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3686B1 - 부화소를 렌더링하는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부화소를 렌더링하는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53686B1 KR101953686B1 KR1020120074188A KR20120074188A KR101953686B1 KR 101953686 B1 KR101953686 B1 KR 101953686B1 KR 1020120074188 A KR1020120074188 A KR 1020120074188A KR 20120074188 A KR20120074188 A KR 20120074188A KR 101953686 B1 KR101953686 B1 KR 1019536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b
- pixel
- user
- ray
- ey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93—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for monitoring data relating to the user, e.g. head-tracking, eye-tracking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44—Processing image signals for flicker reduc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5—Processing image signals for colour aspects of image sign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24—Colour aspec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6—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라 영상 처리 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영상 처리 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복수의 방향으로 광선을 출력하는 라이트필드 디스플레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수평 방향의 디스플레이에 포함된 두 개의 3D 화소에서 출력된 광선이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에 입력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수평 방향의 디스플레이에 포함된 한 개의 3D 화소에서 출력된 광선이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에 입력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수평 방향의 디스플레이의 3D 화소를 이용하여 부화소의 신호 레벨을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부화소에서 출력된 중심 광선이 광학 필터를 통과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부화소에서 출력된 중심 광선에서 대표 광선을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수평 방향의 디스플레이의 부화소를 이용하여 부화소의 신호 레벨을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부화소의 응답 특성을 나타내는 가시성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가시성 그래프에서 색상별로 동일한 색상을 표시하는 부화소들 중 최대값을 도시한 가시성 그래프이다.
도 13은 도 11의 가시성 그래프에서 동일한 색상을 표시하는 부화소들 중 이웃하는 부화소끼리의 합의 최대값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2 및 도 13의 가시성 그래프에서 그린(Green)의 부화소를 모델링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그래프를 통해 부화소의 신호 레벨을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일실시예에 따라 영상 처리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영상 처리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102: 영상 처리 장치
103: 라이트필드 디스플레이
Claims (41)
- 디스플레이에 표현된 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의 눈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표현할 제1 라이트필드(light field)를 결정하는 라이트필드 결정부; 및
상기 사용자의 눈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라이트필드를 상기 디스플레이가 표현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제2 라이트필드로 변환하는 라이트필드 변환부
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필드 결정부는,
상기 사용자의 눈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포함된 부화소로부터 출력되는 중심 광선 중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중심 광선인 대표 광선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라이트필드를 결정하는 영상 처리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광선은,
상기 부화소의 중심점으로부터 최대 밝기를 나타내는 방향으로 출력되고,
상기 대표 광선은,
상기 부화소의 위치에서 사용자의 눈 위치로의 방향에 일치하거나 또는 상기 부화소의 위치에서 사용자의 눈 위치로의 방향에 가장 인접하는 중심 광선을 포함하는 영상 처리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필드 변환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포함된 부화소의 위치와 상기 사용자의 눈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부화소의 기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기준 정보와 상기 대표 광선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라이트필드를 제2 라이트필드로 변환하는 영상 처리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화소의 기준 정보는,
상기 부화소의 수평 방향의 위치와 상기 사용자의 눈의 수평 방향 위치를 연결하는 기준 정보 또는
