위하여, 유압펌프(P)의 사판각을 증대시켜 유압펌프(P)의 토출압력(P1)을 증대시키면, 이 유압펌프(P)에서 토출된 압유는 메인 유로(L1)에서 유입구(I)를 통하여 전방 밸브실(V1)안으로 유입된다.
이 경우, 릴리프밸브부(30A)의 포펫(31)은 상기 전방 밸브실(V1)안으로 유입된 메인 유로(L1)의 압유의 압력(P1)에 의해 내측면에 작용하는 힘(F1)과 포펫(31)을 챠지 유로(2)의 입구측으로 밀어부치는 제3스프링(sp3)의 탄성력의 합력에 의해 외측면이 챠지 유로(2)의 입구를 차단하고, 이와 동시에 밸브축(11)은 상기 메인 유로(L1)의 압유의 압력(P1)에 의해 중립 스풀(21)에 작용하는 힘(F1)에 의해 실선 화살표방향으로 이동하여, 밸브축(11)의 한쪽 선단에 구비된 헤드 스풀(16)이 포펫(31)의 중앙 구멍(32)을 차단하고, 동시에 밸브축(11)상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중립 스풀(21)이 상기 압유의 압력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여 밸브축(11)상에 구비된 배출홈(25)을 차단함으로써 메인 유로(L1)의 압유가 배출구(7)와 배출유로(6)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도 차단한다.
이에 따라, 유압펌프(P)에서 토출되는 압유는 전부 유압모터(M)로 공급되어 유압모터(M)를 구동시킴으로써 유압장비를 주행시킨다.
<중립밸브부의 작동>
유압장비의 주행정지를 위하여 유압펌프의 사판을 중립위치로 전환하였을 때, 본 발명의 복합밸브에서 중립밸브부의 작동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주행중인 유압장치를 정지시키기 위하여 유압펌프(P)의 사판을 중립위치로 전환시키면, 유압펌프(P)에서 메인 유로(L1)로 압유를 토출하지 않는데, 사판이 정확한 중립위치로 전환하지 않아 유압펌프(P)에서 소량의 압유를 토출하는 경우에도, 그 소량의 압유는 메인 유로(L1)를 통하여 전방 밸브실(V1)에 유입되어 릴리프밸브(30A)의 포펫(31)의 내측면과 중립 스풀(21)의 선단면에 상대적으로 작은 힘(F1)으로 작용한다. 이에 따라, 포펫(31)은 전방 밸브실(V1)내로 유입된 압유의 힘(F1)과 스프링시트(35)에 지지된 스프링(sp3)의 힘의 합력에 의해 챠지 유로(2)의 입구를 밀착하여 차단하는 한편, 중립 스풀(21)은 소량의 압유에 의한 힘(F1)보다 상대적으로 큰 스프링(sp1)의 힘에 의해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하여 밸브축(11)의 외주면에 형성된 배출홈(25)이 중립 스풀(21)에 형성된 오리피스(22)와 밸브 몸체에 형성된 배출구(7)를 서로 연통시키는 위치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전방 밸브실(V1)은 배출유로(6)로 연통되어 유압펌프(P)에서 토출되는 소량의 압유는 전방 밸브실(V1), 중립 스풀(21)의 오리피스(22), 밸브 몸체(12) 내부에 구비된 후방 밸브실(V2), 배출구(7), 배출유로(6)를 차례로 거쳐 탱크로 드레인되고, 유압모터(M)로는 공급되지 않음으로써 유압모터(M)는 정지하게 된다.
<릴리프밸브부가 챠지 유압을 메인 유로에 보충공급하는 작동>
본 발명의 복합밸브의 릴리프밸브부가 챠지 유압을 메인 유로로 보충공급하는 작동 상태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중립밸브부(20A)의 작동 완료후, 메인 유로(L1)의 압력(P1)은 챠지 유로(2)의 압력보다 낮아진다. 이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챠지 유로(2)의 차지 압력에 의하여 밸브축(11)의 선단의 헤드 스풀(16)의 선단면에 작용하는 힘(F5)이 메인 유로(L1)의 유압과 스프링(SP3)에 의해 릴리프밸브부(30A)의 포펫(31)의 내측면에 작용하는 힘(F6)보다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밸브축(11)의 헤드 스풀(16)은 챠지 유압에 의한 힘(F5)에 의해 굵은 백색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포펫(31)을 함께 이동시켜 챠지 유로(2)의 입구를 개방하고, 이와 동시에 밸브축(11)의 중앙 부분에 고정된 스프링시트(35)도 밸브축(11)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여 후방 밸브실(V2)의 입구(14)를 밀폐한다.
이에 따라, 챠지 유로(2)를 통하여 공급되는 챠지 유압은 챠지 유로(2)의 내벽과 헤드 스풀(16)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된 간극(2a)을 통하여 메인 유로(L1)로 유입되어 메인 유로(L1)의 내부 압력을 보충하게 된다.
