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50243B1 - 증강현실 또는 가상현실 체험을 제공하는 골프연습장치 - Google Patents

증강현실 또는 가상현실 체험을 제공하는 골프연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0243B1
KR101950243B1 KR1020180123747A KR20180123747A KR101950243B1 KR 101950243 B1 KR101950243 B1 KR 101950243B1 KR 1020180123747 A KR1020180123747 A KR 1020180123747A KR 20180123747 A KR20180123747 A KR 20180123747A KR 101950243 B1 KR101950243 B1 KR 101950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swing
user
virtual
practice apparatu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3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익현
Original Assignee
(주) 더조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더조은 filed Critical (주) 더조은
Priority to KR1020180123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02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0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024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63B24/0006Computerised comparison for qualitative assessment of motion sequences or the course of a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46Measurement devices associated with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for 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e.g. baseball bats with impact indicators or bracelets for measuring the golf sw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63B69/3632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30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골프 스윙 연습을 위한 골프연습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헤드, 샤프트, 상기 샤프트 및 상기 헤드와 결합되는 소켓, 일 측면이 상기 소켓과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 내부에 구비되는 강선 및 상기 강선의 다른 일 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강선을 상기 샤프트에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골프연습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증강현실 또는 가상현실 체험을 제공하는 골프연습장치 {GOLF TRAINING DEVICE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OR VIRTUAL REALITY EXPERIENCE}
본 발명은 증강현실 또는 가상현실 체험을 제공하는 골프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 스윙 연습을 하려면 골프 연습장에 가야 하고, 공 없이 골프채만 휘두르는 연습을 하기에도 넓은 공간이 필요하다. 하지만 골프 연습장에 가려면 시간과 비용이 많이 필요하고, 개인적으로 연습을 하기에도 골프채를 휘두를만큼 넓은 공간이 확보된 곳도 많지 않다.
이에 골프채 대신 스윙 연습을 보조하는 기구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실제 골프채를 휘두르는 것과 같은 감각을 주기에는 부족한 경우가 많고, 부품의 무게로 인하여 쉽게 파손되기도 한다.
또한, 최근에는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할 수 있는 컨트롤러를 이용한 스포츠 게임들이 개발 및 제공되고 있으나, 일원화된 컨트롤러를 이용하기 때문에 실제 스포츠와는 거리가 있는 경우가 많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59481호, 2014.01.29 등록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골프연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을 위한 골프연습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헤드, 샤프트, 상기 샤프트 및 상기 헤드와 결합되는 소켓, 일 측면이 상기 소켓과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 내부에 구비되는 강선 및 상기 강선의 다른 일 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강선을 상기 샤프트에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장치는, 일 측면에 상기 샤프트의 내경 지름보다 큰 걸림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선에 결합되고, 상기 강선을 따라 높이가 조절되어, 상기 골프연습장치의 스윙에 따른 원심력을 조절하는 무게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골프연습장치는, 상기 헤드가 소정 범위 내의 방향을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지향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스윙 인식을 시작하고, 상기 헤드가 지향하는 방향에 기초하여 가상의 골프공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골프연습장치는, 상기 스윙 인식이 시작되면, 상기 스윙 인식이 시작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골프연습장치는, 상기 가상의 골프공의 위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인식된 스윙 궤적 및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인식된 스윙에 따른 상기 가상의 골프공의 속도, 방향 및 비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골프연습장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골프채의 종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골프채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인식된 스윙에 따른 상기 가상의 골프공의 속도, 방향 및 비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골프연습장치는, 상기 가상의 골프공의 위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인식된 스윙 궤적 및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의 골프공에 대한 타격위치, 타격각도 및 타격강도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대응하는 타격음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골프연습장치는, 상기 스윙 연습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스윙궤적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의 