상기 부화소의 수직 방향의 위치와 상기 사용자의 눈의 수직 방향 위치를 연결하는 기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 광선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면에 배치된 광학 필터에 의해 중심 광선이 특정 방향으로 결정되면, 상기 결정된 방향의 중심 광선으로부터 선택되는 영상 처리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 광선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후면에 배치된 광학 필터로부터 발생한 광선의 방향에 의해 중심 광선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결정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에 대응하는 중심 광선으로부터 선택되는 영상 처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필드 변환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포함된 부화소마다 설정된 최대 밝기값인 가시성 정보를 증가시킴으로써 부화소를 렌더링하는 영상 처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필드 변환부는,
부화소의 밝기값이 최대로 증가된 경우, 부화소를 원래 밝기값으로 표현하고, 밝기값이 최대가 아닌 정도로 증가된 경우, 부화소를 최대로 증가된 경우에 비례하여 밝기값을 감소시키는 영상 처리 장치. - 사용자의 눈 위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에 포함된 부화소의 대표 광선을 결정하는 대표 광선 결정부;
상기 사용자의 눈 위치와 상기 부화소의 위치를 이용하여 기준 정보를 결정하는 기준 정보 결정부; 및
상기 대표 광선과 기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부화소의 신호 레벨을 조절하는 부화소 렌더링부
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 광선 결정부는,
상기 사용자의 눈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부화소에서 광학 필터를 통해 출력되는 중심 광선들 중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중심 광선을 상기 부화소의 대표 광선으로 결정하는 영상 처리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광선은,
상기 부화소의 중심점으로부터 최대 밝기를 나타내는 방향으로 출력되고,
상기 대표 광선은,
상기 부화소의 위치에서 사용자의 눈 위치로의 방향에 일치하거나 또는 상기 부화소의 위치에서 사용자의 눈 위치로의 방향에 가장 인접하는 중심 광선을 포함하는 영상 처리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정보 결정부는,
상기 사용자의 눈 위치와 상기 부화소의 위치를 연결한 가상선을 기준 정보로 결정하는 영상 처리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정보 결정부는,
상기 부화소의 수평 방향의 위치와 상기 사용자의 눈의 수평 방향 위치를 연결한 가상선 또는 상기 부화소의 수직 방향의 위치와 상기 사용자의 눈의 수직 방향 위치를 연결한 가상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기준 정보를 결정하는 영상 처리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화소 렌더링부는,
상기 대표 광선과 기준 정보를 비교한 각도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부화소의 신호 레벨을 조절하는 영상 처리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화소 렌더링부는,
상기 부화소를 통해 표현되는 컨텐츠가 사용자의 왼쪽 눈 또는 오른쪽 눈 중 적어도 하나에 보이는 지 여부에 따라 사용자의 왼쪽 눈과 관련하여 부화소의 신호 레벨을 조절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오른쪽 눈과 관련하여 부화소의 신호 레벨을 조절하는 영상 처리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 광선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면에 배치된 광학 필터에 의해 중심 광선이 특정 방향으로 결정되면, 상기 결정된 방향의 중심 광선으로부터 선택되는 영상 처리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 광선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후면에 배치된 광학 필터로부터 발생한 광선의 방향에 의해 중심 광선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결정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에 대응하는 중심 광선으로부터 선택되는 영상 처리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화소 렌더링부는,
상기 부화소마다 설정된 최대 밝기값인 가시성 정보를 증가시킴으로써 부화소를 렌더링하는 영상 처리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화소 렌더링부는,
부화소의 밝기값이 최대로 증가된 경우, 부화소를 원래 밝기값으로 표현하고, 밝기값이 최대가 아닌 정도로 증가된 경우, 부화소를 최대로 증가된 경우에 비례하여 밝기값을 감소시키는 영상 처리 장치. - 디스플레이에 표현된 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의 눈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표현할 제1 라이트필드(light field)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눈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라이트필드를 상기 디스플레이가 표현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제2 라이트필드로 변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라이트필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눈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포함된 부화소로부터 출력되는 중심 광선 중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중심 광선인 대표 광선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라이트필드를 결정하는 영상 처리 방법.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광선은,
상기 부화소의 중심점으로부터 최대 밝기를 나타내는 방향으로 출력되고,
상기 대표 광선은,
상기 부화소의 위치에서 사용자의 눈 위치로의 방향에 일치하거나 또는 상기 부화소의 위치에서 사용자의 눈 위치로의 방향에 가장 인접하는 중심 광선을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라이트필드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포함된 부화소의 위치와 상기 사용자의 눈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부화소의 기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 정보와 상기 대표 광선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라이트필드를 제2 라이트필드로 변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부화소의 기준 정보는,
