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58531B1 - 조명 장치, 조명 장치 조정 시스템, 조명 장치 조정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조명 장치, 조명 장치 조정 시스템, 조명 장치 조정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8531B1
KR101958531B1 KR1020167032605A KR20167032605A KR101958531B1 KR 101958531 B1 KR101958531 B1 KR 101958531B1 KR 1020167032605 A KR1020167032605 A KR 1020167032605A KR 20167032605 A KR20167032605 A KR 20167032605A KR 101958531 B1 KR101958531 B1 KR 101958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ickup
imaging
irradiation
light source
road surfa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2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6915A (ko
Inventor
요헤이 고지마
겐타 나카오
히로유키 나카야마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 기카이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 기카이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 기카이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46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6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8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853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21S8/08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with lighting device attached sideways of the standard, e.g. for roads and highw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2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with provision for adjustment, e.g. for foc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5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optical camera components
    • H04N5/225
    • H04N5/238
    • H05B37/02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Studio Devic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조명 장치는, 노면을 주행하는 차량의 진행 방향 전방측 또는 후방측으로부터 해당 차량을 조사 가능하도록, 노면 상에 있어서의 소정의 조사 범위를 조사하는 조명 장치로서, 상기 조사 범위에 포함되는 복수의 조사 구획의 각각을 조사하도록 설치되고, 각각이 조사 조건을 독립해서 조정 가능한 복수의 광원부(210)에 의해 구성되는 발광부(21)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조명 장치, 조명 장치 조정 시스템, 조명 장치 조정 방법 및 프로그램{LIGHTING DEVICE, LIGHTING DEVICE ADJUSTMENT SYSTEM, LIGHTING DEVICE ADJUSTMENT METHOD, AND PROGRAM}
본 발명은, 차량이 주행하는 노면을 향해 투광하는 조명 장치와, 그 조명 장치 조정 시스템, 조명 장치 조정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4년 5월 27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허 출원 제 2014-109419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근래, 고속도로 등의 요금소에 있어, 주행하는 차량의 번호판을 촬상 장치로 촬상하고, 번호판에 기재된 차량 번호 정보 등을 취득하는 차량 감시 시스템(번호판 인식 시스템)이 운용되고 있다. 또, 이러한 번호판 인식 시스템에 있어서는, 촬상 장치가 번호판을 선명히 촬상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LED(Light Emitting Diode) 조명 등의 조명 장치가 별도 배치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조명 장치는, 고속도로 등의 노면 상을 주행하는 차량을 진행 방향 전방측 또는 후방측으로부터 조사 가능하도록 한 촬상 장치도 함께 설치된다. 이것에 의해, 촬상 장치는, 야간에도, 차량의 전면 또는 후면에 부착된 번호판을 선명히 촬상할 수 있다.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 2002-260165 호
상술의 번호판 인식 시스템에서는, 촬상 장치에 의해 가능한 한 많은 차량의 번호판을 선명히 촬상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촬상 장치의 촬상 범위의 어떤 영역에 촬상된 번호판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선명히 촬상되기 위해서는, 상기 조명 장치의 배광이, 그 촬상 범위 내에서 균일한 밝기(조도)로 되도록 조정되어야 한다. 그렇지만, 이러한 조명 장치는, 통상, LED 등의 점 광원으로 구성되는 한편, 피투광면(노면)은 평면이다. 그렇다면, 해당 점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피투광면에 도달하는 광의 강도는 저하하고, 해당 피투광면에 있어 조도가 균일하게 되는 영역은 극히 일부로 한정된다. 즉, 촬상 장치가 선명히 번호판을 촬상할 수 있는 범위가 좁아진다. 번호판을 선명히 촬상할 수 있는 범위가 좁으면 주행하는 모든 차량의 번호판을 취득하기 위해서 필요한 장치 대수가 증가해 버려, 전체의 비용이 증대한다.
또, 최근 소비 전력 개선의 측면에서, LED를 광원에 이용한 조명 장치가 일반적으로 되고 있지만, LED는 본래 지향성이 높은 광원이기 때문에, 피투광면에 있어 조도가 균일하게 되는 영역이 더 한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저비용으로, 조사 범위 내에 있어서의 조도 분포를 소망대로 조정할 수 있는 조명 장치, 조명 장치 조정 시스템, 조명 장치 조정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형태에 따르면, 조명 장치는, 노면을 주행하는 차량을 조사 가능하도록, 상기 노면 상에 있어서의 소정의 조사 범위를 조사하는 조명 장치로서, 상기 조사 범위에 포함되는 복수의 조사 구획의 각각을 조사하도록 설치되고, 각각의 조사 조건이 독립해서 조정 가능한 복수의 광원부에 의해 구성되는 발광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조명 장치에 의하면, 각 광원부에 대응하는 조사 구획별로 세밀하게 조도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1대의 조명 장치만으로, 차량이 주행하는 노면 상의 조사 범위 내에 있어서 소망의 조도 분포로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 2 형태에 따르면, 상술의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원부는, 상기 조사 조건으로서, 투광 방향, 발광 강도 및 조사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정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조명 장치에 의하면, 조사 조건으로서 광원부마다 투광 방향, 발광 강도 및 조사 시간 중 어느 것을 조정 가능하게 할 수 있으므로, 각 광원부에 대응하는 조사 구획별로 조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 3 형태에 따르면, 상술의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원부는, 상기 발광부의 종 방향 및 횡 방향으로 각각 2개 이상 배치된다.
이러한 조명 장치에 의하면, 조사하는 영역과의 거리가 큰 광원부만큼 그 발광 강도를 강하게 설정함으로써, 차선폭 방향의 조도 분포와, 차량의 진행 방향의 조도 분포의 양쪽을 소망대로 조정할 수 있으므로, 조도 분포가 조정 가능해지는 영역을 더 확대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 4 형태에 따르면, 조명 장치 조정 시스템은, 조명 장치와, 상기 조명 장치의 노면 상에 있어서의 소정의 조사 범위를 촬상 가능한 촬상 장치와, 반사율이 서로 동일한 피촬상면을 구비하고, 상기 촬상 장치에 해당 피촬상면이 촬상되도록, 상기 조사 범위 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피촬상 기준 부재와, 상기 촬상 장치가 촬상하여 얻은 촬상 데이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피촬상 기준 부재의 피촬상면이 촬상된 영역에 있어서의 명도가 균일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조사 조건 판정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조명 장치 조정 시스템에 의하면, 촬상 데이터 중 복수의 피촬상 기준 부재의 피촬상면이 촬상된 영역에 있어서의 명도가 균일한지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조사 범위 내에 있어서 소망의 조도 분포로 되어 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 5 형태에 따르면, 상술의 조명 장치 조정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는, 상술의 조명 장치로서, 상기 피촬상 기준 부재는, 상기 복수의 광원부의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조사 구획마다 설치된다.
이러한 조명 장치 조정 시스템에 의하면, 촬상 데이터 중 피촬상면이 촬상된 영역마다의 명도와, 광원부마다의 조사 조건을 대응시키면서 조정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조정 작업의 부담을 더 경감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 6 형태에 따르면, 조명 장치 조정 방법은, 반사율이 서로 동일한 피촬상면을 구비한 복수의 피촬상 기준 부재를, 조명 장치의 노면 상에 있어서의 소정의 조사 범위 내에 설치하여, 해당 조사 범위를 촬상하고, 해당 촬상에 의해 얻은 촬상 데이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피촬상 기준 부재의 피촬상면이 촬상된 영역에 있어서의 명도가 균일한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판정의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조명 장치의 조사 조건을 조정한다.
이러한 조명 장치 조정 방법에 의하면, 촬상 데이터 중 복수의 피촬상 기준 부재의 피촬상면이 촬상된 영역에 있어서의 명도가 균일한지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조사 범위 내에 있어서 소망의 조도 분포로 되어 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 7 형태에 따르면, 프로그램은, 조명 장치와, 상기 조명 장치의 노면 상에 있어서의 소정의 조사 범위를 촬상 가능한 촬상 장치와, 반사율이 서로 동일한 피촬상면을 구비하고, 상기 촬상 장치에 해당 피촬상면이 촬상되도록, 상기 조사 범위 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피촬상 기준 부재를 갖는 조명 장치 조정 시스템의 컴퓨터를, 상기 촬상 장치가 촬상하여 얻은 촬상 데이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피촬상 기준 부재의 피촬상면이 촬상된 영역에 있어서의 명도가 균일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조사 조건 판정 수단으로서 기능하게 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에 의하면, 촬상 데이터 중 복수의 피촬상 기준 부재의 피촬상면이 촬상된 영역에 있어서의 명도가 균일한지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조사 범위 내에 있어서 소망의 조도 분포로 되어 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상술의 조명 장치, 조명 장치 조정 시스템, 조명 장치 조정 방법 및 프로그램에 의하면, 저비용으로, 조사 범위 내에 있어서의 조도 분포를 소망대로 조정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번호판 인식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는 제 1 도면이다.
도 4(b)는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는 제 2 도면이다.
도 5는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는 제 3 도면이다.
도 6은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제 1 도면이다.
도 7은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제 2 도면이다.
도 8(a)는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는 제 1 도면이다.
도 8(b)는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는 제 2 도면이다.
도 9는 제 2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 3 실시 형태에 따른 번호판 인식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 3 실시 형태에 따른 피촬상 기준 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 3 실시 형태에 따른 피촬상 기준 부재의 배치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 3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수집 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제 3 실시 형태에 따른 조사 조건 판정부의 처리를 설명하는 제 1 도면이다.
도 15는 제 3 실시 형태에 따른 조사 조건 판정부의 처리를 설명하는 제 2 도면이다.