스윙궤적을 레퍼런스 스윙궤적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대응하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퍼런스 스윙궤적은, 상기 골프연습장치를 이용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로부터 수집되는 스윙궤적으로부터 선택되되, 상기 사용자의 신체조건 및 실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어디에서나 골프 스윙연습을 할 수 있는 골프연습장치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골프 스윙을 분석하고, 스윙 개선을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골프 시뮬레이션 게임 등 다양한 연습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골프연습장치의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골프연습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골프연습장치의 헤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골프연습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골프연습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라 골프연습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라 골프연습장치를 이용하여 스윙을 연습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라 골프 연습을 위한 보조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라 가상의 골프 시뮬레이션 게임을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골프 시뮬레이션을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또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 또는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또는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골프연습장치의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시스템은 서버(10), 골프연습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200)을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골프연습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200)은 근거리 무선통신 또는 네트워크 통신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골프연습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200)은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서버(10)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골프연습장치(100)는 서버(10)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골프연습장치(100)는 골프채를 대신하여 사용자의 스윙 연습을 돕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골프연습장치(100)는 골프채와 유사한 무게를 가지며, 길이는 골프채보다 짧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골프연습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스윙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수집된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 또는 서버(10)로 전달되고, 사용자 단말(200) 또는 서버(10)는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연습을 도울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골프연습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골프연습장치(100)의 정면 및 배면이 도시되어 있다. 골프연습장치(100)의 정면 및 배면은 서로 상대적인 개념으로, 골프연습장치(100)의 특정 부분이 정면이나 배면으로 결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를 참조하면, 골프연습장치(100)의 헤드(110) 정면에는 발광장치(120)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장치(120)는 LED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골프연습장치(100)의 헤드(110) 배면에는 골프연습장치(100)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122)가 구비될 수 있다. 충전단자(122)는 마이크로 5핀, 라이트닝 8핀 및 USB-C 타입 단자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골프연습장치의 헤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골프연습장치(100)의 헤드(110)는 본체(114)에 커버(112)를 씌운 형태로 구성된다. 커버(112)는 본체(114)의 손상을 막기 위하여 스펀지, 고무, 실리콘 등 탄성이 있거나 완충이 가능한 부재로 구성된다.
*커버(112)에는 본체(114)에 구비된 발광장치(12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통공이 구비된다. 마찬가지로, 커버(112)에는 본체(114)에 구비된 충전단자(122)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통공이 구비된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골프연습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골프연습장치(100)는 손잡이(130), 손잡이(130)와 본체(114) 사이에 위치하는 샤프트(150) 및 샤프트(150)와 본체(114)를 연결하는 연결부(140)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골프연습장치(100)는 스윙 도중 골프연습장치(100)가 파손되어도 부품의 이탈로 인한 기물파손이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안전장치는 연결부(140)에 구비된 소켓(180), 샤프트(150) 내부에 구비되어 소켓(180)과 결합되는 강선(160) 및 강선(160)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장치(170)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소켓(180)은 골프연습장치(100)에 골프채와 같은 무게감을 주기 위한 무게를 갖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골프연습장치(100)는 휴대를 용이하게 하고, 좁은 공간에서도 연습이 가능하도록 실제 골프채보다는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샤프트(150)는 실제 골프채보다는 짧게 구성될 수 있으며, 그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손잡이(130)는 샤프트(150)의 한쪽 끝에 구비되며, 실제 골프채의 손잡이와 같거나 유사한 형태로 구성, 실제 골프채를 잡는 것과 같은 그립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골프연습장치(100)의 헤드쪽 일 측면에 구비되는 소켓(180)은 강선(160)과 연결되어 골프연습장치(100)가 파손되어도 헤드(110)의 이탈로 인한 부상이나 기물파손을 방지하고, 소정 무게를 갖도록 하여 사용자가 골프채와 같은 무게감과 원심력을 느끼며 스윙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골프연습장치(100)는 헤드(110)의 본체(114)와 사프트(150)를 연결하는 연결부(140)를 포함한다. 