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46993B1 - 화장품 도포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도포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6993B1
KR101946993B1 KR1020170099851A KR20170099851A KR101946993B1 KR 101946993 B1 KR101946993 B1 KR 101946993B1 KR 1020170099851 A KR1020170099851 A KR 1020170099851A KR 20170099851 A KR20170099851 A KR 20170099851A KR 101946993 B1 KR101946993 B1 KR 101946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applicator
supply hole
container body
cosmetic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9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호준
이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70099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6993B1/ko
Priority to CN201821184056.7U priority patent/CN208783880U/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6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699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 도포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용기 본체와 결합되며 화장품 공급공을 통해 상기 용기 본체에 수용된 화장품을 외부로 공급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상부면에 결합하고 상기 화장품 공급공을 폐쇄하는 밸브체가 저면에 형성된 도포구;를 포함하는 화장품 도포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화장품 도포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COSMETIC APPLICATOR HEAD AND COSMETIC CONTAIN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장품 도포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에 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용기 본체에 결합하고 용기 본체로부터 공급된 화장품을 확산하여 피부에 도포 가능하도록 하는 화장품 도포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에 대한 것이다.
화장품은 화장품의 제형에 따라 피부에 도포하는 형태도 다양하다. 로션이나 크림 등을 손에 덜어 직접 바르는 경우도 있으나, 다양한 형태의 도포구(applicator)를 사용하기도 한다. 도포구의 예로서는 우레탄 스폰지 등으로 이루어진 퍼프(puff) 또는 브러시(brush)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립스틱이나 아이펜슬과 같이 화장품을 직접 피부에 바르는 경우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화장품 용기에 도포구를 직접 부착하여 사용하는 예도 존재한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3-0006976호(화장용 퍼프 구조, 2013.12.04. 공개)는 화장액 용기에 결합된 퍼프 구조를 개시한다.
그런데, 상기 선행기술에 개시된 퍼프 구조에 있어서는 액상 분출용 파이프를 통해 화장액이 전달된 후 스폰지 등의 퍼프 구조체 상단에 분출되는 구성이므로 퍼프 구조체 상부에 확장액이 고르게 분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에서는 커버체의 하단 중앙으로부터 돌출된 돌기를 이용하여 미사용시 액상 분출용 파이프를 폐쇄하도록 하고 있으나 정확히 결합되지 않는 경우 화장액이 누설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용기 본체에 결합되고 용기 본체로부터 공급된 화장품의 효과적인 도포를 가능하게 하며 용기 본체에 뚜껑을 결합하는 경우 화장품의 누설이 방지되는 구조를 구비한 화장품 도포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용기 본체와 결합되며 화장품 공급공을 통해 상기 용기 본체에 수용된 화장품을 외부로 공급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상부면에 결합하고 상기 화장품 공급공을 폐쇄하는 밸브체가 저면에 형성된 도포구;를 포함하는 화장품 도포 헤드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도포구가 결합하는 도포구 결합부, 및 상기 화장품 공급공을 통해 공급된 화장품을 상기 헤드부의 상면으로 확산시키는 확산부를 포함한다.
상기 확산부는 상기 도포구와 이격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포구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여 거리를 이격시키는 이격 돌기가 상기 확산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산부는 상기 헤드부의 상부면에 오목한 홈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오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포구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화장품 공급공을 통해 공급된 상기 화장품을 상기 도포구의 표면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포구의 적어도 일부는 다공성 스폰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부는 상기 화장품 공급공과 연통되며 상기 용기 본체의 토출구와 상기 화장품 공급공을 연결하는 화장품 공급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화장품 도포 헤드; 상기 화장품 도포 헤드가 결합되는 상기 용기 본체; 및 상기 화장품 도포 헤드를 덮도록 결합하며, 저면에 상기 도포구의 상면을 눌러 상기 밸브체가 상기 화장품 공급공을 폐쇄하도록 하는 누름돌기를 포함하는 뚜껑;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 본체에 수용된 화장품을 도포구에 고르게 토출시켜 피부에 도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뚜껑을 용기 본체 또는 화장품 도포 헤드에 결합시키면, 뚜껑에 형성된 누름돌기가 도포구를 눌러 도포구의 저면에 형성된 밸브체가 화장품 공급공을 폐쇄하도록 함으로써 화장품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도포 헤드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도포 헤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도포 헤드의 단면도(도 1의 A-A' 방향)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도포 헤드의 상단에 뚜껑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도포 헤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도포 헤드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도포 헤드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다른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10)와, 상기 용기 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되는 화장품 도포 헤드(20, 30), 및 상기 화장품 도포 헤드(20, 30)의 상부에 결합하는 뚜껑(16)을 포함한다.