도 16은 제 3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수집 장치의 처리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제 4 실시 형태에 따른 번호판 인식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제 4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의 부착 각도 조정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제 4 실시 형태에 따른 각도 조정용 지그(jig)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제 4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수집 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제 4 실시 형태에 따른 조도 분포 시뮬레이터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2(a)는 제 4 실시 형태에 따른 지그 설정치 연산부의 기능을 설명하는 제 1 도면이다.
도 22(b)는 제 4 실시 형태에 따른 지그 설정치 연산부의 기능을 설명하는 제 2 도면이다.
<제 1 실시 형태>
이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는, 조명 장치가 갖는 면 형상의 발광부를 복수의(예를 들면 가로 세로 3개씩의) 소영역으로 분할하고, 해당 소영역에 포함되는 광원별로 발광 강도를 독립해서 조정 가능하게 하는 조명 장치이다.
[전체 구성]
도 1은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번호판 인식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번호판 인식 시스템(100)은, 촬상 장치(1), 조명 장치(2) 및 이들을 지지하는 부착 지주(3)과, 다른 영역에 설치된 정보 수집 장치(4)를 구비하고 있다.
번호판 인식 시스템(100)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반 도로나 유료 도로 등의 차선 상에 설치되는 설비이다. 번호판 인식 시스템(100)은, 예를 들면, 차선(102)의 노면(S) 상을 주행하는 차량(101)의 진행 방향 후방측으로부터 차량(101)의 후면측의 번호판을 촬상하고, 해당 촬상 데이터로부터 차량(101)의 차량 번호 정보 등을 취득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상 장치(1)는, 노면(S) 상의 소정의 촬상 범위를 촬상 가능하도록, 부착 지주(3)에 설치되어, 차선(102)을 주행하는 차량(101)의 진행 방향 후방측으로부터 번호판을 포함한 후면을 촬상한다. 여기서 「촬상 범위」 란, 촬상 장치(1)가 취득하는 촬상 데이터 내에 포함되는 노면(S) 상의 범위이다. 따라서, 촬상 장치(1)는, 해당 촬상 범위 내를 주행하는 차량(101)의 번호판을 촬상 가능하게 한다.
차량(101)의 번호판이 촬상된 촬상 데이터(후술하는 촬상 데이터(P))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서, 다른 영역(예를 들면, 요금소 사무소 등)에 설치된 정보 수집 장치(4)로 출력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명 장치(2)는, 노면(S) 상의 소정의 조사 범위를 조사 가능하도록, 촬상 장치(1)와 함께 부착 지주(3)에 설치된다. 여기서 「조사 범위」 란, 조명 장치(2)가 노면(S) 상을 밝게 비추는 것이 가능한 범위이다. 또, 조명 장치(2)의 조사 범위는, 촬상 장치(1)의 촬상 범위를 모두 포함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조명 장치(2)는, 해당 촬상 범위에 있어서의 촬상 화상의 명도가 기대되는 정도의 값으로 되도록, 조사 범위 내의 조도 분포를 소망대로 조정 가능하게 한다. 이것에 의해, 촬상 장치(1)는, 해당 촬상 범위 중 어느 개소에서 촬상되는 차량에 대해서도, 번호판의 선명한 촬상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또, 조명 범위에 있어서 그 조도 분포를 소망대로 조정 가능하게 하는 조명 장치(2)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부착 지주(3)는, 그 기단이 차선(102)의 외측의 노면에 고정 설치되고, 위쪽에 있어서 차선(102)의 내측으로 연장하는 지지 기둥이다. 부착 지주(3)에는, 상술한 촬상 장치(1) 및 조명 장치(2)가 설치된다.
또, 부착 지주(3)는, 예로서, 도 1에 나타내는 외기둥의 캔틸레버라도 좋고, 차선(102)을 폭방향으로 걸쳐서 설치되는 갠트리(gantry) 등이어도 좋다.
정보 수집 장치(4)는, 입력된 촬상 데이터에 대해, 촬상된 번호판에 쓰여진 차량 번호 정보 등을 추출하는 처리 등을 실시한다. 또, 정보 수집 장치(4)는, 추출한 차량 번호 정보를, 시각 정보나 촬상 위치(촬상 장치(1)의 식별자) 등의 정보와 함께 기억, 축적한다. 이와 같이 수집된 차량 번호 정보는, 예를 들면, 부정 교통 차량의 특정 등에 도움이 된다.
[조명 장치의 구성]
도 2는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2)는, 대략 사각형의 케이스(20)의 정면에 면 형상의 발광부(21)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면 형상의 발광부(21)는, 적외 파장 영역의 광을 방사 가능하게 하는 적외선 LED(21a)가 평면 형상의 실장 기판(21b)의 일면에 다수 배열되어 구성된다. 발광부(21)는, 이 적외선 LED(21a)에 직류 전류가 공급됨으로써 해당 직류 전류에 따른 발광 강도의 적외광이 방사되어, 소정의 조사 범위를 조사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발광 강도」 란, 광원부(210)(즉 적외선 LED(21a))로부터 방사되는 적외광의 강도의 정도이며, 일반적인 물리량으로서는, 「방사속」 (단위 : W) 등에 의해 표시된다. 또, 광원부(210)가 가시광선을 방사하는 경우는, 해당 「발광 강도」 는, 「광속」 (단위 : 루멘) 등으로 표시해도 좋다.
발광부(21)는, 가로 세로로 3구분씩 격자 형상의 소영역으로 구분된 9개의 판 형상의 광원부(210)로 구성되어 있다. 9개의 광원부(210)는, 단일의 실장 기판(21b)에 의해 물리적으로 일체로 되어 있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류 조정부(23)(도 3)에 의해, 각각 독립해서 적외광의 발광 강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복수의 광원부(210)는, 조명 장치(2)의 조사 범위를 복수로 분할한 조사 구획의 각각을 주로 조사한다.
도 3은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2)는, 케이스(20)의 내부에, 발광부(21), 설정 입력부(22), 전류 조정부(23), 및 전력 공급부(24)를 구비하고 있다.
발광부(21)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9개의 광원부(210)에 의해 구성된다. 발광부(21)의 각 광원부(210)는, 전류 조정부(23)로부터 직류 전류가 공급됨으로써 발광(적외광을 방사)한다. 또, 광원부(210)(적외선 LED(21a))는, 공급되는 직류 전류에 비례하여 발광 강도가 증감한다.
설정 입력부(22)는, 작업자의 설정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 패널이다. 설정 입력부(22)는, 작업자가 입력하는 설정 입력치에 따른 설정치를 전류 조정부(23)에 제공한다. 여기서, 설정 입력치란, 각 광원부(210)의 각각에 공급하는 전류치이다.
전류 조정부(23)는, 전력 공급부(24)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토대로 직류 전류를 생성하여 각 광원부(210)로 공급한다. 여기서, 전류 조정부(23)는, 설정 입력부(22)에서 광원부(210)마다 설정된 전류치를, 각각 대응하는 광원부(210)로 공급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작업자는, 설정 입력부(22)를 통해서 각 광원부(210)의 각각에 공급하는 전류치를 개별적으로 설정함으로써, 9개의 광원부(210) 각각의 조사 조건인 발광 강도를 독립해서 조정할 수 있다.
전력 공급부(24)는, 조사의 토대가 되는 전력을 전류 조정부(23)로 공급한다. 전력 공급부(24)는, 예를 들면, 접속된 전력 계통으로부터 전력의 입력을 접수하는 수전 회로나, 조명 장치(2)에 내장되는 축전지, 또는 이들의 조합이어도 좋다.
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광원부(210)마다의 공급 전류의 대소 관계를 설명하는 경우에는, 소정의 공급 전류치 [A]를 기준(100%)으로 한 백분율[%]에 의해 나타낸다.
[작용 효과]
도 4(a), 도 4(b), 도 5는, 각각,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는 제 1, 제 2, 제 3 도이다.
이하의 작용 효과의 설명에서는, 소망의 조도 분포를 얻는 일례로서, 노면(S) 상에 있어 균일한 조도 분포를 얻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4(a)에서는, 모든 광원부(210)의 공급 전류를 소정치(100%)로 일정하게 설정한 경우에 있어서의 노면(S) 상의 조도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또, 이 설정은, 종래의 조명 장치에 의한 조사를 모의하고 있다.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원부(210)의 공급 전류를 공통(100%)으로 한 경우, 광원부(210)마다의 발광 강도는 균일하게 된다. 이 경우, 각 광원부(210)는 각각에 대응하는 조사 구획을 동등하게 조사하는 결과,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진 노면(S) 상에 있어서는 통상의 점 광원의 특성을 나타낸다. 즉, 발광부(21)로부터 거리가 가까운 영역에 조도가 높은 스폿(도 4(a)에 있어 「명」 의 영역)이 나타나고, 해당 스폿으로부터 거리가 떨어짐에 따라 방사상으로 조도가 떨어지는 특성으로 된다. 이러한 조도 분포 때문에, 노면(S)에 있어서는, 특히 차선폭 방향으로 조도의 변화가 커진다. 예를 들면, 차선 L1를 주행하는 차량과 차선 L2를 주행하는 차량에 조사되는 광의 강도는 크게 달라져 버려, 촬상 장치(1)(도 1)에 있어서의 동일한 촬상 조건(셔터 속도, 조리개량 등)에 따라서는, 어느 한쪽의 차량 밖에 번호판을 선명히 촬상할 수 없다(도 4(a)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2)는, 공급 전류를 광원부(210)별로 조정할 수 있다. 그래서, 예를 들면, 차선폭 방향의 좌우의 광원부(210)로의 공급 전류를 기준치보다 높게 설정하고(예를 들면 120%), 차선폭 방향 중앙의 광원부(210)로의 공급 전류를 기준치보다 낮게 설정한다(예를 들면 60%). 이와 같이 설정하면, 발광부(21)의 우측 또는 좌측에 배치되는 광원부(210)는, 각각, 차선폭 방향 오른쪽 근처 또는 왼쪽 근처의 조사 구획을 더 밝게 조사하고, 한편, 발광부(21)의 중앙에 배치되는 광원부(210)는, 차선 방향 중앙 부근의 조사 구획의 조도를 저하시킨다. 그 결과, 노면(S) 상에 있어서의 조도 분포는, 전체적으로 차선폭 방향으로 균일화된다(도 4(b) 참조). 이러한 조도 분포에 의하면, 예를 들면 차선 L1를 주행하는 차량과 차선 L2를 주행하는 차량에 조사되는 광의 강도는 거의 균일하게 되기 때문에, 촬상 장치(1)는, 어느 차량도 동등의 촬상 조건으로 선명히 촬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2)는, 차선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광원부(210)마다의 공급 전류를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종래(도 4(a))와 비교하여, 차선폭 방향의 조도 분포를 균일화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2)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101)의 진행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생기는 조도 분포를 균일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높이 방향에 있어서 가장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광원부(210)는, 차량의 진행 방향 전방측의 조사 구획(조사 구획 Aa)을 조사한다. 마찬가지로, 높이 방향에 있어서 중앙에 배치되는 광원부(210)는 조사 구획 Ab를, 가장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광원부(210)는 진행 방향 후방측의 조사 구획(조사 구획 Ac)을 조사한다. 이 경우, 모든 광원부(210)가 균일한 공급 전류(100%)인 경우, 진행 방향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측(조사 구획 Ac로부터 조사 구획 Aa)에 걸쳐 서서히 조도가 저하하는 특성으로 된다.
