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63077B1 - 말벌 퇴치장치 - Google Patents

말벌 퇴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3077B1
KR101963077B1 KR1020180002028A KR20180002028A KR101963077B1 KR 101963077 B1 KR101963077 B1 KR 101963077B1 KR 1020180002028 A KR1020180002028 A KR 1020180002028A KR 20180002028 A KR20180002028 A KR 20180002028A KR 101963077 B1 KR101963077 B1 KR 101963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p
housing
bait
outlet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2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진용
Original Assignee
허진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진용 filed Critical 허진용
Priority to KR1020180002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30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3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307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01M1/2005Poisoning insects using bait stations
    • A01M1/2016Poisoning insects using bait stations for fly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01M1/106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for flying ins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말벌 퇴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제작할 수 있으며, 유입된 말벌은 물론, 서식지에 있는 새끼 말벌까지 제거할 수 있으며, 말벌 퇴치에 필요한 인력, 시간, 비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율적인 말벌 퇴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말벌 퇴치장치{Wasp Removal Device}
본 발명은 말벌 퇴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제작할 수 있으며, 유입된 말벌은 물론, 서식지에 있는 새끼 말벌까지 제거할 수 있으며, 말벌 퇴치에 필요한 인력, 시간, 비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율적인 말벌 퇴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양봉사업을 하는 사업자의 입장에서 볼 때 말벌은 사업의 성공여부를 좌지우지 할 수 있을 정도로 두려운 존재로 자리 잡게 되었는데, 통상 10~11mm의 작은 크기를 가지는 꿀벌은 말벌의 적수가 되지 못하여 벌통에 말벌이 침입하면 참변이 발생하게 된다.
즉, 말벌은 통상 30mm 전후의 큰 크기를 가지고 있고 턱이 매우 강할 뿐만 아니라 힘이 세기 때문에 말벌이 벌통에 침입하면 말벌 한 마리가 꿀벌 수천 마리를 1시간 안에 살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말벌에 의해 꿀벌이 살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서, 실용신안등록 제20-0372161호는 말벌의 척후병은 물론 많은 숫자의 말벌 본대까지 꿀벌들이 대량으로 희생을 하면서 말벌을 죽이도록 하는 장치라고는 하나 많은 숫자의 말벌을 죽이기 위해서는 수백 마리 내지 수천 마리의 꿀벌이 희생이 되어야만 하는 비합리적인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많은 숫자의 말벌들을 모두 죽일 수 있다는 보장도 없는 것이어서 제품화가 되지 못하고 사장(死藏)되었다.
다음, 특허등록 제10-1052214호를 살피면 말벌이 앉을 수 있는 스크린이 구비된 말벌 유인액 보관부 안으로 말벌이 유인되어 들어오도록 하고 말벌이 들어오는 통로의 좌우에 수 천 볼트 이상의 고전압이 흐르는 전극 판을 대향되게 배치를 시켜서 말벌이 전극 판 사이를 통과할 때 감전이 되어서 죽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는 말벌이 꿀벌 출입구로 가지 않고 유인액에 의하여 유인이 되어야만 하는 불확실한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수천 볼트 이상의 고전압을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일상적인 기후에서는 물론 특히 우천 시(時)에는 사용상 매우 위험한 폐단이 발생되어 역시 제품화가 되지 못하고 사장되었다.
