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85934B1 - Pwm 방식의 dc-dc 변환기 - Google Patents

Pwm 방식의 dc-dc 변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5934B1
KR101985934B1 KR1020120134029A KR20120134029A KR101985934B1 KR 101985934 B1 KR101985934 B1 KR 101985934B1 KR 1020120134029 A KR1020120134029 A KR 1020120134029A KR 20120134029 A KR20120134029 A KR 20120134029A KR 101985934 B1 KR101985934 B1 KR 101985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switch
node
operating point
control volt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4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6598A (ko
Inventor
이승윤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4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5934B1/ko
Priority to US14/075,052 priority patent/US9225241B2/en
Priority to CN201310597045.7A priority patent/CN103840663B/zh
Publication of KR20140066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6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5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593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6Means for starting or stopping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PWM 방식의 DC-DC 변환기는 서로 반대로 온/오프되는 충전 스위치와 방전 스위치, 충전되는 에너지를 저장하는 인덕터, 방전되는 에너지를 저장하는 커패시터를 포함하여 입력전압을 출력전압으로 변환하는 스위칭부; 오차 증폭기를 포함하고, 상기 오차 증폭기로 입력되는 상기 출력전압을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PID 제어전압을 생성하는 PID 제어부; 상기 PID 제어전압을 램프 전압과 비교하여 스위치 제어전압을 생성하는 비교부; 상기 스위치 제어전압을 기반으로 스위치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스위치 제어신호를 상기 스위칭부에 공급하여 상기 스위치 제어전압의 온 구간에서 상기 충전 스위치를 턴 온 시킴과 동시에 상기 방전 스위치를 턴 오프시키고, 상기 스위치 제어전압의 오프 구간에서 상기 충전 스위치를 턴 오프 시킴과 동시에 상기 방전 스위치를 턴 온 시키는 스위칭 제어부; 및 동작점 보상신호에 따라 동작되어, 상기 PID 제어전압이 출력되는 노드 Na에 초기 구동을 위한 소정 기간 동안 일정 레벨의 초기화전압을 공급하는 동작점 보상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PWM 방식의 DC-DC 변환기{DC-DC Converter Controlled by Pulse Width Modulation Manner}
본 발명은 원하는 전압을 일정한 레벨로 출력하기 위한 DC-DC 변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위칭 레귤레이터(Switching regulator)는 인덕터(Inductor), 또는 캐패시터(Capacitor) 등의 에너지 저장 장치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변환하는 장치이다. 직류-직류(DC-DC) 변환기는 이러한 스위칭 레귤레이터에 적절한 궤환(Feedback)을 시켜줌으로써, 입력 직류전압을 감압 또는 승압하여 원하는 직류전압으로 출력한다. DC-DC 변환기에는 벅 컨버터(buck converter)와 부스트 컨버터(boost converter)가 있다. 벅 컨버터(buck converter)는 감압(step down) 컨버터로서, 높은 직류전압을 상대적으로 낮은 직류전압을 변환하는 컨버터이고, 부스트 컨버터(boost converter)는 승압(step up) 컨버터로서, 낮은 직류전압을 상대적으로 높은 직류전압을 변환하는 컨버터이다.