상기 부화소의 수평 방향의 위치와 상기 사용자의 눈의 수평 방향 위치를 연결하는 기준 정보 또는
상기 부화소의 수직 방향의 위치와 상기 사용자의 눈의 수직 방향 위치를 연결하는 기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 광선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면에 배치된 광학 필터에 의해 중심 광선이 특정 방향으로 결정되면, 상기 결정된 방향의 중심 광선으로부터 선택되는 영상 처리 방법.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 광선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후면에 배치된 광학 필터로부터 발생한 광선의 방향에 의해 중심 광선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결정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에 대응하는 중심 광선으로부터 선택되는 영상 처리 방법.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라이트필드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포함된 부화소마다 설정된 최대 밝기값인 가시성 정보를 증가시킴으로써 부화소를 렌더링하는 영상 처리 방법.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라이트필드로 변환하는 단계는,
부화소의 밝기값이 최대로 증가된 경우, 부화소를 원래 밝기값으로 표현하고, 밝기값이 최대가 아닌 정도로 증가된 경우, 부화소를 최대로 증가된 경우에 비례하여 밝기값을 감소시키는 영상 처리 방법. - 사용자의 눈 위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에 포함된 부화소의 대표 광선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눈 위치와 상기 부화소의 위치를 이용하여 기준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대표 광선과 기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부화소의 신호 레벨을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 -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부화소의 대표 광선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눈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부화소에서 광학 필터를 통해 출력되는 중심 광선들 중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중심 광선을 상기 부화소의 대표 광선으로 결정하는 영상 처리 방법. -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광선은,
상기 부화소의 중심점으로부터 최대 밝기를 나타내는 방향으로 출력되고,
상기 대표 광선은,
상기 부화소의 위치에서 사용자의 눈 위치로의 방향에 일치하거나 또는 상기 부화소의 위치에서 사용자의 눈 위치로의 방향에 가장 인접하는 중심 광선을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 -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눈 위치와 상기 부화소의 위치를 연결한 가상선을 기준 정보로 결정하는 영상 처리 방법. -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부화소의 수평 방향의 위치와 상기 사용자의 눈의 수평 방향 위치를 연결한 가상선 또는 상기 부화소의 수직 방향의 위치와 상기 사용자의 눈의 수직 방향 위치를 연결한 가상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기준 정보를 결정하는 영상 처리 방법. -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부화소의 신호 레벨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대표 광선과 기준 정보를 비교한 각도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부화소의 신호 레벨을 조절하는 영상 처리 방법. -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부화소의 신호 레벨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부화소를 통해 표현되는 컨텐츠가 사용자의 왼쪽 눈 또는 오른쪽 눈 중 적어도 하나에 보이는 지 여부에 따라 사용자의 왼쪽 눈과 관련하여 부화소의 신호 레벨을 조절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오른쪽 눈과 관련하여 부화소의 신호 레벨을 조절하는 영상 처리 방법. -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 광선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면에 배치된 광학 필터에 의해 중심 광선이 특정 방향으로 결정되면, 상기 결정된 방향의 중심 광선으로부터 선택되는 영상 처리 방법. -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 광선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후면에 배치된 광학 필터로부터 발생한 광선의 방향에 의해 중심 광선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결정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에 대응하는 중심 광선으로부터 선택되는 영상 처리 방법. -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부화소의 신호 레벨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부화소마다 설정된 최대 밝기값인 가시성 정보를 증가시킴으로써 부화소를 렌더링하는 영상 처리 방법. -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부화소의 신호 레벨을 조절하는 단계는,
부화소의 밝기값이 최대로 증가된 경우, 부화소를 원래 밝기값으로 표현하고, 밝기값이 최대가 아닌 정도로 증가된 경우, 부화소를 최대로 증가된 경우에 비례하여 밝기값을 감소시키는 영상 처리 방법. - 제21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74188A KR101953686B1 (ko) | 2011-11-30 | 2012-07-06 | 부화소를 렌더링하는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
US13/688,502 US8890865B2 (en) | 2011-11-30 | 2012-11-29 |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ubpixel rendering |
EP12853626.5A EP2786583B1 (en) | 2011-11-30 | 2012-11-30 |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ubpixel rendering |
