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71184B1 - 여닫이 방진망이 구비된 방충창 - Google Patents

여닫이 방진망이 구비된 방충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1184B1
KR101971184B1 KR1020180077535A KR20180077535A KR101971184B1 KR 101971184 B1 KR101971184 B1 KR 101971184B1 KR 1020180077535 A KR1020180077535 A KR 1020180077535A KR 20180077535 A KR20180077535 A KR 20180077535A KR 101971184 B1 KR101971184 B1 KR 101971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creen
vibration
insect
do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7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영
Original Assignee
김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영 filed Critical 김도영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1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118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03Locking bars, cross bars, security ba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6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in which the securing part if formed or carried by a spring and moves only by distortion of the spring, e.g. sn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10Hook fastenings; Fastenings in which a link engages a fixed hook-like member
    • E05C19/12Hook fastenings; Fastenings in which a link engages a fixed hook-like member pivotally mounted around an axis
    • E05C19/14Hook fastenings; Fastenings in which a link engages a fixed hook-like member pivotally mounted around an axis with toggle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6Screens; Insect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여닫이 방진망이 구비된 방충창은 방충망 및 방충망을 지지하며 창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방충망프레임을 갖는 메인도어 및 방진망 및 방진망을 지지하며 방충망프레임에 여닫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방진망프레임을 갖는 보조도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여닫이 방진망이 구비된 방충창{Insect Control Window with Hinged Dustproof Screen}
본 발명은 방충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진망이 설치되며 여닫이 방식의 방진문이 설치된 방충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오피스텔, 주택 등의 건축물에는 실내의 환기 및 조광을 위하여 창문이 설치되어 있다. 창문에는 곤충이나 벌레, 입자가 큰 먼지의 유입을 차단하는 용도로 방충망이 설치된다. 최근에는 미세먼지가 증가되었고 미세먼지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창틀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미닫이 방식의 방진망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방충망과 방진망 각각의 프레임이 중첩되지 않도록 설치되어야 하므로 창틀의 두께가 매우 두꺼워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방충망과 방진망이 미닫이 방식으로 설치되므로 방충망과 방진망의 개폐가 다소 불편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창틀의 두께를 얇게 유지하면서 방진망의 개폐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여닫이 방진망이 구비된 방충창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여닫이 방진망이 구비된 방충창은, 방충망 및 상기 방충망을 지지하며 창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방충망프레임을 갖는 메인도어; 및 방진망 및 상기 방충망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방진망을 지지하며 상기 방충망프레임에 여닫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방진망프레임을 갖는 보조도어를 포함한다. 방충망프레임만이 창틀에 슬라이딩 되므로 방충창의 두께가 기존보다 감소되며 여닫이 방식의 보조도어 개폐가 편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방충망프레임 및 상기 방진망프레임 중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턱, 타측에 상기 걸림턱에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부로 이루어지는 락킹부를 더 포함하면 메인도어에 방진도어가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창틀은 복수의 멈춤홈이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갖고 형성된 돌출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방충망프레임은 상기 돌출리브를 적어도 일부 수용하는 슬라이딩홈 및 일부 구간에서 상기 슬라이딩홈의 가로방향에 대하여 개방된 멈춤슬롯을 가지며, 상기 방진망프레임이 상기 방충망프레임에 대하여 이격되면 상기 멈춤슬롯에 삽입되며 회전되어 상기 복수의 멈춤홈 중 어느 하나에 걸리는 멈춤바, 상기 멈춤바가 상기 멈춤홈을 향해 회동되도록 탄성을 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멈춤바를 상기 방충망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전연결부를 포함하는 안전스토퍼를 더 포함하면 방진망의 보조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방충망의 메인도어가 닫히는 것을 방지하여 보조도어의 고장 및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보조도어는 상기 메인도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탈장착되면 보조도어를 메인도어로부터 탈착하여 유지관리하기 편하여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조도어는 상호 지그재그형으로 절첩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도어부재로 이루어지면 보조도어가 절첩시킬 수 있으므로 방충망의 개방정도를 조절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방충망프레임만이 창틀에 슬라이딩 되게 설치되므로 방충창의 두께가 미닫이 방식의 기존보다 감소되어 창틀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방충망이 설치된 메인도어에 방진망이 설치된 보조도어가 여닫이 방식으로 설치되어 보조도어의 개폐편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안전스토퍼를 구비하여 방진망의 보조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방충망의 메인도어가 닫히는 것을 방지하여 보조도어의 고장 및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보조도어를 메인도어에 탈장착할 수 있어 유지관리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충창의 사시도.