그렇지만,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높이 방향에 있어서 가장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광원부(210)로의 공급 전류를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하고(예를 들면 120%), 가장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광원부(210)로의 공급 전류를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한다(예를 들면 80%). 이와 같이 함으로써, 노면(S) 상의 조사 구획까지의 거리가 떨어져 있는 광원부(210)만큼 발광 강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조사 범위 전체(조사 구획 Aa~Ac)에 걸쳐 균일한 조도 분포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2)는, 면 형상의 발광부(21)에 있어서 격자 형상의 소영역으로 구분된 9개의 광원부(210)별로 독립해서 발광 강도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조명 장치(2)의 조사 범위의 조도를, 각 광원부(210)에 대응하는 조사 구획별로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도 4(a), 도 4(b),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1대의 조명 장치만으로, 차선폭 방향 및 차량의 진행 방향의 양쪽에 걸쳐서 광범위하게 조도를 균일화시키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2)는, 발광부(21)를 구분한 소영역(광원)별로 전류 공급량을 조정하는 전류 조정부(23)를 갖는 것 외는, 종래의 조명 장치와 다르지 않은 구성이기 때문에, 통상의 조명 장치와 비교하여 제조 비용이 극단적으로 증가하지 않는다.
또,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2)의 작용 효과로서, 노면(S) 상에 있어 균일한 조도 분포를 얻는 것이 가능한 것을 설명했지만, 이것은 일례이며, 다른 조도 분포를 얻는 것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면, 촬상 장치(1)가 취득한 촬상 화상의 명도가 보다 균일하게 되도록, 조명 장치(2)의 투광 방향에 있어서의 가까운 쪽의 조도가 상대적으로 낮고, 먼 쪽의 조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조도 분포로 되도록 조정해도 좋다.
이상,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에 따르면, 저비용으로, 조사 범위 내에 있어서의 조도 분포를 소망대로 조정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2)는, 발광부(21)가 가로 세로의 양쪽에 격자 형상으로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차선폭 방향 뿐만 아니라 차량의 진행 방향(투광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 대한 조도 분포를 조정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조사하는 영역과의 거리가 큰 광원부(210)만큼 그 발광 강도를 강하게 설정함으로써, 조도 분포를 소망대로 조정할 수 있는 영역을 더 확대시킬 수 있다.
또, 상술의 조명 장치(2)는, 설정 입력부(22)를 통해서, 작업자 본인이 공급 전류(즉 광원부(210)마다의 발광 강도)를 설정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이러한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2)(전류 조정부(23))는,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서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설정 정보에 근거하여, 광원부(210)마다의 공급 전류를 결정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 전력 공급부(24)는, 케이스(20)의 내부가 아니라, 케이스(20)와는 다른 케이스로 하여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조명 장치(2)의 내부에 있어서의 발열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술의 조명 장치(2)는, 각 광원부(210)가 단일의 실장 기판(21b)에 의해 물리적으로 일체로 되어 있었지만,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광원부(210)마다, 물리적으로 분리한 복수의 실장 기판(21b)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어도 좋다.
또, 조명 장치(2)가 조사하는 광은 적외광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가시광선 등이어도 좋다.
또, 조명 장치(2)는, 조사 조건으로서, 상술한 「발광 강도」 이외에, 촬상 장치(1)의 촬상 처리시에 있어서의 「조사 시간」을 조정 가능하게 해도 좋다. 또, 이 경우, 조명 장치(2)는, 「발광 강도」 및 「조사 시간」을 조합하여 조정해도 좋다. 이와 같이, 촬상 처리시에 있어서의 조사 시간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서도, 조사 범위 내에 있어서의 조도 분포를 조정할 수 있다.
발광 강도 그 자체의 조정 범위는 유한이기 때문에, 발광 강도의 조정만으로는 소망의 조도 분포로 할 수 없는 경우가 상정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조사 조건으로서 「발광 시간」을 조정함으로써, 조도 분포의 조정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제 2 실시 형태>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는, 면 형상의 발광부를 소영역으로 분할하고, 해당 소영역에 포함되는 광원별로 발광 강도를 독립해서 조정 가능하게 했지만,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는, 해당 소영역마다 광(적외광)의 투광 방향을 독립해서 변경 가능하게 한다.
[조명 장치의 구성]
도 6, 도 7은,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제 1, 제 2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2)는, 제 1 실시 형태와 같이, 대략 사각형의 케이스(20)의 정면에 면 형상의 발광부(21)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발광부(21)는, 가로 세로로 3구분씩 격자 형상의 소영역으로 구분된 9개의 광원부(210)로 구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광원부(210)의 구성은, 광원부(210)마다 실장 기판(21b)이 물리적으로 분리해서 배치되어 있는 것 외는,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광원부(210)(실장 기판(21b))는, 투광 방향을 독립해서 변경 가능하게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장 기판(21b)의 초기 배치(도 6의 XZ 평면에 평행한 면)로부터 ±X 방향 및 ±Z 방향을 축으로 하여 소정 각도까지 회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광원부(210)는, 실장 기판(21b)의 이면(-Y 방향측의 면) 측에 있어서 제 1 축 가동부(25) 및 제 2 축 가동부(26)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축 가동부(25)에는,±X 방향을 따라 형성된 수평 삽입구(25a), 및 ±Y 방향을 따라 형성된 수직 삽입구(25b)가 마련되어 있다. 제 1 축 가동부(25)의 수평 삽입구(25a)에는, 케이스(20)에 고정된 수평 삽입축(20a)이 삽입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축 가동부(25)는, 케이스(20)를 기준으로 하여, 수평 삽입축(20a)의 연장 방향을 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제 1 축 가동부(25)의 수직 삽입구(25b)에는, 제 2 축 가동부(26)의 일부인 수직 삽입축(26a)이 삽입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2 축 가동부(26)는, 제 1 축 가동부(25)를 기준으로 하여, 수직 삽입축(26a)의 연장 방향을 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 2 축 가동부(26)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합면(26b)을 갖고 실장 기판(21b)의 이면측에 고착된다.
실장 기판(21b)은, 상술의 제 1 축 가동부(25) 및 제 2 축 가동부(26)를 통해서 케이스(20)에 연결됨으로써, 면이 향하는 방향을 ±X축 중심, ±Z축 중심의 양쪽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작업자는, 광원부(210)(실장 기판(21b))의 방향을 개별적으로 조정함으로써, 9개의 광원부(210) 각각의 조사 조건인 투광 방향을 독립해서 조정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장 기판(21b)의 가동 기구는 일례이며, 광원부(210)의 방향을 개별적으로 조정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면 다른 상이한 구성이어도 상관없다.
[작용 효과]
도 8(a), 도 8(b)는, 각각,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는 제 1, 제 2 도면이다.
여기서, 도 8(a)는, 모든 광원부(210)의 실장 기판(21b)의 면이 차선폭 방향과 평행으로 되도록,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 설정은, 종래의 조명 장치에 의한 조사를 모의하고 있다.
이 경우, 도 4(a)와 마찬가지로, 각 광원부(210)는 각각에 대응하는 조사 구획을 동등하게 조사하는 결과,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진 노면(S) 상에 있어 통상의 점 광원의 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노면(S) 상에 있어서의 조도 분포는 스폿 형상으로 되어, 조도가 균일하게 되는 범위는 좁아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2)는, 투광 방향을 광원부(210)별로 조정할 수 있다. 그래서, 예를 들면,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 진행 방향 좌측의 광원부(210)의 투광 방향을 왼쪽 근처로 조정함과 아울러, 우측의 광원부(210)의 투광 방향을 오른쪽 근처로 조정한다. 이와 같이 설정하면, 발광부(21)의 우측 또는 좌측으로 배치되는 광원부(210)에 대응하는 조사 구획이 더 우측 또는 좌측으로 쉬프트하여, 스폿 형상으로 집중하고 있던 광이 분산한다. 그 결과, 노면(S) 상에 있어서의 조도 분포는, 전체적으로 차선폭 방향으로 균일화된다(도 8(b) 참조). 이러한 조도 분포에 의하면, 예를 들면 차선 L1를 주행하는 차량과 차선 L2를 주행하는 차량에 조사되는 광의 강도는 균일하게 되기 때문에, 촬상 장치(1)는, 어느 차량도 동등의 촬상 조건으로 선명히 촬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2)는, 차선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광원부(210)마다의 투광 방향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종래(도 8(a))와 비교하여, 차선폭 방향의 조도 분포를 균일화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2)는, 면 형상의 발광부(21)에 있어서 격자 형상의 소영역으로 구분된 9개의 광원별로 독립해서 투광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각 광원부(210)에 대응하는 조사 구획의 위치를 조정하여, 조사 범위 전체의 크기나 형상을 유연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작업자는, 조도 분포가 광범위해지고 균일하게 되도록 조사 범위의 크기, 형상을 조정할 수 있다.
