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8217B1 - Automated Guided Vehicle capable of sequential obstacle avoidance - Google Patents
Automated Guided Vehicle capable of sequential obstacle avoidan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68217B1 KR101968217B1 KR1020170181966A KR20170181966A KR101968217B1 KR 101968217 B1 KR101968217 B1 KR 101968217B1 KR 1020170181966 A KR1020170181966 A KR 1020170181966A KR 20170181966 A KR20170181966 A KR 20170181966A KR 101968217 B1 KR101968217 B1 KR 1019682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de
- unmanned vehicle
- mark
- vehicle
- recogniz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50 mark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3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 G05D1/0234—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using optical markers or beac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 G05D2201/0216—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QR 코드와 십자마크에 의해 주행정보인식 및 자세제어가 가능한 무인운반차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무인운반차가 작업현장에서 대차를 견인하며 주행하는 주행 경로 상의 바닥에 QR 코드와 십자마크로 구성된 코드마크를 소정 간격으로 부착하고, 무인운반차에 구비된 코드마크인식부에서 코드마크를 인식하여 주행 중인 무인운반차의 현재 위치, 주행 속도, 주행 경로를 포함한 주행정보를 획득하고, 코드마크와 무인운반차의 센터포지션과의 거리, 십자마크의 기울어진 정도를 판독하여 무인운반차의 센터포지션을 코드마크의 중심부에 위치시키도록 무인운반차를 구동하여 무인운반차의 자세를 제어할 수 있는 QR 코드와 십자마크에 의해 주행정보인식 및 자세제어가 가능한 무인운반차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무인운반차의 진행경로 상에 부착되는 다수의 코드마크; 진행 경로 상의 바닥에 부착된 코드마크를 인식하여 진행 방향에서 현재 위치, 진행 경로, 및 자세를 인식하기 구비되는 코드마크인식부; 바디프레임의 양 측면 전후에 독립된 구동모터와 각각 연결되어 독립 구동이 가능한 메카넘휠; 및 코드마크인식부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연산을 수행하고 메카넘휠을 포함한 구동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하는 QR 코드와 십자마크에 의해 주행정보인식 및 자세제어가 가능한 무인운반차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manned vehicle capable of recognizing travel information and controlling attitude by a QR code and a cross mark. More specifically, the automatic guided vehicle is equipped with a QR code and a code mark composed of a cross mark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floor on a traveling route where the automatic guided vehicle tows the car at a work site, And obtains driv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current position, traveling speed and traveling route of the traveling unmanned vehicle, recognizes the distance between the code mark and the center position of the unmanned vehicle, and reads the inclination of the cross mark, The QR code capable of controlling the attitude of the unmanned vehicle by driving the unmanned vehicle to position the center position of the code mark on the center of the code mark, and the unmanned vehicle capable of recognizing the traveling information and controlling the attitude by the cross mark.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controlling a plurality of code marks attached on a path of an automatic guided vehicle; A code mark recognizing unit recognizing a code mark attached to a floor on a progress path and recognizing a current position, a progress path, and a posture in a progress direction; A mechanical hookwheel, which can be independently driven by independent driving motors before and after both sides of the body frame; And a drive control unit for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de mark recognition unit and performing a calculation and sending out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 driving device including a mechanical hookwheel, Provide possible unmanned transport vehicle.
Description
본 발명은 QR 코드와 십자마크에 의해 주행정보인식 및 자세제어가 가능한 무인운반차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무인운반차가 작업현장에서 대차를 견인하며 주행하는 주행 경로 상의 바닥에 QR 코드와 십자마크로 구성된 코드마크를 소정 간격으로 부착하고, 무인운반차에 구비된 코드마크인식부에서 코드마크를 인식하여 주행 중인 무인운반차의 현재 위치, 주행 속도, 주행 경로를 포함한 주행정보를 획득하고, 코드마크와 무인운반차의 센터포지션과의 거리, 십자마크의 기울어진 정도를 판독하여 무인운반차의 센터포지션을 코드마크의 중심부에 위치시키도록 무인운반차를 구동하여 무인운반차의 자세를 제어할 수 있는 QR 코드와 십자마크에 의해 주행정보인식 및 자세제어가 가능한 무인운반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manned vehicle capable of recognizing travel information and controlling attitude by a QR code and a cross mark. More specifically, the automatic guided vehicle is equipped with a QR code and a code mark composed of a cross mark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floor on a traveling route where the automatic guided vehicle tows the car at a work site, And obtains driv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current position, traveling speed and traveling route of the traveling unmanned vehicle, recognizes the distance between the code mark and the center position of the unmanned vehicle, and reads the inclination of the cross mark, The QR code capable of controlling the attitude of the unmanned vehicle by driving the unmanned vehicle to position the center position of the code mark on the center of the code mark, and the unmanned vehicle capable of recognizing the traveling information and controlling the attitude by the cross mark.