연결부(140)에 포함된 소켓(180)은 본체(114)와 결합되어, 본체(114)의 이탈을 방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114)의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센서, 프로세서, 통신모듈 및 발광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회로장치(116)가 포함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샤프트(150)의 내부에는 소켓(180)과 연결되는 강선(160)이 구비된다. 일 실시 예에서, 강선(160)의 일 측면에는 나선 형태의 결합수단이 구비되고, 소켓(180)에는 강선(160)에 대응하는 나선 형태의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통공이 구비되어, 소켓(180)의 통공을 이용하여 소켓(180)과 강선(160)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강선(160)의 다른 일 측면에는, 강선(160)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장치(170)가 연결된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장치(170)는 강선(160)과 나선 형태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고정장치(170)는 그 일부가 샤프트(150)에 수용되고, 나머지 일부가 샤프트(150) 외부로 노출되되, 그 지름(또는 일 측면 길이)이 샤프트(150)의 내경 지름보다 큰 걸림수단으로 구성되어, 고정장치(170)에 의하여 강선(160)이 샤프트(150)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예로, 골프연습장치(100)의 스윙에 따라 소켓(180)이나 헤드(110)가 원심력을 받게 되고, 그로 인하여 소켓(180)이나 헤드(110)가 이탈될 수 있다. 소켓(180)이나 헤드(110)가 이탈하는 경우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며, 본체(114)에 구비된 회로(116)등 골프연습장치(100)가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강선(160)은 일 측면이 소켓(180)과 결합되어 소켓(180)을 고정하고, 다른 일 측면은 고정장치(170)와 결합되어 소켓(180)의 이탈을 방지한다. 소켓(180)은 헤드(110)와 결합(예를 들어, 나선결합)되어, 헤드(110)의 이탈을 방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강선(160)과 결합되고, 강선(160)을 따라 높이가 조절되어, 골프연습장치의 스윙에 따른 원심력을 조절하는 무게추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게추와 강선(160)은 나선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골프연습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골프연습장치(100)는 제어부(101), 전원부(102), 센서부(103), 발광부(104) 및 통신부(105)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전원부(102)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 단자 및 충전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센서부(103)는 3축 가속도센서 및 3축 자이로센서를 포함하는 6축 센서를 포함한다. 센서부(103)에 포함되는 센서의 종류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3축 자기장 센서를 더 포함하는 9축 센서가 이용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발광부(104)는 골프연습장치(100)의 상태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장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발광부(104)는 골프연습장치(100)의 충전상태를 나타내거나, 연습 중 소정의 타이밍에 대한 정보, 대기상태에 대한 정보 등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장치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발광부(104)는 어두운 곳에서의 연습을 돕기 위하여 골프연습장치(100)의 헤드(110) 부분을 밝게 빛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통신부(105)는 사용자 단말(200) 또는 서버(10)와 통신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모듈 및 네트워크 무선 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01)는 전원부(102), 센서부(103), 발광부(104) 및 통신부(105)를 제어하며, 사용자 단말(200) 또는 서버(10)에 필요한 정보를 송신하고, 사용자 단말(200) 또는 서버(1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연습을 보조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제어부(101)는 서버(10) 또는 사용자 단말(200) 없이 자체적인 프로세싱을 통해 사용자의 연습을 보조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01)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메모리는 사용자의 연습 중 수집되는 정보를 저장한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의 연습 중 수신되는 정보는 서버(10) 또는 사용자 단말(200)로 즉시 전송되거나, 연습 중에는 메모리에 저장된 후 연습 이후, 또는 특정 시점에 서버(10) 또는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라 골프연습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골프연습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200)이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방법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는 골프연습장치(100) 또는 사용자 단말(2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골프연습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200)이 수행하는 것으로 서술되는 것은 일 예로서 이해될 수 있고, 각각의 동작의 주체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골프연습장치(100)를 들고 준비자세를 취할 수 있다. 준비자세는 실제 골프채를 들고 준비자세를 취하는 것과 같이, 골프공(20)을 향하도록 골프채를 아래로 들고 있는 상황을 의미할 수 있다.
골프공(20)은 실제로 놓여 있을 수도 있고, 가상의 골프공(20)이 있는 것으로 가정하고 골프 연습이 진행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골프연습장치(100)의 길이는 실제 골프채보다 짧으므로, 골프공(20)이 실제로 타격되지는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골프연습장치(100)가 소정의 시간동안 골프공(20) 방향으로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면, 골프연습장치(100)는 골프공(20)의 위치에 실제 또는 가상의 골프공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의 스윙을 인식하기 위한 준비단계로 전환될 수 있다.
