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8644B1 - 폴리올레핀 분리막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올레핀 분리막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58644B1 KR101958644B1 KR1020130057336A KR20130057336A KR101958644B1 KR 101958644 B1 KR101958644 B1 KR 101958644B1 KR 1020130057336 A KR1020130057336 A KR 1020130057336A KR 20130057336 A KR20130057336 A KR 20130057336A KR 101958644 B1 KR101958644 B1 KR 1019586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cid
- group
- hydroxy group
- above formula
- mixtur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17—Polyolefi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61/04—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3—Manufacturing processes of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29—Natural polymers
- H01M50/4295—Natural cotton, cellulose or woo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3—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ll Separator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21)
- 폴리올레핀 기재; 및
상기 폴리올레핀 기재 상에 형성되고, 페놀 화합물의 중합체로 구성되는 코팅층을 포함하며,
페놀 화합물의 중합체는 페놀 화합물, 용매 및 산화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의 중합 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폴리올레핀 분리막. - 제1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 기재는 하나 이상의 기공을 가지는 폴리올레핀 분리막.
- 제1항에 있어서,
페놀 화합물은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 이하인 단가 또는 다가 페놀 화합물, 이들의 유도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폴리올레핀 분리막.
- 제1항에 있어서,
페놀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 내지 5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폴리올레핀 분리막: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메톡시기, 하이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시기 중 하나를 나타내고,
상기 R1 내지 R6 중 하나 이상은 하이드록시기를 나타내며,
[화학식 2]
상기 화학식 2에서, R7 내지 R1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메톡시기, 하이드록시기, 6탄당, 글루코람노즈 또는 람노글루코시드를 나타내고,
상기 R7 내지 R13 중 하나 이상은 하이드록시기를 나타내며,
[화학식 3]
상기 화학식 3에서, R14 내지 R2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메톡시기, 하이드록시기, 6탄당, 글루코람노즈, 람노글루코시드 또는 카르보닐기를 나타내고,
상기 R14 내지 R21 중 하나 이상은 하이드록시기를 나타내며,
[화학식 4]
상기 화학식 4에서, R22 내지 R2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하이드록시기를 나타내고,
상기 R22 내지 R28 중 하나 이상은 하이드록시기를 나타내며,
상기 Ra는 수소, 갈산 에스터 또는 이의 유도체, 하이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시기를 나타내고,
[화학식 5]
상기 화학식 5에서, R29 내지 R3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메톡시기 또는 하이드록시기를 나타내고,
상기 R29 내지 R31 중 하나 이상은 하이드록시기를 나타내며,
Rb는 알케닐렌기를 나타내고, RC는 하이드록시기 또는 하나 이상의 하이드록시기로 치환된 사이클로헥산카르복시산의 잔기를 나타낸다. - 제1항에 있어서,
페놀 화합물은 다이제인(daizein), 다이진(daidzin), 글리시테인(glycitein), 글리시틴(glycitin), 제니스테인(genistein), 제니스틴(genistin), 카테킨(catechin), 카테킨 갈레이트(catechin gallate), 에피갈로카테킨(epigallocatechin), 에피카테킨(epicatechin),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picatechin gallate),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크리신(chrysin), 루틴(rutin), 아피게닌(apigenin), 루테올린(luteolin), 캄프페롤(kaempferol), 퀘세틴(quercetin), 미리세틴(myricetin), 나리진(naringgin), 나린제닌(naringenin), 탁시폴린(taxifolin), 시아니딘(cyanidin), 말비딘(malvidin), 갈산(gallic acid), 프로토카테쿠인산(protocatechuic acid), 바닐릭산(vanillic acid), P-하이드록시벤조산(P-hydroxybenzoic acid), 엘라그산(ellagic acid), 실린산(syringic acid), 겐티신산(gentisic acid), 살리실산(salicylic acid), 페룰산(ferulic acid), 카페인산(caffeic acid), 쿠마르산(co㎛aric acid), 탄닌산(tannic acid), 시나핀산(sinapic acid), 카테콜(catechol), 피로갈올(pyrogallol) 및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인 폴리올레핀 분리막.
- 제1항에 있어서,
코팅층은 평균 두께가 5 ㎚ 내지 10 ㎛인 폴리올레핀 분리막.