최근 산업 자동화 및 무인화 경향에 따라 다양한 AGV(Automatic Guided Vehicle) 즉, 무인운반차가 산업 현장에 적용되고 있다.Recently, a variety of AGV (Automatic Guided Vehicle), that is, an unmanned conveyance vehicle, has been applied to industrial fields according to industrial automation and unmanned tendency.
그 중 유도라인을 따라 일정 경로를 반복적으로 주행하는 유도라인 추적 AGV는 생산 공정에서 정해진 위치로 대차에 적재된 부품을 운반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어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Among them, a guided line tracking AGV that repeatedly travels along a guide line along a guide line can be used for transporting parts loaded on a carriage to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roduction process, and the demand thereof is increasing.
한편, 종래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유도라인 추적 AGV는 주로 마그네틱 센서를 통한 1차원 스캔 방식을 사용한다. 이러한 마그네틱 센서 기반의 유도라인 추적 방식에서는 1차원의 좁은 탐색 및 감지 영역을 사용함에 따라 유도라인의 분기나 합류 지점과 같은 복합구조의 유도라인을 분석하는데 어려움이 많으며, 마그네틱 유도라인의 훼손에도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guided line tracking AGV used in the conventional field mainly uses a one-dimensional scanning method through a magnetic sensor. In such a guided line tracking method based on a magnetic sensor, it is difficult to analyze a guided line having a complex structure such as a branching or joining point of a guiding line due to the use of a one-dimensional narrow searching and sensing area, and it is also vulnerable to damage to a magnetic guiding line There is a drawback.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마그네틱 유도라인을 작업장 바닥에 매립하여 훼손을 최소로 줄이는 한편, 유도라인의 분기 및 병합 지점에 별도의 표식(마그네틱 마커, RFID 태그 등)을 작업장 바닥에 매립 설치하고, AGV에는 매립된 표식을 인식하기 위한 별도의 센서를 장착하여 활용함으로써 복합구조 유도라인 분석의 애로사항을 극복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disadvantage, a magnetic induction line is embedded in the bottom of the work site to minimize damage, while a separate marker (magnetic marker, RFID tag, etc.) A method of overcoming the difficulties of the analysis of the complex structure guidance line is used by using a separate sensor for recognizing the embedded markers.
그러나 이러한 별도 표식의 매립을 통한 극복 방식은 근래의 다품종 소량생산 방식의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생산 유연성의 확보에 매우 큰 부담이 되고 있다. 즉, 생산품목에 따라 생산라인의 변경과 재설계가 수시로 이루어져야 하는데, 마그네틱 유도라인 및 별도 표식의 매립 방법은 이러한 변경에 있어 경제적, 시간적으로 매우 부담스러운 방식이며, 작업장 현장의 바닥이 철재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자기장간섭으로 인해 마그네틱 센서 기반 유도방식의 활용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는 한계도 있다.However, the overcome of the landfill by such a separate landmark has become a great burden for securing the production flexibility required in the industrial field of the recent multi-product small scale production method. In other words, the production line must be changed and redesigned from time to time depending on the production item. The magnetic induction line and the landfill method for separate markings are very costly and time-consuming to make such changes. It is impossible to use the magnetic sensor based induction method because of the magnetic field interference.
또한, 무인운반차의 주행 경로 바닥에 페인트나 컬러테이프를 도색 또는 부착하고 이를 카메라가 인식하는 방식이 있으나, 이 방식 또한 작업장 오염 및 페인터나 컬러 테이프의 훼손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 method in which paint or color tape is painted or attached to the bottom of a traveling path of an unmanned vehicle, and the camera recognizes the painted or colored tape. However, this method is also vulnerable to workplace contamination and damage to painters and color tapes.
한편, 무인운반차의 진행 경로 상에 위치한 장애물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종래 방식으로는 정확한 장애물 회피를 통해 신속한 대차의 이동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avoid obstacles located on the route of the unmanned vehicle, it is difficult to move the bogie quickly due to the obstacle avoidance in the conventional system.
따라서, 간단한 진행 경로 제어를 통해 주행경로의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고,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장애물을 회피하여 무인운반차의 주행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수단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new means for easily maintaining and repairing a traveling route through a simple traveling route control, and for avoiding obstacles more quickly and accurately, thereby improving the traveling efficiency of an unmanned vehicle.
