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48596B1 - 가스 배관의 내진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가스 배관의 내진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8596B1
KR101948596B1 KR1020180062526A KR20180062526A KR101948596B1 KR 101948596 B1 KR101948596 B1 KR 101948596B1 KR 1020180062526 A KR1020180062526 A KR 1020180062526A KR 20180062526 A KR20180062526 A KR 20180062526A KR 101948596 B1 KR101948596 B1 KR 101948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upled
fixing bracket
coupling
elastically support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2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건태
Original Assignee
임건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건태 filed Critical 임건태
Priority to KR1020180062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85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8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859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 F16L3/2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 F16L3/20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having supporting springs
    • F16L3/205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having supporting springs the axis of each spring being parallel with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of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6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 F16L3/10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the members being joined by means of two scre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파트, 빌딩 등의 건축물에 설치되는 가스배관의 고정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가스배관이 사방으로 완충작용을 하도록 하우징의 내측에 고정됨으로써, 지진이나 충격에 의한 진동을 완화시켜 가스배관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함에 따라 지진 및 충격에 의한 진동에 의한 가스배관의 파손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가스배관의 내진 고정장치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은 벽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브라켓과 가스배관을 고정하는 제2하우징의 사이에 제1하우징이 완충작용이 발생 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하우징의 충격 및 진동에 의한 파손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1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상기 제2하우징 또한 완충작용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지진 및 충격에 의한 진동에 의해 가스배관의 손상 및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가스 배관의 내진 고정장치{Seismic restraint of gas piping}
본 발명은 아파트, 빌딩 등의 건축물에 설치되는 가스배관의 고정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가스배관이 사방으로 완충작용을 하도록 하우징의 내측에 고정됨으로써, 지진이나 충격에 의한 진동을 완화시켜 가스배관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함에 따라 지진 및 충격에 의한 진동에 의한 가스배관의 파손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가스배관의 내진 고정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다세대주택이나 개인주택 또는 아파트로 공급되는 도시가스는 일반적으로 지하에 매설되거나, 지하에 설치된 메인공급관에 분기관을 설치하여 옥내로 유입되는데, 상기 메인공급관에서 분기된 분기관은 건물벽체에 여러 갈래로 가설되어 계량기가 부착된 가스배관에 연결되어 가정의 옥내로 유입된다.
지하에서 건물 내부로 노출되는 분기관이나 가스배관은 건물의 외부벽체에 여러 갈래로 고정 설치되는 것이 통상적인데, 외부로 노출된 가스배관은 오랜기간 동안 부식이 방지되어야 하고 건물벽의 누전으로 인한 전류의 흐름이 차단되도록 설치되어야 안전하다.
상기 건물벽체에 분기관이나 가스배관을 고정 설치하는 종래의 방식은 가스배관이 건물벽체에서 일정간격이 떨어지도록 고정하는 브라켓을 이용하거나, 건물벽체에 직접 설치되되, 가스배관을 건물벽체로부터 이격시키는 고정클램프를 이용하고, 상기 브라켓 또는 고정클램프는 건물벽체에 체결볼트로 고정 부착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브라켓을 이용할 경우 상기 브라켓 상단에 가스배관이 U볼트와 고정너트로 고정설치되고, 고정클램프를 이용할 경우 상기 고정클램프의 내측에 가스배관이 고정설치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브라켓이나 고정클램프의 경우 지진에 의한 진동이나, 외부충격에 의한 진동에 의해 가스배관의 이완 또는 처짐 현상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가스배관이 파손되어 가스가 누출되면 큰 사고가 발생될 위험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의해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스배관 뿐만 아니라 유체 또는 내부에 전선이 설치되는 배관에 내진성을 확보시키는 클램프 및 고정장치 등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며, 종래기술의 일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066099호에는 형강이나 콘크리트 상판, 관통슬리브에 설치되는 배관을 감싸 배관에 탄성을 부여함으로써 지진이나 진동에 의한 충격을 직접 흡수하여 배관을 보호하도록 하는 내진패킹을 구비하는 배관고정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의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601258호에는 배관 내부에 흐르는 유체를 공급하는 경우 흐르는 유체 또는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진동 및 충격에 대하여 배관 또는 배관을 지지하는 지지체에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여 배관 및 지지체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하고, 배관의 규격에 따른 변동 및 오차에 의한 제한적인 사용을 해소하며, 체결 및 해체가 용이한 내진형 배관 클램프를 제시하고 있다. 