도 2는 안전스토퍼의 확대도.
도 3은 안전스토퍼의 동작도.
도 4는 락킹부의 동작도.
도 5는 여닫이연결부의 정면도.
도 6과 7은 여닫이연결부의 동작도.
도 8은 보조도어의 변형 예시도.
도 9는 방충창의 변형 예시도.
도 10은 도 9의 방충창의 단면도.
도 11은 보조도어의 여닫이 동작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충창(1)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충창(1)의 사시도이며, 도 2는 안전스토퍼(40)의 확대도이고, 도 3은 안전스토퍼(40)의 동작도이며, 도 4는 락킹부(30)의 동작도이고, 도 5는 여닫이연결부(50)의 정면도이며, 도 6과 7은 여닫이연결부(50)의 동작도이다. 방충창(1)은 메인도어(10), 보조도어(20), 락킹부(30), 안전스토퍼(40), 여닫이스토퍼(50)를 포함한다. 방충창(1)은 멈춤홈(22-2)이 형성된 돌출리브(2-1)를 갖는 창틀(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나, 멈춤홈(22-2)이 형성된 돌출리브(2-1)를 갖는 창틀(2)을 포함할 수도 있다.
메인도어(10)는 방충망(11)과 방충망프레임(12)을 포함한다. 방충망(11)은 중앙영역에 배치되어 방충망프레임(12)에 의해 지지된다. 방충망프레임(12)은 창틀(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방충망프레임(12)은 슬라이딩홈(121), 멈춤슬롯(122), 안착부(123), 방충망고정홈(124) 및 방충망고정바(125)를 갖는다. 슬라이딩홈(121)은 창틀(2)에 형성된 돌출리브(2-1)가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도록 형성되며 방충망프레임(12)이 창틀(2)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한다. 멈춤슬롯(122)은 슬라이딩홈(121)이 형성된 부분의 방충망프레임(12)의 상측 일부분이 슬라이딩홈(121)의 가로방향에 대하여 개방되어 형성된다. 멈춤슬롯(122)에는 슬라이딩홈(121)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핀이 삽입되도록 핀공(1221)이 형성된다.
안착부(123)는 보조도어(20)가 안착되는 부분으로 방충망프레임(12)의 내측부분이 함몰되어 형성된다. 안착부(123)는 보조도어(20)가 회전되는 것을 저지해주는 역할을 하기도 하며 안착부(123)가 없을 경우 보조도어(20)가 닫히는 경우 락킹부(40)의 락킹돌출부(32)가 락킹함몰부(31)에 부딛치면서 파손될 수 있는 것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방충망고정홈(124)은 방충망(11)이 설치되는 방충망프레임(12)의 내측 면에 방충망프레임(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다. 방충망고정바(125)는 방충망(11)의 말단부분과 함께 방충망고정홈(124)에 끼워져서 방충망(11)을 방충망프레임(12)에 고정 설치한다.