선행기술문헌 : KR등록특허공보 제10-1349507호(2014.01.02. 공고)Prior Art Document: KR Patent Registration No. 10-1349507 (published on Apr. 1, 201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무인운반차가 작업현장에서 대차를 견인하며 주행하는 주행 경로 상의 바닥에 QR 코드와 십자마크로 구성된 코드마크를 소정 간격으로 부착하고, 무인운반차에 구비된 코드마크인식부에서 코드마크를 인식하여 주행 중인 무인운반차의 현재 위치, 주행 속도, 주행 경로를 포함한 주행정보를 획득하고, 코드마크와 무인운반차의 센터포지션과의 거리, 십자마크의 기울어진 정도를 판독하여 무인운반차의 센터포지션을 코드마크의 중심부에 위치시키도록 무인운반차를 구동하여 무인운반차의 자세를 제어할 수 있는 QR 코드와 십자마크에 의해 주행정보인식 및 자세제어가 가능한 무인운반차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tomatic guided vehicle in which a QR code and a code mark composed of a cross mark are attach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a floor on a traveling route, Recognizes the code mark in the code mark recognizing unit included in the automatic guided vehicle to acquire the travel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current position, traveling speed, and traveling route of the unmanned carrying vehicle in the traveling state, and calculates the distance between the code mark and the center position of the unmanned carrying vehicle, And the center position of the unmanned vehicle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code mark. The QR code and the crucible mark, which can control the attitude of the unmanned vehicl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unmanned vehicle capable of contro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QR 코드와 십자마크에 의해 주행정보인식 및 자세제어가 가능한 무인운반차는 무인운반차의 진행경로 상에 부착되는 다수의 코드마크; 진행 경로 상의 바닥에 부착된 코드마크를 인식하여 진행 방향에서 현재 위치, 진행 경로, 및 자세를 인식하기 구비되는 코드마크인식부; 바디프레임의 양 측면 전후에 독립된 구동모터와 각각 연결되어 독립 구동이 가능한 메카넘휠; 및 코드마크인식부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연산을 수행하고 메카넘휠을 포함한 구동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le navigation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code marks attached to a traveling path of an unmanned vehicle; A code mark recognizing unit recognizing a code mark attached to a floor on a progress path and recognizing a current position, a progress path, and a posture in a progress direction; A mechanical hookwheel, which can be independently driven by independent driving motors before and after both sides of the body frame; And a drive control unit for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de mark recognition unit and performing an operation and sending out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 driving device including a mechanical hookwheel.
또한, 코드마크는 중앙부에 무인운반차의 운행정보, 위치정보를 판단하기 위한 QR 코드가 위치하고, QR 코드의 외측 사방에는 무인운반차의 자세제어를 위한 십자마크가 위치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code mark may further include a QR code for determining the driving information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unmanned vehicle at the center, and a cross mark for controlling the attitude of the unmanned vehicle at the outer sides of the QR code .
또한, 코드마크인식부에서 코드마크와 무인운반차의 센터포지션에 관한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구동제어부로 전송하면, 구동제어부에서는 무인운반차의 센터포지션을 기준으로 코드마크와 센터포지션과의 떨어진 거리 및 십자마크의 기울기를 판독하여 코드마크의 QR 코드부분이 무인운반차의 센터포지션에 위치할 수 있도록 무인운반차의 자세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code mark recognizing unit obtains the posi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de mark and the center position of the unmanned vehicle, and transmits the position information to the drive control unit, the driv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distance between the code mark and the center position And reading the slope of the cross mark to control the attitude of the unmanned vehicle so that the QR code portion of the code mark can be located at the center position of the unmanned vehicle.
본 발명에 의하면 신속하고 정확하게 장애물을 회피할 수 있고, 단순한 경로제어가 가능하여 대차를 견인하는 무인운반차의 주행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무인운반차의 진행 경로와 무인운반차의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bstacles can be avoided quickly and accurately, and simple route control can be performed. This makes it possible to improve the traveling efficiency of an unmanned vehicle that trains a bogie, and can improve the traveling path of an unmanned bogie, There is an easy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와 십자마크에 의해 주행정보인식 및 자세제어가 가능한 무인운반차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무인운반차의 내부구성도,
도 3은 무인운반차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1의 측면도,