즉, 지진이나 충격에 의한 진동을 효과적으로 완화시켜 가스배관의 손상 및 파손을 더욱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고정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06609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601258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벽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브라켓의 상부에 탄성을 갖도록 설치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내측에 탄성을 갖도록 설치되는 제2하우징에 가스배관이 고정됨으로써, 가스배관에 발생되는 진동 및 충격을 완화시켜 가스배관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에 의해 다중으로 탄성력이 발생되도록 하여 더욱더 안정적으로 가스배관을 고정할 수 있는 가스배관의 내진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건축물의 벽면에 하부 양측이 고정설치되고, 양측에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가 구비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상부에 하부가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결합돌기에 양측이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며, 내측에 가스배관이 결합되는 제1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배관의 내진 고정장치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하우징은 상기 고정브라켓의 상부 일측에 하부가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고정브라켓의 일측 결합돌기에 일측이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며, 내측에 만곡면이 형성되는 제1하부하우징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상부 타측에 하부가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고정브라켓의 타측 결합돌기에 타측이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며, 내측에 만곡면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제1하부하우징의 타측에 일측이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는 제2하부하우징과 상기 제1하부하우징의 상부에 하부가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고,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제1상부하우징 및 상기 제2하부하우징의 상부에 하부가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상부하우징의 상부에 상부가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며,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제2상부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하우징의 내측에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고, 내측에 가스배관이 결합되는 제2하우징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하우징은 외주연 상부와 하부에 결합홀이 각각 형성되는 반원형태의 한 쌍으로 이루어져 결합되어 내측에 가스배관을 고정하고, 상기 제1하우징은 상기 결합홀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에 관통되어 결합되되, 하부가 상기 결합홀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탄성조절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관통홀은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조절부재는 상부말단에 형성되는 조임헤드와 상기 조임헤드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내측에 내입홀이 형성되며,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입홀에 상부가 내입되고, 하부에 결합헤드가 형성되는 로드 및 상기 로드의 외주연에 설치되되, 상부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지지되고, 상기 결합헤드의 상부면에 하부가 지지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가스배관의 내진 고정장치는 벽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브라켓과 가스배관을 고정하는 제2하우징의 사이에 제1하우징이 완충작용이 발생 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하우징의 충격 및 진동에 의한 파손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1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상기 제2하우징 또한 완충작용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지진 및 충격에 의한 진동에 의해 가스배관의 손상 및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고정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제2하우징과 가스배관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고정브라켓과 제2하우징의 일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고정장치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6은 도 5의 "A" 부분 확대도.
도 7은 도 5의 "B" 부분 확대도.
도 8은 도 5의 "C"부분 확대도.
