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74368B1 - 가전기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가전기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4368B1
KR101974368B1 KR1020130043411A KR20130043411A KR101974368B1 KR 101974368 B1 KR101974368 B1 KR 101974368B1 KR 1020130043411 A KR1020130043411 A KR 1020130043411A KR 20130043411 A KR20130043411 A KR 20130043411A KR 101974368 B1 KR101974368 B1 KR 101974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unit
user
home appliance
sound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3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5533A (ko
Inventor
강희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3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4368B1/ko
Priority to US14/187,953 priority patent/US9267729B2/en
Publication of KR20140125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5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36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4Sound-produc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2Synthesis of acoustic wa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1Multimodal input, i.e. interface arrangements enabling the user to issue commands by simultaneous use of input devices of different nature, e.g. voice plus gesture on digitiz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사전에 정해진 작동음 출력조건이 만족되면 작동음을 출력하는 가전기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음향을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부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가운데 상기 작동음으로 설정할 음향을 선택받는 조작부, 상기 작동음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 상기 작동음 출력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음향 출력부를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음향을 작동음으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전기기는 사용자가 직접 가전 제품에 음향을 입력하고 이 중에서 작동음을 선택함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작동음을 제공하는 가전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전기기 및 그 제어방법{HOME APPLIAN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가전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발명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맞춤의 작동음을 제공하는 가전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통상 작동음은 가전기기가 턴온 또는 턴오프되거나, 가전기기의 작동이 개시되거나, 가전기기의 작동이 완료될 때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출력하는 음향을 의미하다. 또한, 작동음은 가전기기의 오작동을 사용자에게 경고하기 위하여 출력되기도 한다.
이러한 작동음을 통하여 사용자는 가전기기의 작동 상태를 인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전기기의 오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가전기기의 제조사는 가전기기의 제조 당시에 다양한 작동 상태에 대한 다양한 작동음이 출력되도록 하고 있다.
다양한 작동 상태에 대하여 다양한 작동음이 출력되도록 하고 있으나, 가전기기가 제조될 당시의 음향으로 고정되어, 사용자는 사용자가 원하는 작동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작동음이 출력되도록 할 수 없었다.
예를 들어,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은 사용자가 냉장고 문을 열고 사용한 후, 확실히 닫혔을때 확인음을 발생시켜서, 소비자로 하여금 냉장고 문이 확실히 닫혔다는 것을 알려주기 위한 냉장고를 개시하였으나, 사용자가 원하는 작동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작동음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은 개시되지 아니하였습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48811호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사용자가 직접 가전 제품에 작동음을 입력함으로써 사용자에 따라 다양한 작동음을 제공할 수 있는 가전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가전 기기는 사전에 정해진 작동음 출력조건이 만족되면 작동음을 출력하는 가전기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음향을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부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가운데 상기 작동음으로 설정할 음향을 선택받는 조작부, 상기 작동음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 상기 작동음 출력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음향 출력부를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음향을 작동음으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전기기는 상기 작동음 출력조건에 대응하는 작동음 목록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에 대응하는 음향 목록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음향 목록과 상기 작동음 목록을 맵핑시킴으로써 상기 작동음으로 설정할 음향을 선택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전기기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음향을 입력받는 음향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량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음향을 음향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음향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전기기는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음향의 음향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환된 음향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음 출력조건은 상기 가전기기의 턴온, 상기 가전기기의 턴오프, 상기 가전기기의 작동 개시, 상기 가전기기의 작동 완료, 상기 가전기기의 작동 모드 변경, 상기 가전기기의 설정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의한 가전기기의 제어방법은 사전에 정해진 작동음 출력조건이 만족되면 작동음을 출력하는 가전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음향을 입력받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가운데 상기 작동음 출력조건에 대응하는 작동음을 선택받고, 상기 작동음 출력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선택된 작동음을 출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음 출력조건에 대응하는 작동음을 선택받는 것은 상기 작동음 출력조건 출력조건에 대응하는 작동음 목록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에 대응하는 음향 목록을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음 출력조건에 대응하는 작동음을 선택받는 것은 상기 음향 목록과 상기 작동음 목록을 맵핑시킴으로써 상기 작동음으로 설정할 음향을 선택받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을 입력받는 것은 음향 입력부를 통하여 음향을 녹음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을 입력받는 것은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음향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음 출력조건은 상기 가전기기의 턴온, 상기 가전기기의 턴오프, 상기 가전기기의 작동 개시, 상기 가전기기의 작동 완료, 상기 가전기기의 작동 모드 변경, 상기 가전기기의 설정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가 직접 가전 제품에 음향을 입력하고 이 중에서 작동음을 선택함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작동음을 제공하는 가전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운드 모듈의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운드 모듈을 구비한 냉장고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운드 모듈을 구비한 냉장고의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운드 모듈을 구비한 냉장고가 입력부를 통하여 음향 정보를 입력받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운드 모듈을 구비한 냉장고가 통신부를 통하여 음향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운드 모듈을 구비한 냉장고가 음향 입력부를 통하여 음향을 입력받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운드 모듈을 구비한 냉장고의 작동음 설정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운드 모듈을 구비한 세탁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운드 모듈을 구비한 세탁기의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운드 모듈을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의한 사운드 모듈을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운드 모듈을 구비한 조리기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운드 모듈을 구비한 조리기기의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운드 모듈의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운드 모듈(10)은 사용자로부터 음향 정보를 입력받는 조작부(20), 사용자로부터 음향을 입력받는 음향 입력부(80), 외부 서버로부터 음향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통신부(70), 음향을 저장하는 저장부(60), 사운드 모듈(10)의 작동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30),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40), 사운드 모듈(10)의 작동을 총괄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한다.