DC-DC 변환기는 인덕터(Inductor)와 캐패시터 등의 부품을 잘 선택하고 적절한 방식으로 제어되어야 한다. DC-DC 변환기에서 사용되는 기본적인 제어 방식으로는 PFM(Pulse Frequency Modulation)방식과 PWM(Pulse Width Modulation)방식이 알려져 있다. PWM 방식은 잡음 및 리플이 작은 장점이 있어, 대다수의 DC-DC 변환기에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PWM 방식으로 제어되는 종래 DC-DC 변환기의 일 예로서, 감압 컨버터를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DC-DC 변환기는 스위칭부(1), PID 제어부(2), 비교부(3), 스위칭 제어부(4)를 포함한다. 스위칭부(1)는 스위칭 제어부(4)로부터 입력되는 스위치 제어신호에 따라 서로 반대로 온/오프되는 충전 스위치와 방전 스위치, 충전되는 에너지를 저장하는 인덕터, 방전되는 에너지를 저장하는 커패시터 등을 포함하여 출력전압(Vo)을 생성한다. PID 제어부(2)는 오차 증폭기를 포함하고, 오차 증폭기로 입력되는 출력전압(Vo)을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PID 제어전압(Va)를 생성한다. 비교부(3)는 PID 제어전압(Va)을 램프 전압(Vramp)과 비교하여 스위치 제어전압(Vc)을 생성한다. 스위칭 제어부(4)는 단속적으로 생성되는 스위치 제어전압(Vc)의 온 구간에서 충전 스위치를 턴 온 시킴과 동시에 방전 스위치를 턴 오프시킨다. 스위칭 제어부(4)는 스위치 제어전압(Vc)의 오프 구간에서 충전 스위치를 턴 오프 시킴과 동시에 방전 스위치를 턴 온 시킨다.
이러한 종래 DC-DC 변환기의 구체적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의 스위치 제어전압(Vc)의 온 구간에서 충전 스위치가 턴 온되고 방전 스위치가 턴 오프되면 배터리 전원으로부터 인가되는 입력 전압(Vi)이 (Vi-Vo)/L1(여기서, L1은 상기 인덕터의 인덕턴스)의 기울기로 상기 인덕터에 충전된다. 그 후, 도 2의 스위치 제어전압(Vc)의 오프 구간에서 충전 스위치가 턴 오프되고 방전 스위치가 턴 온되면 상기 인덕터에 충전된 에너지가 -Vo/L1의 기울기로 부하측과 상기 커패시터에 방전된다. DC-DC 변환기는 이러한 충전 및 방전 과정을 주기적으로 반복함으로써 출력 전압(Vo)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된다. 출력 전압(Vo)은 입력 전압(Vi)과 충전 스위치의 온/오프 시간의 비율 즉, 듀티비에 의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DC-DC 변환기의 최종 출력식은 Vo=D*Vi(여기서, 0<D<1)와 같이 표현된다. 도 2는 램프 전압(Vramp)과 PID 제어전압(Va)에 따른 충전 스위치의 온-오프 비율을 도시한 것이다. 도 2에서, 출력 전압(Vo)이 기준전압보다 낮아 PID 제어전압(Va)이 증가하는 경우 스위치 제어전압(Vc)의 온 구간이 늘어나게 되고, 반대로 출력 전압(Vo)이 기준전압보다 높아 PID 제어전압(Va)이 감소하는 경우 스위치 제어전압(Vc)의 오프 구간이 늘어나게 된다. 출력 전압(Vo)은 이러한 과정을 통해 원하는 레벨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제어된다.
이렇게 DC-DC 변환기는 부궤환 구성을 통해 출력 전압(Vo)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그런데, 종래 DC-DC 변환기는 초기 구동시 동작 조건에 따라 출력 전압(Vo)이 발생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DC-DC 변환기가 초기 구동을 위해 동작될 때, 비교부(3)는 PID 제어전압(Va)을 램프 전압(Vramp)과 비교하여 스위치 제어전압(Vc)을 발생한다. 스위치 제어전압(Vc)은 스위칭 제어부(4)에 인가되어 충전 스위치와 방전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은 제어하는데 이용된다. 그러나, 초기 구동시, PID 제어부(2)를 통한 부궤환 특성으로 인해, 노드 Na를 통해 출력되는 PID 제어전압(Va)은 초기동작 조건에 따라 상이한 초기값을 갖게 된다. 그 결과, 상이한 초기값의 영향으로 출력전압(Vo)이 조건에 따라 발생되지 못하는 조건부 상황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작 조건에 무관한 안정적인 출력전압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한 PWM 방식의 DC-DC 변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WM 방식의 DC-DC 변환기는 서로 반대로 온/오프되는 충전 스위치와 방전 스위치, 충전되는 에너지를 저장하는 인덕터, 방전되는 에너지를 저장하는 커패시터를 포함하여 입력전압을 출력전압으로 변환하는 스위칭부; 오차 증폭기를 포함하고, 상기 오차 증폭기로 입력되는 상기 출력전압을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PID 제어전압을 생성하는 PID 제어부; 상기 PID 제어전압을 램프 전압과 비교하여 스위치 제어전압을 생성하는 비교부; 상기 스위치 제어전압을 기반으로 스위치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스위치 제어신호를 상기 스위칭부에 공급하여 상기 스위치 제어전압의 온 구간에서 상기 충전 스위치를 턴 온 시킴과 동시에 상기 방전 스위치를 턴 오프시키고, 상기 스위치 제어전압의 오프 구간에서 상기 충전 스위치를 턴 오프 시킴과 동시에 상기 방전 스위치를 턴 온 시키는 스위칭 제어부; 및 동작점 보상신호에 따라 동작되어, 상기 PID 제어전압이 출력되는 노드 Na에 초기 구동을 위한 소정 기간 동안 일정 레벨의 초기화전압을 공급하는 동작점 보상부를 구비한다.