<제 2 실시 형태의 변형예>
또,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2)는, 제 1 실시 형태(도 3)와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게 함으로서, 동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와 마찬가지로, 광원부(210)마다의 발광 강도를 독립해서 제어 가능하게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광원부(210)마다의 투광 방향과 발광 강도의 양쪽이 조정 가능해지므로, 조도 분포의 조정 범위를 더 확대할 수 있다.
[작용 효과]
도 9는, 제 2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조명 장치(2A, 2B, 2C)는, 촬상 장치(1)와 함께 부착 지주(3)에 부착되어 지지되어 있다. 촬상 장치(1)는 도 9에 나타내는 소정의 촬상 범위 R를 촬상한다. 또, 부착 지주(3)가 외기둥이기 때문에, 조명 장치(2A, 2B, 2C)는, 모두 한쪽의 차선(차선 L1)에 치우쳐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2A, 2B, 2C)에 의하면, 도 9와 같이, 모든 조명 장치가 한쪽의 차선에 치우쳐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다른쪽의 차선도 포함한 촬상 범위 R의 전체 범위에 있어서 조도 분포가 균일하게 되도록 조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작업자는, 우선, 조명 장치(2A)의 9개의 광원부(210)의 투광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각각에 대응하는 조사 구획(a1)의 위치를, 촬상 범위 R에 정합시키도록 조정한다. 마찬가지로, 작업자는, 조명 장치(2B, 2C)의 각 광원부(210)의 투광 방향을 변경하여, 각각에 대응하는 조사 구획(b1, c1)의 위치를 촬상 범위 R에 맞추도록 조정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3개의 조명 장치(2A, 2B, 2C)는, 각각의 조사 범위 A, B, C의 형상을 촬상 범위 R의 형상에 일치시키도록 개별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2A, 2B, 2C)에 의하면, 또한 광원부(210)의 발광 강도를 개별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원은, 각 조사 구획(a1, b1, c1)마다의 조도가 균일하게 되도록 발광 강도를 조정한다. 예를 들면, 조명 장치(2A, 2B, 2C)로부터 대응하는 조사 구획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광원부(210)의 발광 강도를 증가시킨다(도 5 참조). 이와 같이 함으로써, 조사 범위 A, B, C의 전체 범위, 즉 촬상 범위 R의 전체 범위에 있어 조도 분포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2)에 의하면, 조사 구획마다의 위치 및 조도를 개별적으로 설정함으로써, 조사 범위 A, B, C의 크기, 형상을 자유롭게 변경 가능하게 하면서, 또한 그 범위 전체에 있어서 소망하는 조도 분포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촬상 범위 R의 전체 범위를 균일하게 조사함에 있어서, 조명 장치의 대수를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어 설치 비용을 더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상술의 제 1 실시 형태,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면 형상의 발광부(21)가 가로 세로 3구분씩(3×3)으로 분할된 9개의 광원부(210)에 의해 구성되는 예를 설명했지만,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러한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2)의 발광부(21)는, 2×2, 3×2 등, 보다 적은 구분수로 분할되어 있어도 좋고, 4×3 등, 보다 많은 구분수로 분할되어 있어도 좋다. 또, 복수의 광원부(210)는, 반드시 격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광원부(210)를 세로 또는 가로 일렬만으로 복수 배치하거나 발광부(21) 내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하거나 해도 좋다.
또, 상술의 제 1 실시 형태,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조명 장치(2)는, 차량의 진행 방향 후방측으로부터 차량(101)의 후면을 조사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차량(101)의 전면을 조사하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다만 이 경우, 촬상 장치(1)는, 조명 장치(2)와 마찬가지로, 차량(101)의 진행 방향 전방 측에 있어서, 해당 차량(101)의 번호판을 포함한 전면을 촬상 가능하게 하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한다.
또, 조명 장치(2)는, 조사 조건으로서 「발광 강도」, 「조사 시간」 및 「투광 방향」의 적어도 2개를 조합하여 조정해도 좋다.
<제 3 실시 형태>
제 3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제 1 실시 형태,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의 조사 조건(발광 강도, 투광 방향, 발광 시간)을 결정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조명 장치 조정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 조정 시스템은, 이하에 설명하는 번호판 인식 시스템(100A)에 내장되어 있는 형태로서 설명한다.
[전체 구성]
도 10은, 제 3 실시 형태에 따른 번호판 인식 시스템(조사 조건 조정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번호판 인식 시스템(100A)은, 촬상 장치(1), 조명 장치(2) 및 이들을 지지하는 부착 지주(3)와, 다른 영역에 설치된 정보 수집 장치(4)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번호판 인식 시스템(100A)은, 통상의 처리(차량 번호 정보의 수집 처리)에 더하여, 조명 장치(2)의 조사 조건의 조정 작업을 서포트하기 위한 동작 모드인 「조사 조건 조정 모드」를 선택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번호판 인식 시스템(100A)은, 해당 「조사 조건 조정 모드」가 선택되었을 때의 처리 동작에 근거하여 「조사 조건 조정 시스템」으로서 기능한다.
또, 이 조사 조건 조정 모드에 있어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면(S) 상에 복수의 피촬상 기준 부재(41)가 배치된다. 이 피촬상 기준 부재(41)의 구조 및 배치의 방법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피촬상 기준 부재에 대한 설명]
도 11은 제 3 실시 형태에 따른 피촬상 기준 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촬상 기준 부재(41)는, 사각형 형태로 형성된 피촬상면(41a)과, 노면(S)에 접해 케이스 전체를 지지하는 지지면(41b)을 가지고 있다. 피촬상면(41a)과 지지면(41b)은, 직각으로 접히도록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지지면(41b)이 노면(S)에 접해서 배치됨으로써, 피촬상면(41a)이 노면(S)에 대해서 수직으로 서도록 설치된다.
노면(S) 상에 설치되는 피촬상 기준 부재(41)의 피촬상면(41a)은, 모두 동일한 재질, 표면 상태로 하고, 그 반사율이 서로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피촬상면(41a)은,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번호판과 동일한 재질 또는 표면 상태로 해도 좋다.
도 12는 제 3 실시 형태에 따른 피촬상 기준 부재의 배치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는, 제 1 실시 형태, 제 2 실시 형태(및 그 변형예)에 따른 조명 장치와 동일한 조명 장치이다. 즉, 조명 장치(2)의 발광부(21)는, 가로 세로 3개씩으로 구분된 9개의 광원부(210)로 구성되고, 해당 광원부(210)별로 독립해서 조사 조건을 변경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내는 조명 장치(2B)를 조정의 대상으로 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 조명 장치(2B)의 발광부(21)를 구성하는 복수의 광원부(210)는, 조사 범위 B 중 각각 대응하는 9개의 조사 구획(b1)을 조사하고 있다. 이 경우에 있어, 피촬상 기준 부재(41)는, 피촬상면(41a)이 촬상 장치(1)에 촬상되도록 대향해서 배치되면서, 노면(S) 상에 있어서의 조사 범위 B의 조사 구획(b1)마다 복수 설치된다(도 12 참조).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복수의 광원부(210)의 각각의 조사 조건과, 각 피촬상 기준 부재(41)의 촬상 상태를 대체로 일대일로 대응지을 수 있다.
[정보 수집 장치의 구성]
도 13은 제 3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수집 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수집 장치(4)는, 통신부(400), 모드 선택부(401), 정보 추출부(402), 기억부(403), 조사 조건 판정부(404)를 구비하고 있다.
통신부(400)는, 무선 또는 유선을 통해서 촬상 장치(1)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 모듈이다. 정보 수집 장치(4)는, 통신부(400)를 통해서 촬상 장치(1)가 취득한 촬상 데이터(P)(P')를 취득한다.
모드 선택부(401)는, 소정의 입력 수단(키보드, 터치 패널 등)을 통해서, 작업자에 의한 입력 조작을 접수하여, 해당 입력에 따라서 번호판 인식 시스템(100)의 동작 모드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모드 선택부(401)는, 작업자의 입력 조작에 의해, 주행하는 차량(번호판)을 촬상하여 차량 정보 등을 추출하는 「차량 정보 수집 모드」와, 조명 장치(2)의 조사 조건의 조정 작업을 행하기 위한 「조사 조건 조정 모드」를 선택 가능하게 한다.
조명 장치(2)의 조사 조건의 조정 작업을 행하고 싶은 경우, 작업자는, 입력 수단을 통해서 「조사 조건 조정 모드」를 선택한다.