조작부(20)는 멤브레인(membrane) 스위치, 버튼식 스위치, 다이얼, 터치 패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조작부(20)는 사용자로부터 음향 정보를 입력받는다. 즉, 사용자는 입력하고자 하는 음향을 조작부(20)를 통하여 특정한 형태로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부(20)가 키패드로 구현될 경우 음향의 음계 및 박자를 숫자에 대응시키고 사용자는 키패드를 통하여 원하는 음향의 음계 및 박자에 대응되는 숫자를 입력함으로써 음향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음향 입력부(80)는 음향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microphone)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음향 입력부(80)는 사용자로부터 음향을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음향 입력부(80)는 사용자의 음성, 자연의 소리, 동물의 울음 소리 등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입력된 음향 신호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다.
통신부(70)는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엔에프씨(near field communication: NFC)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 또는 유선통신을 통하여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이더넷(ethernet) 등의 근거리 통신망 또는 광역 통신망에 접속하고, 근거리 통신망 또는 광역 통신망 상에 마련된 외부 서버로부터 음향 데이터를 수신한다.
저장부(60)는 사운드 모듈(10)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 등을 저장하며, 저장부(60)는 자기 디스크(magnetic disc), 반도체 디스크(solid state disk)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 뿐만 아니라 D-램, S-램 등의 휘발성 메모리를 채용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60)는 상술한 조작부(20), 음향 입력부(80) 또는 통신부(70)를 통하여 입력되거나 수신된 음향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어부(50)는 사운드 모듈(10)의 작동을 총괄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는 조작부(20)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향 정보를 음향 데이터로 변환한 후 변환된 음향 데이터를 저장부(60)에 저장하거나, 음향 입력부(80)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향을 음향 데이터로 변환한 후 음향 데이터를 저장부(60)에 저장하거나, 통신부(70)를 통하여 수신된 음향 데이터를 저장부(6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작동음 출력조건이 만족하면 만족된 작동음 출력조건에 대응하는 음향이 출력되도록 후술할 음향 출력부(40)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작동음 출력조건이 만족하면 사용자에게 해당 상황을 알리기 위하여 사운드 모듈(10)이 출력하는 음향을 작동음이라 하고, 저장부(60)에 저장된 복수의 음향 데이터 가운데 특정한 상황이 발생에 대응하여 출력하는 작동음의 음향 데이터를 작동음 데이터라 한다.
이와 같은 작동음은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저장부(60)에 저장된 복수의 음향 가운데 특정한 음향을 선택하여 작동음 출력조건에 대응하는 작동음으로 지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50)는 해당 작동음 출력조건이 만족하면 지정된 음향(작동음)이 출력되도록 음향 출력부(4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저장부(60)에 저장된 복수의 음향 가운데 사이렌 소리를 냉장고 도어의 개방에 대응하는 작동음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세탁이 종료되었습니다"라는 사람의 음성을 세탁기의 세탁종료에 대응하는 작동음으로 설정할 수 있다.
표시부(30)는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또는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Light Emitting Display: LED)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표시부(30)는 사용자가 조작부(20)를 통하여 음향의 음계 및 박자 등의 음향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입력되는 음향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음표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운드 모듈(10)은 조작부(20)와 표시부(30)를 별도로 마련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부(30)와 조작부(20)를 일체화한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을 채용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40)는 후술할 제어부(50)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작동음 데이터)를 음향 신호로 변환하는 스피커 등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음향 출력부(40)는 제어부(5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작동음을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음향 출력부(40)는 사용자의 음성, 자연의 소리, 동물의 울음 소리 등에 대응하는 작동음 데이터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작동음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음성, 자연의 소리, 동물의 울음 소리 등을 출력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운드 모듈(10)이 가전제품에 적용된 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운드 모듈을 구비한 냉장고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냉장고(100)는 그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10), 본체(110)의 내측에 마련되어 식품을 저장하는 저장실(미도시), 저장실(미도시)을 외부와 차폐시키는 도어(113a, 113b)을 포함하며, 도 2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냉장고(100)는 저장실(미도시)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저장실(미도시)은 중앙 격벽에 의하여 냉장실(미도시)과 냉동실(미도시)로 구분되며, 냉동실(미도시)과 냉장실(미도시)은 각각 한 쌍의 도어(113a, 113b)에 의하여 외부와 차폐된다.
한 쌍의 도어(113a, 113b) 중 어느 하나에는 냉장고(100) 내부에 마련된 워터 탱크(미도시)에 저장된 정수를 취수하거나 또는 얼음 트레이(미도시)에 저장된 얼음을 취출할 수 있는 디스펜서(111)가 마련되며, 디스펜서(111)의 상측에는 사용자로부터 작동 명령을 입력받고 냉장고(100)의 작동 정보를 표시하는 컨트롤 패널(120, 130)이 마련된다. 컨트롤 패널(120, 130)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냉각장치(미도시)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미도시),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미도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켜 감압시키는 팽창밸브(미도시), 감압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미도시)를 포함한다. 냉각장치(미도시)는 증발기(미도시)에서 냉매가 증발할 때 냉매가 흡수하는 잠열을 이용하여 저장실(미도시)을 냉각시킨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운드 모듈을 구비한 냉장고의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냉장고(100)는 저장실(미도시)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감지부(115), 사용자로부터 작동 명령 또는 음향 정보를 입력받는 조작부(120), 사용자로부터 음성 명령 또는 음향을 입력받는 음향 입력부(180), 압축기(119)를 구동하는 구동부(117), 상술한 바와 같이 냉매를 압축하고 냉매를 순환시키는 압축기(119),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작동 명령 및 그에 대응되는 냉장고(100)의 작동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30), 냉장고(100)의 작동음 등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140), 외부 서버(미도시)로부터 음향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170), 냉장고(100)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160), 냉장고(100)의 작동을 총괄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조작부(120), 음향 입력부(180), 표시부(130), 음향 출력부(140), 통신부(170), 저장부(160)는 도 1과 함께 설명한, 조작부(20), 음향 입력부(80), 표시부(30), 음향 출력부(40), 통신부(70), 저장부(60)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온도감지부(115)는 냉동실(미도시)에 마련되어 냉동실(미도시)의 온도를 감지하는 냉동실 온도센서(미도시), 냉장실(미도시)에 마련되어 냉장실(미도시)의 온도를 감지하는 냉장실 온도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냉동실 온도센서(미도시) 및 냉장실 온도센서(미도시)는 온도에 따라 전기적 저항값이 변화하는 써미스터(thermistor)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온도감지부(115)는 냉동실 온도센서(미도시) 및 냉장실 온도센서(미도시)가 검출한 온도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후술할 제어부(150)에 제공한다.