상기 동작점 보상부는 상기 초기 구동을 위한 소정 기간 동안에만 동작되고 초기 구동기간 이후의 정상 구동기간에는 동작이 중지된다.
상기 동작점 보상부는, 저항 스트링; 상기 저항 스트링의 양쪽에 접속된 제1 노드와 제2 노드; 고전위 전압원과 상기 제1 노드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동작점 보상신호에 따라 스위칭되는 제1 활성 스위치; 및 저전위 전압원과 상기 제2 노드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동작점 보상신호에 따라 스위칭되는 제2 활성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노드는 상기 노드 Na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노드에는 전기적으로 도통되는 저항 스트링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초기화전압이 인가된다.
상기 제1 활성 스위치와 상기 제2 활성 스위치는 상기 동작점 보상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초기 구동을 위한 소정 기간 동안에만 턴 온 되고 초기 구동기간 이후의 정상 구동기간에는 턴 오프 되며; 상기 제1 활성 스위치와 상기 제2 활성 스위치가 턴 온 될 때, 상기 노드 Na는 상기 초기화전압으로 리셋된다.
상기 동작점 보상부는 상기 저항 스트링의 분압 노드들과 상기 제2 노드 사이에 접속된 다수의 전압결정 스위치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전압결정 스위치들은 각각 상기 초기화전압의 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전압결정 제어신호들에 의해 스위칭된다.
본 발명은 동작 조건에 상관없이 노드 Na(노드 Na에는 PID 제어부에서 생성된 PID 제어전압이 인가됨)를 원하는 초기화전압으로 일정하게 리셋시킴으로써 DC-DC 변환기의 동작 특성을 개선시켜 동작 조건에 무관한 안정적인 출력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출력전압의 다양한 목표치들에 대응하여 초기화전압을 조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출력전압을 정해진 목표치에 빠르게 트래킹(tracking)시켜 초기 구동시 정착 시간을 크게 앞당길 수 있다.
도 1은 종래 DC-DC 변환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종래 DC-DC 변환기에서, 램프 전압과 PID 제어전압에 따른 충전 스위치의 온-오프 비율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WM 방식의 DC-DC 변환기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3의 동작점 보상부의 일 예를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WM 방식의 DC-DC 변환기를 보여준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WM 방식의 DC-DC 변환기는 스위칭부(10), PID 제어부(20), 비교부(30), 스위칭 제어부(40) 및 동작점 보상부(50)를 포함한다.