<릴리프밸브부의 릴리프작동>
본 발명에 따른 복합밸브에서 릴리프밸브부의 릴리프 작동을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유압 장비의 주행 동작중, 사판의 경사각을 더욱 증대시켜 유압펌프(P)의 토출 유량을 더욱 증가시킴으로써, 메인 유로(L1)의 압력(P1)이 메인 유로(L1)의 릴리프 압력(Pmax)을 초과하는 경우에, 본 발명의 복합밸브의 릴리프밸브부(30A)의 작동에 의해 메인 유로(L1)의 유압을 챠지 유로(2)로 릴리프 시켜, 메인 유로(L1)의 압력을 릴리프 압력 이하로 낮추어준다.
이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축(11)의 외주면과 포펫(31)의 중앙 구멍(32) 사이의 유로를 통하여 헤드 스풀(16)의 경사면에 작용하는 메인 유로(L1)의 유압에 의한 힘(F1)이, 챠지 유로(2)측의 헤드 스풀(16)의 선단면에 작용하는 챠지 유압에 의한 힘(F5)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므로, 그 힘의 차이만큼 헤드 스풀(16)을 굵은 백색 화살표 방향을 따라 챠지 유로(2) 안쪽으로 밀어서 포펫(31)의 중앙 구멍(32)과 밸브축(11)의 외주면의 사이의 유로를 챠지 유로(2)에 연통시킨다.
이와 같이, 밸브축(11)이 굵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밸브축(11)의 이동과 함께 중립 스풀(21)도 후방 밸브실(V2) 내에서 이동하여 밸브축(11)의 외주면에 형성된 배출홈(25)과 배출구(7)의 연통을 차단한다.
이에 따라, 릴리프 압력(Pmax)보다 높은 메인 유로(L1)의 유압은 배출구(7)쪽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포펫(31)의 중앙 구멍(32)과 밸브축(11)의 외주면의 사이의 유로를 통하여 챠지 유로(2)쪽으로 배출됨으로써 메인 유로(L1)의 유압이 릴리프 압력 이하로 낮게 유지된다.
1: 밸브 블록 2: 챠지 유로
3a, 3b: 밸브 설치구멍 6: 배출유로
7: 배출구
10A, 10B: 본 발명에 따른 복합밸브
11: 밸브축 12: 밸브 몸체
13: 플러그 14: 후방 밸브실의 입구
15: 스프링 시트 16: 헤드 스풀
20A, 20B: 중립밸브부
21: 중립 스풀 22: 오리피스
25: 배출홈 30A, 30B: 릴리프밸브부
31: 포펫 32: 중앙 구멍
35: 스프링 시트 40A, 40B: 감압밸브
P: 사판식 가변용량형 유압펌프 M: 유압모터
V1: 전방 밸브실 V2: 후방 밸브실
L1, L2: 메인 유로 SP1, SP2, SP3: 스프링

Claims (4)

  1. 정유압 변속장치용 복합밸브(10A, 10B)에 있어서,
    사판의 경전각의 증감에 따라 토출 유량이 가변되는 가변용량형 유압펌프(P)와, 1쌍의 메인 유로(L1, L2)를 통하여 상기 유압펌프(P)에 연결되어 상기 유압펌프(P)에서 토출되는 압유의 유량에 따라 회전속도가 가변되는 유압모터(M)를 구비한 정유압 변속장치에서,
    밸브 블록(1)에 형성된 1쌍의 밸브 설치구멍(3a, 3b)에 중심축방향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하나의 밸브축(11);
    상기 밸브 설치구멍(3a, 3b)의 후단에 결합되어 밸브 설치구멍(3a, 3b)을 전방 밸브실(V1)과, 중심축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후방 밸브실(V2)로 구획하는 밸브 몸체(12);
    상기 후방 밸브실(V2)의 내측에 구비된 중립밸브부(20A, 20B); 및
    상기 전방 밸브실(V1)의 내부에 설치된 릴리프밸브부(30A, 30B);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밸브실(V1)에는, 챠지 펌프의 압유를 상기 메인 유로(L1, L2)에 보충공급하는 챠지 유로(2)가 연결되고, 일측벽에는 상기 메인유로(L1, L2)의 압유가 유입되는 유입구(I)가 형성되며, 상기 후방 밸브실(V2)의 측벽에는 내부에 유입된 압유를 탱크(T)로 배출하는 배출유로(6)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축(11)은, 상기 전방 밸브실(V1)과 후방 밸브실(V2)에 걸쳐 연장되게 배치되고, 전방 선단에는 챠지 유로(2)의 입구를 선택적으로 차단 또는 개방하는 헤드 스풀(16)이 구비되며, 후단에는 스프링 시트(15)가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 시트(15)와 플러그(13) 사이에 압축설치된 스프링(SP1)에 의해 챠지 유로(2)쪽으로 편향되고,
    상기 중립밸브부(20A, 20B)는, 상기 후방 밸브실(V2)의 내측에 위치한 밸브축(11)의 외측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설치되고, 상기 밸브축(11)의 후단에 결합된 스프링 시트(15)에 대하여 스프링(SP2)으로 탄력지지된 중립 스풀(21)을 포함하고, 상기 중립 스풀(21)은 밸브축(11)을 따라 슬라이드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함에 따라 전방 밸브실(V1)과 후방 밸브실(V2)을 연통하거나 차단하는 오리피스(22)를 구비하며,
    상기 릴리프 밸브부(30A, 30B)는, 중심축방향으로 중앙 구멍(32)을 형성하여 전방 밸브실(V1)에서 밸브축(11)의 외주에 끼워지는 포펫(31)과, 상기 밸브축(11)의 외주에 결합된 스프링시트(35)와, 상기 포펫(31)과 상기 스프링 시트(35)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포펫(31)을 챠지 유로(2)의 입구쪽으로 편향시키는 스프링(SP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유압 변속장치용 복합밸브.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70105217A 2017-08-21 2017-08-21 정유압 변속장치용 복합 밸브 Active KR101990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217A KR101990319B1 (ko) 2017-08-21 2017-08-21 정유압 변속장치용 복합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217A KR101990319B1 (ko) 2017-08-21 2017-08-21 정유압 변속장치용 복합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367A KR20190020367A (ko) 2019-03-04
