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7997B1 - 관절가동범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관절가동범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67997B1 KR101967997B1 KR1020170109657A KR20170109657A KR101967997B1 KR 101967997 B1 KR101967997 B1 KR 101967997B1 KR 1020170109657 A KR1020170109657 A KR 1020170109657A KR 20170109657 A KR20170109657 A KR 20170109657A KR 101967997 B1 KR101967997 B1 KR 1019679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tion
- range
- joint
- point
- dimensio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5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4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0000008921 facial ex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3528 artificial neural net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10000001624 hip Anatomy 0.000 description 9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3527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10000003423 ankle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10000002683 foot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0707 wrist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10000001217 buttock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815 fa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621 AMOLED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06010027783 Moan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394 hip joint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76 p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689 upper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2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description 1
- 206010033799 Paraly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617 ar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14 extremit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936 left thumb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63 phase shif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935 right thumb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832 should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28—Joi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24—Touch or pain perception evalu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가동범위 측정을 위한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가동범위 측정을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가동범위 측정을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관절가동범위 측정을 위해 특정할 수 있는 신체의 특징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가동범위 측정을 위한 좌표 평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가동범위 측정을 위한 고정점, 기준점 및 이동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가동범위의 측정값을 보정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절가동범위 측정을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절가동범위 측정을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번호 | 특징점 | 설명 |
1 | Ankle_Left | Left ankle 좌측 발목 |
2 | Ankle_Right | Right ankle 우측 발목 |
3 | Elbow_Left | Left elbow 좌측 팔꿈치 |
4 | Elbow_Right | Right elbow 우측 팔꿈치 |
5 | Foot_Left | Left foot 좌측 발 |
6 | Foot_Right | Right foot 우측 발 |
7 | Hand_Left | Left hand 좌측 손 |
8 | Hand_Right | Right hand 우측 손 |
9 | Hand_Tip_Left | Tip of the left hand 좌측 손 끝 |
10 | Hand_Tip_Right | Tip of the right hand 우측 손 끝 |
11 | Head | Head 머리 |
12 | Hip_Left | Left hip 좌측 둔부(고관절) |
13 | Hip_Right | Right hip 우측 둔부(고관절) |
14 | Knee_Left | Left knee 좌측 무릎 |
15 | Knee_Right | Right knee 우측 무릎 |
16 | Neck | Neck 목 |
17 | Shoulder_Left | Left shoulder 좌측 어깨 |
18 | Shoulder_Right | Right shoulder 우측 어깨 |
19 | Spine_Base | Base of the spine 척추 기부 |
20 | Spine_Mid | Middle of the spine 척추 중앙 |
21 | Spine_Shoulder | Spine at the shoulder |
22 | Thumb_Left | Left thumb 좌측 엄지 |
23 | Thumb_Right | Right thumb 우측 엄지 |
24 | Wrist_Left | Left wrist 좌측 손목 |
25 | Wrist_Right | Right wrist 우측 손목 |
위치 | 측정 부위 | 범위 | 운동점(a2) | 기준점(a1) |
좌측 | 어깨 | 팔꿈치-어깨 | Elbow_Left | Sholder_Left |
팔 | 손목-팔 | Wrist_Left | Elbow_Left | |
둔부 | 무릎-둔부 | Knee_Left | Hip_Left | |