스위칭부(10)는 스위칭 제어부(40)로부터 입력되는 스위치 제어신호(CONT)에 따라 서로 반대로 온/오프되는 충전 스위치(S1)와 방전 스위치(S2), 충전되는 에너지를 저장하는 인덕터(L), 방전되는 에너지를 저장하는 커패시터(C) 등을 포함하여 입력전압(Vi)을 감압함으로써 출력전압(Vo)을 생성한다. 스위칭부(10)의 접속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스위칭부(10)는 입력전압(Vi)을 인가하기 위한 입력전원(Vs), 입력전원(Vs)과 노드 Nx 사이에 직렬 접속된 충전 스위치(S1)와 저항 R1, 노드 Nx와 노드 Ny 사이에 직렬 접속된 저항 R2와 방전 스위치(S2), 노드 Nx와 노드 No 사이에 직렬 접속된 인덕터(L)와 저항 DCR, 노드 No와 노드 Ny 사이에 직렬 접속된 저항 ESR과 커패시터(C), 노드 No와 노드 Ny 사이에서 ESR 및 커패시터(C)와 병렬 접속된 출력 전류원(Iout)을 포함한다. 스위칭부(10)는 인덕터(L)와 커패시터(C)를 포함하기 때문에 그 동작 특성이 2차 시스템의 특성함수가 된다.
PID 제어부(20)는 스위칭부(10)에서 생기는 발진 현상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2개의 영점과 3개의 극점을 가지고 주파수 보상을 수행한다. PID 제어부(20)는 오차 증폭기(21)와 부궤환부(22)를 포함하고, 오차 증폭기(21)로 입력되는 출력전압(Vo)을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Vref)과 비교하여 PID 제어전압(Va)를 생성한다. 오차 증폭기(21)는 저항 Rx1을 통해 스위칭부(10)로부터 출력전압(Vo)을 입력받는 부단자(-), 기준전압(Vref)을 입력받는 정단자(+), 노드 Na에 접속된 출력단자를 포함한다. 오차 증폭기(21)에서 생성된 PID 제어전압(Va)은 노드 Na에 인가된다. 부궤환부(22)는 오차 증폭기(21)의 부단자(-)와 노드 Na 사이에 접속되어 부궤환을 구현한다. 노드 No와 기저전원(GND) 사이에는 Rx2가 접속될 수 있다.
비교부(30)는 PID 제어전압(Va)을 램프 전압(Vramp)과 비교하여 스위치 제어전압(Vc)을 생성한다. 비교부(30)는 PID 제어부(20)로부터 PID 제어전압(Va)을 입력받는 부단자(-), 램프 전압(Vramp)이 입력되는 정단자(+), 스위치 제어전압(Vc)을 출력하는 출력단자를 포함한다.
스위칭 제어부(40)는 비교부(30)로부터 스위치 제어전압(Vc)을 입력받아 스위치 제어신호(CONT)를 출력한다. 스위칭 제어부(40)는 스위치 제어신호(CONT)를 스위칭부(10)에 인가하여, 도 2와 같이 단속적으로 생성되는 스위치 제어전압(Vc)의 온 구간에서 충전 스위치(S1)를 턴 온 시킴과 동시에 방전 스위치(S2)를 턴 오프시킨다. 또한, 스위칭 제어부(4)는 스위치 제어신호(CONT)를 스위칭부(10)에 인가하여, 도 2와 같이 스위치 제어전압(Vc)의 오프 구간에서 충전 스위치(S1)를 턴 오프 시킴과 동시에 방전 스위치(S2)를 턴 온 시킨다.