보조도어(20)는 방진망(21)과 방진망프레임(22)을 갖는다. 방진망(21)은 중앙영역에 배치되어 방진망프레임(22)에 의해 지지되며, 방충망(11)에 비해 작은 미세공이 형성되어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다. 방진망프레임(22)은 방충망프레임(12)에 여닫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방진망프레임(22)은 멈춤바단속부(221), 방진망고정홈(222), 방진망고정바(223) 및 개방손잡이(224)를 갖는다. 멈춤바단속부(221)는 방진망프레임(22) 상부의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멈춤바단속부(221)는 멈춤슬롯(122)에 설치되는 멈춤바(41)가 회전되도록 한다.
방진망고정홈(222)은 방진망(21)이 설치되는 방진망프레임(22)의 내측 면에 방진망프레임(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다. 방진망고정바(223)는 방진망(21)의 말단부분과 함께 방진망고정홈(222)에 끼워져서 방진망(21)을 방진망프레임(22)에 고정 설치한다. 개방손잡이(224)는 방진망(21)이 설치되는 방진망프레임(22)의 내측 면으로부터 함몰되어 사용자가 손을 넣어 잡아당길 수 있도록 형성된다.
락킹부(30)는 방충망프레임(12)에 형성된 락킹함몰부(31)와 방진망프레임(22)에 형성된 락킹돌출부(32)를 갖는다. 락킹함몰부(31)는 방충망프레임(12)의 외측의 표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되며, 내측 면에는 내측을 향해 돌출된 걸림부(311)이 형성된다. 락킹돌출부(32)는 방진망프레임(22)의 일부 외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말단의 외측면에는 걸림부(311)와 걸려 락킹되는 걸림홈(321)이 형성된다. 락킹함몰부(31)와 락킹돌출부(32) 및 걸림부(311)와 걸림홈(321)은 상호 바뀌어 형성되어도 된다. 락킹부(30)는 상호 결합 및 고정되는 수단이면 되며, 자석으로 마련될 수 있고, 일반적인 여닫이 문의 락킹시스템과 같이 여러 가지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여기서, 창틀(2)은 복수의 멈춤홈(2-2)이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갖고 형성된 돌출리브(2-1)가 형성되고, 방충망프레임(12)은 돌출리브(2-1)를 적어도 일부 수용하는 슬라이딩홈(121) 및 일부 구간에서 슬라이딩홈(121)의 가로방향에 대하여 개방된 멈춤슬롯(122)을 가진다.
안전스토퍼(40)는 멈춤바(41), 탄성부재(42) 및 회전연결부(43)을 갖는다. 멈춤바(41)는 방진망프레임(22)이 방충망프레임(12)에 대하여 이격되면 멈춤슬롯(122)에 삽입되며 회전되어 복수의 멈춤홈(2-2) 중 어느 하나에 걸리도록 마련된다. 멈춤바(41)는 삽입되어 멈춤홈(2-2)의 바닥면 맞게 접촉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멈춤바(41)는 회전연결부(43)가 삽입되는 핀공(411)이 형성된다. 탄성부재(42)는 멈춤바(41)가 멈춤홈(2-2)을 향해 회동되도록 탄성을 가한다. 탄성부재(42)는 토션스프링으로 마련되어 방충망프레임(12)과 멈춤바(41)에 지지되어 설치된다. 회전연결부(43)는 멈춤바(41)를 방충망프레임(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회전연결부(43)는 회전핀으로 마련되어 멈춤바(41)를 회전시키도록 방충망프레임(12)에 결합된다. 회전연결부(43)는멈춤바(41)에 대하여는 고정결합되며, 방충망프레임(12)에 대하여는 회전되도록 삽입 결합된다.
여닫이연결부(50)는 보조도어(20)가 상기 메인도어(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하며, 보조도어(20)가 상기 메인도어(10)에 대하여 탈장착되도록 형성된다. 여닫이연결부(50)는 회전걸림부(51)와 걸림수용홈(52)을 갖는다. 회전걸림부(51)는 방진망프레임(22)에 지지되어 형성되며, 회전지지부(511)와 걸림지지부(512)를 갖는다.