본 발명은 아파트, 빌딩, 다세대주택, 개인주택 등의 건축물에 설치되는 가스배관(1)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건축물의 벽면 또는 상기 벽면에 설치되는 브라켓(미도시)에 하부가 결합되는 하우징(10)의 내측에 내입되어 설치되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요철부(22)가 형성되는 제1판스프링(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판스프링(20)의 내측에 가스배관(1)이 고정됨으로써, 사방으로 탄성지지되어 상기 가스배관(1)의 진동을 완화시켜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1조절나사(30)를 이용하여 상기 제1판스프링(20)의 탄성력을 조절하여 가스배관(1)의 설치가 용이하며, 시간이 경과됨에 따른 상기 제1판스프링(20)의 저하되는 탄성력을 다시 높여 사용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가스배관의 내진 고정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가스배관의 내진 고정장치는 판스프링의 특성상 내부에 유체가 흐르는 배관 또는 전선 등이 내부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배관 등 하중이 큰 배관에는 사용이 적합하지 않으며, 도시가스와 같은 배관의 하중을 크게 증가시키지 않는 가스배관에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건축물의 벽면에 하부 양측이 고정설치되고, 양측에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110)가 구비되는 고정브라켓(100);과 상기 고정브라켓(100)의 상부에 하부가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결합돌기(110)에 양측이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며, 내측에 가스배관(10)이 결합되는 제1하우징(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하우징(200)은 상기 고정브라켓(100)의 상부 일측에 하부가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고정브라켓(100)의 일측 결합돌기(110)에 일측이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며, 내측에 만곡면(212)이 형성되는 제1하부하우징(210);과 상기 고정브라켓(100)의 상부 타측에 하부가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고정브라켓(100)의 타측 결합돌기(110)에 타측이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며, 내측에 만곡면(222)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제1하부하우징(210)의 타측에 일측이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는 제2하부하우징(220);과 상기 제1하부하우징(210)의 상부에 하부가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고,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제1상부하우징(230); 및 상기 제2하부하우징(220)의 상부에 하부가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상부하우징(230)의 상부에 상부가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며,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제2상부하우징(2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하우징(200)의 내측에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고, 내측에 가스배관(10)이 결합되는 제2하우징(3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하우징(300)은 외주연 상부와 하부에 결합홀(310)이 각각 형성되는 반원형태의 한 쌍으로 이루어져 결합되어 내측에 가스배관(10)을 고정하고, 상기 제1하우징(200)은 상기 결합홀(310)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관통홀(250);과 상기 관통홀(250)에 관통되어 결합되되, 하부가 상기 결합홀(310)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탄성조절부재(2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관통홀(250)은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조절부재(260)는 상부말단에 형성되는 조임헤드(262);와 상기 조임헤드(262)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내측에 내입홀(264a)이 형성되며,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250)에 결합되는 하우징(264);과 상기 하우징(264)의 내입홀(264a)에 상부가 내입되고, 하부에 결합헤드(266a)가 형성되는 로드(266); 및 상기 로드(266)의 외주연에 설치되되, 상부가 상기 하우징(264)의 하부에 지지되고, 상기 결합헤드(266a)의 상부면에 하부가 지지되는 스프링(268);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고정브라켓(100)은
건축물의 벽면에 하부 양측이 고정설치되고, 양측에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110)가 구비되는 것으로서, 이후에 설명될 제1하우징(200)이 상부에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하우징(200)과 결합을 위한 결합홀(미표시)이 적어도 두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브라켓(100)은 적어도 두개 이상의 결합홀이 형성되는 몸체(미표시)와, 상기 몸체의 양측에 형성되되, 상기 몸체를 건축물의 벽면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해 "ㄴ"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결합부(미표시) 및 상기 몸체의 양측에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결합홀(미표시)이 형성되는 결합돌기(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몸체와 상기 결합돌기(110)에 각각 형성된 결합홀은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제1하우징(200)에 형성된 제1결합홀(미표시)과 대응되어 이후에 설명될 탄성결합부재(400)에 의해 고정브라켓(100)에 제1하우징(200)이 탄성지지되며 결합된다.