동작점 보상부(50)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동작점 보상신호에 따라 동작되어 노드 Na에 일정 레벨의 초기화전압(Vrst)을 공급한다. 동작점 보상부(50)는 DC-DC 변환기가 초기 구동되는 소정 기간 동안에만 동작되고 초기 구동기간 이후의 정상 구동기간에는 동작이 중지된다. 동작점 보상부(50)는 동작 조건에 상관없이 노드 Na를 원하는 초기화전압(Vrst)으로 일정하게 리셋시킴으로써 DC-DC 변환기의 동작 특성을 개선시켜 초기 구동시 동작 조건에 따라 출력 전압(Vo)이 발생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한다. 초기 구동시 노드 Na에는 동작점 보상부(50)에서 생성된 초기화전압(Vrst)이 인가되고, 초기 구동 이후의 정상 구동시 노드 Na에는 PID 제어부(20)에서 생성된 PID 제어전압(Va)이 인가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DC-DC 변환기의 구체적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의 스위치 제어전압(Vc)의 온 구간에서 충전 스위치(S1)가 턴 온되고 방전 스위치(S2)가 턴 오프되면 입력 전원(Vs)으로부터 인가되는 입력 전압(Vi)이 (Vi-Vo)/L1(여기서, L1은 인덕터(L)의 인덕턴스)의 기울기로 인덕터(L)에 충전된다. 그 후, 도 2의 스위치 제어전압(Vc)의 오프 구간에서 충전 스위치(S1)가 턴 오프되고 방전 스위치(S2)가 턴 온되면 인덕터(L)에 충전된 에너지가 -Vo/L1의 기울기로 부하측과 커패시터(C)에 방전된다. 본 발명의 DC-DC 변환기는 정상 구동시 이러한 충전 및 방전 과정을 주기적으로 반복함으로써 출력 전압(Vo)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된다. 출력 전압(Vo)은 입력 전압(Vi)과 충전 스위치(S1)의 온/오프 시간의 비율 즉, 듀티비에 의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DC-DC 변환기의 최종 출력식은 Vo=D*Vi(여기서, 0<D<1)와 같이 표현된다. 도 2를 참조하여, 램프 전압(Vramp)과 PID 제어전압(Va)에 따른 충전 스위치의 온-오프 비율을 살펴보면, 출력 전압(Vo)이 기준전압(Vref)보다 낮아 PID 제어전압(Va)이 증가하는 경우 스위치 제어전압(Vc)의 온 구간이 늘어나게 되고, 반대로 출력 전압(Vo)이 기준전압(Vref)보다 높아 PID 제어전압(Va)이 감소하는 경우 스위치 제어전압(Vc)의 오프 구간이 늘어나게 된다. 이렇게 DC-DC 변환기는 부궤환 구성을 통해 출력 전압(Vo)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한편, 초기 구동시, PID 제어부(20)를 통한 부궤환 특성으로 인해, 노드 Na를 통해 출력되는 PID 제어전압(Va)은 초기동작 조건에 따라 상이한 초기값을 갖게 되는데, 종래 기술에서는 이러한 상이한 초기값의 영향으로 출력전압(Vo)이 조건에 따라 발생되지 못하는 조건부 상황이 나타났었다. 하지만, 본 발명은 동작점 보상부(50)를 이용하여 동작 조건에 상관없이 노드 Na를 원하는 초기화전압(Vrst)으로 일정하게 리셋시킴으로써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도 4는 도 3의 동작점 보상부(50)의 일 예를 상세히 보여준다.
도 4를 참조하면, 동작점 보상부(50)는 저항 스트링의 양쪽에 접속된 제1 노드(N1)와 제2 노드(N2), 고전위 전압원(VDD)과 제1 노드(N1) 사이에 접속되어 동작점 보상신호(OP)에 따라 스위칭되는 제1 활성 스위치(SW1), 저전위 전압원(VSS)과 제2 노드(N2) 사이에 접속되어 동작점 보상신호(OP)에 따라 스위칭되는 제2 활성 스위치(SW2)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1 노드(N1)에는 전기적으로 도통되는 저항 스트링에 의해 결정되는 초기화전압(Vrst)이 인가되며, 이 초기화전압(Vrst)은 제1 노드(N1)에 연결된 노드 Na에 공급된다.
동작점 보상신호(OP)는 DC-DC 변환기가 초기 구동되는 소정 기간 동안에만 활성화 레벨로 발생 된다. 제1 활성 스위치(SW1)와 제2 활성 스위치(SW2)는 동작점 보상신호(OP)에 응답하여 DC-DC 변환기가 초기 구동되는 소정 기간 동안에만 턴 온되고 초기 구동기간 이후의 정상 구동기간에는 턴 오프된다. 제1 활성 스위치(SW1)와 제2 활성 스위치(SW2)가 턴 온 될 때, 노드 Na가 초기화전압(Vrst)으로 리셋된다.