골프연습장치(100)가 준비상태로 전환되면, 발광장치(120)에 불이 들어오거나, 특정 색상의 불빛이 들어올 수 있다.
사용자는 발광장치(120)에 불빛이 들어오면, 골프연습장치(100)를 이용하여 스윙을 할 수 있다. 스윙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으며, 강한 드라이브 샷부터 퍼팅까지 다양한 종류의 스윙이 수행되고, 인식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라 골프연습장치를 이용하여 스윙을 연습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골프연습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200)이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방법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는 골프연습장치(100) 또는 사용자 단말(2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골프연습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200)이 수행하는 것으로 서술되는 것은 일 예로서 이해될 수 있고, 각각의 동작의 주체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골프연습장치(100)가 준비상태로 전환된 이후, 사용자는 골프연습장치(100)를 이용하여 스윙을 연습할 수 있다.
골프연습장치(100)는 센서부(103)를 이용하여 골프연습장치(100)의 헤드(110)의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골프연습장치(100)는 스윙 궤적(300)을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골프채(30)와 골프연습장치(100)의 길이는 상이할 수 있다. 골프연습장치(100)는 골프채(30)와 골프연습장치(100)의 길이 차이를 고려하여, 스윙 궤적(300)을 수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골프채(30)의 길이는 임의로 설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 단말(200)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거나, 선택된 길이가 골프채(30)의 길이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골프연습장치(100)는 스윙의 속도와 궤적을 판단하여, 골프공의 타격여부, 골프공을 타격한 위치, 골프공을 타격한 강도 및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골프연습장치(100)는 가상의 골프공의 비거리 및 궤적을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가 골프연습장치(100)를 이용하여 수행한 스윙에 따른 가상의 골프공의 비거리 및 궤적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하여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가상의 골프공의 비거리 및 궤적에 대한 정보는 골프연습장치(100)에서 음성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골프연습장치(100)는 골프공에 대하여 정타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또는 소정의 비거리 이상 공이 날아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스윙이 성공적이었는지 여부를 즉시 직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드백은 불빛 또는 음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피드백은 스윙 이후에 제공될 수도 있으며, 또는 가상의 골프공을 타격하는 순간에 음성이나 불빛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상의 골프공을 타격하는 순간에 골프공을 제대로 타격한 것으로 판단되면 맑은 소리를 내고, 빗맞은 것으로 판단되면 둔탁한 소리를 내며, 타격에 실패한 것으로 판단되면 소리를 내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가상의 골프공을 타격하는 순간의 강도에 따라 더 큰 소리를 내거나, 더 작은 소리를 냄으로써 가상의 골프공을 타격한 강도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골프채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골프연습장치(100)는 선택된 골프채의 종류에 따라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골프연습장치(100)는 선택된 골프채의 종류에 따라 골프공의 정타여부 및 비거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골프연습장치(100)는 퍼팅연습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위치(예를 들어, 10미터 앞) 또는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에 홀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의 스윙에 따라 골프공의 이동방향을 계산, 홀인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른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라 골프 연습을 위한 보조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골프연습장치(100)에서 수행된 스윙 연습에 따른 정보를 획득한다. 스윙 연습에 따른 정보는 골프연습장치(100)의 하나 이상의 스윙 궤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스윙 궤적을 평가하거나 레퍼런스 스윙 궤적과 비교하고,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퍼런스 스윙 궤적은 사용자의 이전 스윙 궤적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레퍼런스 스윙 궤적은 골프선수의 스윙 궤적일 수 있다. 골프선수의 스윙 궤적은 영상분석을 통해 수집될 수도 있고, 골프선수가 직접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골프연습장치(100)를 이용하여 스윙한 정보를 통해 수집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레퍼런스 스윙 궤적은 또 다른 골프연습장치(100) 사용자의 스윙 궤적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 선수는 아니더라도 다른 골프연습장치(100) 사용자들 중 좋은 실력을 가진 사용자가 있을 수 있다. 서버(10)는 사용자들의 스윙 궤적을 수집하고,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10)는 각각의 스윙 궤적을 평가하고, 좋은 스윙 궤적들을 선택하여 레퍼런스 스윙 궤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서버(10)는 각각의 스윙 궤적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특징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특징은 사용자의 신체적 특징과, 사용자의 골프 실력을 객관적 수치로 분석한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골프 실력은 사용자의 스윙 궤적을 평가한 결과로서 수집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도 있으며, 개시되는 실시 예에 따른 골프 시뮬레이션 게임 성적에 따라 평가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의 신체적 특징이나 실력 등 사용자의 특성에 기초하여, 서버(10)에 레퍼런스 스윙 궤적을 요청할 수 있다.