구동부(117)는 후술할 제어부(15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압축기(119)를 구동한다. 구체적으로, 구동부(117)는 제어부(150)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압축기(119)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류를 생성하고, 생성된 구동 전류를 압축기(119)에 제공한다.
압축기(119)는 구동부(117)로부터 제공되는 구동 전류에 의하여 작동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증발기(미도시)에 의하여 증발된 냉매를 압축하고, 응축기(미도시)로 압송함으로써 냉매가 냉각장치(미도시)를 순환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50)는 냉장고(100)의 작동을 총괄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온도감지부(115)가 감지한 저장실(미도시)의 온도와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 온도를 비교하여, 저장실(미도시)의 온도가 설정 온도를 초과하면 저장실(미도시)을 냉각시키기 위하여 구동부(117)를 제어하여 압축기(119)를 가동한다. 즉, 제어부(150)는 저장실(미도시)의 온도를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 온도로 유지시킴으로써 저장실(미도시)에 저장된 식품이 변질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작동음 출력조건이 만족되면, 음향 출력부(140)를 제어하여 만족된 조건에 대응하는 작동음이 출력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저장실(미도시)의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면 냉장고(100)의 오작동에 대응하는 작동음을 출력되도록 하거나, 냉장고(100)의 도어가 장시간 개방되면 도어 개방에 대응하는 작동음이 출력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저장실(미도시)의 설정 온도를 변경하면 설정 온도 변경에 대응하는 작동음이 출력되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150)는 압축기(119)가 작동하거나 제빙장치가 얼음을 제조하는 등 냉장고(100)로부터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 작동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소음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제어부(150)는 작동음을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의 불쾌감을 덜어 줄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냉장고(100)의 작동 정보를 알려 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운드 모듈(10)를 구비한 냉장고(1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운드 모듈(10)를 구비한 냉장고(100)가 음향을 입력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음향을 작동음으로 설정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운드 모듈을 구비한 냉장고의 입력부를 통하여 작동음을 입력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조작부(120)를 통하여 음향을 입력하기 위하여 음향의 음계 및 박자 각각에 대응하는 작동음 정보로써 숫자를 지정할 수 있다.
도 4a의 (a) 및 (b)는 작동음의 음계 및 박자 각각에 대응하는 숫자를 지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시한다.
도 4a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계 "도"에 대하여 숫자 "1"을 지정하고, 음계 "레"에 대하여 숫자 "2"를 지정하고, 음계 "미"에 대하여 숫자 "3"을 지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낮은 "도"부터 높은 "미"까지 1부터 10까지의 숫자를 지정할 수 있다. 또한, 도 4a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8 박자에 대하여 숫자 "1"을 지정하고, 1/4 박자에 대하여 숫자 "2"를 지정하고, 1/2 박자에 대하여 숫자 "3"을 지정하고 1 박자에 대하여 숫자 "4"를 지정할 수 있다.
도 4a의 (c)에 도시된 음향을 도 4a의 (a) 및 (b)에 도시된 방법을 통하여 표시하면 도 4a의 (d)와 같다.
도 4a의 (c)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음향은 1/2 박자의 높은 "레", 1/4 박자의 높은 "레", 1/4 박자의 높은 "미", 1/2 박자의 높은 "미", 다시 1/2 박자의 높은 "미", 1/2 박자의 높은 "레", 1/4 박자의 높은 "레", 1/4 박자의 높은 "도" 및 1/2 박자의 높은 "도"를 포함한다.
도 4a의 (d)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사용자는 1/2 박자의 높은 "레"에 대응하여 음계 정보는 9를 입력하고 박자 정보는 3을 입력할 수 있고, 1/4 박자의 높은 "레"에 대응하여 음계 정보는 9를 입력하고 박자 정보는 2를 입력할 수 있으며, 1/4 박자의 높은 "미"에 대응하여 음계 정보는 10을 입력하고 박자 정보는 3을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조작부(120)를 통하여 (9, 3), (9, 2), (10, 3), (10, 2), (10, 3), (9, 3), (9, 2), (8, 3) 및 (8, 2)를 입력함으로써 사용자는 도 4a의 (c)에 도시된 음향에 대응되는 음향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운드 모듈을 구비한 냉장고의 터치 스크린 패널을 통하여 음향 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조작부(120)와 표시부(130)는 일체화되어 터치 스크린 패널(120, 130)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터치 스크린 패널(120, 130)은 표시부(130) 상에 사용자의 신체 일부의 접촉을 감지하는 정전용량센서(Capacitive Sensor)를 구비한 조작부(120)를 마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30)를 통하여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작동 명령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해당 아이콘에 대응하는 부분을 터치하면 조작부(120)의 정전용량센서는 사용자가 터치한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위치를 기초로 사용자가 입력한 작동 명령을 식별한다.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패널(120, 130)을 통하여 음향 정보 입력 명령을 입력하면, 냉장고(100)는 표시부(130)에 도 4b에 도시된 음향 정보 입력 화면(131)을 표시한다. 음향 정보 입력 화면(131)은 오선지와 음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음향을 표시하는 음향 표시영역(131a), 사용자로부터 음계 및 박자를 입력받는 키패드 영역(131c), 사용자가 키패드 영역(131c)를 통하여 입력한 음계 및 박자를 표시하는 음향정보 표시영역(131b)을 포함한다.
