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80231B1 - 박막봉지를 구비한 평판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박막봉지를 구비한 평판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0231B1
KR101980231B1 KR1020120103616A KR20120103616A KR101980231B1 KR 101980231 B1 KR101980231 B1 KR 101980231B1 KR 1020120103616 A KR1020120103616 A KR 1020120103616A KR 20120103616 A KR20120103616 A KR 20120103616A KR 101980231 B1 KR101980231 B1 KR 101980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hin film
protective film
alox
outermos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3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6911A (ko
Inventor
이근수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3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0231B1/ko
Priority to US13/794,435 priority patent/US9271371B2/en
Publication of KR20140036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6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0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023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05B33/04Sealing arrangements, e.g. against humid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평판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평판 표시 장치에서는 기판 상의 디스플레이부를 덮어주는 박막봉지가, 유기층과 무기층이 교대로 적층된 교층부 및, 교층부 위에 박막봉지의 최외곽 박막층으로 형성된 AlOx층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박막봉지에 붙는 보호필름이 상대적으로 접착력이 약한 AlOx층에 붙게 되므로 나중에 탈착 작업이 부드럽게 진행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탈착 과정에서 박막봉지가 손상을 입는 현상이 방지된다.

Description

박막봉지를 구비한 평판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Flat display device including thin film encapsulation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평판 표시 장치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부를 덮어서 보호하는 봉지 구조로서 박막봉지를 구비한 평판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와 같은 평판 표시 장치는 구동 특성상 박형화 및 플랙시블화가 가능하여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이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산소나 수분의 침투에 의해 디스플레이부가 열화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외부로부터의 산소나 수분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를 밀봉하여 보호해주는 봉지 구조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봉지 구조로서 근래에는, 유기막과 무기막이 교대로 적층된 다층막으로 디스플레이부를 덮어주는 박막 봉지 구조가 채용되고 있다. 즉, 기판의 디스플레이부 위에 유,무기막을 교대로 적층하여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밀봉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유기막은 주로 평판 표시 장치의 유연성을 부여하는 기능을 하며, 무기막이 산소나 수분의 침투를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제조과정 중 이러한 박막봉지를 형성한 다음에는, 일단 그 위에 보호필름을 붙여두었다가 나중에 편광판을 결합시키는 등의 후속 작업을 진행할 때 보호필름을 떼어내고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이때 보호필름이 부드럽게 잘 떼어지지 않으면 박막봉지까지 같이 벗겨지면서 봉지 기능까지 손상을 입을 수 있다.
따라서, 보호필름을 벗겨낼 때 이러한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박막봉지에 붙어있던 보호필름의 탈착이 부드럽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박막봉지의 구조가 개선된 평판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판 표시 장치는,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디스플레이부 및, 다수의 박막층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덮어주는 박막봉지를 구비하며, 상기 박막봉지의 박막층은, 유기층과 무기층이 교대로 적층된 교층부 및, 상기 교층부 위에 상기 박막봉지의 최외곽 박막층으로 형성된 AlOx층을 포함한다.