다음, 특허등록 제0895485호는 말벌이 아닌 일반적인 나방, 파리, 모기 등의 해충을 살상하기 위한 장치로써 참고로 살피면 하우징의 전방의 공간부 앞쪽으로 빛을 조사하여 격자 형태로 반사가 되도록 하여 빛 망을 만들고, 하우징 안에는 해충을 유인하는 램프 또는 유인물을 구비한 후 상술한 해충이 빛 망을 통과하면 해충이 하우징 안으로 진입하였다는 신호를 감지하게 되며, 이 감지신호에 따라 흡입포충기나 살충제 분사기, 전기살충기를 작동시켜 해충을 죽이거나 또는 해충이 끈끈이에 붙어서 죽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다양하게 개발된 말벌 퇴치장치에도 불구하고, 아직 양봉농장에서는 끈끈이와 같은 오래된 방식으로 말벌에 대처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35317호(2016.06.30.)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0937호(2016.07.28.)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7-0702690호(1997.06.10.)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40363호(2013.12.24.)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제작할 수 있으며, 유입된 말벌은 물론, 서식지에 있는 새끼 말벌까지 제거할 수 있으며, 말벌 퇴치에 필요한 인력, 시간, 비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율적인 말벌 퇴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말벌 퇴치장치는 일측에는 유입구가 마련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바닥에 마련된 말벌 미끼;를 포함하며, 상기 입구는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는 깔대기 형상이고, 상기 말벌 미끼는 육류와, 과일 주스와, 독성물질로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은 황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말벌 퇴치장치는 일측에는 유입구가 마련되고 타측에는 제1출구가 마련되며, 일측에는 상기 출구가 마련된 면의 양측에 체결홈이 형성되는 메인 하우징과; 상기 메인 하우징 바닥에 마련되며, 말벌을 유인하는 액상 또는 젤리 상태의 제1말벌 미끼를 수용하는 제1용기와; 일면에는 상기 체결홈에 끼워지는 한 쌍의 체결돌기와, 상기 제1출구와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되며, 타면에는 제2출구가 마련되고, 상면에는 미끼 공급홀이 형성되는 서브 하우징과; 상기 서브 하우징 바닥에 마련되며, 새끼 말벌에게 물어다 줄 고체 상태의 제2말벌 미끼를 수용하는 제2용기와; 상기 서브 하우징이 분리된 경우, 상기 제1출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마개와; 상기 미끼 공급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마개;를 포함하며, 상기 제1말벌 미끼와, 제2말벌 미끼에는 독성 물질이 함유되고, 상기 서브 하우징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말벌 퇴치장치에 있어서, 메인 하우징의 상면에는 내부에 수용된 제1말벌 미끼의 냄새가 외부로 배출되어 말벌을 유인하는 다수의 미세홀이 관통 형성되고, 말벌을 유인하는 소리를 발생시키는 음향 발생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말벌 퇴치장치에 있어서, 메인 하우징의 상부 일측에는 제1말벌 미끼를 수용하는 몸체와, 일단은 상기 용기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메인 하우징 내로 인입되는 공급호스와, 상기 공급호스의 일측에 설치되는 밸브로 이루어지는 제1말벌 미끼공급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말벌 퇴치장치에 있어서, 제2말벌 미끼는 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독성 물질을 함유하는 육류와, 상기 육류 표면에 도포된 점착 성분과, 상기 점착 성분 표면에 부착되는 유인 분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말벌 퇴치장치에 있어서, 유인 분말은 말린 곤충을 분쇄한 곤충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말벌 퇴치장치는 일측에는 유입구가 마련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바닥에 마련되며, 말벌을 유인하는 액상 또는 젤리 상태의 제1말벌 미끼 또는 새끼 말벌에게 물어다 줄 고체 상태의 제2말벌 미끼를 수용하는 용기와; 상기 유입구의 외측에 매립되며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 몸체와, 상기 투명 몸체 내부에 수용되어 말벌을 유인하는 곤충 또는 곤충 모형으로 이루어지는 시각적 유인 수단과; 상기 투명 몸체에 삽입되며, 상기 곤충의 소리를 발생하여 말벌을 유인하는음향 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말벌 퇴치장치에 의하면,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제작할 수 있으며, 유입된 말벌은 물론, 서식지에 있는 새끼 말벌까지 제거할 수 있으며, 말벌 퇴치에 필요한 인력, 시간, 비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말벌 퇴치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말벌 퇴치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말벌 미끼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말벌 퇴치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말벌 퇴치장치(100)는 벌통에 침입하는 말벌을 퇴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크게 일측에는 유입구(111)가 마련되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 바닥에 마련된 말벌 미끼(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말벌 퇴치장치(100)는 벌통(10) 상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벌통(10)으로 침입하는 말벌을 최대한 유인하되, 꿀벌이 잘 들어오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유입구(111)는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는 깔대기 형상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3)에는 말벌이 나갈 수 있는 깔대기 형상의 출구(113)가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10)은 패트병을 횡으로 절단하여 절단된 상부는 유입구로 활용하고, 절단된 하부는 하우징으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말벌 미끼(130)는 육류와, 과일 주스와, 독성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말벌은 육식성이지만 상기 말벌 미끼 중 과일 주스는 말벌이 직접 먹고, 육류는 서식지에 있는 새끼 말벌에게 가져다 주는 습성이 있다. 이 경우, 육류와 과일 주스에 독성 물질을 발라놓거나 첨가하면, 과일 주스를 먹은 말벌은 물론, 육류를 먹은 새끼 말벌까지 없앨 수 있다.