CN201280058535.3A CN103988504B (zh) | 2011-11-30 | 2012-11-30 | 用于子像素渲染的图像处理设备和方法 |
JP2014544677A JP6050373B2 (ja) | 2011-11-30 | 2012-11-30 | サブピクセルをレンダリングする映像処理装置及び方法 |
PCT/KR2012/010339 WO2013081429A1 (en) | 2011-11-30 | 2012-11-30 |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ubpixel render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10126734 | 2011-11-30 | ||
KR1020110126734 | 2011-11-30 | ||
KR1020120074188A KR101953686B1 (ko) | 2011-11-30 | 2012-07-06 | 부화소를 렌더링하는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61042A KR20130061042A (ko) | 2013-06-10 |
KR101953686B1 true KR101953686B1 (ko) | 2019-05-23 |
Family
ID=48466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74188A Active KR101953686B1 (ko) | 2011-11-30 | 2012-07-06 | 부화소를 렌더링하는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8890865B2 (ko) |
EP (1) | EP2786583B1 (ko) |
JP (1) | JP6050373B2 (ko) |
KR (1) | KR101953686B1 (ko) |
CN (1) | CN103988504B (ko) |
WO (1) | WO201308142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53686B1 (ko) * | 2011-11-30 | 2019-05-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부화소를 렌더링하는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
KR102156408B1 (ko) * | 2013-11-19 | 2020-09-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레이어드 디스플레이 기법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영상 생성 방법 |
CA2938262C (en) | 2014-01-31 | 2021-01-19 | Magic Leap, Inc. | Multi-focal display system and method |
JP6648041B2 (ja) | 2014-05-30 | 2020-02-14 | マジック リープ,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Magic Leap,Inc. | 仮想および拡張現実のためのアドレス可能焦点を伴う自由形状光学システムを用いて立体視を表示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
EP3149528B1 (en) | 2014-05-30 | 2023-06-07 | Magic Leap, Inc. | Methods and system for creating focal planes in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
KR102240568B1 (ko) | 2014-08-18 | 2021-04-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
CN104461425B (zh) * | 2014-11-28 | 2018-11-27 |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 屏幕内容的显示调整方法、装置及终端 |
KR102333267B1 (ko) | 2014-12-10 | 2021-12-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눈 위치 예측 장치 및 방법 |
KR102707610B1 (ko) | 2015-01-26 | 2024-09-13 | 매직 립, 인코포레이티드 | 개선된 회절 그레이팅 구조들을 갖는 가상 및 증강 현실 시스템들 및 방법들 |
KR102415502B1 (ko) | 2015-08-07 | 2022-07-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복수의 사용자를 위한 라이트 필드 렌더링 방법 및 장치 |
CN105260152B (zh) * | 2015-10-09 | 2018-05-08 | 利亚德光电股份有限公司 | 用于led显示屏的图像处理方法和装置 |
CN106254845B (zh) * | 2015-10-20 | 2017-08-25 | 深圳超多维光电子有限公司 | 一种裸眼立体显示的方法、装置及电子设备 |
US20170178395A1 (en) * | 2015-12-16 | 2017-06-22 | Google Inc. | Light field rendering of an image using variable computational complexity |
EP3185550A1 (en) * | 2015-12-23 | 2017-06-28 | Thomson Licensing | Tridimensional rendering with adjustable disparity direction |
WO2017176861A1 (en) | 2016-04-07 | 2017-10-12 | Magic Leap,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augmented reality |
US10521952B2 (en) | 2016-04-12 | 2019-12-31 | Quidient, Llc | Quotidian scene reconstruction engine |
EP3494543B1 (en) | 2016-08-05 | 2023-06-28 | InterDigital CE Patent Holdings | A method for obtaining at least one sub-aperture image being associated with one view |
KR102564478B1 (ko) | 2016-11-22 | 2023-08-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3d 영상 렌더링 방법 및 장치 |
KR102655810B1 (ko) | 2016-11-22 | 2024-04-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3d 영상 렌더링 방법 및 장치 |
KR102564479B1 (ko) | 2016-11-22 | 2023-08-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사용자의 눈을 위한 3d 렌더링 방법 및 장치 |
KR102547821B1 (ko) | 2016-11-25 | 2023-06-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3d 디스플레이 장치 |
US20190124313A1 (en) * | 2017-10-19 | 2019-04-25 | Intel Corporation | Three dimensional glasses free light field display using eye location |
KR102401168B1 (ko) | 2017-10-27 | 2022-05-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라미터 캘리브레이션 방법 및 장치 |