정보 추출부(402)는, 모드 선택부(401)에 있어서 「차량 정보 수집 모드」가 선택되고 있을 때, 통신부(400)를 통해서 촬상 장치(1)가 취득한 촬상 데이터(P)를 접수한다. 여기서, 촬상 데이터(P)는, 차선(102)의 노면(S) 상을 주행하는 차량(101)의 번호판이 촬상된 촬상 데이터이다. 정보 추출부(402)는, 취득한 촬상 데이터(P)에 소정의 해석 처리(예를 들면, OCR(Optical Character Reader) 처리)를 실시하여, 해당 촬상 데이터(P) 중 번호판이 촬상된 영역으로부터 차량 번호 정보 등을 추출한다. 정보 추출부(402)는, 추출한 차량 정보에 시각 정보, 위치 정보 등을 관련지어서 기억부(403)에 기억, 축적한다.
조사 조건 판정부(404)는, 모드 선택부(401)에 있어서 「조사 조건 조정 모드」가 선택되고 있을 때, 통신부(400)를 통해서 촬상 장치(1)가 취득한 촬상 데이터(P')를 접수한다. 여기서, 촬상 데이터(P')는, 노면(S) 상에 배치된 복수의 피촬상 기준 부재(41)가 촬상된 촬상 데이터이다. 조사 조건 판정부(404)는, 복수의 피촬상 기준 부재(41)가 촬상된 촬상 데이터(P')를 취득하여, 해당 촬상 데이터(P') 중 피촬상면(41a)이 촬상된 영역에 있어서의 명도가 균일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또, 조사 조건 판정부(404)는, 디스플레이 모니터 등의 통지 수단을 통해서, 작업자에게 판정 결과를 통지한다.
조사 조건 판정부(404)의 구체적인 판정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조사 조건 판정부의 기능]
도 14, 도 15는, 제 3 실시 형태에 따른 조사 조건 판정부의 처리를 설명하는 제 1, 제 2 도면이다.
도 14, 도 15의 각각은, 조사 조건 조정 모드에 있어서, 촬상 장치(1)에 의해 취득된 촬상 데이터(P')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4,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상 데이터(P')에는, 노면(S) 상에 설치된 9개의 피촬상 기준 부재(41)의 피촬상면(41a)(도 11)이 촬상되어 있다.
조사 조건 판정부(404)는, 이러한 촬상 데이터(P')에 대해, 해당 촬상 데이터(P') 중 피촬상면(41a)이 촬상된 9개의 영역(판정 영역(p1~p9))을 추출함과 아울러, 9개의 판정 영역(p1~p9)의 각각의 명도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범위(고정 명도 범위 Bc)에 들어가 있는지 여부의 판정 처리를 실시한다. 또, 고정 명도 범위 Bc는, 미리 정해진 최대 판정 임계치 Bcmax와, 최소 판정 임계치 Bcmin의 차(Bc=Bcmax-Bcmin)로 정해진다.
우선, 도 14에 나타내는 촬상 데이터(P')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의 조사 조건 판정부(404)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조사 조건 판정부(404)는, 촬상 데이터(P')의 입력을 접수하면, 우선 취득된 촬상 데이터(P') 중 피촬상 기준 부재(41)의 피촬상면(41a)이 촬상된 영역인 판정 영역(p1~p9)을 추출한다. 그리고, 조사 조건 판정부(404)는, 촬상 데이터(P')를 구성하는 화소마다의 명도 정보에 근거하여, 판정 영역(p1~p9)마다의 명도를 산출한다.
여기서, 도 14에 나타내는 촬상 데이터(P')에서는, 피촬상면(41a)이 촬상된 판정 영역(p1~p9)의 명도가 각각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판정 영역(p1)은 명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되어 있는 한편, 판정 영역(p6~p9)은 상대적으로 명도가 낮게 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판정 영역(p2~p5)의 명도만이, 미리 정해진 소정의 범위(고정 명도 범위 Bc)에 들어가 있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조사 조건 판정부(404)는, 판정 영역(p1) 및 판정 영역(p6~p9)에 있어서의 명도가 고정 명도 범위 Bc에 들어가지 않는다고 판정하고, 촬상 장치(1)의 촬상 영역에 있어 소망하는 조도 분포로 되지 않은 취지를 통지한다.
다음으로, 도 15에 나타내는 촬상 데이터(P')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의 조사 조건 판정부(404)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조사 조건 판정부(404)는, 도 14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촬상 데이터(P')의 입력을 접수하면, 취득된 촬상 데이터(P') 중 판정 영역(p1~p9)을 추출함과 아울러, 판정 영역(p1~p9)마다의 명도를 산출한다.
여기서, 도 15에 나타내는 촬상 데이터(P')에서는, 피촬상면(41a)이 촬상된 판정 영역(p1~p9)의 명도가 균일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판정 영역(p1~p9)의 명도 모두가, 고정 명도 범위 Bc에 들어가 있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조사 조건 판정부(404)는, 판정 영역(p1~p9)에 있어서의 모든 명도가 고정 명도 범위 Bc에 들어가 있는 것으로 판정하고, 촬상 장치(1)의 촬상 영역에 있어서 소망하는 조도 분포로 되어 있다는 취지를 통지한다.
[정보 수집 장치의 처리 플로우]
도 16은, 제 3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수집 장치의 처리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정보 수집 장치(4)의 모드 선택부(401)는, 현재 선택되어 있는 동작 모드를 참조한다(스텝 S01). 여기서, 「차량 정보 수집 모드」가 선택되어 있었을 경우(스텝 S01 : NO), 정보 수집 장치(4)의 통신부(400)는, 촬상 장치(1)로부터 촬상 데이터(P)의 입력을 접수한다(스텝 S02). 이 경우, 입력된 촬상 데이터(P)에는, 주행하는 차량(101)의 번호판이 촬상되어 있다.
모드 선택부(401)는 입력된 촬상 데이터(P)를 정보 추출부(402)로 출력한다. 정보 추출부(402)는, 이 촬상 데이터(P)에 대해, 차량 번호 정보의 추출 처리를 실시하여, 새롭게 추출한 정보를 기억부(403)에 기억, 축적하고(스텝 S03),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조사 조건 조정 모드」가 선택되어 있었을 경우(스텝 S01 : YES), 통신부(400)는 촬상 장치(1)로부터 촬상 데이터(P')의 입력을 접수한다(스텝 S04). 이 경우, 촬상의 전단계에 있어, 미리 피촬상 기준 부재(41)가, 조정을 실시하려고 하는 조명 장치(2)에 대응하는 조사 구획마다 배치되어 있고, 촬상 데이터(P')에는, 해당 피촬상 기준 부재(41)의 피촬상면(41a)이 촬상되어 있다.
모드 선택부(401)는 입력된 촬상 데이터(P')를 조사 조건 조정부(44)로 출력한다. 조사 조건 조정부(44)는, 이 촬상 데이터(P')에 대해, 판정 영역(p1~p9)(도 14, 도 15 참조)의 추출 처리, 및 해당 판정 영역(p1~p9)에 있어서의 명도의 산출 처리를 실시한다(스텝 S05).
조사 조건 판정부(404)는, 추출된 모든 판정 영역(p1~p9)에 있어서의 명도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범위 내(고정 명도 범위 Bc)에 들어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06). 여기서, 복수의 판정 영역(p1~p9)에 있어서의 명도가 고정 명도 범위 Bc에 들어가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스텝 S06 : YES, 도 15 참조), 조사 조건 판정부(404)는, 소정의 통지 수단(디스플레이 모니터 등)을 통해서, 조명 장치(2)가 조사하는 조명 범위에 있어서 소망하는 조도 분포로 되어 있다는 취지의 통지를 행하고(스텝 S07),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복수의 판정 영역(p1~p9)의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 명도가 고정 명도 범위 Bc에 들어가지 않았다고 판정했을 경우(스텝 S06 : NO, 도 14 참조), 조사 조건 판정부(404)는, 통지 수단을 통해서, 조명 장치(2)가 조사하는 조명 범위에 있어서 소망하는 조도 분포로 되어 있지 않다는 취지의 통지를 행하고(스텝 S08), 스텝 S04(촬상 데이터 취득 처리)로 돌아온다.
이러한 처리 플로우에 의하면, 판정 영역(p1~p9)의 어느 것에 있어서 명도가 소정의 범위 내에 들어가 있지 않은 경우(스텝 S06 : NO)는, 스텝 S04~스텝 S08의 처리가 반복된다. 작업자는, 이 사이에, 조명 장치(2)(발광부(21))의 조사 조건(발광 강도, 투광 방향 또는 조사 시간)을 조정한다. 그리고, 조사 조건이 적절히 조정되어, 모든 판정 영역(p1~p9)에서 명도가 소정의 범위 내에 들어갔을 경우(스텝 S06 : YES)에는, 조사 범위 내에 있어서 소망하는 조도 분포로 되었다는 취지의 통지를 행하여 처리가 종료된다.
[작용 효과]
이상과 같은 번호판 인식 시스템(100A)에 의하면, 실제로 촬상 장치(1)에 취득된 촬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조명 장치(2)의 조사 조건을 조정할 수 있다. 즉, 노면(S) 상에 배치된 피촬상 기준 부재(41)의 촬상 상태(명도)를 참조하면서, 이러한 촬상이 균일하게 촬상되어 있는 것을 가지고 최적인 조사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조사 조건을 세밀하게 설정 가능한 조명 장치에 대해, 해당 조사 조건을 결정할 때의 부담을 큰폭으로 경감시킬 수 있다.
또, 상술의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촬상 장치(1)가 촬상 데이터(P')를 취득할 때, 피촬상 기준 부재(41)는, 조명 장치(2)의 조사 범위에 포함되는 복수의 조사 구획마다 복수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하나의 광원부(210)의 조사 조건에 따라서, 해당 광원부(210)의 조사 구획에 대응하는 하나의 판정 영역(p1~p9)의 명도가 크게 변화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촬상 데이터(P') 중 피촬상면이 촬상된 영역(판정 p1~p9)마다의 명도와, 광원부(210)마다의 조사 조건을 어느 정도 대응시키면서 조정할 수 있어, 작업자의 조정 작업의 부담을 한층 경감시킬 수 있다.