무릎 | 발목-무릎 | Ankle_Left | Knee_Left | |
우측 | 어깨 | 팔꿈치-어깨 | Elbow_Right | Sholder_Right |
팔 | 손목-팔 | Wrist_Right | Elbow_Right | |
둔부 | 무릎-둔부 | Knee_Right | Hip_Right | |
무릎 | 발목-무릎 | Ankle_Right | Knee_Right | |
중앙 | 머리 | 경추-머리 | Spine_Shoulder | Head |
110: 3D센서부
120: 통신부
130: 카메라부
140: 오디오부
150: 입력부
160: 표시부
170: 저장부
180: 제어부
200: 사용자 장치
300: 인공 신경망
Claims (8)
- 진료 대상자의 관절가동범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신체의 복수의 특징점의 3차원 좌표를 감지하는 3D 센서부; 및
상기 진료 대상자가 따라서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진료 대상자의 관절가동범위를 측정하고자하는 부위 및 운동에 상응하는 측정 동작을 나타내는 안내 영상을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3D 센서부를 통해 감지되는 상기 복수의 특징점 중 상기 측정하고자하는 부위 및 운동에 따라 고정점, 기준점, 및 운동점을 특정하고, 특정된 고정점, 기준점, 및 운동점을 이용하여 상기 측정하고자 하는 부위 및 운동에 대한 관절가동범위를 측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하고자하는 부위 및 운동에 대응하는 2차원 좌표 평면을 결정하고, 상기 기준점, 고정점, 및 운동점의 3차원 좌표로부터 상기 결정된 2차원 좌표 평면에 따라 상기 기준점, 고정점, 및 운동점의 2차원 좌표를 도출하고, 도출된 2차원 좌표를 이용하여
수학식
에 따라 관절가동범위의 2차원 측정값을 산출하며,
상기 은 상기 2차원 측정값이고,
상기 v1은 2차원 좌표 상에서 상기 기준점으로부터 상기 고정점 방향의 벡터이고,
상기 v2는 2차원 좌표 상에서 기준점으로부터 운동점 방향의 벡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가동범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정점, 기준점 및 운동점의 3차원 좌표를 이용하여 수학식 에 따라 관절가동범위의 3차원 측정값 산출하며,
상기 은 상기 3차원 측정값이고,
상기 k1은 3차원 좌표 상에서 상기 기준점으로부터 상기 고정점까지의 벡터이고,
상기 k2는 3차원 좌표 상에서 상기 기준점으로부터 상기 운동점까지의 벡터이고,
상기 3차원 측정값과 상기 2차원 측정값의 차이가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하면, 상기 2차원 측정값을 소거하며,
상기 3차원 측정값과 상기 2차원 측정값의 차이가 기 설정된 값 미만이면,
상기 2차원 측정값을 관절가동범위의 측정값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가동범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전에 측정된 관절가동범위의 측정값의 변화와 현재 2차원 측정값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현재 측정값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가동범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오디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디오부를 통해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통증을 호소하는 오디오 신호인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통증이 발생한 시점에 측정된 관절가동범위의 측정값을 관절가동범위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가동범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 대상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되는 상기 진료 대상자의 얼굴로부터 상기 진료 대상자의 얼굴 표정이 통증에 의해 변화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통증에 의해 얼굴 표정이 변화된 시점에 측정된 관절가동범위의 측정값을 관절가동범위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가동범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 관절가동범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관절가동범위를 측정하고자하는 부위 및 운동에 따라 측정을 위한 동작을 나타내는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신체의 복수의 특징점의 3차원 좌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복수의 특징점 중 상기 측정하고자하는 부위 및 운동에 따라 기준점, 고정점, 및 운동점을 특정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된 기준점, 고정점, 및 운동점을 이용하여 상기 측정하고자 하는 부위 및 운동에 대한 관절가동범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관절가동범위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하고자하는 부위 및 운동에 대응하는 2차원 좌표 평면을 결정하고, 상기 기준점, 고정점, 및 운동점의 3차원 좌표로부터 상기 결정된 2차원 좌표 평면에 따라 상기 기준점, 고정점, 및 운동점의 2차원 좌표를 도출하고, 도출된 2차원 좌표를 이용하여
수학식
에 따라 관절가동범위의 2차원 측정값을 산출하며,
상기 은 상기 2차원 측정값이고,
상기 v1은 2차원 좌표 상에서 상기 기준점으로부터 상기 고정점 방향의 벡터이고,
상기 v2는 2차원 좌표 상에서 기준점으로부터 운동점 방향의 벡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가동범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 제7항에 따른 관절가동범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9657A KR101967997B1 (ko) | 2017-08-29 | 2017-08-29 | 관절가동범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9657A KR101967997B1 (ko) | 2017-08-29 | 2017-08-29 | 관절가동범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23628A KR20190023628A (ko) | 2019-03-08 |
KR101967997B1 true KR101967997B1 (ko) | 2019-04-10 |
Family
ID=65801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09657A Active KR101967997B1 (ko) | 2017-08-29 | 2017-08-29 | 관절가동범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6799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48624A (ko) * | 2019-10-23 | 2021-05-04 | 주식회사 쎄텍 | 개인 맞춤형 무릎 관절 재활운동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08405B1 (ko) | 2019-08-23 | 2020-05-08 | 박하연 | 신체정보, 자세정보 및 관절가동범위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
