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6597B1 - 상용차용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 복합성능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상용차용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 복합성능 시험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86597B1 KR101986597B1 KR1020170176891A KR20170176891A KR101986597B1 KR 101986597 B1 KR101986597 B1 KR 101986597B1 KR 1020170176891 A KR1020170176891 A KR 1020170176891A KR 20170176891 A KR20170176891 A KR 20170176891A KR 101986597 B1 KR101986597 B1 KR 1019865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ring column
- load
- unit
- lever
- for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6—Steering behaviour; Rolling behaviour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 G01L1/22—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using resistance strain gau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용차용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 복합성능 시험장치의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용차용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 복합성능 시험장치의 측면 사진이다.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용차용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 복합성능 시험장치를 이용하여 고정력 평가, 작동력 평가 및 작동내구 평가를 시험하는 것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130 : 제2 시험유닛 140 : 제어유닛
Claims (5)
-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된 한 쌍의 스티어링컬럼 브라켓에 스티어링컬럼 슬라이더와 레버가 구비되어 상기 레버의 작동에 따라 상기 스티어링컬럼 슬라이더의 틸트(tilt) 및 텔레스코프(telescope) 기능을 하는 클러치가 결합되는 상용차용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의 고정력 평가, 작동력 평가 및 작동내구 평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평가를 수행하는 상용차용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 복합성능 시험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컬럼 브라켓이 상측으로 향하도록 서로 이격배치되어 상기 스티어링컬럼 브라켓의 타측면(11a)과 고정되는 한 쌍의 하부받침대와, 상기 하부받침대에 연결되어 회전구동하면서 하부받침대에 연결된 상기 스티어링컬럼 브라켓을 고정하는 회전고정부를 구비하는 하부고정지그;
상기 하부고정지그에 고정된 상기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의 후단에서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 지지부와, 일단이 상기 제1 지지부의 종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클러치에 연결되어 고정력 또는 작동력 평가를 위한 하중을 제공하는 하중전달부를 구비하는 제1 시험유닛;
상기 레버를 동작시킬 수 있는 레버작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시험유닛의 측면에 배치되고, 작동내구성 평가를 위한 하중을 제공하는 제2 시험유닛; 및
상기 제1 시험유닛 또는 제2 시험유닛에서 제공되는 하중에 따라 상기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의 고정력 평가, 작동력 평가 및 작동내구 평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작동상태를 평가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시험유닛은,
상기 하부고정지그의 후단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의 상단에 결합되며, 판상으로 형성되어 중앙관통홀과, 상기 중앙관통홀을 중심으로 양측에 사이드관통홀이 형성되어 소정각도 기울어져 배치되는 지지판;
일단이 상기 제1 지지부의 상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중앙관통홀에 삽입 연장되어 고정력 또는 작동력을 제공하는 로드셀;
일단이 상기 제1 지지부의 상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사이드관통홀에 삽입 연장되어 상기 로드셀의 작동을 안내하는 실린더;
상기 로드셀 및 상기 실린더의 종단에 결합되는 연결판;
상기 연결판에 소정간격 이격배치되고, 상기 클러치의 연결부와 연결되는 하중전달부; 및
상기 하중전달부와 상기 연결판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어 상기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압축된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에 탄성복원력을 추가 제공하는 탄성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하중전달부는,
상기 연결판에 대해서 소정거리 이격배치되어 상기 탄성스프링을 통해 연결되는 하중전달판과, 상기 하중전달판보다 길이방향으로 짧으며, '⊥'자로 형성되어 평평한 면이 상기 연결판에 연결되고, 타측면이 전방으로 돌출연장되는 연결구를 구비하여, 상기 전방으로 돌출된 연결구는 스티어링컬럼 슬라이더(12a) 사이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스티어링컬럼 슬라이더(12a)의 이격거리와 동일한 폭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영역에서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홀이 형성되는 연결부(1262)와, 상기 하중전달판의 양단중 일단에서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홀의 형성되는 핀고정부와, 상기 연결부와 상기 핀고정부 각각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상기 스티어링컬럼 슬라이더(12a)에 형성된 홀(12c)에 끼워져 상기 스티어링컬럼 슬라이더(12a)에 결합되는 고정봉을 구비하고,
상기 로드셀은,
상기 제어유닛을 통해 상기 레버작동부가 작동하여 상기 레버를 전방으로 밀어 고정(locking)된 상태에서 고정력시험을 수행하는 고정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어유닛을 통해 상기 레버작동부가 작동하여 상기 레버를 후방으로 당겨져 고정이 해제된 오픈(open)된 상태에서 작동력 평가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용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 복합성능 시험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험유닛은,