이 경우, 과일 주스 또는 육류, 예를 들어 돼지 고기, 닭고기 등에 함유되는 독성 물질의 양을 조절해야 하는데, 독성 물질을 섭취한 즉시 죽도록 독성 물질의 종류를 선택하고 그 농도를 진하게 할 수도 있고, 지연 살생(delayed-kill)되는 독성 물질을 선택하고 농도를 낮춰서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말벌 미끼에는 밀랍을 첨가할 수 있는데, 상기 밀랍은 점착성이 있고 꿀통에서 쉽게 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독성 물질의 독특한 향 또는 맛을 중화시켜 독성 물질이 함유된 육류 및 과일 주스에 대한 거부감을 줄일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독성 물질은 시중에서 판매하는 살충제, 농약, 종자 소독약 등과 같이 말벌을 살충할 수 있는 성분이 함유된 것이라면 어떤 것이라도 무방하다.
상기 하우징(110)은 말벌이 좋아하는 황색 또는 검정색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말벌 퇴치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종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말벌 퇴치장치는 크게 메인 하우징(210)과, 제1용기(217)와, 서브 하우징(220)과, 제2용기(228)와, 제1마개(218)와, 제2마개(229)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말벌 퇴치장치(200)는 일측에는 유입구(214)가 마련되고 타측에는 제1출구(215)가 마련되며, 상기 제1출구(215)가 마련된 면의 양측에 체결홈(216)이 형성되는 메인 하우징(210)과, 상기 메인 하우징(210) 바닥에 마련되며, 말벌을 유인하는 액상 또는 젤리 상태의 제1말벌 미끼(250)를 수용하는 제1용기(217)와, 일면에는 상기 체결홈(216)에 끼워지는 한 쌍의 체결돌기(221)와, 상기 제1출구(215)와 연통되는 연통홀(223)이 형성되며, 타면에는 제2출구(225)가 마련되고, 상면에는 미끼 공급홀(227)이 형성되는 서브 하우징(220)과, 상기 서브 하우징 바닥에 마련되며, 새끼 말벌에게 물어다 줄 고체 상태의 제2말벌 미끼(255)를 수용하는 제2용기(228)와, 상기 서브 하우징(220)이 분리된 경우, 상기 제1출구(215)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마개(218)와, 상기 미끼 공급홀(227)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마개(22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하우징(210) 및 서브 하우징(220)은 사각 통 형상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하우징(210)의 하단에는 복수의 브라켓(211)이 설치되어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벌통(10) 상면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체결홈(216)에는 체결돌기(221)가 위에서 아래로 끼워짐으로써, 메인 하우징(210)에 서브 하우징(220)이 결합하게 되는데, 이때 제1출구(215) 및 연통홀(223)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두 하우징이 연통된다. 따라서, 메인 하우징(210)의 유입구를 통해 들어온 말벌은 제1출구(215) 및 연통홀(223)을 통해 서브 하우징(220)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제1말벌 미끼(250) 또는 제2말벌 미끼(255)를 섭취한 후, 제2출구(225)를 통해 외부로 나가게 된다. 상기 제2출구(225)는 유입구(214)와 마찬가지로 외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깔대기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말벌 미끼(250) 및 제2말벌 미끼(255)에는 독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한편, 상기 메인 하우징(210)의 상부 일측에는 제1말벌 미끼(250)를 수용하는 몸체(231)와, 일단은 상기 몸체(231)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메인 하우징(210) 내로 인입되는 공급호스(232)와, 상기 공급호스(232)의 일측에 설치되는 밸브(233)로 이루어지는 제1말벌 미끼공급장치(23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말벌 미끼공급장치(230)를 설치함으로써, 메인 하우징(210)의 일측면에 형성된 개폐도어(212)를 열지 않고서도 밸브(233)를 개폐하는 간단한 동작으로 제1말벌 미끼(250)를 제1용기(217)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개폐도어(212)는 힌지에 의해 회동할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된다.