도 5는 코드마크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코드마크를 이용한 무인운반차의 자세제어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센서 신호 흐름을 도시한 블록도.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QR cod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unmanned conveyance vehicle capable of recognizing travel information and controlling attitude by a cross mark,
2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utomatic guided vehicl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unmanned vehicle,
Fig. 4 is a side view of Fig. 1,
5 is a view showing a code mark,
6 is a view showing a posture control state of an automatic guided vehicle using a code mark,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sensor signal flow;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In addition,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but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와 십자마크에 의해 주행정보인식 및 자세제어가 가능한 무인운반차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무인운반차의 내부구성도, 도 3은 무인운반차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1의 측면도, 도 5는 코드마크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코드마크를 이용한 무인운반차의 자세제어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센서 신호 흐름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tomatic guided vehicle capable of recognizing travel information and attitude control according to a QR code and a cross mar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view of the automatic guided vehicle, Fig. 4 is a side view of Fig. 1, Fig. 5 is a view showing a code mark, Fig. 6 is a view showing an attitude control state of an automatic guided vehicle using a code mark, It is a block diagram.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와 십자마크에 의해 주행정보인식 및 자세제어가 가능한 무인운반차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QR 코드(4)와 십자마크(4)를 포함하는 코드마크(2), 바디프레임(10), 장애물감지부(20), 충돌감지부(30), 코드마크인식부(40), 견인대차신호송신부(50), 견인대차신호수신부(60), 구동제어부(70), 메카넘휠(80), 구동상태발광부(90), 터치판넬(100), 퀵스위치(110), 구동배터리(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1 to FIG. 7, an unmanned vehicle capable of recognizing travel information and controlling attitude by a QR code and a cross mar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먼저, QR 코드와 십자마크에 의해 주행정보인식 및 자세제어가 가능한 무인운반차는 무인운반차가 작업현장에서 대차를 견인하며 주행하는 주행 경로 상의 바닥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QR 코드(4)와 십자마크(6)로 구성된 코드마크(2)를 소정 간격으로 부착한다. First, an unmanned conveyance vehicle capable of recognizing travel information and attitude control by means of a QR code and a cross mark is mounted on a floor on a traveling route where an unmanned conveyance vehicle trains a bogie at a work site, and a QR code (4) And a cross mark (6) are attach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이후, 도 7을 참조하면, 무인운반차에 구비된 코드마크인식부(40)에서 주행 경로의 바닥 상에 부착된 코드마크(2) 중 QR 코드(4)를 인식하여 주행 중인 무인운반차의 현재 위치, 주행 속도, 주행 경로를 포함한 주행정보를 획득하고, 구동제어부(70)로 획득된 주행정보를 전송하면, 구동제어부(70)에서는 무인운반차의 진행방향, 주행속도 등을 결정하여 무인운반차를 구동시킨다.7, the code mark recognizing unit 40 provided in the automatic guided vehicle recognizes the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코드마크인식부(40)에서 코드마크(2)와 무인운반체의 센터포지션(8)을 인식하여 코드마크(2)와 무인운반차의 센터포지션(8)과의 거리, 십자마크(6)의 기울어진 정도를 판독하여 구동제어부로 전송하면, 구동제어부에서는 무인운반차의 센터포지션(8)을 코드마크(2)의 중심부에 위치시키도록 무인운반차를 구동하여 무인운반차의 자세를 제어할 수 있다.6, the code mark recognizing unit 40 recognizes the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무인운반차의 주행경로 상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회피하기 위해 무인운반차의 바디프레임(10)에 대각 방향 또는 전후좌우 각 측면에는 장애물감지부(20)가 구비되어 무인운반차의 진행 경로 사방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감지하고 이를 회피하여 주행한다. 2, in order to avoid the obstacles located on the traveling path of the unmanned vehicle, the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장애물감지부(20)에 의해 감지되지 않은 장애물과 무인운반차가 충돌할 경우 충돌감지부(30)에서 장애물과의 충돌을 감지한 후 충돌된 장애물을 회피하여 정상 주행을 할 수 있다.3, when an unmanned vehicle collides with an obstacle not detected by the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바디프레임(10)의 양 측면 전후에는 회전반경의 제한이 없는 메카넘휠(80)이 구비되어 전후주행, 좌우 수평주행, 및 회전반경이 없는 회전주행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3, a mechanical hook-an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4)와 십자마크(6)에 의해 주행정보인식 및 자세제어가 가능한 무인운반차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constituent elements constituting the unmanned vehicle capable of recognizing the traveling information and controlling the attitude according to the