회전지지부(511)는 방진망프레임(22)으로부터 수평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회전지지부(511)는 회전지지수용홈(522)에 의해 방진망프레임(22)이 회전되면서 하방으로 쳐지는 것을 지지한다. 걸림지지부(512)는 회전지지부의 말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걸림지지수용홈(523)에 수용되어 방진망프레임(22)의 걸림지지가 되며 회전된다. 걸림수용홈(52)은 방충망프레임(12)에 형성되며, 입출홈(521), 회전지지수용홈(522) 및 걸림지지수용홈(523)을 갖는다. 입출홈(521)는 걸림지지부(512)가 하방으로 걸림지지수용홈(523)에 삽입될 수 있도록 방충망프레임(12)의 표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된다. 회전지지수용홈(522)은 회전지지부(511)가 회전되면 수용될 수 있도록 수평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걸림지지수용홈(523)은 회전지지수용홈(522)의 말단부분으로부터 하방으로 형성되어 걸림지지부(512)가 삽입된다.
도 3은 안전스토퍼(40)의 동작도이다.
도 3(a) 방진망프레임(22)이 방충망프레임(12)에 대하여 열려 있는 상태이다. 멈춤바(41)가 회전되어 멈춤바(41)의 경사면이 멈춤홈(2-2)에 삽입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방충망프레임(12)이 창틀(2)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되지 않고 고정된다.
도 3(b) 방진망프레임(22)이 회전하여 방충망프레임(12)에 락킹된다. 방진망프레임(22)의 멈춤바단속부(221)가 멈춤바(41)의 하부를 눌러서 경사면이 있는 상부를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멈춤바(41)는 멈춤홈(2-2)으로부터 삽입된 상태에서 빠져나온 해제상태가 된다. 이렇게 멈춤바(41)가 멈춤홈(2-2)에 삽입되지 않게 되면 방충망프레임(12)는 창틀(2-1)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된다.
도 4는 락킹부(30)의 동작도이다.
도 4(a) 방진망프레임(22)이 방충망프레임(12)에 대하여 열려 있는 상태이다. 방진망프레임(22)이 회전되어 방충망프레임(12)에 접근한다.
도 4(b) 방진망프레임(22)의 일면이 방충망프레임(12)의 안착부(123)에 안착되면서 락킹돌출부(32)의 걸림홈(321)에 락킹함몰부(31)의 걸림부(311)가 끼임결합된다.
도 6과 7은 여닫이연결부(50)의 동작도이다.
도 6(a) 및 도 7(a) 방진망프레임(22)의 판면이 방충망프레임(12)의 판면에 대하여 수직인 상태에서 방진망프레임(22)에 지지되어 있는 회전걸림부(51)의 회전지지부(511)와 걸림지지부(512)가 방충망프레임(12)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부수용홈(52)의 입출홈(521)을 향하여 수평 이동되고 있다. 입출홈(521)의 상하길이는 걸림지지부(512)의 상하길이보다 적어도 크게 형성된다. 걸림지지부(512)가 입출홈(521)에 닿게 되면 방진망프레임(22)을 하방으로 이동시켜 걸림지지부(512)가 걸림지지수용홈(523)에 수용되도록 한다.
도 6(b) 및 도 7(b) 걸림지지부(512)가 걸림지지수용홈(523)에 수용된 상태에서 방진망프레임(22)을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지지부(511)가 회전지지수용홈(522)에 수용되면서 방진망프레임(22)은 락킹부(30)의 의해 방충망프레임(12)에 락킹된다.
도 8은 보조도어(800)의 변형 예시도이다.
보조도어(800)는 상호 지그재그형으로 절첩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도어부재(810 내지 840)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도어부재(810 내지 840)는 방진망(21)이 설치되어 있다. 보조도어(800)는 락킹부(30), 안전스포퍼(40) 및 여닫이연결부(50)를 갖는다.