상기 제1 지지부의 측면에 이웃하여 배치되는 제2 지지부;
일단이 상기 제2 지지부의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작동내구 평가 하중을 제공하는 제2 가력부; 및
상기 제2 가력부의 종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2 가력부의 작동에 따라 소정각도 이내에서 반복 회동구동하는 회동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버작동부는,
상기 회동구동부에 결합되어, 측면에 위치하는 상기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의 레버의 일영역을 감쌀 수 있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가력부의 작동에 따라 상기 회동구동부가 작동하면서 상기 레버를 반복 회동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용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 복합성능 시험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기설정된 하중을 제공하는 하중제어 유닛; 및
입력된 하중과 상기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가 입력된 하중에 대해 반응한 하중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용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 복합성능 시험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6891A KR101986597B1 (ko) | 2017-12-21 | 2017-12-21 | 상용차용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 복합성능 시험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6891A KR101986597B1 (ko) | 2017-12-21 | 2017-12-21 | 상용차용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 복합성능 시험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86597B1 true KR101986597B1 (ko) | 2019-09-30 |
Family
ID=68098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76891A Active KR101986597B1 (ko) | 2017-12-21 | 2017-12-21 | 상용차용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 복합성능 시험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8659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68427B1 (ko) * | 2024-04-03 | 2024-05-23 | 주식회사 에스엔에스랜드 | 텔레스티어링 컬럼의 자동 습동하중 측정 및 튜닝 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71352B1 (ko) | 1996-09-30 | 1999-05-15 | 대우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 조향휠의 내구성 테스트장치 |
JP2007155337A (ja) * | 2005-11-30 | 2007-06-21 | Toyota Motor Corp | ステアリングアッセンブリーの動作試験装置 |
KR20140100061A (ko) * | 2013-02-05 | 2014-08-14 | 남양공업주식회사 | 스티어링 컬럼 성능 검사장치 |
-
2017
- 2017-12-21 KR KR1020170176891A patent/KR101986597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71352B1 (ko) | 1996-09-30 | 1999-05-15 | 대우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 조향휠의 내구성 테스트장치 |
JP2007155337A (ja) * | 2005-11-30 | 2007-06-21 | Toyota Motor Corp | ステアリングアッセンブリーの動作試験装置 |
KR20140100061A (ko) * | 2013-02-05 | 2014-08-14 | 남양공업주식회사 | 스티어링 컬럼 성능 검사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68427B1 (ko) * | 2024-04-03 | 2024-05-23 | 주식회사 에스엔에스랜드 | 텔레스티어링 컬럼의 자동 습동하중 측정 및 튜닝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455754B (zh) | 硬盘支架 | |
JP5165296B2 (ja) | 幼児用座席を自動車に実装させるための基盤 | |
EP3322269B1 (en) | Bracket device and slide rail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 |
TWM539214U (zh) | 快拆樞紐模組及支撐裝置 | |
US8672277B2 (en) | Screen supporter | |
US6695274B1 (en) | Mounting device for a display | |
US10172458B2 (en) | Bracket device | |
US9234816B2 (en) | Engine test device | |
CN201993304U (zh) | 翻转测试仪 | |
KR101986597B1 (ko) | 상용차용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 복합성능 시험장치 | |
JP2011168190A (ja) | ステアリング位置調整装置 | |
JP2018062254A (ja) | シフト装置 | |
CN101654070A (zh) | 用于移动座椅靠背的曲柄和杆致动器 | |
CN210968793U (zh) | 基座在水平和垂直状态中切换的切换机构 | |
US20080011912A1 (en) | Adjustable mounting device for mounting an optical engine in a display apparatus | |
JP6410533B2 (ja) | パチンコ台枠の上部取付け装置 | |
US20060063480A1 (en) | Air vent, in particular for a vehicle | |
CN201105664Y (zh) | 车辆用座椅的锁定装置 | |
CN111751124A (zh) | 一种汽车底盘测试装置和汽车底盘测试组件结构 | |
JP7042139B2 (ja) | インターミディエイトシャフトのねじり試験装置 | |
JPH09216711A (ja) | 穀類の昇降機におけるベルト自動緊張装置 | |
JP6642344B2 (ja) | ペダル装置 | |
CN111605631A (zh) | 压下操作式倾斜泵装置和采用该泵装置的驾驶室倾斜系统 | |
CN114397114B (zh) | 试验台架 | |
JP2005096530A (ja) | 車両シート用ロック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1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30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5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6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4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