KR101990319B1 true KR101990319B1 (ko) 2019-06-19

Family

ID=65760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217A Active KR101990319B1 (ko) 2017-08-21 2017-08-21 정유압 변속장치용 복합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03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7135A (ko) * 2021-06-11 2022-12-20 한국기계연구원 압력 제어밸브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0473A (ja) 2000-10-18 2002-05-09 Hitachi Constr Mach Co Ltd 油圧閉回路
JP2002206504A (ja) * 2001-01-10 2002-07-26 Hitachi Constr Mach Co Ltd 油圧モータ駆動装置
JP2003232443A (ja) 2002-02-06 2003-08-22 Iseki & Co Ltd Hstニュートラルバルブ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6023B1 (ko) * 2004-02-12 2006-06-01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릴리프 밸브
KR20050081058A (ko) * 2004-02-12 2005-08-18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릴리프 밸브
KR100764119B1 (ko) * 2004-02-25 2007-10-08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파일럿 포펫형 릴리프 밸브
KR101474782B1 (ko) * 2013-03-07 2014-12-19 하이드로텍(주) 정유압 변속장치용 중립 밸브
KR101881055B1 (ko) * 2016-08-17 2018-07-23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유압 변속기의 유압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0473A (ja) 2000-10-18 2002-05-09 Hitachi Constr Mach Co Ltd 油圧閉回路
JP2002206504A (ja) * 2001-01-10 2002-07-26 Hitachi Constr Mach Co Ltd 油圧モータ駆動装置
JP2003232443A (ja) 2002-02-06 2003-08-22 Iseki & Co Ltd Hstニュートラルバルブ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7135A (ko) * 2021-06-11 2022-12-20 한국기계연구원 압력 제어밸브
KR102581713B1 (ko) * 2021-06-11 2023-09-22 한국기계연구원 압력 제어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367A (ko) 201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4945B1 (en) Operate check valve and hydraulic driving unit
KR20050086281A (ko) 파일럿 포펫형 릴리프 밸브
US6581639B2 (en) Low leak boom control check valve
JP2009103304A (ja) 建設機械用油圧制御弁
US3840049A (en) Compact fluid motor control system with float position
US5752426A (en) Pilot pressure operated directional control valve and an operating cylinder control apparatus
US6993904B2 (en) Integrated valve system
WO2008016435A1 (en) Multi-stage relief valve having different opening pressures
JP6075866B2 (ja) ポンプ制御装置
KR102652880B1 (ko) 유량 제어 밸브
KR101990319B1 (ko) 정유압 변속장치용 복합 밸브
KR100965041B1 (ko) 액츄에이터 제어 장치
JP6822930B2 (ja) 流量制御弁
US20180094405A1 (en) Fluid pressure control device
CN111094762A (zh) 回摆防止装置
JP6248144B2 (ja) ポンプ装置
EP0440801B2 (en) Hydraulic circuit
US3680588A (en) High pressure implement hydraulic circuit
JP3534324B2 (ja) 圧力補償弁
KR20220167135A (ko) 압력 제어밸브
KR20050081056A (ko) 파일럿 포펫형 릴리프 밸브
EP0842803B1 (en) Hydraulic actuating device for a cover of a vehicle
US20190376534A1 (en) Electromagnetic pressure reducing valve and fluid pressure control device including electromagnetic pressure reducing valve
JP7515315B2 (ja) バルブユニット
JP3665519B2 (ja) コントロール弁および流体圧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6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6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