또, 상기의 설명에 있어서, 제 3 실시 형태에 따른 조사 조건 조정 시스템은, 번호판 인식 시스템(100A)에 내장되어, 「조사 조건 조정 모드」로 동작함으로써, 그 기능을 발휘하는 형태로서 설명했지만,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이러한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조사 조건 조정 시스템은, 번호판 인식 시스템(100A)과는 별도로 설치되는 형태이어도 좋다. 이 경우, 조사 조건 조정 시스템은, 정보 수집 장치(4)의 조사 조건 판정부(404)에 상당하는 기능을 갖는 다른 장치(조사 조건 판정 장치)를 별도 구비한다. 또한, 해당 조사 조건 판정 장치는, 촬상 장치(1)로부터 조사 조건 판정용의 촬상 데이터(P')를 취득하여, 조도 분포의 판정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한다.
또,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조사 조건 판정 장치의 설치 개소는, 정보 수집 장치(4)의 설치 개소(요금소 사무소 등)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작업자가 조사 조건을 조정중에 실시간으로 판정 결과를 확인 가능한 개소에 설치되는 것이어도 좋다.
또, 제 3 실시 형태에 따른 조사 조건 조정 시스템은, 촬상 데이터(P')의 각 판정 영역(p1~p9)에 있어서의 명도의 「절대 평가」를 실시하는 것, 즉, 각 명도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범위 내(고정 명도 범위 Bc)에 들어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으로서 설명했다. 그러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조사 조건 조정 시스템에서는 이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조사 조건 판정부(404)는, 촬상 데이터(P')의 각 판정 영역(p1~p9)에 있어서의 명도의 「상대 평가」를 행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조사 조건 판정부(404)는, 각 판정 영역(p1~p9)에 있어서의 명도 중, 최대의 명도 Bmax와 최소의 명도 Bmin를 취득함과 아울러, 최대 명도차 ΔB(ΔB=Bmax-Bmin)를 산출한다. 조사 조건 판정부(404)는, 최대 명도차 ΔB가 소정의 판정 임계치 Bth 이하로 되어 있는 경우(ΔB≤Bth)에는, 촬상 데이터(P') 내의 명도가 거의 균일화되고, 조사 범위가 소망하는 조도 분포로 되어 있다는 취지의 통지를 행한다(스텝 S07). 한편, 조사 조건 판정부(404)는, 최대 명도차 ΔB가 소정의 판정 임계치 Bth를 상회하고 있는 경우(ΔB>Bth)에는, 촬상 데이터(P') 내의 명도가 균일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조사 범위가 소망하는 조도 분포로 되어 있지 않다는 취지의 통지를 행한다(스텝 S08).
「절대 평가」 의 경우, 태양광이나, 주위 조명(가로등 등)등의 영향에 의해, 조명 장치(2) 단일체의 조사 조건을 정밀도 좋게 평가할 수 없는 경우가 상정된다. 또, 상기와 같은 주위 환경이나, 조명 장치(2) 본체의 위치와 촬상 범위와의 거리 등에 따라서는, 판정 기준을 충족하는 조도 분포를 얻을 수 없을 가능성도 있다. 한편, 상술과 같은 「상대 평가」로 함으로써, 태양광이나 주위 조명의 영향을 받고 있어도, 조명 장치(2) 단일체의 배광에 근거하여 명도가 균일하게 되어 있는지 여부의 판정을 할 수 있다.
또, 조사 조건 판정부(404)는, 또한, 상술의 「절대 평가」와 「상대 평가」를 조합하여 판정 처리를 행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조사 조건 판정부(404)는, 각 판정 영역(p1~p9)에 있어서의 명도가 고정 명도 범위 Bc에 들어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함과 아울러, 추가로, 고정 명도 범위 Bc내에 있어서, 최대 명도차 ΔB가 판정 임계치 Bth 이하로 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해도 좋다.
또, 제 3 실시 형태에 따른 조사 조건 조정 시스템은, 촬상 데이터(P') 내의 명도가 균일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단지, 조사 범위가 소망하는 조도 분포로 되어 있지 않다는 취지의 통지를 행할(스텝 S08)뿐, 실제의 조정 작업은 작업자가 수동으로 행하는 것으로서 설명했다. 그러나,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취득된 각 판정 영역(p1~p9)에 있어서의 명도의 대소 관계에 근거하여, 조사 조건을 자동으로 변경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수집 장치(4)는, 새롭게, 조사 조건 판정부(404)의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조명 장치(2)의 조사 조건을 자동으로 조정 가능하게 하는 조사 조건 조정부를 갖는다.
여기서, 조사 조건 판정부(404)는, 예를 들면, 판정 영역(p1~p9)에 있어서의 명도 중 최대의 명도로 되어 있는 판정 영역 px와, 최소의 명도로 되어 있는 판정 영역 pn를 특정하고, 해당 판정 영역 px, pn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조사 조건 조정부로 출력한다. 조사 조건 조정부는, 판정 영역 px, pn를 나타내는 정보를 접수하면, 조명 장치(2)를 향해서, 판정 영역 px에 대응하는 광원부(210)의 발광 강도를 일정량 저하시키는 지령 신호를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조사 조건 조정부는, 조명 장치(2)를 향해서, 판정 영역 pn에 대응하는 광원부(210)의 발광 강도를 일정량 증가시키는 지령 신호를 출력한다. 또, 해당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2)의 설정 입력부(22)(도 3)는, 상기 조사 조건 조정부로부터의 지령 신호를 접수함과 아울러, 해당 지령 신호에 따른 설정치를 전류 조정부(23)(도 3)에 제공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한다.
조사 조건 조정부로부터의 지령 신호가 조사 조건에 반영된 후, 통신부(400)가, 새롭게 촬상 장치(1)가 취득한 촬상 데이터(P')를 접수한다. 조사 조건 판정부(404)는, 새롭게 취득된 촬상 데이터(P')에 대해 상기의 판정 처리를 반복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촬상 데이터(P')에 있어서의 명도 분포의 판정 결과에 따라서, 명도 분포가 균일하게 되도록 조사 조건이 자동 조정되므로, 작업자의 조정 작업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설명에서는, 조사 조건 조정 시스템(번호판 인식 시스템(100A))은, 제 1, 제 2 실시 형태 등에 따른 조명 장치, 즉, 세밀하게 구분된 광원부(210)별로 조사 조건을 설정 가능하게 하는 조명 장치에 대해, 조사 조건의 조정을 행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이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술의 조사 조건 조정 시스템은, 발광부의 조사 조건을 세밀하게 설정 변경할 수 없는 종래의 조명 장치를 조정 대상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면, 상기 종래의 조명 장치를 복수 설치하여 하나의 촬상 장치(1)의 촬상 범위를 조사하는 경우, 복수의 종래의 조명 장치의 각각이 조사하는 조사 범위마다 피촬상 기준 부재(41)를 배치한다. 그리고, 해당 종래의 조명 장치의 각각의 조사 조건을, 촬상 장치(1)가 취득한 촬상 데이터(P')의 명도 분포의 판정 결과에 따라 조정하도록 해도 좋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조사 조건 조정 시스템은, 촬상 데이터(P')에 있어서의 판정 영역(p1~p9)의 명도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범위 내에 들어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조사 조건 판정부(404)를 갖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조사 조건 조정 시스템은, 이 조사 조건 판정부(404)를 필요로 하지 않는 형태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작업자는, 단순히, 촬상 데이터(P')에 포함되는 판정 영역(p1~p9)의 명도가 균일하게 되어 있는지 여부를 눈으로 판단하면서, 조명 장치(2)의 조사 조건을 조정하도록 해도 좋다.
또, 상기의 설명에 있어서, 피촬상 기준 부재(41)는, 광원부(210)의 각각에 대응하는 조사 구획마다 배치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이 피촬상 기준 부재(41)는, 반드시 조사 구획마다 배치되지 않아도 좋다. 즉, 피촬상 기준 부재(41)는, 광원부(210)의 각각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지 않아도, 촬상 장치(1)의 촬상 범위 내의 조도를 미리 정한 소정 조도로 하기 위한 지표로서 기능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
또, 상술의 피촬상 기준 부재(41)는, 피촬상면(41a)이 노면(S)에 대해서 수직으로 서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이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이륜차의 번호판을 고려하여, 노면(S)의 수직 방향에 대해, 피촬상면(41a)이 30°정도 상향으로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어도 좋다. 그 외, 피촬상 기준 부재(41)는, 촬상 장치(1)로 촬상됨과 아울러, 조명 장치(2)의 조사 조건을 정하는데 있어서 기준이 되는 것이면, 어떤 형태이어도 좋다.
<제 4 실시 형태>
제 4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제 1 실시 형태 또는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를 부착 지주에 부착할 때, 그 케이스를 소망의 부착 각도로 조정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각도 조정용 지그에 대해 설명한다.
[전체 구성]
도 17은 제 4 실시 형태에 따른 번호판 인식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번호판 인식 시스템(100B)은, 제 1 ~ 제 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촬상 장치(1), 조명 장치(2) 및 이들을 지지하는 부착 지주(3)와, 다른 영역에 설치된 정보 수집 장치(4)를 구비하고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명 장치(2)의 부착 지주(3)에의 부착 각도를 조정할 때에, 해당 조명 장치(2)의 천정면에 각도 조정용 지그(5)가 배치된다(도 17 참조).
[각도 조정 기구의 구성]
도 18은 제 4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의 부착 각도 조정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2)는, 헤드(27) 및 U 볼트(28)를 통해서 부착 지주(3)에 부착되어 있다.