상기 밸브(233)를 솔레노이드밸브를 사용하게 되면, 미리 설정된 시간마다 자동으로 제1말벌 미끼를 공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말벌 미끼(255)는 서브 하우징(220)의 상단에 형성된 미끼 공급홀(227)을 통해 공급하게 된다.
상기 메인 하우징(210)의 상면에는 내부에 수용된 제1말벌 미끼(250)의 냄새가 외부로 배출되어 말벌을 유인하는 다수의 미세홀(213)이 관통 형성되고, 말벌을 유인하는 소리를 발생시키는 음향 발생기(240)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말벌을 유인하는 소리는 매미 소리와 같은 곤충 우는 소리인 것을 예시할 수 있는데, 이는 말벌은 매미 우는 소리가 날 때에는 매미를 잡아먹는 습성이 있는데 이러한 말벌의 습성을 이용한 것이다.
이러한 미세홀 및 음향 발생기는 말벌 미끼의 냄새와 더불어, 말벌을 유인하는 소리를 발생시켜 말벌을 보다 효과적으로 말벌 퇴치장치 쪽으로 유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메인 하우징(210)에 서브 하우징(220)을 착탈할 수 있기 때문에 벌통(10) 위에 설치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벌통과 이격된 주변 장소에 설치할 수 있도록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 하우징(210)만 사용하여 유입된 말벌을 즉시 죽이도록 할 수도 있고, 메인 하우징(210)에 서브 하우징(220)을 결합하고 벌통(10)과 떨어진 장소에 설치하여 장기적으로 서식지의 말벌까지 말살시킬 수도 있다.
전자와 같이, 메인 하우징(210)만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1출구(215)를 제1마개(218)로 밀폐시켜, 내부로 들어온 말벌이 독성이 강한 제1말벌 미끼를 먹고 죽기 때문에, 말벌이 메인 하우징(210)에서 나와 벌통을 침입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다.
후자와 같이, 메인 하우징(210)에 서브 하우징(220)을 결합하는 경우에는 말벌이 제2말벌 미끼를 물고 서식지에 공급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는데, 이때 제1말벌 미끼는 전자에 비해 독성이 덜하거나, 농도가 낮아 바로 죽지 않고 근처 서식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후자의 경우에는 말벌이 제2출구(225)를 통해 말벌 퇴치장치(200) 외부로 나오기 때문에 벌통(10)과 이격된 장소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도 1의 제1실시예의 경우, 말벌 퇴치장치에서 말벌 미끼를 섭취한 말벌이 죽지 않고 하부에 배치된 벌통에 침입할 수도 있고, 말벌이 말벌 퇴치장치, 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 내에서 죽게 되면 새끼 말벌 살생에 대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말벌 미끼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말벌 미끼(255)는 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독성 물질을 함유하는 육류(256)와, 상기 육류(256) 표면에 도포된 점착 성분(257)과, 상기 점착 성분(257) 표면에 부착되는 유인 분말(258)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여기서, 육류는 돼지고기, 닭고기 등을 예시할 수 있고, 익히거나 삶아 다진 고기, 또는 생고기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착 성분은 상기 점착 성분은 육류에 도포 또는 흡수된 독성 물질의 냄새와 맛을 차단하고, 위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아교, 전분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구연산, 인산염, 산화칼슘 등을 함유하는 식용 접착제 등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인 분말은 말린 곤충을 분쇄한 곤충 분말인 것을 예시할 수 있으며, 점착 성분의 점착성 내지 접착성에 의해 제2말벌 미끼 표면에 부착된다.