KR102456055B1 (ko) * | 2020-09-28 | 2022-10-19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반복 운동의 동작 훈련을 위한 정량적 자세 분석 및 평가 장치 및 방법 |
KR102396882B1 (ko) * | 2020-10-08 | 2022-05-11 | 주식회사 참핏 | 신체 유연성 평가 장치, 시스템 및 방법 |
CN112487965B (zh) * | 2020-11-30 | 2023-01-31 | 重庆邮电大学 | 一种基于3d重构的智能健身动作指导方法 |
KR102611167B1 (ko) * | 2021-02-16 | 2023-12-11 | (주)컬처릿 | 온라인 움직임 교정시스템 |
KR102538239B1 (ko) * | 2021-04-23 | 2023-05-31 |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 입체배열 측정센서를 기반으로 하는 지능형 자세교정 시스템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065819A (ja) | 2010-09-22 | 2012-04-05 | Panasonic Corp | 可動域訓練システム |
JP2014068714A (ja) | 2012-09-28 | 2014-04-21 | Kitasato Institute | 関節角度測定システム |
JP2017023436A (ja) | 2015-07-23 | 2017-02-02 | 国立大学法人北海道大学 | 歩行解析方法および歩行解析システム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96361B1 (ko) | 2015-11-27 | 2017-11-09 | 한국 한의학 연구원 | 관절 가동 범위를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
WO2017115887A1 (ko) * | 2015-12-29 | 2017-07-06 | 경일대학교 산학협력단 | 동작 인식 기반의 게임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
2017
- 2017-08-29 KR KR1020170109657A patent/KR101967997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065819A (ja) | 2010-09-22 | 2012-04-05 | Panasonic Corp | 可動域訓練システム |
JP2014068714A (ja) | 2012-09-28 | 2014-04-21 | Kitasato Institute | 関節角度測定システム |
JP2017023436A (ja) | 2015-07-23 | 2017-02-02 | 国立大学法人北海道大学 | 歩行解析方法および歩行解析システム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48624A (ko) * | 2019-10-23 | 2021-05-04 | 주식회사 쎄텍 | 개인 맞춤형 무릎 관절 재활운동장치 |
KR102284831B1 (ko) * | 2019-10-23 | 2021-08-04 | 주식회사 쎄텍 | 개인 맞춤형 무릎 관절 재활운동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23628A (ko) | 2019-03-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67997B1 (ko) | 관절가동범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
JP6675462B2 (ja) | 動作情報処理装置 | |
US20150003687A1 (en) | Mo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 |
WO2014112632A1 (ja) | 動作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 | |
WO2014112631A1 (ja) | 動作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 |
US20150005910A1 (en) | Mo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 |
KR20190044952A (ko) | 스마트 미러를 이용하여 실시간 운동 동작을 분석 및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스마트 미러 | |
US20170055844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acquiring object information | |
JP6056107B2 (ja) | 運動補助装置、運動補助方法、プログラム | |
TW201914520A (zh) | 肌少症簡易檢測方法及系統 | |
KR20230166319A (ko) | 대상자의 3차원 전신 자세를 식별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기록 매체 | |
KR102436906B1 (ko) | 대상자의 보행 패턴을 식별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 |
CN115661202A (zh) | 动作执行程度确定、运动能力检测方法、装置及设备 | |
Samad et al. | Elbow Flexion and Extension Rehabilitation Exercise System Using Marker-less Kinect-based Method. | |
Prima et al. | Single camera 3d human pose estimation for tele-rehabilitation | |
JP6558820B2 (ja) | 計測装置、計測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Ongvisatepaiboon et al. | Smartphone-based audio-biofeedback system for shoulder joint tele-rehabilitation | |
Hwang et al. | A novel end-effector robot system enabling to monitor upper-extremity posture during robot-aided planar reaching movements | |
KR101398193B1 (ko) | 캘리브레이션 장치 및 방법 | |
CN118354716A (zh) | 判断方法、判断装置、以及判断系统 | |
WO2014104357A1 (ja) | 動作情報処理システム、動作情報処理装置及び医用画像診断装置 | |
JP6266317B2 (ja) | 診察支援装置及び診察支援方法 | |
KR101945338B1 (ko) | 체력 측정 진단에 대한 체력 개선 시스템 | |
KR20220007464A (ko) |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도수근력검사 시스템 및 방법 | |
JP6320702B2 (ja) | 医用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システ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3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4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4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