냉장고(100)는 정전용량센서를 포함하는 조작부(120)로부터 사용자의 터치가 감지되면 터치가 감지된 위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위치가 음향 정보 입력 화면(131)의 키패드 영역(131c) 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산출된 위치가 키패드 영역(131c) 내이면 키패드 영역(131c)에 포함된 복수의 키 중 어느 키에 해당하는지 판단한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키패드 영역(131c)에 표시된 키 중 어느 하나의 키에 대응하는 영역을 터치함으로써 작동음의 음계 정보 및 박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키패드 영역(131c)에 포함된 숫자 9 키 및 숫자 3에 해당하는 영역을 연속으로 터치하면, 냉장고(100)는 터치 스크린 패널(120, 130)의 음향정보 표시영역(131b)에 숫자 9와 숫자 3을 표시하고, 음향 표시영역(131a)에 1/2 박자의 높은 "레"에 해당하는 음표를 표시한다.
이와 같이 냉장고(100)는 조작부(120)와 표시부(130)가 일체화된 터치 스크린 패널(120, 130)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음향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음향 정보에 해당하는 음향을 음표를 통하여 표시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입력한 음향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운드 모듈을 구비한 냉장고의 통신부를 통하여 음향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광대역 통신망에 마련된 외부 서버(S)로부터 음향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도시한 도 5a를 참조하면, 냉장고(100)는 통신부(170)를 통하여 홈 게이트웨이(G)에 접속할 수 있으며, 또한 홈 게이트웨이(G)를 통하여 인터넷(I)에 접속할 수 있다. 인터넷(I)에 접속되면 냉장고(100)는 인터넷(I) 상의 외부 서버(S)로부터 외부 서버(S)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냉장고(100)는 외부 서부(S)로부터 다운로드된 음향 데이터를 저장부(160)에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서버(S)에는 자연의 소리, 사람의 음성, 동물의 울음소리, 인공적인 음향 등 다양한 음향의 음향 데이터가 웨이브 파일(wav) 또는 압축 파일(mp3)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는 냉장고(100)의 통신부(170)를 통하여 외부 서버(S)에 접속한 후 사용자가 원하는 음향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 냉장고(100)의 저장부(16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 중 사용자가 원하는 음향 데이터를 선택하여 작동음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M)를 이용하여 음향을 입력받는 것을 도시한 도 5b를 참조하면, 냉장고(100)는 통신부(170)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M)에 직접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100)는 통신부(170)에 구비된 엔에프씨 통신모듈(미도시)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M)와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100)는 이동 단말기(M)에 마련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음향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M)에 터치 스크린 패널이 마련되고, 이동 단말기(M)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터치 스크린 패널에 건반이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M)의 터치 스크린 패널에 표시된 건반 중에 사용자가 원하는 음계에 해당하는 건반을 터치하면 이동 단말기(M)와 냉장고(100) 사이의 엔에프 통신을 통하여 해당 음계가 냉장고(100)에 전달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음향을 이동 단말기(M)에 마련된 터치 스크린 패널을 통하여 입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음향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하여 냉장고(100)에 전달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운드 모듈을 구비한 냉장고가 음향 입력부를 통하여 작동음을 입력받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냉장고(100)는 음향 입력부(180)를 통하여 음향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냉장고(100)의 터치 스크린 패널(120, 130)을 통하여 음향 녹음 명령을 입력하면 냉장고(100)는 음향 입력부(180)를 활성화시키고 음향 입력부(180)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향 신호를 저장부(160)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자신의 음성을 냉장고(100)에 저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자신의 음성을 작동음으로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작부(120), 통신부(170) 또는 음향 입력부(180)를 통하여 수신된 복수의 음향 가운데 특정 음향을 작동음 출력조건에 대응하는 작동음으로 지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조작부(120)를 통하여 저장부(160)에 저장된 복수의 음향 중 어느 하나를 특정 조건에 대응하는 작동음으로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장고(100)는 표시부(130)에 작동음이 발생되는 작동음 출력조건을 나타내는 작동음 목록과 저장된 음향을 나타내는 음향 목록을 포함하는 작동음 설정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작동음 설정 화면의 음향 목록에 표시된 음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작동음 설정 화면의 작동음 목록에 맵핑시키도록 한다.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운드 모듈을 구비한 냉장고의 작동음 설정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로부터 작동음 설정명령이 입력되면, 터치 스크린 패널(120, 130)는 작동음 설정화면(121)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작동음 설정화면(121)의 좌측에는 냉장고(100)가 작동음을 출력하는 때를 표시하는 작동음 목록 표시영역(121a)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동음 목록 표시영역(121a)은 사용자가 도어를 열거나 닫는 경우, 사용자가 냉장실 또는 냉동실의 목표온도를 변경하는 경우, 사용자가 냉장고에 마련된 디스펜서를 통하여 취수하는 경우, 냉장고(100)가 오작동하는 경우, 제빙장치가 작동하는 경우, 압축기가 작동하는 경우 등을 표시한다.