이때, 상기 탄성결합부재(400)는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부에 헤드(미표시)가 구비되는 볼트(미표시)와, 상기 볼트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미표시) 및 상기 볼트의 외주연이 내입되는 탄성스프링(미표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탄성결합부재(400)는 상기 고정브라켓(100)의 결합홀 또는 제1하우징(200)의 제1결합홀에 볼트가 인입된 후 상기 탄성스프링의 내측에 상기 볼트가 내입되도록 상기 탄성스프링을 결합한 다음 상기 볼트가 제1하우징(200)의 제1결합홀 또는 고정브라켓(100)의 결합홀에 인입시킨 후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고정브라켓(100)에 상기 제1하우징(200)이 탄성지지되며 결합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탄성결합부재(400)는 상기 고정브라켓(100)의 결합홀과 제1하우징(200)의 제1결합홀에 볼트를 인입시키고, 상기 고정브라켓(100)과 제1하우징(200)의 사이에 탄성스프링을 결합시킨 후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함으로써, 지진 및 충격 등에 의한 진동 발생시 상기 제1하우징(200)이 상기 탄성스프링에 의해 완충작용이 발생되어 상기 제1하우징(200)의 내측에 설치된 가스배관(10)이 보호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탄성결합부재(400)는 상기 너트의 조임 정도에 따라 상기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제1하우징(200)이 상기 고정브라켓(100)에 결합될 때의 탄성력이 조절되어 기간이 경과됨에 따른 상기 탄성스프링의 탄성력 저하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견고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제1하우징(200)은
상기 고정브라켓(100)의 상부에 하부가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결합돌기(110)에 양측이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며, 내측에 가스배관(10)이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브라켓(100)의 몸체의 상부에 상기 탄성결합부재(400)를 이용하여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고정브라켓(100)의 결합돌기(110)와 양측이 상기 탄성결합부재(400)를 이용하여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제1하우징(2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브라켓(100)의 몸체 및 결합돌기(110)에 상기 탄성결합부재(400)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하부와 양측에 상기 고정브라켓(100)의 몸체와 결합돌기(100)에 형성된 결합홀과 대응되는 제1결합홀(미표시)이 각각 형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1하우징(200)은 내측에 가스배관(10)이 고정결합되는데, 이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제2하우징(300)이 없을 경우에 상기 제1하우징(200)의 내측에 가스배관(10)이 밀접될 수 있도록 내측 직경이 상기 가스배관(10)의 외측 직경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은 자명할 것이며, 상기 제2하우징(300)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하우징(300)의 외측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이후에 자세히 언급될 탄성조절부재(260)가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1하우징(200)은 상기 고정브라켓(100)의 상부 일측에 하부가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고정브라켓(100)의 일측 결합돌기(110)에 일측이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며, 내측에 만곡면(212)이 형성되는 제1하부하우징(210)과, 상기 고정브라켓(100)의 상부 타측에 하부가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고정브라켓(100)의 타측 결합돌기(110)에 타측이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며, 내측에 만곡면(222)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제1하부하우징(210)의 타측에 일측이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는 제2하부하우징(220)과, 상기 제1하부하우징(210)의 상부에 하부가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고,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제1상부하우징(230) 및 상기 제2하부하우징(220)의 상부에 하부가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상부하우징(230)의 상부에 상부가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며,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제2상부하우징(2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하부하우징(210)은 상기 고정브라켓(100)의 몸체의 상부 일측에 하부가 탄성결합부재(400)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고정브라켓(100)의 일측 결합돌기(110)에 일측이 탄성결합부재(400)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며, 이후에 설명될 제2하우징(300)이 구비되지 않을 경우 원통형상의 가스배관(10)이 결합될 수 있도록 내측방향 즉, 중심방향에 만곡면(212)이 형성된다.
상기 제2하부하우징(220)은 상기 고정브라켓(100)의 몸체의 상부 타측에 하부가 탄성결합부재(400)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고정브라켓(100)의 타측 결합돌기(110)에 타측이 탄성결합부재(400)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며, 이후에 설명될 제2하우징(300)이 구비되지 않을 경우 원통형상의 가스배관(10)이 결합될 수 있도록 내측방향 즉, 중심방향에 만곡면(21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하부하우징(220)은 상기 제1하부하우징(210)의 타측에 일측이 탄성결합부재(400)에 의해 결합되어 상호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됨으로써, 지진이나 충격에 의한 진동발생시 상기 제1하부하우징(210)과 독립적으로 완충작용이 발생되어 더욱더 안정적으로 가스배관(10)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아울러, 상기 제1하부하우징(210)의 타측과 상기 제2하부하우징(220)의 일측에는 상기 탄성결합부재(400)가 결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결합홀(미표시)이 형성된다.