용기 본체(10)에 수용되는 화장품은 액상 또는 에멀젼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10)는 경질의 재료 또는 연질의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10)는 튜브 타입으로 구성되고, 연질 재질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용기 본체(10)를 가압하면 화장품이 토출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화장품 도포 헤드는 용기 본체(10)의 상부에 결합하는 헤드부(20)와, 상기 헤드부(20)의 상부에 결합하는 도포구(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포구(30)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공(32)이 형성되어 상기 배출공(32)을 통해 화장품이 공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포구(30)는 고무, 실리콘, 또는 우레탄(urethane)과 같은 신축성있는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적어도 일부가 변형될 수 있는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뚜껑(16)은 화장품 도포 헤드(20, 30)의 상부에 결합하여 도포구(30)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뚜껑(16)의 상부 저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누름돌기(18)가 구비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도포 헤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도포 헤드의 단면도(도 1의 A-A' 방향)이다.
화장품 도포 헤드를 이루는 헤드부(20)는 베이스부(22)와, 상기 베이스부(22)의 상부에 형성되는 도포구 결합부(24)와, 화장품이 공급되는 화장품 공급공(28)을 포함한다.
베이스부(22)는 용기 본체(10)의 상단부(12)에 적어도 일부가 결합되는 부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부(22)의 내주면에는 제2 나사산(23)이 형성되고, 용기 본체(10)의 상단부(12)의 외주면에는 제1 나사산(13)이 형성됨으로써 베이스부(22)가 용기 본체(10)의 상단부(12)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부(22)는 제1 베이스부(22a)와, 상기 제1 베이스부(22a)보다 지름이 좁아져 단턱을 이루는 제2 베이스부(22b)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베이스부(22b)의 외측으로 뚜껑(16)이 결합되고 뚜껑(16)의 하측 단부가 제1 베이스부(22a)와 제2 베이스부(22b) 간에 형성된 단턱에 닿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 베이스부(22b)의 외주면과 뚜껑(18)의 내주면에 돌기 또는 홈 등을 형성하여 뚜껑(18)에 제2 베이스부(22b)에 결합시 임의 분리를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뚜껑(18)이 헤드부(20)에 결합되어 분리가 방지되는 구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뚜껑(18)이 베이스부(22)에 나사결합하는 방식으로 결합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도포구 결합부(24)는 도포구(30)가 결합되는 부분이다. 도포구 결합부(24)의 위쪽으로는 확산부(26)가 구비되고, 확산부(26)의 일 부분에는 화장품 공급공(28)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확산부(26)는 도포구 결합부(24)보다 우묵하게 형성되어 도포구(30)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도포구 결합부(24)에 도포구(30)가 결합된 경우, 상기 확산부(26)에는 도포구(30)에 형성된 배출공(32)이 위치한다. 또한, 상기 확산부(26)에는 도포구(30)의 이격 거리를 유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는 이격돌기(28a)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격돌기(28a)는 화장품 공급공(28)의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화장품이 화장품 공급공(28)을 통해 공급되는 경우, 확산부(26)를 통해 확산된 후 도포구(30)의 배출공(32)을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화장품 공급공(28)의 하부에는 화장품 공급관(29)에 의해 형성된 화장품 공급채널(29a)이 구비된다. 