또한, 작동음 설정화면(121)의 우측에는 냉장고(100)의 저장부(160)에 저장된 음향을 표시하는 음향 표시영역(121b)이 마련된다. 즉, 냉장고(100)는 터치 스크린 패널(120, 130), 통신부(170), 음향 입력부(180)를 통하여 입력받아 저장부(160)에 저장된 다양한 음향을 음향 표시영역(121b)에 표시한다.
사용자는 음향 표시영역(121b)에 표시된 다양한 음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작동음 목록 표시영역(121a)에 표시된 작동음 목록에 맵핑함으로써 작동음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냉장고(100)의 도어(131, 132)가 장시간 개방된 경우에 대하여 "냉장고 도어가 열려 있습니다."라는 음성을 작동음으로 선택할 수 있으며, 저장실(121, 122)의 온도가 기준온도 이상이 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냉장고가 올바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가까운 서비스 센터에 문의하세요."라는 음성을 작동음으로 선택할 수 있고, 냉장실의 설정 온도가 변경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냉장 온도가 바뀌었습니다."라는 음성을 작동음으로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 표시영역(121b)에 표시된 복수의 음향 중 어느 하나의 음향을 선택하여 작동음 목록 표시영역(121a)에 표시된 작동음 출력조건 중 어느 하나의 조건으로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함으로써 작동음을 설정할 수 있다. 또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음 목록 표시영역(121a)에 표시된 작동음 목록 가운데 어느 하나를 먼저 선택하고, 이후 음향 표시영역(121b)에 표시된 음향 목록 가운데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작동음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냉장고(100)의 작동음 목록과 냉장고(100)에 저장된 음향을 맵핑함으로써 냉장고(100)의 작동음을 설정하면 냉장고(100)는 사용자가 원하는 상황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작동음이 출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실수로 냉장고(100)의 도어(131, 132)를 닫는 것을 잃어버린 경우, 냉장고(100)의 초기값인 "삐~~~~"하는 단순한 음향이 출력되는 대신 "냉장고의 도어가 열려 있습니다."라는 음성 메시지를 출력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운드 모듈을 구비한 세탁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세탁기(200)는 세탁기(2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210), 세탁대상을 수용하고 세탁이 수행되는 세탁실(211), 세탁실(211)을 외부와 차폐시키는 도어(213), 사용자로부터 작동 명령을 입력받는 복수의 버튼(220a) 및 다이얼(220b), 세탁기(100)의 작동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230)를 포함한다. 또한, 도 8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세탁 또는 헹굼에 이용되는 물을 수용하는 수조(미도시), 수조(미도시)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세탁실(211)을 형성하는 드럼(미도시), 드럼(미도시)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미도시)를 포함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운드 모듈을 구비한 세탁기의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세탁기(200)는 드럼(미도시)에 수용된 물의 수위치를 검출하는 수위감지부(215), 사용자로부터 작동 명령 또는 음향 정보를 입력받는 조작부(220), 사용자로부터 음성 명령 또는 음향을 입력받는 음향 입력부(280), 구동모터(219)를 구동하는 구동부(217), 드럼(미도시)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219),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작동 명령 및 그에 대응되는 세탁기(200)의 작동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230), 세탁기(200)의 작동음 등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240), 외부 서버(미도시)로부터 음향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270), 세탁기(200)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260), 세탁기(200)의 작동을 총괄하는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조작부(220), 음향 입력부(280), 표시부(230), 음향 출력부(240), 통신부(270), 저장부(260)는 도 1과 함께 설명한, 조작부(20), 음향 입력부(80), 표시부(30), 음향 출력부(40), 통신부(70), 저장부(60)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수위감지부(215)는 세탁 또는 헹굼 시에 세탁실(213)에 공급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고, 감지된 수위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구동부(217)는 후술할 제어부(250)의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모터(219)를 구동한다. 구체적으로, 구동부(217)는 제어부(250)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모터(219)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류를 생성하고, 생성된 구동 전류를 구동모터(219)에 제공한다.
구동모터(219)는 드럼(미도시)과 연결되어 드럼(미도시)을 회전시키며, 구동부(217)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전류에 의하여 작동한다.
제어부(250)는 세탁기(200)의 작동을 총괄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50)는 조작부(220)를 통하여 입력받은 세탁코스 및 그 세부설정값을 기초로 세탁실(213)에 물과 세제를 공급하고, 구동부(217)를 제어하여 구동모터(219)가 드럼(미도시)을 회전시키도록 한다. 즉, 제어부(250)는 조작부(220)를 통하여 입력받은 세탁코스 및 그 세부설정값을 기초로 세탁실(211)에 수용된 세탁대상을 세탁한다.
또한, 제어부(250)는 작동음 출력조건이 만족되면, 음향 출력부(240)를 제어하여 만족된 조건에 대응하는 작동음이 출력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50)는 세탁기(200)의 세탁행정이 종료되면 세탁행정 종료에 대응하는 작동음이 출력되도록 하고, 헹굼행정이 종료되면 행굼행정 종료에 대응하는 작동음이 출력되도록 하고, 세탁코스가 모두 종료되면 세탁코스 종료에 대응하는 작동음이 출력되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250)는 수위감지부(215)의 출력을 기초로, 상당한 시간 동안 드럼(미도시)의 수위가 만수위에 도달하지 않으면 급수장치의 고장에 대응하는 작동음이 출력되도록 하거나, 상당한 시간 동안 드럼(미도시)의 수위가 최저수위에 도달하지 않으면 배수장치의 고장에 대응하는 작동음을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세탁기(200)의 작동음은 사용자가 음향을 입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탁기(200)는 조작부(22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음향의 음계 및 박자 등의 음향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통신부(270)를 통하여 외부 통신망 상의 서버로부터 음향 데이터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 또한, 세탁기(200)는 음향 입력부(280)를 통하여 사용자의 음성 등의 음향을 직접 입력받을 수도 있다. 이후, 세탁기(200)는 조작부(220), 통신부(270) 또는 음향 입력부(280)를 통하여 입력받은 음향을 적절한 형태의 음향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부(260)에 저장한다.