상기 제1상부하우징(230)은 상기 제1하부하우징(210)의 상부에 하부가 탄성결합부재(400)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고, 이후에 설명될 제2하우징(300)이 구비되지 않을 경우 가스배관(10)이 결합될 수 있도록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상부하우징(230)은 하부에 외측방향 즉, 일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제1결합편(미표시)이 형성되어 상기 제1하부하우징(210)의 상부면과 탄성결합부재(400)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는데, 이때, 상기 제1하부하우징(210)의 상부면과 상기 제1결합편은 상기 탄성결합부재(4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각각 관통형성되는 제3결합홀(미표시)이 형성된다.
상기 제2상부하우징(240)은 상기 제2하부하우징(220)의 상부에 하부가 탄성결합부재(400)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고, 이후에 설명될 제2하우징(300)이 구비되지 않을 경우 가스배관(10)이 결합될 수 있도록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2상부하우징(240)은 하부에 외측방향 즉, 타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제2결합편(미표시)이 형성되어 상기 제2하부하우징(220)의 상부면과 탄성결합부재(400)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는데, 이때, 상기 제1하부하우징(210) 및 제1상부하우징(230)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2하부하우징(220)의 상부면과 상기 제2결합편은 상기 탄성결합부재(4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각각 관통형성되는 제4결합홀(미표시)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1상부하우징(230)과 제2상부하우징(240)의 상부는 탄성결합부재(400)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됨으로써, 제1하부하우징(210) 및 제2하부하우징(220)과 마찬가지로 제1상부하우징(230)과 제2상부하우징(240)이 독립적으로 완충작용이 발생되어 가스배관(10)을 보호한다.
이대, 상기 제1상부하우징(230)과 제2상부하우징(240)의 상부가 결합되기 위해 상기 제1상부하우징(230)과 제2상부하우징(240)의 상부에는 외측방향 즉,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제3결합편(미표시)과 제4결합편(미표시)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3결합편과 제4결합편에 상기 탄성결합부재(400)가 결합될 수 있는 제5결합홀(미표시)이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제1하우징(200)은 제1하부하우징(210)과 제2하부하우징(220)이 고정브라켓(100)의 상부에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되, 상기 고정브라켓(100)의 결합돌기(110)와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고, 내측이 원형으로 형성되도록 결합됨으로써, 안정적으로 건축물의 벽면에 원통형상의 가스배관(10)을 설치할 수 있는 한편, 상기 제1하부하우징(210), 제2하부하우징(220), 제1상부하우징(230) 및 제2상부하우징(240)이 탄성결합부재(400)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완충작용이 발생함으로써, 가스배관(10)을 더욱더 안정적으로 지진이나 충격에 의한 진동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제2하우징(300)은
상기 제1하우징(200)의 내측에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고, 내측에 가스배관(10)이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하우징(200)의 내측에 이격공간(미표시)이 형성되도록 이후에 설명될 복수 개의 탄성조절부재(260)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어 탄성결합부재(400)에 의한 1차 완충작용 후 2차 완충작용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더욱더 안정적으로 가스배관(10)을 지진이나 충격 등에 의한 진동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2하우징(300)은 외주연 상부와 하부에 외측방향 즉, 하부방향과 상부방향으로 각각 돌출형성되는 제5결합편(미표시)이 형성되고, 상기 제5결합편에 제6결합홀(미표시)이 형성되며, 상기 제6결합홀에 결합볼트(미표시)가 결합됨으로써, 내측에 가스배관(10)이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하우징(200)은 상기 결합홀(310)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관통홀(250)과, 상기 관통홀(250)에 관통되어 결합되되, 하부가 상기 