상기 무기층 재질은 SiNx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층부에서는 무기층인 상기 SiNx가 최외곽층이 되며, 그 최외곽의 SiNx층 위에 상기 AlOx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AlOx층 위에 편광판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유기층 재질은 폴리우레아(polyurea)와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판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은 기판 상의 디스플레이부를 덮어주는 박막봉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박막봉지에 보호필름을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부착된 보호필름을 후속 공정을 위해 떼어내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박막봉지를 형성하는 단계는, 유기층과 무기층이 교대로 적층된 교층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교층부 위에 상기 보호필름이 부착될 최외곽 박막층으로 AlOx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무기층 재질은 SiNx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층부에서는 무기층인 상기 SiNx가 최외곽층이 되며, 그 최외곽의 SiNx층 위에 상기 AlOx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보호필름을 떼어낸 후 상기 AlOx층 위에 편광판을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층 재질은 폴리우레아(polyurea)와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평판 표시 장치 및 제조방법에 의하면, 박막봉지에 붙어있던 보호필름을 부드럽고 원활하게 떼어낼 수 있게 되므로, 탈착 과정에서 박막봉지가 손상을 입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제품의 불량율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봉지를 구비한 평판 표시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f는 도 1에 도시된 평판 표시 장치의 제조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봉지(10)가 구비된 평판 표시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평판 표시 장치는, 기판(30) 상에 화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부(20)가 마련되고, 그 디스플레이부(20)를 박막봉지(10)가 덮어서 보호해주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참조부호 40은 박막봉지(10) 위에 부착된 편광판을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박막봉지(10)는 다수의 박막층이 적층된 구조로서, 유기층(11a)과 무기층(11b)이 교대로 적층된 교층부(11)와, 그 교층부(11) 위에 최외곽층으로 형성된 AlOx층(12)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교층부(11)의 무기층(11b)은 산소나 수분의 침투를 견고히 막아주는 역할을 하며, 상기 유기층(11a)은 무기층(11b)의 스트레스를 흡수하여 유연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무기층(11b)은 SiNx와 같이 방습 능력이 우수한 무기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유기층(11a)은 폴리우레아(polyurea)나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와 같이 유연성을 지닌 유기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박막봉지(10) 위에는 보호필름(50; 도 2e 참조)이 부착되어 있다가, 후속 공정으로서 편광판(40)을 부착할 때 그 보호필름(50)을 떼어내게 되는데, 이때 상기 AlOx층(12)이 보호필름(50)과 함께 박막봉지(10)도 벗겨지지 않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즉, 만일 AlOx층(12)이 없이 SiNx재질의 무기층(11b)이 최외곽층인 경우를 가정해보면, 보호필름(50)이 이 무기층(11b)에 붙었다가 떨어져야 하는데, 통상 SiNx재질은 보호필름(50)과의 접착력이 15gf/inch에 달한다. 이것은 AlOx 재질인 경우 약 5.6gf/inch의 접착력을 보이는 것에 비해 거의 3배에 가까운 접착력에 해당된다. 따라서, AlOx층(12)이 없이 SiNx재질의 무기층(11b)에 보호필름(50)을 붙였다가 떼어내면, 상기와 같은 강한 접착력 때문에 박막봉지(10)도 일부 같이 벗겨질 위험이 크다. 그러나, 본 구성과 같이 AlOx층(12)이 박막봉지(10)의 최외곽층에 배치되면, SiNx재질인 경우에 비해 1/3 수준의 접착력으로 보호필름(50)을 붙여놓을 수 있기 때문에, 나중에 이 보호필름(50)을 벗겨내는 탈착 작업도 매우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그러나, 그렇다고 AlOx층(12)만 있고 SiNx의 무기층(11b)이 없다면 최외곽층의 무기막 두께가 너무 얇아져서 유기층(11a)에서 가스가 새어나와 암점을 유발시킬 수도 있고, 또 미세한 파티클이 있을 경우 잘 묻히도록 커버해주지도 못해서 투습이 되기도 쉽다. 즉, AlOx층(12)은 일반적으로 두께가 매우 얇게 형성되기 때문에, 단독으로 무기층(11b)을 대체하는 것은 무리가 따를 수 있다. 따라서, SiNx재질의 무기층(11b)을 교층부(11)의 최외곽층으로 형성하고 그 위에 다시 보호필름(50)을 붙일 AlOx층(12)을 형성해서, 견고한 배리어층의 기능도 유지하면서 원활한 탈착 작업이 진행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박막봉지(10)를 구비하면, 상기 무기층(11b)이 외부로부터의 산소나 수분의 침투를 견고히 막아주고, 유연한 유기층(11a)이 무기층(11b)의 스트레스를 흡수해줌으로써 크랙을 방지해주며, 최외곽의 AlOx층(12)은 보호필름(50)이 원활하게 탈부착될 수 있게 해준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평판 표시 장치의 박막봉지(10)는 다음과 같은 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우선,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30) 상에 디스플레이부(20)를 형성한 후, 폴리우레아(polyurea)나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와 같이 유연성을 지닌 유기물로 첫 번째 유기층(11a)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 2b에 도시된 것처럼 유기층(11a) 위에 SiNx 재질의 무기층(11b)을 형성한다. 그러면, 유기층(11a)과 무기층(11b)이 교대로 적층된 교층부(11)가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이것을 한번 더 반복해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층(11a)과 무기층(11b)이 각각 두 층씩 교대로 적층된 교층부(11)를 형성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 교층부(11)의 최외곽층은 SiNx재질의 무기층(11b)이 된다.