화장품 공급채널(29a)은 용기 본체(10)의 상단부(12)에 형성된 토출구(14)와 연통된다. 용기 본체(10)에 수용된 화장품은 토출구(14)를 통해 토출되어 화장품 공급채널(29a)을 통해 화장품 공급공(28)으로 공급되고, 확산부(26)를 통해 확산된 후 도포구(30)의 배출공(32)을 통해 도포구(30)의 표면측으로 전달된다. 사용자는 도포구(30)를 이용하여 도포구(30)의 표면측으로 전달된 화장품을 피부에 도포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헤드부(20)를 용기 본체(10)의 상단부(12)에 결합하면 화장품 공급관(29)이 토출구(14)에 밀착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14)는 상기 상단부(12)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구성되고 토출구(14)를 형성하는 구조가 상기 화장품 공급관(29)의 내주면에 끼워지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도포구(30)의 저면에는 화장품 공급공(28)에 대응되는 위치에 밸브체(34)가 형성된다.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밸브체(34)는 화장품 공급공(28)을 폐쇄하지 않도록 설정된다. 화장품 공급공(28)의 주변에 이격돌기(28a)에 의해 밸브체(34)가 화장품 공급공(28)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밸브체(34)가 형성된 도포구(30)의 상부면에는 누름돌기 매칭부(34a)가 우묵하게 형성될 수 있다. 뚜껑(16)이 헤드부(20)에 결합되는 경우 누름돌기(18)는 상기 누름돌기 매칭부(34a)에 접하게 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공급공(28)의 일부는 상기 밸브체(34)에 대응하는 밸브 시트로서 기능할 수 있다. 즉, 밸브체(34)가 화장품 공급공(28)에 접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화장품 공급공(28)이 개방된 상태이나, 밸브체(34)가 화장품 공급공(28)에 접하게 되면 화장품 공급공(28)이 폐쇄된 상태로 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도포 헤드의 상단에 뚜껑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화장품 도포 헤드(20, 30)의 상단에 뚜껑(16)이 결합하는 경우, 뚜껑(16)에 형성된 누름돌기(18)는 도포구(30)의 상부를 누르도록 설정된다. 이 경우, 누름돌기(18)는 도포구(30)의 저면에 형성된 밸브체(34)에 대응하는 도포구(30)의 상부면에 접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누름돌기(18)에 의해 도포구(30)의 상부면이 눌러짐에 따라 밸브체(34)는 화장품 공급공(28)에 밀착하고, 화장품 공급공(28)이 폐쇄된다. 화장품 공급공(28)의 일부는 밸브체(34)가 안착되는 밸브 시트로서 기능하므로 누름돌기(18)에 의해 도포구(30)의 일부가 변형되어 밸브체(34)가 화장품 공급공(28)에 안착됨으로써 화장품 공급공(28)을 통한 화장품의 누설이 방지된다.
누름돌기(18)기 화장품 공급공(28)을 직접 폐쇄하는 것이 아니라, 누름돌기(18)에 의해 도포구(30)의 일부가 하방으로 변형되고, 도포구(30)의 일부에 형성된 밸브체(34)가 화장품 공급공(28)을 폐쇄한다. 이러한 구성은 누름돌기(18)가 화장품 공급공(28)과 대응되는 지점을 정확히 누르지 않아도 화장품 공급공(28)을 폐쇄할 수 있어 화장품 누설 가능성을 최소하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도포 헤드의 사시도이다.
도 5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헤드부(20)의 상부면에 화장품 공급공(28)과 연통된 오목홈(2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목홈(27)은 도 2에서의 확산부(28)로서 기능하되, 오목홈(27)의 형성에 따라 별도의 이격돌기(28a)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을 제공한다. 화장품 공급공(28)을 통해 공급된 화장품을 오목홈(27)을 채우고, 오목홈(27)으로 공급된 화장품은 도포구(30)에 형성된 배출공(32)을 통해 도포구(30)의 상부면으로 토출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도포 헤드의 단면도이다.