초기화전압(Vrst)은 출력전압(Vo)의 다양한 목표치들에 대응하여 다양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동작점 보상부는 상기 저항 스트링의 분압 노드들과 제2 노드(N2) 사이에 접속된 다수의 전압결정 스위치들(T0~Tn)을 더 구비한다. 전압결정 스위치들(T0~Tn)은 각각 초기화전압(Vrst)의 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전압결정 제어신호들(B0~Bn)에 의해 스위칭된다. 전압결정 제어신호들(B0~Bn) 각각은 스위칭 온을 지시하는 '1'과 스위칭 오프를 지시하는 '0'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어 외부로부터 인가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고전위 전압원(VDD)과 제1 활성 스위치(SW1) 사이 및, 저전위 전압원(VSS)과 제2 활성 스위치(SW2) 사이에는 각각 전류원이 더 접속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동작 조건에 상관없이 노드 Na(노드 Na에는 PID 제어부에서 생성된 PID 제어전압이 인가됨)를 원하는 초기화전압으로 일정하게 리셋시킴으로써 DC-DC 변환기의 동작 특성을 개선시켜 동작 조건에 무관한 안정적인 출력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출력전압의 다양한 목표치들에 대응하여 초기화전압을 조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출력전압을 정해진 목표치에 빠르게 트래킹(tracking)시켜 초기 구동시 정착 시간을 크게 앞당길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 : 스위칭부 20 : PID 제어부
30 : 비교부 40 : 스위칭 제어부
50 : 동작점 보상부

Claims (5)

  1. 서로 반대로 온/오프되는 충전 스위치와 방전 스위치, 충전되는 에너지를 저장하는 인덕터, 방전되는 에너지를 저장하는 커패시터를 포함하여 입력전압을 출력전압으로 변환하는 스위칭부;
    오차 증폭기를 포함하고, 상기 오차 증폭기로 입력되는 상기 출력전압을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PID 제어전압을 생성하는 PID 제어부;
    상기 PID 제어전압을 램프 전압과 비교하여 스위치 제어전압을 생성하는 비교부;
    상기 스위치 제어전압을 기반으로 스위치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스위치 제어신호를 상기 스위칭부에 공급하여 상기 스위치 제어전압의 온 구간에서 상기 충전 스위치를 턴 온 시킴과 동시에 상기 방전 스위치를 턴 오프시키고, 상기 스위치 제어전압의 오프 구간에서 상기 충전 스위치를 턴 오프 시킴과 동시에 상기 방전 스위치를 턴 온 시키는 스위칭 제어부; 및
    동작점 보상신호에 따라 동작되어, 상기 PID 제어전압이 출력되는 노드 Na에 초기 구동을 위한 소정 기간 동안 일정 레벨의 초기화전압을 공급하는 동작점 보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동작점 보상부는,
    저항 스트링;
    상기 저항 스트링의 양쪽에 접속된 제1 노드와 제2 노드;
    고전위 전압원과 상기 제1 노드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동작점 보상신호에 따라 스위칭되는 제1 활성 스위치; 및
    저전위 전압원과 상기 제2 노드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동작점 보상신호에 따라 스위칭되는 제2 활성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노드는 상기 노드 Na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노드에는 전기적으로 도통되는 상기 저항 스트링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초기화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WM 방식의 DC-DC 변환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활성 스위치와 상기 제2 활성 스위치는 상기 동작점 보상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초기 구동을 위한 소정 기간 동안에만 턴 온 되고 초기 구동기간 이후의 정상 구동기간에는 턴 오프 되며;
    상기 제1 활성 스위치와 상기 제2 활성 스위치가 턴 온 될 때 상기 노드 Na는 상기 초기화전압으로 리셋되고,
    상기 제1 활성 스위치와 상기 제2 활성 스위치가 턴 오프 될 때 상기 초기화전압이 상기 노드 Na에 공급되는 것이 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WM 방식의 DC-DC 변환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점 보상부는 상기 저항 스트링의 분압 노드들과 상기 제2 노드 사이에 접속된 다수의 전압결정 스위치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전압결정 스위치들은 각각 상기 초기화전압의 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전압결정 제어신호들에 의해 스위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WM 방식의 DC-DC 변환기.