바디프레임(10)은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내부에 위치하는 구성요소의 탈부착 및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아래에 서술된 구성요소가 장착되는 위치별로 모듈화되어 구성된다.Referring to FIGS. 1 and 3, the
바디프레임(10)에 구비되는 메카넘휠(80)은 전후 직진 구동 및 좌우 수평 구동이 가능한 바퀴로써, 그 특성상 별도의 조향장치를 요하지 않고, 휠의 회전 구동 반경에 대해 거의 제한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디프레임(10)은 구동바퀴가 차지하는 비중을 줄이고, 다양한 전장 부품이 모듈화되어 탈부착 가능하게 탑재될 수 있으므로 무인운반차의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The mechanical hook-and-
커버패널(12)은 도 1을 참조하면, 내부가 모듈화된 바디프레임(10)의 상측에서 다수 개가 직렬적으로 연결되어 위치하며, 바디프레임(10)의 내측에 위치한 구성요소를 보호한다.Referring to FIG. 1, a plurality of
장애물감지부(20)는 도 2를 참조하면, 적외선센서, 레이저센서를 포함하여 소정거리에 떨어져 있는 장애물을 인식하기 위한 센서로써, 무인운반차의 진행경로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해 바디프레임(10)의 대각 방향 모서리 부분에 복수 개가 한 쌍을 이루며 구비되거나 다수의 장애물감지부(20)가 바디프레임의 외측 사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도 2와 같이, 장애물감지부(20)가 바디프레임의 모서리에 설치되는 경우, 바디프레임(10)의 모서리부분에 구비된 한 쌍의 장애물감지부(20) 중 하나의 장애물감지부는 대각 방향에서 좌우로 약 270도 이상의 넓은 시야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바디프레임(10)의 대각방향으로 구비된 복수의 장애물감지부(20)는 무인운반차의 진행방향에 대해 사방 360도 전 범위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감지하게 된다.As shown in FIG. 2, when the
충돌감지부(30)는 도 2와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바디프레임(10)의 사면 외곽에 바디프레임(10)의 둘레를 따라 구비된다. 충돌감지부(30)는 장애물감지부(20)의 감지범위를 벗어난 장애물과 무인운반차가 충돌할 경우 그 충돌신호를 아래에 서술된 구동제어부(70)로 전송하면 구동제어부(70)에서는 충돌된 장애물을 회피하기 위한 신호를 메카넘휠(80)로 전송하여 충돌된 장애물을 회피하여 무인운반차가 원래의 진행경로를 따라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Referring to FIGS. 2, 3 and 7, the
여기서, 충돌감지부(3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와 그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충돌감지부(30)는 도 3을 참조하면, 범퍼(32), 리니어 부시(34), 리니어 샤프트(36), 및 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3, the
만약, 무인운반차의 진행경로 상에 위치한 장애물이 바디프레임(10)의 외곽을 둘러싸고 있는 어느 하나의 범퍼(32)에 충돌하면, 범퍼가 범퍼와 연결된 리니어 부시(34) 내측에 위치한 리니어 샤프트(36)를 밀게 된다. If the obstacle located on the path of the automatic guided vehicle collides with any one
이때 리니어 샤프트(36)가 후방으로 밀리면서 리미트 스위치를 작동시키게 되고, 리미트 스위치는 구동제어부(70)로 충돌 신호를 전달하며, 구동제어부(70)는 충돌된 장애물을 회피하기 위한 회피 구동 신호를 메카넘휠(80)로 전송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견인대차신호송신부(50)는 도 7을 참조하면, RFID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견인대상이 되는 대차에 물건이 탑재되어 있는지, 물건이 탑재되지 않은 공대차인지를 구별할 수 있도록 해당 신호를 외부로 송신하기 위해 견인대차의 하측에 설치되어 하방으로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7, the traction trajectory signal transmitting unit 50 may include an RFID sensor or the like. The traction trajectory signal transmitting unit 50 may transmit a corresponding signal to the traction trajectory signal transmitter 50 so as to distinguish whether the traction vehicle is an object,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lower side of the traction bogie.
견인대차신호수신부(60)는 무인운반차에서 상측을 바라보도록 설치되어 견인대차의 하측에 설치된 견인대차신호송신부(5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견인대상이 되는 대차를 식별하기 위한 신호를 구동제어부(70)로 전송하면, 구동제어부(70)에서는 견인대상이 되는 대차인지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The traction trajectory signal receiving unit 60 is installed so as to look upward from the manned vehicle and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ction trajectory signal transmitting unit 50 provided at the lower side of the traction trajectory to drive a signal for identifying the traction object When it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70, the drive control unit 7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a towing vehicle.
구동제어부(70)는 도 7을 참조하면, 장애물감지부(20), 충돌감지부(30), 코드마크인식부(40), 견인대차신호수신부(60)를 포함하여 무인운반차에 구비된 센서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MCU 등의 중앙처리장치에서 연산을 수행하고, 대차견인, 구동신호 전송을 포함하여 전체 구동 장치를 제어한다.7, the driving control unit 70 includes the
메카넘휠(80)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바디프레임(10)의 양 측면 전후에 독립된 구동모터와 각각 연결되어 구비되며, 구동제어부(70)의 구동신호에 의해 수직 또는 회전중심에서 선회 반경이 없이 좌우 방향으로 수평주행을 수행하기 위해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을 달리할 수 있도록 각각 독립 구동이 가능하다.3 and 4, the mechanical hook-and-
한편, 무인운반차가 운행하는 대부분의 작업라인에는 다양한 소음의 발생으로 인해 무인운반차의 운행 상태를 소리로 확인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On the other hand, most of the operation lines operated by the unmanned vehicle have a considerable difficulty in confirming the operation status of the unmanned vehicle due to the generation of various noises.