또한, 사용자는 입력한 음향 중에서 작동음을 선택을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저장부(260)에 저장된 음향 중에서 일부의 음향을 선택하여 세탁기(200)의 작동음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세탁종료에 대하여 각각 "세탁이 완료되었습니다."라는 사람의 음성을 작동음으로 선택할 수 있으며, 급수 불량 및 배수 불량에 대하여 각각 "세탁수가 공급되지 않습니다." 및 "세탁수가 배출되지 않습니다"라는 사람의 음성을 작동음으로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세탁기(200)에 저장된 음향 가운데 작동음을 선택하면 세탁기(200)는 사용자가 원하는 상황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작동음이 출력한다. 예를 들어, 세탁이 완료된 경우, 세탁기(200)는 초기값인 "삐~~~~"하는 단순한 음향이 출력되는 대신 "세탁이 완료되었습니다."라는 음성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운드 모듈을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300)는 공조공간에 마련되는 실내기 본체(310), 실내기 본체(310)의 전면에 되어 냉각되거나 가열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311), 사용자로부터 작동 명령을 입력받는 조작부(320), 공기조화기(300)의 작동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330)를 포함하며, 도 10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공조공간 외부에 마련되는 실외기(미도시) 및 공조공간을 냉각시키거나 가열하는 열교환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열교환장치(미도시)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미도시), 실외기(미도시)에 마련되어 외부 공기와 냉매 사이의 열교환을 수행하는 실외 열교환기(미도시), 열교환된 냉매를 감압시키는 팽창밸브(미도시), 실내기 본체(310) 내부에 마련되어 공조공간의 공기와 냉매 사이의 열교환을 수행하는 실내 열교환기(미도시)를 포함한다.
공조공간을 냉각시키는 경우의 냉매의 순환을 대하여 설명하면, 우선, 냉매는 압축기(미도시)에 의하여 압축되어 실외 열교환기(미도시)로 압송된다. 압축된 냉매는 실외 열교환기(미도시)에서 응축되면서 외부로 열을 방출하고, 팽창밸브(미도시)에 의하여 감압된다. 감압된 냉매는 실내 열교환기(미도시)에서 증발하면서 공조공간으로부터 열을 흡수한다. 이와 같이 냉매가 실내 열교환기(미도시)에서 공조공간으로부터 열을 흡수함으로써 공조공간을 냉각시킨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의한 사운드 모듈을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300)는 공조공간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감지부(315), 사용자로부터 작동 명령 또는 음향 정보를 입력받는 조작부(320), 사용자로부터 음성 명령 또는 음향을 입력받는 음향 입력부(380), 압축기(319)를 구동하는 구동부(317), 상술한 바와 같이 냉매를 압축하고 냉매를 순환시키는 압축기(319),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작동 명령 및 그에 대응되는 냉장고(100)의 작동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330), 공기조화기(300)의 작동음 등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340), 외부 서버(미도시)로부터 음향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370), 공기조화기(300)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360), 공기조화기(300)의 작동을 총괄하는 제어부(350)를 포함한다.
조작부(220), 음향 입력부(280), 표시부(230), 음향 출력부(240), 통신부(270), 저장부(260)는 도 1과 함께 설명한, 조작부(20), 음향 입력부(80), 표시부(30), 음향 출력부(40), 통신부(70), 저장부(60)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온도 감지부(315)는 공조공간에 마련되어 공조공간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미도시)를 포함하여, 이와 같은 온도 센서(미도시)는 온도에 따라 전기적 저항값이 변화하는 써미스터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온도 감지부(315)는 공조공간의 온도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구동부(317)는 제어부(350)의 제어에 따라 압축기(319)를 구동한다. 즉, 구동부(317)를 제어부(350)의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 전류를 생성하여 압축기(319)을 제공한다.
제어부(350)는 공기조화기(300)의 작동을 총괄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50)는 온도 감지부(315)가 감지한 공조공간의 온도와 사용자가 입력한 설정 온도를 비교하고, 공기조화기(300)의 운전모드에 따라 압축기(319)를 제어한다. 즉, 공기조화기(300)의 운전모드가 냉방운전모드이고 공조공간의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높거나, 공기조화기(300)의 운전모드가 난방운전모드이고 공조공간의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낮으면 구동부(317)를 제어하여 압축기(319)를 가동한다.
또한, 제어부(350)는 작동음 출력조건이 만족되면 음향 출력부(340)를 제어하여 작동음 출력조건에 대응하는 작동음이 출력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350)는 공기조화기(300)의 전원이 턴온되거나 턴오프되면 전원 턴온/턴오프에 대응되는 작동음이 출력되도록 하고, 공기조화기(300)의 운전모드가 변경되면 변경된 운전모드에 대응되는 작동음이 출력되도록 한다.