스윙 궤적에는 정답이 없으며, 사용자의 신체적 특징에 따라 서로 다른 스윙 궤적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일정한 규칙에 따라 소정의 교과서적인 스윙궤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지만, 사용자의 신체적 특징에 따라 개인화된 최적의 스윙궤적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와 유사한 키나 체격을 갖는 사용자의 스윙궤적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특정 신체부위가 불편한 경우, 이와 유사한 증상을 갖는 사용자의 스윙궤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실력에 따라 단계적으로 스윙 궤적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초보자가 바로 프로선수의 스윙궤적을 따라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 특히, 스윙궤적을 평가할 때에는 스윙 속도를 함께 평가할 수 있다. 이 경우, 초보자는 프로 선수의 스윙속도와 스윙궤적을 함께 따라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사용자의 실력에 따라 적절한 레퍼런스 스윙 궤적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단계적으로 골프연습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실력에 따라 사용자보다 조금 더 나은 실력을 가진 사용자의 스윙 궤적을 레퍼런스로 제공할 수도 있고, 프로 선수의 스윙 궤적을 레퍼런스로 제공하되, 그 속도를 조절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10)는 서로 다른 골프연습장치(100) 사용자들의 스윙궤적을 수집하고, 이를 레퍼런스로서 다른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100)는 각각의 사용자에 대하여 자신의 스윙 궤적이 다른 사용자들에게 제공된 횟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랭킹을 산정하여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윙 궤적이 제공된 횟수에 따라 각각의 사용자에게 소정의 보상이 지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사용자들에게 스윙 궤적이 제공된 횟수에 따른 포인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스윙궤적(300)과 레퍼런스 스윙궤적(400)이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의 스윙궤적(300)과 레퍼런스 스윙궤적(400)을 비교하고, 잘못된 부분에 대한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스윙궤적(300)을 소정 시간단위 또는 소정 거리단위 등으로 분할하고, 각 부분에 대하여 레퍼런스 스윙궤적(400)과 상이한 부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의 스윙궤적(300)상에서 제1 지점(310) 및 제2 지점(320)이 레퍼런스 스윙궤적(400)의 제1 지점(410) 및 제2 지점(420)과 상이하거나, 잘못되었다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라 가상의 골프 시뮬레이션 게임을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에는 가상의 골프코스(500)가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가상현실 장비를 이용하여 가상의 골프코스(500)에 대한 가상현실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가상현실 및 가상현실 영상은 VR(Virtual Reality) 및 VR 영상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과 가상현실 영상, 증강현실(AR, AugmentedReality)과 증강현실 영상, 혼합현실(MR, Mixed Reality)과 혼합현실 영상 및 일반 영상을 모두 포함하며, 또한 이에 제한되지 않고 현실, 가상 및 현실과 가상이 혼합된 모든 종류의 영상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가상의 골프코스(500)는 시작지점(510), 그린(520), 홀(530) 및 벙커나 해저드 등의 장애물(54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의 골프코스(500)는 실제로 존재하는 골프코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가상의 골프코스(500)를 이용하여 실제 골프게임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의 골프코스(500)는 실제로는 불가능한 가상의 장애물이나 코스 구조로 구성되어, 다양한 게임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의 골프코스(500)는 골프를 방해하는 동물이나, 계단형 코스 등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특정 가상의 골프코스(500)를 선택하고, 게임을 시작할 수 있다. 사용자는 골프채의 종류를 정하고, 골프연습장치(100)를 이용하여 스윙함으로써 게임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가 선택한 골프채의 종류 및 사용자의 스윙에 기초하여, 골프공의 이동방향 및 비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골프연습장치(100)는 자기장 센서를 포함하고, 가상의 골프코스(500)에는 방위가 표시될 수 있다. 골프연습장치(100)는 자기장 센서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방위를 판단하고, 골프공의 이동방향을 판단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의 스윙에 따른 골프공의 위치(550)가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된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골프공의 위치(550)에서 게임을 속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가 골프공의 위치(550)로 이동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하나 이상의 센서 또는 GPS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동거리를 측정하고, 사용자가 골프공의 비거리만큼 이동한 후에만 다음 스윙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운동장 등 넓은 공간에서 가상의 골프게임을 하는 경우, 사용자는 스윙 후 실제로 골프공의 비거리만큼 걸은 후에 다음 스윙을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골프공이 벙커와 같은 장애물(540)에 빠진 경우, 이를 고려하여 사용자의 스윙에 따른 골프공의 움직임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골프공이 벙커에 빠진 경우 일반적인 스윙과 달리 골프공을 퍼올리는 스윙을 할 수 있다.