결합홀(310)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탄성조절부재(26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제2하우징(300)이 제1하우징(200)에 탄성지지되며 설치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 관통홀(25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하부하우징(210)과 제2하부하우징(220)에는 각각 만곡면(212)(222)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고, 제1상부하우징(230)과 제2상부하우징(240)은 만곡된 형상의 몸체(미표시)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하부하우징(210)과 제2하부하우징(220)에는 각각 만곡면(212)(222)의 중심에 형성되고, 상기 제1상부하우징(230)과 제2상부하우징(240)은 만곡된 형상의 몸체(미표시)의 중심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탄성조절부재(260)는 상부말단에 형성되는 조임헤드(262)와, 상기 조임헤드(262)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내측에 내입홀(264a)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250)에 결합되는 하우징(264)과, 상기 하우징(264)의 내입홀(264a)에 상부가 내입되고, 하부에 결합헤드(266a)가 형성되는 로드(266) 및 상기 로드(266)의 외주연에 설치되되, 상부가 상기 하우징(264)의 하부에 지지되고, 상기 결합헤드(266a)의 상부면에 하부가 지지되는 스프링(26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탄성조절부재(260)는 상기 로드(266)가 상기 하우징(264)의 내입홀(264a)을 따라 이동되되, 상기 스프링(268)에 의해 탄성지지됨으로써, 제1하우징(200)에 결합된 제2하우징(300)이 탄성지지되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제2하우징(300)은 상기 탄성조절부재(260)가 상기 제1하우징(200)의 관통홀(250)에 관통되어 결합되고, 상기 탄성조절부재(260)의 하부가 상기 결합홀(310)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탄성조절부재(260)에 의해 제1하우징(200)에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어 지진 및 충격에 의한 진동 발생시 내측에 결합된 가스배관(10)에 완충작용이 발생되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탄성조절부재(260)는 상기 제2하우징(300)의 결합홀(310)에 상기 결합헤드(266a)가 인입되어 끼움결합되어도 무방하고, 더욱 견고한 결합을 위해 상기 결합헤드(266a)의 외주연과 상기 제2하우징(300)의 결합홀(310)의 내주연는 대응되는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조절부재(260)는 제1하우징(200)과 제2하우징(300) 간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는데, 상기 제2하우징(300)의 내측에 가스배관(10)이 결합되어 앞서 설명된 탄성결합부재(400)의 너트와 같은 구성을 설치할 공간이 없으므로, 상기 제1하우징(200)의 관통홀(250)의 내주연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탄성조절부재(260)의 하우징(264)이 외주연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상기 하우징(264)의 조임헤드(262)를 이용하여 상기 하우징(264)을 회전시킴으로써, 스프링(268)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다시 말해 상기 제1하우징(200)의 관통홀(250)은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조절부재(260)의 하우징(264)은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264)이 상기 관통홀(250)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하우징(200)과 제2하우징(300) 사이에 돌출되는 상기 하우징(264)의 하부의 길이가 조절되어 탄성력이 조절됨으로써, 더욱더 안정적으로 제2하우징(300) 및 상기 제2하우징(300)의 내측에 결합된 가스배관(10)에 완충작용이 발생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가스배관 100 : 고정브라켓
110 : 결합돌기 200 : 제1하우징
210 : 제1하부하우징 212, 222 : 만곡면
220 : 제2하부하우징 230 : 제1상부하우징
240 : 제2상부하우징 250 : 관통홀
260 : 탄성조절부재 262 : 조임헤드
264 : 하우징 264a : 내입홀
266 : 로드 266a : 결합헤드
268 : 스프링 300 : 제2하우징
310 : 결합홀 400 : 탄성결합부재

Claims (5)

  1. 건축물의 벽면에 하부 양측이 고정설치되고, 양측에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110)가 구비되는 고정브라켓(100);과 상기 고정브라켓(100)의 상부에 하부가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결합돌기(110)에 양측이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며, 내측에 가스배관(10)이 결합되는 제1하우징(200);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징(200)은