도 8(a) 각각의 도어부재(810 내지 840)가 펼쳐져 있는 상태이다. 각각의 도어부재(810 내지 840)는 상호 경첩과 같은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도 8(b) 각각의 도어부재(810 내지 840)가 상호 절첩되어 있는 상태이다. 각각의 도어부재(810 내지 840)가 정돈되기 쉽도록 각각 도어부재(810 내지 840)의 절첩되는 면에는 락킹고정부가 형성되어 절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방충창(1)의 변형 예시도이다.
변형 예시의 방충창(1)은 메인도어(910)의 외측틀인 방충망프레임(912)의 중간에 설치되어 영역을 좌우로 구획하는 보조프레임(913)을 갖는다. 좌측 구획의 내측에는 고정방진망(923)이 설치된다. 우측 구획에는 보조도어 (920)가 설치된다. 보조도어 (920)는 메인도어(9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방충망프레임(912) 상측에는 보조도어(920)가 열려있는 경우 방충망프레임(912)의 슬라이딩 이동을 저지하는 안전스토퍼(40)가 설치되어 있다.
도 10은 도 9의 방충창(1)의 단면도이다.
상측에 도시된 방충망프레임(912)는 방충망설치홈(912-1), 방충망고정바(912-2), 방진망설치홈(912-3) 및 방진망고정바(912-4)를 갖는다. 방충망설치홈(912-1)과 방충망고정바(912-2)에 의해 방충망(911)이 방충망프레임(912)에 고정 설치된다. 방진망설치홈(912-3) 및 방진망고정바(912-4)에 의해 고정방진망(923)이 고정 설치된다.
중간측에 도시된 보조프레임(913)은 방진망설치홈(913-1), 방진망고정바(913-2), 보조안착부(913-3) 및 락킹자석부(913-4)를 갖는다. 방진망설치홈(913-1)과 방진망고정바(913-2)에 의해 고정방진망(923)이 보조프레임(913)에 고정 설치된다. 보조안착부(913-3)는 보조프레임(913)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보조도어(92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보조안착부(913-3)의 내측에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진 락킹자석부(913-4)가 수용된다.
중간 보조프레임(913)의 하측에 도시된 방진망프레임(922)은 방진망설치홈(922-1), 방진망고정바(922-2) 및 락킹자석부(922-3)를 갖는다. 방진망설치홈(922-1)과 방진망고정바(922-2) 에 의해 방진망(921)이 방진망프레임(922)에 고정 설치된다. 락킹자석부(922-3)는 보조안착부(913-3)와 접촉하는 방진망프레임(922)의 내측에 수용된다. 보조안착부(913-3)의 락킹자석부(913-4)와 방진망프레임(922)의 락킹자석부(922-3)는 접근하면 상호 인력에 의해 락킹된다.
도 11은 보조도어(920)의 여닫이 동작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보조안착부(913-3)의 락킹자석부(913-4)와 방진망프레임(922)의 락킹자석부(922-3)에 의해 락킹된 상태에서 보조도어(920)를 메인도어(910)로부터 여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방진망프레임(922)는 회전에 의해 보조안착부(913-3)를 밀면서 방진망프레임(922)과 보조안착부(913-3)를 이격시키는 락킹해제부(930)를 갖는다. 락킹해제부(930)는 방진망프레임(922)에 관통형성된 회전슬롯(931), 사용자가 잡아사 당길 수 있도록 형성된 해제손잡이(932), 회전핀지지부(933), 회전슬롯(931-1)를 관통하며 회전하는 회전바(934) 및 회전핀지지부(933)에 수용되면 회전바(934)를 회전 지지하는 회전핀(935)를 갖는다.
도 11(a) 락킹자석부(913-4)와 방진망프레임(922)의 락킹자석부(922-3)에 의해 락킹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해제손잡이(932)를 잡고 당긴다.