상술한 공기조화기(300)의 작동음은 사용자가 다양한 음향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조작부(320)를 통하여 음향의 음계 및 박자를 입력하거나, 통신부(370)를 통하여 음향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도록 하거나, 음향 입력부(380)를 통하여 음향을 입력함으로써 공기조화기(300)에 음향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입력된 음향 가운데 일부 음향을 작동음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300)가 턴온되는 경우에 대하여 사용자는 "에어컨이 작동을 시작합니다."라는 음성을 작동음으로 선택할 수 있으며, 공기조화기(300)의 운전모드가 쾌적냉방으로 변경되는 경우에 대하여 사용자는 "에어컨이 쾌적한 바람을 불어 드려요."라는 음성을 작동음으로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작동음을 설정한 이후 공기조화기(3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작동음을 출력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운드 모듈을 구비한 조리기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조리기기(400)는 그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410), 조리대상을 수용하는 조리실(411), 조리실(411)를 외부와 차폐시키는 도어(413), 사용자로부터 작동명령을 입력받는 복수의 버튼(420a) 및 다이얼(420b), 조리기기(400)의 작동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430)를 포함한다. 또한, 도 1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조리기기(400)는 조리실(411)에 고주파를 방사하는 고주파부(미도시), 조리실(411)에 열풍을 공급하는 컨벡션부(미도시), 조리실(411)에 복사열을 방사하는 그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운드 모듈을 구비한 조리기기의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조리기기(400)는 조리대상을 가열하기 위하여 조리실(411)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415), 사용자로부터 작동 명령 또는 음향 정보를 입력받는 조작부(420), 사용자로부터 음성 명령 또는 음향을 입력받는 음향 입력부(480), 고주파부(419a)와 컨벡션부(419b)와 그릴부(419c)를 구동하는 구동부(417), 고주파를 방사하는 고주파부(419a), 열풍을 공급하는 컨벡션부(419b), 복사열을 방사하는 그릴부(419c),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작동 명령 및 그에 대응되는 세탁기(200)의 작동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430), 조리기기(400)의 작동음 등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440), 외부 서버(미도시)로부터 음향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470), 세탁기(200)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460), 조리기기(400)의 작동을 총괄하는 제어부(450)를 포함한다.
조작부(420), 음향 입력부(480), 표시부(430), 음향 출력부(440), 통신부(470), 저장부(460)는 도 1과 함께 설명한, 조작부(20), 음향 입력부(80), 표시부(30), 음향 출력부(40), 통신부(70), 저장부(60)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온도 감지부(315)는 조리실(411)에 마련되어 조리실(411)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온도 센서(미도시)는 온도에 따라 전기적 저항값이 변화하는 써미스터를 채용할 수 있다.
구동부(417)는 후술할 제어부(450)의 제어 신호에 따라 고주파부(419a), 그릴부(419b) 및 컨벡션부(419c)를 구동한다.
고주파부(419a)는 고주파를 생성하는 마그네트론(미도시) 및 마그네트론(미도시)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압 트랜스(미도시)를 포함하며, 조리실(411)에 고주파를 방사한다.
그릴부(419b)는 복사열을 방사하는 그릴 히터(미도시)를 포함하며, 조리실(411)에 마련된 조리대상에 복사열을 방사한다.
컨벡션부(419c)는 공기를 가열하는 컨벡션 히터(미도시) 및 컨벡션 히터(미도시)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를 조리실(411)에 공급하는 순환팬(미도시)를 포함하며, 조리실(411)에 열풍을 공급한다.
제어부(450)는 조리기기(400)의 작동을 총괄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50)는 조작부(420)를 통하여 조리시간 또는 조리대상의 중량을 입력받고, 구동부(417)를 제어하여 고주파부(419a), 그릴부(419b) 또는 컨벡션부(419c)를 가동한다. 즉, 제어부(450)는 조작부(420)를 통하여 입력받는 조리시간 또는 조리대상을 기초로 조리실(411)에 수용된 조리대상을 가열한다.
또한, 제어부(450)는 작동음 출력조건이 만족되면, 음향 출력부(440)를 제어하여 만족된 조건에 대응하는 작동음이 출력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450)는 음향 출력부(440)를 제어하여 조리기기(400)의 조리가 개시되면 조리의 개시에 대응되는 작동음이 출력되도록 하고, 조리기기(400)의 조리가 완료되면 조리의 완료에 대응되는 작동음이 출력되도록 한다.
사용자는 음향을 입력하고 입력한 음향 중에서 작동음을 선택함으로써 조리기기(400)의 작동음을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조작부(420)를 통하여 음향의 음계 및 박자를 입력하거나, 통신부(470)를 통하여 음향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도록 하거나, 음향 입력부(480)를 통하여 직접 음향을 입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입력한 음향 중에서 일부의 음향을 작동음 목록에 맵핑함으로써 선택된 음향을 조리기기(400)의 작동음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10: 사운드 모듈 20: 입력부
30: 표시부 40: 음향 출력부
50: 제어부 60: 저장부
70: 통신부 80: 음향 입력부
100: 냉장고 200: 세탁기
300: 공기조화기 400: 조리기기

Claims (14)

  1. 사전에 정해진 작동음 출력조건이 만족되면 작동음을 출력하는 가전기기에 있어서,
    복수의 후보 음향들을 저장하는 저장부;
    복수의 작동음들을 각각 출력하기 위한 복수의 작동음 출력조건들과 상기 복수의 후보 음향들을 표시하는 표시부;
    사용부로부터 상기 복수의 후보 음향들 가운데 어느 하나의 작동음 출력조건에 대한 작동음으로 설정할 음향을 선택받는 조작부;
    상기 작동음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
    상기 어느 하나의 작동음 출력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음향 출력부를 제어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음향을 작동음으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작동음 출력조건들에 대응하는 작동음 목록과 상기 복수의 후보 음향들에 대응하는 음향 목록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가전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음향 목록과 상기 작동음 목록을 맵핑시킴으로써 상기 작동음으로 설정할 음향을 선택받는 것인 가전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음향을 입력받는 음향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가전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향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음향을 음향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음향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인 가전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외부 서버로부터 음향의 음향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가전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향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인 가전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음 출력조건은 상기 가전기기의 턴온, 상기 가전기기의 턴오프, 상기 가전기기의 작동 개시, 상기 가전기기의 작동 완료, 상기 가전기기의 작동 모드 변경, 상기 가전기기의 설정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가전기기.