    상기 고정브라켓(100)의 상부 일측에 하부가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고정브라켓(100)의 일측 결합돌기(110)에 일측이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며, 내측에 만곡면(212)이 형성되는 제1하부하우징(210);과
    상기 고정브라켓(100)의 상부 타측에 하부가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고정브라켓(100)의 타측 결합돌기(110)에 타측이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며, 내측에 만곡면(222)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제1하부하우징(210)의 타측에 일측이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는 제2하부하우징(220);과
    상기 제1하부하우징(210)의 상부에 하부가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고,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제1상부하우징(230); 및
    상기 제2하부하우징(220)의 상부에 하부가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상부하우징(230)의 상부에 상부가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며,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제2상부하우징(2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배관의 내진 고정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관의 내진 고정장치는
    상기 제1하우징(200)의 내측에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고, 내측에 가스배관(10)이 결합되는 제2하우징(3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배관의 내진 고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300)은
    외주연 상부와 하부에 결합홀(310)이 각각 형성되는 반원형태의 한 쌍으로 이루어져 결합되어 내측에 가스배관(10)을 고정하고,
    상기 제1하우징(200)은
    상기 결합홀(310)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관통홀(250);과
    상기 관통홀(250)에 관통되어 결합되되, 하부가 상기 결합홀(310)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탄성조절부재(2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배관의 내진 고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250)은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조절부재(260)는
    상부말단에 형성되는 조임헤드(262);와
    상기 조임헤드(262)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내측에 내입홀(264a)이 형성되며,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250)에 결합되는 하우징(264);과
    상기 하우징(264)의 내입홀(264a)에 상부가 내입되고, 하부에 결합헤드(266a)가 형성되는 로드(266); 및
    상기 로드(266)의 외주연에 설치되되, 상부가 상기 하우징(264)의 하부에 지지되고, 상기 결합헤드(266a)의 상부면에 하부가 지지되는 스프링(268);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배관의 내진 고정장치.
KR1020180062526A 2018-05-31 2018-05-31 가스 배관의 내진 고정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948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526A KR101948596B1 (ko) 2018-05-31 2018-05-31 가스 배관의 내진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526A KR101948596B1 (ko) 2018-05-31 2018-05-31 가스 배관의 내진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8596B1 true KR101948596B1 (ko) 2019-02-15

Family

ID=65367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2526A Expired - Fee Related KR101948596B1 (ko) 2018-05-31 2018-05-31 가스 배관의 내진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8596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30432A (zh) * 2019-04-02 2019-07-19 中国原子能科学研究院 一种用于快堆钠阀的管部装置