JP7399879B2 (ja) | 2018-05-02 | 2023-12-18 | クイッディエント・エルエルシー | ほとんど無制限のディテールを有するシーンを処理するためのコーデック |
US10623714B2 (en) | 2018-05-24 | 2020-04-14 | Innolux Corporation | Stereoscopic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using pixel offset map |
CN109256076B (zh) * | 2018-08-30 | 2022-02-22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边缘像素显示方法、系统、存储设备和显示装置 |
CN109143602A (zh) * | 2018-09-25 | 2019-01-04 | 张家港康得新光电材料有限公司 | 一种3d显示装置及电子设备 |
US10636116B1 (en) * | 2018-10-22 | 2020-04-28 | Evolution Optiks Limited | Light field display, adjusted pixel rendering method therefor, and vision correction system and method using same |
KR102707598B1 (ko) | 2018-12-04 | 2024-09-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3차원 증강 현실을 위한 캘리브레이션 방법 및 그 장치 |
JP7472899B2 (ja) * | 2019-03-19 | 2024-04-23 |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US11212513B2 (en) * | 2019-07-03 | 2021-12-28 | Innolux Corporation | Method for displaying a stereoscopic image on a display device |
CN112929643B (zh) * | 2019-12-05 | 2022-06-28 | 北京芯海视界三维科技有限公司 | 3d显示设备、方法及终端 |
EP4076139B1 (en) * | 2019-12-16 | 2023-11-08 | Essilor International |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refraction features of both first and second eyes of a subject |
WO2022216459A1 (en) * | 2021-04-08 | 2022-10-13 | Rankor Industrial Llc | Displays with viewer tracking for vertical parallax correction |
WO2024176749A1 (ja) * | 2023-02-20 | 2024-08-29 |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立体映像表示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
DE102023202638A1 (de) * | 2023-03-23 | 2024-09-26 |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 Verfahren und Betriebs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r Anzeigevorrichtung beispielsweise für ein Fahrzeug, Verfahren und Erzeugungsvorrichtung zum Erzeugen einer Filterfunktion und Anzeigesystem für ein Fahrzeug |
Family Cites Families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69140A (ko) | 1998-02-05 | 1999-09-06 | 구자홍 | 입체영상 표시장치 |
JP2003299121A (ja) * | 2002-04-05 | 2003-10-17 | Canon Inc | 立体画像表示装置および立体画像表示システム |
DE10359403B4 (de) * | 2003-12-18 | 2005-12-15 | Seereal Technologies Gmbh | Autostereoskopisches Multi-User-Display |
DE102004059729B3 (de) * | 2004-12-11 | 2006-04-13 |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 Verfahren zur autostereoskopischen Erzeugung von dreidimensionalen Bildinformationen aus gerasterten Subpixelauszügen und Anordnung zur Verfahrensdurchführung |
JP4468341B2 (ja) | 2006-09-28 | 2010-05-26 | 株式会社東芝 | 三次元画像表示方法および三次元画像表示装置 |
JP4403162B2 (ja) * | 2006-09-29 | 2010-01-20 | 株式会社東芝 | 立体画像表示装置および立体画像の作製方法 |
KR101320513B1 (ko) | 2006-12-05 | 2013-10-22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영상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
JP2008185629A (ja) * | 2007-01-26 | 2008-08-14 | Seiko Epson Corp | 画像表示装置 |
JP4331224B2 (ja) | 2007-03-29 | 2009-09-16 | 株式会社東芝 | 三次元画像表示装置及び三次元画像の表示方法 |
GB0718614D0 (en) | 2007-05-16 | 2007-10-31 | Seereal Technologies Sa | Holograms |
CN101072366B (zh) * | 2007-05-24 | 2010-08-11 | 上海大学 | 基于光场和双目视觉技术的自由立体显示系统和方法 |
US20090282429A1 (en) * | 2008-05-07 | 2009-11-12 |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 Viewer tracking for displaying three dimensional views |
JP4386299B1 (ja) | 2008-10-09 | 2009-12-16 | 健治 吉田 | パララックスバリア、裸眼立体映像表示装置 |
JP2010113159A (ja) * | 2008-11-06 | 2010-05-20 | Sharp Corp | 立体画像表示装置および立体画像表示方法 |
KR101502597B1 (ko) | 2008-11-13 | 2015-03-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고심도 입체 영상 표시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
KR101296900B1 (ko) | 2009-01-07 | 2013-08-14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입체 영상의 뷰 제어방법과 이를 이용한 입체 영상표시장치 |
KR101606797B1 (ko) * | 2009-10-28 | 2016-03-29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
KR101629479B1 (ko) | 2009-11-04 | 2016-06-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능동 부화소 렌더링 방식 고밀도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 및 방법 |