헤드(27)는, 조명 장치(2)의 케이스(20)와 부착 지주(3)의 사이에 부착되어, 케이스(20)를 자유로운 방향을 향해 고정 가능하게 하기 위한 헤드이다.
헤드(27)는, 회전 기구(27a, 27b)를 각각 가짐으로써, 케이스(20)에 대해, 롤(roll)(Y축을 회전축으로 하는 회전 위치) 및 팬(pan)(Z축을 회전축으로 하는 회전 위치)의 조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도 18 참조). 또, 헤드(27)의 저면(-Z 방향측의 면)에는 U 볼트(28)이 부착된다. 이 U 볼트(28)는, 부착 지주(3)를 단단히 조이면서 헤드(27)의 저면에 연결됨으로써, 헤드(27) 및 케이스(20)를 부착 지주(3)에 고정 설치한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U 볼트(28)는, 부착 지주(3)를 단단히 조이면서 헤드(27)에 연결될 때에, 케이스(20)의 틸트(tilt)(X축을 회전축으로 하는 회전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한다.
[각도 조정용 지그의 구성]
도 19는 제 4 실시 형태에 따른 각도 조정용 지그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도 조정용 지그(5)는, 사각형 판 형상의 각도 조정면(5a)과, 그 모서리(정점)에 부착된 지지 다리(5b)를 가지고 있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도 조정면(5a)은, 2개의 수준기(50a, 50b)와, 방위 자석(50c) 및 방위 눈금(50d)을 가진다.
수준기(50a) 및 수준기(50b)는, 예를 들면 기포관 수준기로서, 각도 조정면(5a)이 수평면(XY 평면)과 평행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계측기이다. 예를 들면, 수준기(50a) 내의 기포의 위치를 판단함으로써, 각도 조정면(5a)이 ±X 방향에 대해서 경사져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 수준기(50b) 내의 기포의 위치를 판단함으로써, 각도 조정면(5a)이 ±Y 방향에 대해서 경사져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 방위 자석(50c)은 자침에 의해 자북(磁北)을 나타내는 계측기이다. 방위 눈금(50d)은, 방위 자석(50c)이 가리키는 자북의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각도 조정면(5a)의 팬(Z축을 회전축으로 하는 회전 위치)을 특정하기 위한 눈금이다.
또,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다리(5b)는, 각도 조정면(5a)의 각 정점으로부터 -Z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지지 다리(5b)는, 각각의 길이를 조정 가능하게 하는 신축 기구(51a)를 가지고 있다. 지지 다리(5b)는, 그 선단이 케이스(20)의 천정면에 고정되면서 각도 조정면(5a)을 지지한다.
[정보 수집 장치의 기능 구성]
도 20은 제 4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수집 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수집 장치(4)는, 새롭게 조도 분포 시뮬레이터(450)와, 지그 설정치 연산부(451)를 가지고 있다. 또, 다른 실시 형태와 동일한 기능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조도 분포 시뮬레이터(450)는, 이용자에 의한 설정 입력을 접수하여, 조명 장치 그 자체의 배광 특성, 발광 강도, 및 해당 조명 장치의 부착 위치나 각도에 근거하여, 조사 대상물에 있어서의 조도 분포를 모의(시뮬레이팅)하는 기능부이다.
또,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조도 분포 시뮬레이터(450)는,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기존의 조도 분포 시뮬레이션 소프트 등이어도 좋다.
지그 설정치 연산부(451)는, 조도 분포 시뮬레이터(450)에 의해 설정된 조명 장치(2)의 팬, 롤, 틸트의 각각의 값에 근거하여, 각도 조정용 지그(5)에 대한 설정치를 산출한다. 여기서, 각도 조정용 지그(5)에 대한 설정치는, 구체적으로는, 4개의 지지 다리(5b)의 각각의 길이와, 방위 자석(50c)의 자침이 가리키는 방위 눈금(50d)의 눈금수(즉, 자북을 기준으로서 각도 조정면(5a)이 향해야 할 방위)를 산출한다.
도 21은 제 4 실시 형태에 따른 조도 분포 시뮬레이터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작업자는, 실제로 조명 장치(2)의 부착 작업을 행하기 전에, 조도 분포 시뮬레이터(450)를 이용하여 소망하는 조도 분포를 얻기 위한 조명 장치(2)의 부착 각도 조건을 결정한다. 여기서, 예를 들면, 조도 분포 시뮬레이터(450)는,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도 분포를 모의한 화상을 표시한다. 이때, 조도 분포 시뮬레이터(450)는, 미리 기억된 조명 장치(2B)에 대한 조사 특성(발광 강도, 배광), 부착 높이(부착 지주(3)의 높이) 등의 각종 설정치, 및 작업자에게 입력되는 팬, 틸트, 롤의 각 입력 파라미터를 참조하여, 조명 장치(2B)에 대한 조사 범위 B를 시뮬레이팅(모의)한다. 작업자는, 조도 분포 시뮬레이터(450)가 표시하는 모의 화상(도 21)을 참조하면서, 조명 장치(2B)에 대해 소망하는 조사 범위 B를 조사하기 위한 부착 각도 조건(팬, 틸트, 롤)을 결정한다.
도 22(a), 도 22(b)는, 각각, 제 4 실시 형태에 따른 지그 설정치 연산부의 기능을 설명하는 제 1, 제 2 도면이다.
지그 설정치 연산부(451)는, 조도 분포 시뮬레이터(450)를 이용하여 결정된 조명 장치(2)에 대한 부착 각도(팬, 틸트, 롤)에 근거하여, 각도 조정용 지그(5)에 대응하는 지그 설정치를 연산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2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그 설정치 연산부(451)는, 롤치 θ와 각도 조정면(5a)의 장변의 길이 r을 참조하여, 지지 다리(5b)의 길이 d1, d2를 결정한다. 여기서 길이 d1, d2는, 차 Δd가, Δd=r·tanθ를 충족하도록 결정된다. 마찬가지로, 지그 설정치 연산부(451)는, 틸트치와, 각도 조정면(5a)의 단변의 길이에 근거하여 다른 지지 다리(5b)의 길이를 결정한다.
또, 도 2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그 설정치 연산부(451)는, 조도 분포 시뮬레이터(450)에 대해 결정된 팬 값에 근거하여 자북과의 각도차 φ를 산출한다.
[작용 효과]
작업자는, 조명 장치(2)의 부착 작업시, 이상에서 설명한 각도 조정용 지그(5)를 이용하여 작업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작업자는, 우선, 각도 조정용 지그(5)의 각 지지 다리(5b)를, 지그 설정치 연산부(451)가 산출한 지지 다리(5b)마다의 길이로 조절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지지 다리(5b)의 길이가 조절된 각도 조정용 지그(5)를 조명 장치(2)의 천정면에 배치하면서 해당 조명 장치(2)의 부착 작업을 행한다.
작업자는, 조명 장치(2)의 천정면에 배치된 각도 조정용 지그(5)의 수준기(50a, 50b)를 참조하면서 조명 장치(2)의 틸트 및 롤을 조정한다. 즉, 작업자는, 수준기(50a, 50b)에 의해 각도 조정면(5a)이 수평으로 되어 있는 것이 나타나 있는 것을 가지고, 부착 작업중의 조명 장치(2)가 미리 조도 분포 시뮬레이터(450)를 이용하여 결정한 틸트 및 롤의 조건을 충족하고 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방위 자석(50c)의 자침이 가리키는 방위와, 방위 눈금(50d)을 참조하면서 조명 장치(2)의 팬을 조정한다. 즉, 작업자는, 방위 자석(50c)의 자침이 방위 눈금(50d)에 대해 각도차 φ를 가리키는 것을 가지고, 해당 조명 장치(2)가 미리 결정한 팬의 조건을 충족하고 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작업자는, 각도 조정용 지그(5)를 이용하면서 미리 결정한 부착 각도에 맞추면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조명 장치(2)를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높은 곳에서 행해지는 작업자의 부착 작업의 부담이 경감된다.
또, 각도 조정용 지그(5) 전용의 연산 기능을 갖는 지그 설정치 연산부(451)를 이용함으로써, 조도 분포 시뮬레이터(450)에 의해 결정된 부착 각도 조건을 충족하기 위한 설정치(지지 다리(5b)의 길이 등)를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다.
이상,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각도 조정용 지그에 의하면, 작업자에 의한 부착 작업시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각도 조정용 지그(5)는, 수준기(50a, 50b) 및 방위 자석(50c)을 구비한 형태로서 설명했지만,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이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각도 조정용 지그(5)는, 수준기(50a, 50b)만을 구비하고, 방위 자석(50c)을 구비하지 않는 형태이어도 좋다. 수준기(50a, 50b)만을 구비한 각도 조정용 지그이어도, 적어도, 조명 장치(2)의 틸트 및 롤을 조정할 때의 부담을 경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각도 조정용 지그(5)는, 조명 장치(2)의 천정면에 배치되는 지그로서, 판 형상의 각도 조정면(5a)과, 각도 조정면(5a)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의 정도를 표시 가능한 수준기(50a, 50b)와, 각도 조정면(5a)으로부터 수직 아래 방향으로, 조명 장치(2)의 부착 각도에 따른 길이로 연장하고, 그 선단을 조명 장치(2)의 천정면에 접하면서 각도 조정면(5a)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 다리(5b)를 구비하고 있다.
또, 상술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조도 분포 시뮬레이터(450) 및 지그 설정치 연산부(451)는, 정보 수집 장치(4)에 내장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이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조도 분포 시뮬레이터(450), 지그 설정치 연산부(451)는, 정보 수집 장치(4)와는 상이한 다른 정보 처리 장치(범용의 퍼스널 컴퓨터 등)에 의해 실현되는 것이어도 좋다.