- 양극; 음극;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구비되는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올레핀 분리막; 및 상기 양극, 상기 음극 및 상기 분리막을 함침하는 전해액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페놀 화합물, 용매 및 산화제를 포함하는 혼합물과 폴리올레핀 기재를 접촉시키는 단계; 및
페놀 화합물의 중합체로 구성되는 코팅층을 상기 폴리올레핀 기재 상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페놀 화합물의 중합체는 상기 혼합물의 중합 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폴리올레핀 분리막의 제조방법. - 제8항에 있어서,
페놀 화합물은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 이하인 단가 또는 다가 페놀 화합물, 이들의 유도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폴리올레핀 분리막의 제조방법.
- 제8항에 있어서,
페놀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 내지 5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폴리올레핀 분리막의 제조방법: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메톡시기, 하이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시기 중 하나를 나타내고,
상기 R1 내지 R6 중 하나 이상은 하이드록시기를 나타내며,
[화학식 2]
상기 화학식 2에서, R7 내지 R1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메톡시기, 하이드록시기, 6탄당, 글루코람노즈 또는 람노글루코시드를 나타내고,
상기 R7 내지 R13 중 하나 이상은 하이드록시기를 나타내며,
[화학식 3]
상기 화학식 3에서, R14 내지 R2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메톡시기, 하이드록시기, 6탄당, 글루코람노즈, 람노글루코시드 또는 카르보닐기를 나타내고,
상기 R14 내지 R21 중 하나 이상은 하이드록시기를 나타내며,
[화학식 4]
상기 화학식 4에서, R22 내지 R2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하이드록시기를 나타내고,
상기 R22 내지 R28 중 하나 이상은 하이드록시기를 나타내며,
상기 Ra는 수소, 갈산 에스터 또는 이의 유도체, 하이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시기를 나타내고,
[화학식 5]
상기 화학식 5에서, R29 내지 R3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메톡시기 또는 하이드록시기를 나타내고,
상기 R29 내지 R31 중 하나 이상은 하이드록시기를 나타내며,
Rb는 알케닐렌기를 나타내고, RC는 하이드록시기 또는 하나 이상의 하이드록시기로 치환된 사이클로헥산카르복시산의 잔기를 나타낸다.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페놀 화합물은 다이제인(daizein), 다이진(daidzin), 글리시테인(glycitein), 글리시틴(glycitin), 제니스테인(genistein), 제니스틴(genistin), 카테킨(catechin), 카테킨 갈레이트(catechin gallate), 에피갈로카테킨(epigallocatechin), 에피카테킨(epicatechin),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picatechin gallate),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크리신(chrysin), 루틴(rutin), 아피게닌(apigenin), 루테올린(luteolin), 캄프페롤(kaempferol), 퀘세틴(quercetin), 미리세틴(myricetin), 나리진(naringgin), 나린제닌(naringenin), 탁시폴린(taxifolin), 시아니딘(cyanidin), 말비딘(malvidin), 갈산(gallic acid), 프로토카테쿠인산(protocatechuic acid), 바닐릭산(vanillic acid), P-하이드록시벤조산(P-hydroxybenzoic acid), 엘라그산(ellagic acid), 실린산(syringic acid), 겐티신산(gentisic acid), 살리실산(salicylic acid), 페룰산(ferulic acid), 카페인산(caffeic acid), 쿠마르산(co㎛aric acid), 탄닌산(tannic acid), 시나핀산(sinapic acid), 카테콜(catechol), 피로갈올(pyrogallol) 및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인 폴리올레핀 분리막의 제조방법.
- 제8항에 있어서,
페놀 화합물의 함량은 용매 100 중량부 대비 0.01 내지 10 중량부인 폴리올레핀 분리막의 제조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용매는 물 및 상기 물과 혼합 가능한 유기용매의 혼합물인 폴리올레핀 분리막의 제조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유기 용매와 물의 혼합비가 5:95 내지 95:5인 폴리올레핀 분리막의 제조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용매는 물,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1-프로판올(1-propanol), 2-프로판올(2-propanol), 1-펜탄올(1-pentanol),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아세톤(acetone),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 2-부톡시에탄올(2-butoxyethanol), 2-부탄온(2-butanone), 4-메틸-2-프로판온(4-methyl-2-propanone), 아세트산(acetic acid)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폴리올레핀 분리막의 제조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산화제는 염화구리(Ⅰ), 과산화황산암모늄, 과요오드산나트륨, 염화칼륨, 산화효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폴리올레핀 분리막의 제조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산화효소는 퍼옥시데이즈, 라카아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폴리올레핀 분리막의 제조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산화제의 함량은 용매 100 중량부 대비 0.001 내지 10 중량부인 폴리올레핀 분리막의 제조방법.