도 11(b) 이에 의해 회전바(934)는 회전하여 말단이 보조안착부(913-3)를 밀게되면서 보조안착부(913-3)와 방진망프레임(922)은 이격되게 된다. 이에 따라 보조안착부(913-3)와 방진망프레임(922)은 상호 물리적인 저항 없이 자연스럽게 락킹해제가 된다.
상기의 실시 예 이외에 변형 예를 설명한다.
방진망프레임은 방충망프레임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여닫이 방식이 된다. 방진망프레임은 방충망프레임에 결합되지 않고 창틀에 여닫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방진망프레임을 열어서 방충망만 설치되게 할 수도 있고, 방진망을 닫아서 방충망과 방진망을 동시에 설치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방충망을 열고 방진망을 닫으면 방진망만 설치되게 할 수도 있다.
안전스토퍼는 멈춤바가 회전되어 멈춤홈에 삽입 및 해제되고 있지만 멈춤바가 멈춤홈을 향해 직선적으로 이동되도록 마련할 수도 있다. 방진망프레임이 닫혀있을 경우 멈춤바가 멈춤홈으로부터 직선이동되어 삽입해제된 상태가 되고 방진망프레임이 열리면 멈춤바가 멈춤홈에 삽입되게 마련할 수도 있다.
상기의 방충창(1)으로 인하여, 방충망프레임(12)만이 창틀(2)에 슬라이딩 되게 설치되므로 방충창(1)의 두께가 미닫이 방식의 기존보다 감소되어 창틀(2)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방충망(11)이 설치된 메인도어(10)에 방진망(21)이 설치된 보조도어(20)가 여닫이 방식으로 설치되어 보조도어(20)의 개폐편리성이 향상된다. 안전스토퍼(40)를 구비하여 방진망(21)의 보조도어(20)가 열린 상태에서 방충망(11)의 메인도어(10)가 닫히는 것을 방지하여 보조도어(20)의 고장 및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보조도어(20)를 메인도어(10)에 탈장착할 수 있어 유지관리가 편리하다.
1 : 방충창 2 : 창틀
2-1 : 돌출리브 2-2 : 멈춤홈
10 : 메인도어 11 : 방충망
12 : 방충망프레임 20 : 보조도어
21 : 방진망 22 : 방진망프레임
30 : 락킹부 31 : 락킹함몰부
32 : 락킹돌출부 40 : 안전스토퍼
41 : 멈춤바 42 : 탄성부재
43 : 회전연결부 50 : 여닫이연결부
51 : 회전걸림부 52 : 걸림부수용홈
121 : 슬라이딩홈 122 : 멈춤슬롯
123 : 안착부 124 : 방충망고정홈
125 : 방충망고정바 221 : 멈춤바단속부
222 : 방진망고정홈 223 : 방진망고정바
224 : 개방손잡이 311 : 걸림부
312 : 걸림홈 411, 1221 : 핀공
511 : 회전지지부 512 : 걸림지지부
521 : 입출홈 522 : 회전지지수용홈
523 : 걸림지지수용홈

Claims (5)

  1. 여닫이 방진망이 구비된 방충창에 있어서,
    방충망 및 상기 방충망을 지지하며 창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방충망프레임을 갖는 메인도어; 및
    방진망 및 상기 방진망을 지지하며 상기 방충망프레임에 여닫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방진망프레임을 갖는 보조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창틀은 복수의 멈춤홈이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갖고 형성된 돌출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방충망프레임은 상기 돌출리브를 적어도 일부 수용하는 슬라이딩홈 및 일부 구간에서 상기 슬라이딩홈의 가로방향에 대하여 개방된 멈춤슬롯을 가지며,
    상기 방진망프레임이 상기 방충망프레임에 대하여 이격되면 상기 멈춤슬롯에 삽입되며 회전되어 상기 복수의 멈춤홈 중 어느 하나에 걸리는 멈춤바, 상기 멈춤바가 상기 멈춤홈을 향해 회동되도록 탄성을 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멈춤바를 상기 방충망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전연결부를 포함하는 안전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충망프레임 및 상기 방진망프레임 중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턱, 타측에 상기 걸림턱에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부로 이루어지는 락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방충창.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도어는 상기 메인도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탈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창.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도어는 상호 지그재그형으로 절첩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도어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창.