  9. 사전에 정해진 작동음 출력조건이 만족되면 작동음을 출력하는 가전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후보 음향들을 저장하고;
    복수의 작동음들을 각각 출력하기 위한 복수의 작동음 출력조건들과 상기 복수의 후보 음향들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의 후보 음향들 가운데 어느 하나의 작동음 출력조건에 대응하는 작동음으로 설정할 음향을 선택받고;
    상기 어느 하나의 작동음 출력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선택된 작동음을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가전기기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음으로 설정할 음향을 선택받는 것은 상기 복수의 작동음 출력조건에 대응하는 작동음 목록과 상기 복수의 후보 음향들에 대응하는 음향 목록을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가전기기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음으로 설정할 음향을 선택받는 것은 상기 음향 목록과 상기 작동음 목록을 맵핑시킴으로써 상기 작동음으로 설정할 음향을 선택받는 것을 더 포함하는 가전기기의 제어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후보 음향들을 저장하는 것은 음향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후보 음향들을 녹음하는 것을 포함하는 가전기기의 제어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후보 음향들을 저장하는 것은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후보 음향들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가전기기의 제어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음 출력조건은 상기 가전기기의 턴온, 상기 가전기기의 턴오프, 상기 가전기기의 작동 개시, 상기 가전기기의 작동 완료, 상기 가전기기의 작동 모드 변경, 상기 가전기기의 설정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가전기기의 제어방법.
KR1020130043411A 2013-04-19 2013-04-19 가전기기 및 그 제어방법 Active KR101974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3411A KR101974368B1 (ko) 2013-04-19 2013-04-19 가전기기 및 그 제어방법
US14/187,953 US9267729B2 (en) 2013-04-19 2014-02-24 Home applian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3411A KR101974368B1 (ko) 2013-04-19 2013-04-19 가전기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5533A KR20140125533A (ko) 2014-10-29
KR101974368B1 true KR101974368B1 (ko) 2019-05-02

Family

ID=51728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3411A Active KR101974368B1 (ko) 2013-04-19 2013-04-19 가전기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267729B2 (ko)
KR (1) KR1019743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63530B2 (en) * 2013-12-03 2017-02-07 Kabushiki Kaisha Toshiba Device state estimation apparatus, device power consumption estimation apparatus, and program
JP6999293B2 (ja) * 2017-06-13 2022-01-18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KR102388426B1 (ko) * 2017-06-23 2022-04-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차량의 제어 방법 및 차량용 오디오 장치
US20190017735A1 (en) * 2017-07-11 2019-01-17 Bsh Hausgeraete Gmbh Household cooling appliance comprising a speech control for a dispenser unit, which is configured for dispensing liquid and/or ice, as well as method for operating a household cooling appliance
KR102541585B1 (ko) * 2018-08-07 2023-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과 음성 인식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홈어플라이언스 및 이의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6443B1 (ko) * 2003-11-24 2006-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6181A (ja) * 2000-11-16 2002-05-31 Yozan Inc 冷蔵庫
KR20020048811A (ko) 2000-12-18 2002-06-24 구자홍 냉장고의 문닫힘감지장치
US7675504B1 (en) * 2001-10-10 2010-03-09 Smith Peter H Personal interfaces for independent living and health
JP3987025B2 (ja) * 2002-12-12 2007-10-03 シャープ株式会社 マルチメディア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マルチメディア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
KR100626444B1 (ko) * 2003-11-24 2006-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60131111A (ko) * 2005-06-15 2006-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실내기 및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음향제어방법
US20070001058A1 (en) * 2005-06-30 2007-01-04 Severson Frederick E Model railroad control and sound system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6443B1 (ko) * 2003-11-24 2006-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5533A (ko) 2014-10-29
US9267729B2 (en) 2016-02-23
US20140313047A1 (en) 2014-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4368B1 (ko) 가전기기 및 그 제어방법
JP6317847B2 (ja) 電気機器
US10281201B2 (en)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normal operation of refrigerator
KR102009947B1 (ko) 가전기기
US9406297B2 (en) Appliances for providing user-specific response to voice commands
CN107865578B (zh) 烹饪器具的控制面板、控制方法及烹饪器具
KR20090127580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전제품
US7112767B2 (en) Controlling apparatus of an electric oven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US11092937B2 (en) Electric product
JP2016025449A (ja) 家電機器設定システム、家電機器および端末
JP6697111B2 (ja) 冷蔵庫設定システム、冷蔵庫および端末
KR20130136890A (ko) 조리기 및 그 입력 제어방법
JP6851245B2 (ja) 冷蔵庫及び冷蔵庫システム
KR20100013555A (ko) 냉장고
JP2019045069A (ja) 電子装置
US9997926B2 (en) Home applian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5869159B2 (ja) 電気機器
CN104541117A (zh) 家用制冷器具和用于运行家用制冷器具的加热装置的方法
JP2020125899A (ja) 冷蔵庫表示システム、冷蔵庫および端末
CN113795714A (zh) 家用设备装置
JP6055936B2 (ja) 電気機器
US20240334560A1 (en) Countertop appliance with integrated wireless power system
JP6681798B2 (ja) 冷却貯蔵庫
KR20210087685A (ko) 냉장고의 제어방법
JP7536597B2 (ja) 機器システム及び機器システムの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1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2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4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8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4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4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