KR1020120134029A 2012-11-23 2012-11-23 Pwm 방식의 dc-dc 변환기 Active KR101985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029A KR101985934B1 (ko) 2012-11-23 2012-11-23 Pwm 방식의 dc-dc 변환기
US14/075,052 US9225241B2 (en) 2012-11-23 2013-11-08 Pulse width modulation DC-DC converter for stabilizing output voltage
CN201310597045.7A CN103840663B (zh) 2012-11-23 2013-11-22 脉冲宽度调制直流-直流转换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029A KR101985934B1 (ko) 2012-11-23 2012-11-23 Pwm 방식의 dc-dc 변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6598A KR20140066598A (ko) 2014-06-02
KR101985934B1 true KR101985934B1 (ko) 2019-06-05

Family

ID=50772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4029A Active KR101985934B1 (ko) 2012-11-23 2012-11-23 Pwm 방식의 dc-dc 변환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225241B2 (ko)
KR (1) KR101985934B1 (ko)
CN (1) CN10384066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79079B (zh) 2014-07-14 2018-02-23 南京矽力杰半导体技术有限公司 谐振型非接触供电装置、集成电路和恒压控制方法
CN104079081B (zh) * 2014-07-17 2016-06-08 南京矽力杰半导体技术有限公司 谐振型非接触供电装置和集成电路
CN104105267A (zh) * 2014-07-28 2014-10-15 鹰星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一种高效率低成本的非隔离led恒流驱动器
GB2528894B (en) * 2014-08-01 2017-05-10 Eisergy Ltd Power factor correction stages in power conversion
CN104348225B (zh) * 2014-08-12 2017-07-11 矽力杰半导体技术(杭州)有限公司 一种单开关的电池充放电电路及电池充放电的控制方法
KR102250309B1 (ko) * 2014-10-13 2021-05-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CN104682583B (zh) 2015-03-27 2017-12-19 南京矽力杰半导体技术有限公司 谐振型非接触供电装置、电能发射端和控制方法
CN106300969A (zh) * 2015-06-03 2017-01-04 深圳市中兴微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复合输出的电源控制装置及方法
CN105424648B (zh) * 2015-11-04 2018-04-03 山西大学 基于偏振旋转器的功率稳定快速扫描吸收光谱装置及方法
KR101742760B1 (ko) 2015-12-10 2017-06-0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직류-직류 변환기
US10320292B2 (en) * 2016-12-27 2019-06-11 Rohm Co., Ltd. Phase compensation circuit and DC/DC converter using the same
US10063143B1 (en) 2017-02-24 2018-08-2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Fixed frequency DC-DC converter
CN108200707B (zh) * 2018-01-26 2023-12-15 中国海洋石油集团有限公司 一种光源电压控制模块
JP6489567B1 (ja) * 2018-04-16 2019-03-27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
US11863062B2 (en) * 2018-04-27 2024-01-02 Raytheon Company Capacitor discharge circuit
CN110707926B (zh) * 2018-07-09 2022-03-08 力智电子股份有限公司 直流-直流控制器
CN109085784A (zh) * 2018-08-21 2018-12-25 中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一种电容控制电路及一种电磁式真空断路器控制系统
US11664722B2 (en) * 2019-12-05 2023-05-30 Abb Power Electronics Inc. Technologies for controlling AC-to-DC converters
US11290015B2 (en) * 2019-12-10 2022-03-29 xMEMS Labs, Inc. Driving circuit with energy recycle capability
US11336182B2 (en) 2020-07-19 2022-05-17 xMEMS Labs, Inc. Driving circuit with energy recycle capability
CN112491320A (zh) * 2020-11-19 2021-03-12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由电机驱动的机构确定开关时间的方法及系统
CN117686754B (zh) * 2024-02-01 2024-04-26 忱芯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用于碳化硅功率半导体器件双极性退化测试的电流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50173B1 (en) 1999-11-16 2003-11-18 Stmicroelectronics S.R.L. Programmable voltage generator
US20070013354A1 (en) 2005-07-18 2007-01-18 The Hong K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End-Point Prediction Scheme for Voltage Regulators
US20090167267A1 (en) * 2007-12-27 2009-07-02 Mirmira Ramarao Dwarakanath Power Converter with Monotonic Turn-On for Pre-Charged Output Capacitor