JP5306275B2 (ja) * | 2010-03-31 | 2013-10-02 | 株式会社東芝 | 表示装置及び立体画像の表示方法 |
JP5607430B2 (ja) * | 2010-06-10 | 2014-10-15 |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 立体映像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
KR101675961B1 (ko) * | 2010-12-29 | 2016-11-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적응적 부화소 렌더링 장치 및 방법 |
JP5643160B2 (ja) * | 2011-07-01 | 2014-12-17 |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 表示装置 |
KR101953686B1 (ko) * | 2011-11-30 | 2019-05-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부화소를 렌더링하는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
-
2012
- 2012-07-06 KR KR1020120074188A patent/KR101953686B1/ko active Active
- 2012-11-29 US US13/688,502 patent/US8890865B2/en active Active
- 2012-11-30 JP JP2014544677A patent/JP6050373B2/ja active Active
- 2012-11-30 CN CN201280058535.3A patent/CN103988504B/zh active Active
- 2012-11-30 WO PCT/KR2012/010339 patent/WO2013081429A1/en unknown
- 2012-11-30 EP EP12853626.5A patent/EP2786583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3081429A1 (en) | 2013-06-06 |
US8890865B2 (en) | 2014-11-18 |
EP2786583B1 (en) | 2019-05-08 |
EP2786583A1 (en) | 2014-10-08 |
JP6050373B2 (ja) | 2016-12-21 |
CN103988504A (zh) | 2014-08-13 |
CN103988504B (zh) | 2016-11-02 |
EP2786583A4 (en) | 2015-05-27 |
US20130135299A1 (en) | 2013-05-30 |
JP2015504641A (ja) | 2015-02-12 |
KR20130061042A (ko) | 2013-06-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53686B1 (ko) | 부화소를 렌더링하는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 |
JP5704893B2 (ja) | アクティブサブピクセルレンダリング方式に基づく高密度多視点映像表示システムおよび方法 | |
KR102370062B1 (ko) |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한 보정 계수 결정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 | |
US9407896B2 (en) | Multi-view synthesis in real-time with fallback to 2D from 3D to reduce flicker in low or unstable stereo-matching image regions | |
KR20190029331A (ko) | 무안경 3d 디스플레이를 위한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 |
KR102121389B1 (ko) | 무안경 3d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60021968A (ko) |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 |
KR101663672B1 (ko) | 광시각 나안 입체 영상 표시 방법 및 표시 장치 | |
WO2020170454A1 (ja) | 画像生成装置、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および画像生成方法 | |
KR20170017587A (ko) | 복수의 사용자를 위한 라이트 필드 렌더링 방법 및 장치 | |
JP2014093779A (ja) | 映像処理方法及び映像処理装置 | |
WO2020170455A1 (ja) |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および画像表示方法 | |
US11172190B2 (en) | Stereo weaving for head-tracked autostereoscopic displays | |
CN106463087A (zh) | 用于显示器的驱动值的生成 | |
WO2020170456A1 (ja) | 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 |
KR20220030016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 |
KR101975246B1 (ko) | 다시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KR20210096449A (ko) | Hud 시스템에서 영상을 재생하는 방법 및 그 hud 시스템 | |
KR20120010404A (ko) | 색유지형 선택적 부화소 렌더링을 이용한 다시점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 | |
US20120133651A1 (en) | Method for stereoscopic illustration | |
KR102570277B1 (ko) | 3d 영상 장치의 왜곡 보정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 | |
KR101691292B1 (ko) | Table-top 3D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방법 | |
US11882266B2 (en) | Method and device to calibrate parallax optical element to change of look down angle | |
KR20150059686A (ko) |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 |
US9460550B2 (en) | Multi-viewpoint image generation apparatus and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0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3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7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6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0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2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2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