도 6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포구(40)의 적어도 일부는 다공성 스폰지로 구성됨을 일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도포구(340)는 우레탄 스폰지 또는 NRB 라텍스 등으로 구성되고, 밸브체(44)가 도포구(40)의 저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밸브체(44)는 밸브 지지부(46)를 포함하고, 밸브 지지부(46)가 도포구(40)의 저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용기 본체 12 : 상단부
14 : 토출구 16 : 뚜껑
18 : 누름돌기 20 : 헤드부
22 : 베이스부 24 : 도포구 결합부
26 : 확산부 28 : 화장품 공급공
28a : 이격돌기 29 : 화장품 공급관
29a : 화장품 공급채널 30, 44 : 도포구
32 : 배출공 34, 44 : 밸브체

Claims (9)

  1.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와 결합되며 화장품 공급공을 통해 상기 용기 본체에 수용된 화장품을 외부로 공급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상부면에 결합하고 상기 화장품 공급공을 폐쇄하는 밸브체가 저면에 형성된 도포구; 및
    상기 도포구를 덮도록 상기 헤드부에 결합하며, 저면에 상기 도포구의 상면을 눌러 상기 밸브체가 상기 화장품 공급공을 폐쇄하도록 하는 누름돌기를 포함하는 뚜껑;
    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도포구가 결합하는 도포구 결합부, 및 상기 화장품 공급공을 통해 공급된 화장품을 상기 헤드부의 상면으로 확산시키는 확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산부는 상기 도포구와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도포구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여 거리를 이격시키는 이격 돌기가 상기 확산부에 구비되고,
    상기 이격 돌기는 상기 화장품 공급공의 둘레에 형성되며,
    상기 도포구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화장품 공급공을 통해 공급된 상기 화장품을 상기 도포구의 표면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구의 적어도 일부는 다공성 스폰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화장품 공급공과 연통되며 상기 용기 본체의 토출구와 상기 화장품 공급공을 연결하는 화장품 공급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9. 삭제
KR1020170099851A 2017-08-07 2017-08-07 화장품 도포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Active KR101946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851A KR101946993B1 (ko) 2017-08-07 2017-08-07 화장품 도포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CN201821184056.7U CN208783880U (zh) 2017-08-07 2018-07-25 化妆品涂抹头及包括其的化妆品容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851A KR101946993B1 (ko) 2017-08-07 2017-08-07 화장품 도포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6993B1 true KR101946993B1 (ko) 2019-02-12

Family

ID=65369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9851A Active KR101946993B1 (ko) 2017-08-07 2017-08-07 화장품 도포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46993B1 (ko)
CN (1) CN208783880U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0434U (ko) * 1996-05-14 1997-12-10 이희정 두개의 배출구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070093544A (ko) * 2006-03-14 2007-09-19 변영광 크림타입 화장품 토출용 튜브형 화장품용기
KR101511120B1 (ko) * 2014-04-11 2015-05-15 (주)연우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튜브용기
KR20160000629U (ko) * 2014-08-13 2016-02-24 (주)아모레퍼시픽 도포부재가 구비된 겔상 화장료용 펌프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0434U (ko) * 1996-05-14 1997-12-10 이희정 두개의 배출구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070093544A (ko) * 2006-03-14 2007-09-19 변영광 크림타입 화장품 토출용 튜브형 화장품용기
KR101511120B1 (ko) * 2014-04-11 2015-05-15 (주)연우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튜브용기
KR20160000629U (ko) * 2014-08-13 2016-02-24 (주)아모레퍼시픽 도포부재가 구비된 겔상 화장료용 펌프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8783880U (zh) 2019-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5189B2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applying a product
US6755585B2 (en) Device and method for applying a product
US6634821B2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applying a product
JP2885675B2 (ja) 液状からペースト状の粘度を持つ物質用ノズル及びそれを用いたディスペンサ
JP2885676B2 (ja) 塗布用チップを具備した液状からペースト状の粘度を持つ物質用ディスペンサ
JP2006312083A (ja) 化粧製品などの製品の収容及び分配のための装置
KR101436568B1 (ko) 크림타입 진공 화장품용기
KR101928807B1 (ko) 간단한 구조를 갖는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US20050056343A1 (en) Device for packaging and dispensing a cosmetic or another care product
US20070258749A1 (en) Packaging and applicator device
KR101858427B1 (ko) 액체 도포가 가능한 두피 케어용기용 마개
US20070189841A1 (en) Packaging and applicator device
CA2187641A1 (en) Cosmetics container
KR20160114518A (ko) 액체 도포가 가능한 두피 케어용기용 마개
KR20090065146A (ko) 액상 화장품 용기
US7168598B2 (en) Device for dispensing a product
KR102209696B1 (ko) 선택적 토출이 가능한 두피 관리용 화장품용기
US6050274A (en) Applicator
JP2005118563A (ja) 物質の包装及び塗布装置
CN103607926B (zh) 用于将护发产品应用到发缕上的装置
US6805510B2 (en) Cosmetic powder applicator and method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KR101392980B1 (ko) 퍼프를 가지는 화장품용기의 내용물 토출장치
US6991396B2 (en) Application device and related method
KR101946993B1 (ko) 화장품 도포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JPH0139783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5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9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