CN111706716A (zh) * 2020-06-28 2020-09-25 温州安荷桥科技有限公司 高层建筑结构用抗震支吊架
CN112325054A (zh) * 2020-11-13 2021-02-05 南京盛航海运股份有限公司 一种船舶的油管保护装置
CN112856089A (zh) * 2021-03-10 2021-05-28 烟台大学 一种管路主被动控振装置
KR102313208B1 (ko) * 2020-11-10 2021-10-14 장현석 탄성지지장치를 구비한 상하수도 설치 시스템
KR102312553B1 (ko) * 2020-10-14 2021-10-15 정태영 파이프 내진 고정장치
CN113883336A (zh) * 2021-10-28 2022-01-04 长春恒发房地产开发有限公司 一种作用于高楼层雨水排水管安装的抗震支架
CN116677825A (zh) * 2023-07-12 2023-09-01 江苏扬天飞龙金属结构制造有限公司 一种隔热保冷减震管托
KR102763289B1 (ko) * 2024-06-13 2025-02-05 (주)종합건축사사무소디에스그룹 건축물용 배관 진동 및 소음 방지구조체
KR102833148B1 (ko) * 2024-12-20 2025-07-11 덕산에테르씨티 주식회사 다규격 범용 저장용기 지지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2856A (ja) * 2003-01-07 2004-08-19 Maezawa Kasei Ind Co Ltd 配管固定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2856A (ja) * 2003-01-07 2004-08-19 Maezawa Kasei Ind Co Ltd 配管固定具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30432B (zh) * 2019-04-02 2020-10-09 中国原子能科学研究院 一种用于快堆钠阀的管部装置
CN110030432A (zh) * 2019-04-02 2019-07-19 中国原子能科学研究院 一种用于快堆钠阀的管部装置
CN111706716A (zh) * 2020-06-28 2020-09-25 温州安荷桥科技有限公司 高层建筑结构用抗震支吊架
KR102312553B1 (ko) * 2020-10-14 2021-10-15 정태영 파이프 내진 고정장치
KR102313208B1 (ko) * 2020-11-10 2021-10-14 장현석 탄성지지장치를 구비한 상하수도 설치 시스템
CN112325054A (zh) * 2020-11-13 2021-02-05 南京盛航海运股份有限公司 一种船舶的油管保护装置
CN112325054B (zh) * 2020-11-13 2024-10-11 南京盛航海运股份有限公司 一种船舶的油管保护装置
CN112856089A (zh) * 2021-03-10 2021-05-28 烟台大学 一种管路主被动控振装置
CN113883336A (zh) * 2021-10-28 2022-01-04 长春恒发房地产开发有限公司 一种作用于高楼层雨水排水管安装的抗震支架
CN116677825A (zh) * 2023-07-12 2023-09-01 江苏扬天飞龙金属结构制造有限公司 一种隔热保冷减震管托
CN116677825B (zh) * 2023-07-12 2024-01-16 江苏扬天飞龙金属结构制造有限公司 一种隔热保冷减震管托
KR102763289B1 (ko) * 2024-06-13 2025-02-05 (주)종합건축사사무소디에스그룹 건축물용 배관 진동 및 소음 방지구조체
KR102833148B1 (ko) * 2024-12-20 2025-07-11 덕산에테르씨티 주식회사 다규격 범용 저장용기 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8596B1 (ko) 가스 배관의 내진 고정장치
KR101825808B1 (ko) 상하 흡수용 전기트레이 내진 챤넬시스템
KR101702990B1 (ko) 내진설계 및 안전장치를 구비한 상하수도관 시공방법
KR20080002087U (ko) 내진용 배관지지장치
KR20180012584A (ko) 조립식 내진용 배관 지지장치
KR101870213B1 (ko) 내진 및 방진용 배관 지지 행거
KR101721363B1 (ko) 내진용 흔들림 방지 버팀장치
KR20140005708U (ko) 내진 및 방진용 배관고정장치
KR102230065B1 (ko) 천장구조물용 지지행거
KR20100066099A (ko) 내진패킹을 구비한 배관고정장치
KR101932030B1 (ko) 가스 배관의 내진 고정장치
KR101900397B1 (ko) 배관용 내진장치
JP6341722B2 (ja) 分岐管の耐震継手
KR101687663B1 (ko) 방진수단이 구비된 배관용 행거
KR20160000677U (ko) 진동흡수고무를 구비한 내진용 파이프 클램프장치
KR20190075265A (ko) 전산볼트용 내진 커플러
KR20160000689U (ko) 내진용 파이프 클램프장치
JP2010174938A (ja) 防振装置
KR101942180B1 (ko) 내진용 파이프행거
KR101866864B1 (ko) 소방용 배관의 내진 클램핑장치
JP6033706B2 (ja) 防振架台
KR102098825B1 (ko) 내진용 횡방향 및 종방향 버팀대
KR20180119233A (ko) 내진용 배관 지지대
KR102003597B1 (ko) 기계설비배관의 내진 및 방진지지장치
KR20200000026A (ko) 건축설비용 행거의 내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3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2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901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2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2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