이어서,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층부(11) 위에 AlOx층(12)을 형성한다. 그러면, 유기층(11a)과 무기층(11b)이 교대로 적층된 교층부(11) 위에 AlOx층(12)이 형성된 박막봉지(10) 구조가 완성된다.
이렇게 박막봉지(10)가 완성되면, 후속 공정을 진행할 때까지는 일단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위에 보호필름(50)을 붙여둔다.
이후, 편광판(40)을 부착하는 후속 공정을 진행할 때, 도 2f와 같이 보호필름(50)을 떼어낸다. 이때, 보호필름(50)은 박막봉지(10)의 최외곽층인 AlOx층(12)에 부착되었다가 탈착되는 것이므로, 접착력이 과하지 않아서 부드럽고 안정적인 탈착이 가능해진다. 즉, 박막봉지(10)의 일부가 보호필름(50)과 같이 벗겨지는 등의 문제는 생기지 않게 된다. 그리고나서, 그 위에 편광판(40)을 붙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가 만들어진다.
결과적으로 무기층(11b)에 의한 안정적인 내투습성 및 유기층(11a)에 의한 유연성을 겸비하고 있으면서, 보호필름(50)의 부드럽고 안정적인 탈부착도 가능한 박막봉지(10)가 구현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평판 표시 장치와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박막봉지로 디스플레이부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박막봉지에 붙어있던 보호필름의 탈착 작업도 부드럽고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탈착 과정에서 박막봉지가 손상을 입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제품의 불량율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박막 봉지 11a...유기층
11b...SiNx재질 무기층 12...AlOx층
20...디스플레이부 30...기판
40...편광판 50...보호필름

Claims (10)

  1.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디스플레이부 및, 다수의 박막층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덮어주는 박막봉지를 구비하고,
    상기 박막봉지의 박막층은,
    유기층과 무기층이 교대로 적층된 교층부 및,
    보호필름이 부착될 상기 박막봉지의 최외곽 박막층으로 상기 교층부 위에 배치된 AlOx층을 포함하며,
    상기 교층부에서는 상기 무기층이 최외곽층이 되고, 상기 최외곽의 무기층과 접하도록 상기 AlOx층이 배치되며,
    상기 보호필름과 상기 AlOx층간의 접착력은 상기 보호필름과 상기 최외곽의 무기층간의 접착력의 1/3 수준인 평판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층 재질은 SiNx를 포함하는 평판 표시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lOx층 위에 편광판이 부착되는 평판 표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층 재질은 폴리우레아(polyurea)와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평판 표시 장치.
  6. 기판 상의 디스플레이부를 덮어주는 박막봉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박막봉지에 보호필름을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부착된 보호필름을 후속 공정을 위해 떼어내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박막봉지를 형성하는 단계는,
    유기층과 무기층이 교대로 적층된 교층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교층부 위에 상기 보호필름이 부착될 최외곽 박막층으로 AlOx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교층부에서는 상기 무기층을 최외곽층으로 형성하고, 상기 최외곽의 무기층과 접하도록 상기 AlOx층을 형성하며,
    상기 보호필름과 상기 AlOx층간의 접착력은 상기 보호필름과 상기 최외곽의 무기층간의 접착력의 1/3 수준인 평판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층 재질은 SiNx를 포함하는 평판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8. 삭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을 떼어낸 후 상기 AlOx층 위에 편광판을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평판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층 재질은 폴리우레아(polyurea)와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평판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KR1020120103616A 2012-09-18 2012-09-18 박막봉지를 구비한 평판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Active KR101980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616A KR101980231B1 (ko) 2012-09-18 2012-09-18 박막봉지를 구비한 평판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3/794,435 US9271371B2 (en) 2012-09-18 2013-03-11 Flat panel display device having thin film encapsula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616A KR101980231B1 (ko) 2012-09-18 2012-09-18 박막봉지를 구비한 평판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911A KR20140036911A (ko) 2014-03-26
KR101980231B1 true KR101980231B1 (ko) 2019-05-21

Family

ID=50273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3616A Active KR101980231B1 (ko) 2012-09-18 2012-09-18 박막봉지를 구비한 평판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271371B2 (ko)
KR (1) KR1019802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78865B2 (en) 2020-08-24 2023-10-0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6770B1 (ko) 2014-10-22 2016-11-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5552247B (zh) * 2015-12-08 2018-10-26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复合基板、柔性显示装置及其制备方法
CN111063824B (zh) * 2019-12-09 2022-12-27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CN111599844B (zh) * 2020-05-28 2022-09-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11205A (ja) * 2007-06-13 2008-12-25 Samsung Sdi Co Ltd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24708A3 (en) * 1998-12-16 2006-07-26 Battelle Memorial Institute Environmental barrier material and methods of making.