KR1020180077535A 2018-06-07 2018-07-04 여닫이 방진망이 구비된 방충창 Active KR1019711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370 2018-06-07
KR20180065370 2018-06-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1184B1 true KR101971184B1 (ko) 2019-04-22

Family

ID=66283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7535A Active KR101971184B1 (ko) 2018-06-07 2018-07-04 여닫이 방진망이 구비된 방충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11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0937A (ko) * 2022-08-09 2024-02-16 주식회사 투바이포 방충망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방충망 일체형 창호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9333Y1 (ko) * 1989-02-24 1991-12-07 김대순 창문틀체에 취부되는 방충, 방범 겸용 보조창문
KR20050111559A (ko) * 2005-11-09 2005-11-25 정장훈 아코디언식 방충망
KR101194820B1 (ko) * 2012-07-02 2012-10-25 정공선 한옥 벽체 구조물
KR101219091B1 (ko) * 2012-02-10 2013-01-11 (주)점보산업 친환경 기능성 창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9333Y1 (ko) * 1989-02-24 1991-12-07 김대순 창문틀체에 취부되는 방충, 방범 겸용 보조창문
KR20050111559A (ko) * 2005-11-09 2005-11-25 정장훈 아코디언식 방충망
KR101219091B1 (ko) * 2012-02-10 2013-01-11 (주)점보산업 친환경 기능성 창호
KR101194820B1 (ko) * 2012-07-02 2012-10-25 정공선 한옥 벽체 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0937A (ko) * 2022-08-09 2024-02-16 주식회사 투바이포 방충망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방충망 일체형 창호 시스템
KR102714534B1 (ko) * 2022-08-09 2024-10-11 주식회사 투바이포 방충망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방충망 일체형 창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1663B1 (en) Pet enclosure
KR20180114379A (ko) 교체 가능한 미세먼지 필터망이 구비된 방충망 조립체
KR20180114378A (ko) 미세먼지 필터망의 교체가 용이한 방충망 조립체
US20210148583A1 (en) Air conditioner systems and methods
KR101643646B1 (ko) 창문용 방범 방충창
KR101971184B1 (ko) 여닫이 방진망이 구비된 방충창
JP6783158B2 (ja) ブラインド
KR200487213Y1 (ko) 문 급속 닫힘 방지 기능을 갖는 완충기구
JP6841432B2 (ja) 複合型引き違いサッシ
KR101778077B1 (ko) 출입문용 방범 도어
KR100467213B1 (ko) 로울러식 방충망용 잠금장치
KR200430500Y1 (ko) 슬라이딩 도어를 구비한 칸막이
KR200486677Y1 (ko) 풀다운창이 결합된 미서기창
KR102169815B1 (ko) 블라인드 일체형 폴딩 도어
KR101916378B1 (ko) 문틀과 방범방충망의 결속구조
KR200405565Y1 (ko) 미닫이 창문용 개폐 제어장치
JP3107270U (ja) 網戸付き扉装置
KR20200139860A (ko) 환기창의 잠금장치
KR20190002813A (ko) 창짝 연동형 미세먼지 차단장치
KR102745338B1 (ko)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창문의 위치 고정구조
KR102200479B1 (ko) 기설치된 도어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 안전부재
KR102432393B1 (ko) 방진 및 방충 기능이 선택적으로 가변되는 창호시스템
KR102774664B1 (ko) 다기능 창호 조립체
KR200495175Y1 (ko) 미닫이 창문용 열림방지장치
KR102181664B1 (ko) 잠금 기능이 구비된 경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0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808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3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11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3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10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4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4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1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9032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3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10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