상기 유인 분말은 말벌이 잡은 곤충을 짓이겨서 서식지로 가져가는 습성을 이용한 것으로서, 점착 성분과 함께 독성 물질의 존재를 최대한 차폐하고 먹이로서의 기호성을 최대한 살리기 위한 구성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말벌 퇴치장치(300)는 일측에는 유입구가 마련되는 하우징(310)과, 상기 하우징(310) 바닥에 마련되며, 말벌을 유인하는 액상 또는 젤리 상태의 제1말벌 미끼(320) 또는 새끼 말벌에게 물어다 줄 고체 상태의 제2말벌 미끼(325)를 수용하는 용기(330)와, 상기 유입구(311)의 외측에 매립되며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 몸체(361)와, 상기 투명 몸체(361) 내부에 수용되어 말벌을 유인하는 곤충 또는 곤충 모형(362)으로 이루어지는 시각적 유인 수단(360)과, 상기 투명 몸체(361)에 삽입되며, 상기 곤충의 소리를 발생하여 말벌을 유인하는 음향 발생기(3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310)의 상면에 매립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투명 몸체(361)를 설치하고, 상기 투명 몸체(361) 내에 매미와 같은 곤충이나, 곤충 모형(362)을 통해 말벌을 유인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투명 몸체(361)에도 미세홀(315)을 형성하여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곤충의 사체나 곤충 모형은 줄에 매달리도록 하여 유입된 공기에 의해 흔들리면서 곤충이 살아 움직이는 것과 같이 보이도록 하여 유인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200, 300 : 말벌 퇴치장치
110 : 하우징 111 : 유입구
113 : 출구 130 : 말벌 미끼
210 : 메인 하우징 211 : 브라켓
212 : 개폐도어 213 : 미세홀
214 : 유입구 215 : 제1출구
216 : 체결홈 217 : 제1용기
218 : 제1마개 220 : 서브 하우징
221 : 체결돌기 223 : 연통홀
225 : 제2출구 227 : 미끼 공급홀
228 : 제2용기 229 : 제2마개
230 : 미끼공급장치 231 : 몸체
232 : 공급호스 233 : 밸브
240 : 음향 발생기 250 : 제1말벌 미끼
255 : 제2말벌 미끼 256 : 육류
257 : 점착 성분 258 : 유인 분말
310 : 하우징 311 : 유입구
313 : 출구 315 : 미세홀
320 : 제1말벌 미끼 325 : 제2말벌 미끼
330 : 용기 360 : 시각적 유인 수단
361 : 투명 몸체 362 : 곤충 모형
370 : 음향 발생기
10 : 벌통

Claims (2)

  1. 말벌 퇴치장치에 있어서,
    일측에는 유입구가 마련되고 타측에는 제1출구가 마련되며, 상기 제1출구가 마련된 면의 양측에 체결홈이 형성되는 메인 하우징과;
    상기 메인 하우징 바닥에 마련되며, 말벌을 유인하는 액상 또는 젤리 상태의 제1말벌 미끼를 수용하는 제1용기와;
    일면에는 상기 체결홈에 끼워지는 한 쌍의 체결돌기와, 상기 제1출구와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되며, 타면에는 제2출구가 마련되고, 상면에는 미끼 공급홀이 형성되는 서브 하우징과;
    상기 서브 하우징 바닥에 마련되며, 새끼 말벌에게 물어다 줄 고체 상태의 제2말벌 미끼를 수용하는 제2용기와;
    상기 서브 하우징이 분리된 경우, 상기 제1출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마개와;
    상기 미끼 공급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마개;를 포함하며,
    상기 제1말벌 미끼와, 제2말벌 미끼에는 독성 물질이 함유되고,
    상기 서브 하우징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벌 퇴치장치.

