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0280B1 - 분리판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스택 - Google Patents
분리판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스택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90280B1 KR101990280B1 KR1020150073878A KR20150073878A KR101990280B1 KR 101990280 B1 KR101990280 B1 KR 101990280B1 KR 1020150073878 A KR1020150073878 A KR 1020150073878A KR 20150073878 A KR20150073878 A KR 20150073878A KR 101990280 B1 KR101990280 B1 KR 1019902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channel
- region
- channels
- flui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58—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channels, e.g. by the flow field of the reactant or coola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97—Arrangements for joining electrodes, reservoir layers, heat exchange units or bipolar separators to each oth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분리판을 구성하는 제1 플레이트의 제2 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분리판을 구성하는 제2 플레이트의 제2 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2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분리판을 구성하는 제2 플레이트의 제1 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2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분리판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분리판의 냉각수 유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도시된 분리판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연료전지 스택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분리판을 구성하는 플레이트들의 평면도들이다.
20: 막-전극 어셈블리
100: 제1 플레이트
200: 제2 플레이트
300: 연료전지 스택
Claims (19)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막-전극 어셈블리; 및
분리판을 포함하는 연료전지 스택으로서,
상기 분리판은,
제1 면 및 제1 면의 반대방향의 제2 면을 가지며, 제1 유체의 유동 공간을 제공하도록 제1 면으로부터 제2 면 측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제1 채널을 갖는 제1 플레이트; 및
제1 플레이트의 제2 면과 마주보는 제1 면 및 제1 면과 반대방향의 제2 면을 가지며, 제2 유체의 유동 공간을 제공하도록 제2 면으로부터 제1 면 측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제2 채널을 갖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는 제1 채널과 제2 채널이 접촉하도록 결합되고,
복수 개의 제1 및 제2 채널은 각각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유로를 갖도록 마련되며,
제1 및 제2 채널은 각각 직선유로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채널 깊이가 달라지도록 마련되고,
제1 채널은, 제1 깊이를 갖는 제1 영역과 제1 깊이보다 작은 제2 깊이를 갖는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교대로 마련되며,
제1 플레이트의 제2 면 및 제2 플레이트의 제1 면 사이에, 제1 채널 및 제2 채널 사이 공간으로 제3 유체가 유동하도록 마련되되,
제1 플레이트는 제2 면을 통해 제3 유체의 유동 공간을 제공하도록 복수 개의 제3 채널을 가지며,
상기 제3 채널은 제1 채널의 제2 영역으로 형성되고,
제2 채널은, 제1 깊이를 갖는 제1 영역과 제1 깊이보다 작은 제2 깊이를 갖는 제2 영역을 각각 포함하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교대로 마련되고,
제2 플레이트는 제1 면을 통해 제3 유체의 유동 공간을 제공하도록 복수 개의 제4 채널을 가지며,
상기 제4 채널은 제2 채널의 제2 영역으로 형성되고,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는, 폭 방향을 따라 인접하는 제3 채널들의 중심을 연결한 가상의 제1 선분과 폭 방향을 따라 인접하는 제4 채널들의 중심을 연결한 가상의 제2 선분이 일부 영역에서 교차하도록 마련되며, 제1 플레이트 측에서 제1 선분 방향을 따라 유동하는 제3 유체와 제2 플레이트 측에서 제2 선분 방향을 따라 유동하는 제3 유체는 교차 영역에서 합치 및 분기되도록 마련된 연료전지 스택. - 삭제
- 제 9 항에 있어서,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경계영역에서 제1 및 제2 채널을 유동하는 제1 및 제2 유체의 상승 유동 또는 하강 유동이 이루어지도록 마련된 연료전지 스택. - 제 9 항에 있어서,
제1 채널에서 직선유로의 전체 길이에 대한 제2 영역의 전체 길이의 비율은 70% 미만으로 형성되고,
제2 채널에서 직선유로의 전체 길이에 대한 제2 영역의 전체 길이의 비율은 30% 미만으로 형성된 연료전지 스택. - 제 9 항에 있어서,
제1 플레이트의 폭 방향을 따라 인접하는 제1 채널들의 제2 영역들의 중심을 연결한 가상의 선분은 제1 플레이트의 폭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마련되고,
제2 플레이트의 폭 방향을 따라 인접하는 제2 채널들의 제2 영역들의 중심을 연결한 가상의 선분은 제2 플레이트의 폭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마련된 연료전지 스택. - 삭제
- 제 9 항에 있어서,
제3 유체가 제1 및 제2 플레이트의 폭 방향을 따라 유동하도록 마련된 연료전지 스택. - 제 9 항에 있어서,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는 가장자리에 마련된 가스켓을 통해 결합된 연료전지 스택. - 제 9 항에 있어서,
제1 유체는 연료이고, 제2 유체는 산화제인 연료전지 스택.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73878A KR101990280B1 (ko) | 2015-05-27 | 2015-05-27 | 분리판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스택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73878A KR101990280B1 (ko) | 2015-05-27 | 2015-05-27 | 분리판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스택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39280A KR20160139280A (ko) | 2016-12-07 |
KR101990280B1 true KR101990280B1 (ko) | 2019-06-18 |
Family
ID=57573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73878A Active KR101990280B1 (ko) | 2015-05-27 | 2015-05-27 | 분리판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스택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90280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18113B1 (ko) * | 2006-01-27 | 2007-05-15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연료전지의 바이폴라 플레이트 및 연료전지 |
KR101410480B1 (ko) * | 2012-12-28 | 2014-06-20 | (주)퓨얼셀 파워 | 연료전지의 분리판과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및 분리판 제조방법 |
-
2015
- 2015-05-27 KR KR1020150073878A patent/KR101990280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18113B1 (ko) * | 2006-01-27 | 2007-05-15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연료전지의 바이폴라 플레이트 및 연료전지 |
KR101410480B1 (ko) * | 2012-12-28 | 2014-06-20 | (주)퓨얼셀 파워 | 연료전지의 분리판과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및 분리판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39280A (ko) | 2016-12-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468691B2 (en) | Bipolar plates for use in conduction-cooled electrochemical cells | |
CN102906917B (zh) | 燃料电池用分隔件及燃料电池 | |
US9531016B2 (en) | Fuel cell including separator comprising bypass limiting section | |
KR101990281B1 (ko) | 분리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스택 | |
US20110274999A1 (en) | Fuel cell stack | |
US9608282B2 (en) | Fuel cell having perforated flow field | |
US8722283B2 (en) | Fuel cell | |
JP2002260709A (ja) | 固体高分子型セルアセンブリ、燃料電池スタックおよび燃料電池の運転方法 | |
KR101755937B1 (ko) | 연료전지용 분리판 | |
KR20140075465A (ko) | 온도분포 개선을 위한 냉각판을 포함하는 연료전지 스택 | |
JP5082313B2 (ja) | 燃料電池のセパレータ構造 | |
JP5137460B2 (ja) | 燃料電池 | |
KR101959460B1 (ko) | 분리판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스택 | |
KR101990280B1 (ko) | 분리판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스택 | |
JP6050158B2 (ja) | 燃料電池 | |
JP5443254B2 (ja) | 燃料電池 | |
KR20220016226A (ko) | 연료전지 스택 | |
JP2012043556A (ja) | 燃料電池 | |
KR101784053B1 (ko) | 세퍼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스택 | |
JP2008123901A (ja) | 燃料電池 | |
JP2007157454A (ja) | 燃料電池 | |
JP2009009773A (ja) | 燃料電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2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9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5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8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903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8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3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10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60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9043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3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10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6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6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