또,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각도 조정용 지그(5)는, 별도, 작업자 등이 조명 장치(2)를 실제로 설치하여 조사 실험 등을 행하면서 각 지지 다리(5b)의 길이를 결정해도 좋다.
또한, 각도 조정용 지그(5)의 각 지지 다리(5b)는, 반드시 그 길이를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즉, 각도 조정용 지그(5)는, 최초부터, 사전에 행해진 조사 실험이나 시뮬레이션 결과 등에 근거하여 결정된 다리의 길이에 맞춰서 제작된 것이어도 좋다.
상술의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정보 수집 장치(4)의 각 처리의 과정은, 프로그램의 형식으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억되어 있고, 이 프로그램을 컴퓨터가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상기 처리가 행해지는 형태이어도 좋다. 여기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란, 자기 디스크, 광학 자기 디스크,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을 말한다. 또, 이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신 회선에 의해 컴퓨터로 전달하고, 이 전달을 받은 컴퓨터가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의 몇개의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러한 실시 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이들 실시 형태는, 그 외의 여러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 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면 마찬가지로,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상술의 각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저비용으로, 조사 범위 내에 있어서의 조도 분포를 소망대로 조정할 수 있다.
1 : 촬상 장치 100, 100A, 100B : 번호판 인식 시스템
101 : 차량 102 : 차선
2 : 조명 장치 20 : 케이스
20a : 수평 삽입축 21 : 발광부
210 : 광원부 21a : 적외선 LED
21b : 실장 기판 22 : 설정 입력부
23 : 전류 조정부 24 : 전력 공급부
25 : 제 1 축 가동부 25a : 수평 삽입구
25b : 수직 삽입구 26 : 제 2 축 가동부
26a : 수직 삽입축 26b : 접합면
27 : 헤드 27a, 27b : 회전 기구
28 : U 볼트 3 : 부착 지주
4 : 정보 수집 장치 400 : 통신부
401 :모드 선택부 402 : 정보 추출부
403 : 기억부 404 : 조사 조건 판정부
41 : 피촬상 기준 부재 41a : 피촬상면
41b : 지지면 450 : 조도 분포 시뮬레이터
451 : 지그 설정치 연산부 5 : 각도 조정용 지그
5a : 각도 조정면 51a : 신축 기구
5b : 지지 다리 50a, 50b : 수준기
50c : 방위 자석 50d : 방위 눈금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조명 장치와,
    상기 조명 장치의 노면 상에 있어서의 소정의 조사 범위를 촬상 가능한 촬상 장치와,
    반사율이 서로 동일한 피촬상면을 구비하고, 상기 촬상 장치에 해당 피촬상면이 촬상되도록, 상기 조사 범위 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피촬상 기준 부재와,
    상기 촬상 장치가 촬상하여 얻은 촬상 데이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피촬상 기준 부재의 피촬상면이 촬상된 영역에 있어서의 명도가 균일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조사 조건 판정부
    를 구비하고,
    상기 피촬상 기준 부재의 상기 피촬상면은, 상기 노면에 대하여 경사하도록 설치되는
    조명 장치 조정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노면을 주행하는 차량을 조사 가능하도록, 상기 노면 상에 있어서의 소정의 조사 범위를 조사하는 조명 장치로서, 상기 조사 범위에 포함되는 복수의 조사 구획의 각각을 조사하도록 설치되고, 각각의 조사 조건을 독립해서 조정 가능한 복수의 광원부에 의해 구성되는 발광부를 구비하고,
    상기 피촬상 기준 부재는,
    상기 복수의 광원부의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조사 구획마다 설치되는
    조명 장치 조정 시스템.
  6. 반사율이 서로 동일한 피촬상면을 구비한 복수의 피촬상 기준 부재를, 조명 장치의 노면 상에 있어서의 소정의 조사 범위 내에 설치하여, 해당 조사 범위를 촬상하고,
    해당 촬상에 의해 얻은 촬상 데이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피촬상 기준 부재의 피촬상면이 촬상된 영역에 있어서의 명도가 균일한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판정의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조명 장치의 조사 조건을 조정하고,
    상기 피촬상 기준 부재의 상기 피촬상면은, 상기 노면에 대하여 경사하도록 설치되는
    조명 장치 조정 방법.
  7. 조명 장치와,
    상기 조명 장치의 노면 상에 있어서의 소정의 조사 범위를 촬상 가능한 촬상 장치와,
    반사율이 서로 동일한 피촬상면을 구비하고, 상기 촬상 장치에 해당 피촬상면이 촬상되도록, 상기 조사 범위 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피촬상 기준 부재
    를 갖고,
    상기 피촬상 기준 부재의 상기 피촬상면은, 상기 노면에 대하여 경사하도록 설치되는 조명 장치 조정 시스템의 컴퓨터를,
    상기 촬상 장치가 촬상한 촬상 데이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피촬상 기준 부재의 피촬상면이 촬상된 영역에 있어서의 명도가 균일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조사 조건 판정 수단
    으로서 기능하게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20167032605A 2014-05-27 2015-05-26 조명 장치, 조명 장치 조정 시스템, 조명 장치 조정 방법 및 프로그램 Active KR1019585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09419 2014-05-27
JP2014109419A JP6300019B2 (ja) 2014-05-27 2014-05-27 照明装置調整システム、照明装置調整方法及びプログラム
PCT/JP2015/065055 WO2015182588A1 (ja) 2014-05-27 2015-05-26 照明装置、照明装置調整システム、照明装置調整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6915A KR20160146915A (ko) 2016-12-21
KR101958531B1 true KR101958531B1 (ko) 2019-03-14

Family

ID=54698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2605A Active KR101958531B1 (ko) 2014-05-27 2015-05-26 조명 장치, 조명 장치 조정 시스템, 조명 장치 조정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300019B2 (ko)
KR (1) KR101958531B1 (ko)
MY (1) MY183248A (ko)
WO (1) WO20151825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67040A (ja) * 2016-03-17 2017-09-21 日本ゼオン株式会社 異物の検出方法、異物の検出装置、エラストマーの製造方法およびエラストマーの製造装置
DE102016122492A1 (de) * 2016-11-22 2018-05-24 HELLA GmbH & Co. KGaA Erzeugung einer homogenen Lichtverteilung in Abhängigkeit von der Topografie und der gemessenen Leuchtdichte
EP3567425B1 (en) * 2017-01-06 2024-05-01 Fuji Corporation Illumination device for image capturing
JP2019176427A (ja) * 2018-03-29 2019-10-10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物体検出システムの調整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7215455B2 (ja) * 2020-04-15 2023-01-31 株式会社ダイフク 洗車機
EP3985302A1 (en) * 2020-10-14 2022-04-20 NoelleLED Sp. z o.o. Adjustable handle for mounting the light fitting of a road lamp and road lamp
EP4567326A1 (en) 2022-08-04 2025-06-11 NEC Corporation Illumination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58659A (ja) 2006-12-21 2008-07-10 Mitsubishi Heavy Ind Ltd 車両撮影装置
JP2010009842A (ja) * 2008-06-25 2010-01-14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照明器具
JP2012230769A (ja) 2011-04-25 2012-11-22 Hiroshi Mizuguchi 照明装置
JP2014010336A (ja) 2012-06-29 2014-01-20 Panasonic Corp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5282A (ja) * 1995-01-13 1996-07-3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装置
JPH10335072A (ja) * 1997-05-30 1998-12-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装置
JP4511750B2 (ja) 2001-02-27 2010-07-2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車両監視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58659A (ja) 2006-12-21 2008-07-10 Mitsubishi Heavy Ind Ltd 車両撮影装置
JP2010009842A (ja) * 2008-06-25 2010-01-14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照明器具
JP2012230769A (ja) 2011-04-25 2012-11-22 Hiroshi Mizuguchi 照明装置
JP2014010336A (ja) 2012-06-29 2014-01-20 Panasonic Corp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83248A (en) 2021-02-18
JP6300019B2 (ja) 2018-03-28
JP2015225764A (ja) 2015-12-14
KR20160146915A (ko) 2016-12-21
WO2015182588A1 (ja) 2015-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8531B1 (ko) 조명 장치, 조명 장치 조정 시스템, 조명 장치 조정 방법 및 프로그램
CN101487224B (zh) 高速路况检测车
CN104554341B (zh) 检测轨道平顺度的系统和方法
WO2013133033A1 (ja) 輝度測定装置
CN103194956A (zh) 道路检测车及利用其进行道路检测的方法
CN1809852A (zh) 粒子检测器
CN109211536A (zh) 用于瞄准车灯的方法和设备
JP6527772B2 (ja) 空間光測定方法及び空間光測定システム
CN107702793A (zh) 一种光斑光分布的测试系统和测试方法
JP2010025855A (ja) 軌道変位測定装置
JP5722073B2 (ja) 自己発光型ターゲット及び変位計測システム
CN104374316A (zh) 具有激光扫描功能的影像测量装置
JP5566516B2 (ja) 軌道変位測定装置
KR102283679B1 (ko) 차량용 led램프 측정시스템
JP2001040625A (ja) 路面標示装置
WO2015129676A1 (ja) 照明システム、ナンバープレート認識システム、照明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6027740A1 (ja) 照度測定システム
EP3832533A1 (en) Face illumina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JP5722721B2 (ja) 建設機械用センサ装置
JP5746116B2 (ja) 車両用監視装置
JP2008209289A (ja) ダストモニタの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
CN107816974B (zh) 隧道入口行车视距测量装置及测量方法
JPH11304483A (ja) 波高計測方法及び装置
JP4148506B2 (ja) 光源の光度測定システム
KR102595418B1 (ko) 도로포장의 파손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손탐지장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2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6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28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3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3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