본원발명에서는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무인운반차의 운행상태에 따라 해당 구동 상태를 나타낼 수 있는 색을 발광할 수 있는 구동상태발광부(90)가 구비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difficulties,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driving-state
구동상태발광부(90)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다양한 색을 가진 LED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무인운반차의 주행상태, 회전, 정지, 운행상태, 충전상태를 포함하여 무인운반차의 구동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바디프레임(10)의 외측에 구비된다. 3 and 4, LEDs of various colors may be used as the driving state
터치판넬(100)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구동제어부(70) 설정을 통해 무인운반차의 구동을 사용자가 직접 조작할 수 있도록 무인운반차의 전면부 상측에 터치패드 형태로 구비된다.1 and 2, the
퀵스위치(110)는 도 1을 참조하면, 무인운반차의 온오프를 포함하여 구동에 있어 기본적 기능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단축된 스위치 형태로 구비된다.Referring to FIG. 1, the
구동배터리(120)는 도 3을 참조하면, 전기를 요하는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며, 다른 구성요소와의 위치 및 무인운반차의 무게 중심을 고려하여 바디프레임(10)의 중앙부에 위치한다.Referring to FIG. 3, the driving
한편, 본원발명에서의 무인운반차는 포인트 투 포인트(Point to point) 이동방식으로 주행경로를 결정한다.Meanwhile, the unmanned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a traveling route by a point-to-point moving method.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무인운반차가 주행하는 주행 경로의 바닥 상에 다수의 코드마크(2)가 소정 간격을 두고 부착되며, 무인운반차의 코드마크인식부(40)가 코드마크(2)를 인식하여 무인운반차의 현재의 위치, 주행속도, 진행 방향, 및 자세를 판단하고 진행 경로를 결정한다. 5, a plurality of
코드마크(2)를 인식하는 본원발명의 방식은 종래의 무인운반차가 진행 경로 상에 위치하는 RFID 태그 또는 진행 경로의 바닥에 부착된 마그네틱 테이프, 색테이프를 무인운반차에 부착된 RFID 리더기 또는 카메라가 인식하며 진행 경로, 및 현재의 위치를 인식하며 주행하는 방식에 비해 공장 환경에 적합한 형태의 코드로 유연성 있게 변경하기가 용이하고, 코드마크(2)의 훼손 시 즉각적으로 훼손된 코드마크(2)를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며, 무인운반차의 주행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생시킨다.I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cognizing the
본원발명에서 무인운반차가 주행하는 주행 경로 상의 바닥에 부착되는 코드마크(2)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부에 무인운반차의 주행속도, 운행방향을 포함한 운행정보, 무인운반차의 현재 위치를 포함한 위치정보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QR 코드(4)가 위치하고, QR 코드(4)의 외측 사방에는 무인운반차의 자세제어를 위한 십자마크(6)가 위치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the
코드마크인식부(40)는 도 7을 참조하면, 스캔 카메라를 포함한 비젼센서로서, 무인운반차가 주행하는 진행 경로 상의 바닥에 부착된 코드마크(2)와 무인운반차의 센터포지션(8)에 관한 위치정보를 함께 획득하여 인식된 정보를 구동제어부(70)로 전송한다.Referring to FIG. 7, the code mark recognition unit 40 is a vision sensor including a scan camera. The code mark recognition unit 40 detects a
구동제어부(70)에서는 진행 방향에서 무인운반차의 현재 위치, 주행속도, 진행 경로, 및 무인운반차의 현재 자세를 인식하고 진행방향, 및 진행 속도, 및 자세제어를 위한 제어명령을 구동장치로 전송하게 된다.The drive control unit 70 recognizes the current position, travel speed, travel path, and current position of the unmanned vehicle in the traveling direction, and transmits a control command for the traveling direction, the traveling speed, and the attitude control to the driving device .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코드마크인식부(40)에서 코드마크(2)와 무인운반차의 센터포지션(8)에 관한 상대적 위치정보를 함께 획득하여 구동제어부(70)로 전송한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6, the code mark recognizer 40 acquires relative position information on the
이때 구동제어부(70)에서는 무인운반차의 센터포지션(8)을 기준으로 가로축 및 세로축에 대해 코드마크(2)와 센터포지션(8)과의 떨어진 거리 및 십자마크(6)가 센터포지션(8)의 세로축 및 가로축에 대해 회전한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십자마크(6)의 기울기를 판독하여 코드마크(2)의 QR 코드(4)부분이 무인운반차의 센터포지션(8)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동장치로 구동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무인운반차의 자세를 제어한다.At this time, in the drive control unit 70, the distance between th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substitu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intended to illustrate and not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2 - 코드마크 4 - QR 코드
6 - 십자마크 8 - 센터포지션
10 - 바디프레임 20 - 장애물감지부
30 - 충돌감지부 40 - 코드마크인식부
50 - 견인대차신호송신부 60 - 견인대차신호수신부
70 - 구동제어부 80 - 메카넘휠
90 - 구동상태발광부 100 - 터치판넬
110 - 퀵스위치 120 - 구동배터리2 - Code mark 4 - QR code
6 - Cross mark 8 - Center position
10 - Body frame 20 -
30 - Collision Detection Unit 40 - Code Mark Recognition Unit
50 - traction trailer signal transmitter 60 - traction trailer signal receiver
70 - drive control unit 80 - mechanical drive wheel
90 - driving state light emitting part 100 - touch panel
110 - Quick switch 120 - Drive battery
Claims (3)
진행 경로 상의 바닥에 부착된 코드마크를 인식하여 진행 방향에서 현재 위치, 진행 경로, 및 자세를 인식하기 구비되는 코드마크인식부;
바디프레임의 양 측면 전후에 독립된 구동모터와 각각 연결되어 독립 구동이 가능한 메카넘휠;
코드마크인식부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연산을 수행하고 메카넘휠을 포함한 구동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구동제어부
를 포함하고,
코드마크는 중앙부에 무인운반차의 운행정보, 위치정보를 판단하기 위한 QR 코드가 위치하고, QR 코드의 외측 사방에는 무인운반차의 자세제어를 위한 십자마크가 위치하는 것
을 포함하며,
코드마크인식부에서 코드마크와 무인운반차의 센터포지션에 관한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구동제어부로 전송하면, 구동제어부에서는 무인운반차의 센터포지션을 기준으로 코드마크와 센터포지션과의 떨어진 거리 및 십자마크의 기울기를 판독하여 코드마크의 QR 코드부분이 무인운반차의 센터포지션에 위치할 수 있도록 무인운반차의 자세를 제어하는 것
을 포함하고,
무인운반차의 진행경로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해 바디프레임의 대각 방향 모서리 부분에 복수 개가 한 쌍을 이루며 구비되거나 바디프레임의 외측 사면에 각각 구비되는 장애물감지부;