- 폴리올레핀 분리막 상에 페놀 화합물의 중합체로 구성되는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페놀 화합물의 중합체는 페놀 화합물, 용매 및 산화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의 중합 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폴리올레핀 분리막의 열 수축 방지 방법. - 제19항에 있어서,
페놀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 내지 5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폴리올레핀 분리막의 열 수축 방지 방법: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메톡시기, 하이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시기 중 하나를 나타내고,
상기 R1 내지 R6 중 하나 이상은 하이드록시기를 나타내며,
[화학식 2]
상기 화학식 2에서, R7 내지 R1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메톡시기, 하이드록시기, 6탄당, 글루코람노즈 또는 람노글루코시드를 나타내고,
상기 R7 내지 R13 중 하나 이상은 하이드록시기를 나타내며,
[화학식 3]
상기 화학식 3에서, R14 내지 R2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메톡시기, 하이드록시기, 6탄당, 글루코람노즈, 람노글루코시드 또는 카르보닐기를 나타내고,
상기 R14 내지 R21 중 하나 이상은 하이드록시기를 나타내며,
[화학식 4]
상기 화학식 4에서, R22 내지 R2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하이드록시기를 나타내고,
상기 R22 내지 R28 중 하나 이상은 하이드록시기를 나타내며,
상기 Ra는 수소, 갈산 에스터 또는 이의 유도체, 하이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시기를 나타내고,
[화학식 5]
상기 화학식 5에서, R29 내지 R3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메톡시기 또는 하이드록시기를 나타내고,
상기 R29 내지 R31 중 하나 이상은 하이드록시기를 나타내며,
Rb는 알케닐렌기를 나타내고, RC는 하이드록시기 또는 하나 이상의 하이드록시기로 치환된 사이클로헥산카르복시산의 잔기를 나타낸다. - 제19항에 있어서,
페놀 화합물은 다이제인(daizein), 다이진(daidzin), 글리시테인(glycitein), 글리시틴(glycitin), 제니스테인(genistein), 제니스틴(genistin), 카테킨(catechin), 카테킨 갈레이트(catechin gallate), 에피갈로카테킨(epigallocatechin), 에피카테킨(epicatechin),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picatechin gallate),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크리신(chrysin), 루틴(rutin), 아피게닌(apigenin), 루테올린(luteolin), 캄프페롤(kaempferol), 퀘세틴(quercetin), 미리세틴(myricetin), 나리진(naringgin), 나린제닌(naringenin), 탁시폴린(taxifolin), 시아니딘(cyanidin), 말비딘(malvidin), 갈산(gallic acid), 프로토카테쿠인산(protocatechuic acid), 바닐릭산(vanillic acid), P-하이드록시벤조산(P-hydroxybenzoic acid), 엘라그산(ellagic acid), 실린산(syringic acid), 겐티신산(gentisic acid), 살리실산(salicylic acid), 페룰산(ferulic acid), 카페인산(caffeic acid), 쿠마르산(co㎛aric acid), 탄닌산(tannic acid), 시나핀산(sinapic acid), 카테콜(catechol), 피로갈올(pyrogallol) 및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인 폴리올레핀 분리막의 열 수축 방지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57336A KR101958644B1 (ko) | 2013-05-21 | 2013-05-21 | 폴리올레핀 분리막 및 그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57336A KR101958644B1 (ko) | 2013-05-21 | 2013-05-21 | 폴리올레핀 분리막 및 그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36807A KR20140136807A (ko) | 2014-12-01 |
KR101958644B1 true KR101958644B1 (ko) | 2019-03-15 |
Family
ID=52456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57336A Active KR101958644B1 (ko) | 2013-05-21 | 2013-05-21 | 폴리올레핀 분리막 및 그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5864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201607A1 (ko) * | 2020-04-03 | 2021-10-07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리튬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92138B1 (ko) * | 2015-01-28 | 2017-01-02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리튬이차전지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
KR101792682B1 (ko) | 2015-11-05 | 2017-11-02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CN107331825B (zh) * | 2017-07-13 | 2020-05-12 | 厦门大学 | 一种高安全陶瓷隔膜的制备及其在锂离子电池中的应用 |
KR102132756B1 (ko) | 2017-12-06 | 2020-07-1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전지 분리막 코팅용 슬러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분리막 |
KR102207526B1 (ko) | 2018-02-19 | 2021-01-2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리튬-황 전지용 분리막,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
KR102277377B1 (ko) * | 2018-05-11 | 2021-07-14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난연성 이차전지용 분리막 |
CN109037547A (zh) * | 2018-06-28 | 2018-12-18 | 合肥国轩高科动力能源有限公司 | 基于邻苯二酚的三元共聚物改性陶瓷隔膜及其制备和应用 |
CN108847467B (zh) * | 2018-06-29 | 2021-05-07 | 安徽省徽腾智能交通科技有限公司 | 一种锂电池隔膜的制备方法 |
CN113097651A (zh) * | 2018-06-29 | 2021-07-09 | 安徽省徽腾智能交通科技有限公司 | 一种锂离子电池隔膜 |
KR102567584B1 (ko) * | 2018-07-09 | 2023-08-17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난연성 무기물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분리막 |