골프공이 그린(520)에 올라가거나 그린(520) 근처에 있는 경우, 사용자는 퍼팅을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가 퍼터를 선택하면, 골프공과 홀 사이의 지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공되는 정보에 따라 퍼팅을 수행하고, 사용자 단말(200)은 골프공의 이동방향 및 이동거리를 판단하여, 홀인여부에 대한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골프 시뮬레이션 게임방법은, 가상현실 장비를 이용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은 가상현실 장비를 통해 사용자의 스윙에 따른 골프공의 움직임을 가상현실 영상으로 실시간으로 보여줄 수 있고, 가상의 골프코스(500)의 풍경 또한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가상의 골프코스(500)에서 실제로 골프게임을 하는 듯한 체험을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증강현실 장비를 이용하여, 실제 주변 환경과 가상의 골프코스(500)영상을 결합한 혼합영상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증강현실 장비는 스마트글래스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증강현실 장비를 이용하여, 실제 주변 환경을 이용한 골프 시뮬레이션 게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운동장에서 골프 시뮬레이션 게임을 하는 경우, 사용자의 스윙에 따라 가상의 골프공이 운동장을 가로질러 날아가는 증강현실 영상이 제공되로, 운동장 한 구석에 마련된 가상의 홀을 향해 골프공을 넣는 것을 목표로 하는 가상의 골프게임이 제공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골프코스뿐 아니라 도심, 해변, 관광지, 놀이공원 등 다양한 배경과 함께 제공되는 골프 시뮬레이션 게임을 즐길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가상현실이나 증강현실 장비 없이도, 주변의 지형에 기초한 골프 시뮬레이션 게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은 GPS 정보 및 주변의 지도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의 골프코스를 생성할 수 있다. 가상의 골프코스는 주변의 지형, 도로, 건물 등을 반영하여 생성되며,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가 스윙하는 경우 주변의 건물에 골프공이 부딪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건물을 넘어 어디까지 골프공이 날아갔는지를 계산하여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실제로 골프공이 떨어진 곳까지 걸어간 후 다시 스윙을 할 수도 있고, 해당 위치로 이동한 것으로 가정하여 다음 스윙을 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골프연습장치(100)와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 장비를 이용한 골프레슨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증강현실 영상 장비에 골프 강사의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도 8의 경우, 사용자 단말(200)에 다른 사용자 또는 골프선수의 스윙 궤적이 표시되는 실시 예를 설명하였다. 이와 유사하게, 사용자의 증강현실 영상 장비에 골프 강사(또는 다른 사용자)의 이미지가 표시되고, 마치 골프 강사가 눈 앞에 있는 것처럼 골프 강사의 스윙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골프 강사의 스윙 영상은 사전에 촬영된 것일 수도 있고, 사용자와 증강현실 장비를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통신하는 중에 실시간으로 촬영된 것일 수도 있다. 즉,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장비를 이용하면, 원격지에서도 골프 레슨을 할 수 있다.