바디프레임의 사면 외곽에 바디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며, 장애물감지부의 감지범위를 벗어난 장애물과 무인운반차가 충돌할 경우 그 충돌신호를 구동제어부로 전송하면 구동제어부에서는 충돌된 장애물을 회피하기 위한 신호를 메카넘휠로 전송하여 충돌된 장애물을 회피하여 무인운반차가 원래의 진행경로를 따라 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 충돌감지부;
견인대상이 되는 대차에 물건이 탑재되어 있는지, 물건이 탑재되지 않은 공대차인지를 구별할 수 있도록 해당 신호를 외부로 송신하기 위해 견인대차의 하측에 설치되어 하방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견인대차신호송신부;
무인운반차에서 상측을 바라보도록 설치되어 견인대차의 하측에 설치된 견인대차신호송신부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견인대상이 되는 대차를 식별하기 위한 신호를 구동제어부로 전송하면, 구동제어부에서는 견인대상이 되는 대차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견인대차신호수신부;
무인운반차의 주행상태, 회전, 정지, 운행상태, 충전상태를 포함하여 무인운반차의 구동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바디프레임(10)의 외측에 구비되는 구동상태발광부;
구동제어부 설정을 통해 무인운반차의 구동을 사용자가 직접 조작할 수 있도록 무인운반차의 전면부 상측에 터치패드 형태로 구비되는 터치판넬; 및
무인운반차의 온오프를 포함하여 구동에 있어 기본적 기능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단축된 스위치 형태로 구비되는 퀵스위치
를 포함하는, QR 코드와 십자마크에 의해 운행정보인식 및 자세제어가 가능한 무인운반차. A plurality of code marks affixed on the path of travel of the unmanned vehicle;
A code mark recognizing unit recognizing a code mark attached to a floor on a progress path and recognizing a current position, a progress path, and a posture in a progress direction;
A mechanical hookwheel, which can be independently driven by independent driving motors before and after both sides of the body frame;
A drive control unit for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de mark recognizing unit and performing an arithmetic operation and sending out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 driving device including a mechanical hook-
Lt; / RTI >
In the code mark, the QR code for judg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unmanned vehicle is located in the center, and the cross mark for the attitude control of the unmanned vehicle is placed on the outer side of the QR code
/ RTI >
When the code mark recognizing unit acquires positional information on the code mark and the center position of the unmanned vehicle, and transmits the position information to the drive control unit, the driv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distance between the code mark and the center position, To control the posture of the unmanned vehicle so that the QR code portion of the code mark is located at the center position of the unmanned vehicle by reading the slope of the mark
/ RTI >
A plurality of pairs of a pair of diagonally facing corner portions of the body frame for detecting obstacles located on the path of the automatic guided vehicle;
When the collis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drive control unit when an obstacle beyond the detection range of the obstacle detection unit collides with the unmanned vehicle, the driv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e control unit to avoid the collided obstacle A collision sensing unit for transmitting a signal to a mechanical wheelwheel to avoid a collided obstacle so that an unmanned vehicle can be driven along an original course;
A towing vehicle signal transmission unit installed at a lower side of the towing vehicle and transmitting a signal downward to transmit the signal to the outside so as to distinguish whether the towing vehicle is loaded with goods or not,
When a signal for identifying a trailer to be towed is received by the traction trajectory signal transmission unit installed on the underside of the towing vehicle, the traction trajectory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driving control unit, A traction braking signal receiving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bogie is a bogie;
A driving state light emitting unit provided outside the body frame 10 for visually confirming the driving state of the unmanned vehicle including the traveling state, rotation, stop, running state, and charging state of the unmanned vehicle;
A touch panel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ront portion of the automatic guided vehicle so as to allow the user to directly drive the automatic guided vehicle through the drive control unit setting; And
A quick switch provided in a shortened switch form so as to quickly perform a basic function in driving including on /
, Which is capable of recognizing the driving information and controlling the attitude by the QR code and the cross mark.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81966A KR101968217B1 (en) | 2017-12-28 | 2017-12-28 | Automated Guided Vehicle capable of sequential obstacle avoidan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81966A KR101968217B1 (en) | 2017-12-28 | 2017-12-28 | Automated Guided Vehicle capable of sequential obstacle avoidan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68217B1 true KR101968217B1 (en) | 2019-04-11 |
Family
ID=66167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81966A Active KR101968217B1 (en) | 2017-12-28 | 2017-12-28 | Automated Guided Vehicle capable of sequential obstacle avoidan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68217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153987A (en) * | 2019-06-26 | 2019-08-23 | 东北大学秦皇岛分校 | An intelligent identification and handling robot and its control method |