  2. 삭제
KR1020180002028A 2018-01-07 2018-01-07 말벌 퇴치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963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028A KR101963077B1 (ko) 2018-01-07 2018-01-07 말벌 퇴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028A KR101963077B1 (ko) 2018-01-07 2018-01-07 말벌 퇴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3077B1 true KR101963077B1 (ko) 2019-03-27

Family

ID=65906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028A Expired - Fee Related KR101963077B1 (ko) 2018-01-07 2018-01-07 말벌 퇴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30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9277A (ko) * 2019-10-25 2021-05-06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벌통에 부착되는 등검은말벌 유인 장치
KR102731180B1 (ko) 2023-08-21 2024-11-15 주식회사 디퍼아이 해충 감지 및 출입통제 기능을 갖는 해충차단장치 및 이를 위한 인공지능 알고리즘 기반 객체 검출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690B1 (ko) 2005-08-12 2007-04-02 손세화 필터를 갖는 아동용 입체 마스크
KR20130140363A (ko) 2012-06-14 2013-12-24 김민순 말벌 포획 장치
JP2014103933A (ja) * 2012-11-29 2014-06-09 Fumakilla Ltd ハチ捕獲器
KR101635317B1 (ko) 2015-04-03 2016-06-30 김부국 벌통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말벌살상장치
KR200480937Y1 (ko) 2014-09-01 2016-07-28 주식회사 대동금속 말벌 포획기
KR20170053275A (ko) * 2015-11-06 2017-05-16 오승재 말벌 포획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690B1 (ko) 2005-08-12 2007-04-02 손세화 필터를 갖는 아동용 입체 마스크
KR20130140363A (ko) 2012-06-14 2013-12-24 김민순 말벌 포획 장치
JP2014103933A (ja) * 2012-11-29 2014-06-09 Fumakilla Ltd ハチ捕獲器
KR200480937Y1 (ko) 2014-09-01 2016-07-28 주식회사 대동금속 말벌 포획기
KR101635317B1 (ko) 2015-04-03 2016-06-30 김부국 벌통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말벌살상장치
KR20170053275A (ko) * 2015-11-06 2017-05-16 오승재 말벌 포획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9277A (ko) * 2019-10-25 2021-05-06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벌통에 부착되는 등검은말벌 유인 장치
KR102324127B1 (ko) * 2019-10-25 2021-11-1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벌통에 부착되는 등검은말벌 유인 장치
KR102731180B1 (ko) 2023-08-21 2024-11-15 주식회사 디퍼아이 해충 감지 및 출입통제 기능을 갖는 해충차단장치 및 이를 위한 인공지능 알고리즘 기반 객체 검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85109A (en) Trap for flying insects
US5749168A (en) Fly and insect trap
CA1321708C (en) Containment type insect trap
US20080196296A1 (en) Fruit-Shaped Fruit Fly Trap
US20080163541A1 (en) Flying Insect Trap
US20050102888A1 (en) Insect trap
NZ254181A (en) Insect trap, insects exposed to insecticidal particles carrying electrostatic charge
US4706407A (en) Animal trap
BR102013017279B1 (pt) Armadilha de observação mata insetos para a captura massiva e controle do bicudo do algodoeiro
US20090277076A1 (en) Device For Elimination Of Mosquitoes And Flying Pests
US11937593B1 (en) German cockroach glue trap
US5471782A (en) Heated cockroach trap
KR101963077B1 (ko) 말벌 퇴치장치
JP7237448B2 (ja) 飛翔害虫捕獲器
CN106489868A (zh) 颜色、气味双引诱的侧孔型果蝇诱捕装置
CN206629815U (zh) 一种昆虫捕捉装置
KR101810102B1 (ko) 친환경 모기 퇴치기
US20200000077A1 (en) Device for Clarifying and Enhancing Liquid for Improved Luring of Flying Insects
JP2004305162A (ja) 捕虫器
CN214593771U (zh) 一种蟑螂屋
CN222515976U (zh) 一种便于清理的诱虫器
JP2002087914A (ja) 害虫誘引剤及び誘引毒餌剤
KR20200059918A (ko) 해충 유인용 부착트랩.
JP2003259786A (ja) ゴキブリ駆除装置
AHMED THE INNOVATION OF ALTERNATIVE FLYTRAP WITH THE USE OF AVAILABLE RESOURCES AT HO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2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3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3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