US7198832B2 (en) * 1999-10-25 2007-04-03 Vitex Systems, Inc. Method for edge sealing barrier films
US6664137B2 (en) * 2001-03-29 2003-12-16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Methods and structures for reducing lateral diffusion through cooperative barrier layers
JP4750727B2 (ja) * 2006-03-28 2011-08-17 キヤノン株式会社 有機発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96129B1 (ko) * 2007-01-30 2008-01-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369910B1 (ko) * 2007-03-30 2014-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5241173B2 (ja) * 2007-08-28 2013-07-17 キヤノン株式会社 有機el素子の製造方法
KR101369908B1 (ko) * 2007-11-23 2014-03-05 주성엔지니어링(주)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832847B1 (ko) * 2007-12-21 2008-05-28 (주)누리셀 평탄화 유기 박막 및 컨포멀 유기 박막을 포함하는 다층봉지막
KR101407584B1 (ko) * 2008-06-10 2014-06-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475104B1 (ko) * 2008-06-11 2014-12-22 덴끼 가가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경화성 조성물
TWI373868B (en) * 2009-02-16 2012-10-01 Univ Nat Taiwan Composite layer
KR100994121B1 (ko) * 2009-03-11 2010-11-15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089715B1 (ko) 2009-11-05 2011-12-07 한국기계연구원 다층 박막형 봉지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31382A (ko) 2010-09-24 2012-04-03 주식회사 엔씰텍 봉지박막 및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1430173B1 (ko) 2010-10-19 2014-08-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255537B1 (ko) * 2010-11-26 2013-04-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82736A (ko) * 2011-01-14 2012-07-2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전계발광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11205A (ja) * 2007-06-13 2008-12-25 Samsung Sdi Co Ltd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78865B2 (en) 2020-08-24 2023-10-0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911A (ko) 2014-03-26
US9271371B2 (en) 2016-02-23
US20140077692A1 (en) 2014-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44885B (zh) 制造显示面板的方法
US10109810B2 (en) Flexible display panel, package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KR101980231B1 (ko) 박막봉지를 구비한 평판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6285654B2 (ja) 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US6949825B1 (en) Laminates for encapsulating devices
CN105322104B (zh) Oled显示面板的封装方法
CN103915473B (zh) 柔性显示面板复合保护膜及其制作方法与剥离方法
JP2007531238A5 (ko)
US20140346451A1 (en) Adhesive film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using the same
US8926778B2 (en)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of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CN106134288B (zh) 电子元件封装用层叠片以及电子器件的制造方法
KR20160017396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5239241B2 (ja) 光学材料保護用積層体、これを用い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光学素子、及び電気泳動式表示パネル
KR20170005215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66369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US8859069B2 (en) Metal sheet for encapsulating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encapsulating method of encapsulation using the same
JP5239240B2 (ja) 光学材料保護用積層体、これを用い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光学素子、及び電気泳動式表示パネル
KR10223294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2203908B1 (ko) 접착 필름,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1233349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235085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2014186850A (ja) 有機el積層体
CN108192525B (zh) 粘结组件及其离型膜
US8673422B2 (en) Process for encapsulating an electro-optical device
JP2006282278A (ja) ウェハー用梱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1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9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9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7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1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7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1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9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2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902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1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9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5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5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