CN109244328A (zh) * | 2018-09-25 | 2019-01-18 | 合肥先杰新能源科技有限公司 | 锂离子电池隔膜及其制备方法 |
KR102419160B1 (ko) | 2019-05-09 | 2022-07-08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분산제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02963A (ja) * | 2000-01-20 | 2001-07-27 |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 鉛蓄電池 |
JP2002203532A (ja) * | 2000-11-02 | 2002-07-19 | Hitoshi Kanazawa | 電池用セパレー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電池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76862B1 (ko) * | 2007-11-21 | 2010-08-2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향상된 저장성능을 가지는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
-
2013
- 2013-05-21 KR KR1020130057336A patent/KR101958644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02963A (ja) * | 2000-01-20 | 2001-07-27 |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 鉛蓄電池 |
JP2002203532A (ja) * | 2000-11-02 | 2002-07-19 | Hitoshi Kanazawa | 電池用セパレー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電池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201607A1 (ko) * | 2020-04-03 | 2021-10-07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리튬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36807A (ko) | 2014-12-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58644B1 (ko) | 폴리올레핀 분리막 및 그의 제조방법 | |
Mittal et al. | Transient rechargeable battery with a high lithium transport number cellulosic separator | |
Xia et al. | A newly designed composite gel polymer electrolyte based on poly (vinylidene fluoride‐hexafluoropropylene)(PVDF‐HFP) for enhanced solid‐state lithium‐sulfur batteries | |
KR100723391B1 (ko) | 고분자 전해질막 및 이를 구비한 연료전지 | |
KR100813242B1 (ko) | 고분자 전해질막,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연료전지 | |
CN106233512B (zh) | 用于锂离子电池的改性的瓜尔糖粘合剂 | |
Tang et al. | Highly safe electrolyte enabled via controllable polysulfide release and efficient conversion for advanced lithium–sulfur batteries | |
Zheng et al. | Ionic liquid-enhanced solid state electrolyte interface (SEI) for lithium–sulfur batteries | |
Girard et al. | Sustainable, dendrite free lithium‐metal electrode cycling achieved with polymer composite electrolytes based on a poly (Ionic liquid) host | |
JP2007107003A (ja) | イオン伝導性架橋共重合体、高分子電解質膜、膜電極接合体および燃料電池 | |
JP4537065B2 (ja) | プロトン伝導性電解質膜、その製造方法および燃料電池における使用 | |
Raj et al. | Bio‐Based Solid Electrolytes Bearing Cyclic Carbonates for Solid‐State Lithium Metal Batteries | |
García‐Gaitán et al. | Flexible gel polymer electrolytes based on carboxymethyl cellulose blended with polyvinyl alcohol or polyacrylic acid for zinc‐air batteries | |
WO2014137207A1 (en) | A method of producing a polytetrafluoroethylene adhesive polymer membrane | |
CN106299507B (zh) | 锂离子电池 | |
Mikhailenko et al. | Properties of SPEEK based membranes modified with a free radical scavenger | |
CN107834089A (zh) | 一种可用于膜燃料电池的高温质子交换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 |
JP2006156041A (ja) | ブレンド架橋型高分子電解質膜 | |
Morancho et al. | Thermal analysis of enhanced poly (vinyl alcohol)‐based proton‐conducting membranes crosslinked with sulfonation agents for direct methanol fuel cells | |
Buchmüller et al. | Antioxidants in non-perfluorinated fuel cell membranes: prospects and limitations | |
Naren et al. | Functional Polymers as Artificial Solid Electrolyte Interfaces for Stabilizing Lithium Metal Anode | |
KR101218567B1 (ko) | 가교화 고분자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해질 막 | |
JP2019172770A (ja) | 導電性高分子組成物、導電性高分子薄膜の製造方法 | |
Meabe et al. | New Insights on the Origin of Chemical Instabilities Between Poly (carbonate)‐based Polymer and Li‐containing Inorganic Materials | |
KR100612897B1 (ko) | 프로톤 전도성 전해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2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2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5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6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1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3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3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