또한, 골프 강사의 스윙 영상은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골프연습장치(100)를 이용하여 획득된 스윙 궤적에 기초하여 렌더링되어 생성된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윙 궤적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이에 대응하는 스윙을 하는 사람의 이미지를 생성하고, 동일한 스윙 궤적을 갖는 스윙을 하는 영상을 렌더링하여 생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골프 강사는 별도의 촬영장비가 없는 경우에도 골프연습장치(100)만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자신의 스윙 영상을 실시간으로 생성하여 보여줄 수 있다. 즉, 카메라 장치가 없어도, 골프연습장치(100)에서 인식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영상을 생성, 원격지에서 골프 레슨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증강현실 장치는 기존에 수집된 정보 또는 실시간으로 골프 강사에 의하여 획득되는 정보에 기초한 스윙 궤적을 현재 사용자의 신체 위치 및 형태와 정합하여, 사용자가 실제로 스윙하여야 하는 궤적을 증강현실을 통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골프 시뮬레이션을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증강현실 골프 시뮬레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영상을 표시한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 장비(예를 들어, HMD)를 이용하여 증강현실 골프 시뮬레이션을 제공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건물 옥상에서, 가상의 골프공(600)을 골프연습장치(100)의 스윙을 통해 다른 곳으로 날려보내는 체험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다른 건물(610)의 특정 유리창을 맞추는 것을 목표로 설정하고, 골프연습장치(100)의 스윙을 통해 가상의 골프공(600)을 타격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가상의 골프공(600)의 이동방향 및 비거리를 판단하고, 그에 대응하는 궤적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가상의 골프공(600)의 궤적에 대응하는 피드백(612)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은 가상의 골프공(600)이 다른 건물(610)의 유리창에 부딪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유리창이 깨지는 이펙트와 같은 피드백(612)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는 가상의 골프공(600)을 다른 건물(620)의 옥상에 올리는 것을 목표로 스윙을 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골프연습장치(100)의 스윙을 인식하고, 인식된 스윙에 대응하는 가상의 골프공(600)의 궤적을 분석, 가상의 골프공(600)이 떨어진 위치(622)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촬영된 영상 각각의 위치마다 소정의 점수를 부여하고, 가상의 골프공(600)이 떨어지는 위치에 따라 점수를 판단 및 합산하여 제공하는 골프 게임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상술한 게임들을 제공하는 동안에도, 도 7 및 도 8과 관련하여 설명된 스윙궤적 분석을 수행하고, 사용자에게 스윙궤적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서버
100: 골프연습장치
200: 사용자 단말

Claims (1)

  1. 골프 스윙 연습을 위한 골프연습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헤드;
    샤프트;
    상기 샤프트 및 상기 헤드와 결합되는 소켓;
    일 측면이 상기 소켓과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 내부에 구비되는 강선; 및
    상기 강선의 다른 일 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강선을 상기 샤프트에 고정하는 고정장치;
    상기 스윙 연습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을 포함하고,
    상기 골프연습장치는,
    상기 헤드가 소정 범위 내의 방향을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지향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스윙 인식을 시작하고,
    상기 헤드가 지향하는 방향에 기초하여 가상의 골프공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가상의 골프공의 위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인식된 스윙 궤적 및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인식된 스윙에 따른 상기 가상의 골프공의 속도, 방향 및 비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고,
    상기 가상의 골프공의 위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인식된 스윙 궤적 및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의 골프공에 대한 타격위치, 타격각도 및 타격강도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대응하는 타격음을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 장비를 이용하여 증강현실 골프 시뮬레이션을 제공하는, 골프연습장치.