US20120086423A1 (en) * 2010-10-06 2012-04-12 Dao Chris C Switched mode voltage regulator and method of operatio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34059B (en) * 2004-01-07 2005-06-11 Leadtrend Tech Corp Adaptive dead-time controller capable of adjusting dead-time
JP4440869B2 (ja) 2005-10-25 2010-03-24 富士通マイクロ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Dc−dcコンバータ、dc−dcコンバータの制御回路及びdc−dcコンバータの制御方法
JP5386801B2 (ja) * 2007-07-27 2014-01-15 株式会社リコー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及びその動作制御方法
US7982447B2 (en) * 2007-12-13 2011-07-1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witched mode power supply having improved transient response
JP4492693B2 (ja) * 2007-12-19 2010-06-3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容量性負荷の駆動回路及び液滴噴射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50173B1 (en) 1999-11-16 2003-11-18 Stmicroelectronics S.R.L. Programmable voltage generator
US20070013354A1 (en) 2005-07-18 2007-01-18 The Hong K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End-Point Prediction Scheme for Voltage Regulators
US20090167267A1 (en) * 2007-12-27 2009-07-02 Mirmira Ramarao Dwarakanath Power Converter with Monotonic Turn-On for Pre-Charged Output Capacitor
US20120086423A1 (en) * 2010-10-06 2012-04-12 Dao Chris C Switched mode voltage regulator and method of ope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6598A (ko) 2014-06-02
CN103840663A (zh) 2014-06-04
US9225241B2 (en) 2015-12-29
CN103840663B (zh) 2016-08-17
US20140145693A1 (en) 2014-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5934B1 (ko) Pwm 방식의 dc-dc 변환기
US9698690B2 (en) Control method and control circuit for four-switch buck-boost converter
US10924010B2 (en) Control circuit and control method for switching regulator and switching regulator with the same
US8536841B2 (en) PWM control circuit of a converter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US10348201B2 (en) Voltage regulation circuit of single inductor and multiple outputs and control method
US8698475B2 (en) Switching-mode power supply with ripple mode control and associated methods
US7876073B2 (en) Switching regulator with slope compens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735440B1 (ko) Smps에서 pwm과 pfm 사이를 천이하는 시스템, 방법 및 장치
US8476887B2 (en) DC to DC converter with pseudo constant switching frequency
US8593125B1 (en) Buck DC-DC converter with dual feedback control
US11038423B2 (en) Frequency control circuit, control method and switching converter
US8129961B2 (en) DC/DC-converter
US20160204704A1 (en) Switching regul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991775B1 (en) Constant on-time converter having fast transient response
US10110131B2 (en) Control circuit for interleaved switching power supply
US11818815B2 (en) Switching converter, control circuit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348111B2 (en) Charging circuit and the method thereof
US20120306466A1 (en) Step-up dc-dc converter
US9966849B1 (en) Current mode voltage converter having fast transient response
JP2013027301A (ja) 電力変換装置用制御装置
US101037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buck converter with pulse width modulation and pulse frequency modulation mode
CN103683932B (zh) 脉宽调制模式或脉冲省略模式下的电压转换器及切换方法
US8760134B2 (en) Simulating power supply inductor current
US9490699B2 (en) Digitally controlled current mode power converter
CN112366939A (zh) 控制电路以及应用其的开关变换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2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11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11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5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5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