KR102061755B1 (en) * | 2019-06-26 | 2020-01-02 | 신세계건설(주) | System for classifying and keeping goods |
CN111142540A (en) * | 2020-01-13 | 2020-05-12 | 宝钜(中国)儿童用品有限公司 | Unmanned guided vehicle collision avoidance device and collision avoidance method |
KR20200143006A (en) * | 2019-06-14 | 2020-12-23 | 주식회사 마로로봇 테크 | Bottom cord for code recognition logistic robot and its attaching method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19045B1 (en) * | 2013-05-24 | 2013-10-17 |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Mobile robot for autonomous freight transportation |
KR101323705B1 (en) * | 2013-06-05 | 2013-11-11 |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Autonomous freight transportation system using mobile robot for autonomous freight transportation |
KR101392992B1 (en) * | 2014-01-07 | 2014-05-08 | 주식회사 지아체시스템즈 | Automated guided vehicle |
KR101644270B1 (en) * | 2015-05-15 | 2016-08-01 |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Unmanned freight transportation system using automatic positioning and moving route correcting |
-
2017
- 2017-12-28 KR KR1020170181966A patent/KR10196821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19045B1 (en) * | 2013-05-24 | 2013-10-17 |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Mobile robot for autonomous freight transportation |
KR101323705B1 (en) * | 2013-06-05 | 2013-11-11 |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Autonomous freight transportation system using mobile robot for autonomous freight transportation |
KR101392992B1 (en) * | 2014-01-07 | 2014-05-08 | 주식회사 지아체시스템즈 | Automated guided vehicle |
KR101644270B1 (en) * | 2015-05-15 | 2016-08-01 |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Unmanned freight transportation system using automatic positioning and moving route correcting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43006A (en) * | 2019-06-14 | 2020-12-23 | 주식회사 마로로봇 테크 | Bottom cord for code recognition logistic robot and its attaching method |
KR102228415B1 (en) * | 2019-06-14 | 2021-03-16 | 주식회사 마로로봇 테크 | Bottom cord for code recognition logistic robot and its attaching method |
CN110153987A (en) * | 2019-06-26 | 2019-08-23 | 东北大学秦皇岛分校 | An intelligent identification and handling robot and its control method |
KR102061755B1 (en) * | 2019-06-26 | 2020-01-02 | 신세계건설(주) | System for classifying and keeping goods |
CN111142540A (en) * | 2020-01-13 | 2020-05-12 | 宝钜(中国)儿童用品有限公司 | Unmanned guided vehicle collision avoidance device and collision avoidance metho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66207B1 (en) | Automated Guided Vehicle capable of sequential obstacle avoidance | |
KR101884825B1 (en) | Automatic Storage System Using Unmanned Transport | |
KR101863738B1 (en) | Automated Guided Vehicle with lifting type tow traction device | |
KR101968217B1 (en) | Automated Guided Vehicle capable of sequential obstacle avoidance | |
KR20200057321A (en) | Mobile robot platform system for process and production management | |
JP4920645B2 (en) | Autonomous mobile robot system | |
CN108780317B (en) | Automatic carrying vehicle | |
CN106444758B (en) | A kind of road Identification based on machine vision and the preferred AGV transport vehicle in path | |
US20250058972A1 (en) | Navigator for Intralogistics | |
CN105103069B (en) | automatic conveying vehicle | |
CN204241966U (en) | A vision-guided self-propelled trolley | |
KR102000825B1 (en) | Automatic freight transferring and picking system | |
JP7006889B2 (en) | Traveling system for moving vehicles | |
CN205375188U (en) | Formula AGV navigation dolly slips into | |
EP3705971A1 (en) | Virtual coupling | |
JP7095301B2 (en) | Travel control system for transport vehicles and travel control methods for transport vehicles | |
Wu et al. | Precise transhippment control of an automated magnetic-guided vehicle using optics positioning | |
JP6684531B2 (en) | Unmanned transport system | |
JP2020191008A (en) | Autonomous mobile device, and conveyance information reading method for autonomous mobile device | |
KR102290043B1 (en) | Magnetic field-based intelligent high-efficiency 6WD agricultural material transport vehicle | |
JP2022034519A (en) | Mobile vehicle travelling system | |
KR20200119401A (en) | Autonomous traveling logistics robot and autonomous driving method | |
JP7283152B2 (en) | Autonomous mobile device, program and steering method for autonomous mobile device | |
CN210455023U (en) | Trackless towed AGV conveyor | |
KR100713587B1 (en) | Autonomous Mobile Robot System for Traffic Inform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712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3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7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0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0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4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4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4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