KR1020180123747A 2018-10-17 2018-10-17 증강현실 또는 가상현실 체험을 제공하는 골프연습장치 Active KR101950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747A KR101950243B1 (ko) 2018-10-17 2018-10-17 증강현실 또는 가상현실 체험을 제공하는 골프연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747A KR101950243B1 (ko) 2018-10-17 2018-10-17 증강현실 또는 가상현실 체험을 제공하는 골프연습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7416A Division KR101911546B1 (ko) 2018-03-08 2018-03-08 골프연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0243B1 true KR101950243B1 (ko) 2019-02-21

Family

ID=65585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3747A Active KR101950243B1 (ko) 2018-10-17 2018-10-17 증강현실 또는 가상현실 체험을 제공하는 골프연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02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1333A (ko) 2019-09-11 2021-03-19 노진석 증강현실 트레이닝 시스템
KR20220120959A (ko) * 2021-02-24 2022-08-31 (주)스튜디오코인 다자 참여 교육용 vr/ar 체험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627Y1 (ko) * 2003-03-13 2003-06-18 김석헌 연습용 골프채
KR100654853B1 (ko) * 2005-12-12 2006-12-06 강병택 무게중심 이동조절수단이 구비된 퍼터용 골프채
KR20110101628A (ko) * 2010-03-09 2011-09-16 허경석 골프클럽용 스윙연습기 및 이를 이용한 학습용 스윙정보 제공시스템
KR101359481B1 (ko) 2012-01-30 2014-02-07 윤지원 골프스윙연습기
KR20160146114A (ko) * 2015-06-11 2016-12-21 주식회사 베스컨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627Y1 (ko) * 2003-03-13 2003-06-18 김석헌 연습용 골프채
KR100654853B1 (ko) * 2005-12-12 2006-12-06 강병택 무게중심 이동조절수단이 구비된 퍼터용 골프채
KR20110101628A (ko) * 2010-03-09 2011-09-16 허경석 골프클럽용 스윙연습기 및 이를 이용한 학습용 스윙정보 제공시스템
KR101359481B1 (ko) 2012-01-30 2014-02-07 윤지원 골프스윙연습기
KR20160146114A (ko) * 2015-06-11 2016-12-21 주식회사 베스컨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1333A (ko) 2019-09-11 2021-03-19 노진석 증강현실 트레이닝 시스템
KR20220120959A (ko) * 2021-02-24 2022-08-31 (주)스튜디오코인 다자 참여 교육용 vr/ar 체험 시스템
KR102581589B1 (ko) * 2021-02-24 2023-09-27 (주)스튜디오코인 다자 참여 교육용 vr/ar 체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70704B2 (en) Trajectory detection and feedback system for tennis
CN101890218B (zh) 虚拟高尔夫模拟器、设置在其中的传感器及虚拟高尔夫模拟器的传感方法
US973781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ating a gaming event
JP5751594B2 (ja) 仮想ゴルフ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及び方法
US9636578B1 (en) Golf club simulation apparatus
KR100970678B1 (ko)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US9604136B1 (en) Golf club simulation apparatus
CN103987429A (zh) 用于实时分析高尔夫球杆上的高尔夫挥杆动作的系统和操作方法
TW200527259A (en) Input system and method
KR20090105279A (ko)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
US20140120994A1 (en) Virtual golf simulation apparatus for providing user-customized practice environment, server connected with the same through network, and user-customized practice environment provision method using virtual golf simulation
JP7064513B2 (ja) ロボット装置、ロボット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6010476A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guiding for executing a golf swing
JP6806868B2 (ja) ゴルフのスイングの練習を補助する人工知能、及び拡張現実基盤のゴルフ練習装置
KR101950243B1 (ko) 증강현실 또는 가상현실 체험을 제공하는 골프연습장치
KR20120077906A (ko) 유무선통신기반 다자간 실시간 시뮬레이션골프게임 및 스윙연습이 가능한 이동형 스크린골프시스템 및 서비스방법
CN109475773B (zh) 用于模拟游戏事件的方法和设备
KR100972819B1 (ko) 포터블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17338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ating a gaming event
CN111228771B (zh) 高尔夫球娱乐系统和高尔夫球训练方法
KR100972828B1 (ko) 사용자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101950242B1 (ko) 스윙 결과에 따른 피드백을 제공하는 골프연습장치
KR101911546B1 (ko) 골프연습장치
JP6948409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画像生成方法
JP6961723B2 (ja) 移動体および移動体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1017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80308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800274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2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2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